KR100873679B1 -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679B1
KR100873679B1 KR1020070089670A KR20070089670A KR100873679B1 KR 100873679 B1 KR100873679 B1 KR 100873679B1 KR 1020070089670 A KR1020070089670 A KR 1020070089670A KR 20070089670 A KR20070089670 A KR 20070089670A KR 100873679 B1 KR100873679 B1 KR 10087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election bar
list
last item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679B1/ko
Priority to US12/230,623 priority patent/US9569088B2/en
Priority to EP08163512.0A priority patent/EP2034399B1/en
Priority to CN2008102127567A priority patent/CN10138404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선택 바를 화면의 마지막 항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선택 바의 이동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이면, 화면 아래쪽의 상기 선택 바와 맞닫는 경계영역에 소정의 모션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환경에 모션 그래픽을 부가함으로써, 단말기 조작의 실제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플리킹, 터치 스크린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METHOD FOR SCROLLING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 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형태로서는 폴더 형태, 슬라이드 형태, 바 형태 또는 로테이션 형태의 디자인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어 있으며,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UI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들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선택 바(혹은 커서)가 빠른 속도로 컨텐츠 리스트의 마지막 항목에 도달했을 때 소정의 모션 그래픽을 디스플레이 하는 휴대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목록을 일측단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화면의 소정영역에 목록의 일측단 임을 알려주는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입력에 의해 목록이 일측단으로 이동된 경우, 화면의 소정영역에 일측단 임을 알려주는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은
입력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에 따라 일측단 으로 목록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목록이 일측단으로 이동된 경우 그래픽 효과를 화면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UI)환경에 모션 그래픽을 부가함으로써, 단말기 조작의 실제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 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1을 참조하여, 기능적 관점에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휴대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 (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이 휴대단말에서 실제로 구현될 때는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로 합쳐지거나, 하나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그리고 GPS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 스템뿐만 아니라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신호는, 음성 호신호, 화상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것으로, 휴대 단말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여러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은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제거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때,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한다.
상기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의 전원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 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 마이크 등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달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출력 모듈(152), 알람출력 모듈(153)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에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을 이루고 있으며,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드래그(Drag), 스크롤링(Scrolling), 플리킹(Flicking)과 같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 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 (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 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4 내지 도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구성 및 동작은 물론,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4 내지 도7에 도시된 화면 구성과 동작의 주체이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기능적 관점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다. 다음은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기능적 관점에서 본 발명과 관련 된 휴대 단말기의 외부 구성요소들을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간명한 설명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0A)와, 상기 제1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100A)의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제1음향 출력모듈(152-1), 제1카메라 모듈(121-1) 또는 제1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다.
상기 제1음향출력 모듈(152-1)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카메라 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130-3), 마이크 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지 제3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130-3)는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는 사용자의 음성이나 각종 사운드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이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 (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외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그 이상의 자세한 인터페이스부(170)의 설명은 이미 전술되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제2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제2바디(100B)의 제2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 모듈(121-2)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카메라 모듈(121-2)은 제1카메라 모듈(121-1, 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 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121-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 모듈(121-2)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카메라 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2카메라 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는 사용자가 제 2카메라 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음향출력 모듈 (152-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음향출력 모듈(152-2)는 제1음향출력 모듈(152-1, 도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2바디(100B)(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0A)의 제1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바디(100A)와 제2바디 (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100B)의 제2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카메라 모듈(121-2)) 등이 제2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카메라 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0A), 주로는 제1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1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카메라 모듈(121-2)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카메라 모듈(121-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카메라 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그래픽의 예시도로서, 사용자의 플리킹(Flicking)에 의해 선택 바(Bar)가 컨텐츠 리스트(혹은 표시목록)의 마지막 항목에 도달했을 때 화면의 하단면에서 발생하는 모션 그래픽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플리킹(Flicking)이란, 터치 스크린 상에서 단순한 드래그(Drag)와 구분되는 동작으로,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 튕기듯이 스크린 표면을 터치하여 선택 바(Bar)(혹은 커서(Cursor))를 빠르게 이동시키는 동작이다. 빠른 스크롤 동작이라고 하기도 한다.
플리킹 동작에 의한 선택 바의 이동에는 액셀레이션 메커니즘(혹은 가속화 움직임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속화 움직임 기법은 GUI구현 시, 특정 객체의 움직임에 실사의 느낌이 부여되도록 가속도 및 역가속도의 물리적인 운동법칙을 적용한 애니메이션(혹은 모션 그래픽) 기법이다.
선택 바(혹은 커서)의 가속화 움직임은 해당 선택 바에 가해진 사용자의 힘과 스피드에 비례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선택 바를 플리킹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터치의 거리, 압력, 속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선택 바의 이동 속도가 결정된다.
보통의 경우, 사용자는 가벼운 터치나 드래그에 의해 선택 바를 원하는 위치 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컨텐츠 리스트(혹은 표시목록)의 항목 개수가 수십 혹은 수백에 이르고 선택 바(Bar)를 빠르게 컨텐츠 리스트의 마지막 항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적당한 힘과 스피드로 선택 바를 플리킹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적당한 힘과 스피드로 선택 바를 플리킹했다고는 하지만, 플리킹된 선택 바는 리스트의 마지막 항목까지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고, 지나친 힘과 스피드에 인해 화면 하단을 뚫고 나갈 정도의 가속화 움직임을 보이며 리스트의 마지막 항목에 도달할 수도 있다. 도4는 상기 선택 바가 소정 속도 이상의 가속화 움직임을 보이며 리스트의 마지막 항목에 도달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리킹된 선택 바가 컨텐츠 리스트의 마지막 항목에 도달했을 때, 본 발명은 화면 아래쪽의 상기 마지막 항목과 맞닫는 경계면이 선택 바와의 충돌에 의해 출렁거리는 형상을 모션 그래픽으로 구현하였다. 상기 모션 그래픽을 통해, 사용자는 더 표시할 목록이 없음을 알게 된다.
상기 출렁거림은, 상기 선택 바가 소정 속도 이상의 가속화 움직임으로 상기 경계면과 충돌하고 그 충돌에 의한 충격 파장이 나타난 것 같은 느낌의 모션 그래픽으로 표현될 것이다. 상기 충돌에 의한 충격 파장은 상기 경계면의 중앙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좌우 끝으로 갈수록 그 파장의 정도가 약해지는 형상으로 처리될 것이다.
상기 선택 바와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충격 파장(혹은 출렁거림)의 크기는 상기 선택 바의 이동속도에 비례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 바의 이동속도는 터치스크린에 감지된 사용자 터치의 거리, 압력, 속도 등에 의해 결정된다.
도4의 실시예는 화면의 하단면에서 발생하는 모션 그래픽을 나타낸 것이지만, 본 발명은 화면의 상단면에서도 도4의 실시예와 같은 모션 그래픽을 디스플레이 한다. 즉, 선택 바(Bar)가 컨텐츠 리스트(혹은 표시목록)의 첫번째 항목 즉, 상측단에 도달했을 때 화면 윗쪽의 상기 첫번째 항목과 맞닫는 경계면이 선택 바와의 충돌에 의해 출렁거리는 형상의 모션 그래픽을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동일한 원리로서, 상기 선택 바가 좌측단이나 우측단에 도달했을 때에도 상기 도4의 모션 그래픽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션 그래픽을 나타낸 것이다.
도5의 실시예는, 도4의 실시예에서 처럼, 플리킹된 선택 바가 컨텐츠 리스트의 마지막 항목에 도달했을 때, 화면 아래쪽의 상기 선택 바와 맞닫는 소정의 경계영역이 상기 선택 바와의 충돌에 의해 밀리는 형상을 모션 그래픽으로 구현한 것이다.
상기 소정의 경계영역은 상기 선택 바와의 충돌이 있었을 때, 충격 완화장치(범퍼)와 같이 일시적으로 아래로 밀렸다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는 움직임을 보인다. 상기 선택 바와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경계영역의 밀리는 정도는 상기 선택 바의 이동속도에 비례한다.
이러한 도5의 모션 그래픽은 선택 바(Bar)가 컨텐츠 리스트(혹은 표시 목록)의 첫번째 항목 즉, 상측단에 도달했을 때에도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동일한 원리로서, 상기 선택 바가 좌측단이나 우측단에 도달했을 때에도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된다.
도5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소정의 경계영역이 상기 선택 바와의 충돌이 있었을 때, 탄성을 갖는 충격 완화부재(예: 고무재질 등)와 같이 일시적으로 수축했다가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 가는 모션 그래픽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충돌 직후의 선택 바는 상기 소정의 경계영역 위에서, 공이 바닥에 바운딩되는 것과 같은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플리킹된 선택 바가 소정 속도 이상의 가속화 움직임을 보일 때, 상기 모션 그래픽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도4와 도5의 모션 그래픽은 플리킹된 선택 바가 소정 속도 이상의 가속화 움직임으로 컨텐츠 리스트의 마지막 항목에 도달했을 때, 디스플레이 될 것이다.
이상, 도4와 도5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통한 입력(예: 드래그(Drag), 스크롤링(Scrolling), 플리킹(Flicking) 등)으로, 선택 바(혹은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모션 그래픽 효과는 터치 스크린을 통한 입력뿐 아니라, 상기 조작부(130-1, 130-2, 130-3)를 통한 입력으로 선택 바(혹은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였을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예시도로서,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상단과 하단에 별도의 방향성 기호를 표시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 리스트의 전체항목의 개수가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수를 넘어서는 경우,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상단과 하단에, 컨텐츠 리스트의 잔여 항목이 있음을 의미하는 방향성 기호(예: 화살표(↑, ↓), 삼 각형 모양(△, ▽)의 기호 등)를 표시한다.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상단에 방향성 기호(예: 화살표(↑), 삼각형 모양(△)의 기호 등)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화면 상에 나타난 컨텐츠 리스트보다 앞선 순번의 항목들이 화면 위쪽에 더 있음을 나타낸다. 만일,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하단에 방향성 기호(예: 화살표(↓), 삼각형 모양(▽)의 기호 등)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화면 상에 나타난 컨텐츠 리스트보다 늦은 순번의 항목들이 화면 아래쪽에 더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선택 바의 이동방향에 따라, 화면의 상단 혹은 하단에 표시되는 상기 방향성 기호에 변화를 준다. 예를 들어,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 바가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방향성 기호에 변화(예: 색상변화, 하일라이트 효과, 깜박임 효과, 개미행진 효과, 네온싸인 효과 등)를 준다. 마찬가지로, 상기 선택 바가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는 경우,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방향성 기호에 변화를 준다.
이러한 방향성 기호의 변화는 사용자가 보다 편안함을 가지고 단말을 조작할 수 있게 하며, 단말 조작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만일, 컨텐츠 리스트의 마지막 항목(혹은 첫번째 항목)이 화면에 나타나는 경우 화면의 하단(혹은 상단)에 표시되는 방향성 기호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모양 즉, 비방향성의 기호(예: 사각형(■ or □), 마름모형(◆ or ◇), 원형(● or ○) 등)로 바뀌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화면에 상기 선택 바(Bar)가 컨텐츠 리스트의 첫번째 항목이나 마지막 항목에 도달했음을 알게 된다.
만일, 컨텐츠 리스트의 전체항목의 개수가 몇 개 안되어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수인 경우, 본 발명은 상기 방향성 기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상기 방향성 기호 대신 방향성을 갖지 않는 기호(예: 사각형(■ or □), 마름모형(◆ or ◇), 원형(● or ○) 등)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6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컨텐츠 리스트의 전체항목의 개수가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수를 넘어서는 경우,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일측에, 컨텐츠 리스트의 잔여 항목이 있음을 의미하는 반투명의 방향성 기호(예: 화살표(↑, ↓), 삼각형 모양(△, ▽)의 기호 등)를 표시한다.
그리고 도6의 실시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롤 바의 이동방향(위에서 아래로의 이동 혹은 아래에서 위로의 이동)에 따라,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는 상기 방향성 기호에 변화(예: 색상변화, 하일라이트, 깜박임, 개미행진, 네온싸인 등)를 준다.
또한, 선택 바(Bar)가 컨텐츠 리스트의 첫번째 항목이나 마지막 항목에 도달한 경우 화면의 상단이나 하단에 표시되는 방향성 기호는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의 다른 모양(예: 사각형(■ or □), 마름모형(◆ or ◇), 원형(● or ○) 등)의 기호로 바뀌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상기 선택 바(Bar)가 컨텐츠 리스트의 첫번째 항목이나 마지막 항목에 도달했음을 알게 된다.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화면에 상기 방향성 기호와 스 크롤 바(Scroll Bar)를 모두 나타낼 수 있지만, 방향성 기호만으로 선택 바의 이동상황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하기 [표]는 플리킹에 따른 페이지의 이동방향과 스크롤 바의 이동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표]
플리킹 방향 페이지 이동방향 스크롤 바 이동방향 선택 바( or 커서)의 위치
화면의 최상단
화면의 최하단
본 발명은 도1에 도시된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의 휴대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UI)환경에 모션 그래픽을 부가함으로써, 단말기 조작의 실제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그래픽의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션 그래픽의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AV입력부
130 : 조작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저장부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90 : 전원공급부

Claims (23)

  1.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와;
    상기 입력에 따라 선택 바를 목록의 마지막 항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선택 바와 맞닫는 화면의 벽면에 소정의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래픽 효과는 상기 선택 바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화면의 벽면이 출렁거리는 형상의 모션 그래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항목은
    목록의 상측 마지막 항목, 하측 마지막 항목, 좌측 마지막 항목, 우측 마지막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록의 이동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의 모션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목록 화면의 상단과 하단 일측에, 목록의 잔여 항목이 있음을 의미하는 방향성 기호를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록의 이동방향에 따라, 해당 방향의 방향성 기호에 색상변화, 하이라이트 효과, 깜박임 효과, 개미행진 효과, 네온싸인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록의 첫번째 항목의 소정 영역이 화면에 나타나 있는 경우, 화면 상단의 방향성 기호를 비방향성 기호로 바꾸고,
    상기 목록의 마지막 항목의 소정 영역이 화면에 나타나 있는 경우, 화면 하단의 방향성 기호를 비방향성 기호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7. 터치 입력이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입력에 따라 선택 바를 목록의 마지막 항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선택 바와 맞닫는 화면의 벽면에 소정의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래픽 효과는 상기 선택 바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화면의 벽면이 출렁거리는 형상의 모션 그래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끝은
    목록의 상측 마지막 항목, 하측 마지막 항목, 좌측 마지막 항목, 우측 마지막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플리킹(Flicking), 드래그(Drag), 스크롤링(Scrollin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록의 이동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의 모션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목록 화면의 상단과 하단 일측에, 목록의 잔여 항목이 있음을 의미하는 방향성 기호를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록의 이동방향에 따라, 해당 방향의 방향성 기호에 색상변화, 하이라이트 효과, 깜박임 효과, 개미행진 효과, 네온싸인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록의 첫번째 항목의 소정 영역이 화면에 나타나 있는 경우, 화면 상단의 방향성 기호를 비방향성 기호로 바꾸고,
    상기 목록의 마지막 항목의 소정 영역이 화면에 나타나 있는 경우, 화면 하단의 방향성 기호를 비방향성 기호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4. 삭제
  15. 터치 입력이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입력에 따라 선택 바를 목록의 마지막 항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선택 바와 맞닫는 화면의 벽면에 소정의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래픽 효과는 상기 선택 바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화면의 벽면이 밀리는 형상을 나타낸 모션 그래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6. 입력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에 따라 선택 바를 목록의 마지막 항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택바가 목록의 마지막 항목으로 이동되면, 상기 선택 바와 맞닫는 화면의 벽면에 소정의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그래픽 효과는 상기 선택 바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화면의 벽면이 출렁거리는 형상의 모션 그래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터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플리킹(Flicking), 드래그(Drag), 스크롤링(Scrollin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효과는
    터치속도, 터치면적, 터치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입력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에 따라 선택 바를 목록의 마지막 항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택바가 목록의 마지막 항목으로 이동되면, 상기 선택 바와 맞닫는 화면의 벽면에 소정의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그래픽 효과는 상기 선택 바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화면의 벽면이 밀리는 형상을 나타낸 모션 그래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23.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와;
    상기 입력에 따라 선택 바를 목록의 마지막 항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선택 바와 맞닫는 화면의 벽면에 소정의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래픽 효과는 상기 선택 바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화면의 벽면이 밀리는 형상을 나타낸 모션 그래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70089670A 2007-09-04 2007-09-04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KR100873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670A KR100873679B1 (ko) 2007-09-04 2007-09-04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US12/230,623 US9569088B2 (en) 2007-09-04 2008-09-02 Sc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EP08163512.0A EP2034399B1 (en) 2007-09-04 2008-09-02 Sc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CN2008102127567A CN101384047B (zh) 2007-09-04 2008-09-04 移动终端的滚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670A KR100873679B1 (ko) 2007-09-04 2007-09-04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679B1 true KR100873679B1 (ko) 2008-12-12

Family

ID=4037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670A KR100873679B1 (ko) 2007-09-04 2007-09-04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3679B1 (ko)
CN (1) CN10138404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752A (ko) * 2010-10-08 2012-04-18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N106415722A (zh) * 2014-06-24 2017-02-15 苹果公司 音乐正在播放用户界面
US9699334B2 (en) 2012-09-14 2017-07-04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n imag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image signal by photo-electrically converting an optical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42571B2 (en) 2013-02-22 2017-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xt awareness-based screen scroll metho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463B1 (ko) * 2009-05-19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46922B1 (ko) 2009-05-19 2016-08-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신 관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791540B1 (ko) * 2009-06-08 201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101588242B1 (ko) * 2009-07-13 2016-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스크롤 방법 및 장치
US8812985B2 (en) * 2009-10-30 2014-08-1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scrolling operations in a display device
KR101680113B1 (ko) * 2010-04-22 2016-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JP5679169B2 (ja) * 2010-10-20 2015-03-0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メニュー表示装置、メニュー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486713B (zh) * 2010-12-02 2014-12-31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方法和电子设备
CN102855076B (zh) * 2011-07-01 2016-06-15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触摸屏的控制方法及装置、移动终端设备
JP5935267B2 (ja) * 2011-09-01 2016-06-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631765A1 (en) 2012-02-24 2013-08-28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872865B1 (ko) * 2012-03-05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20130234843A1 (en) * 2012-03-07 2013-09-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crolling control system having tactile feedback
KR102174916B1 (ko) 2012-11-30 2020-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종료 효과를 표시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869950B (zh) * 2012-12-14 2017-11-28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N103294348A (zh) * 2013-06-27 2013-09-1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列表式菜单显示控制方法、装置及电视
JP6170168B2 (ja) * 2013-10-04 2017-07-2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電子機器
JP2015138416A (ja) * 2014-01-22 2015-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93627B2 (ja) * 2014-09-19 2018-03-14 アンリツ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9658693B2 (en) 2014-12-19 2017-05-23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ally-enabled interactions with objects
US9600076B2 (en) * 2014-12-19 2017-03-21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manipulation with haptic feedback
CN107430455A (zh) * 2015-04-09 2017-12-01 富士通株式会社 驱动控制装置、电子设备、驱动控制程序以及驱动控制方法
CN106855778A (zh) * 2015-12-09 2017-06-1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界面操作的处理方法、装置和智能终端
CN105630339A (zh) * 2015-12-24 2016-06-0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页面控制方法及装置
CN105786358A (zh) * 2016-02-26 2016-07-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显示界面拖动方法和装置
TWI724096B (zh) * 2017-01-23 2021-04-11 香港商斑馬智行網絡(香港)有限公司 介面操作的處理方法、裝置和智慧終端
CN109213403A (zh) * 2018-08-02 2019-01-15 众安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功能菜单操控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8329A (ko) 1998-12-22 2000-07-25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개선된 이동 무선 전화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020027892A (ko) 2000-10-06 2002-04-15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현 방법
KR20050077606A (ko) * 2004-01-28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메뉴 마지막 항목 표시방법
KR100685268B1 (ko) * 2005-12-26 2007-02-22 주식회사 팬택 터치스크린 인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자통신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76C (zh) * 2000-09-26 2004-05-12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缩放显示功能的掌上型装置
FR2874714A1 (fr) * 2004-09-02 2006-03-03 France Telecom Dispositif de selection tact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8329A (ko) 1998-12-22 2000-07-25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개선된 이동 무선 전화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020027892A (ko) 2000-10-06 2002-04-15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현 방법
KR20050077606A (ko) * 2004-01-28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메뉴 마지막 항목 표시방법
KR100685268B1 (ko) * 2005-12-26 2007-02-22 주식회사 팬택 터치스크린 인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자통신 기기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239A (ko) * 2010-10-08 2019-07-16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10514840B2 (en) 2010-10-08 2019-12-2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displaying an image during overdrag
KR101895612B1 (ko) 2010-10-08 2018-09-05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10889A (ko) * 2010-10-08 2019-01-31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26534B1 (ko) 2010-10-08 2022-07-29 소니그룹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10084388A (ko) * 2010-10-08 2021-07-07 소니그룹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9904454B2 (en) 2010-10-08 2018-02-27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965163B2 (en) 2010-10-08 2018-05-0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010038B2 (en) 2010-10-08 2021-05-1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displaying an image during overdrag
US11487419B2 (en) 2010-10-08 2022-11-0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999751B1 (ko) 2010-10-08 2019-07-15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949096B1 (ko) 2010-10-08 2019-02-15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20036752A (ko) * 2010-10-08 2012-04-18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10447872B2 (en) 2012-09-14 2019-10-1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touch detection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99334B2 (en) 2012-09-14 2017-07-04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n imag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image signal by photo-electrically converting an optical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87979B1 (ko) 2012-09-14 2017-10-1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1104B1 (ko) * 2012-09-14 2017-08-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842571B2 (en) 2013-02-22 2017-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xt awareness-based screen scroll metho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therefor
CN106415722A (zh) * 2014-06-24 2017-02-15 苹果公司 音乐正在播放用户界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84047B (zh) 2013-05-29
CN101384047A (zh)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679B1 (ko)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KR1015703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38647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09305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또는 방송채널 리스트 전환 방법
KR102029242B1 (ko)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2009003466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표시 방법
KR20110055265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도 검색 방법
KR2011001633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4297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45330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68666A (ko) 사이드 터치 입력 수단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20100077982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5759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포인터 제어방법
TW201335799A (zh) 行動終端機及該行動終端機的控制方法
KR20090034215A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10046178A (ko) 이동 단말기
KR101432587B1 (ko) 휴대단말기 및 메뉴검색 피드백 방법
KR201000995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875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브 메뉴 구현방법
KR20110064277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선택 방법
KR20100059585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636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KR2010002961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041331A (ko) 광센서가 내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응용방법
KR10141576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위치 이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