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513B1 -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513B1
KR101676513B1 KR1020117026460A KR20117026460A KR101676513B1 KR 101676513 B1 KR101676513 B1 KR 101676513B1 KR 1020117026460 A KR1020117026460 A KR 1020117026460A KR 20117026460 A KR20117026460 A KR 20117026460A KR 101676513 B1 KR101676513 B1 KR 101676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astening means
container
handle portion
releas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460A (ko
Inventor
마르코 무나리
Original Assignee
라 터모플라스틱 에프.비.엠.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 터모플라스틱 에프.비.엠.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라 터모플라스틱 에프.비.엠.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2002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14), 특히 후라이팬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10)을 기술하는데, 이 시스템은 기저 부분(12) 및 상호 부착 및 분리 수단(18, 20, 22, 28, 30, 32)이 각각 제공된 손잡이 부분을 포함한다. 기저 부분(12)과 손잡이 부분(26)은 내열 플라스틱 물질로부터 단일의 부분으로 각각 형성된다. 손잡이 부분(26)은 전술된 부착 수단(18, 20, 22; 28, 30, 32)의 적어도 일부분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전술된 손잡이 부분(26) 상에 제공된 분리 버튼을 작동시킨 후 용기(14), 기저 부분(12)에 대해 손잡이 부분(26)의 부착 및/또는 분리를 구현하기 위해 기저 부분(12)에 대해 회전 및 제거가능하다.

Description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SYSTEM FOR ATTACHING AND RELEASING THE HANDLE OF A CONTAINER FOR COOKING FOOD}
본 발명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 특히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후라이팬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후라이팬, 소스팬 및 스튜팬과 같이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도의 대부분의 통상적인 용기는 심지어 용기가 차있고 뜨거울 경우에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제공된다. 특히, 통상적으로 후라이팬은 나사 또는 리벳을 통해 고정되고 후라이팬의 측면 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캔틸레버식으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성 물질로 제조된 단일의 신장된 손잡이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세척을 준비하거나 또는 오븐 내에서, 냉장고 내에 놓여질 필요가 있는 경우, 후라이팬 또는 그 외의 다른 유사한 용기가 차지하는 전체 공간을 줄이기 위해, 용기의 측면 벽을 분리하고 이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다소 복잡한 수단이 제공된 다수의 유형의 비탈착식 손잡이가 제공되어 졌다. 분리형 손잡이가 존재함에 따라 예를 들어, 운반 및 보관 단계에서 그리고 가정에서 사용 중에 용기를 더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기에 대해 동일한 손잡이를 사용하거나 또는 이와 역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의도된 용도에 따라 동일한 용기의 손잡이를 바꿀 수 있는 추가 이점이 제공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조리용 용기의 다양한 유형의 탈착형 손잡이를 도시하는 다수의 공개된 특허 문헌이 있다.
그러나, 다수의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르는 이러한 탈착형 손잡이는 제조 및 사용에 있어서 다소 복잡한 것으로 밝혀졌다. 게다가, 이러한 핸들은 시장에 통상 존재하지 않는 유형의 특정 부착 수단이 제공된 특수하게 제조된 조리 용기의 커플링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극히 단순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특히 기능적인 방식으로 종래 기술의 전술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 특히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프라이팬의 손잡이를 부착하고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개수의 부품을 가지며 사용자가 단순하고 안전하며 직관적인 사용을 허용하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장에 이미 존재하는 유형의 소스팬, 후라이팬 및 그 외의 다른 유사한 용기에 적용될 수 있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제조하는데 있어서 비용 효율적이며 사용하기에 특히 단순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기술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는 시스템을 제조함으로써 구현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본 명세서의 일체 부분인 종속항에 의해 기술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언급되고 비제한적인 의도이며 예로서 제공된 하기 기술 내용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제거하는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모든 부품을 도시하는 분해도.
도 2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통상적인 용기에 장착된 형상으로 도 1의 부착 및 제거를 상부로부터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 수득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부착 및 분리 시스템을 하부로부터 본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부착 및 분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상이한 작동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A의 선 B-B를 따라 수득된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동일한 작동 단계의 단면도.
도 8은 도 7B에서 C로 도시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는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모든 부품들을 도시하는 분해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음식 조리용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하고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도면부호(10)로 도시된다.
우선, 시스템(10)은 만능의 유형, 즉 체결 수단(16)을 통해 후라이팬(frying pan)과 같이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용기(14)의 벽에 고정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기저 부분(12)을 포함한다. 기저 부분(12)은 바람직하게는 내열 플라스틱 물질로부터 단일의 부분으로 제조되며, 최대 240˚C의 온도를 견디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임의의 종류의 오븐 또는 식기세척기 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기저 부분(12)은 내부가 중공 구조이며, 이에 따라 홀의 형태로 형성되고, 직선형으로 관통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며, 기저 부분(12) 자체의 내측 공동(22)(도 3)과 연통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제 1 상측 부착 수단(18) 및 하나 이상의 제 2 하측 부착 수단(20)(도 4)을 포함한다.
체결 수단(16)은 종래 기술에 실질적으로 공지된 유형이며, 예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저 부분(12)의 내측 공동(22) 내에 수용되고 이로부터 돌출되어 공지된 방식으로 용기(14)와 계합되는 단일의 나사 또는 리벳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사(16) 또는 그 외의 다른 유사한 체결 수단은 전체로서 시스템(10)과 용기(14) 간의 단지 연결 요소이고, 이러한 시스템(10)은 특정 부착 부분이 제공됨이 없이 시장에 존재하는 임의의 유형의 공지된 용기와 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저 부분(12)은 기저 부분(12)이 부착되는 용기(14)의 통상적으로 볼록한 외측 벽과 기저 부분(12) 자체 사이에 형태 커플링(shape coupling)을 형성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성의 링 너트(24)가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또한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특히 큰 직경을 갖는 후라이팬으로 구성되고 손잡이(26)가 단지 파지만을 위한 수단일 때 용기(14)가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는 아치형 및 신장된 형태를 갖는 손잡이 부분(26)을 포함한다. 손잡이(26)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저 부분(12)이 형성되는 물질과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은 내열 플라스틱 물질이며, 도 3의 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 부분(12)의 내측 공동(22)과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 단부 돌출부(28)를 포함한다. 단부 돌출부(28)는 손잡이(26)와 단일 부분으로 형성되고, 차례로 기저 부분(12)의 제 1 상측 부착 수단(18)(홀의 형태)과 계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식 체결 수단(30)(날 형태)(단일 부분으로 형성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손잡이(26)의 내측에는 기저 부분(12)의 제 2 하측 부착 수단(20)과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이동식 체결 수단(32)이 있다. 단부 돌출부(28)에서 손잡이(26) 내에 형성된 적합한 채널(34)(도 8) 내에서 병진운동에 의해 이동하는 텅(tongue)의 형태로 구성된 이동식 체결 수단(32)은 이의 움직임이 분리 버튼(release button, 36)에 의해 제어된다. 분리 버튼(36)은 예를 들어, 손잡이(26) 자체 내에 형성된 적합한 시트(40) 내에 수용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측면 핀(38)으로 구성되는, 손잡이(26)에 대한 회전 수단이 제공된다.
분리 버튼(36)은 또한 예를 들어, 압축에 의해 작동되는 비틀림 스프링과 같이 탄성 요소(42)를 통하여 손잡이(26)에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예시된 실시예를 기초로, 비틀림 스프링(42)은 이의 단부가 간섭(interference)에 의해 손잡이(26) 내에 형성된 블라이드 홀(blind hole, 44) 내에 삽입된다.
세부적으로, 분리 버튼(36)은 용기(14)의 위치에 대해 각각의 회전 수단(38, 40)의 다운스트림에 배열된 제 1 전방 부분(46)과 용기(14)의 위치에 대해 재차 각각의 회전 수단(38, 40)의 업스트림에 배열된 제 2 후방 부분(48)을 갖는다. 분리 버튼(36)의 전방 부분(46)은 비틀림 스프링(42)을 통해 손잡이(26)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면 후방 부분(48)은 텅(3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시스템(10)의 제 1 실시예를 기초로, 분리 버튼(36)과 텅(32)은 2개의 개별적인 부품이며, 텅(32)은 금속 물질로 제조되고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된 분리 버튼(36)의 후방 부분(48)에 힌지연결된다(도 8).
한편, 도 9에 도시된 시스템(10)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분리 버튼(36)과 텅(32)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물질로부터 단일 부분으로 제조되며, 왕복 회전 운동을 허용하는 가요성 접촉 벽(50)이 제공된다.
부착 및 분리 시스템(10)이 사용 중의 형상이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손잡이(26)가 기저 부분(12), 이에 따라 용기(14)에 연결될 때(도 5A 및 도 7A), 분리 버튼(36)은 탄성 요소(42)에 의해 텅(32)이 기저 부분(12)의 제 2 하측 부착 수단(20)과 계합되는 작동 위치에 유지되는 반면, 체결 날(30)은 자체적으로 기저 부분(12)의 제 1 상측 부착 수단(18) 내에 차례로 계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시스템(10)이 사용 형상에서 기저 부분(12)과 손잡이(26) 사이에 결합을 더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26)의 단부 돌출부(28) 상에는 손잡이(26) 자체의 단부 돌출부(28)와 단일의 부분으로 형성되도록,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 부분(12)의 내측 공동(22) 내에 형성된 대응 리세스(54) 내에서 형태 커플링에 의해 계합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돌출부(52)가 제공될 수 있다.
탄성 요소(42)는 전방 부분(46)에 특정 압력을 가하여 분리 버튼(36)을 구동시킴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돌출부(56)의 후방 부분(48)과 전방 부분(46) 사이에 분리 버튼(36)이 존재함에 따라 안전의 측면에서 명확한 이점이 제공되며, 팬을 향하는 상기 후방 부분(48) 대신에 손잡이(26)의 그립에 가장 인접한 상기 전방 부분(46)을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데에 대한 필요성을 나타내는데 유용할 수 있다.
자체의 회전 수단(38, 40) 주위에서 회전하는 분리 버튼(36)을 작동시킴에 따라 텅(32)은 이동되어 이에 따라 기저 부분(12)의 제 2 하측 부착 수단(홀)(20)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이 지점에서 도 5B 및 도 7B의 화살표(A)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기저 부분(12)에 대해 손잡이(26)가 회전하기 시작할 수 있다.
텅(32)이 기저 부분(12)의 홀(20)로부터 분리되면, 분리 버튼(36)을 분리시킬 수 있지만 기저 부분(12)의 제 1 상측 부착 수단(홀)(18)으로부터 날(30)을 분리시키기 위해 기저 부분(12)에 대해서 손잡이(26)의 상대적인 회전은 지속된다. 따라서, 각각의 기저 부분(12)으로부터 손잡이(26)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역으로 수행되는, 전술된 동일한 작동에 따라서 손잡이(26)는 재차 용이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각각의 기저 부분(12)에 재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26)를 기저 부분(12)에 부착 작동 시, 분리 버튼(36)을 작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는 기저 부분(12) 자체의 홀(20)과 텅(32) 사이의 커플링이 비틀림 스프링(42)의 탄성 특성 덕택으로 캐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모두는 시스템(10)의 사용 속도 및 실용성에 득이 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상기 강조된 목적들을 구현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임의의 경우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는 동일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고, 모든 세부사항은 기술적으로 균등한 요소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해진다.

Claims (15)

  1.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14)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10)에 있어서,
    -체결 수단(16)을 통해 상기 용기(14)의 벽에 고정되게 부착된 기저 부분(12)을 포함하고, 상기 기저 부분(12)은 기저 부분(12)의 내측 공동(22)과 연통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제 2 하측 부착 수단(20) 및 하나 이상의 제 1 상측 부착 수단(18)을 포함하고,
    -기저 부분(12)의 내측 공동(22)과 형태 결합되도록 구성된 단부 돌출부(28)를 포함한 손잡이 부분(26)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 돌출부(28)는 기저 부분(12)의 상기 제 1 상측 부착 수단(18)과 계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식 체결 수단(30)을 포함하며,
    -기저 부분(12)의 상기 제 2 하측 부착 수단(20)과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며, 손잡이 부분(26) 내측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이동식 체결 수단(32)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체결 수단(32)을 작동시킬 수 있는 분리 버튼(36)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버튼(36)은 손잡이 부분(26)에 대한 회전 수단(38, 40)이 제공되며 또한 탄성 요소(42)를 통해 손잡이 부분(26)에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 부분(26)은 상기 분리 버튼(36)의 작동 이후 용기(14)에 대해 손잡이 부분(26)을 부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기저 부분(12)에 대해 전체적으로 회전 및 제거가능하고,
    상기 기저 부분(12)은 내열 플라스틱 물질로부터 단일 부분으로 제조되고, 상기 손잡이 부분(26), 단부 돌출부(28) 및 고정식 체결 수단(30)은 내열 플라스틱 물질로부터 단일 부분으로 제조되고,
    상기 이동식 체결 수단(32)은 상기 단부 돌출부(28)에서 손잡이 부분(26) 내에 형성되는 채널 내에서 병진운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식 체결 수단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버튼(36)은 용기(14)의 위치에 대해 각각의 회전 수단의 다운스트림에 배열된 제 1 전방 부분(46)과 용기(14)의 위치에 대해 재차 각각의 회전 수단(38, 40)의 업스트림에 배열된 제 2 후방 부분(48)을 가지며, 상기 전방 부분(46)은 상기 탄성 요소(42)를 통해 손잡이 부분(26)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후방 부분(48)은 상기 이동식 체결 수단(3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버튼(36)과 상기 이동식 체결 수단(32)은 2개의 개별적인 부품이고, 상기 이동식 체결 수단(32)은 분리 버튼(36)의 상기 후방 부분(48)에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체결 수단(32)은 금속 물질로 제조되며, 상기 분리 버튼(36)은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버튼(36)과 상기 이동식 체결 수단(32)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물질로부터 단일의 부분으로 제조되고, 이의 왕복회전 운동을 허용하는 가요성 접촉 벽(5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버튼(36)의 상기 회전 수단(38, 40)은 손잡이 부분(26) 내에 형성되는 시트(40) 내에 수용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측면 핀(3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42)는 압축에 의해 작동되는 비틀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며, 이의 단부가 간섭에 의해 손잡이 부분(26) 내에 형성된 블라이드 홀(44)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버튼(36)은 이의 전방 부분(46)과 이의 후방 부분(48) 사이에 돌출부(56)가 제공되며, 이 돌출부(56)는 상기 용기(14)에 대해 손잡이 부분(26)의 부착 또는 제거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전방 부분(46)을 작동시킬 필요성을 나타내는데 유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9. 제1항에 있어서, 기저 부분(12)의 상기 제 1 상측 부착 수단(18)은 관통 홀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10. 제1항에 있어서, 기저 부분(12)의 상기 제 2 하측 부착 수단(20)은 관통 홀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11.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 부분(26)의 단부 돌출부(28)의 상기 고정식 체결 수단(30)은 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분(28)과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 부분(26)의 상기 단부 돌출부(28) 상에는 기저 부분(12)의 상기 내측 공동(22)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리세스(54) 내의 형태 커플링에 의해 계합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돌출부(5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16)은 상기 용기(14)와 계합되도록 돌출되고 기저 부분(12)의 상기 내측 공동(22) 내에 수용되는 단일의 나사 또는 리벳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부분(12)은 상기 기저 부분(12)이 부착되는 용기(14)의 외측 측면 벽과 상기 기저 부분(12) 사이에 형태 커플링을 형성하는 링 너트(2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0).
  15. 삭제
KR1020117026460A 2009-04-27 2010-04-19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 KR101676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09A000713A IT1393952B1 (it) 2009-04-27 2009-04-27 Sistema di aggancio e sgancio per l'impugnatura di un recipiente di cottura per cibi
ITMI2009A000713 2009-04-27
PCT/IB2010/000905 WO2010125437A1 (en) 2009-04-27 2010-04-19 System for attaching and releasing the handle of a container for cooking fo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460A KR20120025460A (ko) 2012-03-15
KR101676513B1 true KR101676513B1 (ko) 2016-11-15

Family

ID=42060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460A KR101676513B1 (ko) 2009-04-27 2010-04-19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484805B2 (ko)
EP (1) EP2424415B1 (ko)
JP (1) JP5662419B2 (ko)
KR (1) KR101676513B1 (ko)
CN (1) CN102421345B (ko)
BR (1) BRPI1007752B1 (ko)
CO (1) CO6470835A2 (ko)
DK (1) DK2424415T3 (ko)
EG (1) EG26495A (ko)
ES (1) ES2418535T3 (ko)
HK (1) HK1166454A1 (ko)
IT (1) IT1393952B1 (ko)
MX (1) MX2011011509A (ko)
PL (1) PL2424415T3 (ko)
PT (1) PT2424415E (ko)
RU (1) RU2526098C2 (ko)
WO (1) WO2010125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0634B1 (fr) * 2011-01-20 2013-12-27 Cristel Dispositif amovible de prehension d'un ustensile de cuisson.
DE102011075204B4 (de) * 2011-05-04 2014-05-22 Baumgarten handle systems KG Beschlagteil zur Befestigung an einem Koch- oder Bratgefäß
CN202312954U (zh) * 2011-11-14 2012-07-11 林子轩 锅具把手
US10399218B2 (en) * 2011-12-19 2019-09-03 Carine Elen Motorized scrubbing, buffing, and polishing tool
US9408513B2 (en) * 2011-12-19 2016-08-09 Carine Elen Motorized scrubbing, buffing, and polishing tool
KR101368376B1 (ko) * 2012-04-09 2014-02-28 유기영 조리기구 조립체
KR101403653B1 (ko) * 2012-11-30 2014-06-05 문제구 탈,부착되는 보조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KR101596210B1 (ko) * 2015-01-09 2016-02-23 (주)네오플램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
KR101528452B1 (ko) * 2015-02-03 2015-06-11 김형선 탈착식 손잡이
CN106913251B (zh) * 2015-03-16 2020-04-03 浙江诺维雅工贸有限公司 一种可拆卸手柄
US9839317B1 (en) * 2016-06-13 2017-12-12 Robert M. Patterson Cooking implement
US9924830B1 (en) 2016-11-29 2018-03-27 Team International Group of America Inc. Countertop cooking appliance
CN108013806A (zh) * 2017-07-10 2018-05-11 美思工房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炊具手柄
USD925976S1 (en) 2019-09-10 2021-07-27 Fissler Gmbh Pan handle
EP3845101B1 (en) * 2019-12-30 2023-07-19 BSH Hausgeräte GmbH Container with handle for a kitchen appliance
IT202000002119A1 (it) * 2020-02-04 2021-08-04 La Termoplastic F B M S R L Manico amovibile, particolarmente per recipienti di cottura per cibi.
IT202100010910A1 (it) 2021-04-29 2022-10-29 Tognana Porcellane S P A Pentola per la cottura di alimenti e manico per pentola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5819A (en) * 1937-10-22 1940-06-25 Corning Glass Works Handle for cooking utensils
US2494159A (en) * 1946-11-16 1950-01-10 Bernstein Harry Detachable handle for pots and pans
FR1163172A (fr) * 1956-12-03 1958-09-23 Poêle-gril perfectionnée
FR2049388A5 (ko) * 1969-06-09 1971-03-26 Equipinox
DE3462430D1 (en) * 1983-02-28 1987-04-09 Verrerie & Cristallerie Device for securing a detachable handle to a cooking utensil
JPS59160038U (ja) * 1983-04-11 1984-10-26 パ−ル金属株式会社 鍋の把柄装着機構
US5887751A (en) * 1997-10-03 1999-03-30 Newell Operating Company Detachable cookware handle
ITTO980274A1 (it) * 1998-03-27 1999-09-27 Termoplastic Fbm Srl Dispositivo di impugnatura per un recipiente di cottura per cibi, in particolare per una padella
CN2336719Y (zh) * 1998-05-26 1999-09-08 许富木 分离式锅把
CN2349955Y (zh) * 1998-12-26 1999-11-24 聂青龙 高压锅活动手柄
US6257439B1 (en) * 1999-12-01 2001-07-10 Te Hui Hsu Handle for a food container
EP1236428B1 (en) * 2001-03-01 2004-10-06 Marcos Larranaga y Cia, S.A. Kettle with dismountable handle
DE202004002507U1 (de) * 2004-02-17 2004-05-13 Heinrich Baumgarten KG, Spezialfabrik für Beschlagteile Gefäß mit einem am Gefäß lösbar und abnehmbar befestigten Griffkörper
CN2868116Y (zh) * 2005-12-12 2007-02-14 厦门安联企业有限公司 一种多功能锅具
FR2898030B1 (fr) * 2006-03-06 2008-04-18 Seb Sa Dispositif de prehension pour ustensile culinaire
US8011530B2 (en) * 2006-03-10 2011-09-06 Seb S.A. Articulating handle for space-saving cookware and method for using same
EP1925244B1 (de) * 2006-11-23 2009-10-21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Kochgefäss
DE102008005567B4 (de) * 2008-01-22 2011-12-22 Heinrich Baumgarten KG Spezialfabrik für Beschlagteile Beschlagteil zur Befestigung an einem Koch- oder Bratgefä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393952B1 (it) 2012-05-17
MX2011011509A (es) 2012-01-30
ES2418535T3 (es) 2013-08-14
ITMI20090713A1 (it) 2010-10-28
PT2424415E (pt) 2013-07-10
EP2424415B1 (en) 2013-04-03
BRPI1007752B1 (pt) 2020-04-28
US20120073085A1 (en) 2012-03-29
RU2011143467A (ru) 2013-06-10
JP5662419B2 (ja) 2015-01-28
HK1166454A1 (en) 2012-11-02
DK2424415T3 (da) 2013-07-08
EP2424415A1 (en) 2012-03-07
BRPI1007752A2 (pt) 2018-02-06
RU2526098C2 (ru) 2014-08-20
KR20120025460A (ko) 2012-03-15
PL2424415T3 (pl) 2013-08-30
US8484805B2 (en) 2013-07-16
CO6470835A2 (es) 2012-06-29
CN102421345A (zh) 2012-04-18
EG26495A (en) 2013-12-22
WO2010125437A1 (en) 2010-11-04
CN102421345B (zh) 2014-11-26
JP2012525187A (ja)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513B1 (ko)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
KR101671826B1 (ko) 조리 용기용 착탈 가능한 그리핑 장치 및 이와 같은 장치를 수반하는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어셈블리
JP5576876B2 (ja) 調理器具用解放システム
JP6088068B2 (ja) 食品粉砕器具
JP2016221287A (ja) ロッキングを制御するための手動制御部材が設けられた圧力調理器
JP2011513025A (ja) 調理容器の着脱型取手
JP2016221288A (ja) 制御部材が設けられたバヨネット継手圧力調理器
JP2010017532A (ja) 調理容器用脱着式把手
CA3073324A1 (en) Removable cookware handle
US20110197452A1 (en) Kitchenware appliance and/or food preparation apparatus
JP6178922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両手取っ手
JP2001500044A (ja) 容器上に配置される駆動ユニットを有するキッチン器具
US20180116468A1 (en) Grilling tool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EP2623003B1 (en) Detachable handle
KR101105791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CN108720622B (zh) 烹饪器具旋转开盖组件以及具有它的盖体和烹饪器具
KR100988278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EP2937028A1 (en) Remov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KR20220084582A (ko) 착탈식 손잡이를 갖춘 용기
KR20150113659A (ko)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JP2018515256A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IL199868A (en) Meatball making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