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659A -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659A
KR20150113659A KR1020140037966A KR20140037966A KR20150113659A KR 20150113659 A KR20150113659 A KR 20150113659A KR 1020140037966 A KR1020140037966 A KR 1020140037966A KR 20140037966 A KR20140037966 A KR 20140037966A KR 20150113659 A KR20150113659 A KR 20150113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anel
container
main body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수
Original Assignee
(주)대경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경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대경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40037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3659A/ko
Publication of KR2015011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양단 사이에 천공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용기의 플랜지 상부와 맞닿는 지지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와 제1힌지를 사이에 두고 상/하 마주하게 결합되고, 제1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일단에 마련된 가압부가 상기 플랜지 하부를 가압하거나 이격되는 패널; 및 상기 천공부와 제2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을 통해 상기 패널의 타단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플랜지 하부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견인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플랜지 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레버;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와 지레의 원리를 통해 탈착 가능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용기와의 결합은 물론, 해제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기어 결합구조에 비해 단순하게 이루어져 생산수율 향상은 물론, 그로 인한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운두와 접하는 일면이 만곡하게 형성되어 다양한 직경의 용기에 범용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나아가, 구조의 단순화는 물론, 부피 축소가 가능하여 보관이 편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Handle of the cooking container that can be desorbed}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과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조리용기와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져, 용기와의 결합은 물론, 해제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용기에 대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와 일체 내지는 분리 가능한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손잡이는 일체형일 경우, 조리과정에서 전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어, 장갑 등을 사용하여 손잡이를 파지하는 번거로움과 용기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를 보관 시, 차지하는 면적이 확장되는 것은 물론, 중첩된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용기가 차지하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근래에는 손잡이를 분리 형태로 제공하여 고온의 냄비를 옮기거나 파지할 경우, 간단하게 결합하여 고온에 의한 화상 등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리에 대한 보관은 물론, 세척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러한 탈착형 손잡이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3-0097911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등을 통해 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는 회전축의 피니언 기어에 의해 래크부재가 전후진되고, 스위치 버튼의 폴 형상부가 래크 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일자형 래칫기어에 걸리게 됨으로써, 회전축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어, 조리용기의 운두 두께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조리 용기를 그립할 수 있고, 스위치 버튼을 누르면 폴 형상부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어 그립 부재와 레어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손잡이는 기조에 비해 구조를 단순화하였다고는 하나, 구성은 물론,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특히,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을 전환하는 작용으로 인해 손잡이 하우징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형상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부피로 인해 별도의 보관장소가 요구된다.
따라서 용기로부터 탈착 가능하면서, 구조가 간단함은 물론, 부피를 줄여 보관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손잡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며,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791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조리용기와 지레의 원리를 통해 탈착 가능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용기와의 결합은 물론, 해제가 용이한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구조로서, 종래의 기어 결합구조에 비해 단순하게 이루어져 생산수율 향상은 물론, 그로 인한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두와 접하는 일면이 만곡하게 형성되어 다양한 직경의 용기에 범용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구조의 단순화는 물론, 부피 축소가 가능하여 보관이 편리한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용기와 근접된 파지가 가능하여 용기의 안정적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기의 직경 내지는 무게에 따라 하나의 손잡이를 사용하거나, 한 쌍을 이용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용기를 파지할 수 있는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양단 사이에 천공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용기의 플랜지 상부와 맞닿는 지지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와 제1힌지를 사이에 두고 상/하 마주하게 결합되고, 제1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일단에 마련된 가압부가 상기 플랜지 하부를 가압하거나 이격되는 패널; 및 상기 천공부와 제2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을 통해 상기 패널의 타단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플랜지 하부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견인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플랜지 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레버;를 개시한다.
상기 제1힌지는, 상기 본체 밑면 양단 사이에 마련된 관체형상의 제1결합부; 상기 패널 상면 양단 사이에 마련된 관체형상의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내주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와 패널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교번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부와 본체 사이의 연결상태를 보강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용기의 내주 또는 외주에 대응하는 만곡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공부에는 상기 제2힌지가 결합되는 요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용기 외주에 대응하는 만곡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플랫(flat)한 형상이거나, 상기 본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외주를 지지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는, 앵글(angle) 형태로서, 굴곡진 영역에 상기 제2힌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요홈과 자웅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는, 상기 제2힌지를 중심으로 본체 상부로 노출되고 운지홈이 형성된 제1레버부; 및 상기 패널의 타단을 가압하거나, 상기 패널의 타단을 가압하거나, 상기 패널의 제2결합부와 타단 사이에 마련된 견인홈과 맞물려 상기 패널 타단을 견인하는 제2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와 지레의 원리를 통해 탈착 가능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용기와의 결합은 물론, 해제가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구조로서, 종래의 기어 결합구조에 비해 단순하게 이루어져 생산수율 향상은 물론, 그로 인한 제품의 경쟁력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두와 접하는 일면이 만곡하게 형성되어 다양한 직경의 용기에 범용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구조의 단순화는 물론, 부피 축소가 가능하여 보관이 편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용기와 근접된 파지가 가능하여 용기의 안정적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기의 직경 내지는 무게에 따라 하나의 손잡이를 사용하거나, 한 쌍을 이용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용기를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사용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손잡이의 평면도, 도 3은 손잡이의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사용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0)는 지레의 원리를 통해 탈착 가능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용기(150)와의 결합은 물론, 해제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기어 결합구조에 비해 단순한 구조가 단순하고, 부피가 상대적으로 적어 보관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100)는 도 4와 같이 플랜지(151)의 상부와 맞다는 본체(110), 제1힌지(13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을 통해 플랜지(151) 하부를 가압하거나, 이격되는 패널(120) 및 패널(120)의 타단을 가압하거나 해제하는 레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110)와 패널(120)은 제1힌지(130)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회동에 의해 본체(110)와 패널(120)의 각 양단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구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10)는 양단 사이에 천공부(113)가 형성되고, 일단에 용기의 플랜지(151) 상부와 맞닿는 지지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천공부(113)는 본체(110) 양단 사이에 마련되며 레버(140) 설치를 위한 영역으로, 레버(140) 설치를 위한 요홈(115)이 마련되고, 이때, 요홈(115)은 레버(140)의 제2힌지(147)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레버(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angle)의 형태로서, 굴곡진 영역에 제2힌지(147)가 돌출 형성되며 요홈(115)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힌지(130)는 본체(110) 밑면 양단 사이에 마련된 관체형상의 제1결합부(131)와 패널(120) 상면 양단 사이에 마련된 관체형상의 제2결합부(133) 및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3) 내주를 관통하여 본체(110)와 패널(120)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핀(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3)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교번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31)는 본체(110)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고, 제2결합부(133)는 패널(1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3)는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3)는 각 본체(110)와 패널(120)에 일체로 형성되며, 원형의 관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핀(135)은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3)의 내주와 대응하는 원형의 바(bar)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와 같이 본체(110)와 제1결합부(131)의 연결상태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137)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리브(137)는 본체(110)와 제1결합부(131)는 물론,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결합부(133)와 패널(120)의 사이에 더 존재할 수도 있다.
패널(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130)를 사이에 두고 상/하 마주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패널(120)은 일단에 제1힌지(13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플랜지(151)의 하부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가압부(121)가 마련되고, 타단은 플랫(flat)한 형상이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가압부(121)는 도 2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50)의 외주에 대응하는 만곡하게 형성하여 다양한 직경의 용기(150)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부(121)는 가압부(12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용기(150)의 측면을 더 지지하는 보강부(123)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보강부(123)는 가압부(121)와 동일한 곡률이거나, 적어도 용기(150) 외주에 대응하는 곡률 또는 곡률에 대응하여 지지할 수 있는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레버(140)는 천공부(113)를 통해 본체(11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을 통해 패널(120)의 타단을 가압하거나 견인하여 가압부(121)가 플랜지(151)의 하부에 밀착 내지는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레버(140)는 도 3과 같이 앵글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굴곡진 영역에 마련되어 요홈(115)과 자웅 결합되는 제2힌지(147), 제2힌지(147)를 중심으로 본체(110) 상부로 노출되고 운지홈(143)에 형성된 제1레버부(141) 및 패널(120)의 타단을 가압하거나, 패널(120)의 제2결합부(133)와 타단 사이에 마련된 견인홈(139)과 맞물려 패널(120) 타단을 견인하는 제2레버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레버부(141)는 본체(120) 외부로 노출되어, 단부 밑면에는 레버(140)의 회동이 용이하도록 운지홈(143)이 형성된다.
운지홈(143)은 레버(140)의 회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의 상태에서 도 3b의 형태로 전환시킬 때, 즉, 지지부(111)와 가압부(121)가 맞닿은 상태로부터 이를 해제할 때, 레버(140)의 회동의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레버부(145)는 도 3a와 같이 패널(120)의 타단의 가압상태를 유지시켜, 지지부(111)와 가압부(121)의 맞닿은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또는 도 3b와 같이 가압부(121)와 지지부(111)가 이격되도록 패널(120)의 타단을 견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패널(120) 타단의 견인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버부(145)와 견인홈(139)의 맞물림을 통해 이루어진다.
견인홈(139)은 패널(120)의 제2결합홈(133)과 타단 사이에 마련되며, 패널(120)과는 일체형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손잡이(100)는 지레의 단순한 원리와 구조를 이용하여, 종래에 비해 구조를 단순하여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 축소가 가능하여 보관의 편의는 물론, 가압부(121)가 만곡하게 형성되어 다양한 직경의 용기에 범용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피의 최소화를 통해 종래에 비해 용기(150)와 근접된 파지가 가능하여 용기의 안정적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50)의 직경 내지는 무게에 따라 도 4a와 같이 하나의 손잡이를 사용하거나, 도 4b와 같이 한 쌍을 이용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용기(150)를 파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손잡이 110 : 본체
111 : 지지부 113 : 천공부
115 : 요홈 120 : 패널
121 : 가압부 123 : 보강부
130 : 제1힌지 131 : 제1결합부
133 : 제2결합부 135 : 핀
137 : 리브 139 : 견인홈
140 : 레버 141 : 제1레버부
143 : 운지홈 145 : 제2레버부
147 : 제2힌지 150 : 용기
151 : 플랜지

Claims (8)

  1.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양단 사이에 천공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용기의 플랜지 상부와 맞닿는 지지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와 제1힌지를 사이에 두고 상/하 마주하게 결합되고, 제1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일단에 마련된 가압부가 상기 플랜지 하부를 가압하거나 이격되는 패널;
    상기 천공부와 제2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을 통해 상기 패널의 타단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플랜지 하부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견인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플랜지 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는,
    상기 본체 밑면 양단 사이에 마련된 관체형상의 제1결합부;
    상기 패널 상면 양단 사이에 마련된 관체형상의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내주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와 패널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교번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본체 사이의 연결상태를 보강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용기의 내주 또는 외주에 대응하는 만곡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공부에는 상기 제2힌지가 결합되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용기 외주에 대응하는 만곡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플랫(flat)한 형상이거나, 상기 본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외주를 지지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앵글(angle) 형태로서, 굴곡진 영역에 상기 제2힌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요홈과 자웅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2힌지를 중심으로 본체 상부로 노출되고 운지홈이 형성된 제1레버부; 및
    상기 패널의 타단을 가압하거나, 상기 패널의 제2결합부와 타단 사이에 마련된 견인홈과 맞물려 상기 패널 타단을 견인하는 제2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20140037966A 2014-03-31 2014-03-31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150113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66A KR20150113659A (ko) 2014-03-31 2014-03-31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66A KR20150113659A (ko) 2014-03-31 2014-03-31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659A true KR20150113659A (ko) 2015-10-08

Family

ID=5434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966A KR20150113659A (ko) 2014-03-31 2014-03-31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36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826B1 (ko) 조리 용기용 착탈 가능한 그리핑 장치 및 이와 같은 장치를 수반하는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어셈블리
KR101676513B1 (ko)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
JP2011513025A (ja) 調理容器の着脱型取手
JP2008522649A (ja) 圧力調理器具用蓋
JPH11178722A (ja) 取り外し可能の容器保持具
KR101215223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90098645A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KR101528452B1 (ko) 탈착식 손잡이
JP5727681B2 (ja) 調理器具における着脱可能な取手装置
KR101388894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40088337A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20150113659A (ko) 탈착형 조리용기용 손잡이
JP6609628B2 (ja) 人間工学に基づく制御ボタンを有する試料採取ピペット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JP2016538904A (ja) 吸着脚を備えた台所用装置
JP2010155057A (ja) 厨房器具用取っ手
JP3151289U (ja) スーツケースのキャリーバー・ハンドル構造
EP2623003B1 (en) Detachable handle
JP5232966B1 (ja) 食器とフォークやスプーンなどの食掬具を片手で同時に保持して操作する食事補助具
KR20060108597A (ko) 조리용기용 간이 손잡이
CN202088967U (zh) 一种撑货器
US20140275802A1 (en) Surgical retractor support system
KR20180101090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N201722120U (zh) 开罐器
KR101105791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