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083B1 - 그래플 버킷 장치 - Google Patents

그래플 버킷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083B1
KR101672083B1 KR1020137010984A KR20137010984A KR101672083B1 KR 101672083 B1 KR101672083 B1 KR 101672083B1 KR 1020137010984 A KR1020137010984 A KR 1020137010984A KR 20137010984 A KR20137010984 A KR 20137010984A KR 101672083 B1 KR101672083 B1 KR 101672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grapple
cutting
side wall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3463A (ko
Inventor
료조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마츠모토 시스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모토 시스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모토 시스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3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그래플 장치로 그래플한 피 그래플재를, 그래플한 상태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아암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아암의 연장 방향의 축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한 버킷의 한쪽 측벽부에, 상기 그래플 부재로 그래플한 피 그래플재를 절단하는 절단 장치를 설치하고, 이 절단 장치가, 버킷의 측벽의 외측, 혹은 내측의 일측에 위치하여 버킷의 개구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버킷의 측벽을 따르는 위치에 걸쳐 측벽을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버킷의 개구부의 기단부에 피봇 지지되고, 또한 버킷의 개구 테두리측에 대향하는 측의 측부 테두리에 절삭날을 갖고 있는 절단날과, 버킷의 배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단날의 회전 베이스부에 설치한 아암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그래플 버킷 장치 {GRAPPLE BUCKET APPARATUS}
본 발명은, 지면의 굴삭과, 목재 등의 피(被) 그래플재의 그래플(파지)과, 또한 그래플한 피 그래플재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그래플 버킷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건설 기계의 아암의 선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버킷과, 이 버킷의 개구 폭과 대략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그래플 부재를 버킷의 개구부의 기단부에, 버킷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그래플 장치로 이루어지는 그래플 버킷 장치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36355호 공보에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그래플 버킷 장치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통상의 파워 셔블용 차체, 2는 이것에 기복(起伏) 가능하게 설치한 붐, 3은 이 붐(2)의 선단부에 연결된 아암, 4, 5는 이들을 각각 기복 회전시키기 위한 붐용 및 아암용 실린더 장치이다. 그리고, 도면 중 부호 6은 아암(3)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그래플 버킷 장치이다.
이 그래플 버킷 장치(6)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3)의 선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브래킷(7)과, 이 브래킷(7)의 선단에, 아암(3)의 연장 방향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버킷(8)과, 이 버킷(8)의 개구부의 기단부에, 버킷(8)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그래플 장치(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브래킷(7)의 상부에는, 아암(3)을 따르게 하여 설치한 버킷용 실린더 장치(10)가 링크 기구(1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버킷(8)은, 도시하지 않은 링 기어 및 피니언을 통해 브래킷(7) 내에 설치한 유압 모터(12)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 버킷(8)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굴삭 갈고리(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굴삭 갈고리(8a)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버킷(8)도 있다.
그래플 장치(9)는, 버킷(8)의 개구부의 기단부에 설치된 브래킷(13)에 버킷(8)의 개구 폭 방향과 평행하게 피봇 지지된 회전축(14)과, 이 회전축(14)의 양단부에 베이스부가 고착되고, 또한 버킷(8)의 개구부에 대향하여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2개의 그래플 부재(15a, 15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양 그래플 부재(15a, 15b)의 선단부는, 보강을 겸하여 연결판(16)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장척재를 그래플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양 그래플 부재(15a, 15b)의 간격은 버킷(8)의 개구 폭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지만, 양 부재의 선단부의 간격은 버킷(8)의 내측 치수보다 좁게 되어 있어, 이들 선단부가 버킷(8)의 내벽면을 따라 버킷(8)의 내측에 작은 간극을 가지고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때의 연결판(16)은, 굴삭 갈고리(8a)[굴삭 갈고리(8a)가 없는 경우에는 버킷의 선단부 테두리]보다 안측에 위치하고, 또한 버킷(8)의 저벽면에 작은 간극을 갖고 따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 그래플 부재(15a, 15b)의 두께가 변하는 부분의 외측 단차부가 버킷(8)의 개구 테두리에 접촉하는 스토퍼(17)로 되어 있다. 연결판(16)에는 톱니 형상의 파지날(16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연결판(16)의 파지날(16a)은 직선 형상인 것도 있다.
상기 회전축(14)에는 브래킷(18)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브래킷(18)에, 일단부가 버킷(8)의 기단부에 설치된 브래킷(13) 내에 피봇 지지된 그래플용 실린더 장치(19)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이 실린더 장치(19)의 신축 동작에 의해 상기 그래플 부재(15a, 15b)가 버킷(8)에 대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그래플 버킷 장치(6)는, 붐용, 아암용 및 버킷용 실린더 장치(4, 5 및 10)를 신축 동작시켜 붐(2), 아암(3)을 기복 회전시키는 동시에 버킷(8)을 회전시킴으로써 그래플 버킷 장치(6)의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위치와 자세가 변화되고, 다시 버킷(8)을 브래킷(7)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버킷(8)의 좌우 방향의 자세가 변화된다.
목재의 그래플 작업시에는, 상기 작동에 더하여, 그래플용 실린더 장치(19)를 신축 동작시켜 그래플 부재(15a, 15b)를 버킷(8)에 대해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도 3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그래플 부재(15a, 15b)와 버킷(8)의 개구부의 양 측벽과의 사이에서 목재(20)가 그래플된다. 이때, 연결판(16)과 버킷(8)의 선단부에서, 이 목재(20)를 집어 들어올리거나, 그 방향을 바꿈으로써, 그래플하기 쉽도록 자세를 바로잡는다.
지면의 굴삭 작업시에는, 그래플용 실린더 장치(19)를 신장 동작시켜 그래플 부재(15a, 15b)를 버킷(8)측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그래플 부재(15a, 15b)의 선단부가 버킷(8)의 양측 내면을 따라 버킷(8) 내로 들어가고, 또한 연결판(16)도 버킷(8)의 굴삭 갈고리(8a)보다 안측에서 버킷(8)의 저벽면을 따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그래플 부재(15a, 15b)의 선단부 및 연결판(16)이 버킷(8)의 굴삭 작업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어지고, 상기 각 실린더 장치(4, 5, 10)를 신축 동작시킴으로써, 버킷(8)에 의한 굴삭 작업이 행해진다.
상기 종래의 그래플 버킷 장치는, 지면의 굴삭과 목재의 그래플의 양쪽을 행할 수 있어, 특히 목재를 그래플한 상태에서 건설 기계를 주행시킴으로써, 목재를 소정의 장소에 집적할 수 있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래플한 목재가 장척인 경우에는, 이것을 그래플한 상태에서의 반송 중에, 이 목재가 다른 것, 예를 들어 산길 옆의 입목(立木)에 접촉해 버려 반송 불가능하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는, 소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목재를 작업원이 체인톱 등의 절단 장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해야만 했다.
또한, 벌채 후의 목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것도, 종래는 일일이 작업원이 행하고 있어, 이 절단 작업 자체도 중노동이며, 작업원의 부담으로 되어 있는 것이 현상이었다.
또한, 종래의 그래플 버킷 장치에서는 입목의 벌채 작업을 행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것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래플 장치로 그래플한 목재 등의 피 그래플재를 그래플한 상태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하여, 벌채 후의 피 그래플재나 벌채 전의 입목을 간단하게 절단 및 벌채할 수 있어, 상기 작업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래플 장치로 그래플한 피 그래플재를 반송하기 전에, 이것이 장척인 경우에는 그래플한 상태에서 미리 절단함으로써, 피 그래플재가 다른 것에 접촉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일 없이 반송할 수 있도록 한, 그래플 버킷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그래플 버킷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건설 기계의 아암의 선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아암의 연장 방향의 축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여 설치한 버킷과, 이 버킷의 개구 테두리와의 사이에서 목재 등의 피 그래플재를 그래플할 수 있는 그래플 부재를 버킷의 개구부의 기단부에, 버킷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그래플 장치를 설치한 그래플 버킷 장치에 있어서, 버킷의 한쪽 측벽부에, 상기 그래플 부재로 그래플한 피 그래플재를 절단하는 절단 장치를 설치하고, 이 절단 장치가, 버킷의 측벽의 외측, 혹은 내측의 일측에 위치하여 버킷의 개구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버킷의 측벽을 따르는 위치에 걸쳐 측벽을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버킷의 개구부의 기단부에 피봇 지지되고, 또한 버킷의 개구 테두리측에 대향하는 측의 측부 테두리에 절삭날을 갖고 있는 절단날과, 버킷의 배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단날의 회전 베이스부에 설치한 아암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그래플 버킷 장치에 있어서, 버킷의 측벽부에, 절단날을 몰입(沒入) 가능하게 한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을 설치하고, 절단날로 절단하는 피 그래플재를 이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에서 수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절단날의 절삭날을, 절단날의 회전 중심과 유압 실린더의 연결점을 잇는 선에 대해 절단날의 절단 방향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하는 동시에, 이 절삭날을 절단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원호 형상으로 휘게 한 구성으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그래플 장치가, 버킷의 개구 폭과 대략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고, 또한 선단부가 버킷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버킷의 선단과 접촉하도록 한 2개의 그래플 부재의 선단부를 연결 부재로 연결한 구성, 혹은 선단부를 연결 부재로 연결한 상기 2개의 그래플 부재 사이에 판 부재 또는 격자 부재 등의 커버 부재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래플 버킷 장치에서 버킷의 개구측에서 그래플된 목재 등의 피 그래플재를, 이 그래플 장치로 그래플한 상태에서 절단 장치로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벌채 후의 목재를, 이 그래플 버킷 장치의 절단 장치로 간단하게 절단할 수 있어 작업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래플 장치로 그래플한 피 그래플재를 반송하기 전에, 이것이 장척인 경우에 이것을 미리 절단함으로써, 피 그래플재가 다른 것에 접촉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벌채 전의 입목이라도, 이 입목을 그래플 장치로 그래플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어, 체인톱 등에 의한 벌채 작업과 비교하여 단시간에, 또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벌채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플 장치를 구성하는 2개의 그래플 부재 사이에 판 부재나 격자 부재 등의 커버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그래플 장치로 피 그래플재를 그래플하면서 상기 커버 부재로 작은 피 그래플재를 들어올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그래플 버킷 장치를 작업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그래플 버킷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그래플 버킷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플 버킷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그래플 버킷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을 따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절단날의 회전 중심과 유압 실린더의 연결점을 잇는 선에 대한 절단날의 절삭날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절단날을 버킷의 측벽의 내측에 설치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 방향 화살표도이다.
도 10은 그래플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 방향 화살표도이다.
도 12는 그래플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 방향 화살표도이다.
도 14는 그래플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도 4 이하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그래플 버킷 장치는, 상기한 종래의 그래플 버킷 장치에 절단 장치를 부가한 것이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아암(3)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그래플 버킷 장치(21)는, 아암(3)의 선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래킷(7)과, 이 브래킷(7)의 선단부에, 아암(3)의 연장 방향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버킷(22)과, 이 버킷(22)의 개구부의 기단부에, 버킷(22)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그래플 장치(9)와, 버킷(22)의 폭 방향 중 어느 일측부,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를 배후로부터 보아 우측부에 설치된 절단 장치(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버킷(22)은 상기한 종래의 버킷(8)과 대략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절단 장치(23)는 버킷(22)의 상기 우측의 측벽(22a)과, 이 측벽(22a)과 이 측벽(22a)의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프레임벽(22b)으로 이루어지는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과, 이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의 사이에 있고, 상기 그래플 장치(9)의 회전축(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절단날(25)과, 버킷(22)의 배면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절단날(25)을 회전 구동하는 실린더 장치(2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측벽(22a)과 프레임벽(22b)으로 구성되는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의 개방측의 형상은, 버킷(22)의 개방측의 형상과 동일하고, 즉, 오목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래플 장치(9)의 그래플 부재(15a, 15b)로 그래플된 목재(20)의 외주를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절단날(25)의 보스 부재(회전 베이스부)(27)는, 상기 그래플 장치(9)의 실린더 장치(19)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4)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고, 이 보스 부재(27)에 돌출 설치된 아암(28)에 상기 실린더 장치(26)의 선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실린더 장치(26)의 신축 동작에 의해 절단날(25)이 상기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에 대해 출몰(出沒)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절단날(25)은 상기 보스 부재(27)에 고착된 원판 부재(29)에 볼트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절단날(25)은, 상기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 내에 몰입되는 측의 측부 테두리가 절삭날(25a)로 되어 있다. 이 절삭날(25a)은,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측으로의 회전 방향에 대해 후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휘어 있어, 이른바 청룡도형으로 되어 있다. 이 절단날(25)의 절삭날(25a)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단날(25)의 회전 중심 O1과 아암(28)의 유압 실린더(26)의 연결점 O2를 잇는 선에 대해 버킷(22)의 개구 테두리측에 치수 a만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그래플 장치(9)를 작동시켜 목재(20)를 버킷(22)의 개구 테두리와의 사이에 그래플한 상태에서, 절단 장치(23)의 실린더 장치(26)를 신장 이동시켜 절단날(25)을 버킷(22)측으로, 즉, 폐쇄되는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목재(20)는 이 절단날(25)에 의해 압박 절단된다. 이 경우, 버킷(22)을 아암(3)에 대해 회전시켜 이 버킷(22)의 자세를 바꿈으로써, 벌채되어 옆으로 쓰러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 혹은 벌채 전의 입목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의 어느 경우의 목재도 절단 장치(23)에 의해 절단할 수 있다.
이때의 목재(20)는 버킷(22)측의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에 의해 지지되고, 절단날(25)이 이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의 프레임 사이 내를 향해 작동됨으로써, 목재(20)는 절단날(25)에 의한 절단력을 받아도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에 의해 기울어지는 일 없이 지지된다.
이때에 있어서, 절단날(25)의 절삭날(25a)이 절단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원호 형상으로 휘어져 있는 것, 및 절단날(25)의 절삭날(25a)이 절단날(25)의 회전 중심 O1과 아암(28)의 유압 실린더(26)의 연결점 O2를 잇는 선에 대해 절단 방향측으로 어긋난 위치로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그래플 장치(9)로 그래플된 목재(20)를 절단날(25)에 의해 원활하게 압박 절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날(25)에 의해 원활하게 절단하기 위해서는,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의 프레임의 간격은 절단날(25)의 두께와 거의 동등한 정도의 좁고, 절단날(25)의 측면과 프레임 사이의 간극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벌채하는 목재에서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절단날(25)을 교환하여, 얇은 절단날(25)의 두께에 대해 상기 프레임 사이의 간극이 커져 버린 경우에는, 도 6에서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의 프레임벽(22b)의 내측에 스페이서(30)를 장착하여 이 간격을 조정한다. 이 스페이서(30)의 장착은, 이것을 프레임벽(22b)의 내면을 따르게 하여 이 프레임벽(22b)에 형성한 볼트 구멍(31)을 통과하는 볼트에 의해 고착하여 행한다. 또한, 이때 절단날(25)은,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의 대향 간격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의 내측의 프레임벽에 버킷(3)의 한쪽 측벽(22a)을 사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의 내측의 프레임벽은, 상기 버킷(3)의 측벽(22a)의 외측에 고착된 다른 판재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버킷(22)의 측벽(22a)과 프레임벽(22b)으로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을 구성하고, 이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에 의해 목재(20)를 지지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절단하려고 하는 목재(20)를 그래플 장치(9)로 강고하게 그래플하는 경우에는, 이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은 버킷(22)의 측벽(22a)으로만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절단날(25)은, 절삭날(25a) 이외의 부분이 동일 두께인 것을 나타냈지만, 절삭날 이외의 부분의 판 두께를 보스부로부터 선단에 걸쳐 테이퍼 형상으로 얇게 해도 되고, 이에 의해 절단날(25)의 절삭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8 이하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8, 도 9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절단날(25)을 버킷(8)의 측벽(22a)의 내측에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24)의 프레임벽(22b)은 버킷(8)의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그래플 장치(9)의 그래플 부재(15a, 15b)가 버킷(22)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도 10∼도 14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그래플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0, 도 11에 도시한 그래플 장치(9a)는, 좌우의 그래플 부재(15a, 15b) 사이를 판 부재(32)로 폐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그래플 장치(9a)를 폐쇄 동작하였을 때에, 좌우의 그래플 부재(15a, 15b)와 함께, 상기 판 부재(32)로도 그래플 버킷 장치(6) 내의 물체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플 장치(9a)의 내측의 판 부재(32) 상에 물체를 들어올려 넣을 수 있다.
도 12, 도 13에 도시한 그래플 장치(9b)는, 좌우의 그래플 부재(15a, 15b) 사이를 격자 부재(33)로 폐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도 10, 도 11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그래플 장치(9b) 내에 물체를 들어올려 넣을 수 있는 동시에, 이 들어올려 넣은 것을 격자 부재(33)에 의해 체 선별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그래플 장치(9, 9a, 9b)의 그래플 부재(15a, 15b)의 선단부가 버킷(8)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도 14에 도시한 그래플 장치(9c)는, 이 그래플 부재(15a, 15b)의 선단부가 버킷(8)의 선단부와 일치하여, 이 선단부가 버킷(8)의 선단부에 접촉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의 버킷(8)의 선단부에는 굴삭 갈고리를 설치하고 있지 않고, 직선 형상의 선단 테두리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의 그래플 장치(9c)의 좌우의 그래플 부재(15a, 15b) 사이는 단순히 공간으로 되어 있는 것, 혹은 판 부재나 격자 부재로 폐쇄하도록 한 것이 사용되어 있다.

Claims (5)

  1.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건설 기계의 아암의 선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아암의 연장 방향의 축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여 설치한 버킷과, 이 버킷의 개구 테두리와의 사이에서 목재 등의 피 그래플재를 그래플할 수 있는 그래플 부재를 버킷의 개구부의 기단부에, 버킷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그래플 장치를 설치한 그래플 버킷 장치에 있어서,
    버킷의 한쪽 측벽부에, 상기 그래플 부재로 그래플한 피 그래플재를 절단하는 절단 장치를 설치하고,
    이 절단 장치가,
    버킷의 측벽의 외측, 혹은 내측의 일측에 위치하여 버킷의 개구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버킷의 측벽을 따르는 위치에 걸쳐 측벽을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버킷의 개구부의 기단부에 피봇 지지되고, 또한 버킷의 개구 테두리측에 대향하는 측의 측부 테두리에 절삭날을 갖고 있는 절단날과, 버킷의 배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단날의 회전 베이스부에 설치한 아암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절단날이 피 그래플재를 절단하기 위해 버킷의 측벽부를 따르는 위치로 회동시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플 버킷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버킷의 측벽부에, 절단날을 몰입 가능하게 한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을 설치하고, 절단날로 절단하는 피 그래플재를 이 압박 절단 수용 프레임에서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플 버킷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단날의 절삭날을, 절단날의 회전 중심과 유압 실린더의 연결점을 잇는 선에 대해 절단날의 절단 방향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하는 동시에, 이 절삭날을 절단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원호 형상으로 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플 버킷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그래플 장치가, 버킷의 개구 폭과 대략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고, 또한 선단부가 버킷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버킷의 선단에 접촉하도록 한 2개의 그래플 부재의 선단부를 연결 부재로 연결한 구성, 혹은 선단부를 연결 부재로 연결한 상기 2개의 그래플 부재 사이에 판 부재 또는 격자 부재 등의 커버 부재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플 버킷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그래플 장치가, 버킷의 개구 폭과 대략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고, 또한 선단부가 버킷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버킷의 선단에 접촉하도록 한 2개의 그래플 부재의 선단부를 연결 부재로 연결한 구성, 혹은 선단부를 연결 부재로 연결한 상기 2개의 그래플 부재 사이에 판 부재 또는 격자 부재 등의 커버 부재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플 버킷 장치.
KR1020137010984A 2010-09-30 2011-09-30 그래플 버킷 장치 KR101672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21820 2010-09-30
JP2010221820 2010-09-30
JPJP-P-2011-212598 2011-09-28
JP2011212598A JP5911250B2 (ja) 2010-09-30 2011-09-28 グラップルバケット装置
PCT/JP2011/073157 WO2012043888A1 (ja) 2010-09-30 2011-09-30 グラップルバケッ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463A KR20130113463A (ko) 2013-10-15
KR101672083B1 true KR101672083B1 (ko) 2016-11-02

Family

ID=4589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984A KR101672083B1 (ko) 2010-09-30 2011-09-30 그래플 버킷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19017B2 (ko)
EP (1) EP2623678B1 (ko)
JP (1) JP5911250B2 (ko)
KR (1) KR101672083B1 (ko)
CN (1) CN103140629B (ko)
HK (1) HK1183075A1 (ko)
MY (1) MY162672A (ko)
TW (1) TWI585270B (ko)
WO (1) WO20120438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375A (ko) * 2018-06-29 2018-07-18 (주) 대동이엔지 수목제거 및 지뢰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9306B2 (ja) * 2012-05-25 2016-12-21 株式会社室戸鉄工所 グラップル装置
US9976280B2 (en) * 2014-01-16 2018-05-22 Michael A. Honermann Skid loader attachment including a rotatable and extendable claw
EP3116300B1 (en) * 2014-03-14 2019-05-01 Koponen, Tenho Energy wood grapple
US9439363B1 (en) * 2015-04-27 2016-09-13 Caterpillar Forest Products Inc. Bracket system for grapple assembly
CN105823855A (zh) * 2016-04-19 2016-08-03 长江大学 一种省力切割小推车及使用方法
JP6976739B2 (ja) * 2017-06-27 2021-12-08 良三 松本 伐倒切断機
US10279486B2 (en) 2017-07-12 2019-05-07 Tidy Site Services, LLC Construction equipment accessory and methods of moving elongate objects
JP7034455B2 (ja) * 2017-10-18 2022-03-14 Nty工業株式会社 表層材剥離装置
CN107840389A (zh) * 2017-11-24 2018-03-27 长兴华阁耐物流装备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格栅除污机
KR200491013Y1 (ko) * 2018-07-16 2020-02-06 이상경 수목 이식용 버킷
KR102145621B1 (ko) * 2018-11-22 2020-08-18 이창업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CN109403407A (zh) * 2018-12-06 2019-03-01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卵石地层的液压抓斗
CN112049160B (zh) * 2020-09-09 2022-04-29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低扰动快速施工用反铲式挖掘机
CN112709272B (zh) * 2020-12-24 2022-10-04 山东威猛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装载用铲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9433A1 (en) * 2008-03-13 2009-09-17 Elijah Kovalenko Cutting Tool and Construction Equipment Therfor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1720A (en) * 1970-07-27 1973-05-08 Caterpillar Tractor Co Shear assembly for tree harvesters
SE418919C (sv) * 1975-10-07 1986-05-29 Umea Mekaniska Ab Tredfellningsaggregat
CA1080586A (en) * 1979-01-05 1980-07-01 Koehring Canada Limited Tree harvester with saw and shear
US4221245A (en) * 1979-01-19 1980-09-09 Koehring Canada Limited Tree harvester with saw and shear
US4384599A (en) * 1979-08-06 1983-05-24 Dagenais Joseph E Slicing apparatus for felling trees
DE3151871A1 (de) * 1981-02-19 1982-09-02 Ernst Menzi AG, 9443 Widnau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baumstaemmen"
JP2649703B2 (ja) * 1988-07-26 1997-09-03 博 小野寺 ショベル系掘削機のフロントアタッチメント
JPH06306884A (ja) * 1993-04-27 1994-11-01 Ishikawajima Constr Mach Co バケット
JPH06343356A (ja) * 1993-06-11 1994-12-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根切りアタッチメント
JPH09302707A (ja) * 1996-05-14 1997-11-25 Toyo Umpanki Co Ltd バケット装置
SE513257C2 (sv) * 1997-06-04 2000-08-07 Elmek Automation Ab Trädskördeaggregat
JP3567961B2 (ja) * 1997-07-17 2004-09-22 良三 松本 グラップルバケット装置
US6655053B1 (en) * 1998-08-25 2003-12-02 Rockland, Inc. Tool attachment for excavating machines and the like
JP2002017325A (ja) * 2000-07-10 2002-01-22 Ichiro Yokota 野菜・果実切断装置
US6779570B2 (en) * 2002-11-06 2004-08-24 Daniel Tardif Wood gathering and compaction vehicle
JP2007146470A (ja) * 2005-11-28 2007-06-14 Ueda Sangyo Kk マグネット付きバケット
US7526885B2 (en) * 2005-12-13 2009-05-05 Peterson Pacific Corporation Splitter grappler
JP4836759B2 (ja) * 2006-11-28 2011-12-14 十三 松井 枝切り走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9433A1 (en) * 2008-03-13 2009-09-17 Elijah Kovalenko Cutting Tool and Construction Equipment Therfo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375A (ko) * 2018-06-29 2018-07-18 (주) 대동이엔지 수목제거 및 지뢰 제거장치
KR102140832B1 (ko) * 2018-06-29 2020-08-11 (주)대동이엔지 수목제거 및 지뢰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63889A (ja) 2013-08-22
TWI585270B (zh) 2017-06-01
US8919017B2 (en) 2014-12-30
WO2012043888A1 (ja) 2012-04-05
CN103140629A (zh) 2013-06-05
EP2623678A1 (en) 2013-08-07
JP5911250B2 (ja) 2016-04-27
MY162672A (en) 2017-06-30
KR20130113463A (ko) 2013-10-15
US20130192098A1 (en) 2013-08-01
EP2623678B1 (en) 2018-03-07
HK1183075A1 (zh) 2013-12-13
EP2623678A4 (en) 2014-05-07
CN103140629B (zh) 2016-10-12
TW201229362A (en)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083B1 (ko) 그래플 버킷 장치
JP4091100B1 (ja) 竹伐採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備えた竹伐採作業機
EP1161135B1 (en) Apparatus for excavating and crushing tree stumps
FR2549753A1 (fr) Accessoire de manipulation et de cisaillage pour pelle retrochargeuse
US6126216A (en) Bucket attachment for log grapple
US5979518A (en) Tree harvesting apparatus with transversely acutated saw chain
US6490815B1 (en) Excavator bucket with ripping implement
JP2009165376A (ja) 竹木の伐採装置
JP5469982B2 (ja) グラップル装置及び油圧ショベル
WO2010133862A2 (en) Pile cropping apparatus
US5179985A (en) Lifting and crushing apparatus for tree stumps
JP3567961B2 (ja) グラップルバケット装置
US20070180740A1 (en) Dipper stick cutter
JP2003018928A (ja) 根切りアタッチメントと根切り作業機
JP5509427B2 (ja) 作業車用ヘッド及び作業車
CA2985604C (en) Grapple tip device and method
JPH11181817A (ja) グラップルバケット装置
FR2924305A1 (fr) Outil d'essouchement apte a extraire et a debiter sur site les souches d'arbre
US5080151A (en) Lifting and crushing apparatus for tree stumps
US20180171577A1 (en) Debris gripper and extractor for hydraulic equipment
JPH071957Y2 (ja) 枝払カッター
JP2024070319A (ja) グラップル装置及び油圧ショベル
JP3077202U (ja) 木材把持切断装置及び作業車両
JP3227473B2 (ja) 切断作業車
SU1093762A1 (ru) Рабоч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одноковшового экскава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