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833B1 -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 Google Patents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833B1
KR101669833B1 KR1020147036877A KR20147036877A KR101669833B1 KR 101669833 B1 KR101669833 B1 KR 101669833B1 KR 1020147036877 A KR1020147036877 A KR 1020147036877A KR 20147036877 A KR20147036877 A KR 20147036877A KR 101669833 B1 KR101669833 B1 KR 10166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chamber
pistons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385A (ko
Inventor
에이코 미야사토
요우지 타카쿠와
아키라 히로키
코우이치 마츠자키
토시오 미나쿠치
코다이 요시나가
츠요시 미타
마리코 켓소쿠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6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20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with the piston-rod extending through both ends of the cylinder, e.g. constant-volume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with solid or semi-solid material, e.g. pasty masses, as damping medium
    • F16F9/303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with solid or semi-solid material, e.g. pasty masses, as damping medium the damper being of the telescop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83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characterised by giving a particular shape to the cylinder, e.g. co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실린더 하우징을 관통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유지된 제 1 및 제 2 피스톤과,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의 양쪽 외측의 제 1 및 제 2 피스톤실과, 양쪽 피스톤 사이의 축액실과, 양쪽 피스톤의 외주면과 액실의 내주면 사이의 유통 간극과, 상기 양쪽 피스톤 실과 상기 축액실을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일방향 유로를 갖고, 상기 로드의 왕복 이동 시에 상기 로드의 이동 방향 전방측의 일방향 유로가 폐쇄되어 상기 이동 방향 전방측의 피스톤실로부터 상기 축액실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을 저지하고, 상기 로드의 이동 방향 후방측의 일방향 유로가 개방되어 상기 축액실로부터 상기 이동 방향 후방측의 피스톤 실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DOUBLE-ROD TYPE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고, 그 왕복 이동 중 어느 것도 완충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양 로드형의 유압식 쇼크 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유압식의 쇼크 업소버는 실린더 하우징의 액실 내에 광유 등의 오일을 충전함과 아울러 제동용의 피스톤을 외주에 오일의 유통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수용하고, 상기 피스톤에 연속하는 로드를 실린더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킨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로드의 선단에 이동체가 충돌해서 상기 피스톤이 변위할 때에 상기 유통 간극을 흐르는 오일의 유동 저항에 의해 상기 이동체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기지의 쇼크 업소버는 피스톤에 연속하는 로드를 실린더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고, 그 선단에 충돌하는 이동체를 완충 정지시키는 것이지만, 이동체가 왕복 이동하여 이 왕복 이동 중 어느 쪽도 완충 정지시킬 경우에는 이동체의 이동 방향으로 한 쌍의 반대 방향의 쇼크 업소버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왕복 이동을 완충 정지시키는 이동체가, 예를 들면 유체압 구동 기기에 의해 왕복 구동되는 것인 경우에는 상기 유체압 구동 기기 또는 그 부근에 한 쌍의 쇼크 업소버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체압 구동 기기의 구성이 복잡화되거나 그 설치에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실린더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일단이 각각 돌출되는 서로 독립한 한 쌍의 피스톤 로드를 갖는 완충기(쇼크 업소버)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완충기는 실직적으로는 단일의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완충기의 2개를 역방향으로 해서 연결한 것이며, 또한 양쪽 완충기에 있어서 피스톤에 의해 압출되는 유체를 특허문헌 1과 같이 피스톤의 주위의 간극을 통해서 상기 피스톤의 배면측으로 유도하는 일 없이 유로 단면적을 조정 가능하게 한 별도로 설치한 스로틀 부분으로 유도함으로써 양쪽 완충기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유로 저항을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실린더 내에 있어서의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부압이 되는 상기 피스톤의 배면측으로 유체를 흘리는 유로도 별도 형성하고, 그것에 의해 양쪽 피스톤 로드에 의한 제동력을 독립적으로 가변하게 한 것이다. 그 때문에 완충기 내에 있어서 한 쌍의 피스톤에 대해서 유동 저항을 부여하는 오일 등의 유체의 유로가 극단적으로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장기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완충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에 곤란성이 있다.
또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에 대해서 어느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완충적으로 정지시키는 완충기에 있어서는 한쪽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이동체가 충돌해서 완충 정지했을 경우, 그 다음에는 상기 이동체가 반드시 타방측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충돌하게 되고, 그 때문에 한쪽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이동체가 충돌했을 때에는 타방측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을 돌출 위치(복귀 위치)로 복귀시킬 필요가 있지만,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완충기와 같이 실린더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피스톤 로드를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하고, 완충기 내에 봉입한 오일 등의 유체를 통해 다른 쪽의 피스톤 로드를 복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면 유체의 누설이나 일부의 유로에 있어서의 유체의 유통 불량 또는 기타 원인에 의해 한쪽의 피스톤 로드에 이동체가 충돌했을 때에 다른 쪽의 피스톤 로드가 적정한 복귀 위치로 리턴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소기의 완충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완충기를 연결하고, 또한 양쪽 피스톤 로드에 의한 제동력을 독립적으로 가변하게 한 것으로는 2개의 완충기에 있어서 공용하는 구조 부분을 설치하는 것이 비교적 곤란하며, 그것에 추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양쪽 피스톤에 의해 압출되는 유체의 유동 저항을 독립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에 기인해서 유동 저항을 부여하는 오일 등의 유체의 유로가 극단적으로 복잡하여 많은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그 때문에 전체적으로 구성이 대형화되고, 적어도 소형화가 곤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2011-14487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0-776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61-189335호 공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를 왕복 어느 쪽의 이동 방향으로도 완충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합리적이며 간단한 설계 구조를 구비한 양 로드형의 유압식 쇼크 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린더 하우징의 양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이동체를 충돌시키는 일련의 로드를 갖고, 상기 로드의 일단에 이동체가 충돌해서 상기 로드가 이동하며 또한 완충 정지했을 경우에 상기 로드의 타단이 실린더 하우징의 타단의 적정한 복귀 위치까지 확실히 리턴됨과 아울러 제동용의 피스톤에 의해 가압된 액체가 상기 로드의 이동과는 역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로드의 타단에 대한 이동체의 다음의 충돌에 대비하도록 구성하고, 그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단순한 기구로 교대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 중 어느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완충 정지 기능을 발휘시키도록 한 양 로드형의 유압식 쇼크 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가 충전된 액실을 내부에 갖는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을 축선 방향으로 관통해서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외부로 액밀하게 돌출되고, 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일련의 로드와, 상기 로드의 상기 액실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축선 방향의 간격을 갖고 유지된 제 1 및 제 2 피스톤과,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에 의해 상기 액실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구획된 제 1 및 제 2 피스톤실과, 상기 제 1 피스톤과 제 2 피스톤 사이에 형성된 축액실과, 액체에 유동 저항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의 외주면과 상기 액실의 내주면 사이에 각각 형성된 유통 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실과 상기 축액실을 연결하는 개폐 가능한 제 1 및 제 2 일방향 유로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일방향 유로는 상기 로드의 왕복 이동 시에 상기 로드의 이동 방향 전방측에 위치하는 일방향 유로가 폐쇄되어 상기 이동 방향 전방측의 피스톤실로부터 상기 축액실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을 저지하고, 상기 로드의 이동 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는 일방향 유로가 개방되어 상기 축액실로부터 상기 이동 방향 후방측의 피스톤실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로드 부재 및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로드 부재와, 이들 제 1 로드 부재와 제 2 로드 부재를 상기 액실 내에서 연결하는 중간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은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의 상기 중간 부재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스톤 부착부에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로드의 왕복 이동에 의해 변위되어서 상기 중간 부재의 일단 및 타단의 제 1 및 제 2 접촉면에 교대로 접리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일방향 유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 부착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실에 상시 연통하도록 형성된 연통로와, 상기 중간 부재의 제 1 및 제 2 접촉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의 측면 사이에 상기 연통로와 상기 축액실을 통단하도록 형성된 개폐로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에 대한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의 접리에 의해 상기 개폐로가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의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실측을 향하는 측면과, 상기 피스톤 부착부의 단부의 상기 피스톤이 접리하는 단차부 사이에 상기 연통로를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실에 상시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실의 내경은 상기 제 1 피스톤실과 제 2 피스톤실 사이의 위치에서 가장 크고, 상기 제 1 피스톤실측 및 제 2 피스톤실측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소경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액실의 내경은 상기 제 1 피스톤실측과 제 2 피스톤실측에서 다르게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의 상기 액실 내를 왕복 이동하는 부분과,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과, 상기 제 1 및 제 2 일방향 유로는 상기 중간 부재의 축선 방향의 중앙에 대해서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축액실 내에 독립 기포를 갖는 신축 가능한 발포체로 형성된 탄성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액체에 여압을 부여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시킴으로써 어큐물레이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는 상기 액실의 중앙부가 되는 위치에 상기 액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 구멍은 상기 액체에 예압을 부여하는 조압 플러그로 막혀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을 갖는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는 액실을 관통하는 일련의 로드에 한 쌍의 피스톤을 유지시키고, 상기 로드의 일단 및 타단에 이동체가 교대로 충돌해서 상기 로드가 왕복 이동할 때, 한쪽의 피스톤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실 내의 액체가 상기 가압을 행하는 피스톤의 주위의 유통 간극을 통해서 축액실로 유입됨과 아울러 상기 축액실로부터 다른 쪽의 피스톤에 있어서의 일방향 유로를 거쳐 상기 다른 쪽의 피스톤에서 구획 형성되는 피스톤실로 유입되도록 구성되고, 로드가 이동체의 충돌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해서 이동단에 완충 정지했을 경우에 상기 로드의 타단이 실린더 하우징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복귀 위치까지 리턴됨과 아울러 제동용의 피스톤에 의해 가압된 액체가 액실 내를 로드의 이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유동한 상태가 되고, 상기 로드의 타단으로의 다음의 이동체의 충돌에 대비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실린더 하우징의 양단의 로드에 이동체가 충돌할 때마다 한쪽의 피스톤실 내에 있던 액체의 대부분이 다른 쪽의 피스톤실로 유입된다는 단순한 흐름을 반복하게 되고, 이것은 종래의 실린더 하우징의 일단만으로부터 로드가 외부로 돌출되는 유압식 쇼크 업소버(특허문헌 1 참조)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액체의 흐름과 근사하고, 그 때문에 기지의 기술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쇼크 업소버에 사용하고 있는 부품을 공통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교대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 중 어느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완충 정지 기능을 발휘하고, 부품점 수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하고, 비용의 저감을 도모한 양 로드형의 유압식 쇼크 업소버를 얻을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를 왕복 어느 쪽의 이동 방향으로도 완충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합리적이며 간단한 설계 구조를 구비한 양 로드형의 유압식 쇼크 업소버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스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접 로드가 화살표(A)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 6은 동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 1~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의 기본적 구성을 구비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는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를 주된 제동 대상으로 해서 그 왕복 이동 중 어느 것이나 완충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며, 일반적으로는 유체압 그 외의 동력으로 이동체를 왕복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나 그것에 의해 왕복 구동되는 기기 등에 부설해서 사용되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는 내부에 오일 등의 액체가 충전되는 1개의 통형상(원형 구멍 형상)의 액실(3)이 형성된 실린더 하우징(1)을 구비하고, 상기 액실(3)의 축선(L) 방향의 일단은 제 1 실링 기구(20A)와 제 1 커버(4a)에 의해 닫히고, 상기 액실(3)의 축선(L) 방향의 타단은 제 2 실링 기구(20B)와 제 2 커버(4b)에 의해 닫혀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의 일단으로부터는 원기둥 형상을 한 제 1 로드 부재(6a)의 선단이 상기 제 1 실링 기구(20A)와 제 1 커버(4a)의 중심 구멍을 통해서 외부로 액밀하게 돌출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의 타단측으로부터는 제 2 로드 부재(6b)의 선단이 상기 제 2 실링 기구(20B) 및 제 2 커버(4b)의 중심 구멍을 통해서 외부로 액밀하게 돌출되고, 상기 로드 부재(6a ,6b)의 선단에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를 교대로 충돌시켜서 상기 이동체를 완충적으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의 주위에는 이 쇼크 업소버를 이동체를 왕복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의 필요한 위치에 부착하기 위한 나선 홈(2)을 새겨서 형성하고 있지만,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은 임의 수단으로 상기 액추에이터 등의 소요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선 홈이 없고, 실린더 하우징(1)은 다른 임의의 수단이며 필요한 설치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6a, 6b)는 그들을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으로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해서 일련의 연접 로드(5)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연접 로드(5)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1) 내의 액실(3)을 축선(L) 방향으로 관통하고, 그 일단과 타단이 상기 액실(3) 양단의 상기 제 1 및 제 2 실링 기구(20A, 20B)와 제 1 및 제 2 커버(4a, 4b)로부터 각각 액밀하게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며, 상기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한쪽, 즉 상기 제 1 로드 부재(6a)의 선단 및 제 2 로드 부재(6b)의 선단 중 어느 한쪽에 상기 이동체가 충돌하고, 충돌된 로드 부재가 실린더 하우징(1) 내의 정지 위치까지 몰입했을 때에는 다른 쪽의 로드 부재의 선단이 상기 액실(3)의 커버로부터 소요의 돌출 위치(복귀 위치)까지 돌출되고, 다음의 이동체의 충돌을 위해 대기하도록 상기 1개의 연접 로드(5)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연접 로드를 단순히 로드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로드(5)는 상기 액실(3)의 양단의 커버(4a, 4b)로부터 선단이 돌출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6a, 6b)의 기단끼리를 상기 액실(3) 내에 있어서 축선(L)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원환 형상의 제 1 및 제 2 피스톤(10a, 10b)을 사이에 두고 통형상의 중간 부재(12)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로드 부재(6a, 6b)의 상기 중간 부재(12)에 대한 연결단측에는 세경화된 피스톤 부착부(7a, 7b)와, 상기 중간 부재(12)의 나사 구멍(12c)에 나사 삽입하기 위한 수나사를 갖는 연결부(8)를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부착부(7a, 7b)에 상기 피스톤(10a, 10b)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감(外嵌)시킨 후에 상기 연결부(8)를 중간 부재(12)의 나사 구멍(12c)에 나사 삽입해서 연결하고 있다. 그때, 상기 피스톤 부착부(7a, 7b)의 축선(L) 방향 길이를 피스톤(10a, 10b)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해서 그 치수 차의 범위 내에서 상기 피스톤(10a, 10b)이 상기 피스톤 부착부(7a, 7b)에 있어서 축선(L)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 1 피스톤(10a)과 상기 액실(3)의 일단의 상기 제 1 실링 기구(20A) 사이에는 제 1 피스톤실(14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피스톤(10b)과 상기 액실(3)의 타단의 상기 제 2 실링 기구(20B) 사이에는 제 2 피스톤실(1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10a, 10b)의 외주와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실(14a, 14b)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10a, 10b)이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실(14a, 14b) 내의 액체를 압축해서 상기 액체가 상기 피스톤(10a, 10b)의 배면측의 축액실(17) 내로 유동할 때, 상기 액체에 유동 저항을 부여하는 유통 간극(13a, 1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통 간극(13a, 13b)을 형성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로드 부재(6a)가 실린더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로드 부재(6a)에 대해서 이동체가 화살표(A) 방향으로 충돌하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로드 부재(6a)가 액실(3) 내로 압입될 때, 로드(5)의 이동 방향 전방측의 제 2 피스톤(10b)에 의해 제 2 피스톤실(14b) 내의 액체가 가압되므로 상기 제 2 피스톤실(14b) 내의 액체는 상기 제 2 피스톤(10b)의 주위의 상기 유통 간극(13b)을 통해서 유동 저항을 부여하면서 상기 축액실(17) 내로 유입된다. 그 반대로 상기 제 2 로드 부재(6b)가 실린더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로드 부재(6b)에 이동체가 충돌하고, 상기 제 2 로드 부재(6b)가 액실(3) 내에 압입될 때, 로드(5)의 이동 방향 전방측의 제 1 피스톤(10a)에 의해 제 1 피스톤실(14a) 내의 액체가 가압되므로 상기 제 1 피스톤실(14a) 내의 액체는 상기 제 1 피스톤(10a)의 주위의 상기 유통 간극(13a)을 통해서 유동 저항을 부여하면서 상기 축액실(17) 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로드 부재(6a, 6b)에 대한 이동체의 충돌 초기에 있어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그 시점의 상기 유통 간극(13a, 13b)에 있어서의 유동 저항을 완화하는 것, 즉 유통 간극(13a, 13b)을 비교적 크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이동체의 운동 에너지를 크게 흡수할 필요가 있는 시점에서는 상기 유통 간극(13a, 13b)을 조여 둘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유통 간극(13a, 13b)은 상기 피스톤실(14a, 14b)의 내주면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피스톤(10a, 10b)의 위치에 따라 크기가 변화되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동체의 충돌 초기에 상기 피스톤(10a, 10b)이 위치하는 부위에서 상기 유통 간극(13a, 13b)이 크고, 그 후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면이나, 그것에 근사한 곡면으로 가공하거나 또는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의 복동 시 등의 흡수해야 할 운동 에너지가 크지 않을 때에는 상기 유통 간극(13a, 13b)이 일정해지도록 피스톤실 내주면을 간단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이동체가 왕동할 때와 복동할 때에는 그것을 완충 정지시키기 위해서 흡수해야 할 운동 에너지가 상위하는 것이 통례이며, 그 때문에 상기 유통 간극(13a, 13b)을 적절하게 설정하기 위한 피스톤실(14a, 14b)의 내주면의 형상의 조정을 그들 피스톤실(14a, 14b)의 각각에 있어서 왕동하는 이동체와 복동하는 이동체의 운동 에너지에 대응시켜서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통 간극(13a, 13b)은 상술한 예에 구애되는 일 없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실(14a, 14b)의 내주면의 형상의 조정예로서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액실(3)의 내경을 상기 제 1 피스톤실(14a)과 제 2 피스톤실(14b) 사이의 위치에서 가장 크고, 제 1 피스톤실(14a)측 및 제 2 피스톤실(14b)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소경화하도록 변화시키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실(3)의 내경을 곡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지만, 직선적으로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액실(3)의 내경의 변화의 비율을 양쪽의 피스톤실(14a, 14b)에 있어서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액실(3)의 내경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피스톤(10a)과 상기 로드(5)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피스톤(10a)의 유지 부분 사이에는 상기 제 1 피스톤(10a)이 상기 제 1 피스톤실(14a)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 1 피스톤실(14a)로부터 상기 축액실(17)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을 저지하고, 상기 제 1 피스톤(10a)이 역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축액실(17)로부터 상기 제 1 피스톤실(14a)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 1 일방향 유로(18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 피스톤(10b)과 상기 로드(5)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피스톤(10b)의 유지 부분 사이에는 상기 제 2 피스톤(10b)이 제 2 피스톤실(14b)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 2 피스톤실(14b)로부터 상기 축액실(17)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을 저지하고, 상기 제 2 피스톤(10b)이 역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축액실(17)로부터 상기 제 2 피스톤실(14b)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 2 일방향 유로(1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로드 부재(6a, 6b)의 피스톤 부착부(7a, 7b)의 외주와 상기 피스톤(10a, 10b)의 중심 구멍의 내주 사이에는 상기 피스톤의 표면측(피스톤실(14a, 14b)측)과 이면측(축액실(17)측)을 연통시키는 연통로(11a, 11b)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10a, 10b)의 표면측의 측면에는 도 2 및 도 4에 명료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0a, 10b)이 상기 로드 부재(6a, 6b)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 부착부(7a, 7b)의 일단의 단차부(9a, 9b)에 접촉한 경우에도 항상 상기 연통로(11a, 11b)의 일단을 로드 부재(6a, 6b)의 주위 공간(피스톤실(14a, 14b))에 연통시키는 연통 홈(15a, 15b)이 상기 피스톤(10a, 10b)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 부재(12)의 평탄한 단면인 접촉면(12a, 12b)과, 상기 피스톤(10a, 10b)의 평탄한 측면 사이에는 상기 접촉면(12a, 12b)에 대한 피스톤(10a, 10b)의 접리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로(19a, 19b)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로(19a, 19b)가 상기 연통로(11a, 11b)의 타단과 축액실(17)을 통단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개폐로(19a, 19b)와 상기 연통로(11a, 11b)에 의해 상기 일방향 유로(18a, 18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 부재(6a, 6b)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 부착부(7a, 7b)의 축선(L) 방향의 길이는 상기 피스톤(10a, 10b)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그들 치수 차에 의해 상기 개폐로(19a, 1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로드 부재(6a)가 화살표(A) 방향으로 압박되고, 제 1 피스톤(10a)이 중간 부재(12)의 접촉면(12a)으로부터 이간되었을 때에 상기 개폐로(19a)가 개방되고, 상기 제 1 로드 부재(6a)의 연통로(11a)가 상기 축액실(17)과 연통하기 때문에 상기 축액실(17) 내의 액체는 상기 개폐로(19a)로부터 상기 연통로(11a) 및 상기 연통 홈(15a)을 통해서, 즉 제 1 일방향 유로(18a)를 통해서 피스톤실(14a)에 유입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치수 차는 상기 개폐로(19a)를 통해서 액체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면 좋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로드 부재(6a)가 압입될 때, 제 2 피스톤(10b)은 중간 부재(12)의 접촉면(12b)에 접촉하고, 상기 개폐로(19b)가 폐쇄되기 때문에 제 2 로드 부재(6b)의 연통로(11b)는 상기 축액실(17)로부터 차단되고, 피스톤실(14b)로부터 상기 연통로(11b), 즉 제 2 일방향 유로(18b)를 통해서 액체가 축액실(17)로 유입되는 일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0a, 10b)을 각각 로드 부재(6a, 6b)와 중간 부재(12)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시키면 도 3 및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 1 로드 부재(6a)에 이동체가 충돌하고, 상기 로드 부재(6a)가 액실(3) 내에 압입되었을 때에는 로드(5)의 이동 방향 전방측의 제 2 피스톤(10b)에 의해 제 2 피스톤실(14b) 내의 액체가 가압되므로 상기 제 2 피스톤(10b)이 중간 부재(12)의 접촉면(12b)에 접촉해서 개폐로(19b)가 폐쇄되고, 연통로(11b)의 일단이 축액실(17)로부터 차단된다. 그 때문에 제 2 피스톤실(14b) 내의 액체는 제 2 피스톤(10b)의 주위의 유통 간극(13b)만을 통해서 유동 저항이 부여되면서 상기 축액실(17)로 유입되고, 이때 제동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축액실(17)로 유입된 액체는 로드(5)의 이동 방향 후방측의 제 1 피스톤(10a)에 작용하고, 그것을 로드(5)의 이동 방향 후방측을 향해서 압박하므로 상기 제 1 피스톤(10a)은 중간 부재(12)의 접촉면(12a)으로부터 벗어나서 개폐로(19a)가 개방되고, 연통로(11a)가 상기 축액실(17)에 연통하기 때문에 상기 축액실(17) 내의 액체는 상기 연통로(11a)를 통해서 제 1 피스톤실(14a)로 유입되게 된다.
이동체가 제 2 로드(6b)에 충돌해서 상기 제 2 로드(6b)가 액실(3) 내에 압입되었을 때에는 상술한 결과와 좌우 역동작이 행해지는 것은 물론이다.
도시한 상기 일방향 유로(18a, 18b)의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 것이며, 예를 들면 상기 연통로(11a, 11b)는 상기 로드 부재(6a, 6b)의 피스톤 부착부(7a, 7b)의 외표면 또는 피스톤(10a, 10b)의 내주면에 형성한 축선 방향 홈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통 홈(15a, 15b)은 피스톤(10a, 10b)에 형성하고 있지만, 로드 부재(6a, 6b)의 단차부(9a, 9b)측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일방향 유로(18a, 18b)는 상기 피스톤(10a, 10b)과 로드(5)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10a, 10b)의 유지 부분 사이에 형성하고 있지만, 상술한 일방향 유로와 마찬가지로 작용하는 기타 구성, 예를 들면 피스톤(10a, 10b)의 표리면측을 연통시키는 유로에 독립의 체크 밸브를 내장시키고, 또는 로드 부재(6a, 6b)에 체크 밸브를 장착하는 등의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반드시 상기 피스톤(10a, 10b)을 로드(5)에 대해서 그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킬 필요는 없고, 피스톤(10a, 10b)을 로드(5)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설치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의 양단에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의 단부를 코킹 정지함으로써 고정된 상기 커버(4a, 4b)의 내측에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의 양단을 실링하는 상기 실링 기구(20A, 20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링 기구(20A, 20B)는 상기 커버(4a, 4b)의 내측에 고정적으로 감입 장착된 유지 부재(21a, 21b)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21a, 21b)의 외주면에 형성한 환상 홈에 O링으로 이루어지는 실링 부재(22a, 22b)가 감합되고, 상기 실링 부재(22a, 22b)로 상기 유지 부재(21a, 21b)의 외주면과 실린더 하우징(1)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하고 있다.
한편, 상기 유지 부재(21a, 21b)의 상기 피스톤(10a, 10b)측의 반부에는 상기 로드 부재(6a, 6b)가 슬라이딩 상태로 관통하는 로드 받이 구멍(23a, 23b)이 형성되고, 상기 유지 부재(21a, 21b)가 상기 로드 부재(6a, 6b)의 베어링 및 가이드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지 부재(21a, 21b)의 커버(4a, 4b)측의 반부의 내주에 형성된 공간에는 상기 로드 부재(6a, 6b)의 외주면에 접하는 실링 부재(24a, 24b)가 수용되고, 상기 실링 부재(24a, 24b)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21a, 21b)의 내주와 로드 부재(6a, 6b)의 외주 사이를 실링하여 액실(3) 내에 충전한 오일 등의 액체가 누출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 1 실시예의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는 단일의 액실(3)을 관통하는 로드(5)에 한 쌍의 완충용의 피스톤(10a, 10b)을 상기 로드(5)에 대해서 축선(L)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로드(5)의 일단 및 타단에 이동체가 교대로 충돌해서 상기 로드가 왕복 이동할 때, 한쪽의 피스톤(10a, 10b)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실(14a, 14b) 내의 액체가 상기 가압을 행하는 피스톤(10a, 10b) 주위의 유통 간극(13a, 13b)을 통해서 중앙의 축액실(17)로 유입됨과 아울러 상기 축액실(17)로부터 다른 쪽의 피스톤(10b, 10a)에 있어서의 일방향 유로(18b, 18a)를 거쳐 상기 다른 쪽의 피스톤(10b, 10a)으로 구획 형성되는 피스톤실(14b, 14a)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로드(5)가 이동체의 충돌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해서 이동단에 완충 정지했을 경우에 상기 로드(5)의 타단이 실린더 하우징(1)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복귀 위치까지 리턴됨과 아울러 제동용의 피스톤(10a, 10b)에 의해 가압된 액체가 액실(3) 내를 로드(5)의 이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유동한 상태가 되어 상기 로드(5)의 타단으로의 다음의 이동체의 충돌에 대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양 로드형의 유압식 쇼크 업소버는 교대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 중 어느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완충 정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부품점 수가 적기 때문에 구성도 간단하며, 비용도 저감화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상기 쇼크 업소버가 한 쌍의 로드 부재(6a, 6b)의 한쪽에 이동체가 충돌해서 로드(5)가 이동하고, 완충 정지했을 경우에 다른 쪽의 로드 부재(6b, 6a)가 실린더 하우징(1)의 타단측의 적정한 복귀 위치까지 리턴되어 상기 다른 쪽의 로드 부재로의 이동체의 다음의 충돌에 대비하는 취지를 설명했지만, 상기 다른 쪽의 로드 부재로의 이동체의 충돌이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다른 쪽의 로드 부재가 복귀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의 출력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스프링 그 외의 임의의 로드 부재의 리턴 수단을 별도 부설하면 좋다.
또한, 실린더 하우징(1)의 양단의 로드 부재(6a, 6b)에 이동체가 충돌할 때마다 한쪽의 피스톤실 내에 있던 액체의 대부분이 다른 쪽의 피스톤실로 유입된다는 단순한 흐름을 반복하게 되고, 이것은 종래의 실린더 하우징(1)의 일단으로부터만 로드가 외부로 돌출되는 유압식 쇼크 업소버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액체의 흐름과 근사하고, 그 때문에 기지의 단일의 로드를 구비하는 쇼크 업소버의 기술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쇼크 업소버에 사용하고 있는 부품을 공통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기도 하다.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의 내부에 있어서의 한 쌍의 피스톤(10a, 10b) 사이의 축액실(17)은 상기 한 쌍의 로드 부재(6a, 6b) 중 어느 하나에 이동체가 충돌하여 피스톤(10b, 10a)이 피스톤실(14b, 14a)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피스톤실(14b, 14a)로부터 압출된 액체가 유입되고, 상기 축액실(17)을 거쳐 다른 쪽의 피스톤실(14a, 14b)로 유입되게 되지만, 이 축액실(17) 자체는 단순히 액체가 통과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축방향 길이를 가급적으로 짧게 하고, 극한적으로는 상기 기능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짧게 함으로써 실린더 하우징(1)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결과적으로 쇼크 업소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축액실(17)은 이하에 설명하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이 액실(3) 내의 액체를 가압 상태에서 수용함으로써 쇼크 업소버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어큐물레이터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드(5) 상에 유지시킨 한 쌍의 피스톤(10a, 10b) 사이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12)를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쪽 로드 부재(6a, 6b)의 연결을 위한 부재로 하고 있지만, 상기 중간 부재(12)의 양단부에 플랜지(12d, 12e)를 설치하고, 상기 중간 부재(12)의 주위에 형성되는 축액실(17)을 구획하고, 상기 축액실(17)에 있어서의 액체 중에 독립 기포를 갖는 신축 가능한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된 환상의 탄성 부재(27)를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축액실(17)을 비교적 크게 형성해서 상기 축액실(17)을 포함하는 액실(3)에 상기 탄성 부재(27)가 압축되도록 예압을 부여한 액체를 수용함으로써 어큐물레이터를 구성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액실(3)에 수용한 액체가 장기 사용 동안에 로드 부재(6a, 6b)의 주위 등으로부터 약간 누출되는 경우가 있어도 쇼크 업소버로서의 기능이 감쇠하는 것이 억제되어 쇼크 업소버를 장수명화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간 부재(12)의 주위에 형성되는 축액실(17)에 환상의 탄성 부재(27)를 수용하고 있지만, 상기 축액실(17)을 외부로 개구시키는 액체의 충전 구멍(28)을 형성하고, 상기 충전 구멍(28)을 액실(3)의 내부의 액체에 예압을 부여하는 조압 플러그(29)로 막고 있다. 실린더 하우징(1)의 벽면에 형성한 상기 액체의 충전 구멍(28)은 로드(5)의 일부에 의해 폐쇄되거나 하는 일이 없고, 상기 로드(5)의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액실(3)로 개구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충전 구멍(28)은 그 내부에 조압 플러그(29)의 O링(29a)으로 폐쇄되는 원통상부를 갖고, 상기 충전 구멍에 나사 삽입되는 조압 플러그(29)의 O링(29a)으로 상기 충전 구멍(28)의 원통상부에 채운 액체를 액실(3)로 압입함으로써 액실(3) 내의 액체에 예압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5 및 도 6은 도 1과 마찬가지로 한쪽의 로드 부재(6a)가 실린더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로드 부재(6a)에 대해서 이동체가 충돌하는 것에 대해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들 도를 참조해서 상술한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것과 실질적으로 다른 점이 없으므로 도면 중의 동일 또는 상당하는 주요한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들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시의 제 1~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드(5)를 한 쌍의 로드 부재(6a, 6b)를 중간 부재(12)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속해서 접속한 것으로서 구성하고 있지만, 그것들을 일체로 연속해서 접속한 로드(5)로서 구성할 수도 있고, 그 경우에 필요에 따라서 액실(3)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피스톤(10a, 10b)에 끼워지는 통형상 또는 양단부에 플랜지(12d, 12e)를 설치한 중간 부재(12)에 상당하는 것을 로드(5) 상에 일체적 또는 별도의 것으로서 부설할 수 있다.
1 : 실린더 하우징 3 : 액실
4a, 4b : 커버 5 : 로드
6a, 6b : 로드 부재 7a, 7b : 피스톤 부착부
9a, 9b : 단차부 10a, 10b : 피스톤
11a, 11b : 연통로 12 : 중간 부재
12a, 12b : 접촉면 13a, 13b : 유통 간극
14a, 14b : 피스톤실 15a, 15b : 연통 홈
17 : 축액실 18a, 18b : 일방향 유로
19a, 19b : 개폐로 27 : 탄성 부재
28 : 충전 구멍 29 : 조압 플러그

Claims (8)

  1. 액체가 충전된 액실(3)을 내부에 갖는 실린더 하우징(1)과, 그 실린더 하우징(1)을 축선(L) 방향으로 관통해서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외부로 액밀하게 돌출되고, 축선(L)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일련의 로드(5)와, 그 로드(5)의 상기 액실(3)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축선(L) 방향의 간격을 갖고 상기 축선(L) 방향으로 각각 변위 가능하게 유지된 제 1 및 제 2 피스톤(10a, 10b)과, 그 제 1 및 제 2 피스톤(10a, 10b)에 의해 상기 액실(3)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구획된 제 1 및 제 2 피스톤실(14a, 14b)과, 상기 제 1 피스톤(10a)과 제 2 피스톤(10b) 사이에 형성된 축액실(17)과, 액체에 유동 저항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10a, 10b)의 외주면과 상기 액실(3)의 내주면 사이에 각각 형성된 유통 간극(13a, 13b)과,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실(14a, 14b)과 상기 축액실(17)을 연결하는 개폐 가능한 제 1 및 제 2 일방향 유로(18a, 18b)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일방향 유로(18a, 18b)는 상기 로드(5)에 대한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10a, 10b)의 변위에 의해 각각 개폐 가능하고, 상기 로드(5)의 왕복 이동 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일방향 유로(18a, 18b) 중 그 로드(5)의 이동 방향 전방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일방향 유로(18a 또는 18b)가 그 이동 방향 전방측의 피스톤(10a 또는 10b)의 상기 로드(5)에 대한 변위에 의해 폐쇄되어 그 이동 방향 전방측의 피스톤실(14a 또는 14b)로부터 상기 축액실(17)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을 저지하고, 상기 로드(5)의 이동 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쪽의 일방향 유로(18b 또는 18a)가 그 이동 방향 후방측의 피스톤(10b 또는 10a)의 상기 로드(5)에 대한 변위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축액실(17)로부터 그 이동 방향 후방측의 피스톤실(14b 또는 14a)을 향하는 액체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5)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1)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로드 부재(6a) 및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로드 부재(6b)와, 이들 제 1 로드 부재(6a)와 제 2 로드 부재(6b)를 상기 액실(3) 내에서 연결하는 중간 부재(12)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10a, 10b)은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6a, 6b)의 상기 중간 부재(12)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스톤 부착부(7a, 7b)에 축선(L)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로드(5)의 왕복 이동에 의해 변위해서 상기 중간 부재(12)의 일단 및 타단의 제 1 및 제 2 접촉면(12a, 12b)에 교대로 접리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일방향 유로(18a, 18b)는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10a, 10b)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 부착부(7a, 7b)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실(14a, 14b)에 상시 연통하도록 형성된 연통로(11a, 11b)와, 상기 중간 부재(12)의 제 1 및 제 2 접촉면(12a, 12b)과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10a, 10b)의 측면 사이에 상기 연통로(11a, 11b)와 상기 축액실(17)을 통단하도록 형성된 개폐로(19a, 19b)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12a, 12b)에 대한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10a, 10b)의 접리에 의해 상기 개폐로(19a, 19b)가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10a, 10b)의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실(14a, 14b)측을 향하는 측면과, 상기 피스톤 부착부(7a, 7b)의 단부의 상기 피스톤(10a, 10b)이 접리하는 단차부 사이에 상기 연통로(11a, 11b)를 그 제 1 및 제 2 피스톤실(14a, 14b)에 상시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 홈(15a, 15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실(3)의 내경은 상기 제 1 피스톤실(14a)과 제 2 피스톤실(14b) 사이의 위치에서 가장 크고, 상기 제 1 피스톤실(14a)측 및 제 2 피스톤실(14b)측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소경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실(3)의 내경은 상기 제 1 피스톤실(14a)측과 제 2 피스톤실(14b)측에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6a, 6b)의 상기 액실(3) 내를 왕복 이동하는 부분과, 상기 중간 부재(12)와,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10a, 10b)과, 상기 제 1 및 제 2 일방향 유로(18a, 18b)는 상기 중간 부재(12)의 축선(L) 방향의 중앙에 대해서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액실(17) 내에 독립 기포를 갖는 신축 가능한 발포체로 형성된 탄성 부재(27)를 수용하고, 상기 액체에 여압을 부여해서 그 탄성 부재(27)를 압축시킴으로써 어큐물레이터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1)에는 상기 액실(3)의 중앙부가 되는 위치에 상기 액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구멍(28)이 형성되고, 그 충전 구멍(28)은 상기 액체에 예압을 부여하는 조압 플러그(29)로 막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KR1020147036877A 2012-06-21 2013-05-29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KR101669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0089 2012-06-21
JP2012140089A JP5803008B2 (ja) 2012-06-21 2012-06-21 両ロッド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PCT/JP2013/064887 WO2013190961A1 (ja) 2012-06-21 2013-05-29 両ロッド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385A KR20150016385A (ko) 2015-02-11
KR101669833B1 true KR101669833B1 (ko) 2016-10-27

Family

ID=49768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877A KR101669833B1 (ko) 2012-06-21 2013-05-29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66306B2 (ko)
JP (1) JP5803008B2 (ko)
KR (1) KR101669833B1 (ko)
CN (1) CN104541083B (ko)
DE (1) DE112013003125T5 (ko)
RU (1) RU2608985C2 (ko)
TW (1) TWI537496B (ko)
WO (1) WO2013190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09120512A (ru) 2006-10-31 2010-12-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Nl) Конструкция глотаемого доз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множеством форсунок для выпуска лекарств в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ый тракт
JP5699992B2 (ja) * 2012-06-21 2015-04-15 Smc株式会社 双方向緩衝装置
USD754035S1 (en) * 2013-11-14 2016-04-19 Smc Corporation Shock absorber
GB2526828A (en) * 2014-06-03 2015-12-09 Lama D D Dekani Improvements in dampers
PL228287B1 (pl) 2014-08-27 2018-03-30 Axtone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Urzadzenie pochłaniajace energie uderzen
CN105156559A (zh) * 2015-07-20 2015-12-16 常州大学 单杆变缸体无源双控变阻尼磁流变阻尼器
CN105041956A (zh) * 2015-07-20 2015-11-11 常州大学 双杆变缸体无源单控变阻尼磁流变阻尼器
TWI581899B (zh) * 2015-09-09 2017-05-11 Automatic preloading device for feed system
EP3954341B1 (en) 2016-12-01 2023-08-23 Össur Iceland EHF Prosthetic feet having heel height adjustability
JP2018162841A (ja) * 2017-03-27 2018-10-18 Kyb株式会社 緩衝器
US10980648B1 (en) * 2017-09-15 2021-04-20 Össur Iceland Ehf Variable stiffness mechanism and limb support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11446164B1 (en) 2017-09-15 2022-09-20 Össur Iceland Ehf Variable stiffness mechanisms
RU185921U1 (ru) * 2018-04-19 2018-12-2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Ростар" Защитный кожух амортизатора
DE102019212971A1 (de) * 2019-08-29 2021-03-04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einer Dämpfventileinrichtung
USD878250S1 (en) * 2019-10-10 2020-03-17 Jiali Huang Automotive hydraulic rod
CN111878536A (zh) * 2020-07-17 2020-11-03 江苏力汇振控科技有限公司 一种串联式变阻尼黏滞流体阻尼器
CN113294404B (zh) * 2021-04-20 2022-11-11 上海机电工程研究所 橡胶与胶泥共用的动量及能量吸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6146A (en) 1930-01-02 1932-09-06 John A Mcgrew Shock absorber
JP2000291715A (ja) 1999-04-07 2000-10-20 Kozo Keikaku Engineering Inc 油圧制振装置
JP2007016881A (ja) 2005-07-07 2007-01-25 Kayaba Ind Co Ltd 空圧緩衝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012A (en) * 1889-05-28 Elevator-controlling mechanism
US625454A (en) * 1899-05-23 Hiram stevens maxim
US1273059A (en) * 1917-07-19 1918-07-16 Frederic W Hild Dash-pot.
US1845165A (en) * 1928-07-03 1932-02-16 John A Mcgrew Shock absorber
US1845166A (en) * 1929-05-03 1932-02-16 John A Mcgrew Shock absorber
FR745362A (ko) * 1932-09-13 1933-05-10
JPS5215965A (en) * 1975-07-29 1977-02-05 Tokico Ltd Oil shock absorption device
US4453638A (en) * 1982-09-27 1984-06-12 Wallace Christopher D Hydraulic shock absorber
JPS61189335A (ja) 1985-02-15 1986-08-23 Koganei Seisakusho:Kk 緩衝器
SU1357621A1 (ru) * 1986-07-14 1987-12-07 Московское станкостроитель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Красный пролетарий"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двустороннего действи
US5376135A (en) * 1993-02-25 1994-12-27 Aulie; Alan L. Adjustable hydraulic damper
CN1059734C (zh) * 1994-07-16 2000-12-20 南京建筑工程学院 车用自适应减震器
FR2726874B1 (fr) * 1994-11-14 1996-12-20 Jarret Dispositif amortisseur du type a compression hydrostatique d'elastomere et ses applications
JP2010007765A (ja) 2008-06-27 2010-01-14 Koganei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5668289B2 (ja) * 2010-01-14 2015-02-12 Smc株式会社 油圧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CN201908986U (zh) * 2011-01-11 2011-07-27 常州容大结构减振设备有限公司 双杆液压阻尼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6146A (en) 1930-01-02 1932-09-06 John A Mcgrew Shock absorber
JP2000291715A (ja) 1999-04-07 2000-10-20 Kozo Keikaku Engineering Inc 油圧制振装置
JP2007016881A (ja) 2005-07-07 2007-01-25 Kayaba Ind Co Ltd 空圧緩衝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66306B2 (en) 2016-06-14
DE112013003125T5 (de) 2015-03-12
TW201411008A (zh) 2014-03-16
CN104541083B (zh) 2016-08-24
RU2608985C2 (ru) 2017-01-30
US20150198212A1 (en) 2015-07-16
RU2015101708A (ru) 2016-08-10
JP2014005849A (ja) 2014-01-16
WO2013190961A1 (ja) 2013-12-27
CN104541083A (zh) 2015-04-22
JP5803008B2 (ja) 2015-11-04
TWI537496B (zh) 2016-06-11
KR20150016385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833B1 (ko)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KR101622988B1 (ko) 쌍방향 완충 장치
US8205729B2 (en) Shock absorber
US8641022B2 (en) Front fork
US8839919B2 (en) Shock absorber
US20120241266A1 (en) Shock absorber
CN109312808B (zh) 缓冲器及其制造方法
JP2014095454A (ja) 緩衝器
CN112594245B (zh) 一种双向缓冲液压缸
CN219570713U (zh) 一种高能量油压缓冲器
JP5926666B2 (ja) ダンパ装置
CN111306235A (zh) 抗蛇行减振器、转向架以及轨道车辆
CN116771841A (zh) 一种电控闭锁多功能阻尼器
JP4999714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IE20190074A1 (en) A cushioning device
JP2011017405A (ja) 緩衝器
JP2011017404A (ja) 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