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077B1 - 액체 저류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저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077B1
KR101666077B1 KR1020090133023A KR20090133023A KR101666077B1 KR 101666077 B1 KR101666077 B1 KR 101666077B1 KR 1020090133023 A KR1020090133023 A KR 1020090133023A KR 20090133023 A KR20090133023 A KR 20090133023A KR 101666077 B1 KR101666077 B1 KR 101666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torage tank
liquid
pip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375A (ko
Inventor
쿠니히로 후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야마
Publication of KR20110016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6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Abstract

저류 탱크에 설치되는 배기 수단을 고장이 적고 메인터넌스의 필요가 적은 것으로 한다.
저류 탱크(5)로부터 상방으로 뻗어있는 도수관(6)에 대해서 용기(1)가 착탈 가능하며, 상기 용기(1) 내의 음료수(w)가 상기 도수관(6)을 통하여 상기 저류 탱크(5) 내로 흘러내리고, 상기 저류 탱크(5) 내로부터 상기 저류 탱크(5) 밖으로 배출관(3)을 인출하고, 그 배출관(3)에 개폐가 자유로운 공급 밸브(7)를 설치한 음료수용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저류 탱크(5) 내의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포켓부(11)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관(3)은 상기 저류 탱크(5) 내로의 개구부(13)를 가지는 주관부(12)와 그 주관부(12)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포켓부(11) 내의 공간을 향하는 유도관부(14)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관부(14)는 상기 공급 밸브(7)를 열어 음료수(w)를 상기 저류 탱크(5) 밖으로 배출할 때에, 상기 포켓부(11) 내의 기체(a)를 흡인하여 동시에 상기 저류 탱크(5)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했다.
저류 탱크, 배출관, 액체 저류 장치, 주관부, 유도관부.

Description

액체 저류 장치{LIQUID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물 등의 음료수 또는 기타 각종 액체를 일정한 온도 관리를 행하여 저장, 보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액체 저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 등의 음료수 또는 기타 각종 액체를 일정한 온도 관리를 행하여 저장, 보관하기 위해서, 각종 장치, 각종 설비 등에 저류 탱크를 구비한 액체 저류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체 저류 장치로서, 예를 들어 수도 등의 외부로부터의 공급수를 저류 탱크 내에 일단 옮겨서 거기서 일정한 온도 관리를 행하여 저류한 후, 그것을 필요할 때에 필요한 양만큼 외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액체 저류 장치에서는 저류 탱크로부터 배출관이 인출되고, 그 배출관에 공급 밸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공급 밸브를 개폐 조작함으로써 외부로의 공급량을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또 액체 저류 장치의 예로서, 착탈이 자유로운 용기로부터 저류 탱크에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음료수용 서버도 있다.
이 음료수용 서버에서는 미네랄워터 등의 음료수를 수용한 용기를 사용하고, 그 용기 내의 음료수를 서버 본체에 설치된 저류 탱크 내에 옮겨서 저류한 후, 그 저류한 음료수를 상온 또는 냉온에서, 또는 그 저류한 음료수를 가열하여 적당히 외부에 준비한 컵이나 페트병 등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류 탱크(T) 내에 있어서, 음료수(w)와 공기(a)가 접촉하기 어렵게 한 에어리스 탱크 구조의 음료수용 서버가 있다.
이 음료수용 서버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로부터 도수관(6)을 통하여 저류 탱크(T) 내에 음료수(w)를 주입했을 때, 내부의 음료수(w)의 감소와 함께 축소 변형 가능한 유연한 필름으로 구성된 용기(1)가 사용된다.
이때, 저류 탱크(T) 내의 음료수(w)가 공기(a)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그 저류 탱크(T)의 상부로부터 음료수(w)를 배출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냉수 탱크 등의 온도 관리를 필요로 하는 탱크 구조 등에서는, 저류 탱크(T)의 하부로부터 음료수(w)를 배출하는 구조로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저류 탱크(T)의 하부로부터 음료수(w)를 배출하는 구조로 하면, 에어리스 탱크 구조라고 해도, 당초 사용시(저류 탱크(T)가 빈 상태에서 음료수(w)가 들어간 용기(1)를 도수관(6)에 부착했을 때), 및 그 사용 도중에 있어서 저류 탱크(T) 내에 공기(a)가 혼입되었을 때에 음료수(w)의 상부에 공기(a)의 층이 생겨, 음료수(w)와 공기(a)가 계속 접한 상태가 되어버린다.
그래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 탱크(T)의 상부에 배기 수단으로서 배기 밸브(2)를 구비하는 것이 유효하다.
배기 밸브(2)로서는 예를 들어 도 7(a) (b)에 도시한 것을 들 수 있고, 이 배기 밸브(2)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공기(a)가 저류 탱크(T) 밖으로 배출되면, 그 배출 후의 공극을 채우도록 음료수(w)가 도수관(6)을 통하여 저류 탱크(T)에 흘러내려간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9-35322호 공보
상기 음료수용 서버(10)에 의하면 저류 탱크(T)의 배기 수단으로서 설치한 배기 밸브(2)가 고장 등에 의해 기능하지 않게 되었을 때에, 그 배기 밸브(2)로부터 음료수(w)가 계속 새는 사태가 상정된다.
또 배기 밸브(2)는 가동부를 가지므로, 그 가동부가 확실하게 기능하도록 정기적인 메인터넌스가 필요하다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액체 저류 장치의 저류 탱크에 설치된 배기 수단을 고장이 적고 메인터넌스의 필요가 적은 것으로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액체를 저류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저류 탱크 내로부터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관을 인출하고, 그 배출관을 통하여 상기 저류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 가능하게 한 액체 저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저류 탱크 내로의 개구부를 가지는 주관부(主管部)와 그 주관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저류 탱크 내의 상부를 향하는 유도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상기 주관부의 개구부로부터 받아들인 액체를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할 때에, 상기 유도관부를 통하여 상기 저류 탱크 내의 상부에 개재하는 기체를 흡인하여 동시에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그 배출한 액체, 및 배출한 기체가 개재되어 있던 공간에 알맞은 양의 액체를 상기 저류 탱크 내에 보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액체 저류 장치의 구성을 채용했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저류 탱크의 상부에 기체가 개재되어 있는 경우에, 배출관을 통하여 내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면, 배출관의 주관부 내를 액체가 이동하고, 그 주관부 내의 유체의 흐름에 의해, 저류 탱크의 상부에 개재하는 기체(공기)가 유도관부를 통하여 주관부측으로 이끌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작용은 주관부 내의 유체의 흐름이 빠를수록 현저하며, 소위 모세관 현상(벤투리 효과)을 기대한 것이다.
이 작용에 의해 저류 탱크의 상부에 개재하는 기체를 저류 탱크 내의 액체와 함께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저류 탱크 내의 액체, 및 저류 탱크 내에 개재되어 있던 기체가 배출관 내의 액체의 흐름에 이끌려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되었을 때에, 그 배출된 액체, 및 배출된 기체가 개재되어 있던 공간에 알맞은 양의 액체가 저류 탱크 내에 보충되는 기능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류측으로부터 소정의 액압이 부가됨으로써 저류 탱크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액체 공급관(예를 들어 수도관 등)을 접속하여, 배출관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액체 공급관으로부터 저류 탱크 내에 자동적으로 액체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법이 있다. 또 소정량의 액체를 모은 별도의 액체 공급원(예를 들어 액체를 수용한 가소성을 가지는 용기 등)을 저류 탱크에 접속해 두고, 낙차압이나 저류 탱크 내의 액체 및 기체의 배출에 수반되어 부압이 되는 저류 탱크 내와 그 액체 공급원 내의 압력 밸런스에 의해 자동적으로 액체 공급원으로부터 저류 탱크에 액체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저류 탱크 내에 있어서, 액체와 기체가 접촉할 기회를 줄이면서, 그 저류 탱크에 설치되는 배기 수단을 고장이 적고 메인터넌스의 필요가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유도관부의 기능으로서는 배출관 내의 액체의 유속과, 그 유도관부의 길이(주관부와의 분기로부터의 길이), 유도관부의 내경 등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상기 저류 탱크 내의 기체를 남김 없이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저류 탱크 내의 기체를 남김 없이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할 수 있으면, 저류 탱크 내가 항상 에어리스 상태로 유지되어, 품질 유지상 가장 바람직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는 유도관부의 내경은 주관부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에 있어서, 유도관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저류 탱크 내의 상부에 개재하는 기체를 끌어들이는 경우에 그 저류 탱크 내의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포켓부를 설치하고, 상기 유도관부의 개구부를 상기 포켓부 내의 공간을 향하게 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포켓부가 있으면, 그 공간에 기체가 모이기 쉬워져, 배출관 내를 흐르는 액체의 흐름에 의한 기체의 흡인도 효과적이다.
또 이와 같이 유도관부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관부의 개구부는 상기 저류 탱크의 하부를 향하고, 상기 주관부는 그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뻗어있어, 상기 유도관부와의 분기에 이르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주관부의 개구부가 저류 탱크의 하부를 향하고 있으면, 저류 탱크 내에 있어 서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에 대해, 비교적 저온 상태에 있는 액체를 주로 배출하여, 기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도관부로부터 혼입되는 비교적 고온 상태의 탱크 상부의 액체와의 혼합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온도 상승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별도의 2차 탱크 등(예를 들어 저류 탱크의 하방에 설치되는 가온 기능을 가지는 탱크)에 액체를 이송하는 구조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액체 이송용의 관을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인출하는 위치는 상기 주관부의 개구부의 위치보다 상방에 있고, 또한, 유도관부의 개구부보다 일정한 거리만큼 하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관부의 개구부를 저류 탱크 내의 하부에 위치시키면, 온도 관리상 2차 탱크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유도관부의 개구부를 상부로 함으로써 2차 탱크로의 공기 혼입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주관부는 상기 유도관부와의 분기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어,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배출관의 주관부가 저류 탱크 하부로부터 한 번 상부로 뻗어있어, 저류 탱크의 상부에서 하부로 되돌아오도록 배치하고, 그 최상부에 유도관부를 설치함으로써, 주관부와 유도관부와의 분기는 그 주관부의 길이 방향 중간일수록 배치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배출관으로부터 유체를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할 때에, 유도관부와의 분기 부근의 액체의 유속을 안정시키고, 또한, 탱크 하부로부터 인출하는 구조에 의해 배출시의 낙차압을 높일 수 있어, 그 유도관부에 발생하는 기체의 흡인 현상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주관부의 개구부가 저류 탱크의 하부를 향하고 주관부가 그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뻗어있어 유도관부와의 분기에 이르는 구성과, 주관부가 유도관부와의 분기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어 저류 탱크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구성은 각각 그 단독으로도 상기 기체의 흡인 현상의 촉진 및 공급 온도의 안정에 유효하지만, 양자를 겸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각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저류 장치는 음료수용 서버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성은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상방으로 뻗어있는 도수관에 대해, 내부에 액체를 수용한 용기가 착탈 가능하며, 상기 용기 내의 액체가 상기 도수관을 통하여 상기 저류 탱크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음료수용 서버에 있어서, 음료수를 수용한 용기로서, 예를 들어 내부의 음료수가 감소했을 때에 용기가 변형하지 않고, 그 음료수 대신에 기체가 침입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용기를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저류 탱크와 용기 사이에 용기용의 흡기 장치(예를 들어 체크 밸브나 용기로부터 상방으로 뻗어있는 흡기구)를 부착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액체 저류 장치 내의 품질 향상을 전제로 한 구조이며, 용기의 품질 유지를 목적으로 하여, 별도의 흡기 장치의 멸균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 가요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그 용기 내의 음료수가 도수관을 통하여 저류 탱크 내로 흘러내려 그 용기 내의 음료수가 감소할 때에 상기 용기는 수축 변형하여 그 내부에 상기 도수관측으로부터 기체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용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즉, 저류 탱크 내의 액체, 및 저류 탱크 내에 개재되어 있던 기체가 배출관 내의 액체의 흐름에 이끌려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되었을 때에, 그 배출된 액체, 및 배출된 기체가 개재되어 있던 공간에 알맞은 양의 액체가 저류 탱크 내에 보충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또 이들 각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저류 장치를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음료수용 서버에 적용할 수 있다.
즉, 그 구성은 내부에 액체를 저류 가능한 제1 탱크를 상방에 제2 탱크를 하방에 병렬로 설치하고, 상기 제1 탱크로부터 인출한 제1 연통관을 저류 탱크에 접속하여 상기 제1 탱크 내의 액체가 상기 저류 탱크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인출한 제2 연통관을 상기 제2 탱크에 접속하여 그 저류 탱크 내의 액체가 그 제2 연통관을 통하여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되어 그 배출된 액체가 상기 제2 탱크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연통관은 상기 저류 탱크 내로의 개구부를 가지는 주관부와 그 주관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저류 탱크 내의 상부를 향하는 유도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통관을 통하여 상기 주관부의 개구부로부터 받아들인 액체를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할 때에, 상기 유도관부를 통하여 상기 저류 탱크 내의 상부에 개재하는 기체를 동시에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그 배출한 액체 및 기체가 개재되어 있던 공간에 알맞은 양의 액체를 제1 탱크로부터 상기 저류 탱크 내에 보충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 서버이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저류 탱크의 상부에 기체가 개재되어 있는 경우에, 제2 연통관을 통하여 내부의 액체를 외부로(제2 탱크측으로) 배출하면, 그 제2 연통관 의 주관부 내를 액체가 이동하고, 그 액체의 압력 밸런스에 의해, 저류 탱크의 상부에 개재하는 기체(공기)가 유도관부를 통하여 이끌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작용에 의해, 상기 서술한 각 구성과 마찬가지로, 저류 탱크의 상부에 개재하는 기체를 저류 탱크 내의 액체와 함께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저류 탱크 내의 액체, 및 저류 탱크 내에 개재되어 있던 기체가 배출관 내의 액체의 흐름에 이끌려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되었을 때에, 그 배출된 액체, 및 배출된 기체가 개재되어 있던 공간에 알맞은 양의 액체가 제1 탱크로부터 저류 탱크 내에 보충된다.
또한 제1 탱크와 제2 탱크 중, 상방에 위치하는 제1 탱크를 냉수 공급용 또는 상온수 공급용으로 하고, 하방에 위치하는 제2 탱크를 온수 공급용으로 하는 것이 종래부터 일반적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1 탱크가 냉수 공급용인 경우는 그 제1 탱크에 냉각 장치가 설치되고, 또 하방에 위치하는 제2 탱크가 온수 공급용인 경우는 그 제2 탱크에 가열 장치가 설치된다.
제1 탱크와 제2 탱크 사이에 이와 같은 저류 탱크를 개재시킴으로써, 가열 장치에 의해 따뜻해진 액체(음료수)가 냉수 공급용 또는 상온수 공급용의 탱크에, 또 냉각 장치에 의해 차가워진 액체가 온수 공급용의 탱크에 서로 영향을 주는 열량적 로스(연비 로스) 및 품질 유지 성능의 장애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능하는 것은 제1 탱크와 제2 탱크를 상하 방향의 직선 배관으로 연결한 경우와 비교하여, 배관을 S자 형상으로 즉 한번 내린 배관을 다시 올리고 다시 내린 상태를 만드는 것에 의해, 상승하는 온수와 강하하는 냉수의 융합을 저 해하는 형상이 되는 것을 이유로서 들 수 있다. 이때, 그 배관에 기체가 혼입될 우려가 있지만, 상기 저류 탱크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혼입된 기체를 액체와 함께 제2 탱크측으로 배출할 수 있고, 또한 스페이스적으로도 축소될 뿐만 아니라 쌍방의 온도상의 저해를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한 점에서, 저류 탱크 내에 있어서, 액체와 기체가 접촉할 기회를 줄이면서, 그 저류 탱크에 설치되는 배기 수단을 고장이 적고 메인터넌스의 필요가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유도관부의 기능으로서는 상기 서술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배출관 내의 액체의 유속과, 그 유도관부의 길이(주관부와의 분기로부터의 길이), 유도관부의 내경 등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상기 저류 탱크 내의 기체를 남김 없이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저류 탱크 내의 기체를 남김 없이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할 수 있으면, 저류 탱크 내가 항상 에어리스 상태로 유지되어, 품질 유지상 가장 바람직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는 유도관부의 내경은 주관부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에 있어서, 유도관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저류 탱크 내의 상부에 개재하는 기체를 끌어 들이는 경우에 그 저류 탱크 내의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포켓부를 설치하고, 상기 유도관부의 개구부를 상기 포켓부 내의 공간을 향하게 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포켓부가 있으면, 그 공간에 기체가 모이기 쉬워져, 배출관 내를 흐르는 액체의 흐름에 의한 기체의 흡인도 효과적이다.
또 이와 같이 유도관부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관부의 개구부는 상기 저류 탱크의 하부를 향하고, 상기 주관부는 그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뻗어있어, 상기 유도관부와의 분기에 이르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관부는 상기 유도관부와의 분기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어,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제2 연통관의 주관부가 저류 탱크 하부로부터 한 번 상부로 뻗어있고, 저류 탱크의 상부에서 하부로 되돌아오도록 배치하고, 그 최상부에 유도관부를 설치함으로써, 주관부와 유도관부와의 분기는 그 주관부의 길이 방향 중간일수록 배치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제2 연통관으로부터 유체를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할 때에, 유도관부와의 분기 부근의 액체의 유속을 안정시키고, 또한 탱크 하부로부터 인출하는 구조에 의해 배출시의 낙차압을 높일 수 있어, 그 유도관부에 발생하는 기체의 흡인 현상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주관부의 개구부가 저류 탱크의 하부를 향하고 주관부가 그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뻗어있어 유도관부와의 분기에 이르는 구성과, 주관부가 유도관부와의 분기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어 저류 탱크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구성은, 각각 그 단독으로도 상기 기체의 흡인 현상의 촉진 및 공급 온도의 안정에 유효하지만, 양자를 겸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탱크와 제2 탱크 사이에 저류 탱크를 개재시킨 음료수용 서버의 구성에 있어서, 그 제1 탱크와 제2 탱크의 각각 또는 어느 일방을 상기 서술한 각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배출관에 의한 기체 배출 기능을 구비한 액체 저류 장치로 해도 된다. 즉, 제1 탱크나 제2 탱크를 상기 서술한 기체 배출 기능을 구비한 각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저류 장치의 저류 탱크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들 구성을 응용하면, 물 등의 액체를 차갑게 한 상태로 저류하는 냉수 탱크(상온에서 저류하는 탱크를 포함함)와, 동일하게 따뜻하게 한 상태로 저류하는 온수 탱크를 구비한 종래의 냉온수 서버에 있어서, 그 기본 구조인 상부에 냉수 탱크, 하부에 온수 탱크라는 구성을 상하로 역전시켜, 상부에 온수 탱크, 하부에 냉수 탱크를 배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점에 대해서, 종래부터, 상부에 냉수 탱크, 하부에 온수 탱크를 배치하고 있는 것은, 온수 탱크에 있어서는, 배출구(배출관의 인출구)가 기체 관리상,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며, 온수 탱크의 배출구가 그 탱크의 상부에 있으면, 필연적으로 온수 탱크는 하방에 배치할 수 밖에 없는 상태였다. 배출구의 위치는 바닥에 선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높이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 가령, 온수 탱크를 냉수 탱크의 상부에 배치하고, 그 온수 탱크의 하방에만 배출구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면, 온수 탱크 내의 상부에 대량의 기체가 개재했을 때에, 빈상태에서의 가열 사고 등의 요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각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배출관에 의한 기체 배출 기능, 즉, 배출관의 주관부에 유도관부를 설치하고, 그 유도관부를 저류 탱크의 상부를 향하게 한 구성을 구비한 액체 저류 장치를 음료수용 서버의 온수 탱크에 채용하면 배출구(배출관의 인출구)를 탱크의 상부에 설치할 필요성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온수 탱크의 하부로부터 배출관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그 온수 탱크를 냉수 탱크보다 상부에 설치해도 지장이 없다. 이것에 의해 올바른 온도 밸런스인 고온 탱크를 상부, 저온 탱크를 하부에 배치할 수 있고, 기기의 부품 배치 응용도 넓어지며, 컴팩트화나 고효율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저류 장치를 사용한 저류 탱크 내에 혼입된 기체의 배기 방법 및 저류 탱크의 사용 종료시 또는 메인터넌스시의 배수 방법으로서 이하의 수법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연통관은 상기 저류 탱크 내로의 개구부를 가지는 주관부와 그 주관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저류 탱크 내의 상부를 향하는 유도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관부의 개구부로부터 받아들인 액체를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할 때에, 상기 저류 탱크 내의 상부에 개재하는 기체를 흡인하여 동시에 상기 저류 탱크 밖으로 배출한다. 또 사용 종료시 및 메인터넌스시에 저류 탱크 내의 액체를 전량 배출하기 위해서, 주관부의 탱크 내의 최하부에 배수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류 장치의 저류 탱크의 배기·배수 방법이다.
본 발명은 각 송수관 내의 액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저류 탱크의 상부에 모이는 기체 및 탱크관의 연통관 내의 기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저류 탱크 내에 있어서, 액체와 기체가 접촉할 기회를 줄여, 품질 유지상 바람직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기체의 배출시에 배출관 내의 액체의 흐름을 이용한 점에서 가동부를 해소할 수 있고, 고장이 적고 메인터넌스의 필요가 적은 배기 수단으로 할 수 있으며, 게다가 온도 관리나 연비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저류 장치를 구비한 음료수용 서버(2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음료수(액체)(w)를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저류 탱크(T)로부터 상방으로 뻗어있는 도수관(6)에 수지제의 용기(1)가 착탈 가능하다. 그 용기(1)를 도수관(6)에 장착함으로써 용기(1) 내의 음료수(w)가 그 자중에 의해 도수관(6)을 통하여 저류 탱크(T) 내로 흘러내리게 되어 있다. 또한 저류 탱크(T)는 도시하지 않는 냉각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 저류 탱크(T)를 「냉수 탱크(5)」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1)는 가요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1) 내의 음료수(w)가 상기 도수관(6)을 통하여 상기 냉수 탱크(5) 내로 흘러내려 그 용기(1) 내의 음료수(w)가 감소할 때에, 상기 용기(1)는 내부의 용적이 감소하도록 수축 변형하여, 그 내부에 상기 도수관(6)측으로부터 공기(기체)(a)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용기(1) 및 냉수 탱크(5)는 각각 도 3에 도시한 음료수용 서버(20)의 용기 수납부(21) 및 본체(2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액체 저류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 탱크(T)로서의 상기 냉수 탱크(5)로부터 배출관(3)이 인출되어 본체(22) 밖으로 뻗어 있고, 그 배출관(3)에 개폐가 자유로운 공급 밸브(7)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 밸브(7)를 개방하면 냉수 탱크(5) 내의 음료수(w)를 적당히 외부의 컵이나 페트병 등의 용기에 공급할 수 있고, 또 공급 밸브(7)를 폐쇄하면 그 공급이 멈추게 되어 있다. 그 공급 밸브(7)의 개폐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레버의 조작에 의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냉수 탱크(5)의 하부에 또 하나의 탱크(5')(이하, 「온수 탱크(5')」라고 하여, 상방의 냉수 탱크(5)와 구별함)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온수 탱크(5')는 내부에 음료수(w)를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비함과 아울러, 도시하지 않는 가열 장치를 구비하여, 내부의 음료수(w)가 따뜻해진 상태에서 저류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온수 탱크(5')도 음료수용 서버(20)의 본체(2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 온수 탱크(5')로부터 배출관(3')이 인출되어 본체(22) 밖으로 뻗어 있고, 그 배출관(3')에 개폐가 자유로운 공급 밸브(7')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 밸브(7')를 개방하면 온수 탱크(5') 내의 따뜻해진 음료수(w)를 적당히 외부의 컵이나 페트병 등의 용기에 공급할 수 있고, 또 공급 밸브(7')를 폐쇄하면 그 공급이 멈추게 되어 있는 점은 냉수 탱크(5)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냉수 탱크(5)와 온수 탱크(5')는 연통관(8)으로 접속되어 있다. 연통관(8)은 상기 냉수 탱크(5)의 상부와 온수 탱크(5')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고, 그 도중에 개폐 밸브(8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통관(8)을 통하여 냉수 탱크(5) 내의 음료수(w)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5') 내로 흘러내리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수 탱크(5) 내의 음료수(w)에 대한 온수 탱크(5') 로부터의 열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연통관(8)을 냉수 탱크(5)의 상부로부터 인출하여 온수 탱크(5')의 하부에 접속하고, 그 길이를 충분히 길게 확보하고 있다. 또 냉수 탱크(5) 내에는 연통관(8)의 개구부 부근에 칸막이판(5b)을 배치하여, 가령, 온수 탱크(5')로부터 음료수(w)가 역류한 경우에, 그 음료수(w)가 냉수 탱크(5) 전체에 널리 퍼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연통관(8) 내에 있어서의 체류수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 상기 개폐 밸브(8a)는 그 연통관(8)의 상단 가까이 설치되어 있다.
또 냉수 탱크(5)는 그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포켓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포켓부(11)에 의해, 냉수 탱크(5) 내의 공간은 그 최상부에 냉수 탱크(5)의 상면보다 더욱 상방으로 돌출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즉, 이 포켓부(11) 내의 공간이 냉수 탱크(5) 내에서 가장 상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수 탱크(5)의 상면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하면을 가지는 덮개(5a)로 닫혀져 있고, 그 평평한 하면에 대해서 포켓부(11)의 내면이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또 그 평평한 하면은 포켓부(11)에 가까이 감에 따라 서서히 상승하는 경사면이며, 공기(a)를 포켓부(11)로 유도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켓부(11)는 냉수 탱크(5)의 상면을 닫는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5a)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포켓부(11)는 덮개(5a)에 설치해도 되고, 덮개(5a)가 없는 경우에는 탱크의 상면과 일체로 설치해도 된다. 이하, 각 실시형태의 저류 탱크(T)에 있어서 동일하다.
음료수(w)를 외부에 공급하기 위한 배출관(3)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수 탱크(5) 내로의 개구부(13)를 가지는 주관부(12)과, 그 주관부(12)로부터 상방으로 분기되어 상기 포켓부(11) 내의 공간을 향하는 유도관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도관부(14)는 주관부(12)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관이며, 상기 공급 밸브(7)를 열어 상기 주관부(12)의 개구부(13)로부터 받아들인 음료수(w)를 상기 냉수 탱크(5) 밖으로 배출할 때에, 그 주관부(12) 내의 음료수(w)의 흐름에 의해, 상기 포켓부(11) 내의 공기(a)를 소위 벤투리 효과에 의해 흡인하여 동시에 상기 냉수 탱크(5)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도 1b에 화살표 v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주관부(12) 내의 음료수(w)의 흐름이 생기면, 그 흐름에 의해 유도관부(14)에 화살표 y방향의 흡인력이 작용하고, 그 결과, 유도관부(14)의 개구(14a)로부터 공기(a)가 끌려 들어가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주관부(12)의 상기 개구부(13)는 상기 냉수 탱크(5)의 하부를 향하고, 상기 주관부(12)는 그 개구부(13)로부터 상승부(12a)로서 똑바로 거리 h3만큼 상방으로 뻗어있어, 냉수 탱크(5)의 상면(상기 덮개(5a)의 하면에 상당)의 거의 닿을듯한 곳에서 굴곡되고, 그 후에 수평부(12b)가 되어 가로방향으로 거리 h2만큼 뻗어 있다. 상기 유도관부(14)와의 분기(r)는 이 수평부(12b)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또 그 주관부(12)는 상기 유도관부(14)와의 분기(r)를 가지는 수평부(12b)로부터 하강부(12c)로서 똑바로 거리 h1만큼 하방으로 뻗어있고, 그 후에 상기 냉수 탱크(5) 밖으로 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기(r)로부터 상단 개구(14a)까지의 유도관부(14)의 상승 높이(hO)는 상기 거리 h1, h3에 대해서 충분히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음료수용 서버(20)의 작용, 즉 이 음료수용 서버(20)를 사용한 냉수 탱크(5) 내로 혼입된 공기(a)의 배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수 탱크(5) 내에 음료수(w)가 전혀 없는 상태에 있어서, 용기(1)를 도수관(6)에 삽입하여 그 용기(1)를 고정시킨다. 또한 이 도 2에서는 하부의 온수 탱크(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용기(1) 내의 음료수(w)가 그 자중에 의해 서서히 냉수 탱크(5) 내로 흘러내려감과 아울러, 용기(1)는 그 내부 공간의 용적이 축소하도록 수축 변형해 간다(도 2(b) 참조).
이 때, 냉수 탱크(5) 내의 기압이 높아지면, 일정한 곳에서 용기(1)로부터 냉수 탱크(5)로의 음료수(w)의 흘러내림이 정지되지만, 공급 밸브(7)를 적당히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5) 내의 공기(a)를 외부로 배출하여, 냉수 탱크(5) 내의 기압의 상승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수평부(12b)의 냉수 탱크(5) 내에서의 위치가 높으므로(냉수 탱크(5)의 바닥부로부터 거리 h3), 음료수(w)가 대량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음료수(w)의 흘러내림에 의해 냉수 탱크(5) 내의 음료수(w)가 서서히 수위를 높이고, 최종적으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수위가 냉수 탱크(5)의 상면 가까이에 이른다.
이 때, 포켓부(11) 내의 공간에는 공기(a)가 잔존하고 있다. 포켓부(11) 내 의 공간이 냉수 탱크(5) 내에서 가장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공급 밸브(7)를 열어, 상기 주관부(12)의 개구부(13)로부터 받아들인 음료수(w)를 상기 냉수 탱크(5) 밖으로 배출한다. 이 음료수(w)의 배출에 의해, 배출관(3), 즉 주관부(12) 내를 음료수(w)가 이동하고, 그 흐름에 이끌려, 유도관부(14)를 통하여 포켓부(11) 내의 공기(a)가 이끌리는 현상(도 1b의 화살표 y 참조)이 일어나, 그 결과, 냉수 탱크(5) 내의 공기(a)를 남김 없이 냉수 탱크(5)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냉수 탱크(5) 내에 잔존하는 공기(a)가 없어져, 그 결과, 음료수(w)와 공기(a)가 접촉할 기회를 줄여, 품질 유지상, 위생상 바람직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배기 수단으로서의 유도관부(14)는 종래의 배기 밸브와 같은 가동부를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고장이 적고 메인터넌스의 필요가 적은 배기 수단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출관(3)의 주관부(12)는 냉수 탱크(5) 내로의 개구부(13)가 그 냉수 탱크(5)의 하부에 하방을 향하고, 또한 그 주관부(12)는 그 개구부(13)로부터 상방으로 뻗어있어(상승부(12a)) 유도관부(14)와의 분기(r)에 이르고(수평부(12b)), 그 후에 주관부(12)는 하방으로 뻗어있어(하강부(12c)) 냉수 탱크(5)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배출관(3)의 주관부(12)의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주관부(12)로부터 분기되는 유도관부(14)가 상기 서술한 흡인의 효과를 발휘하여 포켓부(11) 내의 기체(a)를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자유로운 형태 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개구부(13)를 냉수 탱크(5)의 바닥부 가까이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승부(12a)를 생략 또는 길이를 단축(상기 거리 h3을 단축)하여, 상기 개구부(13)가 냉수 탱크(5) 내의 높이 방향 중간 정도, 또는 비교적 상부에서 개구하는 형태, 또는 하강부(12c)를 생략 또는 길이를 단축(상기 거리 h1을 단축)하여, 배출관(3)이 냉수 탱크(5)의 비교적 상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형태 등도 생각된다.
단, 주관부(12)와 유도관부(14)와의 분기(r)가 개구부(13)에 대해서 너무 가까우면, 그 분기(r) 부근에 있어서의 음료수(w)의 유속이 안정적이지 않고, 공기의 흡인력이 약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관부(12)와 유도관부(14)와의 분기(r)는 개구부(13)에 지나치게 가까이 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 반대로 주관부(12)와 유도관부(14)와의 분기(r)가 공급 밸브(7)에 너무 가까우면, 분기(r) 부근에 있어서의 음료수(w)의 유속이 안정적이지 않고, 마찬가지로 공기의 흡인력이 약해지는 경우가 있다고도 생각되므로, 주관부(12)와 유도관부(14)와의 분기는 공급 밸브(7)에 지나치게 가까이 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배출관(3)에 설치되는 공급 밸브(7)의 위치는 그것을 취급하는 사람이 조작하기 쉬운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공급 밸브(7) 아래에 컵이나 페트병을 둘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또 냉수 탱크(5)의 상부에는 음료수(w)의 공급원인 용기(1)를 장전할 필요가 있다.
이 점에서 특히 음료수용 서버를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탁상에 탑재하는 경 우를 상정하면, 공급 밸브(7)의 위치는 바닥면에 선 사람이 조작하기 쉬운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그 탁상에 있어서, 공급 밸브(7) 아래에 컵이나 페트병 등을 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탁상 음료수용 서버의 경우는 공급 밸브(7)의 위치는 필연적으로 그 책상이나 테이블에 대한 탑재면보다 일정 거리 이상 높은 위치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수용 서버(10)에서는, 음료수(w)를 외부에 공급하기 위한 배출관(3)은 냉수 탱크(5)의 바닥부로부터 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예를 들어 종래예를 도시한 도 6 참조), 그 배출관(3)에 설치되는 공급 밸브(7)보다 상방에 냉수 탱크(5)를 배치해야 한다. 이 때문에, 음료수용 서버(10)가 대형화한(장치의 높이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공급 밸브(7)의 높이는 조작하기 쉬운 높이, 컵이나 페트병 등에 대응한 높이에 한정되므로, 냉수 탱크(5)의 위치도 높아지는 것이다. 또 냉수 탱크(5)의 위치가 높아지면, 용기(1)의 장전 위치도 높아지므로, 그 용기(1)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게 되는 사태도 상정된다.
그 점에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배출관(3)은 상기 주관부(12)가 상기 분기(r)를 통과한 후이면, 냉수 탱크(5) 밖으로의 인출 위치는 자유이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강부(12c)를 생략 또는 길이를 단축(상기 거리 h1을 단축)함으로써 배출관(3)을 냉수 탱크(5)의 상방 부분에 있어서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음료수용 서버(10)의 경우와 비교하여, 냉수 탱크(5)에 대한 공급 밸브(7)의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즉, 이것에 의해 음료수용 서버(20)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장치가 소형화함으로써, 용 기(1)의 장전 위치를 낮게 설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용기(1)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이 효과는 이 실시형태 이외에, 이하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유효하며, 또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탁상에 탑재하여 사용되는 탁상 음료수용 서버(20)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관부(12)와 유도관부(14)와의 분기(r) 부근에 있어서, 그 주관부(12)의 내경을 앞뒤보다 작게 함으로써, 그 분기(r) 부근에서의 음료수(w)의 유속(도면 중 화살표 v1방향으로의 유속)을 높일 수 있다. 이 유속이 높아지면, 유도관부(14)를 통하여 작용하는 공기(a)의 흡인력(도면 중 화살표 y방향으로의 흡인력)도 높아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관부(12)와 유도관부(14)와의 분기(r) 부근에 있어서, 그 주관부(12)의 내경을 앞뒤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관부(12)의 내벽 중, 유도관부(14)가 분기되는 측의 면에 팽출부(12d)를 설치하고 있다. 팽출부(12d)는 유도관부(14)를 끼우고 상류측과 하류측의 쌍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기(r) 부근에서의 유속을 높이는 것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또한 온수 탱크(5')의 설치를 생략하고, 음료수(w)의 공급을 냉수 탱크(5)만으로 한 구성도 실시 가능하다. 이 때, 그 냉수 탱크(5)가 액체 저류 장치의 저류 탱크(T)로서 기능하는 점은 마찬가지이다.
다른 실시형태를 도 5a에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주된 구성은 상기 서술 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이하 설명한다.
이 음료수용 서버(20)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수 탱크(5)와 온수 탱크(5')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관(8)의 도중에 중간 탱크(15)를 설치한 점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냉수 탱크(5)에 있어서의 기체(a)의 배출 기능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그 냉수 탱크(5)로부터 인출된 배출관(3)을 통하여 음료수(w)를 냉수 탱크(5) 밖으로 배출함으로써 그 배출관(3) 내의 음료수(w)의 흐름에 의해 냉수 탱크(5) 내에 혼입된 공기(a)가 흡인되어, 공기(a)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연통관(8)의 도중에 설치한 상기 중간 탱크(15)도 공기(a)의 배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냉수 탱크(5)를 기체(a)의 배출 기능을 가지는 액체 저류 장치의 저류 탱크(T)로서 기능시키고 있는 것 외에, 중간 탱크(15)도 기체(a)의 배출 기능을 가지는 액체 저류 장치의 저류 탱크(T)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이하, 냉수 탱크(5)를 제1 탱크(5), 온수 탱크(5')를 제2 탱크(5')라고 한다. 제1 탱크(5)와 제2 탱크(5')는 상하 방향으로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탱크(5)로부터 인출한 제1 연통관(8b)은 하방으로 뻗어있어, 중간 탱크(15)의 덮개(15a)를 관통하여 그 내부 공간에 연통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제1 연통관(8b)의 하단은 중간 탱크(15)의 비교적 하부에 있어서 하방을 향해 개구하고 있다. 상기 제1 탱크(5) 내의 음료수(w)가 이 제1 연통관(8b)을 통하여 중간 탱 크(15)에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탱크(5')로부터의 열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연통관(8)을 제1 탱크(5)의 상부로부터 인출하고 있는 점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 중간 탱크(15)로부터는 제2 연통관(8c)이 인출되고, 그 제2 연통관(8c)은 상기 제2 탱크(5') 내의 공간에 연통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연통관(8c)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탱크(15) 내로의 개구부(18)를 가지는 주관부(17)와, 그 주관부(17)로부터 상방으로 분기되어 상기 중간 탱크(15) 내의 상부의 공간을 향하는 유도관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도관부(14)는 주관부(17)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관이며, 주관부(17)의 개구부(18)로부터 받아들인 음료수(w)를 제2 탱크(5')를 향하여 배출할 때에, 그 주관부(17) 내의 음료수(w)의 흐름에 의해, 상기 중간 탱크(15) 내의 공기(a)를 흡인하여 동시에 중간 탱크(15)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주관부(17) 내의 음료수(w)의 흐름이 생기면, 그 흐름에 의해 유도관부(14)에 하방을 향하는 흡인력이 작용하고, 그 결과 유도관부(14)의 개구(14a)로부터 공기(a)가 끌려 들어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중간 탱크(15) 내의 음료수(w)는 그 제2 연통관(8c)을 통하여 상기 중간 탱크(15) 밖으로 배출되고, 그 배출된 음료수(w)가 제2 탱크(5')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탱크(5')의 만수(滿水) 상태에 있어서, 그 제2 탱크(5')로부 터 인출된 배출관(3')의 공급 밸브(7')를 개방하여, 음료수(w)를 외부에 공급한다. 그렇게 하면 제2 탱크(5') 내의 음료수(w)의 수위가 내려간다. 그러나 그 수위의 저하에 따라, 중간 탱크(15)로부터 제2 연통관(8c)을 통하여 상기 주관부(17)의 개구부(18)로부터 받아들인 음료수(w)가 제2 탱크(5')에 유입되고, 그 제2 탱크(5') 내의 음료수(w)는 만수 상태로 보충된다.
지금부터 중간 탱크(15) 내의 상부에 공기(a)가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공기(a)는 예를 들어 제2 탱크(5') 내에 있어서의 음료수(w)의 가열에 의해 생길 수 있는 경우가 생각된다.
이와 같이 중간 탱크(15) 내에 공기(a)가 개재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중간 탱크(15) 내의 음료수(w)가 제2 탱크(5')를 향하여 중간 탱크(15) 밖으로 배출될 때에, 상기 중간 탱크(15) 내의 상부에 개재하는 공기(a)가 흡인되어 동시에 중간 탱크(15) 밖으로 배출된다. 즉, 개구부(18)로부터 음료수(w)가 주관부(17)에 흡인될 때에, 공기(a)가 음료수(w)와 함께 흡인된다.
또 중간 탱크(15) 내의 음료수(w)의 감소 및 그것에 수반되는 기체(a)의 배출에 따라, 그 감소된 음료수(w) 및 기체(a)가 개재되어 있던 공간에 알맞은 양의 음료수(w)가 제1 연통관(8b)을 통하여 제1 탱크(5)로부터 흘러내려, 중간 탱크(15) 내가 만수 상태가 되도록 음료수(w)가 보충된다.
이 때문에, 중간 탱크(15) 내에 잔존하는 공기(a)가 없어져, 그 결과, 음료수(w)와 공기(a)가 접촉할 기회를 줄여 품질 유지상, 위생상 바람직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통관(8c)의 주관부(17), 및 중간 탱크(15)의 구성으로서, 도 5b에 도시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도 5b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중간 탱크(15)는 그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포켓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포켓부(11)에 의해, 중간 탱크(15) 내의 공간은 그 최상부에 그 중간 탱크(15)의 상면보다 더욱 상방으로 돌출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즉, 이 포켓부(11) 내의 공간이 중간 탱크(15) 내에서 가장 상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탱크(15)의 상면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하면을 가지는 덮개(15a)로 닫혀져 있고, 그 평평한 하면에 대해 포켓부(11)의 내면이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또 그 평평한 하면은 포켓부(11)에 가까이 감에 따라 서서히 상승하는 경사면이며, 공기(a)를 포켓부(11)로 유도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켓부(11)는 중간 탱크(15)의 상면을 닫는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15a)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포켓부(11)는 덮개(15a)에 설치해도 되고, 덮개(15a)가 없는 경우에는 탱크의 상면과 일체로 설치해도 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음료수(w)를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연통관(8c)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탱크(15) 내로의 개구부(18)를 가지는 주관부(17)와, 그 주관부(17)로부터 상방으로 분기되어 상기 포켓부(11) 내의 공간을 향하는 유도관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점은 도 5(a)에 도시하는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유도관부(14)는 주관부(17)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관이며, 주관 부(17)의 개구부(18)로부터 받아들인 음료수(w)를 제2 탱크(5')를 향하여 배출할 때에, 그 주관부(17) 내의 음료수(w)의 흐름에 의해, 상기 포켓부(11) 내의 공기(a)를 소위 벤투리 효과에 의해 흡인하여 동시에 중간 탱크(15)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도 5b에 화살표 v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주관부(17) 내의 음료수(w)의 흐름이 생기면, 그 흐름에 의해 유도관부(14)에 화살표 y방향의 흡인력이 작용하고, 그 결과, 유도관부(14)의 개구(14a)로부터 공기(a)가 끌려 들어가는 것이다.
도 5(a) (b)에 도시한 이들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도 1a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수 탱크(5)(저류 탱크(T))와 마찬가지로, 중간 탱크(15)(저류 탱크(T)) 내에 있어서의 상기 주관부(17)의 상기 개구부(18)는 상기 중간 탱크(15) 내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상기 주관부(17)는 그 개구부(18)로부터 상승부(17a)로서 똑바로 상방으로 뻗어있어 가로방향으로 굴곡되고, 그 후에 수평부(17b)가 되어 가로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 상기 유도관부(14)와의 분기(r)는 이 수평부(17b)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또 그 주관부(17)는 상기 유도관부(14)와의 분기(r)를 가지는 수평부(17b)로부터 하강부(17c)로서 똑바로 하방으로 뻗어있고, 그 후에 상기 중간 탱크(15) 밖으로 인출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저류 장치의 작용, 즉, 저류 탱크(T)로서의 중간 탱크(15) 내에 혼입된 공기(a)의 배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지금부터 중간 탱크(15)의 포켓부(11) 내의 공간에 공기(a)가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공기(a)가 개재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제2 탱크(5')의 공급 밸브(7')를 여는 것에 의해(도 5a 참조), 그 제2 탱크(5') 내의 음료수(w)가 감소하면, 중간 탱크(15) 내의 음료수(w)가 제2 연통관(8c)을 통하여 제2 탱크(5')를 향하여 공급된다.
이 음료수(w)의 배출에 의해 제2 연통관(8c), 즉 주관부(17) 내를 음료수(w)가 이동하고, 그 흐름에 이끌려 유도관부(14)를 통하여 포켓부(11) 내의 공기(a)가 이끌리는 현상(도 5b의 화살표 y 참조)이 일어나, 그 결과, 중간 탱크(15) 내의 공기(a)를 남김 없이 중간 탱크(15)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한 중간 탱크(15)에 설치한 제2 연통관(8c)의 주관부(17)의 구성을, 예를 들어 도 1a나 도 5a에 도시한 음료수용 서버(20)에 있어서, 냉수 탱크(5)에 배치된 배출관(3)의 주관부(12)의 구성 대신에 채용해도 된다.
또 이들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저류 장치로서 음료수용 서버(20)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성은 예를 들어 각종 액체의 운반용 탱크나 보관용 탱크 등, 그 밖에 각종 액체를 저장, 보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각종 저류 탱크를 구비한 액체 저류 장치로서 채용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형태의 전체도
도 1b는 도 1a의 요부 확대도
도 2(a)~(d)는 동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음료수용 서버의 전체도
도 4는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 확대도
도 5a는 또 다른 실시형태의 전체도
도 5b는 도 5a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종래예의 전체도
도 7(a) (b)는 종래예의 배기 밸브의 요부 확대도
<부호의 설명>
1…용기 2…배기 밸브
3, 3', 9…배출관 4…통기구멍
5…냉수 탱크(제1 탱크) 5'…온수 탱크(제2 탱크)
5a, 15a…덮개 5b…칸막이판
6…도수관 7, 7'…공급 밸브
8…연통관 8a, 9a…개폐 밸브
8b…제1 연통관 8c…제2 연통관
10, 20…음료수용 서버 11…포켓부
12, 17…주관부 12a, 17a…상승부
12b, 17b…수평부 12c, 17c…하강부
13, 18…개구부 14…유도관부
14a…개구 15…중간 탱크
21…용기 수납부 22…본체
a…기체(공기) w…음료수
T…저류 탱크

Claims (9)

  1. 내부에 액체(w)를 저류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저류 탱크(T;5, 15) 내로부터 상기 저류 탱크(T;5, 15) 밖으로 배출관(3, 8c)을 인출하고, 그 배출관(3, 8c)을 통하여 상기 저류 탱크(T;5, 15) 내의 액체(w)를 상기 저류 탱크(T;5, 15) 밖으로 배출 가능하게 한 액체 저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3, 8c)은 상기 저류 탱크(T;5, 15) 내로의 개구부(13, 18)를 가지는 주관부(12, 17)와 그 주관부(12, 17)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저류 탱크(T;5, 15) 내의 상부를 향하는 유도관부(14)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관(3, 8c)을 통하여 상기 주관부(12, 17)의 개구부(13, 18)로부터 받아들인 액체(w)를 상기 저류 탱크(T;5, 15) 밖으로 배출할 때에, 상기 유도관부(14)를 통하여 상기 저류 탱크(T;5, 15) 내의 상부에 개재하는 기체(a)를 흡인하여 동시에 상기 저류 탱크(T;5, 15)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과, 그 배출한 기체(a)가 개재되어 있던 공간에 알맞은 양의 액체(w)를 상기 저류 탱크(T;5, 15) 내에 보충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 탱크(T;5, 15) 내의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포켓부(11)를 설치하고, 상기 유도관부(14)의 개구(14a)는 상기 포켓부(11) 내의 공간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3, 18)는 상기 저류 탱크(T;5, 15)의 하부를 향하고, 상기 주관부(12)는 그 개구부(13, 18)로부터 상방으로 뻗어있어, 상기 유도관부(14)와의 분기(r)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류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관부(12, 17)는 상기 유도관부(14)와의 분기(r)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어, 상기 저류 탱크(T;5, 15)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류 장치.
  5. 제 1 항에 기재된 액체 저류 장치를 구비한 음료수용 서버로서, 저류 탱크(T;5)로부터 상방으로 뻗어있는 도수관(6)에 대해서, 내부에 액체(w)를 수용한 용기(1)가 착탈 가능하며, 상기 용기(1) 내의 액체(w)가 상기 도수관(6)을 통하여 상기 저류 탱크(T;5)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 서버.
  6. 제 1 항에 기재된 액체 저류 장치를 구비한 음료수용 서버로서, 내부에 액체(w)를 저류 가능한 제1 탱크(5)를 상방에 제2 탱크(5')를 하방에 병렬로 설치하고, 상기 제1 탱크(5)로부터 인출한 제1 연통관(8b)을 저류 탱크(T;15)에 접속하여 상기 제1 탱크(5) 내의 액체가 상기 저류 탱크(T;15)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저류 탱크(T;15)로부터 인출한 제2 연통관(8c)을 상기 제2 탱크(5')에 접속하여, 그 저류 탱크(T;15) 내의 액체가 그 제2 연통관(8c)을 통하여 상기 저류 탱크(T;15) 밖으로 배출되어 그 배출되는 액체(w)가 상기 제2 탱크(5')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연통관(8c)은 상기 저류 탱크(T;15) 내로의 개구부(18)를 가지는 주관부(17)와 그 주관부(17)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저류 탱크(T;15) 내의 상부를 향하는 유도관부(14)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통관(8c)을 통하여 상기 주관부(17)의 개구부(18)로부터 받아들인 액체(w)를 상기 저류 탱크(T;15) 밖으로 배출할 때에, 상기 유도관부(14)를 통하여 상기 저류 탱크(T;15) 내의 상부에 개재하는 기체(a)를 동시에 상기 저류 탱크(T;15)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그 배출한 액체(w) 및 기체(a)가 개재되어 있던 공간에 알맞은 양의 액체(w)를 제1 탱크(5)로부터 상기 저류 탱크(T;15) 내에 보충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류 장치를 구비한 음료수용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8)는 상기 저류 탱크(T;15)의 하부를 향하고, 상기 주관부(17)는 그 개구부(18)로부터 상방으로 뻗어있어, 상기 유도관부(14)와의 분기(r)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류 장치를 구비한 음료수용 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관부(17)는 상기 유도관부(14)와의 분기(r)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어, 상기 저류 탱크(T;15)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류 장치를 구비한 음료수용 서버.
  9. 제 2 항에 기재된 액체 저류 장치의 저류 탱크(T;5, 15) 내에 혼입된 기체(a)의 배기 방법으로서, 상기 배출관(3, 8c)은 상기 저류 탱크(T;5, 15) 내로의 개구부(13, 18)를 가지는 주관부(12, 17)와 그 주관부(12, 17)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포켓부(11) 내의 공간을 향하는 유도관부(14)를 구비하고,
    상기 주관부(12, 17)의 개구부(13, 18)로부터 받아들인 액체(w)를 상기 저류 탱크(T;5, 15) 밖으로 배출할 때에, 상기 유도관부(14)를 통하여, 상기 저류 탱크(T;5, 15)의 상부에 개재하는 기체(a)를 흡인하여 동시에 상기 저류 탱크(T;5, 15) 밖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류 장치의 저류 탱크의 배기 방법.
KR1020090133023A 2009-08-11 2009-12-29 액체 저류 장치 KR101666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86385A JP4824105B2 (ja) 2009-08-11 2009-08-11 液体貯留装置
JPJP-P-2009-186385 2009-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375A KR20110016375A (ko) 2011-02-17
KR101666077B1 true KR101666077B1 (ko) 2016-10-13

Family

ID=4376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023A KR101666077B1 (ko) 2009-08-11 2009-12-29 액체 저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824105B2 (ko)
KR (1) KR101666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7129A1 (ja) * 2011-05-18 2012-11-22 橋本精工 株式会社 容器のエア抜き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059963B1 (ja) * 2011-10-17 2012-10-31 橋本精工 株式会社 容器のエア抜き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650153B2 (ja) * 2012-02-20 2015-01-07 株式会社Brigeas 容器のエア抜き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069810B1 (ja) * 2012-05-31 2012-11-07 橋本精工 株式会社 容器のエア抜き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103784014B (zh) * 2013-12-18 2015-10-1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车载饮水装置
KR101709295B1 (ko) * 2015-07-20 2017-02-23 주식회사 비.엘.아이 냉온음료 공급기
WO2018207980A1 (ko) * 2017-05-08 2018-11-15 이천림 워터 서버
CN110215121A (zh) * 2018-03-02 2019-09-10 云南中科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饮水机水质智能处理方法及智能饮水机
CN108478002A (zh) * 2018-04-08 2018-09-04 肖晓臻 一种基于互联网通信技术的智联模块
CN109567591A (zh) * 2018-12-19 2019-04-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净饮机冰胆组件及净饮机
CN112823724B (zh) * 2019-11-20 2022-06-24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冷罐和饮水机
CN112823726B (zh) * 2019-11-20 2022-06-24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冷罐和饮水机
CN111772477A (zh) * 2020-06-08 2020-10-16 熊涛 一种用于桶装水饮水机的进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4687A (ja) 2001-09-26 2003-04-03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体充填方法及び液体充填装置
JP2005231674A (ja) 2004-02-19 2005-09-02 Asahi Breweries Ltd 充填装置
JP2009035322A (ja) 2007-08-03 2009-02-19 Fujiyama Corp 飲料水用サーバ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3296A (ja) * 1994-11-10 1996-10-01 Fuji Electric Co Ltd 飲料用冷水ディスペンサ
JP3886282B2 (ja) * 1999-01-27 2007-02-28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JP2005170432A (ja) * 2003-12-10 2005-06-30 Fuji Techno Kk 飲料サーバー
US7348996B2 (en) * 2004-09-20 2008-03-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and system for pixel sampling
EP1806314A1 (en) * 2006-01-09 2007-07-11 Nestec S.A. Device for dispensing a beverage with a controlled air inlet, and method therefor
JP4859850B2 (ja) * 2008-01-11 2012-01-25 株式会社フジヤマ 飲料水用サー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4687A (ja) 2001-09-26 2003-04-03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体充填方法及び液体充填装置
JP2005231674A (ja) 2004-02-19 2005-09-02 Asahi Breweries Ltd 充填装置
JP2009035322A (ja) 2007-08-03 2009-02-19 Fujiyama Corp 飲料水用サー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37479A (ja) 2011-02-24
JP4824105B2 (ja) 2011-11-30
KR20110016375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077B1 (ko) 액체 저류 장치
KR101174310B1 (ko) 음료수용 서버 및 이 음료수용 서버를 사용한 음료수의 공급 방법
ES2926316T3 (es) Sistema de dispensación de fluido criogénico con un depósito de refrigeración
WO2010116544A1 (ja) 飲料ディスペンサ
US8790001B2 (en) Method for reservoir mixing in a municipal water supply system
JP6084484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1148532A (ja) 飲料水用サーバー
KR20140143211A (ko) 워터 서버
JP5558971B2 (ja) 液体貯留装置
JP4630913B2 (ja) 飲料水用サーバー及びその飲料水用サーバーに用いる貯水タンク用の排気手段
US9394866B2 (en) Fuel supply system and method
CN114158927A (zh) 多功能饮水机
JP2019006404A (ja) 飲料供給装置
WO2011071440A1 (en) Arrangement for fuel supply to an engine
WO2013057846A1 (ja) 容器のエア抜き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4859850B2 (ja) 飲料水用サーバー
CN112955635A (zh) 柴油排气流体罐排放系统
CN217309877U (zh) 多功能饮水机
ES2940325T3 (es) Sistema dispensador de líquido criogénico que tiene un depósito elevado
SK9566Y1 (sk) Systém na absorbovanie expanzie vody a vykurovacie zariadenie vybavené týmto systémom
CN217712778U (zh) 一种小型船舶供油系统
JP2004138321A (ja) 液位調整機構付き恒温液循環装置
CN113710962A (zh) 太阳能热系统
JP2000225060A (ja) 給液装置
ES2735826A1 (es) Sistema y metodo de monitorizacion del volumen de un liquido en depositos a pre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