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310B1 - 음료수용 서버 및 이 음료수용 서버를 사용한 음료수의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수용 서버 및 이 음료수용 서버를 사용한 음료수의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310B1
KR101174310B1 KR1020080003797A KR20080003797A KR101174310B1 KR 101174310 B1 KR101174310 B1 KR 101174310B1 KR 1020080003797 A KR1020080003797 A KR 1020080003797A KR 20080003797 A KR20080003797 A KR 20080003797A KR 101174310 B1 KR101174310 B1 KR 101174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water storage
contain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078A (ko
Inventor
구니히로 후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야마
Publication of KR2009001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2001/1488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과제) 음료수가 공기에 접하는 것을 억제하여,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해결 수단) 저수 탱크 (10)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수관 (11) 에 수지제 용기 (1) 가 착탈 가능하고, 그 수지제 용기 (1) 는 내부의 음료수 (w) 가 감소할 때에 수축 변형되어 공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저수 탱크 (10) 내의 상단에 공기 밸브 (28) 를 설치하고, 그 공기 밸브 (28) 를 개재하여 상기 저수 탱크 (10) 내의 공기 (a) 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저수 탱크 (10) 내를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기 (a) 의 배출에 의해 저수 탱크 (10) 내의 만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가 공기에 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저수 탱크 (10) 의 하부에 설치한 온수 탱크 (30) 에 통하는 급수관 (32) 을 그 저수 탱크 (10) 의 상부에 접속했으므로, 급수관 (32) 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온수 탱크 (30) 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여, 그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수용 서버 및 이 음료수용 서버를 사용한 음료수의 공급 방법{DRINKING WATER SERVER AND METHOD OF FEEDING DRINKING WATER USING THE SERVER}
이 발명은 용기에 수용된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탱크 내에 저장한 후, 그 저장한 음료수를 상온 또는 냉온에서, 또는, 그 저장한 음료수를 가열하여 적당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음료수용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료수용 서버는, 예를 들어,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수 탱크 (10)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수관 (11) 에 용기 (1) 가 착탈 가능하고, 그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그 자중에 의해, 도수관 (11) 을 통하여 저수 탱크 (10)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다.
이 용기 (1) 는 경질의 수지 등으로 성형되어 있어, 미리 살균 처리 등이 실시된 상태의 음료수 (w) 가, 예를 들어, 20 리터 정도의 단위로 봉입되어, 밀폐된 상태로 시장에 공급된 것이다. 용기 (1) 가 경질의 수지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의 음료수 (w) 가 감소해도 그 형상이 유지된다.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저수 탱크 (10) 를 향해 서서히 흘러내려 감과 함께, 용기 (1) 내에는 도수관 (11) 을 통하여 서서히 저수 탱크 (10) 내의 공기 (a) 가 비집고 들어가 그 용기 (1) 내의 기압이 평상시대로 유지된다. 동시에, 저수 탱크 (10) 내의 공기 (a) 는 음료수 (w) 가 유입됨으로써 환기구 (13) 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저수 탱크 (10) 내의 수위가 도 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수관 (11) 의 하단에 이르면, 용기 (1) 에 대한 공기 (a) 의 유입이 멈춘다. 이 때문에,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도록 하는 음료수 (w) 의 흘러내림 압에 의해 용기 (1) 내가 이른바 부압 상태가 되어, 그 이상의 음료수 (w) 의 흘러내림을 불가능하게 한다. 즉, 저수 탱크 (10) 내의 액면에 작용하는 공기압과 용기 (1) 내의 액면에 작용하는 공기압의 밸런스에 의해, 용기 (1) 내에서 저수 탱크 (10) 로의 물의 흘러내림이 자동적으로 멈추게 되어 있다.
또, 그 저수 탱크 (10) 에서 송수관 (21) 이 인출되어 있고, 그 송수관 (21)에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공급 밸브 (20) 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 밸브 (20) 를 개방하면,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가 적당히 외부로 공급될 수 있고, 또, 공급 밸브 (20) 를 폐쇄하면, 그 공급이 멈추게 되어 있다.
또, 이 송수관 (21) 으로부터의 음료수 (w) 의 공급에 의해, 저수 탱크 (10) 내의 수위가 저하되면, 도 5(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수위가 도수관 (11) 의 하단에 도달하여 상기 공기압의 밸런스가 잡히는 상태가 될 때까지,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저수 탱크 (10) 내로 흘러내려, 저수 탱크 (10) 내의 수위가 유지된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질의 수지 등,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형 성된 용기 (1) 를 사용하는 음료수용 서버도 있다.
이 용기 (1) 는, 전술한 경질의 수지를 사용한 용기 (1) 와 동일하게, 미리 살균 처리 등이 실시된 상태의 음료수 (w) 가, 예를 들어, 20 리터 정도의 단위로 봉입되어, 밀폐된 상태로 시장에 공급된 것이다. 용기 (1) 가 연질의 수지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의 음료수 (w) 가 감소하면, 그에 따라 변형되어 내부의 용적이 수축하게 되어 있다.
이 음료수용 서버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된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상기 저수 탱크 (10) 내로 흘러내려 그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감소하면, 상기 용기 (1) 는 수축 변형되어 그 용기 (1) 내에 공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6(b) 참조). 도면 중의 부호 15 는 통기구을 나타내고, 부호 16 은 그 통기구 (15) 에 설치되는 필터를 나타낸다.
도수관 (11) 의 하단에 설치한 플로트 밸브 (14) 가 저수 탱크 (10) 내의 수위 변동에 수반하여 그 도수관 (11) 의 하단 통로를 개폐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기 (1) 내에서 저수 탱크 (10) 로의 물의 흘러내림는 저수 탱크 (10) 내의 수위가 상승하여 소정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플로트 밸브 (14) 가 도수관 (11) 의 하단 통로를 닫음으로써, 자동적으로 멈추게 되어 있다 (도 6(c) 참조).
또, 송수관 (21) 으로부터의 음료수 (w) 의 공급에 의해, 저수 탱크 (10) 내의 수위가 저하되면, 플로트 밸브 (14) 가 도수관 (11) 의 하단 통로를 개방함으로써,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저수 탱크 (10) 내로 흘러내려, 그 수위가 유지 된다 (도 6 (d) 참조).
즉, 이 음료수용 서버에서는, 가요성을 갖는 용기 (1) 를 사용하는 점에서, 그 용기 (1) 내로 공기 (a) 가 비집고 들어가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경질의 용기 (1) 를 사용한 음료수용 서버와는 달리, 용기 (1) 에 통하는 도수관 (11) 을 밸브를 사용하여 직접 개폐함으로써, 음료수 (w) 의 흘러내림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저수 탱크 (10) 에 냉각 장치 (도시하지 않음) 를 설치하여,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를 냉각시켜 냉수로서 공급하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한 음료수 (w) (음료수 (h)) 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음료수용 서버도 있다.
이 음료수용 서버는 상기 저수 탱크 (10) 의 하부에 가열 장치 (31) 를 구비한 온수 탱크 (30) 를 설치하고, 그 온수 탱크 (30) 와 상기 저수 탱크 (10) 가 급수관 (32) 에서 접속되어 있다.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가 그 급수관 (32) 을 통하여 상기 온수 탱크 (30)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어, 온수 탱크 (30) 내의 음료수 (w) 는 가열 장치 (31) 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온수 탱크 (30) 에서 제 2 송수관 (25) 이 인출되어 있고, 그 제 2 송수관 (25) 에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제 2 공급 밸브 (24)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공급 밸브 (24) 를 개방하면, 온수 탱크 (30) 내의 음료수 (w) (가열된 「음료수 (w)」 를, 이하 「음료수 (h)」 를 기재한다.) 가 적당히 외부로 공급될 수 있고, 또, 제 2 공급 밸브 (24) 를 폐쇄하면, 그 공급이 멈추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저수 탱크 (10) 에 설치되는 송수관 (21), 공급 밸브 (20) 를 생략하고, 가열된 「음료수 (h)」 만을 공급하도록 한 음료수용 서버도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4494호
상기의 도 5 에 나타내는 음료수용 서버에 의하면, 수지제 용기 (1) 내, 또는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가 항상, 공기 (a) 에 접한 상태가 된다.
음료수 (w) 는 가능한 한 공기 (a) 에 접하지 않는 것이 위생 관리상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도 6 에 나타내는 음료수용 서버에 의하면, 수지제 용기 (1) 내에는 공기 (a) 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가 공기 (a) 에 접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음료수용 서버에 의하면, 온수 탱크 (30) 내의 음료수 (h) 는 온도가 높기 때문에, 그 음료수 (h) 가 가열과 함께 팽창하여, 급수관 (32) 내를 역류하여 상승되는 경우가 있다.
가열된 음료수 (온수) (h) 가 급수관 (32) 내를 역류하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급수관 (32) 의 저수 탱크 (10) 측의 개구부 (32a) 로부터 가열된 음료수 (h) 가 저수 탱크 (10) 내로 비집고 들어가,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또, 그 급수관 (32) 의 관체 자체가 열전도체로서 기능하여,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 경향은 저수 탱크 (10) 에 냉각 장치를 구비한 경우, 양 탱크 (10,30) 내의 음료수 (w, h) 의 온도차가 커지므로, 보다 현저하다.
본래, 가열되어서는 안 될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은 음료수 (w) 의 관리상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이 발명은 음료수가 공기에 접하는 것을 극력 억제하는 것을 제 1 과제로 하고, 가열한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수용 서버에 있어서는,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제 2 과제로 한다.
상기 제 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저수 탱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수관에 용기가 착탈 가능하고, 상기 용기 내의 음료수가 그 도수관을 통하여 저수 탱크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고, 그 저수 탱크에서 송수관을 인출하여 그 송수관에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공급 밸브를 설치하고, 그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용기는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내의 음료수가 상기 저수 탱크 내로 흘러내려 그 용기 내의 음료수가 감소될 때에, 상기 용기는 수축 변형되어 그 수지제 용기 내에 공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음료수용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 내의 상단에 공기 밸브를 설치하고, 그 공기 밸브를 개재하여 상기 저수 탱크 내의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용기 내의 음료수를 흘러내려, 그 저수 탱크 내를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채용하였다.
이와 같이, 용기에 통하는 도수관을 개폐하는 것이 아니라, 저수 탱크 내의 상단에 설치한 공기 밸브를 개재하여 용기로부터의 음료수의 흘러내림을 제어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그 공기 밸브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면 저수 탱크 내를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기 내뿐만 아니라,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도 공기에 접하는 것을 극력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용기는 내부의 음료수의 감소에 수반하여 수축 변형되어 그 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의 상방에 공기가 개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공기를 공기 밸브를 개재하여 배출시키면, 그 공기의 배출과 함께, 용기 내로 공기를 혼입시키지 않고 음료수를 더욱 저수 탱크 내로 흘러내리게 하여, 그 저수 탱크를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만수 상태란, 저수 탱크 내의 공기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또는, 만일, 약간의 공기가 개재된다고 해도 공기가 거의 완전히 없어진 상태에 가까운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그 만수 상태가 될 때까지, 저수 탱크 내에 음료수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 밸브는 수동 조작에 의해 개폐를 실시하여, 적당한 타이밍에 저수 탱크 내에 개재하는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 구성을 채용해도 되지만, 예를 들어, 공기 밸브로서 저수 탱크 내의 수위의 변동에 수반하여 승강되는 플로트 밸브 본체에 의해 개폐되는 구성을 채용하면, 그 플로트 밸브의 승강에 의해 자동적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상기 저수 탱크의 하부에 가열 장치를 구비한 온수 탱크를 설치하고, 그 온수 탱크와 상기 저수 탱크가 급수관에서 접속되어, 상기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가 그 급수관을 통하여 가열 탱크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열 탱크에서 제 2 송수관을 인출하여 그 제 2 송수관에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제 2 공급 밸브를 설치하여, 그 가열 탱크 내의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급수관을 상기 저수 탱크의 상부 또는 상기 도수관에 접속한 구성을 채용하였다.
상기 제 1 과제를 해결한 것에 수반하여,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는 항상 만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저수 탱크와 온수 탱크의 급수관을 저수 탱크의 상부 또는 도수관에 접속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게 되었다.
급수관을 저수 탱크의 상부 또는 그 저수 탱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수관에 접속할 수 있으면, 급수관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가열된 음료수의 역류에 의한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의 온도 상승, 및, 그 급수관 자체를 통한 열전도에 의한 온도 상승을 막을 수 있다.
이 급수관은 온수 탱크의 하부에서 인출하면, 더욱 급수관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 저수 탱크와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급수관을 저수 탱크의 상부 또는 도수관에 접속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급수관을 저수 탱크 밖에 배관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급수관을 저수 탱크 내로 비집고 들어가게 하여 그 중앙부에서 취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급수관이 저수 탱크 밖에 배관되어 있으면, 그 급수관과 저수 탱크의 상부 또는 상기 도수관과의 접속부에 개폐 밸브 (폐지 밸브) 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저수 탱크 밖이면, 개폐 밸브의 조작, 장착이 용이하고, 또, 그 개폐 밸브의 장치로서 범용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 밸브 (폐지 밸브) 를 설치하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따른 것이다.
즉, 종래, 저수 탱크와 온수 탱크를 병설한 음료수용 서버에 있어서, 예를 들어, 여름철 등 온수를 사용하지 않는 시기에는, 가열 장치를 작동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온수 탱크로부터의 음료수의 공급을 멈추게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 이 상태에서는 온수 탱크 내에 장기에 걸쳐 음료수가 체류하게 되기 때문에, 급수관의 도중에 개폐 밸브 (폐지 밸브) 를 설치하여 온수 탱크로 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급수관의 상단이 저수 탱크 내로 비집고 들어가 있는 경우, 그 급수관의 상단에 개폐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개폐 밸브를 급수관의 도중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되어 있었다. 개폐 밸브를 급수관의 도중에 설치하면, 그 급수관의 상단과 개폐 밸브 사이에 물의 체류 (이른바 「죽은 물」) 가 발생되게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급수관을 저수 탱크의 상부 또는 상기 도수관에 접속함에 따라, 그 급수관의 상단 근처에 개폐 밸브를 설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급수관 내의 물의 체류를 보다 확실히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에 설치되는 송수관, 공급 밸브를 생략하고, 온수 탱크를 통하여, 가열된 음료수만을 공급하도록 한 음료수용 서버도 있다.
그 구성은 저수 탱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수관에 용기가 착탈 가능하고, 상기 용기 내의 음료수가 그 도수관을 통하여 저수 탱크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 어 있어, 상기 저수 탱크의 하부에 가열 장치를 구비한 온수 탱크를 설치하고, 그 온수 탱크와 상기 저수 탱크가 급수관에 의해 접속되어, 상기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가 그 급수관을 통하여 상기 온수 탱크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고, 상기 온수 탱크에서 송수관을 인출하여 그 송수관에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공급 밸브를 설치하여 그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용기는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내의 음료수가 상기 저수 탱크 내로 흘러내려 그 용기 내의 음료수가 감소할 때에, 상기 용기는 수축 변형되어 그 용기 내에 공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음료수용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 내의 상단에 공기 밸브를 설치하고, 그 공기 밸브를 개재하여 상기 저수 탱크 내의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용기 내의 음료수를 흘러내리게 하여, 그 저수 탱크 내를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 서버이다.
또한, 상기의 각 구성에 있어서의 음료수용 서버를 사용하면, 용기가 내부의 음료수의 감소에 수반하여 수축 변형되어 그 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점에서, 다음의 음료수의 공급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의 상방에 공기가 개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공기를 저수 탱크의 상부에 설치한 공기 밸브를 개재하여 배출시키면, 그 공기의 배출과 함께, 용기 내로 공기를 혼입시키지 않고 음료수를 더욱 저수 탱크 내로 흘러내리게 하여 그 저수 탱크를 만수 상태로 유지하는 음료수의 공급 방법이다.
또한, 저수 탱크에 저장한 음료수는 그 저수 탱크에서 인출한 송수관, 그 송수관에 설치한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공급 밸브를 개재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 방법을 채용해도 되고, 그 대신에, 또는 그것에 추가하여,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그 하방에 설치한 온수 탱크로 유도하여, 그 온수 탱크 내에서 가열된 음료수를, 그 온수 탱크로부터 인출한 송수관, 그 송수관에 설치한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공급 밸브를 개재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즉, 이 공급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저수 탱크 내의 공기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또는, 만일, 약간의 공기가 개재한다고 해도 공기가 거의 완전히 없어진 상태에 가까운 상태가 될 때까지, 저수 탱크 내에 음료수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저수 탱크를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발명은, 이상과 같이 하였으므로, 음료수가 공기에 접하는 것을 극력 억제할 수 있고, 또, 가열한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음료수용 서버에 있어서는,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음료수용 서버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 장치 (29) 를 구비한 저수 탱크 (10)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수관 (11) 에 수지제 용기 (용기) (1) 가 착탈 가능하고, 그 수지제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그 자중에 의해, 도수관 (11) 을 통하여 저수 탱크 (10)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다.
수지제 용기 (1) 및 저수 탱크 (10) 는 각각, 도 1 에 나타내는 음료수용 서버 (2) 의 용기 수납부 (3), 및 본체 (4) 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 저수 탱크 (10) 로부터 송수관 (21) 이 인출되어 본체 (4) 밖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송수관 (21) 에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공급 밸브 (20) 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참조).
공급 밸브 (20) 를 개방하면,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가, 도 1 에 나타내는 공급부 (5) 로부터, 적당히 외부의 컵이나 패트병 등의 용기로 공급될 수 있고, 또, 공급 밸브 (20) 를 폐쇄하면, 그 공급이 멈추게 되어 있다. 그 공급 밸브 (20) 의 개폐는 상기 공급부 (5) 에 설치한 레버 조작에 의해 가능하다.
또, 이 음료수용 서버 (2) 에는, 상기 저수 탱크 (10) 의 하부에 가열 장치 (31) 를 구비한 온수 탱크 (30) 가 설치되고 있어, 그 온수 탱크 (30) 와 상기 저수 탱크 (10) 가 급수관 (32)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급수관 (32) 은 상기 저수 탱크 (10) 의 상부와 온수 탱크 (30) 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급수관 (32) 을 통하여,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 (30)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냉각 장치 (29) 는, 예를 들어, 파이프 내에 냉매가 흐르는 등으로 하여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를 냉각하는 기능을 구비한 주지의 냉각 수단을 채용할 수 있고, 또, 가열 장치 (31) 는 통전에 의해 온수 탱크 (30) 내의 음료수 (w) 를 가열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열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온수 탱크 (30) 및 가열 장치 (31) 등도, 각각, 도 1 에 나타내는 음료수용 서버 (2) 의 본체 (4) 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 온수 탱크 (30) 로부터 측방으로 제 2 송수관 (25) 이 인출되어 본체 (4) 밖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제 2 송수관 (25) 에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제 2 공급 밸브 (24) 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공급 밸브 (20) 를 개방하면, 온수 탱크 (10) 내의 가열된 음료수 (h)가, 도 1 에 나타내는 공급부 (6) 로부터, 적당히 외부의 컵이나 패트병 등의 용기로 공급될 수 있고, 또, 공급 밸브 (24) 를 폐쇄하면, 그 공급이 멈추게 되어 있다. 그 제 2 공급 밸브 (24) 의 개폐는, 마찬가지로, 상기 공급부 (6) 에 설치한 레버 조작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저수 탱크 (10) 및 온수 탱크 (30) 의 저부에는, 각각 배출 밸브 (22, 26) 가 부착된 배출관 (23, 27) 이 설치되어 있다. 배출 밸브 (22, 26) 는 함께, 통상적으로는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배출 밸브 (22, 26) 를 각각 개방함으로써, 저수 탱크 (10) 및 온수 탱크 (30) 의 저부에 침전된 이물질 등을 내부의 음료수 (w) 와 함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 (10) 나 온수 탱크 (30) 의 저부를,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저수 탱크 (10) 와 같이, 하부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좁아지는 테이퍼상으로 하여, 상기 배출관 (23, 27) 을 그 테이퍼상의 저부의 최하 단부에 개구하여 설치하면, 이물질의 배출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내부에 음료수 (w) 를 수용한 수지제 용기 (1) 는 미리 살균 처리 등이 실시된 상태의 음료수 (w) 가 봉입되어 밀폐된 상태로 시장에 공급되는 것으로, 그 수지제 용기 (1) 의 개구부에, 상기 저수 탱크 (10)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수관 (11) 을 꽂을 수 있다.
이 수지제 용기 (1) 의 착탈 구조로서는, 주지의 구조를 채용해도 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지제 용기 (1) 의 개구부 내에 상기 도수관 (11) 을 꽂도록 장착함으로써, 수지제 용기 (1) 가 대좌 (17) 에 의해 유지됨과 함께, 그 개구부와 도수관 (11) 사이의 액밀이 패킹 등에 의해 유지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지제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주위에 흘러넘치지 않고, 도수관 (11) 을 통하여 저수 탱크 (10) 내로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지제 용기 (1) 의 개구부 내주와 도수관 (11) 외주의 사이는 액밀이 유지되고 있지만, 만일, 약간의 음료수 (w) 가 있었을 경우, 그 음료수 (w) 는 대좌 (17) 의 오목부 (17a) 의 바닥에 형성한 배출로 (18a, 18c) 를 통하여 받이부 (19) 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좌 (17) 의 오목부 (17a) 내로 흘러넘친 물이 체류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수지제 용기 (1) 는 가요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수지제 용기 (1) 의 개구부를 하향으로 하여 그 개구부 내에 상기 도수관 (11) 을 꽂으면, 내부의 음료수 (w) 가 그 자중에 의해 저수 탱크 (10) 내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려간다. 이 때, 수지제 용기 (1) 내의 음료수 (w) 의 감소와 함께, 수지제 용기 (1) 는 그 내부의 용적이 감소하도록 수축 변형되어, 그 수지제 용기 (1) 내에 공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수 탱크 (10) 내의 상단에 공기 밸브 (28) 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밸브 (28) 는 저수 탱크 (10) 의 상단에 설치한 볼록부 (10a) 에 면하도록 설치되어, 도 2(b)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수철 등의 탄성 부재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밸브체 (28a) 가 폐밸브 방향으로 탄성지지 되어 있다. 또, 그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밸브축 (조작부) (28b) 을 손으로 누름으로써 밸브체 (28a) 가 개밸브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저수 탱크 (10) 내에 저장된 음료수 (w) 의 액면 상에 공기 (a) 가 개재하여, 그 공기 (a) 가 볼록부 (10a) 내로 비집고 들어가는 경우에 있어서, 밸브축 (조작부) (28b) 을 손으로 누르면, 이러한 공기 (a) 를 공기 밸브 (28) 를 개재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공기 밸브 (28) 는 볼록부 (10a) 내에 개재하는 공기 (a) 를 남김없이 배출할 수 있도록, 볼록부 (10a) 내의 최상부에 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음료수용 서버 (2) 의 작용을 설명하면, 저수 탱크 (10) 내에 음료수 (w) 가 전혀 없는 상태에 있어서, 수지제 용기 (1) 를 도수관 (11) 에 꽂아서 대좌 (17) 에 수지제 용기 (1) 를 고정시킨다. 수지제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그 자중에 의해, 서서히 저수 탱크 (10) 내로 흘러내려 감과 함께, 수지제 용기 (1) 는 수축 변형되어 간다.
음료수 (w) 의 흘러내림에 의해 저수 탱크 (10) 내의 공기압이 상승되면, 그 공기압의 상승에 의해 음료수 (w) 의 흘러내림이 자동적으로 일시 정지한다. 이 때, 공기 밸브 (28) 를 개방하여 내부의 공기 (a) 를 저수 탱크 (10) 밖으로 배출시키면, 다시 음료수 (w) 의 흘러내림이 개시된다.
이 때문에, 저수 탱크 (10) 내에 있는 정도의 양의 음료수 (w) 가 모일 때까지, 공기 밸브 (28) 를 일정한 시간, 개방 상태로 유지해 두어도 되고, 또는, 음료수 (w) 의 흘러내림 상황을 보면서, 흘러내림이 멈추면 그 때마다 공기 밸브 (28) 를 개방하는 등, 단속적으로 개방 조작을 실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저수 탱크 (10) 내의 물은 서서히 수위를 늘려 가, 그 수위가 급수관 (32) 의 상단에 있어서의 저수 탱크 (10) 측의 개구부 (32b) 에 이르면, 그 급수관 (32) 을 통하여 온수 탱크 (30) 에도 그 자중에 의해 흘러내려 간다. 이 때, 온수 탱크 (30) 내에 있어서도, 상기 저수 탱크 (10) 와 동일한 공기 (a) 의 배출 조작을 실시한다. 즉, 예를 들어, 급수관 (32) 으로부터의 음료수 (w) 의 흘러내림이 정지된 경우에는, 적당히, 제 2 공급 밸브 (24) 를 개방하여 내부의 공기 (a) 를 제 2 송수관 (25) 을 통하여 온수 탱크 (30) 밖으로 배출시키는 등의 조작을 실시한다.
또한, 이 사이에, 수지제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없어지면, 적당히, 새로운 음료수 (w) 가 충전된 수지제 용기 (1) 로 교환해도 된다.
온수 탱크 (30) 와 저수 탱크 (10) 가 만수가 되어, 저수 탱크 (10) 내의 수위가 도 2(b) 에 나타내는 위치가 되면, 저수 탱크 (10) 의 상단에 설치한 볼록부 (10a) 내에 공기 (a) 가 모인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수지제 용기 (1) 내에서 저수 탱크 (10) 로의 물의 흘러내림는 자동적으로 멈춘다.
이 상태에서, 공기 밸브 (28) 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열면, 그 볼록부 (10a) 내의 공기 (a) 를 배출로 (18b, 18c) 를 통하여 외부의 받이부 (19) 로 향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 공기 (a) 에 섞여 음료수 (w) 도 약간 배출되지만, 그 양은 적으므로 지장이 없다.
이와 같이 공기 (a) 를 배출시키면, 볼록부 (10a) 내에는, 그 공극을 메우도록 수지제 용기 (1) 로부터 추가로 음료수 (w) 가 흘러내린다. 이 때문에, 저수 탱크 (10) 내의 수위는 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수 상태, 즉, 공기 (a) 가 전혀 개재하지 않는 상태, 또는, 개재했다고 해도 그 양이 얼마 되지 않는 상태에 이른다.
이와 같이, 공기 밸브 (28) 의 개폐를 적당히 조작함으로써, 저수 탱크 (10) 내를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수관 (32) 이 저수 탱크 (10) 및 온수 탱크 (30) 의 외면을 따라 배관되어 있고, 그 급수관 (32) 과 저수 탱크 (10) 의 상부의 접속부에 개폐 밸브 (폐지 밸브) (33)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여름철 등 가열된 음료수 (h) 의 공급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열 장치 (31) 를 작동하지 않게 함과 함께, 개폐 밸브 (33) 를 폐쇄하여 온수 탱크 (30) 로 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온수 탱크 (30) 내를 빈 상태로 할 수 있어, 그 온수 탱크 (30) 내에 장기에 걸친 음료수 (w) 가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수동 조작에 의해 개폐를 실시하는 공기 밸브 (28) 를 채용했지만, 그 공기 밸브 (28) 로서 예를 들어, 저수 탱크 (10) 내의 수위의 변동에 수반하여 승강하는 플로트 밸브 본체를 채용해도 된다.
플로트 밸브 본체를 채용하는 경우, 저수 탱크 (10) 의 상단 부근에 공기 (a) 가 모이면 음료수 (w) 의 수위는 만수 상태보다 약간 내려가 (예를 들어, 도 2 (a) 에 나타내는 수위 참조) 므로, 그 수위의 하강과 함께 플로트 밸브 본체도 하강한다. 플로트 밸브 본체가 하강하면, 공기 밸브 (28) 가 열리므로, 상기 공기 (a) 가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 (a) 가 배출되면, 저수 탱크 (10) 내의 수위가 상승 (예를 들어, 도 2(b) 에 나타내는 수위 참조) 되므로, 그 수위의 상승에 의해 플로트 밸브 본체도 상승되어 공기 밸브 (28) 를 닫아, 만수 상태로 저수 탱크 (10) 를 밀폐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저수 탱크 (10) 와 온수 탱크 (30) 를 접속하는 급수관 (32) 상단의 개구부 (32b) 를 저수 탱크 (10) 의 상부, 즉, 저수 탱크 (10) 의 상면을 닫는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뚜껑 (10b) 을 액밀하게 닫는 패킹 (p) 의 바로 하방에 개구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급수관 (32) 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급수관 (32) 이 길기 때문에, 온수 탱크 (30) 내에서 가열된 음료수 (h) 의 역류에 의한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의 온도 상승, 및, 그 급수관 (32) 의 관체 자체를 통한 열전도에 의한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의 온도 상승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급수관 (32) 은 저수 탱크 (10) 를 가능한 한 상부에 개구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저수 탱크 (10) 의 상면을 막는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뚜껑 (10b) 에 개구시켜도 기능할 수 있다.
또, 급수관 (32) 하단에 있어서의 온수 탱크 (30) 측으로의 개구부 (32c) 는 급수관 (32) 을 길게 하기 위해서, 온수 탱크 (30) 를 가능한 한 하부에 개구시키 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형태를 도 3 에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급수관 (32) 을 저수 탱크 (10)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수관 (11) 의 도중에 접속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급수관 (32) 의 길이가 더욱 길어지므로, 가열된 음료수 (h) 의 역류에 의한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의 온도 상승을 보다 확실히 막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를 도 4 에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는 온수 탱크 (30), 급수관 (32) 등을 생략한 구성이다. 저수 탱크 (10) 내에 저장된 음료수 (w) 가 송수관 (21), 공급 밸브 (20) 를 통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저수 탱크 (10) 에 설치되는 공기 밸브 (28) 에는, 플로트 밸브가 채용되어 있는 것 이외에, 주된 구성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4(a) 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수지제 용기 (1) 의 개구부 내에 상기도수관 (11) 을 꽂으면, 수지제 용기 (1) 는 대좌 (17) 에 의해 유지됨과 함께, 수지제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도수관 (11) 을 통하여 저수 탱크 (10) 내로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흘러내린다.
수지제 용기 (1) 는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지제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서서히 감소할 때에, 그 감소와 함께 수지제 용기 (1) 는 수축 변형되어, 수지제 용기 (1) 내에 공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점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가 서서히 수위를 늘려 가고, 그 사이, 저수 탱크 (10) 내의 공기 (a) 는 도 4(b) 에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공기 밸브 (28) 를 개재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저수 탱크 (10) 내의 수위가 도 4(b) 의 위치를 지나 도 4(c) 의 위치가 되면, 저수 탱크 (10) 의 상단에 형성한 볼록부 (10a) 내에 채류한 공기 (a) 가 남김없이 배출되어 만수 상태가 되고, 공기 밸브 (28) 는 닫혀 저수 탱크 (10) 가 밀폐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수지제 용기 (1) 내에서 저수 탱크 (10) 로의 음료수 (w) 의 흘러내림는 자동적으로 멈춘다.
이 상태에서, 수지제 용기 (1) 등에서 저수 탱크 (10) 내로 조금 공기 (a) 가 비집고 들어간 경우 또는, 저수 탱크 (10) 내로 조금 공기 (a) 가 남아 있는 경우, 그 공기 밸브 (28) 의 조작부 (28b) 를 수동으로 하부로 밀어넣어 조작하면, 플로트 밸브체가 내려가 공기 밸브 (28) 가 열리므로, 볼록부 (10a) 내의 공기 (a) 를 배출로 (18b, 18c) 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밸브 (28) 를 개재하여 공기 (a) 를 배출시키면, 볼록부 (10a) 내에는, 그 공극을 메우도록 수지제 용기 (1) 로부터 추가로 음료수 (w) 가 흘러내리므로, 저수 탱크 (10) 내를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점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수 탱크 (10) 에 설치되는 냉각 장치 (29) 는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의 음료수용 서버의 정면도이다.
도 2(a) 는 도 1 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b) (c) 는 공기 밸브의 작용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 은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4(a) ~ (d) 는 추가로, 또 다른 실시형태의 작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a) ~ (d) 는 종래예의 작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 ~ (d) 는 종래예의 작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예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수지제 용기)
2 : 음료수용 서버
3 : 용기 수납부
4 : 본체
5 : 음료수 공급부 (상온수)
6 : 음료수 공급부 (온수)
10 : 저수 탱크
10a : 볼록부
11 : 도수관
14, 28 : 플로트 밸브
13, 15 : 통기구
16 : 필터
17 : 대좌
17a : 오목부
18a, 18b, 18c : 배출로
19 : 받이부
20 : 공급 밸브
21 : 송수관
22, 26 : 배출 밸브
23, 27 : 배출관
24 : 제 2 공급 밸브 (공급 밸브)
25 : 제 2 송수관 (송수관)
28 : 공기 밸브
28a : 밸브체
28b : 밸브축 (조작부)
29 : 냉각 장치
30 : 온수 탱크
31 : 가열 장치
32 : 급수관
33 : 개폐 밸브

Claims (8)

  1. 저수 탱크 (10)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수관 (11) 에 용기 (1) 가 착탈 가능하고, 상기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그 도수관 (11) 을 통하여 저수 탱크 (10)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고, 그 저수 탱크 (10) 에서 송수관 (21) 을 인출하여 그 송수관 (21) 에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공급 밸브 (20) 를 설치하고, 그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용기 (1) 는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상기 저수 탱크 (10) 내로 흘러내려 그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감소할 때에, 상기 용기 (1) 는 내부의 용적이 감소하도록 수축 변형되어 그 용기 (1) 내에 상기 도수관 (11) 측으로부터 공기 (a) 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음료수용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 (10) 의 상면을 닫는 뚜껑 (10b) 에 볼록부 (10a) 를 설치하고, 상기 볼록부 (10a) 는, 상기 저수 탱크 (10) 내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뚜껑 (10b) 은, 상기 도수관 (11) 의 상기 저수 탱크 (10) 내로의 개구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저수 탱크 (10) 에, 상기 볼록부 (10a) 내의 공간에 면하는 공기 밸브 (28) 를 설치하고, 그 공기 밸브 (28) 는, 상기 저수 탱크 (10) 내에 저장된 음료수 (w) 의 액면 상에 공기 (a) 가 개재하여, 그 공기 (a) 가 상기 볼록부 (10a) 내로 비집고 들어가는 경우에 있어서, 그 공기 밸브 (28) 를 개방하여 상기 저수 탱크 (10) 내의 공기 (a) 를 상기 저수 탱크 (10) 밖으로 배출시킴으로써, 그 공기 (a) 의 배출에 수반하는 상기 저수 탱크 (10) 내의 공극을 메우도록 상기 용기 (1) 내의 음료수 (w) 를 흘러내리게 하여 상기 용기 (1) 를 수축 변형시키는 기능을 갖고, 그 음료수 (w) 의 흘러내림 및 상기 용기 (1) 의 수축 변형에 의해, 그 저수 탱크 (10) 내를 공기 (a) 가 없는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 서버.
  2. 저수 탱크 (10)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수관 (11) 에 용기 (1) 가 착탈 가능하고, 상기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그 도수관 (11) 을 통하여 저수 탱크 (10)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고, 그 저수 탱크 (10) 에서 송수관 (21) 을 인출하여 그 송수관 (21) 에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공급 밸브 (20) 를 설치하고, 그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용기 (1) 는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상기 저수 탱크 (10) 내로 흘러내려 그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감소할 때에, 상기 용기 (1) 는 수축 변형되어 그 용기 (1) 내에 공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음료수용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 (10) 내의 상단에 공기 밸브 (28) 를 설치하고, 그 공기 밸브 (28) 를 개재하여 상기 저수 탱크 (10) 내의 공기 (a) 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용기 (1) 내의 음료수 (w) 를 흘러내리게 하여, 그 저수 탱크 (10) 내를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저수 탱크 (10) 의 하부에 가열 장치 (31) 를 구비한 온수 탱크 (30) 를 설치하고, 그 온수 탱크 (30) 와 상기 저수 탱크 (10) 가 급수관 (32) 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가 그 급수관 (32) 을 통하여 상기 온수 탱크 (30)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고, 상기 온수 탱크 (30) 로부터 제 2 송수관 (25) 을 인출하여 그 제 2 송수관 (25) 에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제 2 공급 밸브 (24) 를 설치하여 그 온수 탱크 (30) 내의 음료수 (w, h) 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급수관 (32) 을 상기 저수 탱크 (10) 의 상부에 접속하고, 상기 급수관 (32) 을 상기 저수 탱크 (10) 밖에 상하 방향으로 배관하고, 그 급수관 (32) 과 상기 저수 탱크 (10) 의 상부와의 접속부에 개폐 밸브 (33) 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 서버.
  3. 저수 탱크 (10)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수관 (11) 에 용기 (1) 가 착탈 가능하고, 상기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그 도수관 (11) 을 통하여 저수 탱크 (10) 내에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저수 탱크 (10) 의 하부에 가열 장치 (31) 를 구비한 온수 탱크 (30) 를 설치하고, 그 온수 탱크 (30) 와 상기 저수 탱크 (10) 가 급수관 (32) 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저수 탱크 (10) 내의 음료수 (w) 가 그 급수관 (32) 을 통하여 상기 온수 탱크 (30) 내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고, 상기 온수 탱크 (30) 로부터 송수관 (25) 을 인출하여 그 송수관 (25) 에 개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공급 밸브 (24) 를 설치하여 그 온수 탱크 (30) 내의 음료수 (w, h) 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용기 (1) 는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상기 저수 탱크 (10) 내에 흘러내려 그 용기 (1) 내의 음료수 (w) 가 감소할 때에, 상기 용기 (1) 는 내부의 용적이 감소하도록 수축 변형되어 그 용기 (1) 내에 상기 도수관 (11) 으로부터 공기 (a) 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음료수용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 (10) 의 상면을 닫는 뚜껑 (10b) 에 볼록부 (10a) 를 설치하고, 상기 볼록부 (10a) 는, 상기 저수 탱크 (10) 내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뚜껑 (10b) 은, 상기 도수관 (11) 의 상기 저수 탱크 (10) 내로의 개구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저수 탱크 (10) 에, 상기 볼록부 (10a) 내의 공간에 면하는 공기 밸브 (28) 를 설치하고, 그 공기 밸브 (28) 는, 상기 저수 탱크 (10) 내에 저장된 음료수 (w) 의 액면 상에 공기 (a) 가 개재하여, 그 공기 (a) 가 상기 볼록부 (10a) 내로 비집고 들어가는 경우에 있어서, 그 공기 밸브 (28) 를 개방하여 그 저수 탱크 (10) 내의 공기 (a) 를 상기 저장 탱크 (10) 밖으로 배출함으로써, 그 공기 (a) 의 배출에 수반하는 상기 저수 탱크 (10) 내의 공극을 메우도록 상기 용기 (1) 내의 음료수 (w) 를 흘러내리게 하여 상기 용기 (1) 를 수축 변형시키는 기능을 갖고, 그 음료수 (w) 의 흘러내림 및 상기 용기 (1) 의 수축 변형에 의해, 상기 저수 탱크 (10) 내를 공기 (a) 가 없는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 서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80003797A 2007-08-03 2008-01-14 음료수용 서버 및 이 음료수용 서버를 사용한 음료수의 공급 방법 KR101174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02877 2007-08-03
JP2007202877A JP4335273B2 (ja) 2007-08-03 2007-08-03 飲料水用サー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078A KR20090014078A (ko) 2009-02-06
KR101174310B1 true KR101174310B1 (ko) 2012-08-16

Family

ID=4043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797A KR101174310B1 (ko) 2007-08-03 2008-01-14 음료수용 서버 및 이 음료수용 서버를 사용한 음료수의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35273B2 (ko)
KR (1) KR101174310B1 (ko)
TW (1) TWI4417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7262B1 (ja) * 2009-03-30 2009-08-19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飲料ディスペンサ
JP5388186B2 (ja) * 2009-04-10 2014-01-15 恒久 千葉 飲料水供給装置
JP4824105B2 (ja) * 2009-08-11 2011-11-30 株式会社フジヤマ 液体貯留装置
JP5059135B2 (ja) 2010-01-22 2012-10-24 株式会社フジヤマ 飲料水用サーバー
WO2012157129A1 (ja) * 2011-05-18 2012-11-22 橋本精工 株式会社 容器のエア抜き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ウォーターサーバー
WO2012164759A1 (ja) * 2011-05-27 2012-12-06 橋本精工 株式会社 容器の給液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059963B1 (ja) * 2011-10-17 2012-10-31 橋本精工 株式会社 容器のエア抜き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917885B2 (ja) * 2011-11-02 2016-05-18 パーパス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サーバ
JP5069810B1 (ja) * 2012-05-31 2012-11-07 橋本精工 株式会社 容器のエア抜き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4008980A (ja) * 2012-06-28 2014-01-20 Mt Fuji Springs Inc 水パックからの飲料水を下方の冷水タンクと温水タンクに重力により導入する給水機
JP5538482B2 (ja) * 2012-06-28 2014-07-02 富士山の銘水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製の袋に飲料水を封入した水袋を用いる給水機
JP6041756B2 (ja) * 2013-05-29 2016-12-14 株式会社フジヤマ 容器用アダプタ
TWI738781B (zh) * 2016-05-30 2021-09-11 日商目的股份有限公司 飲水機
KR102148813B1 (ko) * 2016-05-30 2020-08-27 파파스 가부시키가이샤 워터 서버 및 에어 배출 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194A (ja) * 2001-10-16 2003-05-08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飲料水サーバー
JP2005096796A (ja) * 2003-09-24 2005-04-14 Tokai Koshi:Kk 飲料サー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194A (ja) * 2001-10-16 2003-05-08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飲料水サーバー
JP2005096796A (ja) * 2003-09-24 2005-04-14 Tokai Koshi:Kk 飲料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078A (ko) 2009-02-06
TW200925099A (en) 2009-06-16
JP4335273B2 (ja) 2009-09-30
JP2009035322A (ja) 2009-02-19
TWI441771B (zh) 201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310B1 (ko) 음료수용 서버 및 이 음료수용 서버를 사용한 음료수의 공급 방법
JP4317262B1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666077B1 (ko) 액체 저류 장치
JP6084484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6276559B1 (en) Liquid container with pump and heat sealing system
KR101676493B1 (ko) 음료수용 서버
JP4630913B2 (ja) 飲料水用サーバー及びその飲料水用サーバーに用いる貯水タンク用の排気手段
US6968984B2 (en) Thermal container
JP2005308297A (ja)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US2857084A (en) Constant head device
KR101006860B1 (ko) 냉온 정수기
JP5473087B2 (ja) 飲料水用サーバー
JP4859850B2 (ja) 飲料水用サーバー
JP7176721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3170068U (ja) 飲料水用サーバーの構造
KR101976769B1 (ko) 급수탱크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기
US8474407B2 (en) Poultry watering system and method
KR20170109078A (ko) 액체를 수납 및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를 포함하는 장치 및 저온에서 액체를 수납하기 위한 시스템
KR20090129828A (ko) 이탈방지용 개폐밸브를 갖춘 팽창탱크를 포함하는 온수기및 이에 사용되는 온수기용 팽창탱크
JP7133169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WO2013057846A1 (ja) 容器のエア抜き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08178439A (ja) 飲料抽出容器
RU2555577C2 (ru) Бочонок с функцией самостоятель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и самостоятельного розлива жидкостей
WO2020235656A1 (ja) 飲料サーバー
JP2023054654A (ja) 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