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321B1 - 공기압 제어가능한 음료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압 제어가능한 음료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321B1
KR101659321B1 KR1020107026897A KR20107026897A KR101659321B1 KR 101659321 B1 KR101659321 B1 KR 101659321B1 KR 1020107026897 A KR1020107026897 A KR 1020107026897A KR 20107026897 A KR20107026897 A KR 20107026897A KR 101659321 B1 KR101659321 B1 KR 101659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vessel
cavit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374A (ko
Inventor
존 더글라스 비숍
찰스 클락
윌리엄 미든
랜디 디. 포프
슈레쉬 라이하크리슈난
렉스 알렌 로저스
Original Assignee
번-오-매틱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번-오-매틱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번-오-매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1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2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ai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3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to be used with loose coff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혼합 용기의 제어가능한 진공, 가압 또는 그 양자와 조합하여 온수 또는 기타 액체와 음료 제조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부품 및 구조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성분의 능동적 제어가능한 교반, 침지 시간, 가압, 추출 시간, 교반 맥동, 분배 맥동뿐 아니라 기타 수많은 다른 음료 제조 특징 및 제어의 하나 또는 조합을 제어하기 위해 진공, 정압 또는 이들을 둘 다 사용하는 제어가능한 양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압 제어가능한 음료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AIR PRESSURE CONTROLLABLE BEVERAGE MAK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본 출원은 그 내용이 본원의 전문에 참조로 통합된, 2008년 5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번호 제61/049,564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음료 제조용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혼합 용기 또는 칼럼의 가압과 조합하여 온수 또는 기타 가열된 액체를 적용하는 음료 제조 촉진용 부품 및 방법을 구비한다. 상기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저장소에 대한 음료의 체적을 제어가능하게 생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와 같은 다양한 음료 제조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양조(brewing) 물질의 침지(steeping) 시간, 가압, 추출 시간, 능동적 제어가능한 교반뿐 아니라, 다른 양조 특징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제어가능한 가압된 칼럼 추출을 구비한다.
2008년 3월 24일자로 출원되고 그 전체가 원용되는 미국 가출원 제61/039,071호를 참조한다. 추가로, 출원, 비가출원 또는 교부된 특허로서 출원번호 제61/039,071호에 관한 임의의 출원은 그 전체가 본원에 원용된다.
또한, 2008년 9월 26일자로 출원되고 그 전체가 원용되는 미국 가출원 제61/100,537호를 참조한다. 추가로, 출원, 비가출원 또는 교부된 특허로서 출원번호 제61/100,537호에 관한 임의의 출원은 그 전체가 본원에 원용된다.
또한, 2008년 3월 24일자로 출원되고 그 전체가 원용되는 PCT 특허출원 제US09/38125호를 참조한다. 추가로, 출원 또는 교부된 특허로서 PCT 특허출원 제US09/38125호에 관한 임의의 출원은 그 전체가 본원에 원용된다.
또한, 2008년 11월 20일자로 출원되고 그 전체가 원용되는 미국 가출원 제61/116,317호를 참조한다. 추가로, 출원, 비가출원 또는 교부된 특허로서 출원번호 제61/100,537호에 관한 임의의 출원은 그 전체가 본원에 원용된다.
다양한 음료 제조 시스템이 생산되었다. 하나의 음료 제조 형태를 "양조(brewing)"라고 지칭한다. 양조는 온수를 커피, 차, 허브, 식물 및 기타 물질과 같은 양조 물질 내에 분배(dispense)하는 것을 수반한다. 양조 공정에서, 온수는 양조 물질로부터 풍미를 우려내고 추출해낸다. 우려진 양조 물질과 물 혼합물로부터 음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양조 물질과 물은 필터 구조물에 담겨져 있다.
다양한 음료 장치 및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드립 양조 시스템은 음료가 중력 하에 필터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드립 양조 시스템의 일 예는 양조 물질을 담아두고 물을 수용하는 양조 깔때기를 포함한다. 깔때기는 일회용 또는 재사용가능한 필터 재료로 라이닝될 수 있다. 깔때기의 필터 안에 양조 물질이 배치되며, 양조 물질 위에 물이 제공된다. 음료는 필터로부터 깔때기의 구멍을 통해서 배출되어 컵 또는 유리 물병(carafe)과 같은 더 큰 컨테이너 내에 분배된다.
깔때기 및 필터 구조물에 근사하도록 구성된 양조 챔버를 채용하는 일부 자동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자동화 기구는 챔버 내의 배출 영역을 제어가능하게 개폐하기 위해 챔버의 중심부를 통해서 이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다. 제어가능한 피스톤은 또한 챔버에 담겨있는 양조 물질 위로 물을 제어가능하게 분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워터 라인을 구비한다. 이 시스템은 시스템으로부터 음료를 배출하기 위해 중력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되므로 전반적으로 드립 양조 시스템과 유사한 원리로 작동한다.
다른 형태의 양조 시스템은 "프렌치 프레스(French press)"로 지칭되는 기술을 포함한다. 프렌치 프레스 시스템에서는, 커피가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고 물이 커피 위에 부어져서 양조 공정 중에 커피와 직접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온수가 양조 물질과 혼합되어 음료를 생산한다. 필터부를 구비하는 플런저가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고 물과 양조 물질 혼합물 위에서 하방으로 가압된다. 음료는 필터를 통과하고 필터 상부에 잔류하며, 나머지 소모된 양조 물질은 필터와 컨테이너 저부 사이에 가둬진다. 이후 양조된 음료가 컨테이너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종래의 자동 양조 장치의 다른 버전은 보통 컵 분배 자판기 산업에서 사용되어왔다. 이 형태의 양조 기술은 반대의 진공 또는 흡입 프렌치 프레스 기술을 사용한다. 이 판매 시스템에서, 커피는 양조 챔버 내로 분배된다. 물은 양조 챔버 내의 커피와 조합되고, 침지시킬 수 있다. 피스톤은 양조된 음료를 통상 필터 하부로부터 흡입되는 흡입력 하에 필터를 통해서 흡입하고 양조된 음료를 챔버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이동한다. 소모된 찌꺼기는 이후 후속 양조 사이클을 준비하기 위해 필터로부터 제거된다.
일부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들 중 하나는, 이들 기술이 충분한 음료를 생산할 수 있는 반면, 수많은 부품의 상당한 상호작용 및 제어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또한, 수많은 이동 부품은 양조 혼합물 또는 슬러리와의 접촉을 요구한다. 추가적인 접촉 부품뿐 아니라 이동 부품은 추가적인 비용, 정비, 신뢰성 및 기타 문제를 요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예시는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현재 알려져 있는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 형태를 예시하는 후술하는 예시적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할 때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가열된 물 송출 시스템, 공기 이동 장치, 상기 물 송출 시스템과 공기 이동 장치에 결합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에 결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며, 혼합 용기 또는 칼럼은 컨테이너 내로 분산되도록 필터 구조물을 통해서 이동되는 음료를 생산하기 위한 슬러리로서 혼합용 음료 제조 물질과 물을 수용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음료 제조 장치의 개략도로서, 공기 이동 장치는 혼합 용기에 대해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른 구조를 갖는 도면이다.
도 3은 혼합 용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된 음료 제조 물질의 제거 및 폐기를 제공하기 위한 추출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허용할 수 있지만,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본 설명이 발명의 원리의 예시로 간주되어야 하며 본 설명이 전부이거나 발명을 하기 설명에 개시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부품 배치 및 구조의 상세로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 또는 생산 및 분배 장치(20)가 개시되어 있다. 음료 생산 및 분배 장치(20)는 음료 제조 물질 또는 재료(24)의 충전물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 혼합 용기 또는 칼럼(22)을 구비한다. 용기(22)는 도면에서 개구(배출 개구)(28)를 갖는 저부(26)로 도시된 제1 단부를 구비한다. 음료 제조 물질(24)을 개구(28)를 통해서 분배되는 음료(32)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음료 제조 물질(24)과 저부(26) 사이에는 필터 구조물(30)이 제공된다. 저부(26)와 상부(40)는 용기(22)에 영구적으로 또는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장치(20)의 일부 적용에서, 용기(22)는 세척을 위해 장치(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저부는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으로만 언급된다. 이 용어는 본 발명의 음료 제조 및 분배 장치(20)의 제1 단부의 다른 배향을 포함하도록 광의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조의 제어가능한 물 송출 시스템(액체 송출 시스템)(36)이 용기(22)와 연통한다. 예를 들어, 물 송출 시스템(36)은, 수동으로 송출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가압수 공급원에 연결되거나 수동 및 자동 또는 제어가능한 공급원의 조합체에 연결될 수 있는 온수 시스템 형태일 수 있다. 물 송출 시스템(36)은 물 가열기 및 물을 라인(38)을 거쳐서 도면에서 용기(22)의 상부(40)로 도시된 제2 단부를 통해서 제어가능하게 송출하기 위한 시스템과 연관된다. 물 송출 시스템(36)은 라인(46)을 거쳐서 컨트롤러(44)에 결합된다. 물 송출 시스템은 일정 체적의 물을 가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저장소, 및 상기 저장소와 연관되고 물을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가열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물 송출 시스템은 물 송출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물 송출 시스템 내의 물의 상태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및 레벨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물은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으로만 언급된다. 이 용어는 임의의 액체뿐 아니라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액체 성분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광의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상부는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으로만 언급된다. 이 용어는 본 발명의 음료 제조 및 분배 장치(20)의 제2 단부의 다른 배향을 포함하도록 광의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공기 이동 시스템(공기 이동 장치)(50)은 라인(52)을 거쳐서 컨트롤러(44)에 제어가능하게 결합된다. 공기 이동 시스템(50)을 용기(22)의 내부 공동(58)과 제어가능하게 연통시키기 위해 공기 이동 시스템(50)에는 통로(54)가 결합된다. 공동(58)은 일반적으로 용기(22)의 적어도 하나의 벽(60)에 의해 형성된다. 공기 이동 시스템(50)은 공기를 용기(58)로부터 빼내거나(61) 용기(22)에 도입하는(63) 것을 제어가능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작동 모드에서, 공기 이동 시스템(50)은 진공 작동 모드에서 공기를 제어가능하게 제거함으로써 용기(22) 내에 부압을 제어가능하게 생성하거나 용기(22)의 공동(58)에 진공을 유도(61)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작동 모드에서 공기 이동 시스템(50)은 펌핑 작동 모드에서 용기 내에 공기를 제어가능하게 펌핑하여(63) 공동(58)을 가압(63)하는 등에 의해 용기(22) 내에 정압을 제어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다.
장치(20)의 제어식 작동을 촉진하기 위해 컨트롤러(44)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가 라인(72)을 거쳐서 결합된다. 또한, 컨트롤러(44)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 또는 피드백 시스템 등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7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73)가 사용자 인터페이스(70)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다른 곳에서 장치(20)와 결합되거나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는 장치(20)의 음료 조제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다른 소스에 정보를 제공하거나 그로부터 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판독기(reader), RFID 판독기, 바코드 판독기, 생체측정 장치, 또는 알려지지 않거나 이후에 발견되고 개시된 음료 제조 및 분배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형태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물리적이거나,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0) 및 통신 인터페이스(73)에 대한 언급은 광의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음료 제조 및 분배 장치(20)의 교시내용을 이용한 음료 제조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광의의 설명이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는 양조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수동, 반자동 또는 자동 음료 제조 장치와 함께 사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교시내용을 숙지한 당업자는 다양한 기구 및 시스템에서 본 명세서의 용도 및 적용을 발견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간명함을 위해 명세서의 잔여부 전체에서 음료 제조 물질에 관해 커피를 언급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음료 제조를 위해 임의 형태의 음료 제조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커피라는 용어는 광의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광의의 해석은 또한 커피, 차, 허브, 식물, 액상 음료 농축물, 찌꺼기, 가루, 거칠게 자른것, 완전체, 분말상 음료 농출물, 박편, 입자, 과립, 냉동 건조 또는 그밖의 액상, 겔, 결정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다른 형태의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음료 물질을 포함하거나(이것에 제한되지는 않음) 또는 소정의 음료 또는 기타 식품 또는 임의의 기타 형태의 음료물 또는 식품을 얻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음료, 양조물, 양조, 양조 물질, 양조된 액체, 및 양조된 음료를 포함하는 용어는 커피, 차 및 임의의 기타 음료의 양조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 광의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광의의 해석은 또한 분배, 우려내기, 침지, 재구성, 희석, 용해, 포화 또는 액체 통과 또는 음료 물질을 물과 같은 액체와(특정하지 않는 한 이러한 액체의 온도에 대한 제한없이) 혼합하거나 조합하는 임의의 공정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도록 의도된다. 또한, 시스템에 사용되는 음료 제조 물질 또는 시스템에 의해 생산되는 음료의 체적 또는 양은 광의로 해석되도록 그리고 특정하게 개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도록 의도되며, 컨테이너(94)로 지칭되는 한 컵 내지 여러 컵 컨테이너에 이르는 크기로 작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을 더 참조하면, 장치(20)는 일 예에서, 커피와 같은 음료 제조 물질(24)을 물(80)과 같은 양조 물질에 침지시키는 공정에 의해 양조된 음료(32)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예에서, 음료 제조 물질(24)은 혼합 용기(22)의 공동(58) 내에 분배된다. 용기(22)의 하측 부분(82)은 저부(26)에 대해 적어도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저부 위에는 필터(30)가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양조된 음료(32)를 필터(30)를 통해서 용기(22)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필터(30)와 저부의 대응 표면 사이에 갭(84)이 제공된다.
상측 부분, 커버 또는 상부(40)는 용기(22)의 상부 영역(86)에 적어도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워터라인 또는 통로(38) 및 공기 통로(54)는 커버에 대해 적어도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공동(58)과 연통한다.
양조 물질(24)이 공동(58) 내에 분배된 후, 물 송출 시스템(36)으로부터 물 송출 라인(38)을 거쳐서 물(80)이 분배된다. 음료 제조 물질(24)과 혼합된 물은 물(80)과 양조 물질(24)의 조합체 또는 슬러리(90)를 생성한다. 온수와 커피의 혼합물은 커피의 바람직한 특징이 추출될 수 있게 하며, 개구(28)를 통해서 용기(22)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저부(26)의 구멍 또는 개구(28)는 음료가 용기(22)로부터 유출될 수 있도록 크기 및 치수를 갖는다. 물(80) 및/또는 음료(32)가 용기로부터 조기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이동 장치(50)는 공동(58) 내에 부압을 생성하도록 또는 즉 개구(28)를 통한 흡입 또는 진공을 생성하도록 컨트롤러(4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공기 이동 장치(50)는 슬러리(90)를 개구(28)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또는 슬러리(90)를 통해서 유동하는 공기의 기포 또는 교반을 생성함이 없이 공동(58) 내에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진공은 중력과 같은 힘과 대체로 동일한 진공 압력을 생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음료는 개구(28)로부터 유출될 수 있을 것이다. 공기 이동 장치(50)에 의해 용기에 제어가능하게 유도되는 부압은 공기(92)를 개구(28)를 통해서 슬러리(90) 내로 상방 흡입하도록 제어가능하게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용기(22) 내의 슬러리를 교반하는 음료 제조 슬러리의 기포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슬러리에 공기를 불어넣게 되면 음료 제조 물질의 완전한 결합이 촉진되고, 슬러리(90)로부터 최종 추출되는 양조 음료에서의 특징 발전이 촉진된다. 개구(28)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는 공기 이동 장치(50)를 통해서 시스템으로부터 배출된다.
이 공정의 소정 시점에서, 공기 이동 장치(50)는 공동(58) 내에 정압을 생성함으로써 슬러리(90) 위의 개방 공간에 압력을 생성하여 슬러리를 필터(30)에 대해 밀어붙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음료는 슬러리로부터 필터(30)를 통해서 및 개구(28)를 통해서 배출, 가압 또는 분리될 것이다. 필터(30)는 이를 통한 음료 배출을 허용하지만 고체의 상당 부분을 보유하도록 크기 및 치수를 갖는다. 어떤 양조 공정에서도 발생하듯이 고체의 일부가 필터를 통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필터는 바람직한 최종 양조 음료를 제공하도록 크기 및 치수를 가질 수 있다. 혼합 용기(22)로부터 배출된 음료는 용기(22) 아래에 배치된 컨테이너(94)에 유입된다.
도 1에 개시되고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개시되는 시스템은 다양한 제어 특징을 제공한다. 따라서 컨트롤러(44)는 공기 이동 장치(50), 가열된 물 송출 시스템(36)뿐 아니라, 시스템 전체에 걸친 기타 특징 또는 제어를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44)는 물 송출 시스템(36)에 의해 분배되는 물의 체적, 용기 내로 물을 분배하는 타이밍, 공동에 정압을 생성할 때 공동(58)을 가압하는 속도, 공기 이동 장치(50)가 공동(58)에 부압을 생성하도록 작동할 때의 진공 또는 흡입 속도, 침지 및 추출 특징뿐 아니라 기타 특징을 향상시키기 위해 슬러리(90)에서 음료 제조 물질과 물이 상호작용될 수 있는 기간인 침지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양조 공정 중에, 물(80)을 도입하면 공동(58) 내로의 물 분배의 초기에 슬러리(90)에 약간의 난류가 생성된다. 이는 음료 제조 물질(24)과 물(80)의 적어도 초기 결합을 개선, 향상, 최적화, 달성할 수 있거나 아니면 음료 제조 물질(24)로부터의 바람직한 특징 추출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이동 장치(50)에 의한 부압 생성은 슬러리(90) 내에 추가 난류를 생성하여 음료 제조 물질(24)과 물(80)의 상호작용을 추가로 제어가능하게 촉진할 수 있다. 슬러리 내에서의 음료 제조 물질(24)과 물의 상호작용은 휘발성 물질, 오일 또는 미립자뿐 아니라 기타 맛과 향 성분과 같은 바람직한 화학물 및 화합물을 음료 제조 물질로부터 추출하는 것으로 촉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가압 공동(58)의 사용에 의해, 밀폐 용기 내의 컨테이너(94)로의 음료(32) 분배는 최대한의 맛과 향이 컨테이너(94)에 직접 분배되도록 보장해주는 것을 도와준다. 이와 관련하여, 양조 사이클의 종료 시에, 공기 이동 장치(50)는 음료의 분배 이후 소정의 추가 기간 동안 음료 제조 물질(24)로부터의 추가적인 향 추출을 돕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배출되는 음료 제조 물질(24)을 통해서 이동하는 작은 체적의 공기는, 분배된 음료를 최대화하는 물질을 더 배출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분배된 물질의 약간의 배출을 촉진하여 용기로부터의 보다 쉬운 제거를 촉진할 수 있다.
장치(20)는 커피 형태의 음료 제조 물질(24)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그러나 비제한적으로 그 사용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장치(20)에 의한 음료 제조를 위해 차와 같은 다른 음료 제조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공기 이동 장치(50)를 사용하여 개구(28)를 통해서 공기(92)를 흡입하는 능력은 차에서 즐기는 특징 중 일부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차 조리법 또는 공정은 산소화(oxygenation)를 도입하여 차를 양조할 것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공동(58)에 보유된 차를 철저하게 산소화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압축, 롤링, 캡슐화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포장된 차 제품이 양조 공정 중에 번성하게(bloom) 하는 것을 보조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번성하는 차의 일부는 개구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생성되는 교반 및 운동으로부터 이익을 볼 수 있다.
또한, 필터(30)는 분배 사이클 도중에 음료 제조 물질(24)을 여과시킬 뿐 아니라, 개구(28)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92)를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기로서 작용하도록 도와준다. 이와 관련하여, 비교적 큰 체적의 공기는 저부(26)와 필터(30) 사이의 갭(84)을 통해서 확산되는 경향이 있다. 필터(30) 내의 다수의 구멍은 공기 확산이 용기(22)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는 음료 제조 물질(24)과 물(80)의 슬러리 또는 기타 조합체를 통해서 이동하는 기포의 작용을 향상시킨다.
일부 음료 제조 물질은 소망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한번 이상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양조 사이클의 종료 시에, 음료 제조 물질은 적어도 한번 더 사용하기 위해 용기(22)에 보유될 수 있다. 그 결과, 음료 제조 물질(24)은 필터(30)에 대해 다소 압축될 수 있다. 그러나, 양조 사이클의 초기에, 공기 이동 장치(50)는 필터(30)에 의해 확산되는 상태의 공기를 개구(28)를 통해서 흡입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필터(30)를 통과하는 확산된 공기는 음료 제조 물질을 들어올려 필터와의 결합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음료 제조 물질이 슬러리와 혼합될 수 있게 하거나, 아니면 그로부터 소망의 음료 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 교반의 사용은 또한, 음료 제조 물질(24)이 슬러리(90)에 혼합되고 일정 기간 이후에 일반적으로 물 위에서 부유(float)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 음료 제조 물질은 혼합 사이클의 종료 시에 물 위에 부유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슬러리(90)에 주입되거나 도입되는 공기의 난류 작용은 이 부유 또는 분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부유 또는 표류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는 물질에 있어서, 이 부유의 발생은 음료(32)의 추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재료가 최종 음료의 표면 위에 부유하면, 이는 음료 추출을 좀더 이르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재료 부유물의 상부에 있는 공동(58)을 가압함으로써, 재료 부유물은 플런저 또는 피스톤으로 작용하여 추출 단계 중에 벽(60)의 내표면을 다소 씻어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하듯이, 공기 이동 장치(50a)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50a)에는, 한 쌍의 제어가능한 공기 이동 펌프 또는 장치가 제공된다. 하나의 정압 가압 장치 또는 정압 가압 펌프(53)와 하나의 부압 가압 장치, 흡입 펌프 또는 진공 펌프(55)를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두 장치는 용기의 상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되거나, 아니면 라인(54)을 통해서 용기(22)에 연결되거나 개별 라인을 통해서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일 라인(54)이 사용되면, 방향성 체크 밸브(57, 59)가 라인(61, 63)과 대응하여 연관된다. 이들 체크 밸브(57, 59)는 라인(54)을 통하지만 다른 장치를 통하지는 않는 공기의 바람직한 방향성 이동의 제어 및 촉진을 보조한다. 예를 들어, 정압 가압 펌프(53)를 사용하여 공기를 라인(61, 54)을 통해서 밀어붙여 공동(58)을 가압하면, 체크 밸브(59)는 라인(63) 및 진공 펌프(55)를 통한 역류를 방지하도록 폐쇄될 것이다. 이는 또한 장치를 의도된 용도로 적절히 제작하기 위해 이들 펌프에 대해 상이한 레벨의 정밀도 또는 장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장치(20a)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20a)는 일반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개시한 부품들과 동일한 부품을 다수 구비한다. 그러나, 공기 이동 장치(50c)는 대체 실시예를 제공하며, 이에 의하면 분류 밸브(diverter valve)(100)가 컨트롤러(4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기 이동 장치(50c)는 정압을 생성하기 위한 펌프(53c)를 구비한다. 분류 밸브(100)는 컨트롤러(44)에 결합되며(109), 정압으로 가압된 공기를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했듯이 갭(84)을 통해서 상방으로 또는 역시 전술했듯이 공동(58)을 통해서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된다. 이 시스템(20a)은 단일 펌프를 사용하여 흡입이나 진공 없이 이 시스템을 통해서 공기를 정압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공기 이동 장치는 분류 밸브(100)와 연통하는 대응 라인(104, 106)에 적절히 결합되는 체크 밸브(101, 103)의 사용을 요구한다. 또한, 가압된 공기(61c)를 용기(22)로부터 배기시키기 위해 체크 밸브 배기구(vent)(105)가 제공될 수 있다. 배기구(105)는 기계적 배기 작동을 제공하는 수동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배기구(105)는 컨트롤러(44)에 제어가능하게 결합되는(107) 능동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작동 및 특징이 도 2와 연관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모된 음료 제조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추출 장치(110)가 제공된다. 추출 장치(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필터(30a) 버전을 구비한다. 그러나 필터(30a)는 저부, 용기에 연결되거나 저부 또는 용기 사이에 유지되지 않는다. 대신에 필터(30a)는 용기(22) 내에서 이동가능하다. 필터(30a)는 벽(60)의 내표면과 결합하는 와이퍼(112)를 그 둘레 주위에 구비한다. 필터(30)에는 샤프트(114)와 그립(116)이 결합된다.
사용 시에, 추출 장치(110)는 음료 제조 물질을 용기에 분배하기 전에 용기 내에 배치된다. 이후 음료 제조 물질이 양조 사이클 이전에 필터 상에 분배된다. 양조 사이클은 도 1 및 도 2에 관하여 전술했듯이 이루어진다. 양조 사이클의 종료 시에, 커버는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그립(116)을 쥐고 조립체(110)를 들어올린다. 와이퍼(112)는 벽의 내표면과 결합하여 표면의 철저한 세척을 촉진하고, 부착된 샤프트(114)는 필터를 용기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을 보조하며 또한 그립(116)을 사용자에게 편리한 레벨에 배치한다. 추출 장치(110)가 용기로부터 제거되면, 추출 장치는 이후 소모된 양조 물질을 그로부터 폐기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되어 세척될 수 있다. 추출 장치(110)는 이후 장래 사용을 위해 용기에 다시 놓인다.
일반적인 사용에 있어서, 장치(20)는 음료 제조에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음료 제조 물질(24)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조의 분배 시스템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용기(22) 내에 도입된다. 양조 물질(24)이 용기(22) 내에서 필터(30) 상에 배치되면, 양조 공정이 시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70)를 작동시켜 양조 공정을 시작한다. 컨트롤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에서의 사용자 선택을 사용하여 원하는 음료를 생산한다. 컨트롤러(44)는 물(80)을 공동(68)에 송출하여 음료 제조 물질(24)과 혼합시키도록 물 송출 시스템(36)을 작동시킨다. 이 양조 사이클의 시작 시에, 공기 이동 장치(50)는 공동(58)에 흡입, 진공 또는 부압을 생성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컨트롤러(44)에 의해 작동된다. 공동(58)에 진공(61)을 유도하게 되면 공기(92)가 개구(28)를 통해서 흐르게 되거나 또는 용기 내에 액체를 보유하도록 적어도 부압이 생성된다. 진공 압력은 대체로 중립적인 상태를 제공하도록 컨트롤러에 의해 평형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음료(32)가 개구를 통해서 유출되지 않거나 공기(92)의 상당량이 슬러리를 통해서 유입되지 않는다. 시스템이 드립없는(dripless) 보유를 제공할 수 없으면, 공기를 흡입하는 측에서의 에러가 지나쳐서 드립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제어된 진공은 슬러리(90)에 조합된 음료 양조 물질(24) 및 물(80)이 침지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44)는 공기 이동 장치(50)와 연관된 제어 사이클을 시작하여 슬러리(90)의 제어된 교반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된 교반은 개구(28)와 슬러리(90)를 통해서 공동에 유입되는 대체로 연속적인 공기 스트림(92)을 구비할 수 있다. 공기 이동 장치(50)는 온오프되거나 압력이 증감되어 맥동 교반 효과를 생성하도록 컨트롤러의 프로그래밍에 의해 제어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 맥동 교반 효과는 슬러리(90)를 들어올리거나 교반하고 음료 제조 물질의 입자가 정착하여 계속 침지될 수 있게 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프로그래밍되거나 사용자 프로그래밍되도록 또는 두 가지의 조합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프로그래밍은 장치를 작동시키며, 물과 공기 이동 장치의 분배를 음료 제조 조리법 또는 소망하는 최종 추출물 및 풍미 프로파일 및/또는 특징에 따라서 제어한다. 본 장치는 본 출원의 양수인인 Bunn-O-Matic Corporation에 의해 개발된 BrewWise®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2007년 5월 29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7,223,427호는 BrewWise® 기술의 내용을 포함하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공기 이동 장치(50)의 제어 사이클 타이밍, 맥동 및 임의의 기타 제어 변동의 모든 버전은 본 명세서에 광범위하게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공기 이동 장치(50)의 제어의 이러한 광범위한 개시는 현재 공지된 조리법, 표준, 프로토콜, 전통, 관습 또는 공기 이동 장치(50)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공기 이동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이후 개발 또는 개시되는 임의의 기타 양조 또는 음료 제조 기술과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공기 이동 장치(50)는 음료(32)의 일부 양이 양조 사이클 도중에 분배될 수 있도록 진공 교반 공정 중에 공동(58)을 정압으로 가압(63)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시 한번, 공기 이동 장치(50)의 완전한 제어 및 광범위한 해석은 공동(58)의 정압 가압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포함되도록 의도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공기 이동 장치(58a)의 대체 버전은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교시내용에 기초하여 광의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컨트롤러의 프로그래밍에 기초한 음료 제조 사이클 도중의 어떤 시점에서, 음료 제조 물질(24) 및 물(80)의 충분한 제어가 달성될 것이며, 바람직한 완성된 음료가 용기(22)로부터 분배될 준비가 된다. 이 시점에서 공기 이동 장치는 용기(22)의 공동(58)을 정압으로 가압하여 음료(32)를 용기(22)로부터 개구(28)를 통해서 밀어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전술했듯이, 음료 제조 물질(24)의 어느 정도는 피스톤의 형태 또는 재료의 표류를 형성하는 물(80)의 상부 레벨로 상승될 수 있다. 이 축적물의 정압 가압은 용기(22)의 벽(60)으로부터의 음료 제조 물질 제거를 촉진하도록 보조하기 위한 와이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양조 사이클 및 용기(22)로부터의 음료 분배의 종료 시에는, 소모된 양조 물질(24)로부터 수분을 몰아내기 위해 공기(63)의 지속적인 유동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다소 배출되거나 건조된 양조 물질은 용기(22)로부터 제거하는데 있어서 수분 슬러리에 비해 용이할 수 있다.
용기(22)는 이후 세척을 위해 장치(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부(40)와 저부(26)는 내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단독으로 또는 조합적으로 용기(22)로부터 해제가능하게 및 재부착가능하게 제거될 수 있다. 세척 공정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또는 본 발명의 의도된 넓은 범위 내에 유지되는 그 특정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출원은 그 보편적인 원리를 사용하는 임의의 변형, 사용 또는 개조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수정예 및 균등예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출원은 그 기술분야 내에서 공지되거나 관습적인 실시에 포함되는 이러한 변형예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2)

  1. 음료 제조 장치이며,
    양조 공정 동안의 혼합을 위해 음료 제조 물질과 액체의 슬러리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에 부착 및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용기;
    상기 용기의 제1 단부;
    상기 용기의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용기의 제2 단부;
    상기 용기의 공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로 연장하는 용기의 벽;
    컨트롤러;
    액체를 음료 제조 물질과 조합되도록 용기의 공동에 제어가능하게 송출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와 연통하는 액체 송출 시스템;
    상기 용기로부터 음료가 통과되도록 용기의 제1 단부 부근에 위치되는 배출 개구; 및
    상기 용기 내의 슬러리를 제어가능하게 교반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결합되고 적어도 상기 용기의 공동과 연통하는 공기 이동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이동 시스템은, 액체 및 음료 제조 물질을 통해 공기를 흡인하도록 공동 내에 부압을 생성하기 위한 펌프와, 배출 개구를 향해 액체 및 음료 제조 물질을 구동하기 위해 공동 내에 정압을 생성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에서 혼합된 음료 제조 물질과 액체의 슬러리로부터 음료의 분리를 적어도 촉진하기 위해 상기 배출 개구 및 용기의 제1 단부 부근에 위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공동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 개구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이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송출 시스템은,
    음료 제조 용으로 사용되는 액체의 가열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결합되는 제어가능한 가열기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동 시스템은,
    상기 용기의 공동 내에 진공을 제어가능하게 생성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의 공동과 연통하는 진공 펌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동 시스템은,
    상기 용기의 공동 내의 공기 이동을 제어가능하게 생성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의 공동과 연통하는 공기 펌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동 시스템은,
    상기 용기의 공동 내에 진공을 제어가능하게 생성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의 공동과 연통하는 진공 펌프;
    상기 용기의 공동 내의 공기 이동 제어가능하게 생성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의 공동과 연통하는 공기 펌프; 및
    상기 컨트롤러에 결합되고 상기 진공 펌프 및 상기 공기 펌프와 연통하는 제어가능한 밸브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용기에 선택적으로 부착 및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착탈식 저부 부근에 위치된 음료 제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변위가능한 상부는 상기 용기의 제2 단부를 선택적으로 폐쇄 및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제2 단부에 대해 위치될 수 있는 음료 제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용기에 선택적으로 부착 및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착탈식 저부 부근에 위치되고, 변위가능한 상부는 상기 용기의 제2 단부를 선택적으로 폐쇄 및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제2 단부에 대해 위치될 수 있는 음료 제조 장치.
  13. 음료 제조 장치이며,
    양조 공정 동안의 혼합을 위해 음료 제조 물질과 액체의 슬러리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에 부착 및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용기;
    상기 용기의 제1 단부;
    상기 용기의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용기의 제2 단부;
    컨트롤러;
    상기 용기의 공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로 연장하는 용기의 벽;
    적어도 액체를 음료 제조 물질과 조합되도록 용기의 공동에 제어가능하게 송출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와 연통하는 액체 송출 시스템;
    상기 용기로부터 음료가 통과되도록 용기의 제1 단부 부근에 위치되는 배출 개구; 및
    상기 용기 내의 슬러리를 통해 상측으로 공기를 이동시켜서 제어가능하게 교반하도록 상기 용기의 공동에 적어도 진공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결합되고 적어도 상기 용기의 제2 단부와 연통하는 공기 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음료 제조 방법이며,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기에 배출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기와 연통하는 제어가능한 공기 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기 내에 음료 제조 물질을 적치하는 단계;
    상기 용기 내에 액체를 적치하는 단계;
    용기의 공동 내에 진공을 생성함으로써, 음료 양조 물질을 액체와 혼합시키기 위해 배출 개구를 통해서 용기 내로 공기를 제어가능하게 흡입하도록 상기 공기 이동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 개구를 통해서 음료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방법.
  20. 삭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제1 단부 부근에 위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개구와 필터 사이의 공간에 갭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이동 시스템은 공기를 갭 내로 제어가능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갭과 연통하고,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는 용기 내의 슬러리를 교반하기 위해 확산되는 음료 제조 장치.
  22. 음료 제조 방법이며,
    상부 및 저부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기의 저부 부근에 배출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기와 연통하는 제어가능한 공기 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기의 저부 부근에 위치되는 필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필터의 상부상의 용기로 음료 제조 물질을 적치하는 단계;
    상기 용기 내로 액체를 적치하는 단계;
    용기의 공동 내에 진공을 생성함으로써, 음료 양조 물질을 액체와 혼합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의 저부 부근의 용기 내로 필터를 통해 상향으로 공기를 제어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공기 이동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필터 및 배출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로부터 음료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방법.
KR1020107026897A 2008-05-01 2009-05-01 공기압 제어가능한 음료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659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56408P 2008-05-01 2008-05-01
US61/049,564 2008-05-01
PCT/US2009/042604 WO2009135177A1 (en) 2008-05-01 2009-05-01 Air pressure controllable beverage mak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374A KR20110017374A (ko) 2011-02-21
KR101659321B1 true KR101659321B1 (ko) 2016-09-23

Family

ID=4125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897A KR101659321B1 (ko) 2008-05-01 2009-05-01 공기압 제어가능한 음료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97633B2 (ko)
EP (1) EP2285256A4 (ko)
KR (1) KR101659321B1 (ko)
CN (1) CN102083345B (ko)
CA (1) CA2723250A1 (ko)
MX (1) MX2010011990A (ko)
WO (1) WO20091351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286B1 (ko) * 2018-01-17 2019-01-25 정윤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3105B2 (en) 2008-05-01 2018-06-12 Bunn-O-Matic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beverage with a controllable brewer
SA110310345B1 (ar) 2009-05-05 2013-12-30 Nestec Sa كبسولة لتحضير منتج التغذية يشمل مرشح مياه
CA2761133C (en) 2009-05-05 2016-09-06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a nutritional product including a filter and method
SG175793A1 (en) 2009-05-05 2011-12-29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a nutritional product including a filter
EA025023B1 (ru) 2010-07-14 2016-11-30 Юнилевер Нв Способ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а и картридж, содержащий заварочный материал
CN103079437B (zh) 2010-07-14 2016-08-03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饮料泡制设备和方法
KR101308902B1 (ko) * 2011-05-06 2013-09-16 권용덕 저온저압 식음료 제조장치
WO2014036697A1 (zh) * 2012-09-05 2014-03-13 吉诺工业有限公司 电磁阀控制蒸煮装置与方法
US9527717B2 (en) 2013-03-12 2016-12-27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machine outlet
US9186016B2 (en) * 2013-08-28 2015-11-17 John Richardson Coffee press apparatus
EA201690714A1 (ru) * 2013-11-22 2017-01-30 Юнилевер Н.В.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а
US9521924B2 (en) * 2013-12-24 2016-12-20 Pangaea Labs Ltd. Brewable beverage making machine
US9521923B2 (en) 2013-12-24 2016-12-20 Pangaea Labs Ltd. Brewable beverage making cup adaptor for cartridge type coffee making machines and cartridge type coffee making machine
SG10201403823XA (en) * 2014-07-03 2016-02-26 Xentiq Pte Ltd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Method of Dispensing a Beverage, Beverage Brewing Machine and Method of Brewing a Beverage
US9962030B2 (en) 2015-01-12 2018-05-08 Voga Coffee, Inc. Coffee brewing system with features for rapid and/or multiple extraction processes
EP3310221B1 (en) * 2015-06-19 2018-10-24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for retrieving aroma from a quantity of coffee particles as present in a coffee chamber
US10785996B2 (en) 2015-08-25 2020-09-29 Cornelius,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inline injection of gases into liquids
US10477883B2 (en) 2015-08-25 2019-11-19 Cornelius, Inc. Gas injection assemblies for batch beverages having spargers
PT3143910T (pt) * 2015-09-17 2018-11-05 Mocoffee Europe Unipessoal Lda Aparelho para produzir uma bebida a partir de uma cápsula
US10258191B2 (en) * 2015-09-18 2019-04-16 Starbucks Corporation Beverage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CN107149407B (zh) * 2016-03-04 2019-10-11 威斯达电器(中山)制造有限公司 咖啡机及其控制方法
CN109414134A (zh) * 2016-06-27 2019-03-01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自动咖啡机以及制备冲泡饮料的方法
US20180057338A1 (en) * 2016-08-31 2018-03-01 Bsh Hausgeraete Gmbh Drink Producing Apparatus With A Decompression Chamber Chargeable With Ambient Air, Household Refrigeration Apparatus As Well As Method For Producing A Drink
CN107811508A (zh) * 2016-09-14 2018-03-2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冲泡机和冲泡机制作饮料的方法
WO2018075446A1 (en) * 2016-10-17 2018-04-26 Bkon Llc System and method for vacuum extraction of cold brewed beverages
US20180192816A1 (en) * 2017-01-12 2018-07-1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Beverage dispenser with a moisture removal device
WO2018159958A1 (ko) * 2017-02-28 2018-09-07 훼스텍 주식회사 커피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피 추출 방법
EP3641601B1 (en) * 2017-06-22 2021-09-0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manually operated pump with flow control means
US11154157B2 (en) * 2017-08-18 2021-10-26 Starbucks Corporation Extraction cell
ES2908567T3 (es) * 2017-10-20 2022-05-03 Cma Macch Per Caffe Srl Máquina y procedimiento para preparar una bebida
CN108179083A (zh) * 2018-02-02 2018-06-19 宁夏皇蔻酒庄有限公司 一种基于自压循环的葡萄酒酿酒罐
CN108497927A (zh) * 2018-03-14 2018-09-07 杭州易杯食品科技有限公司 胶囊饮料机制作茶饮的方法
CN112384070A (zh) * 2018-04-05 2021-02-19 沃咖啡公司 通过受控的真空对被提取的饮料(包括咖啡)的温度控制以及相关的系统和方法
CN108577547A (zh) * 2018-06-20 2018-09-28 惠阳亚伦塑胶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咖啡机
CN109497837A (zh) * 2018-11-16 2019-03-22 宁波西文智能电器有限公司 适于茶饮原叶物料冲泡萃取设备的水路系统
US11040314B2 (en) 2019-01-08 2021-06-22 Marmon Foodservice Technologies,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injecting gasses into beverages
US11771265B2 (en) 2019-03-08 2023-10-03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AU2020236961A1 (en) 2019-03-08 2021-06-10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AU2020239064A1 (en) 2019-03-08 2021-06-17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USD924007S1 (en) 2019-06-06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Strainer blender accessory
USD927256S1 (en) 2019-06-06 2021-08-1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USD925270S1 (en) 2019-06-06 2021-07-2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USD940500S1 (en) 2019-06-06 2022-01-11 Sharkninja Operating Llc Lid
CN115399635B (zh) * 2021-05-26 2023-10-2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液体加热装置
IT202100024152A1 (it) * 2021-09-21 2023-03-21 Bianchi Ind S P A Macchina per l'erogazione automatica di bevande ottenute da prodotti solubili con sistema di aspirazione perfezionat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8707A1 (en) * 1998-10-06 2003-06-26 Xcafe Llc Coffee system
US20080050480A1 (en) 2004-12-30 2008-02-28 Rhea Vendor,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420A (en) * 1887-11-15 Wallace suits
US2569820A (en) 1946-06-21 1951-10-02 Arthur A Locke Hot beverage maker
US2660948A (en) 1947-10-16 1953-12-01 Conrad J Forschner Coffee maker
AT261839B (de) 1963-05-17 1968-05-10 Paliz A G Kaffeemaschine
US3552976A (en) 1966-11-03 1971-01-05 Vendking Ltd Method of brewing single cup quantities of beverage
GB1185470A (en) 1967-04-21 1970-03-25 Cona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Making Coffee or Other Beverages.
US3992983A (en) * 1973-12-05 1976-11-23 Societe D'assistance Technique Pour Produits Nestle S.A. Preparation of tea extracts
DK162369C (da) 1982-07-19 1992-03-23 Mars G B Ltd Fremgangsmaade og dispenser til fremstilling af en infusionsdrikkevare
US4632023A (en) 1984-04-12 1986-12-30 King Alan M Coffee brewer
NL8500925A (nl) 1985-03-28 1986-10-16 P M Boumans En H J J Sobczak B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telkens bereiden van een kop koffie naar smaak.
GB2219489B (en) 1986-10-18 1990-06-13 Peter Andrew Carney Apparatus for preparing an infusion
DE3643879C1 (de) 1986-12-22 1992-01-09 Bentz & Sohn Melitta Kaffee- oder Teemaschine
US4791859A (en) 1987-08-27 1988-12-20 King Alan M Coffee brewer
JPH01234992A (ja) * 1988-03-16 1989-09-20 Fuji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
ES1006334Y (es) * 1988-05-10 1989-08-01 Gil Buj Elena M. Mar Recipiente de uso infantil.
JPH0327497A (ja) 1989-06-23 1991-02-05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飲料抽出装置
NL8901968A (nl) 1989-07-28 1991-02-18 Jong J M Duke Automaten Bv De Inrichting voor het door extractie bereiden van dranken zoals koffie of thee.
US4967647A (en) * 1989-09-05 1990-11-06 King Alan M Air supply for a coffee maker
CA2061106A1 (en) 1992-02-12 1993-08-13 Rodney Lewis Baxter Beverage preparing assemblies
US5297472A (en) 1992-09-29 1994-03-29 Vki Technologies, Inc. Beverage extraction device
US5312637A (en) 1993-06-21 1994-05-17 Bunn-O-Matic Corporation One-cup brewer
JPH09327385A (ja) * 1996-06-11 1997-12-22 Sanden Corp コーヒー抽出装置
US6220147B1 (en) 1997-06-13 2001-04-24 Affinitea Brewing Technologies, Inc. Beverage preparation and layering device for an espresso machine
US5957035A (en) 1997-10-10 1999-09-28 Richter; Walter M. Swirling oscillation coffee maker
CH692377A5 (de) 1997-12-30 2002-05-31 Roger Schelbert Automatische Teemaschine.
US6279461B1 (en) 1998-12-15 2001-08-28 Sanyo Electric Co., Ltd.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EP1010385A1 (en) 1998-12-15 2000-06-21 Sanyo Electric Co. Ltd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EP1020152B1 (en) 1998-12-24 2002-06-26 Unilever Plc Tea brewing apparatus
US6488976B1 (en) 1999-12-13 2002-12-03 Affinitea Brewing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ewing tea with an espresso machine
GB0029228D0 (en) 2000-11-30 2001-01-17 Unilever Plc Tea brewing method and apparatus
ITPN20030028A1 (it) 2003-04-23 2004-10-24 Wittenborg As Ora Wittemborg Aps Dispositivo per l'infusione di bevande.
US7717026B1 (en) * 2003-05-28 2010-05-18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Multicontrolled brewer for optimum flavor extraction
US20050205601A1 (en) 2004-03-01 2005-09-22 Jon Taylor Water dispensing systrem with vaccum-filled metering chamber
US6973869B1 (en) * 2004-09-16 2005-12-13 Huan-Liang Lin Extraction device
TWI281855B (en) 2005-04-13 2007-06-01 Wu Jian Wen Coffee flushing and filtering method by using high-pressure air
US7849784B2 (en) 2005-05-18 2010-12-14 Adler Alan J Coffee or tea filtering press
WO2008024933A2 (en) 2006-08-23 2008-02-28 Bunn-O-Matic Corporation Air pressure brewer
CN1935070B (zh) * 2006-10-13 2010-06-16 李行 咖啡机
US8286547B1 (en) 2008-05-23 2012-10-16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Automated french press-like quality producing, high volume, automated, electric beverage maker
US20090317526A1 (en) 2008-06-18 2009-12-24 Christopher Tacklind Coffee brewing system
US8383180B2 (en) 2009-10-28 2013-02-26 Dean J. Vastardis Vacuum brewed beverage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8707A1 (en) * 1998-10-06 2003-06-26 Xcafe Llc Coffee system
US20080050480A1 (en) 2004-12-30 2008-02-28 Rhea Vendor,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286B1 (ko) * 2018-01-17 2019-01-25 정윤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374A (ko) 2011-02-21
US8997633B2 (en) 2015-04-07
MX2010011990A (es) 2010-12-21
CA2723250A1 (en) 2009-11-05
EP2285256A4 (en) 2015-01-07
WO2009135177A1 (en) 2009-11-05
CN102083345B (zh) 2020-02-07
US20110097465A1 (en) 2011-04-28
CN102083345A (zh) 2011-06-01
EP2285256A1 (en)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321B1 (ko) 공기압 제어가능한 음료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EP2358244B1 (en) Beverage maker
US9993105B2 (en) Method of making a beverage with a controllable brewer
FI79018B (fi) Foerfarande foer att brygga drycker.
AU2012309161B2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RU2530848C2 (ru) Способ заваривания чайных листьев, содержащихся в капсуле
US8286547B1 (en) Automated french press-like quality producing, high volume, automated, electric beverage maker
KR101307725B1 (ko) 음료 생성 기계를 위한 배수
US20170367526A1 (en) Coffee maker with features for rapid and/or multiple extraction process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170367518A1 (en) Automatic coffee maker and method of preparing a brewed beverage
EP3970504B1 (en) Coffee maker with features for rapid and/or multiple extraction process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AU2016286224A1 (en) A container for containing a beverage base material,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including an automatic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and such a container, an automatic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for use in such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nd a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using such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JP2022502105A (ja) 温飲料を注ぐ方法
EP3876801B1 (en) Autonomous rapid batch beverage maker,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