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784B1 -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 Google Patents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3784B1 KR101653784B1 KR1020150109652A KR20150109652A KR101653784B1 KR 101653784 B1 KR101653784 B1 KR 101653784B1 KR 1020150109652 A KR1020150109652 A KR 1020150109652A KR 20150109652 A KR20150109652 A KR 20150109652A KR 101653784 B1 KR101653784 B1 KR 1016537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portion
- interlocking gear
- door lock
- housing
- pus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72—Sign-, picture- or letter-based permut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의 작동방향을 용이하게 전환(인/아웃 스윙 전환)할 수 있도록 한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설치면에 장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연결되어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핸들부와,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모티스와 연동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된 구동 기어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어 연동되며 상기 구동 기어부에 기어맞춤된 연동 기어부와, 상기 하우징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동 기어부와 상기 구동 기어부의 맞물린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누름 브라켓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의 작동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로서, 도 1과 같이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내측핸들(3)과 외측핸들(4)에 도어(D)가 열리는 방향의 힘을 가하여 래치볼트(5)를 해정하고 도어(D)를 여는 방식이다. 도 1에서 미설명부호 '7'은 레버이고, '8'은 회동 샤프트이며, '6'은 데드볼트이다.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모티스와 구동(데드볼트 및 레치볼트의 구동)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어락 장치의 작동성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한편,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도어(D)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내측핸들(3)과 외측핸들(4)이 설치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내측핸들(3)은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인 스윙; in swing)에 의해 문이 개방되도록 설치되고, 외측핸들(4)은 사용자가 당기는 동작(아웃 스윙; out swing)에 의해 문이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일단 도어락(D)에 핸들(3,4)이 설치된 이후에 스윙 작동방식을 전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즉 핸들(3,4) 자체에서 인 스윙과 아웃 스윙을 전환하는 것이 불가능해 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불편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60100호(공고일자: 2014년 02월 24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의 작동방향을 용이하게 전환(인/아웃 스윙 전환)할 수 있도록 한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설치면에 장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연결되어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핸들부와,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모티스와 연동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된 구동 기어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어 연동되며 상기 구동 기어부에 기어맞춤된 연동 기어부와, 상기 하우징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동 기어부와 상기 구동 기어부의 맞물린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누름 브라켓이 구성된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 기어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누름 브라켓은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는 상기 연동 기어부의 샤프트가 위치되어 상기 누름 브라켓이 상승되면 상기 굴곡부를 따라 상기 연동 기어부의 샤프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연동 기어부와 상기 구동 기어부의 기어맞춤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에는 하부면에는 연결핀이 형성되고, 상기 연동 기어부에는 상기 연결핀이 걸림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연동 기어부의 샤프트에는 띠 홈이 형성되고 상기 띠 홈에 상기 누름 브라켓의 장공이 이 위치되며, 상기 샤프트에는 스프링이 탄성지지되어 상기 누름 브라켓의 상승되면 굴곡진 상기 장공을 따라 상기 샤프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를 눌러서 상기 연동 기어부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누름 브라켓을 상승시키면 상기 연동 기어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 기어부와 상기 연동 기어부의 기어 연결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구동 기어부가 원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동 기어부와 다시 기어맞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누름 브라켓을 누른 것으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의 작동방향을 용이하게 전환(즉, 인/아웃 스윙으로 전환)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에서 핸들부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에서 핸들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절개 상태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b)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누름 브라켓, 연동 기어부, 및 구동 기어부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핸들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작동시 전환되는 상태를 순서대로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주요구성요소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을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누름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누름 브라켓과 연동기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연동 기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에서 핸들부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에서 핸들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절개 상태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b)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누름 브라켓, 연동 기어부, 및 구동 기어부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핸들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작동시 전환되는 상태를 순서대로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주요구성요소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을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누름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누름 브라켓과 연동기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의 연동 기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판(20)에 힌지부(11)를 통해 핸들부(10)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핸들부(10)는 연결핀(12)이 하우징(60) 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핸들부(10)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하우징(60) 내에 설치된 구동 기어부(30)를 선회시킨다. 이때 도시하진 않았으나 구동 기어부(30)는 샤프트로 모티스와 연결되어 구동 기어부(30)가 회전되면 모티스의 구동체도 회전됨으로써 모티스의 해정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핸들부(10)를 누르면 핸들부(10)의 이면에 형성된 연결핀(12)이 하우징(60)의 기구들에 의해 연동되어 구동 기어부(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하우징(60)은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판(20)의 상부에 형성되고, 베이스판(20)의 상부에는 커버판(61)이 장착되고 하우징(60)의 바닥부에는 도 3을 기준으로 볼 때 수직방향으로 구동 기어부(30)가 장착되고, 하우징(60)의 수평방향으로 연동기어(40)가 장착되어 구동 기어부(30)와 연동기어(40)는 서로 베벨기어 형태로 서로 기어맞춤된다.
한편 하우징(60)의 내부에는 제1 스프링(S1)에 의해 탄성지지된 누름 브라켓(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60; 도 3)의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연동 기어부(40)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구동 기어부(30)가 서로 기어맞춤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연동 기어부(40)를 구동 기어부(30)에서 선택적으로 이탈시키기 위해 누름 브라켓(50)이 장착된다.
아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며 이들의 연결관계 및 작동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연동 기어부(40)는 샤프트(41)의 선단(42)과 말단이 하우징(6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구동 기어부(30)는 하우징(60)의 내부에 수직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연동 기어부(40)의 샤프트(41)의 외주면에는 띠 홈이 형성되고, 샤프트(41)의 말단은 하우징(60)의 내부에서 스프링(S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샤프트(41)의 띠 홈은 누름 브라켓(50)의 장공(h)의 외주면이 안착된다.
여기서 누름 브라켓(50)은 대략 수직으로 절곡된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영역에 수직방향의 장공(h)이 형성된다. 또한 수직영역에는 굴곡부(53)가 형성되어 누름 브라켓(50)이 상승되면 굴곡부(53)를 따라서 연동 기어부(40)의 샤프트(41)가 스프링(S2)을 수축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구동 기어부(30)의 기어(31)에서 연동 기어부(40)의 기어(44)가 이탈된다.
이때, 구동 기어부(30)의 내부에는 토션 스프링(S3)이 설치되어 토션 스프링(S3)의 일단은 구동 기어부(30)의 내측에 고정되고, 토션 스프링(S3)의 타단은 하우징(60)의 내측면에 지지됨으로써 구동 기어부(30)가 일측으로 회전되었다가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누름 브라켓(50)에는 고정부(51)가 형성되고, 이 고정부(51)에 스프링(S1)이 장착됨으로써 눌러진 누름 브라켓(50)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한편 도 8를 참조하면 핸들부(10)의 하부면에는 연결핀(12)이 형성되고, 핸들부(10)의 선단에는 힌지부(11)가 형성된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핸들부(10)를 누르면 걸린 연결핀(12)에 걸린 연동 기어부(40)의 걸림부(42)를 통해 핸들부(10)가 눌러지는 경우에 연동 기어부(40)가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동 기어부(40)에 기어 맞춤된 구동 기어부(30)가 연동될 수 있다. 즉, 도 11의 (a) 상태에서 핸들부(10)를 누르면 (b)와 같이 구동 기어부(3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의 (c)와 같이 누름 브라켓(50)을 누르게 되면, 연동 기어부(40)는 구동 기어부(30)에서 이탈된다. 이와 같이 연동 기어부(40)와 구동 기어부(30)의 기어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면, 도 12의 (d)와 같이 구동 기어부(30)는 내부에 장착된 토션 스프링(S3)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누름브라켓(50)은 도 12의 (e)와 같이 스프링(S1)에 의해 다시 하강하여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로 인해 연동 기어부(40)는 구동 기어부(30)에 기어맞춤된다. 이때 구동 기어부(40)는 일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연동 기어부(40)의 고정이 해제되어 연동 기어부(40)가 탄성력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누름 브라켓(50)이 다시 하강되어 연동 기어부(40)와 구동 기어부(30)가 최초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서로 기어맞춤이 이루어진다. 즉 도 11의 (a)에서의 구동 기어부(30)와 연동 기어부(40)의 기어맞춤영역과 도 12의 (e)에서의 기어맞춤영역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맞물리게 된다(인/아웃 스윙 전환).
아래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이러한 인/아웃 스윙전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의 (a)와 같이 초기 위치에서 구동 기어부(30)와 연동 기어부(40)는 제1 위치(P1)에서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부(10)를 누르면 도 9의 (b)와 같이 연동 기어부(4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위치(P2)까지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 브라켓(50)이 상승되어 연동 기어부(40)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기어맞춤 상태가 해제되면 도 10의 (d)와 같이 구동 기어부(30)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되고, 누름 브라켓(50)이 원위치로 하강되어 연동 기어부(40)와 구동 기어부(30)는 서로 기어맞춤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연동 기어부(40)와 구동 기어부(30)는 제2 위치(P2)에서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이 연동 기어부(40)와 구동 기어부(30)의 기어 작동 시작 위치(구동 시작점)로서 제1 위치(P1)를 인 스윙이라 하고, 제2 위치(P2)를 아웃 스윙이라 한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부(10)를 누른 상태에서 누름 브라켓(50)을 눌러서 기어 작동 시작 위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누름 브라켓을 누른 것으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의 작동방향을 용이하게 전환(즉, 인/아웃 스윙으로 전환)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핸들부
11: 힌지부
12: 연결핀
20: 베이스판
40: 연동 기어부
41: 샤프트
43: 걸림부
44: 기어부
30: 구동 기어부
50: 누름 브라켓
51: 고정부
52: 걸림턱
53: 굴곡부
60: 하우징
11: 힌지부
12: 연결핀
20: 베이스판
40: 연동 기어부
41: 샤프트
43: 걸림부
44: 기어부
30: 구동 기어부
50: 누름 브라켓
51: 고정부
52: 걸림턱
53: 굴곡부
60: 하우징
Claims (5)
- 설치면에 장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연결되어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핸들부와,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모티스와 연동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된 구동 기어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어 연동되며 상기 구동 기어부에 기어맞춤된 연동 기어부와, 상기 하우징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동 기어부와 상기 구동 기어부의 맞물린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누름 브라켓이 구성되고,
상기 구동 기어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누름 브라켓은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는 상기 연동 기어부의 샤프트가 위치되어 상기 누름 브라켓이 상승되면 상기 굴곡부를 따라 상기 연동 기어부의 샤프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연동 기어부와 상기 구동 기어부의 기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는 하부면에는 연결핀이 형성되고,
상기 연동 기어부에는 상기 연결핀이 걸림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어부의 샤프트에는 띠 홈이 형성되고 상기 띠 홈에 상기 누름 브라켓의 장공이 이 위치되며, 상기 샤프트에는 스프링이 탄성지지되어 상기 누름 브라켓의 상승되면 굴곡진 상기 장공을 따라 상기 샤프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를 눌러서 상기 연동 기어부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누름 브라켓을 상승시키면 상기 연동 기어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 기어부와 상기 연동 기어부의 기어 연결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구동 기어부가 원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동 기어부와 다시 기어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652A KR101653784B1 (ko) | 2015-08-03 | 2015-08-03 |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652A KR101653784B1 (ko) | 2015-08-03 | 2015-08-03 |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3784B1 true KR101653784B1 (ko) | 2016-09-05 |
Family
ID=5693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9652A KR101653784B1 (ko) | 2015-08-03 | 2015-08-03 |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378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3491B1 (ko) | 2016-12-14 | 2017-11-06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
KR101793490B1 (ko) | 2016-12-14 | 2017-11-06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2011A (ko) * | 2009-07-29 | 2011-02-09 | 박경희 | 산업용 자동문 보조 개폐장치 |
KR20140005051U (ko) * | 2013-03-13 | 2014-09-23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
2015
- 2015-08-03 KR KR1020150109652A patent/KR1016537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2011A (ko) * | 2009-07-29 | 2011-02-09 | 박경희 | 산업용 자동문 보조 개폐장치 |
KR20140005051U (ko) * | 2013-03-13 | 2014-09-23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3491B1 (ko) | 2016-12-14 | 2017-11-06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
KR101793490B1 (ko) | 2016-12-14 | 2017-11-06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
CN108222722A (zh) * | 2016-12-14 | 2018-06-29 | 亚萨合莱韩国公司 | 门锁把手的推拉切换驱动体 |
CN108222721A (zh) * | 2016-12-14 | 2018-06-29 | 亚萨合莱韩国公司 | 推拉门锁的驱动切换结构体 |
CN108222721B (zh) * | 2016-12-14 | 2019-09-13 | 亚萨合莱韩国公司 | 推拉门锁的驱动切换结构体 |
CN108222722B (zh) * | 2016-12-14 | 2019-11-19 | 亚萨合莱韩国公司 | 门锁把手的推拉切换驱动体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08358B2 (ja) | 蓋開閉装置 | |
US8919338B2 (en) | Sliding and tilting door assembly | |
CN105508352B (zh) | 锁扣组件和led拼装屏 | |
JP2011026893A (ja) | 筐体の扉構造 | |
KR101653784B1 (ko) |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 |
CN103900318B (zh) | 包括两个门的制冷电器 | |
JP4632360B2 (ja) | キャビネット | |
CN109972938B (zh) | 一种用于打开车门的机构 | |
JP5358692B2 (ja) | 引き戸の開放補助装置 | |
JP2016216212A (ja) | 上下開閉扉のロック装置および塵芥収集車 | |
KR101793490B1 (ko) | 도어락 핸들의 푸쉬-풀 전환 구동체 | |
KR101075216B1 (ko) | 비상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 | |
EP2764187B1 (en) | Device for unlocking a door | |
KR101672995B1 (ko) | 창호 잠금장치 | |
JP5653075B2 (ja) | 前面パネル装置 | |
JP7057725B2 (ja) | サッシ窓枠構造 | |
KR20170066195A (ko) | 푸쉬 풀 도어락 | |
JP5320425B2 (ja) | リフトアップ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 |
CN107740638B (zh) | 钥匙柄自动滑出式peps钥匙 | |
JP2012122202A (ja) | ルーフ部材の固定装置 | |
KR20170054641A (ko) | 도어 잠금장치 | |
JP2007070932A (ja) | 鎌付電気扉錠 | |
JP6643178B2 (ja) | ロック解除機構 | |
JP6255580B2 (ja) | 電気電子機器収納用箱のハンドル装置 | |
JP6503617B2 (ja) | ラッチ錠の操作部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