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051U -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5051U KR20140005051U KR2020130001891U KR20130001891U KR20140005051U KR 20140005051 U KR20140005051 U KR 20140005051U KR 2020130001891 U KR2020130001891 U KR 2020130001891U KR 20130001891 U KR20130001891 U KR 20130001891U KR 20140005051 U KR20140005051 U KR 2014000505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door
- gear
- locking
- pus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전면과 후면의 하우징에 결합된 레버의 푸시 및 풀 동작 모두에서 구동부가 구동하여 도어에 내장된 잠금구의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방 방향과 레버 작동 방향을 일치시킬 필요없이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는,
서포트에 의해 도어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하는 하우징의 전면에 도어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레버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도어 전면과 후면의 서포트와 하우징 사이에 레버와 함께 회동하는 돌출부에 의해 유동하여 도어에 내장된 잠금구로 이어지는 작동간을 회전시켜 잠금구를 해제하는 구동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는,
서포트에 의해 도어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하는 하우징의 전면에 도어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레버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도어 전면과 후면의 서포트와 하우징 사이에 레버와 함께 회동하는 돌출부에 의해 유동하여 도어에 내장된 잠금구로 이어지는 작동간을 회전시켜 잠금구를 해제하는 구동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전면과 후면의 하우징에 결합된 레버의 푸시 및/또는 풀 동작 모두에서 구동부가 구동하여 도어에 내장된 잠금구의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방 방향과 레버 작동 방향을 일치시킬 필요없이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상에는 잠금구가 마련되어 잠금구의 잠금 여부에 따라 도어가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잠금구는 도어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는 제1본체와 제2본체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도어상의 잠금구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제1본체와 제2본체는 도어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에 각각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실내측의 제1본체 또는 제2본체의 어느 하나 하우징에는 잠금구를 해제하는 레버 및 섬턴이 마련된다.
그리고 실외측의 제2본체 또는 제1본체의 어느 하나 하우징에는 잠금구를 해제하는 레버 및 키입력부가 마련된다.
따라서, 실내측에 위치하는 제1본체 또는 제2본체 어느 하나 하우징의 레버 와 섬턴을 조작하여 잠금구를 해제하게 되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실외측에 위치하는 제2본체 또는 제1본체 어느 하나 하우징의 레버와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잠금구를 해제하게 되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96741 호(공개일 2011.08.31.)와 같이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레버가 푸시 또는 풀 동작을 취함에 따라 잠금구의 잠금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이때,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는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레버가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푸시 동작 또는 풀 동작을 취하는 과정에서 잠금구와 연결된 작동간의 회전이 이루어져 잠금구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제1본체 또는 제2본체의 레버를 당기거나 밀어주는 것만으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레버를 회전시킨 후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만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일반 도어 잠금장치에 비해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A')에서 일측 본체의 레버(30')는 푸시 또는 풀의 어느 하나 동작만을 취할 수 있는 것이고, 타측 본체의 레버(30')는 풀 또는 푸시의 어느 하나 동작만을 취할 수 있는 것이어서 도어(100)를 밀어 여는 방향에는 푸시 동작하는 레버(30')가 마련된 본체를 설치해야만 했고, 도어(100)를 당겨 여는 방향에는 풀 동작하는 레버(30')가 마련되는 본체를 설치해야만 했으므로 본체의 설치에 앞서 도어 개방 방향과 레버 동작 방향을 일치시켜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도어 개방 방향과 레버 동작 방향을 일치시켜주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체의 레버가 푸시 또는 풀의 어느 하나 동작만을 취할 수밖에 없어 도어 개방 방향과 레버 동작 방향을 일치시켜주어야만 했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는, 서포트에 의해 도어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하는 하우징의 전면에 도어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레버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도어 전면과 후면의 서포트와 하우징 사이에 레버와 함께 회동하는 돌출부에 의해 유동하여 도어에 내장된 잠금구로 이어지는 작동간을 회전시켜 잠금구를 해제하는 구동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전면에 전후로 이어지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유동부재와, 상기 유동부재의 걸림턱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와 치합하고 중앙부에 도어의 잠금구로 이어지는 작동간이 결합된 제 2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버의 돌출부는 구동부의 유동부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는 키입력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는 실외측의 하우징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는 키패드 및 카드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의 제 1 기어에 형성되는 돌기는 제 1 기어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잠금구는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도어를 잠금과 잠금 해제시키도록 데드볼트를 작동시키게 되는 데드볼트 구동수단;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의 작동으로 데드볼트의 잠금해제시 래치볼트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래치볼트 구동수단; 및,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과 래치볼트 구동수단의 사이에 위치되고, 실내측 레버 또는 실외측 레버의 작동방향에 연동하여 데드볼트의 잠금해제와 래치볼트의 록킹을 해제시키도록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과 래치볼트 구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연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은 실외측 레버에서의 잠금해제를 위한 정보 입력시 데드볼트 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실내측 레버의 푸시 및/또는 풀 동작시에는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캠; 상기 구동캠과 로드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캠의 회전시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이동하는 작동레버; 및, 실내측 레버의 푸시 및/또는 풀 동작시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캠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기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실내측 레버 및/또는 실외측 레버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타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연결레버; 상기 연결레버의 일측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레버의 회전에 따라 작동하는 피동기어; 및, 상기 기어부에 기어 맞물림되면서 상기 피동기어의 작동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구동캠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실내측 레버의 푸시 동작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실내측 레버의 풀 동작시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제 1 회전체; 및, 실외측 레버의 풀 동작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실외측 레버의 푸시 동작시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제 2 회전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는 서로 다른 직경의 이중 기어부를 가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이중 기어부 중 하나의 기어부에는 상기 피동기어가 기어 맞물림되도록 구성하고, 또 다른 하나의 기어부에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에 포함되는 기어부가 기어 맞물림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레버의 하부에는 걸림편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회전체에는 상기 걸림편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으로 상기 걸림편이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시 상기 연결레버가 타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체에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에 의해 데드볼트의 잠금해제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래치볼트 구동수단을 동작시키는 제 1,2 작동캠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회전체에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에 의해 데드볼트의 잠금해제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래치볼트 구동수단을 동작시키는 제 3,4 작동캠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래치볼트 구동수단은, 상기 제 1,2 작동캠 또는 제 3,4 작동캠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걸림레버; 및, 상기 걸림레버의 회전으로부터 래치볼트의 록킹을 해제시키도록 작동하는 록킹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레버의 일측면에는 제 1 작동캠 또는 제 3 작동캠이 걸림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는 서포트와 하우징 사이의 구동부가 전후로 회동하는 레버의 돌출부에 의해 유동하여 도어에 내장된 잠금구로 이어지는 작동간을 회전시켜 잠금구를 해제하는 것인바, 레버의 푸시 동작 및 풀 동작 모두에서 도어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도어 개방 방향과 레버 동작 방향을 일치시켜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 없이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에서 레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의 구동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에서 레버의 돌출부와 구동부의 유동부재 결합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에서 레버 푸시 상태에서의 구동부 작동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에서 레버 풀 상태에서의 구동부 작동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에서 하우징에 섬턴이 마련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에서 하우징에 키입력부가 마련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구를 도시한 결합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내측 레버의 푸시 동작시 잠금구의 작동 상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외측 레버의 풀 동작시 잠금구의 작동 상태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내측 레버의 풀 동작시 잠금구의 작동 상태도.
도 19 및 도 20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외측 레버의 푸시 동작시 잠금구의 작동 상태도.
도 21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구가 왼쪽 열림 도어에 설치된 예시도.
도 22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구가 오른쪽 열림 도어에 설치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의 구동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에서 레버의 돌출부와 구동부의 유동부재 결합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에서 레버 푸시 상태에서의 구동부 작동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에서 레버 풀 상태에서의 구동부 작동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에서 하우징에 섬턴이 마련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에서 하우징에 키입력부가 마련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구를 도시한 결합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내측 레버의 푸시 동작시 잠금구의 작동 상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외측 레버의 풀 동작시 잠금구의 작동 상태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내측 레버의 풀 동작시 잠금구의 작동 상태도.
도 19 및 도 20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실외측 레버의 푸시 동작시 잠금구의 작동 상태도.
도 21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구가 왼쪽 열림 도어에 설치된 예시도.
도 22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구가 오른쪽 열림 도어에 설치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A)는 서포트(10), 하우징(20), 레버(30), 구동부(40), 잠금구(100)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10)는 도어(200)에 내장되는 잠금구(100)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서포트(10)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통상적인 것인바, 서포트(1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한편, 상기 잠금구(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에 설치되는 본체(110)와, 실내측 레버(30) 또는 실외측 레버(30)에 의해 도어(200)의 잠금과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래치볼트(140)와, 별도의 키(KEY) 또는 버튼에 의해 잠금과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데드볼트(130)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잠금구(100)를 구성함에 있어, 첨부된 도 21 및 도 22에서와 같이 도어(200)의 열림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도어(200)에 공통적으로 설치되면서 잠금구(100)의 양방향 구동이 가능하도록 데드볼트 구동수단(150), 래치볼트 구동수단(170), 그리고 연결수단(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150)은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도어(200)를 잠금과 잠금 해제시키도록 데드볼트(130)를 작동시키는 것이고, 상기 래치볼트 구동수단(170)은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150)의 작동으로 데드볼트(130)의 잠금해제시 래치볼트(14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이며, 상기 연결수단(160)은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150)과 래치볼트 구동수단(170)의 사이에 위치되어 실내측 레버(30) 또는 실외측 레버(30)의 작동방향에 연동하면서 데드볼트(130)의 잠금해제와 래치볼트(140)의 록킹을 해제시키도록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150)과 래치볼트 구동수단(17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150)은 실외측 레버(30)에서의 잠금해제를 위한 정보 입력시 데드볼트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고 실내측 레버(30)의 푸시 및/또는 풀 동작시에는 상기 연결수단(16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캠(151)과, 상기 구동캠(151)과 로드(151a)로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캠(151)의 회전시 데드볼트(130)의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이동하는 작동레버(152)와, 실내측 레버(30)의 푸시 및/또는 풀 동작시 상기 연결수단(160)에 의해 상기 구동캠(151)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연결수단(160)에 연결되는 기어부(153)를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160)은 실내측 레버(30) 및/또는 실외측 레버(3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161,1611)와, 상기 회전체(161,1611)의 회전시 타측의 힌지(h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연결레버(162)와, 상기 연결레버(162)의 일측에 힌지(h2)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레버(162)의 회전에 따라 작동하는 피동기어(163)와, 상기 기어부(153)에 기어 맞물림되면서 상기 피동기어(163)의 작동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구동캠(151)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164)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164)는 서로 다른 직경의 이중 기어부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 이중 기어부 중 하나의 기어부에는 상기 피동기어(163)가 기어 맞물림되도록 구성하고, 또 다른 하나의 기어부에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150)에 포함되는 기어부(153)가 기어 맞물림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실내측 푸시풀형 레버(30)의 푸시 동작 또는 회전형 레버(미도시)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실내측 푸시풀형 레버(30)의 풀 동작 또는 회전형 레버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제 1 회전체(161), 그리고 실외측 푸시풀형 레버(30)의 풀 동작 또는 회전형 레버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실외측 푸시풀형 레버(30)의 푸시 동작 또는 회전형 레버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제 2 회전체(1611)를 포함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단수로서 하나의 회전체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단수의 회전체 또는 상기 제 1,2 회전체(161)(1611)는 잠금구(100)가 도어(200)의 열림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었을 ? 그 설치 위치에 대응하도록 좌측(반시계방향) 또는 우측(시계방향)으로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회전체(161)에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150)에 의해 데드볼트(130)의 잠금해제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 1 회전체(161)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래치볼트 구동수단(170)을 동작시키는 제 1,2 작동캠(161b)(161c)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2 회전체(1611)에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150)에 의해 데드볼트(130)의 잠금해제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 2 회전체(1611)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래치볼트 구동수단(170)을 동작시키는 제 3,4 작동캠(1611a)(1611b)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연결레버(162)의 하부에는 걸림편(162a)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회전체(161)에는 상기 걸림편(162a)이 안착되는 안착부(161a)를 형성하였으며, 이에따라 상기 제 1 회전체(161)의 회전으로 상기 걸림편(162a)이 상기 안착부(161a)로부터 이탈시 상기 연결레버(162)가 타측의 힌지(h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래치볼트 구동수단(170)은 상기 제 1,2 작동캠(161b)(161c) 또는 제 3,4 작동캠(1611a)(1611b)에 의해 힌지(h3)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걸림레버(171)와, 상기 걸림레버(171)의 회전으로부터 래치볼트(140)의 록킹을 해제시키도록 작동하는 록킹부재(172)를 포함함은 물론, 상기 걸림레버(171)의 일측면에는 제 1 작동캠(161b) 또는 제 3 작동캠(1611a)이 걸림될 수 있는 걸림턱(171a)을 형성하여 둔 것이다.
상기 하우징(20)은 도어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서포트(10)에 결합되고, 실외측 하우징(20)에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22)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20)에 키입력부(22)가 마련됨으로써 키입력부(22)에의 키입력을 통해 잠금구(100)에 구비되는 데드볼트(13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키입력부(22)에의 키입력에 의한 잠금구(100)의 데드볼트(130) 개방은 데드볼트 모터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데드볼트 구동수단(150)에 포함되는 구동캠(151)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캠(151)의 회전으로부터 작동레버(152)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데드볼트(13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동작패턴은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일반화되어 있으므로 키입력부(22)에의 키입력에 의한 데드볼트(130)의 개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여기서, 키입력부(22)는 키패드(도며부호 미표시) 및/또는 카드리더기(도면부호 미표시)이다.
키입력부(22)가 키패드 및/또는 카드리더기임으로써 키패드를 통한 비밀번호입력과 카드키 접촉을 통해 데드볼트(13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버(30)는 하우징(20)의 전면에 전후로 회동, 즉 푸시 및/또는 풀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레버(30)에는 도어(200)측으로 돌출부(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30)에 도어(200)측으로 돌출부(31)가 형성됨으로써 레버(30)의 전후 회동에 따라 돌출부(31)가 전후 회동하게 되므로 돌출부(31)의 전후 회동을 통해 후술하는 구동부(40)의 유동부재(41)를 유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30)의 돌출부(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구동부(40)의 유동부재(41)에 형성되는 삽입홈(41a)에 삽입되는 것이다.
레버(30)의 돌출부(31)가 구동부(40)의 유동부재(41)에 형성되는 삽입홈(41a)에 삽입됨으로써 삽입홈(41a)에 삽입된 돌출부(31)의 회동 방향에 따라 유동부재(41)가 상부 또는 하부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부(40)는 도어(200) 전면과 후면의 서포트(10)와 하우징(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고, 레버(30)와 함께 회동하는 돌출부(31)에 의해 유동하여 도어(200)에 내장된 잠금구(200)로 이어지는 작동간(44)을 회전시켜 잠금구(100)를 해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동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재(41)와, 제 1 기어(42)와, 제 2 기어(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동부재(41)는 전면에 전후로 이어지는 삽입홈(41a)이 형성된 것이고 일측면에 걸림턱(41b)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제 1 기어(42)는 유동부재(41)의 걸림턱(41b)에 삽입되는 돌기(42a)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 2 기어(43)는 제 1 기어(42)와 치합하는 것이고 중앙부에 도어(200)의 잠금구(200)로 이어지는 작동간(44)이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레버(30)의 돌출부(31)가 삽입홈(41a)에 걸친 상태로 회동하여 유동부재(41)가 상부 또는 하부로 유동하게 되면, 유동부재(41)의 걸림턱(41b)이 제 1 기어(42)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 1 기어(42)는 제 2 기어(43)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레버(30)의 돌출부(31) 회동에 의해 제 2 기어(43)의 중앙에 결합된 작동간(44)의 회전이 이루어져 도어(200)에서 잠금구(10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구동부(40)의 제 2 기어(43)에 결합된 작동간(44)은 회전을 통해 잠금구(100)에 구비되는 래치볼트(140)를 유동시키는 것이다.
작동간(44)의 회전을 통해 잠금구(100)에 구비되는 래치볼트(140)를 유동시키는 것은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므로 작동간(44)의 회전을 통한 래치볼트(140)의 유동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그리고 구동부(40)의 제 1 기어(42)에 형성되는 돌기(42a)는 제 1 기어(42)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기어(42)에 형성되는 돌기(42a)가 제 1 기어(42)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제 1 기어(42)와 제 2 기어(43)가 치합된 상태에서도 돌기(42a)가 유동부재(41)의 걸림턱(41a)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구동부(40)는 지지플레이트(50)상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때, 지지플레이트(50)는 유동부재(4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1 기어(42) 및 제 2 기어(4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A)에서 레버(30)의 작동에 의한 도어(200)의 개폐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도어(200)의 전면과 후면에 결합된 각 하우징(20)에는 레버(30)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레버(30)는 도어(200)측으로 돌출부(31)가 형성된 것이고, 하우징(20)상에서 전후로 회동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도어(200)의 전면과 후면에 결합된 각 서포트(10)와 하우징(20) 사이에는 구동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구동부(40)는 전면에 전후로 이어지는 삽입홈(41a)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걸림턱(41b)이 형성된 유동부재(41)와, 상기 유동부재(41)의 걸림턱(41b)에 삽입되는 돌기가(42a)가 형성된 제 1 기어(42)와, 상기 제 1 기어(42)와 치합하고 중앙부에 도어(200)의 잠금구(100)로 이어지는 작동간(44)이 결합된 제 2 기어(43)를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각 레버(30)의 돌출부(31) 선단은 인접하는 각 구동부(40)의 유동부재(41)에 형성된 삽입홈(41a)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상의 레버(30)를 밀어 전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유동부재(41)의 삽입홈(41a)에 삽입된 돌출부(31)가 하부로 향하며 유동부재(41)를 하강시키게 되고, 하강하는 유동부재(41)는 일측의 걸림턱(41b) 내측으로 제 1 기어(42)의 돌기(42a)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유동부재(41)의 하강에 의해 제 1 기어(42)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회전하는 제 1 기어(42)는 제 2 기어(43)와 치합하고 있으므로, 제 1 기어(42)의 회전에 의해 제 2 기어(43)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제 2 기어(43)와 함께 작동간(44)이 회전하여 잠금구(100)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상의 레버(30)를 당겨 후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유동부재(41)의 삽입홈(41a)에 삽입된 돌출부(31)가 상부로 향하며 유동부재(41)를 승강시키게 되고, 승강하는 유동부재(41)는 일측의 걸림턱(41b) 내측으로 제 1 기어(42)의 돌기(42a)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유동부재(41)의 승강에 의해 제 1 기어(42)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회전하는 제 1 기어(42)는 제 2 기어(43)와 치합하고 있으므로 제 1 기어(42)의 회전에 의해 제 2 기어(43)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제 2 기어(43)와 함께 작동간(44)이 회전하여 잠금구(100)의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의 잠금구(100)에 대한 잠금해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잠금구(100)는 첨부된 도 21에서와 같이 도어(200)의 좌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측 레버(30)의 푸시 동작에 의해 연결수단(160)이 작동되고, 상기 연결수단(160)의 작동에 따라 데드볼트 구동수단(150)과 래치볼트 구동수단(170)이 작동되면서 데드볼트(130)와 래치볼트(140)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즉,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실내측 레버(30)를 푸시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실내측 레버(30)의 푸시 동작으로부터 연결수단(160)에 포함되는 제 1 회전체(161)는 반시계방향(좌측)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제 1 회전체(161)의 안착부(161a)에 안착되어 있던 연결레버(162)의 걸림편(162a)은 상기 제 1 회전체(161)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안착부(161a)에서 이탈하게 되는바, 상기 연결레버(162)의 일측은 타측단의 힌지(h1)를 중심으로 하여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레버(162)의 일측이 상승시, 상기 연결레버(162)의 일측에 힌지(h2)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기어(163)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피동기어(163)와 기어 맞물림되는 구동기어(164)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다음으로 상기 구동기어(164)에 기어 맞물림되는 기어부(153)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기어(164)는 이중 기어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하나의 기어부에는 상기 피동기어(163)가 기어 맞물림되어 있고, 또 다른 하나의 기어부에는 상기 피동기어(163)의 상승동작이 이루어질 때 데드볼트 구동수단(150)에 포함되는 기어부(153)가 기어 맞물림되는 것인 바, 상기 구동기어(164)의 회전으로부터 기어부(153)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이에 연결되는 구동캠(151)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에따라 상기 구동캠(151)은 로드(151a)를 통해 작동레버(152)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데드볼트(130)의 잠금을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데드볼트(130)의 잠금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회전체(161)에 형성되는 제 2 작동캠(161c)은 상기 제 1 회전체(16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 2 작동캠(161c)은 래치볼트 구동수단(170)에 포함되는 걸림레버(171)를 밀게 되고, 상기 걸림레버(171)가 힌지(h3)를 축으로 회전되어 록킹부재(172)를 작동시켜 래치볼트(140)를 순차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의 잠금구(100)는 실외측 레버(30)의 키입력부에 키가 입력되면, 데드볼트 모터(미도시)가 구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130)에 연결되는 데드볼트 구동수단(150)의 구동캠(151)이 회전하면서 로드(151a)를 통해 데드볼트(130)의 잠금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때, 첨부된 도 21에서와 같이 실외측 레버(30)의 풀 동작이 이루어지면, 첨부된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실외측 레버(30)의 풀 동작으로부터 연결수단(160)에 포함되는 제 2 회전체(1611)가 시계방향(우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2 회전체(1611)에 마련되는 제 3 작동캠(1611a)이 걸림레버(171)를 밀어 올려 록킹부재(172)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실외측 레버(30)의 풀 동작에 의해 래치볼트(140)의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잠금구(100)는 첨부된 도 22에서와 같이 도어(200)의 열림이 실내측으로 변경되어 푸시 동작을 하던 실내측 레버(30)가 풀 동작을 하고, 실외측 레버(30)가 푸시 동작으로 전환되더라도, 실내측 레버(30)의 풀 동작에 의해 연결수단(160)이 작동되고, 상기 연결수단(160)의 작동에 따라 데드볼트 구동수단(150)과 래치볼트 구동수단(170)이 작동되면서 데드볼트(130)와 래치볼트(140)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즉, 첨부된 도 16 내지 도 18에서와 같이, 실내측 레버(30)를 풀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실내측 레버(30)의 풀 동작으로부터 연결수단(160)에 포함되는 제 1 회전체(161)는 시계방향(우측)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제 1 회전체(161)의 안착부(161a)에 안착되어 있던 연결레버(162)의 걸림편(162a)은 상기 제 1 회전체(161)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안착부(161a)에서 이탈하게 되는바, 상기 연결레버(162)의 일측은 타측단의 힌지(h1)를 중심으로 하여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레버(162)의 일측이 상승시, 상기 연결레버(162)의 일측에 힌지(h2)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기어(163)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피동기어(163)와 기어 맞물림되는 구동기어(164)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다음으로 상기 구동기어(164)에 기어 맞물림되는 기어부(153)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기어(164)는 이중 기어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하나의 기어부에는 상기 피동기어(163)가 기어 맞물림되어 있고, 또 다른 하나의 기어부에는 상기 피동기어(163)의 상승동작이 이루어질 때 데드볼트 구동수단(150)에 포함되는 기어부(153)가 기어 맞물림되는 것인 바, 상기 구동기어(164)의 회전으로부터 기어부(153)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이에 연결되는 구동캠(151)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에따라 상기 구동캠(151)은 로드(151a)를 통해 작동레버(152)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데드볼트(130)의 잠금을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데드볼트(130)의 잠금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회전체(161)에 형성되는 제 1 작동캠(161b)은 상기 제 1 회전체(16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 1 작동캠(161b)은 래치볼트 구동수단(170)에 포함되는 걸림레버(171)를 밀어 올리게 되고, 상기 걸림레버(171)가 힌지(h3)를 축으로 회전되어 록킹부재(172)를 작동시켜 래치볼트(140)를 순차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의 잠금구(100)는 실외측 레버(30)의 키입력부에 키가 입력되면, 데드볼트 모터(미도시)가 구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130)에 연결되는 데드볼트 구동수단(150)의 구동캠(151)이 회전하면서 로드(151a)를 통해 데드볼트(130)의 잠금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때, 첨부된 도 22에서와 같이 실외측 레버(30)의 푸시 동작이 이루어지면, 첨부된 도 19 및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실외측 레버(30)의 푸시 동작으로부터 연결수단(160)에 포함되는 제 2 회전체(1611)가 반시계방향(좌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2 회전체(1611)에 마련되는 제 3 작동캠(1611a)이 걸림레버(171)를 밀어 록킹부재(172)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실외측 레버(30)의 푸시 동작에 의해 래치볼트(140)의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잠금구(100)는 실내 또는 실외를 구애받지 않고 연결수단(160)에 포함되는 제 1,2 회전체(161)(1611)가 양방향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레버(30)의 푸시 동작이 풀 동작으로 변경되거나, 풀 동작이 푸시 동작으로 변경, 또는 도어(200)가 실내측 또는 실외측 방향으로 열리는 것에 상관없이 하나의 잠금구(100)를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가팅, 레버(30)의 전후 회동(푸시 및/또는 풀)에 따라 구동부(40)가 구동하여 작동간(44)의 회전에 의해 잠금구(100)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A)는 도어(200)의 개방 방향과 레버(30)의 동작 방향을 일치시켜 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어(200)를 밀어 개방하는 측에서 레버(30)를 당겨서도 잠금구(100)를 해제할 수 있으나, 도어(200)를 밀어 개방하는 측에서 레버(30)를 당기게 되면 도어(200)를 미는 동작과 레버(30)를 당기는 동작이 불일치하여 부자연스럽게 되므로 도어(100)를 밀어 개방하는 측에서는 레버(30)를 밀어 잠금구(100)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200)를 당겨 개방하는 측에서 레버(30)를 밀어서도 잠금구(100)를 해제할 수 있으나, 도어(200)를 당겨 개방하는 측에서 레버(30)를 밀게 되면 도어(200)를 당기는 동작과 레버(30)를 미는 동작이 불일치하여 부자연스럽게 되므로 도어(200)를 당겨 개방하는 측에서는 레버(30)를 당겨 잠금구(100)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 레버의 작동을 통해서는 잠금구(100)의 래치볼트(140)를 해제하는바, 잠금구(100)의 데드볼트(130)가 잠겨있게 되면 도어(20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하우징(20)에는 키입력부(22)가 마련되는바, 키입력부(22)에의 키 입력을 통해 잠금구(100)에 마련되는 데드볼트(130)를 해제할 수 있게 되므로 도어 개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키입력부(22)는 실외측의 하우징(20)에 마련되며, 키입력부(22)가 실외측의 하우징(20)에 마련됨으로써 실외에서 소지한 키를 키입력부(22)에 입력함으로써 도어(20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A)는 서포트(10)와 하우징(20) 사이의 구동부(40)가 전후로 회동하는 레버(30)의 돌출부(31)에 의해 유동하여 도어(200)에 내장된 잠금구(100)로 이어지는 작동간(44)을 회전시켜 잠금구(100)를 해제하는 것인바, 레버(30)의 푸시 동작 및 풀 동작 모두에서 도어(200)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도어(200) 개방 방향과 레버 동작 방향을 일치시켜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 없이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서포트 20 : 하우징
22 : 키입력부 30, 30' : 레버
31 : 돌출부 40 : 구동부
41 : 유동부재 41a : 삽입홈
41b : 걸림턱 42 : 제 1 기어
42a : 돌기 43 : 제 2 기어
44 : 작동간 50 : 지지플레이트
100 : 잠금구 110 : 본체
120 : 브래킷 130 : 데드볼트
140 : 래치볼트 150 : 데드볼트 구동수단
151 : 구동캠 151a; 로드
152 : 작동레버 153 : 기어부
160 : 연결수단 161 : 제 1 회전체
161a : 안착부 161b : 제 1 작동캠
161c : 제 2 작동캠 162 : 연결레버
162a : 걸림편 164 : 피동기어
1611 : 제 2 회전체 1611a : 제 3 작동캠
1611b : 제 4 작동캠 164 : 구동기어
170 : 래치볼트 구동수단 171 : 걸림레버
171a : 걸림턱 172 : 록킹부재
200 : 도어 h1,h2,h3 : 힌지
A, A' :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22 : 키입력부 30, 30' : 레버
31 : 돌출부 40 : 구동부
41 : 유동부재 41a : 삽입홈
41b : 걸림턱 42 : 제 1 기어
42a : 돌기 43 : 제 2 기어
44 : 작동간 50 : 지지플레이트
100 : 잠금구 110 : 본체
120 : 브래킷 130 : 데드볼트
140 : 래치볼트 150 : 데드볼트 구동수단
151 : 구동캠 151a; 로드
152 : 작동레버 153 : 기어부
160 : 연결수단 161 : 제 1 회전체
161a : 안착부 161b : 제 1 작동캠
161c : 제 2 작동캠 162 : 연결레버
162a : 걸림편 164 : 피동기어
1611 : 제 2 회전체 1611a : 제 3 작동캠
1611b : 제 4 작동캠 164 : 구동기어
170 : 래치볼트 구동수단 171 : 걸림레버
171a : 걸림턱 172 : 록킹부재
200 : 도어 h1,h2,h3 : 힌지
A, A' :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Claims (11)
- 서포트에 의해 도어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하는 하우징의 전면에 도어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레버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도어 전면과 후면의 서포트와 하우징 사이에 레버와 함께 회동하는 돌출부에 의해 유동하여 도어에 내장된 잠금구로 이어지는 작동간을 회전시켜 잠금구를 해제하는 구동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면에 전후로 이어지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유동부재와, 상기 유동부재의 걸림턱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와 치합하고 중앙부에 도어의 잠금구로 이어지는 작동간이 결합된 제 2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돌출부는 구동부의 유동부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제 1 기어에 형성되는 돌기는 제 1 기어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는,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도어를 잠금과 잠금 해제시키도록 데드볼트를 작동시키게 되는 데드볼트 구동수단;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의 작동으로 데드볼트의 잠금해제시 래치볼트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래치볼트 구동수단; 및,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과 래치볼트 구동수단의 사이에 위치되고, 실내측 레버 또는 실외측 레버의 작동방향에 연동하여 데드볼트의 잠금해제와 래치볼트의 록킹을 해제시키도록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과 래치볼트 구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연결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은,
실외측 레버에서의 잠금해제를 위한 정보 입력시 데드볼트 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실내측 레버의 푸시 및/또는 풀 동작시에는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캠;
상기 구동캠과 로드로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캠의 회전시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이동하는 작동레버; 및,
실내측 레버의 푸시 및/또는 풀 동작시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캠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기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실내측 레버 및/또는 실외측 레버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타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연결레버;
상기 연결레버의 일측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레버의 회전에 따라 작동하는 피동기어; 및,
상기 기어부에 기어 맞물림되면서 상기 피동기어의 작동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구동캠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실내측 레버의 푸시 동작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실내측 레버의 풀 동작시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제 1 회전체; 및, 실외측 레버의 풀 동작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실외측 레버의 푸시 동작시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제 2 회전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서로 다른 직경의 이중 기어부를 가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이중 기어부 중 하나의 기어부에는 상기 피동기어가 기어 맞물림되도록 구성하고, 또 다른 하나의 기어부에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에 포함되는 기어부가 기어 맞물림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레버의 하부에는 걸림편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회전체에는 상기 걸림편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으로 상기 걸림편이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시 상기 연결레버가 타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체에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에 의해 데드볼트의 잠금해제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래치볼트 구동수단을 동작시키는 제 1,2 작동캠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회전체에는 상기 데드볼트 구동수단에 의해 데드볼트의 잠금해제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래치볼트 구동수단을 동작시키는 제 3,4 작동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1891U KR200475874Y1 (ko) | 2013-03-13 | 2013-03-13 |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1891U KR200475874Y1 (ko) | 2013-03-13 | 2013-03-13 |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5051U true KR20140005051U (ko) | 2014-09-23 |
KR200475874Y1 KR200475874Y1 (ko) | 2015-01-09 |
Family
ID=5245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1891U KR200475874Y1 (ko) | 2013-03-13 | 2013-03-13 |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5874Y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3784B1 (ko) * | 2015-08-03 | 2016-09-05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
KR20170003522U (ko) | 2016-04-04 | 2017-10-13 |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 도어락용 손잡이 |
KR20180007076A (ko) * | 2016-07-12 | 2018-01-22 |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
WO2018045522A1 (zh) * | 2016-09-08 | 2018-03-15 | 深圳市凯迪仕智能科技有限公司 | 推拉锁 |
WO2018045525A1 (zh) * | 2016-09-08 | 2018-03-15 | 深圳市凯迪仕智能科技有限公司 | 推拉锁 |
CN107975303A (zh) * | 2016-10-21 | 2018-05-01 | 安朗杰安防技术(中国)有限公司 | 具备前后回动把手的门锁 |
KR20180002919U (ko) * | 2018-10-01 | 2018-10-11 |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
KR200488916Y1 (ko) * | 2018-03-27 | 2019-04-05 |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 푸시풀 도어 락 장치 |
CN110145173A (zh) * | 2019-07-03 | 2019-08-20 | 青岛韩昌物联智能控制有限公司 | 推拉锁 |
KR20230050606A (ko) * | 2021-10-08 | 2023-04-17 |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 푸시풀 도어락 |
KR102599754B1 (ko) | 2022-05-17 | 2023-11-07 | 한진환 | 푸시풀 타입 도어락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32483B2 (ja) * | 1999-10-14 | 2008-08-13 | 美和ロック株式会社 | 本締錠のワンタッチ式非常開装置 |
KR101115064B1 (ko) * | 2010-02-23 | 2012-02-28 | 윤자호 | 푸시풀형 도어락 |
-
2013
- 2013-03-13 KR KR2020130001891U patent/KR200475874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3784B1 (ko) * | 2015-08-03 | 2016-09-05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 전환 구조체 |
KR20170003522U (ko) | 2016-04-04 | 2017-10-13 |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 도어락용 손잡이 |
KR20180007076A (ko) * | 2016-07-12 | 2018-01-22 |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
WO2018045522A1 (zh) * | 2016-09-08 | 2018-03-15 | 深圳市凯迪仕智能科技有限公司 | 推拉锁 |
WO2018045525A1 (zh) * | 2016-09-08 | 2018-03-15 | 深圳市凯迪仕智能科技有限公司 | 推拉锁 |
CN107975303A (zh) * | 2016-10-21 | 2018-05-01 | 安朗杰安防技术(中国)有限公司 | 具备前后回动把手的门锁 |
KR200488916Y1 (ko) * | 2018-03-27 | 2019-04-05 |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 푸시풀 도어 락 장치 |
KR20180002919U (ko) * | 2018-10-01 | 2018-10-11 |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
CN110145173A (zh) * | 2019-07-03 | 2019-08-20 | 青岛韩昌物联智能控制有限公司 | 推拉锁 |
CN110145173B (zh) * | 2019-07-03 | 2024-02-20 | 青岛韩昌物联智能控制有限公司 | 推拉锁 |
KR20230050606A (ko) * | 2021-10-08 | 2023-04-17 |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 푸시풀 도어락 |
KR102599754B1 (ko) | 2022-05-17 | 2023-11-07 | 한진환 | 푸시풀 타입 도어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5874Y1 (ko) | 2015-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5874Y1 (ko) |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
KR200473021Y1 (ko) | 레버 작동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
KR101480508B1 (ko) | 도어락 모티스 | |
US20100213724A1 (en) |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with handle turning direction control | |
US20100236302A1 (en) |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 |
US20070113603A1 (en) | Lock with a locking cylinder | |
KR101601189B1 (ko) |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 |
TWI611089B (zh) | 裝設於雙扇門的鎖具構造 | |
KR101853053B1 (ko) | 데드볼트용 무부하 제어수단을 구비한 모티스 | |
KR101822760B1 (ko) | 푸시풀 도어락 | |
KR101968278B1 (ko) |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 |
KR101891785B1 (ko) | 데드볼트의 잼현상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 |
KR101598958B1 (ko) |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 |
KR101767495B1 (ko) |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 |
KR100609787B1 (ko) | 도어록 메커니즘 | |
KR101480507B1 (ko) | 도어락 모티스 | |
KR101962437B1 (ko) |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 |
KR101383289B1 (ko) |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 |
KR100855307B1 (ko) |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 |
KR100669495B1 (ko) | 도어록 메카니즘 | |
KR101887640B1 (ko) |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 |
KR100834212B1 (ko) | 연결 구조가 개선된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래치 | |
KR101891784B1 (ko) | 래치볼트가 임의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 |
KR101891782B1 (ko) | 양방향 패닉 구조체를 구비한 도어록 모티스 | |
KR101467284B1 (ko) |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