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602B1 -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602B1
KR101653602B1 KR1020147035696A KR20147035696A KR101653602B1 KR 101653602 B1 KR101653602 B1 KR 101653602B1 KR 1020147035696 A KR1020147035696 A KR 1020147035696A KR 20147035696 A KR20147035696 A KR 20147035696A KR 101653602 B1 KR101653602 B1 KR 101653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displayed
items
display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577A (ko
Inventor
유코 이자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Abstract

표시 제어장치는, 복수의 선택사항을 표시하고,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선택사항을 선택된 선택사항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복수의 선택사항으로 변경하고, 제1 선택사항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복수의 선택사항이 표시되어 있는 제1 상태에서, 선택된 선택사항을 변경하기 위한 제1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선택사항으로부터, 표시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선택사항 중 상기 제1 선택사항에 인접하는 제2 선택사항으로 상기 선택된 선택사항을 변경하며, 또 상기 제1 선택사항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선택사항을 포함하지 않는 복수의 선택사항이 표시되어 있는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선택사항으로부터, 상기 제1 선택사항에 인접하지 않고 상기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선택사항 중에 포함된 제3 선택사항으로 상기 선택된 선택사항을 변경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표시된 복수의 선택사항 중에서 임의의 선택사항을 선택가능한 표시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선택 아이템이 복수의 페이지에 걸쳐서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있다. 일부의 경우에,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커서를 페이지를 넘긴 후의 화면으로 이동시키지 않는다. 이들의 경우에, 종래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식은, 원하는 선택 아이템까지 도달하기 위해 많은 조작을 필요로 하여서, 조작성이 저하된다.
이를 고려하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1-076412호에는, 전자사전등의 화면에 그 화면을 스크롤해 검색 대상의 문자가 출현했을 경우에, 그 출현 직전에 화면이 순방향으로 스크롤된 경우에 그 화면 하부(최후)행으로, 그리고 그 출현 직전에 화면이 역방향으로 스크롤된 경우에는 화면 상부(선두)행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23415호에는, 메뉴 설정 표시에 있어서, 좌우 키로 탭간 전환을 행해서 설정 일람간에 전환을 행하고 나서, 상하 키로 커서를 조작함으로써, 유저가 선택하고 싶은 아이템에 재빠르게 커서를 이동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페이지 넘김과 동시에 커서를 이동하면 원하지 않는 아이템이 선택되고, 키 조작(키를 누름)마다 커서를 1단계 이동시키면 유저가 선택하고 싶은 아이템으로 커서가 재빠르게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유저가 의도하는 촬영 상태에 유저가 재빠르게 이행할 수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페이지 넘김 조작에 의해 커서 이동에 관한 조작성을 손상하지 않고, 원하는 아이템을 재빠르게 선택할 수 있는 표시 제어 기술을 실현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표시부에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된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다른 복수의 아이템으로 변경하는 변경부; 및 제1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제1 상태에서, 선택된 아이템을 인접한 아이템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1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아이템으로부터, 표시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아이템에 인접하는 제2 아이템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고,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지 않는 복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아이템으로부터, 상기 제1 아이템에 인접하지 않고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된 제3 아이템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표시부에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의 표시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된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다른 복수의 아이템으로 변경하는 변경단계; 및 제1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제1 상태에서, 선택된 아이템을 인접한 아이템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1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아이템으로부터, 표시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아이템에 인접하는 제2 아이템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고,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지 않는 복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아이템으로부터, 상기 제1 아이템에 인접하지 않고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된 제3 아이템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표시부에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된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다른 복수의 아이템으로 변경하는 변경부; 및 제1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1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제1 표시 형태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지 않는 복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제2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1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상태에서 사용된 상기 제1 표시 형태와는 다른 제2 표시 형태를 사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표시부에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단계;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된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다른 복수의 아이템으로 변경하는 변경단계; 제1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1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제1 표시 형태를 사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1 표시단계; 및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지 않는 복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제2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1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상태에서 사용된 상기 제1 표시 형태와는 다른 제2 표시 형태를 사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2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이지 넘김 조작에 의해 커서 이동에 관한 조작성을 손상하지 않고, 원하는 아이템을 재빠르게 선택할 수 있는 표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전방면을 나타내는 외관도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외관도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3은 표시 화면의 구성의 예시도다.
도 4a 및 도 4b는 페이지를 넘기고 커서를 이동하는 표시 제어 처리의 흐름도다.
도 5a 및 도 5b는 커서 이동 처리의 흐름도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처리에 의해 행해진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제어장치를 렌즈 교환식의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이하, 카메라라고 함)에 의해 실현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치구성>
이제,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촬상장치의 구성 및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 표시부(101)는 화상과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LCD등의 표시 디바이스다. 셔터 버튼(102)은 촬영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부다. 모드 전환 버튼(103)은 각종 모드를 바꾸기 위한 다이얼식의 조작부다. 단자 커버(104)는 외부기기와 카메라(100)를 USB등의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보호하는 커버부재다. 메인 전자 다이얼(105)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조작부(270)에 포함되는 회전 조작부재다. 이 메인 전자 다이얼(105)을 회전함으로써, 셔터 속도나 조리개등의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06)는 카메라(100)를 온 또는 오프로 바꾸는 조작부재다. 서브 전자 다이얼(107)도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조작부(270)에 포함되는 회전 조작부재이며, 선택 경계의 이동이나 표시 화상의 전환등에 사용될 수 있다. 십자 키(108)도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조작부(270)에 포함되는 이동 지시부재이며, 상, 하, 좌, 우 중 어느 하나를 눌러서 그 누른 부분에 대응한 조작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SET버튼(109)도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조작부(270)에 포함된 푸시 버튼이며, 주로 선택 항목의 선택에 사용된다. 라이브 뷰 버튼(110)도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조작부(270)에 포함되는 푸시 버튼이며, 정지 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라이브 뷰(이하, LV) 표시의 온 또는 오프를 바꾸고,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는 동영상 촬영(기록)의 시작이나 끝의 지시에 사용된다. 주밍 버튼(111)도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조작부(270)에 포함되는 푸시 버튼이며, 라이브 뷰 표시에 있어서 주밍 모드의 온 또는 오프, 및 주밍 모드중의 주밍 비율의 변경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재다. 주밍 버튼(111)은, 재생 모드에서는 재생 화상을 주밍하고, 주밍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주밍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재생 버튼(112)도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조작부(270)에 포함되는 푸시 버튼이며, 촬영 모드와 재생 모드를 바꾸는 조작부재다. 촬영 모드중에 재생 버튼(112)을 누르는 것에 의해, 재생 모드에 이행하고, 도 2의 기록 매체(250)에 기록된 화상 중 최신의 화상을 표시부(101)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퀵 리턴 미러(212)는, 도 2에 나타낸 시스템 제어부(201)의 지시에 따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업(up) 위치(노광 위치) 또는 다운(down) 위치(라이브 뷰 위치)에 구동된다. 통신 단자(210)는 카메라(100)가 렌즈 유닛(200)(도 2)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전기적 접점이다. 뷰파인더(216)는, 유저가 포커싱 스크린(213)(도 2)을 보고 관찰하여 렌즈 유닛(200)을 통해서 촬영된 피사체의 광학상의 초점과 구도를 확인하는 광학부재다. 덮개(113)는 카메라(100)에 대하여 기록 매체(250)를 착탈하기 위해서 슬롯을 개폐하는 부재다. 그립(grip)부(114)는, 유저가 카메라(100)를 오른손으로 쥐기 쉬운 형상을 가진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10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촬영 렌즈(207)가 탑재된 렌즈 유닛(200)은, 카메라(100)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다. 촬영 렌즈(207)는, 통상, 복수매의 렌즈로 구성되었지만, 간략을 기하기 위해서 1매의 렌즈만으로 도시되어 있다. 통신 단자(206)는 렌즈 유닛(200)이 카메라(100)와 통신을 행하는 전기적 접점이다. 통신 단자(210)는 카메라(100)가 렌즈 유닛(200)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전기적 접점이다. 렌즈 유닛(200)은, 통신 단자(206)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201)와 통신한다. 렌즈 유닛(200)에 내장된 렌즈 제어부(204)는 조리개 구동회로(202)를 제어해서 조리개(205)를 구동하고, AF구동회로(203)를 제어해서 렌즈(207)의 위치를 변위시킴으로써, 렌즈 유닛(200)의 초점을 조정한다.
AE센서(217)는, 렌즈 유닛(200)을 통해서 촬영된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한다. 초점검출부(211)는, 시스템 제어부(201)에 디포커스량을 출력하고, 시스템 제어부(201)는 디포커스량에 따라 렌즈 유닛(200)과 통신하고, 위상차검출 방식으로 AF제어를 행한다.
퀵 리턴 미러(이하, 미러)(212)는, 노광, 라이브 뷰 표시, 동영상 촬영시에, 시스템 제어부(201)로부터 지시에 따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업 위치 또는 다운 위치에 구동된다. 미러(212)는, 렌즈(207)로부터 입사한 광속을 뷰파인더(216) 또는 촬상부(222)로 전환한다. 미러(212)는, 통상, 광속을 반사해서 뷰파인더(216)에 광속을 이끌도록 다운 위치에 가압되어 있지만, 노광이나 라이브 뷰 표시시에, 촬상부(222)에 광속을 이끌도록 위쪽으로 뛰어올라 광속으로부터 대피한다(업 위치). 또한, 미러(212)는, 광속의 일부가 투과해서 초점검출부(211)에 입사하도록, 중앙부가 반투명경으로 되어 있다. 촬영자는, 펜타프리즘(214)과 뷰파인더(216)를 통하여 포커싱 스크린(213)을 관찰함으로써, 렌즈 유닛(200)을 통해서 촬상된 피사체의 광학상의 초점과 구도의 확인이 가능해진다.
셔터(221)는, 시스템 제어부(201)의 지시에 따라 촬상부(222)에서의 노광 시간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포컬 플레인 셔터다. 촬상부(222)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나 CMOS등의 촬상소자로 구성된 이미지 센서다. A/D변환기(223)는, 촬상부(222)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처리부(224)는, A/D변환기(223)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부(21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보간 및 축소 등의 리사이즈 처리나, 색 변환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부(224)에서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가 행해지고, 시스템 제어부(201)는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노광 제어와 측거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TTL(스루 더 렌즈)방식의 AF(오토 포커스)처리, AE(자동노출)처리, EF(플래시 사전발광)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화상처리부(224)에서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TTL방식의 AWB(오토 화이트 밸런스)처리도 행한다.
A/D변환기(223)로부터의 데이터는, 화상처리부(224) 및 메모리 제어부(215)를 통하여, 또는, 메모리 제어부(215)를 통하여 메모리(232)에 직접 기록된다. 메모리(232)는, 촬상부(222) 및 A/D변환기(223)로부터 얻어진 화상 데이터나, 표시부(101)에 표시되는 화상표시용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232)는, 소정시간의 동영상 및 음성뿐만 아니라 소정매수의 정지 화상도 기억하는데도 충분한 기억 용량을 갖는다. 또한, 메모리(232)는 화상표시용의 메모리(video memory)로서도 기능한다. D/A변환기(219)는, 메모리(23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표시용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101)에 공급한다. 메모리(232)에 기록된 화상표시용의 데이터는 D/A변환기(219)를 통해 표시부(101)에 의해 표시된다. 표시부(101)는, LCD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D/A변환기(219)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표시를 행한다. 이렇게, 메모리(232)에 기억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표시부(101)에 연속적으로 전송해서 표시함으로써, 전자 뷰 파인더(EVF)기능을 실현하고, 스루 화상 표시(라이브 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256)는, 전기적으로 소거 및 기록가능한, 예를 들면 EEPROM등이다. 불휘발성 메모리(256)에는, 시스템 제어부(201)의 동작용의 정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이 문맥에서는, "프로그램"이란,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카메라(100) 전체를 통괄해서 제어하는 연산 처리장치이며, 불휘발성 메모리(256)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흐름도의 처리를 실현한다. 시스템 메모리(252)는 RAM등이며, 시스템 제어부(201)의 동작용의 정수 및 변수와, 불휘발성 메모리(256)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메모리(232), D/A변환기(219), 표시부(101)등을 제어하여, 표시 제어도 행한다. 시스템 타이머(253)는, 각종 제어를 위한 시간이나, 내장 시계의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회로다.
모드 전환 버튼(103), 제1셔터 스위치(261), 제2셔터 스위치(262) 및 조작부(270)는, 시스템 제어부(201)에 각종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재다.
모드 전환 버튼(103)은, 시스템 제어부(201)의 동작 모드를 정지 화상 기록 모드, 동영상 기록 모드 및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바꾼다. 정지 화상 기록 모드는, 오토 촬영 모드, 오토 씬(scene) 판별 모드, 매뉴얼 모드, 조리개 우선 모드(Av모드), 셔터 속도 우선 모드(Tv모드), 촬영 씬별의 다른 설정이 되는 각종 씬 모드, 프로그램AE모드, 커스텀 모드등을 포함한다.
모드 전환 버튼(103)을 사용하여,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직접 바꾼다. 또는, 모드 전환 버튼(103)을 사용하여 정지 화상 기록 모드로 바꾼 후에, 정지 화상 촬영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기타의 조작부재를 사용해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동영상 촬영 모드에도 복수의 모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제1셔터 스위치(261)는, 카메라(100)에 설치된 셔터 버튼(102)의 조작 도중, 즉 반누름(촬영 준비 지시)으로 온이 되고,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을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을 받아서 화상처리부(224)에 의해, AF(오토 포커스)처리, AE(자동노출)처리, AWB(오토 화이트 밸런스)처리, EF(플래시 사전발광)처리등을 시작한다.
제2셔터 스위치(262)는, 셔터 버튼(102)의 조작 완료, 즉 완전누름(촬영 지시)으로 온이 되고,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를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를 받아서, 촬상부(222)로부터의 신호 독출로부터 기록 매체(25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때까지의 일련의 촬영 처리를 시작한다.
조작부(270)에는, 표시부(101)에 표시된 여러가지의 기능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상황마다 적당한 기능을 할당하여서, 조작부(270)는 각종 기능 버튼(소프트 버튼)으로서 작용한다. 이들 기능 버튼의 예는, 종료 버튼, 뒤로가기(back) 버튼, 화상 스크롤 버튼, 점프 버튼, 내로우 다운(narrow-down) 버튼, 속성 변경 버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뉴 버튼이 눌림으로써 각종의 설정가능한 메뉴 화면이 표시부(101)에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부(101)에 표시된 메뉴 화면과, 4방향(상,하,좌,우) 버튼과 SET버튼을 사용해서 직감적으로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조작부(270)는,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고,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하는 입력부이며, 적어도 이하의 조작부재가 포함된다: 셔터 버튼(102), 메인 전자 다이얼(105), 전원 스위치(106), 서브 전자 다이얼(107), 십자 키(108), SET버튼(109), LV버튼(110), 주밍 버튼(111) 및 재생 버튼(112).
전원제어부(280)는, 예를 들면, 전지검출 회로, DC-DC컨버터, 통전하는 블록을 바꾸는 스위치회로로 구성되어, 전지의 삽입의 유무, 전지의 종류 및 전지잔량을 검출한다. 또한, 전원제어부(280)는, 그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201)의 지시에 따라 DC-DC컨버터를 제어하고,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동안, 기록 매체(250)를 포함하는 각 부에 공급한다.
전원부(230)는, 알칼리 전지나 리튬 전지등의 일차전지나, NiCd전지, NiMH전지 또는 Li전지등의 이차전지, 또는 AC어댑터로 이루어진다. 기록 매체 인터페이스(I/F)(218)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250)와의 인터페이스다. 기록 매체(250)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이며, 반도체 메모리나 자기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조작부(270)에는, 표시부(101)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출가능한 터치 검출부로서의 터치패널(271)이 포함된다. 터치패널(271)과 표시부(101)는, 단일의 일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패널(271)의 빛의 투과율이 표시부(101)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도록, 표시부(101)의 표시면의 최상층에 부착된다. 또한, 터치패널(271)에 있어서의 입력 좌표와, 표시부(101)상의 표시 좌표를 대응시킨다. 이에 따라, 유저가 표시부(101)에 표시된 화면을 직접적으로 조작가능하도록 GUI를 구성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터치패널(271)을 접촉하여서 행해진 이하의 조작을 검출가능하다: 터치패널(271)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접촉하는 것(이하, "터치 다운"이라고 칭한다); 터치패널(271)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인 것(이하, "터치 온"이라고 칭한다); 터치패널(271)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접촉한 채 이동하고 있는 것(이하, "무브"라고 칭한다); 터치패널(271)에 접촉하고 있었던 손가락이나 펜을 떼어 놓는 것(이하, "터치 업"이라고 칭한다); 및 터치패널(271)에 아무것도 접촉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오프"라고 칭한다). 이것들의 조작이나, 터치패널(271)에 손가락이나 펜이 접하고 있는 위치 좌표는 내부 버스를 통해서 시스템 제어부(201)에 통지되어, 시스템 제어부(201)는 통지된 정보에 의거하여 터치패널(271)에 어떤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정한다. "무브"에 관해서는, 터치패널(271) 위에서 이동하는 손가락이나 펜의 이동 방향에 관해서도, 위치 좌표 변화에 의거하여 수직성분과 수평성분마다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271) 위를 "터치다운" 후 일정한 "무브"를 경과해서 "터치 업"을 했을 때, 스트로크를 그린 것이라고 가정한다. 재빠르게 스트로크를 그리는 조작을 "플릭(flick)"이라고 부른다. "플릭"은, 터치패널(271)과 손가락을 접촉한 채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 재빠르게 손가락을 움직이고 나서 떼어 놓는 조작이다. 바꿔 말하면, 이것은, 터치패널(271)의 표면을 가로질러 손가락으로 튕기도록, 재빠르게 덧그리는 조작이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소정거리 이상을, 소정의 속도이상으로 무브한 것이 검출되어, "터치 업"이 검출되면 "플릭"이 행하여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1)는, 소정거리 이상을, 소정의 속도미만으로 무브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드래그"가 행하여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때, 터치패널(271)은, 저항막방식, 정전 용량 방식, 표면탄성파 방식, 적외선방식, 전자유도방식, 화상인식 방식 및 광센서 방식 중 임의의 방식에 의존하는 방식을 이용해도 된다.
<화면구성>
도 3을 참조하여, 촬영 모드 선택 화면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유저 조작에 의해 촬영 모드 선택 화면의 표시가 지시되면, 도 3에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부(101)에 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아이템 표시 영역(301)은, 카메라(100)에 설정가능한 복수의 촬영 모드의 선택사항을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예를 들면, 커서(302)가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 중 1개의 아이템은, 설정하는 촬영 모드로서 선택가능한 매뉴얼 노출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커서(302)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템상에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서(302)는, 이 촬영 모드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 것(선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 프레임이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조작부(270)로부터 조작 지시를 접수함으로써 임의의 선택사항(촬영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템)에 커서(302)를 이동시키고, 그 촬영 모드의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커서(302)가 표시된 아이템을 선택 아이템이라고 칭한다.
페이지 지표(303)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다. 선택 아이템이 복수 페이지에 걸쳐 배열되어 있을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1)는 총 페이지 수 중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256)로부터 판독해서 표시한다. 도 3에서는 블록들을 사용하여 페이지 수를 표시하지만, 대신에 그 페이지 수는 수치를 사용하여 표시되어도 된다.
촬영 모드명(304)은, 선택 아이템이 나타낸 촬영 모드의 명칭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가이던스(305)는, 선택 아이템이 나타내는 촬영 모드에 관한 설명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화면 위에 커서(302)로 선택하고 있는 아이템을 표시할 때 촬영 모드명(304)과 가이던스(305)를 액티브(예를 들면, 문자색 백색표시) 상태로 놓고, 화면 위에 커서(302)로 선택하고 있는 아이템을 표시하지 않을 때는 비액티브(예:문자색 그레이 아웃) 상태로 놓는다. 또한, 가이던스(305)는 표시되지 않아도 좋다.
커서(302)는, 조작부(270)에 포함된 십자 키(108)의 우측 키(우측 부분) 혹은 좌측 키(좌측 부분)를 누를 때마다, 눌려진 키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아이템으로 이동된다. 또한, 아이템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에 가해진 터치 다운 조작에 따라 직접 커서(302)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페이지 넘김 영역(308)은, 다음 페이지로 넘기는 조작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터치 조작가능영역이다. 유저가 이 페이지 넘김 영역(308)에 터치 업 조작을 가하면, 유저는 다음 페이지로 넘길 수 있다. 페이지 되돌림 영역(307)은, 이전 페이지로 되돌리는 조작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터치 조작가능영역이다. 유저가 이 페이지 되돌림 영역(307)에 터치 업 조작을 가하면, 유저는 이전 페이지로 되돌릴 수 있다. 페이지 지표(303) 중 현재 표시된 페이지이외의 페이지를 나타내는 지표(도 3의 예에서는 흰색의 사각 마크)에 터치 조작과 터치 업 조작을 이 순서로 연속적으로 가함으로써, 임의의 페이지로 직접 넘길 수 있다. 페이지 넘김 또는 페이지 되돌림(이하, "페이지 전환")이 행해지면, 현재 표시하고 있는 촬영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템의 세트와는 다른 촬영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템의 세트가 표시된다. 그 페이지 전환 직후에, 페이지 전환전에 커서(302)가 표시되어 있었던 아이템이 나타낸 촬영 모드의 설정은 현재의 설정대로 유지되므로, 커서(302)는 표시되지 않는다. 커서(302)가 표시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페이지 전환전에 커서(302)가 표시되어 있었던 아이템이 나타내는 촬영 모드에 대해 표시된 촬영 모드명(304) 및 가이던스(305)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촬영 모드명(304) 및 가이던스(305)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아이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모드에 관련된다. 그렇지만, 커서(302)가 표시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촬영 모드명(304)과 가이던스(305)가 현재 표시된 아이템에 관련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촬영 모드명(304) 및 가이던스(305)는, 표시될 때(비액티브 상태로 표시될 때) 그레이 아웃된다. 시스템 제어부(201)가 페이지 전환 직후에 커서(302)가 표시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커서(302)를 이동시키는 조작(좌우 키 혹은 아이템에 대한 터치 다운)을 접수하면,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하여 커서(302)를 표시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1)는, 촬영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고, 촬영 모드명(304) 및 가이던스(305)를 변경하여 커서(302)가 표시된 아이템을 나타낸다.
리턴 버튼(306)은 촬영 모드 선택 화면을 종료시키는 조작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터치 조작가능 아이콘이다. 이 영역에 터치 업 조작이 가해지면, 촬영 모드 선택 화면을 종료하여서, 다른 화면으로 전환한다(예를 들면, 촬영 모드 선택 화면 이전의 표시 상태).
<화면표시 처리>
이하, 도 4a 내지 도 6g를 참조하여, 도 3의 촬영 모드 선택 화면에 있어서의 페이지를 넘기고 커서를 이동하는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것들의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2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252)에 전개한 후 시스템 제어부(201)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유저 조작에 의해 촬영 모드 선택 화면의 표시가 지시되면, 시스템 제어부(201)는, 도 4a 및 도 4b의 처리를 시작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S4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의 촬영 모드를 불휘발성 메모리(256)로부터 독출한다.
S4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의 촬영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템이 포함되는 페이지에 표시해야 하는 복수의 촬영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표시하고, 현재의 촬영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템 상에 커서(302)를 표시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페이지 지표(303)를 표시한다.
S4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의 촬영 모드의 명칭을 촬영 모드명(304)의 표시 영역과, 현재의 촬영 모드에 관한 설명을 가이던스(305)의 표시 영역에, 액티브 상태로 표시한다. 이 결과, 현재의 촬영 모드가 매뉴얼 노출이면, 도 6a의 화면이 표시부(101)에 표시된다.
S4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 이전의 페이지로 넘기는 조작 지시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여기서, 시스템 제어부(201)는, 페이지 되돌림 영역(307)상의 터치 업 조작을 검출하거나 페이지 지표(303) 중 이전의 페이지를 나타내는 마크 상의 터치 업 조작을 검출할 때, 현재 표시된 페이지 이전의 페이지로 전환하는 조작이 있었다고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 이전의 페이지로 전환하는 조작 지시가 있었다고 판정하면 S405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S409에 진행된다.
S4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 이전의 페이지를 표시한다. S404에서 페이지 되돌림 영역(307)상의 터치 업 조작을 검출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 직전의 페이지를 표시한다. 한편, S404에서 페이지 지표(303) 중 어떠한 이전의 페이지를 나타내는 마크 상의 터치 업 조작을 검출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그 마크에 대응한 페이지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다른 아이템의 세트가 표시된다. 이때, 페이지 전환전에 표시된 페이지로부터, 상기 커서(302)는 이동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페이지 전환전에 표시되었던 페이지에 커서(302)가 표시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커서(302)는 페이지 전환전에 표시된 페이지에 남게 되고, 페이지 전환후에 표시된 페이지에는 커서(302)는 표시되지 않는다. 페이지 전환전의 페이지에 커서(302)가 표시되지 않고 있었을 경우에, 페이지 전환 결과로서 이전에 커서(302)를 표시하고 있었던 페이지가 다시 뒤로 표시되면, 이전에 커서(302)가 표시되어 있었던 아이템상에 커서(302)가 표시된다.
S4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페이지 전환후에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 커서(302)를 표시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부(201)는, 페이지 전환후에 현재 표시된 페이지가, 이전에 커서(302)를 표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의 페이지가 커서(302)를 이전에 표시하였다고 판정하면 S407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08에 진행된다.
S4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촬영 모드명(304)과 촬영 모드의 가이던스(305)를 액티브 상태로 표시한다. 이 표시 예를 도 6a에 나타낸다. 커서(302)가 비표시되고 최후에 커서(302)가 매뉴얼 노출을 나타내는 아이템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이전 페이지로 되돌아가는 조작이 행해지면(도 6d), 시스템 제어부(201)는, 매뉴얼 노출을 나타내는 아이템에 커서(302)를 직전의 페이지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한다(도 6a).
S4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의 페이지가 커서(302)를 이전에 표시하고 있던 페이지가 아니기 때문에, 페이지 전환전에 표시하고 있었던 촬영 모드명(304)과 가이던스(305)를 비액티브 상태로 표시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S4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로 전환하는 조작 지시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시스템 제어부(201)는, 시스템 제어부(201)가 페이지 넘김 영역(308)상의 터치 업 조작을 검출하거나, 혹은 페이지 지표(303) 중 다음 페이지를 나타내는 마크 상의 터치 업 조작을 검출할 때, 현재 표시된 페이지 다음의 페이지로 전환하는 조작 지시가 있었다고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다음 페이지로 전환하는 지시가 있었다고 판정할 때 S410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14에 진행된다.
S4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를 표시한다. S409에서 페이지 넘김 영역(308)상의 터치 업 조작을 검출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 바로 다음의 페이지를 표시한다. 한편, S409에서 페이지 지표(303) 중 임의의 이후의 페이지를 나타내는 마크 상의 터치 업 조작을 검출한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1)는, 그 마크에 대응한 페이지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다른 아이템의 세트가 표시된다. 이때, 페이지 전환전에 표시된 페이지로부터, 상기 커서(302)는 이동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페이지 전환전에 표시되었던 페이지에 커서(302)가 표시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커서(302)는 페이지 전환전에 표시된 페이지에 남게 되고, 페이지 전환후에 표시된 페이지에는 커서(302)는 표시되지 않는다. 페이지 전환전에 커서(302)가 표시되지 않고 있었을 경우에, 페이지 전환 결과로서 이전에 커서(302)를 표시하고 있었던 페이지가 다시 뒤로 표시되면, 이전에 커서(302)가 표시되어 있었던 아이템상에 커서(302)가 표시된다.
S4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페이지 전환후에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 커서(302)를 표시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부(201)는, 페이지 전환후에 현재 표시된 페이지가, 이전에 커서(302)를 표시하고 있었던 페이지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의 페이지가 커서(302)를 표시한 페이지라고 판정하면 S412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13에 진행된다.
S4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촬영 모드명(304)과 가이던스(305)를 액티브 상태로 표시한다.
S4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의 페이지가 이전에 커서(302)를 표시하고 있던 페이지가 아니기 때문에, 페이지 전환전에 표시하고 있었던 촬영 모드명(304)과 가이던스(305)를 비액티브 상태로 표시한다. 이 표시 예를 도 6d에 나타낸다. 현재의 페이지상의 매뉴얼 노출을 나타내는 아이템에 커서(302)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다음 페이지에 넘기는 조작이 행해지면(도 6a), 페이지 전환 후에 표시부(101)에는 도 6d의 화면이 표시된다. 그 결과로 얻어진 페이지(도 6d)는, 이전의 페이지(도 6a)에 표시된 아이템의 세트와 다른 아이템의 세트를 포함한다. 커서(302)는 이전 페이지에 남겨져서, 그 결과로 얻어진 페이지에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촬영 모드명(304)과 가이던스(305)가 이전 페이지에 포함된 아이템에 관련되므로, 그들은, 그 결과로 얻어진 페이지에 포함된 아이템 중 임의의 아이템에 관련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도록 표시될 때 그레이 아웃된다. 도 6d의 예에서는, 카메라(100)에 설정된 촬영 모드는, 매뉴얼 노출이다.
S4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커서 이동 처리를 실행한다.
S4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촬영 모드 선택 화면의 종료조건이 만족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 선택 화면의 종료조건의 예들은 이하가 포함된다: 소정시간이상 아무런 조작도 없었을 경우에 행해지는 오토 파워 오프; 촬영 모드 선택 화면을 빠져나가기 위한 조작인, 리턴 버튼(306)에 대한 터치 조작; 셔터 버튼(102)을 반눌러서 기동된 SW1신호의 온 상태(SW1신호의 온 상태에 의해 촬영 대기 화면이 되게 된다); 재생 모드에 전환하는 지시; 및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조작. 촬영 모드 선택 화면의 종료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1)는, S404에 되돌아가서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촬영 모드 선택 화면의 종료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1)는, 촬영 모드 선택 화면 처리를 종료한다.
<커서 이동 처리>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도 4b의 S414에서 실행된 커서 이동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S5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십자 키(108)중 우측키를 누르는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우측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S502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510에 진행된다.
S5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 커서(302)를 표시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커서(302)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S503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507에 진행된다.
S5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커서(302)를 표시하고 있는 선택 아이템이, 화면 위에 표시된 아이템 중 최후(가장 오른쪽)의 아이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도 6c의 상태를 말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선택 아이템이 최후의 아이템인 경우에는 S504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506에 진행된다.
S5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페이지 전환을 행해서 다음 페이지를 표시한다.
S5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커서(302)를, 페이지 전환후에 표시된 페이지에 표시되는 복수의 아이템 중, 선두(가장 왼쪽) 아이템 상에 표시한다. 이 표시 예를 도 6e에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의 페이지에 가장 오른쪽의 아이템이 선택된 상태에서 우측키가 눌려지면(도 6c), 시스템 제어부(201)는, 다음 페이지에 표시된 아이템으로 커서(302)를 이동하므로(도 6e), 다음 페이지에 표시된 이 아이템은 선택 아이템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한편, S5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커서(302)를 현재의 페이지에 표시된 아이템 중, 현재 커서(302)가 표시된 아이템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아이템에 커서(302)를 이동한다. 예를 들면, 현재의 페이지의 가장 오른쪽의 아이템이 아닌 매뉴얼 노출을 나타내는 아이템을 선택한 상태에서, 우측키가 눌려지면(도 6a), 시스템 제어부(201)는, 커서(302)를, 그 매뉴얼 노출을 나타내는 아이템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조리개 우선AE를 나타내는 아이템으로 이동한다(도 6b).
S5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템 중 선두(가장 왼쪽) 아이템 위에 커서(302)를 표시하므로, 이 아이템은 선택 아이템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현재의 선택 아이템이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는 포함되지 않는 매뉴얼 노출일 경우에 우측키가 눌려지면(도 6d),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선두 아이템인 크리에이티브 오토에 커서(302)를 이동해서 그 선택 아이템을 변경한다(도 6e). 이렇게, 페이지 전환조작에 따라 선택 아이템이 변경되지 않을지라도, 페이지 전환후에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 선택 아이템을 바꾸는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전에 선택된 아이템과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 포함된 아이템과의 사이에 있는 아이템을 건너뛰고,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 포함된 아이템 중 하나는, 커서(302)를 위에 표시함으로써 새로운 선택 아이템으로서 선택된다. 예를 들면, 커서 미표시의 상태에서 우측키가 눌려지면(도 6d), 이전에 선택된 아이템인 매뉴얼 노출과,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 포함된 아이템과의 사이에 있는 아이템인 조리개 우선AE, 셔터 속도 우선AE 및 프로그램AE를 건너뛰고,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선두의 아이템인 크리에이티브 오토는, 커서(302)를 위에 표시함으로써 새로운 선택 아이템으로서 선택된다. 또한, 커서(302) 미표시의 상태에서 우측키가 눌려질 때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선두(가장 왼쪽)의 아이템에 커서(302)를 이동시키는 목적은, 같은 우측키의 조작으로, 동일 페이지내에서 연속해서 커서(302)를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바꿔 말하면, 커서(302) 미표시의 상태에서 커서(302)를 이동시키는 조작이 이루어지면,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커서(302)의 이동 지시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가장 상류에 배치된 아이템이 선택된다.
S5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촬영 모드명(304)과 가이던스(305)를, S505∼S507 중 어느 하나에서 이동한 커서(302)로 새롭게 선택한 촬영 모드에 대응하게 갱신하여, 액티브 상태로 표시한다.
S5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의 촬영 모드로서 S505∼S507 중 어느 하나에서 이동한 커서(302)로 새롭게 선택한 촬영 모드를 설정하여, 불휘발성 메모리(256)에 기록한다. 이 결과, 그 설정이 변경된다. 즉, 다음번 SW2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새로운 촬영 모드의 설정에 따라 촬상이 행해진다.
도 5b를 참조하면, S5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십자 키(108) 중 좌측키를 누르는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좌측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S511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15에 진행된다.
S5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 커서(302)가 표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커서(302)가 표시된 경우에는 S512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516에 진행된다.
S5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커서(302)를 표시하고 있는 선택 아이템이, 화면 위에 표시된 아이템 중 선두(가장 왼쪽)의 아이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도 6e의 상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선택 아이템이 선두의 아이템인 경우에는 S513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515에 진행된다.
S5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페이지 전환을 행하고 이전 페이지를 표시한다.
S5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커서(302)를, 페이지 전환후에 표시된 페이지에 표시되는 복수의 아이템 중 최후(가장 오른쪽의) 아이템 상에 표시한다. 이 표시 예를 도 6c에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가장 왼쪽의 아이템을 선택한 상태에서 좌측키가 눌려지면(도 6e), 이전 페이지의 가장 오른쪽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 커서(302)를 이동한다(도 6c). 예를 들면, 1번째 페이지에 선두 아이템이 선택된 상태에서 좌측키가 눌려지면(도 6a), 1번째 페이지 직전인 3번째 페이지(본 예에서는, 3번째 페이지가, 페이지를 순환 전환할 수 있으므로 최종 페이지가 된다)의 최후 아이템에 커서(302)를 이동한다(도 6g).
한편, S5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의 페이지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템 중, 현재 커서(302)가 표시되어 있는 아이템 위의 왼쪽에 인접하게 배치된 아이템으로 커서(302)를 이동한다. 예를 들면, 1번째 페이지에 가장 왼쪽 아이템이 아닌 조리개 우선AE를 선택한 상태에서, 좌측키가 눌려지면(도 6b), 시스템 제어부(201)는, 커서(302)를, 조리개 우선AE를 나타내는 아이템의 왼쪽에 인접하게 배치된 매뉴얼 노출을 나타내는 아이템으로 이동한다(도 6a).
S5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템 중, 최후(가장 오른쪽의) 아이템 위에 커서(302)를 표시하므로, 이 아이템은 선택 아이템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현재 표시된 2번째 페이지에, 현재의 선택 아이템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좌측키가 눌려지면, 시스템 제어부(201)는, 커서(302)를 풍경 위에 표시함으로써 그 선택 아이템을 현재 표시된 2번째 페이지의 최후 아이템인 풍경으로 변경한다(도 6f).
S5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촬영 모드명(304)과 가이던스(305)를 S514∼S516 중 어느 하나에서 이동시킨 커서(302)로 새롭게 선택한 촬영 모드에 대응하게 갱신하여, 액티브 상태로 표시한다.
S5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현재의 촬영 모드로서 S514∼S516중 어느 하나에서 이동시킨 커서(302)로 새롭게 선택한 촬영 모드를 설정하여, 불휘발성 메모리(256)에 기록한다. 이 결과, 설정이 변경된다. 즉, 다음번 SW2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새로운 촬영 모드의 설정에 따라촬상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현재 표시된 복수의 선택사항으로부터 제1 선택사항(예를 들면, 매뉴얼 노출)이 선택된 상태에서, 페이지를 넘기기 위한 제1 조작이 이루어지면(예를 들면, 우측키가 눌리면), 제1 선택사항에 인접하는 선택사항이 새롭게 선택된다. 한편, 제1 선택사항이 선택되고 제1 선택사항을 포함하지 않는 복수의 선택사항이 표시중인 상태에서 제1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1 선택사항에 인접하지 않고 현재 표시된 복수의 선택사항 중에 포함된 선택사항이 새롭게 선택된다. 이것에 의해, 그 선택된 선택사항을 변경하지 않고, 페이지 전환에 의해 표시되는 기타의 선택사항을 볼 수 있으므로, 페이지 넘김 조작에 의해 커서 이동에 관련된 조작성을 손상하지 않고, 원하는 선택사항을 재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생략하였지만, 페이지에 표시된 임의의 아이템(선택사항)에 대한 터치 조작이 가해지면, 터치된 아이템에 커서를 이동할 수 있다.
선택 불가능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 아이템을 선택가능한 아이템으로서 취급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커서(302)를 1개의 아이템 오른쪽으로 이동할 경우에, 현재 선택된 아이템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특정 아이템이 선택 불가능하면, 그 특정 아이템의 우측으로 배치된 선택가능한 아이템으로 커서(302)를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페이지 전환조작에 의해 표시된 선택사항(아이템)을 변경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스크롤 조작에 의해 표시된 선택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선택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는 위치까지 스크롤(아이템 표시 위치간의 이동)을 행할 수 있는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에, 스크롤에 의해 생긴 표시된 아이템의 변경으로 인해 선택 아이템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으면, 스크롤후에 표시된 아이템은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페이지 전환후에 표시된 아이템과 마찬가지로 취급된다.
상기 설명에서 전환가능한 파라미터로서 촬영 모드를 사용하였지만, 대신에 어떠한 그 밖의 전환가능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1)의 제어는 1개의 하드웨어 부품으로 행해도 되거나, 처리 부하를 분담하는 복수의 하드웨어 부품으로 행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그 적합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의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여러가지 국면을 포함한다. 한층 더,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적당하게 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촬상장치에 적용한 예들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조작부재를 사용하여 페이지를 전환가능한 어떠한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PDA, 휴대전화단말, 휴대형의 화상 뷰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프린터 장치, 디지털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등에도 적용가능하다.
기타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와, 상기 프로그램이 격납된 기록매체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12년 5월 24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2-119070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21)

  1. 표시부에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된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다른 복수의 아이템으로 변경하는 변경부; 및
    제1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제1 상태에서, 선택된 아이템을 인접한 아이템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1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아이템으로부터, 표시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아이템에 인접하는 제2 아이템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고,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지 않는 복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아이템으로부터, 상기 제1 아이템에 인접하지 않고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된 제3 아이템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변경되면, 그 변경의 결과로서 선택된 아이템에 따라 상기 장치의 설정을 갱신하는 설정부를 더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1 아이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제3 아이템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관한 상기 정보로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3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사용된 표시 형태와 다른 표시 형태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아이템에 관한 상기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이템은,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지 않는 표시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되고, 표시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전체 중 상기 제1 아이템이 표시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아이템이 표시된 위치로 향하는 방향의 가장 상류에 배치되는, 표시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아이템으로부터, 표시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아이템이 상기 제1 아이템에 인접한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제1 아이템에 인접하는 제4 아이템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아이템으로부터, 상기 제1 아이템에 인접하지 않고 상기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된 제5 아이템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는, 표시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아이템은,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되고, 표시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전체 중 상기 제1 아이템이 표시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4 아이템이 표시된 위치로 향하는 방향의 가장 상류에 배치되는, 표시 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제1 조작과는 다른 제3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을 다른 복수의 아이템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템이 상기 제1 상태에서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템 전체의 끝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아이템이 상기 제1 상태에서 표시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조작에 따라, 표시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제2 아이템을 포함하는 다른 복수의 아이템으로 변경해서 상기 제2 아이템을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광학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촬영에 관한 설정이 가능한 아이템을 포함하는, 표시 제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촬영 모드를 매뉴얼 노출에 설정하기 위한 아이템, 촬영 모드를 조리개 우선AE에 설정하기 위한 아이템, 및 촬영 모드를 프로그램AE에 설정하기 위한 아이템을 포함하는, 표시 제어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대한 터치를 검지하는 터치 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그 터치된 아이템으로 변경하는, 표시 제어장치.
  13. 표시부에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의 표시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된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다른 복수의 아이템으로 변경하는 변경단계; 및
    제1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제1 상태에서, 선택된 아이템을 인접한 아이템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1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아이템으로부터, 표시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아이템에 인접하는 제2 아이템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고,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아이템을 포함하지 않는 복수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아이템으로부터, 상기 제1 아이템에 인접하지 않고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템 중에 포함된 제3 아이템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컴퓨터에 의해,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11 또는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제어장치의 상기 부를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47035696A 2012-05-24 2013-04-10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3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9070A JP5873390B2 (ja) 2012-05-24 2012-05-24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JP-P-2012-119070 2012-05-24
PCT/JP2013/061342 WO2013175900A1 (en) 2012-05-24 2013-04-10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577A KR20150016577A (ko) 2015-02-12
KR101653602B1 true KR101653602B1 (ko) 2016-09-09

Family

ID=4848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696A KR101653602B1 (ko) 2012-05-24 2013-04-10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88987B2 (ko)
JP (1) JP5873390B2 (ko)
KR (1) KR101653602B1 (ko)
CN (1) CN104364747A (ko)
DE (1) DE112013002667B4 (ko)
WO (1) WO2013175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7823B2 (en) * 2013-12-09 2016-08-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andling video frames compromised by camera motion
CN109828707B (zh) * 2015-10-06 2023-03-14 佳能株式会社 显示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JP6570411B2 (ja) * 2015-10-09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542485B2 (ja) 2016-11-15 2019-07-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カメラの設定方法、及び、カメラの設定プログラム
US10873695B2 (en) * 2016-12-27 2020-12-22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342540B1 (ja) * 2017-03-29 2018-06-13 西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画面制御装置及び画面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454545A1 (en) 2017-09-04 2019-03-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6885289B2 (ja) * 2017-09-29 2021-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2019215292A (ja) * 2018-06-14 2019-12-19 オムロン株式会社 光電センサ及び表示方法
JP7264675B2 (ja) 2019-03-14 2023-04-25 Fcnt株式会社 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277306B2 (ja) 2019-07-31 2023-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1961A (ja) 2008-12-24 2010-08-05 Panasonic Corp メニュー表示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317B1 (ko) * 1996-05-29 2004-09-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프로그램가이드제어장치
JP3929093B2 (ja) * 1996-11-19 2007-06-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の撮影情報入力表示装置
US6505348B1 (en) * 1998-07-29 2003-01-07 Starsight Telecast, Inc. Multiple interactive electronic program guide system and methods
JP3601470B2 (ja) 2001-05-07 2004-12-15 ヤマハ株式会社 画面移行タブスイッチ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3096629A (ja) * 2001-09-21 2003-04-03 Murata Mach Ltd 繊維機械の運転条件設定装置
JP3938888B2 (ja) 2002-06-17 2007-06-27 株式会社リコー 表示メニューの機能設定ユニット
JP2004021893A (ja) * 2002-06-20 2004-01-22 Sony Corp 携帯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343662A (ja) * 2003-05-19 2004-12-02 Sony Corp 撮像装置
EP1510911A3 (en) * 2003-08-28 2006-03-2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050091604A1 (en) * 2003-10-22 2005-04-28 Scott Davis Systems and methods that track a user-identified point of focus
KR100594456B1 (ko) * 2004-11-15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메뉴 리스트 검색 방법
EP1851955A4 (en) * 2005-02-14 2009-08-12 Hillcrest Lab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TELEVISION APPLICATIONS USING 3D POINTING
US7685530B2 (en) * 2005-06-10 2010-03-23 T-Mobile Usa, Inc. Preferred contact group centric interface
JP4840848B2 (ja) 2005-09-21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撮影装置、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7095504A1 (en) * 2006-02-10 2007-08-23 Access Systems Americas, Inc. Improved user-interface and architecture portable processing device
JP4947343B2 (ja) 2006-05-24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57058B2 (ja) * 2006-09-14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53235B2 (ja) * 2006-11-06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操作支援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277906B2 (ja) * 2007-01-19 2009-06-1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15214B2 (ja) * 2007-05-18 2009-08-1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9033469A (ja) * 2007-07-26 2009-02-12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US8176441B2 (en) * 2007-08-08 2012-05-08 Sanyo Electric Co., Ltd.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8542306B2 (en) * 2008-09-11 2013-09-24 Panasonic Corporation Imaging device with an operation for displaying a setting arrangement in a first display unit different from the setting arrangement in a second display unit
US20110314423A1 (en) * 2009-03-12 2011-12-22 Panasonic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11076412A (ja) 2009-09-30 2011-04-14 Casio Computer Co Ltd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033006A1 (en) * 2010-02-18 2014-01-30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on preview
US9021371B2 (en) * 2012-04-20 2015-04-28 Logitech Europe S.A. Customizing a user interface having a plurality of top-level icons based on a change in contex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1961A (ja) 2008-12-24 2010-08-05 Panasonic Corp メニュー表示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46591A (ja) 2013-12-09
CN104364747A (zh) 2015-02-18
US20150149945A1 (en) 2015-05-28
DE112013002667B4 (de) 2023-07-06
WO2013175900A1 (en) 2013-11-28
US10088987B2 (en) 2018-10-02
JP5873390B2 (ja) 2016-03-01
DE112013002667T5 (de) 2015-03-19
KR20150016577A (ko)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602B1 (ko)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74858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1053098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667294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172836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WO2018021165A1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812976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133674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956836B2 (ja) 撮像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8117186A (ja) 撮像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833535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7161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9164423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635816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77088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779777B2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025878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446845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7071197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433854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8113538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855317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21028681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2019159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CN112286425A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