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643B1 - 컨베이어, 인쇄 장치 및 제함기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인쇄 장치 및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643B1
KR101650643B1 KR1020147021042A KR20147021042A KR101650643B1 KR 101650643 B1 KR101650643 B1 KR 101650643B1 KR 1020147021042 A KR1020147021042 A KR 1020147021042A KR 20147021042 A KR20147021042 A KR 20147021042A KR 101650643 B1 KR101650643 B1 KR 10165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ll
conveyor
conveyor belt
corrugated card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9460A (ko
Inventor
미츠히로 나다치
오사무 하타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주코 인사츠시코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주코 인사츠시코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주코 인사츠시코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 B65H5/22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by suction devices
    • B65H5/22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by suction devices by suctio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8Printin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2/00Means preventing smudging of machine parts or prin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00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5/00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5/007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for supports of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5/00Rotary letterpress machines
    • B41F5/02Rotary letterpress machines for printing on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3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acting on performance of handling machine
    • B65H2301/531Cleaning parts of handl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5Other elements with suction surface, e.g. plate o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6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21Industrial-size printers, e.g. rotary printing pr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제함기의 인쇄부에 배치되며, 인쇄되는 골판지 시트(10a)를 반송하는 컨베이어에 있어서,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23)와, 컨베이어 벨트의 반송면의 이면(23b)측에 배치되며, 반송면 상의 골판지 시트를 부압에 의해 흡인하는 석션 박스(24a)와, 컨베이어 벨트를 안내 또는 구동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을 구비한다.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출구 롤로부터 상기 입구 롤까지 진행하는 영역 내에서 컨베이어 벨트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공기를 외부로 유통시키는 공기 유통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인쇄 장치 및 제함기{TRANSFER CONVEYOR, PRINTING DEVICE, AND BOX-MAKING MACHINE}
본 발명은 제함기의 인쇄부에 구비되는 컨베이어, 이 컨베이어를 구비한 인쇄 장치 및 이 인쇄 장치를 구비한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종이 제품을 제조하는 기계의 예는 미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골판지 시트로부터 골판지 상자를 제조하는 제함기가 있다. 이 제함기의 예는, 상류측으로부터, 급지부, 인쇄부, 배지부, 다이 컷트부, 폴더 글루어부(folder gluer unit) 및 카운터 이젝터를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인쇄부는 급지부로부터 급송된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면서 골판지 시트에 문자 및/또는 사진을 인쇄하고, 배지부는 골판지 시트를 상자 형상으로 하기 위해 골판지 시트를 홈절삭 및 주름형성하고, 다이 컷트부는 골판지 시트에 핸드 홀 및 공기 배기 구멍과 같은 구멍을 펀칭하고, 필요하다면 골판지 시트를 홈절삭 및 주름형성하며, 폴더 글루어부는 골판지 시트의 한 측에 풀칠을 하고, 골판지 시트를 절곡하여 양 측을 접착하고, 마지막에 카운터 이젝터부는 소정의 개수의 골판지 시트를 적층한다.
이러한 종이 제품의 제조가 종이재를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경우, 종이재를 절단함으로써 종이 가루가 발생한다. 또한, 사전에 절단된 종이재(골판지 시트)가 상기 제함기와 같이 가공되는 경우, 종이재는 종이재를 절단함으로써 발생된 종이 가루를 통상 포함한다. 이러한 종이 가루는 인쇄 장해, 공장의 오염 및 종이 가루의 퇴적에 의한 시트 반송 장해와 같은 해를 미치므로, 종이 가루를 제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재료 웹을 반송하면서, 재료 웹을 소정 형상으로 펀칭하는 동시에 절곡용의 주름형성하여 멀티팩 포장 상자용 블랭크 시트가 제조되는 경우 발생하는 종이 가루를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시트 반송 장치는 펀칭 시트를, 입구로부터 출구까지 하우징 내로 반송한다. 이러한 반송 동안에, 반송된 천공 시트의 폭 방향의 양 측에 배치된 에어 분사 노즐은 펀칭된 시트의 폭 방향을 향하여 고압 에어를 분사하며, 이에 의해 시트에 부착되는 종이 가루를 제거한다.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된 흡인 덕트는 하우징 내의 에어를 흡인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이 가루가 하우징 외부에 누설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그 결과 작업 환경의 악화가 방지되고, 하우징의 주변이 오손(汚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제품을 흡착하에 반송하는 제 1 석션 컨베이어는 시트 펀칭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제품을 한 방향으로 반송하는 시트 컨베이어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제품을 흡착하에 반송하는 제 2 석션 컨베이어는 시트 컨베이어와 제 1 석션 컨베이어 사이에 걸치도록 배치되고, 제 1 흡인 덕트는 제 2 석션 컨베이어 하방에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 2 석션 컨베이어가 제품을 흡착하에 반송하는 동안에 제 1 흡인 덕트로 제품을 흡인하여 제품에 남는 펀칭 시트 먼지를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5-88119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170197 호 공보
상기 제함기는, 컨베이어가 시트를 반송하는 동안에 골판지 시트의 표면에 문자 및/또는 사진을 인쇄하는 인쇄부를 구비한다. 컨베이어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무단 벨트를 구비하고, 입구 롤, 리시빙 롤(receiving roll), 벨트 각도 조정 롤 및 벨트 텐션 조정 롤과 같은 다양한 가이드 롤에 의해 안내하면서 순환되며, 이에 의해 골판지 시트를 반송한다. 석션 박스는 컨베이어 벨트의 부분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부분은 골판지 시트를 그 위에 탑재한다. 골판지 시트는 석션 박스 내의 부압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흡착시키면서 반송되며, 이에 의해 소정의 개소에 위치가 어긋남이 없이 인쇄를 한다.
미리 절단되어, 인쇄부로 공급되는 골판지 시트는 절단 시에 생긴 종이 가루를 갖고 있다. 종이 가루는 석션 박스가 골판지 시트를 흡인할 시에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에 흡인되며,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에 부착된 종이 가루의 일부는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 면에 부착된다. 또한, 하류의 유닛(즉, 배지부 및 다이 컷트부)이 시트를 절단할 시에 발생된 종이 가루는 컨베이어 벨트의 구멍을 통해 들어가고,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 면에 부착된다.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 면에 부착된 종이 가루는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과 함께 이동하며,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 롤(25a)과 최상류 석션 박스(24a) 사이에 모인다. 모인 종이 가루(Pd)는 시간 경과시에 결로로 인해 입구 롤(25a)의 외주나 컨베이어 벨트(23)의 내측 면에 고착되어 간다. 이 상태가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되면, 골판지 시트를 지지하는 컨베이어 벨트(23)의 주행 면이 솟아올라, 골판지 시트의 적정한 반송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골판지 시트의 부적절한 반송은 인쇄에도 지장을 초래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의 입구 롤과 석션 박스 사이에 종이 가루가 모이지 않게 해서, 제함기 내의 인쇄부 내의 컨베이어 벨트의 주행 면이 솟아오르지 않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컨베이어를 구비한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를 포함한 제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함기의 인쇄부에 배치되며, 인쇄되는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는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반송면의 이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송면 상의 상기 골판지 시트를 부압에 의해 흡인하는 석션 박스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안내 또는 구동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로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은, 상기 골판지 시트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반입되는 입구측에 배치된 입구 롤과, 상기 골판지 시트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반출되는 출구측에 배치된 출구 롤을 포함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출구 롤로부터 상기 입구 롤까지 진행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면측에 배치되고, 공기를 외부로 유통시키는 공기 유통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특징부로서,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출구 롤로부터 상기 입구 롤까지 진행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면측에 배치되고,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면과 조합되어 구획실을 형성하는 칸막이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통 수단은 상기 구획실 내의 공기를 유통시키고, 공기를 구획실 외부로 배출한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부로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은 상기 입구 롤과, 상기 출구 롤과, 상기 출구 롤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 출구 롤과, 상기 입구 롤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 입구 롤을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입구 롤 및 상기 출구 롤의 안내하에서 상기 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출구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고, 상기 골판지 시트를 반송한 후, 상기 하부 출구 롤 및 상기 하부 입구 롤의 안내하에서 상기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입구측으로 되돌아오도록 순환하며; 상기 구획실은, 상기 출구 롤로부터 상기 하부 출구 롤 및 상기 하부 입구 롤을 지나 상기 입구 롤에 진행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 경로 내에 배설되어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특징부로서, 상기 구획실은 상기 순환 경로 내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입구 롤로부터 상기 입구 롤에 진행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부로서, 상기 구획실은 상기 입구 롤의 바로 상류에 배치되며; 상기 구획실은 상기 칸막이 부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면, 및 상기 입구 롤의 외주면에 의해, 또는 상기 칸막이 부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면, 상기 입구 롤의 상기 외주면 및 상기 석션 박스의 벽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부로서, 상기 공기 유통 수단에 의해 상기 구획실 내를 유통하는 공기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대전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며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대전 상태보다 강하게 대전시키는 공기 대전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부로서, 상기 공기 유통 수단은 상기 석션 박스의 부압을 이용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부로서, 상기 공기 유통 수단은, 상기 구획실 내에 공기를 송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상기 구획실 내에 송급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구획실의 일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구획실의 타 단부에 배치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부로서, 상기 공기 유통 수단은, 상기 구획실 내에 공기를 송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상기 구획실 내에 송급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공급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 중 하나는 상기 칸막이 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 공급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구획실의 양 단부에 배치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부로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제함기에 포함된 배기 덕트에 접속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부로서, 상기 공기 공급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에어 건이 마련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부로서, 상기 칸막이 부재는 만곡부를 갖는 만곡된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부로서, 반송되는 상기 골판지 시트에 부착되는 종이 가루를 흡인 제거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을 따라 대향 롤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인접하며, 상기 대향 롤은 상기 입구 롤에 대향되어 있다.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제함기의 인쇄부로서 기능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술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반송면 상을 이송하는 상기 골판지 시트에 문자 및/또는 사진을 인쇄하는 복수의 인쇄 실린더를 구비한다.
상류측으로부터,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로부터 송급되는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면서 문자 및/또는 사진을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에 의해 인쇄된 상기 골판지 시트에 홈절삭 및 주름형성하는 배지부와; 인쇄가 이뤄지고 상기 배지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골판지 시트에 구멍을 펀칭하는 다이 컷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부는 상술된 인쇄 장치를 구비하는 제함기가 제공된다.
상류측으로부터,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로부터 송급되는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면서 문자 및/또는 사진을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에 의해 인쇄된 상기 골판지 시트에 구멍을 펀칭하고, 홈절삭 및 주름형성하는 다이 컷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부는 상술된 인쇄 장치를 구비하는 다른 제함기가 제공된다.
상기 다이 컷트부는, 핸드 홀 또는 공기 배기 구멍과 같은 구멍을 펀칭하는 것에 추가하여 특수한 형상을 갖는 상자를 형성하기 위해 골판지 시트를 홈절삭 및 주름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벨트가 출구 롤로부터 입구 롤로 진행하는 영역 내의 컨베이어 벨트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공기를 외부로 유통시키는 공기 유통 수단을 포함한다. 이 공기 유통 수단에 의해, 골판지 시트에 부착된 종이 가루 및 골판지 시트가 절단될 때 발생된 종이 가루가 예를 들면 석션 박스에 의한 흡입하에서 컨베이어 벨트의 이면에 부착되었을 경우, 이면에 부착된 종이 가루는 이면으로부터 제거되고, 유통 공기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컨베이어의 입구 롤과 석션 박스 사이에 종이 가루가 모이지 않게 되어, 컨베이어 벨트의 주행 면이 솟아오르는 것이 방지된다.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벨트가 출구 롤로부터 입구 롤에 진행하는 영역 내의 컨베이어 벨트의 이면 측에 배치되고,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컨베이어 벨트의 이면과의 사이에 구획실을 형성하는 칸막이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공기 유통 수단은 구획실 내에 공기를 유통시켜 구획실로부터 공기를 배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의 이면에 부착된 종이 가루를 구획실로부터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가 출구 롤로부터 하부 출구 롤 및 하부 입구 롤을 지나 입구 롤에 진행하고 그리고 석션 박스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 내의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 경로 내에는 구획실을 위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쉽게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영역에 구획실을 마련하면 레이아웃 상 장점을 제공한다.
순환 경로 내에 있어서의 하부 입구 롤로부터 입구 롤에 진행하는 부분에 구획실을 배치하면, 종이 가루가 모이기 쉬운 입구 롤과 석션 박스 사이에 진입하기 직전에 컨베이어 벨트 이면의 종이 가루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입구 롤과 석션 박스 사이의 공간에 종이 가루가 진입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구획실이 입구 롤의 직상류의 위치에 배치되고, 칸막이 부재, 컨베이어 벨트의 이면 및 입구 롤의 외주면에 의해, 또는 칸막이 부재, 컨베이어 벨트의 이면 및 입구 롤의 외주면과, 석션 박스의 벽면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입구 롤과 석션 박스 사이의 공간으로의 종이 가루의 진입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컨베이어의 다른 필요한 부분 및 요소들의 면을 이용하므로 구획실을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구획실 내를 유통하는 공기를 컨베이어 벨트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으로 또한 컨베이어 벨트의 대전 상태보다 강한 대전 상태로 대전시키기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와 반대 극성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 흡착력의 존재로 인한 컨베이어 벨트의 이면에 부착된 종이 가루가, 보다 강하게 대전된 유통 공기에 부착되며, 이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의 이면으로부터 제거된다.
공기 유통 수단에 석션 박스의 부압을 이용하면 설비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구획실 내에 공기를 송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구획실 내에 송급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고, 공기 공급부는 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실의 일 단부에 배치되며, 공기 배출부는 구획실의 타 단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공기 공급부 및 공기 배출부 중 하나가 칸막이 부재에 배치되고 그리고 공기 공급부 및 공기 배출부 중 다른 하나가 구획실의 양 단부에 배치되면, 구획실 내에 원활히 공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공기 배출부를 제함기에 포함된 배기 덕트에 접속하면 설비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 및 공기 배출 중 적어도 하나에 에어 건을 이용하면, 비교적 작은 동력으로 구획실 내에 강한 공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만곡부를 갖는 만곡된 플레이트로 형성된 칸막이 부재를 컨베이어 벨트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에 고정하면, 칸막이 부재에 의해 형성된 구획실 뿐만 아니라 칸막이 부재를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로부터 부착된 종이 가루를 흡인 제거하는 장치가, 입구 롤에 대향하는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을 따라 입구 롤에 대향된 대향 롤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 석션 박스에 의해서 흡인되며 컨베이어 벨트의 이면에 부착되는 종이 가루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를 갖는 인쇄 장치 및 이 인쇄 장치를 구비한 제함기는 골판지 시트에 적정하게 인쇄를 실행할 수 있게 되어, 고품질의 블랭크 골판지 시트가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및 이 컨베이어를 구비한 인쇄 장치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함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및 이 컨베이어를 구비한 인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및 이 컨베이어를 구비한 인쇄 장치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의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일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일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의 컨베이어에 적용 가능한 에어 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될 과제를 설명하는 컨베이어 및 이 컨베이어를 구비한 인쇄 장치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컨베이어, 이 컨베이어를 구비한 인쇄 장치 및 이 인쇄 장치를 구비한 제함기에 대해 설명한다.
[제함기]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함기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하부 부분에 도시된 기계 구성과 분리하여, 골판지 시트가 상자로 형성될 준비가 된 시트로 형성하는 공정을 상부 부분에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함기는, 상류측으로부터, 급지부(1), 인쇄부(2), 배지부(3), 다이 컷트부(4), 폴더 글루어부(5) 및 카운터 이젝터부(6)가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골판지 시트(10a)는 1매씩 인쇄부(2)에 골판지 시트(10a)를 공급하는 급지부(1)에 적재된다.
인쇄부(2)는 소정의 개수(여기에서는, 각 칼라에 대해 4개)의 인쇄 유닛(2a 내지 2d)으로 형성된다. 인쇄부(2)는, 컨베이어(20)에 의해서 1매씩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10a)에, 각 색 잉크로 문자 및/또는 사진을 순차적으로 인쇄한다.
배지부(3) 및 다이 컷트부(4)에서는, 인쇄부(2)에서 인쇄된 각 골판지 시트(10a)가 홈절삭 및 주름형성된다.
즉, 배지부(3)는 골판지 시트(10a)를 홈절삭 및 주름형성하고, 다이 컷트부(4)는 골판지 시트(10a)에 핸드 홀 및 공기 배기 구멍과 같은 구멍을 펀칭한다.
다이 컷트부(4)는 특수한 형상의 상자로 형성되도록 골판지 시트(10a)를 홈절삭 및 주름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배지부(3) 및 다이 컷트부(4) 양자는 홈절삭 및 주름형성의 기능을 갖고 있다.
폴더 글루어부(5)는 홈형성 및 주름형성이 실행된 골판지 시트(10a)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상에 형성된 가장자리에 풀칠하고, 골판지 시트(10a)의 좌측 및 우측 단부가 접혀진 시트의 바닥측에 중합하도록 골판지 시트(10a)를 절곡한다. 이 자세를 유지하며, 골판지 시트(10a)의 좌측 및 우측 단부는 풀에 의해서 서로 접착되어, 골판지 시트(10a)는 상자로 형성될 준비가 된 시트(10)(골판지 상자용 블랭크)로 형성된다.
카운터 이젝터부(6)는, 폴더 글루어부(5)에서 가공되고 상자로 형성될 준비가 된 시트(10)를 계수하며, 스태커에 시트(10)를 적재한다. 상자로 형성될 준비가 된 소정 개수의 시트(10)가 쌓아 올려지면, 카운터 이젝터부(6)는 시트 팩(100)을 1단위로 하여 출하한다.
집진 계통(7)으로서 기능하는 흡인 덕트(7H)는 제함기의 상부에 배설된다. 흡인 덕트(7H)에 접속된 접속 덕트(7a 내지 7d)는 각 인쇄 유닛(2a 내지 2d)에 마련된다. 제함기 내의 종이 가루는 접속 덕트(7a 내지 7d)의 입구에서 흡인되며, 마지막으로 흡인 덕트(7H)를 통해 집진부(7G)에 집진된다.
선택적으로, 제함기는, 배지부(3)를 갖지 않지만, 핸드 홀 및 공기 배기 구멍과 같은 구멍을 펀칭하는 것에 추가하여 특수 형상의 상자를 형성하기 위해 골판지 시트(10a)를 홈절삭 및 주름형성하는 다이 컷트부(4)를 구비하며, 홈절삭되고 그리고 주름형성된 골판지 시트(10a)를 제조 라인에 도입하고, 골판지 시트(10a) 상에 물품을 탑재하고, 물품을 싸서 상자를 형성함으로써 물품을 포장하는, 랩 어라운드 케이서(wrap-around caser)일 수 있다. 이러한 기계에 제공하는 상자로 형성될 준비가 된 시트는, 인쇄, 홈절삭 및 주름형성을 실행하는 다이 컷트부(4)에서 처리가 실행된 골판지 시트(10a)이다. 이러한 경우, 제함기는 폴더 글루어부(5)가 생략되며, 다이 컷트부(4)로 처리한 골판지 시트(10a)를 골판지 시트(10a)를 처리 및 출하하는 카운터 이젝터부(6)로 이송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함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컨베이어 및 인쇄 장치]
다음에, 제함기의 인쇄부(2)에 적용되는 컨베이어(20) 및 이 컨베이어(20)를 구비한 인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부(2)는 컨베이어 벨트(23)를 갖는 컨베이어(20)와, 컨베이어(20)에 의해서 1매씩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10a)에, 각 색 잉크를 순차적으로 문자 및/또는 사진을 인쇄하는 인쇄 유닛(2a 내지 2d)을 구비한다.
인쇄 유닛(2a 내지 2d)은, 골판지 시트(10a)의 인쇄될 면에 잉크를 전사하며 컨베이어 벨트(23)의 상방에 배치된 인쇄 실린더(21a 내지 21d)와, 각 인쇄 실린더(21a 내지 21d)와 조합되어 골판지 시트(10a)를 사이에 두고 니프압(nip pressure)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컨베이어 벨트(23)의 하방에 배치된 가압 실린더(22a 내지 22d)를 포함한다. 도 3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각 인쇄 실린더(21a 내지 21d)에 접촉하는 아닐록스 롤러(도 2 참조)는 각 대응 인쇄 실린더(21a 내지 21d)에 잉크를 전사한다. 전사된 잉크는 또한 인쇄 실린더(21a 내지 21d)로부터, 컨베이어 벨트(23) 상에서 인쇄 실린더(21a 내지 21d)와 가압 실린더(22a 내지 22d) 사이의 공간을 통해 주행하는 골판지 시트(10a)에 전사되며, 인쇄 공정이 완료된다.
비사용 잉크 색에 대응하는 인쇄 실린더(21a 내지 21d)의 일부는 배기되어 골판지 시트(10a)로부터 이격된다. 도 2 및 도 3은 인쇄 유닛(2c, 2d)의 인쇄 실린더(21c, 21d)가 배기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컨베이어(20)는, 컨베이어 벨트(23)와, 이 컨베이어 벨트(23)를 안내, 또는 안내 및 구동하는 가이드 롤(25a, 25b, 26a, 26b, 27a 내지 27e)과, 골판지 시트(10a)의 반송 경로에 대하여 컨베이어 벨트(23)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석션 박스(24a 내지 24d)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벨트(23)는 고무 시트에 천 시트를 적층시켜서 형성되며, 가요성이지만 비신장성이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23)는 무단이며, 흡인된 공기를 위한 상부 표면과 바닥 표면 사이에 환기성을 제공하는 많은 작은 구멍을 갖고 있다. 컨베이어 벨트(23)는 가이드 롤(25a 내지 27b)에 의해 안내된 라인 상을 순환하며, 이에 의해 골판지 시트(10a)를 반송한다.
컨베이어(20)는, 급지부(1)에 인접하며, 골판지 시트(10a)가 인쇄부(2)에 반입되는 입구에는 가이드 롤 중 하나로서의 입구 롤(25a)과, 배지부(3)에 인접하며, 골판지 시트(10a)가 인쇄부(2)로부터 반출되는 출구에는 가이드 롤 중 하나로서의 출구 롤(26a)을 포함한다. 하부 출구 롤(27a)은 출구 롤(26a)의 하방의 위치에 배치되며, 골판지 시트(10a)의 반송 경로에서 출구 롤(26a)로부터 상류(즉, 배지부(3)로부터 이격하는 방향)로 시프트되는 반면에, 하부 입구 롤(27e)은 입구 롤(25a) 하방의 위치에 배치되며, 골판지 시트(10a)의 반송 경로에서 입구 롤(25a)로부터 하류(즉, 급지부(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로 시프트된다.
하부 출구 롤(27a)은 그 축심 방향을 조정 가능하며, 축심 방향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23)의 가능한 사행 상태를 조정하는 벨트 사행 조정 롤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하부 입구 롤(27e)의 조작 단부의 위치는 고정되는 반면에 하부 입구 롤(27e)의 구동 단부의 위치는 도 1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도록 반송 경로를 따라서 하류 및 하류로 이동 가능하며, 그 결과 구동 단부의 위치는 하부 입구 롤(27e)의 축심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시프트된다. 따라서, 하부 입구 롤(27e)의 축심의 각도의 이러한 변경은 컨베이어 벨트(23)의 가능한 사행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 출구 롤(27a)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컨베이어 벨트(23)를 순환하는 구동 롤로서 기능한다.
또한, 하부 출구 롤(27a)과 이 하부 출구 롤(27a)에 인접하는 하부 롤(27c)과의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 롤(27b)은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롤(27a, 27c)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운동으로 인해 텐션 해제 방향에서 가이드 롤(27b)의 축심의 위치의 변경은 전체 벨트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롤(27b)은 벨트 텐션 조정 롤로서 기능한다.
석션 박스(24a 내지 24d)는 각각 인쇄 유닛(2a 내지 2d)에 제공되며, 연속하여 배치된다. 석션 박스(24a 내지 24d) 각각은 도시하지 않는 석션 블로어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석션 블로어는 대응 석션 박스 내의 공기를 제거하여 석션 박스의 내측이 부압으로 유지되게 한다.
입구 롤(25a)로부터 출구 롤(26a)에 걸쳐서 주행하는 동안에 컨베이어 벨트(23)의 상면(표면)(23a)인 반송면 상의 골판지 시트(10a)는 석션 박스(24a 내지 24d) 내의 부압으로 인해서 반송면(23a)에 흡착되며, 그 결과 골판지 시트(10a)는 반송 방향의 편차를 일으키는 일이 없이 반송될 수 있다.
입구 롤(25a) 및 출구 롤(26a)이 각각 배치되는 입구부 및 출구부는 석션 박스에 의해 커버되어 있지 않지만, 대향 롤(25b, 26b)은 각각 입구 롤(25a) 및 출구 롤(26a)에 대향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골판지 시트(10a)는 반송되는 동안에 롤(25a)과 롤(25b) 사이에 또는 롤(26a)과 롤(26b) 사이에 개재되며, 그 결과 골판지 시트(10a)는 또한 이들 영역에서 반송 방향의 편차를 일으키는 일이 없이 반송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칸막이 부재로서 작용하는 덕트 커버(31)는, 컨베이어 벨트(23)가 하부 입구 롤(27e)로부터 입구 롤(25a)에 진입하여 접촉하게 되는 영역, 즉 입구 롤(25a)의 바로 아래의 지점(컨베이어 벨트(23)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 입구 롤(25a)의 바로 상류)에 배치된다. 덕트 커버(31)는 벨트 상의 종이 가루를 제거하기 위한 덕트(구획실)(30)를 형성하며, 덕트(30)는 주위와 구획되어 있다.
덕트 커버(31)는 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만곡부를 갖는 만곡된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덕트 커버(31)는, 컨베이어 벨트(23)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고 또한 가이드 롤(25a 내지 27e)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도시 생략)에 지지 비임(51)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덕트(30)는, 이 덕트 커버(31)의 내면(31a)과, 입구 롤(25a)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는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23b)과, 입구 롤(25a)의 외주면(25f)과, 최상류의 석션 박스(24a)의 벽면(24w)에 의해 포위되며, 형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덕트(30)는 덕트 커버(31)의 내면(31a)과,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23b)만으로 포위되며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덕트(30)는 덕트 커버(31)의 내면(31a)과,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23b)과, 입구 롤(25a)의 외주면(25f)만으로 포위되며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구 롤(25a)의 근방의 다수의 부재의 표면을 이용함으로써, 덕트 커버(31)의 횡단면의 형상 사이즈를 유지하면서, 또한 덕트(30)의 필요한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공기 유통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공기 블로우 장치(41)는 덕트(30)에 접속되어 있다. 공기 블로우 장치(41)는 덕트(3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다음에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공기 블로우 장치(41)는 덕트(30) 내에 공기를 송급하는 공기 공급부(41a)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41b)를 갖고 있다.
공기 공급부(41a)는 에어 블로어(42)와, 덕트 커버(30)의 일 단부에 접속되어 덕트 커버(31)의 단부를 막고 그리고 에어 블로어(42)의 분출구가 접속된 덕트 입구(32a)를 구비하는 공기 공급 덕트(32)를 포함한다. 공기 배출부(41b)는 석션 블로어(43)와, 덕트 커버(31)의 타 단부에 접속되어 덕트 커버(31)의 단부를 막고 그리고 석션 블로어(43)의 흡입구가 접속된 덕트 출구(33a)를 구비하는 공기 배출 덕트(33)를 포함한다.
또한, 석션 블로어(43)는 석션 박스(24a 내지 24d)에 접속된 석션 블로어로서 기능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20)의 입구부의 상방에는, 즉 입구 롤(25a)과 대향하는 대향 롤(25b)에 인접한 위치(도시된 예에서는,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대향 롤(25b)의 상류)에는, 대향 롤(25b)로부터 송출된 골판지 시트(10a)에 부착되어 있는 종이 가루를 제거하는, 시트상의 종이 가루를 제거하는 장치의 종이 가루 흡인 덕트(40)의 공기 입구가 배치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도 1 및 도 4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가루 흡인 덕트(40)는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대향 롤(25b)의 하류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종이 가루 흡인 덕트(40)에는 도시하지 않는 석션 블로어가 접속되어 있다. 석션 박스(24a 내지 24d)에 접속된 석션 블로어는 종이 가루 흡인 덕트(40)에 접속된 석션 블로어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에어 블로우 장치(41)의 공기 배출부(41b)의 하류 부분 및 종이 가루 흡인 덕트(40)의 하류 부분은, 도 2에 도시하는 접속 덕트(7e)를 통해서 제함기의 상부 부분의 흡인 덕트(7H)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조는 흡인된 종이 가루를 흡인 덕트(7H)를 지나 집진부(7G)에 집진되게 한다.
[작용 및 효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이 컨베이어를 구비한 인쇄 장치, 및 이 인쇄 장치를 구비한 제함기는 하기의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23b)의 측(이면측)에, 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 커버(31)가, 컨베이어 벨트(23)가 하부 입구 롤(27e)로부터 입구 롤(25a)에 진입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단순한 구조는, 덕트 커버(31)의 내면(31a)과,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23b)과, 입구 롤(25a)의 외주면(25f)과, 최상류의 석션 박스(24a)의 벽면(24w)에 의해 포위되고 형성된 덕트(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덕트 커버(31)의 단면부의 사이즈를 억제하면서, 덕트(30)의 단면부의 적당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형성되는 덕트(30) 내에 에어 블로우 장치(41)가 공기를 유통시키고, 다음에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골판지 시트(10a)의 이면에 부착된 종이 가루와, 배지부(3) 또는 다이 컷트부(4)에서 발생되어 석션 박스(24a 내지 24d)에 의해서 흡인되어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23b)에 부착된 종이 가루는 덕트(30) 내를 유통하는 공기에 의해 이면(23b)으로부터 제거되고, 외부로 배출되고, 접속 덕트(7e) 및 흡인 덕트(7H)를 지나 집진부(7G)에 집진된다.
따라서, 컨베이어(20)의 입구 롤(25a)과 석션 박스(24a) 사이에 종이 가루가 모이지 않게 되어, 컨베이어 벨트(23)의 반송면(23a)이 솟아오르는 일이 회피된다. 이것은 인쇄부(2)에 있어서의 인쇄를 적정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상자로 형성되도록 준비된 고품질의 시트(10)(즉, 골판지 상자용 블랭크)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는, 덕트(30)가 컨베이어(20)의 입구 롤(25a)과 석션 박스(24a) 사이의 종이 가루가 모이는 위치에 설치되고, 그에 따라 이 위치의 종이 가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블로우 장치(41)에 석션 박스의 부압을 이용하면 설비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23)의 반송면(23a)의 상방에 배치되고,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10a)에 부착된 종이 가루를 흡인하에서 제거하는 시트상의 종이 가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는, 석션 박스(24a 내지 24d)에 의한 흡인으로 인해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23b)에 부착되는 종이 가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이외]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생략 및 조합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의 에어 블로우 장치(41)는 도 6의 (a), 도 6의 (b), 도 7의 (a) 및 도 7의 (b)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의 구성은 덕트(30)의 양 단부 상의 공기 공급부(41a)와, 덕트 커버(31) 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출 구멍(31b)으로 형성된 공기 배출부(41b)를 구비한다. 덕트(30)의 양 단부로부터 도입된 에어는 덕트 커버(31) 상에 형성된 배출 구멍(31b)을 통해 배출된다.
도 7의 (a) 및 도 7의 (b)의 구성은 덕트 커버(31) 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 공급 구멍(31c)으로 형성된 공기 공급부(41a)와, 덕트(30)의 양 단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부(41b)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덕트 커버(31) 상에 형성된 공급 구멍(31c)을 통해 도입된 에어는 덕트(30)의 양 단부로부터 배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공급부(41a) 또는 공기 배출부(41b)는 에어 건(60)일 수 있다.
특히, 에어 건(60)은 통형상의 케이싱(61)과, 케이싱(61)의 외주에 형성된 환상의 구멍(61a)과, 구멍(61a)의 내측에 배치된 내통(62)과, 케이싱(61)과 내통(62)과의 사이에 형성된 일방향 환상의 유로(63)를 포함한다. 공기 유입관(64)은 환상의 구멍(61a)의 외주에 배설된다. 공기 유입관(64)의 하류단(64a)은 관의 형태이며, 공기 유입관(64)에 진입하고 구멍(61a)을 통해 환상의 유로(63) 내로 흐르는 공기는 에어 흐름(F1)을 발생하며, 이 에어 흐름(F1)은 내통(62)의 내부에서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를 향하는 에어 흐름(F2)을 또한 발생시킨다. 에어 흐름(F2)은 공기 유입관(64) 내에 도입되는 공기류를 증폭시키고, 다음에 케이싱(61)의 분출구(65)로부터 분출된다. 이러한 구성은 효율적인 공기 공급 또는 공기 배출을 실행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41a)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컨베이어 벨트(23)의 대전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며 또한 컨베이어 벨트(23)의 대전 상태보다 강한 대전 상태로 대전시키는 공기 대전 수단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 대전 수단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3)의 반대 극성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 흡착력에 의해서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23b)에 부착된 종이 가루도, 보다 강하게 대전된 유통 공기에 도입되며, 이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23b)으로부터 제거된다.
덕트(30)의 배치 개소도 상기의 실시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23b)에 부착된 종이 가루를 제거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덕트(30)는 컨베이어 벨트(23)가 출구 롤(26a)로부터 하부 출구 롤(27a) 및 하부 입구 롤(27e)을 지나 입구 롤(25a)에 진행하는 영역에서 컨베이어 벨트(23)의 순환 경로 상의 임의의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출구 롤로부터 입구 롤까지의 영역에서 컨베이어 벨트의 이면측의 임의의 위치에 덕트(30)가 배치될 수 있다. 석션 박스(24)가 배치되지 않는 이러한 영역에 출구 롤로부터 입구 롤까지 덕트(30)의 공간을 비교적 확보하기 쉽고,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23b)도 이 영역에서 노출되기 때문에, 이 영역에 덕트(30)를 마련하면 레이아웃 상 유리하며, 종이 가루의 제거에도 유효하다.
특히, 하부 입구 롤(27e)로부터 입구 롤(25a)까지의 영역에 덕트(30)를 배치하면, 종이 가루가 모이기 쉬운 입구 롤(25a)과 석션 박스(24) 사이의 공간에 들어가기 바로 전에 컨베이어 벨트의 이면(23b)의 종이 가루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입구 롤(25a)과 석션 박스(24) 사이의 공간에 종이 가루가 진입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만곡부를 갖는 만곡된 플레이트로 형성된 덕트 커버(31)를 칸막이 부재로서 이용한다. 선택적으로, 만족스러운 칸막이 부재는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측에 주위의 공간과 구획된 구획실을 형성한다. 특히, 덕트 커버(31)는 상이한 형상의 유닛을 갖는 플레이트일 수 있거나, 임의의 형상의 유닛 및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측에 개구부를 갖는 박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골판지 시트를 제조하는 제함기, 특히 이 제함기에 장비된 인쇄부에 이용하는 것이다.
1 : 급지부
2 : 인쇄부
2a 내지 2d : 인쇄 유닛
3 : 배지부
4 : 다이 컷트부
5 : 폴더 글루어부
6 : 카운터 이젝터부
7 : 집진 계통
7H : 흡인 덕트
7a 내지 7e : 접속 덕트
7G : 집진부
10a : 골판지 시트
20 : 컨베이어
21a 내지 21d : 인쇄 실린더
22a 내지 22d : 가압 실린더
23 : 컨베이어 벨트
23b : 컨베이어 벨트(23)의 이면
24a 내지 24d : 석션 박스
24w : 최상류의 석션 박스(24a)의 벽면
25a : 입구 롤(가이드 롤)
25f : 입구 롤(25a)의 외주면
26a : 출구 롤(가이드 롤)
25b, 26b : 대향 롤
27a : 하부 출구 롤(가이드 롤)
27b : 벨트 텐션 조정 롤(가이드 롤)
27c, 27d : 가이드 롤
27e : 하부 입구 롤(벨트 사행 조정 롤, 가이드 롤)
30 : 벨트 상의 종이 가루를 제거하는 덕트(구획실)
31 : 덕트 커버(칸막이 부재)
31a : 덕트 커버(31)의 내면
32 : 공기 공급 덕트
32a : 덕트 입구
33 : 공기 배출 덕트
33a : 덕트 출구
40 : 종이 가루 흡인 덕트
41 : 에어 블로우 장치(공기 유통 수단)
41a : 공기 공급부
41b : 공기 배출부
42 : 에어 블로어
43 : 석션 블로어

Claims (16)

  1. 삭제
  2. 제함기의 인쇄부에 배치되며, 인쇄되는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는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반송면의 이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송면 상의 상기 골판지 시트를 부압에 의해 흡인하는 석션 박스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안내 또는 구동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로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은, 상기 골판지 시트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반입되는 입구측에 배치된 입구 롤과, 상기 골판지 시트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반출되는 출구측에 배치된 출구 롤을 포함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출구 롤로부터 상기 입구 롤까지 진행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면측에 배치되고, 공기를 외부로 유통시키는 공기 유통 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출구 롤로부터 상기 입구 롤까지 진행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면측에 배치되고,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면과 조합되어 구획실을 형성하는 칸막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통 수단은 상기 구획실 내에 공기를 유통시키고, 공기를 구획실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은 상기 입구 롤과, 상기 출구 롤과, 상기 출구 롤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 출구 롤과, 상기 입구 롤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 입구 롤을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입구 롤 및 상기 출구 롤의 안내하에서 상기 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출구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고, 상기 골판지 시트를 반송한 후, 상기 하부 출구 롤 및 상기 하부 입구 롤의 안내하에서 상기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입구측으로 되돌아오도록 순환하며,
    상기 구획실은, 상기 출구 롤로부터 상기 하부 출구 롤 및 상기 하부 입구 롤을 지나 상기 입구 롤에 진행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 경로 내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실은 상기 순환 경로 내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입구 롤로부터 상기 입구 롤에 진행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실은 상기 입구 롤의 바로 상류에 배치되며,
    상기 구획실은 상기 칸막이 부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면, 및 상기 입구 롤의 외주면에 의해, 또는 상기 칸막이 부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이면, 상기 입구 롤의 상기 외주면 및 상기 석션 박스의 벽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통 수단에 의해 상기 구획실 내를 유통하는 공기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대전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며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대전 상태보다 강하게 대전시키는 공기 대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통 수단은 상기 석션 박스의 부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통 수단은,
    상기 구획실 내에 공기를 송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상기 구획실 내에 송급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구획실의 일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구획실의 타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통 수단은,
    상기 구획실 내에 공기를 송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상기 구획실 내에 송급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공급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 중 하나는 상기 칸막이 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 공급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구획실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제함기에 포함된 흡인 덕트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에어 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는 만곡부를 갖는 만곡된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롤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3. 제 2 항에 있어서,
    반송되는 상기 골판지 시트에 부착되는 종이 가루를 흡인 제거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을 따라 대향 롤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인접하며, 상기 대향 롤은 상기 입구 롤에 대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4.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제함기의 인쇄부로서 기능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이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반송면 상을 이송하는 상기 골판지 시트에 문자 및/또는 사진을 인쇄하는 복수의 인쇄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5. 상류측으로부터,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로부터 송급되는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면서 문자 및/또는 사진을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에 의해 인쇄된 상기 골판지 시트에 홈절삭 및 주름형성하는 배지부와,
    인쇄가 이뤄지고 상기 배지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골판지 시트에 구멍을 펀칭하는 다이 컷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부는 제 14 항에 기재된 인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6. 상류측으로부터,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로부터 송급되는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면서 문자 및/또는 사진을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에 의해 인쇄된 상기 골판지 시트에 구멍을 펀칭하고, 홈절삭 및 주름형성하는 다이 컷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부는 제 14 항에 기재된 인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KR1020147021042A 2012-02-10 2013-02-05 컨베이어, 인쇄 장치 및 제함기 KR101650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7089 2012-02-10
JP2012027089A JP5936382B2 (ja) 2012-02-10 2012-02-10 搬送コンベア及び印刷装置並びに製函機
PCT/JP2013/052546 WO2013118696A1 (ja) 2012-02-10 2013-02-05 搬送コンベア及び印刷装置並びに製函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460A KR20140109460A (ko) 2014-09-15
KR101650643B1 true KR101650643B1 (ko) 2016-08-23

Family

ID=4894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042A KR101650643B1 (ko) 2012-02-10 2013-02-05 컨베이어, 인쇄 장치 및 제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99794B2 (ko)
EP (1) EP2813450B1 (ko)
JP (1) JP5936382B2 (ko)
KR (1) KR101650643B1 (ko)
CN (1) CN104093653B (ko)
WO (1) WO2013118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9142B2 (en) 2011-11-10 2018-05-15 Packsize Llc Converting machine
JP6302351B2 (ja) * 2014-05-14 2018-03-28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段ボールシート加工装置及びそのセット方法
US10093438B2 (en) 2014-12-29 2018-10-09 Packsize Llc Converting machine
CN108349266A (zh) 2016-01-28 2018-07-3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关于纸箱衬里的瓦楞板轧制机控制信息
US10850469B2 (en) * 2016-06-16 2020-12-01 Packsize Llc Box forming machine
ES2848561T3 (es) 2016-06-16 2021-08-10 Packsize Llc Un procedimiento y sistema de producción de plantillas de caja
DE202016004428U1 (de) * 2016-07-20 2017-10-23 Barry-Wehmiller Papersystems, Inc.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Datenträgern auf eine Trägerbahn
US11242214B2 (en) 2017-01-18 2022-02-08 Packsize Llc Converting machine with fold sensing mechanism
SE541921C2 (en) 2017-03-06 2020-01-07 Packsize Llc A box erecting method and system
SE1750727A1 (sv) 2017-06-08 2018-10-09 Packsize Llc Tool head positioning mechanism for a converting machine,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plurality of tool heads in a converting machine
US11173685B2 (en) 2017-12-18 2021-11-16 Packsize Llc Method for erecting boxes
CN108058433A (zh) * 2018-01-17 2018-05-22 龙利得包装印刷股份有限公司 一种纸箱绿色生产系统及绿色生产方法
US11305903B2 (en) 2018-04-05 2022-04-19 Avercon BVBA Box template folding process and mechanisms
US11247427B2 (en) 2018-04-05 2022-02-15 Avercon BVBA Packaging machine infeed, separation, and creasing mechanisms
DE112019003075T5 (de) 2018-06-21 2021-03-25 Packsize Llc Verpackungsvorrichtung und systeme
SE543046C2 (en) 2018-09-05 2020-09-29 Packsize Llc A box erecting method and system
US11524474B2 (en) 2018-11-30 2022-12-13 Packsize Llc Adjustable cutting and creasing heads for creating angled cuts and creases
US11752725B2 (en) 2019-01-07 2023-09-12 Packsize Llc Box erecting machine
US11701854B2 (en) 2019-03-14 2023-07-18 Packsize Llc Packaging machine and systems
CN111591034A (zh) * 2020-05-11 2020-08-28 海宁先锋印刷有限公司 一种利用印刷机下降产生气压对印刷体清理装置
CN112550820A (zh) * 2020-11-11 2021-03-26 温州卜甸化妆品有限公司 面膜自动收集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032A (en) 1993-12-06 1996-10-08 Kabushiki Kaisha Isowa Corrugated board sheet transporting system in printing line
JP2005088119A (ja) 2003-09-17 2005-04-07 Rengo Co Ltd 打抜きシートの紙粉除去装置
JP2009274399A (ja) 2008-05-16 2009-11-26 Seiko Epson Corp 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02619A (de) * 1966-08-20 1968-02-12 Vepa Ag Procede pour le traitement au continu de matieres textiles epaisses et volumineuses
JPS60187114U (ja) * 1984-05-24 1985-12-11 松下電工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
US5094658A (en) * 1991-03-05 1992-03-10 F.L. Smithe Machine Company, Inc. Vacuum side-folder section for envelope blank folding apparatus
JPH08295009A (ja) * 1995-04-27 1996-11-12 Mitsubishi Heavy Ind Ltd フレキソ印刷機
US5782183A (en) * 1997-03-07 1998-07-21 Ward Holding Company, Inc. Pressurized machine for processing blanks
JPH11170197A (ja) * 1997-12-10 1999-06-29 Rengo Co Ltd シート打抜き屑の除去装置
JP4493325B2 (ja) * 2003-12-04 2010-06-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2006001686A (ja) * 2004-06-16 2006-01-05 Ricoh Co Ltd 記録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86629A (ja) * 2005-09-26 2007-04-0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20080002011A1 (en) * 2006-04-20 2008-01-03 Kozo Mizutani Method of manufacturing corrugated cardboard product
JP5081338B2 (ja) * 2007-03-17 2012-11-28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吐出装置、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032A (en) 1993-12-06 1996-10-08 Kabushiki Kaisha Isowa Corrugated board sheet transporting system in printing line
JP2005088119A (ja) 2003-09-17 2005-04-07 Rengo Co Ltd 打抜きシートの紙粉除去装置
JP2009274399A (ja) 2008-05-16 2009-11-26 Seiko Epson Corp 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93653A (zh) 2014-10-08
WO2013118696A1 (ja) 2013-08-15
US9199794B2 (en) 2015-12-01
EP2813450B1 (en) 2016-06-29
EP2813450A4 (en) 2015-10-28
CN104093653B (zh) 2016-03-16
EP2813450A1 (en) 2014-12-17
JP5936382B2 (ja) 2016-06-22
KR20140109460A (ko) 2014-09-15
JP2013163567A (ja) 2013-08-22
US20140378285A1 (en) 2014-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643B1 (ko) 컨베이어, 인쇄 장치 및 제함기
KR101547739B1 (ko) 포장체 제조기 내의 폐기물 배출용 유닛을 위한 장치
US8348817B2 (en) Inspection model and folder gluer having an inspection module
EP2621843B1 (en) Sheet conveying device
JP2010052209A (ja) 段ボールシート製函機のスロッタ
JP5919946B2 (ja) 紙粉除去装置を用いた衛生用紙の製造方法及び紙粉除去方法
JP4728443B1 (ja) 段ボール加工装置
JP3176836U (ja) 搬送装置を備える折り機
US9017240B2 (en) Transporting apparatus and sheet-processing machine with a transporting apparatus
KR101900625B1 (ko) 편평한 서포트들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용의 흡입 플리넘 및 따라서 장착된 인쇄 기계
JP200919899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67858A (ja) 製箱装置
US10046573B2 (en) Suction box, system for conveying flat media, and printing machine thus equipped
JP2009234750A (ja) 複合印刷物製造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印刷機並びに複合印刷物製造方法
JP5252356B2 (ja) 印刷物作成装置
US20220266562A1 (en) Method for folding a corrugated cardboard blank intended to form a folded box
JP2003181950A (ja) 製函機械
US7367444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tionally drawing in a cutout from a stack of several cutouts, or taking over a cutout from a separating cutting machine
JP2015157690A (ja) 用紙折りシステムおよび用紙折り方法
CN113103661A (zh) 用于光学控制坯料的面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