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836B1 -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 - Google Patents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836B1
KR101649836B1 KR1020157001593A KR20157001593A KR101649836B1 KR 101649836 B1 KR101649836 B1 KR 101649836B1 KR 1020157001593 A KR1020157001593 A KR 1020157001593A KR 20157001593 A KR20157001593 A KR 20157001593A KR 101649836 B1 KR101649836 B1 KR 101649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pu
power source
mode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3836A (ko
Inventor
신지 후지이
다까오 아사다
노보루 오꾸이
다까유끼 사또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주전원(104)과, 사용 검지부(111)와, 대기 전력 모드와 통상 전력 모드의 전환 지시를 출력하는 CPU(22)와, 보조 전원(109)과, 트랜스(115)를 구비한다. 트랜스(115)는 1차 권선(112)과 2차 권선(113)과 보조 전원 제어 IC(21)를 구비한 보조 전원 모드 전환 제어부(108)에 보조 2차 권선(114)을 갖는다. CPU(22)는 대기 전력 모드에서, 주전원(104)으로의 상용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CPU(22) 자체를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하고, 보조 전원 제어 IC(21)가 보조 전원(109)의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기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의 대기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POWER CONTROL DEVICE AND INSTRUMENT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기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의 대기 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킨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에너지 사정 및 전력 사정으로부터, 기기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이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기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의 대기 시 소비 전력(이하, 「대기 전력」이라고 기재함)을 한없이 제로에 접근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력 제어 장치로서, 예를 들어 기기인 화장실(토일렛) 장치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의 전원부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저감하고, 대기 전력을 삭감하는 전력 제어 장치를 구비한 화장실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화장실 장치의 전력 제어 장치는, 인체 검출부와, 기능부와, 제어부와, 제1 전원부와, 제2 전원부와, 전력 제어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인체 검출부는, 화장실 내의 인체의 유무를 검출한다. 기능부는, 화장실 내의 환경을 정비한다. 제어부는, 인체 검출부와 기능부를 구동한다. 제1 전원부는, 인체 검출부와 제어부에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제2 전원부는, 상용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기능부에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전력 제어 소자는, 제2 전원부의 전단에 위치하고, 상용 전원으로부터 제2 전원부로의 통전을 제어한다.
그리고, 화장실 장치의 전력 제어 장치의 제어부는, 인체 검출부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전력 제어 소자를 구동하고, 제2 전원부로의 상용 전원의 공급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화장실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화장실 장치는 소비 전력이 작은 전원부만 동작시켜서, 화장실 장치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의 대기 전력을 작게 한다. 또한, 화장실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 의사에 의하지 않고 화장실 내에 화장실 사용자가 있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모든 기능을 동작 가능한 상태로 한다. 그 결과, 사용 편의성이 매우 좋은 화장실 장치를 실현하고 있다.
즉, 종래의 화장실 장치의 전력 제어 장치의 구성은, 기기인 화장실 장치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경우, 제어부는 전력 제어 소자를 오프하고, 상용 전원으로부터 제2 전원부로의 통전을 오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부 자신이 소비하는 전력을, 제1 전원부가 소비하는 전력만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제1 전원부가 소비하는 대기 전력으로서, 0.5W 정도의 소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즉, 종래의 화장실 장치의 전력 제어 장치의 구성은, 기기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경우, 큰 전력 부하인 기능부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주전원)를 오프한다. 그리고, 조작부의 조작 신호나 인체 검출부의 검지 신호 및 각종 온도 검출부의 온도 검출 신호를 처리한다. 즉, 각종 히터나 모터 및 LED 등의 각 부하의 구동을 지시하는 작은 전력 부하의 마이크로컴퓨터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보조 전원)만, 온 상태로 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대기 상태 시에, 마이크로컴퓨터가 통상 동작보다 낮은 소비 전력이 되는 저속 동작을 시켜서 저소비 전력 모드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저소비 전력 모드에서 동작시켜도, 제1 전원부(보조 전원) 자체의 동작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 소비가 필요하다. 그로 인해, 제1 전원부(보조 전원)를 상용 전원이 아닌 전지 등으로 구성하지 않는 한, 상용 전원을 소비하는 대기 전력을 한없이 제로에 접근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6878호 공보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력 제어 장치는,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전원과, 기기의 사용을 검지하는 사용 검지부와, 사용 검지부의 신호에 의해 대기 전력 모드와 통상 전력 모드의 전환 지시를 출력하는 CPU와, CPU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과, 트랜스를 구비한다. 트랜스는, 보조 전원의 보조 전원 입력부에 설치한 1차 권선과, 보조 전원 출력부에 설치한 2차 권선과, 보조 전원 제어 IC를 구비한 보조 전원 전환 모드 제어부에 설치한 보조 2차 권선을 갖는다. CPU(제어부)는 대기 전력 모드로의 전환 지시에 의해, 주전원에의 상용 전력 공급을 차단함과 함께, CPU 자체가 저속 모드인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하고, 2차 권선의 전류 저하에 의한 보조 2차 권선의 전류 저하에 의해 보조 전원 제어 IC가 보조 전원의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 검지부의 신호에 의해, CPU가 통상 전력 모드에서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시키는 조건이 되면, CPU는 주전원으로의 상용 전력 공급을 차단 함과 함께, 보조 전원의 2차측 부하를 차단한다. 이에 의해, CPU 자체가 저속 모드인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한다. 그리고, 트랜스의 2차 권선의 전류 저하에 의한 트랜스의 보조 2차 권선의 전류 저하에 의해, 보조 전원 전환 제어부의 보조 전원 제어 IC가 보조 전원의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는 대기 전력 모드가 된다.
즉, 주전원으로의 상용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어서, 대기 전력 모드 시는, 주전원 및 주전원에 접속되는 기기의 기능부에 상당하는 출력측 부하에서의 전력 소비가 없어진다. 또한, 보조 전원의 2차측 부하가 차단되고, 또한 보조 전원이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는 대기 전력 모드가 된다. 이에 의해, 기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의 대기 전력을 한없이 제로에 접근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대기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는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인 위생 세정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생 세정 장치의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프론트 패널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5-5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본체 수신부(적외선 수신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a는, 리모콘 신호 포맷을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리더부의 파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데이터부 「0」의 파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d는, 도 8a의 데이터부 「1」의 파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e는, 도 8a의 트레일러부의 파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리모콘 신호를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와 수신부의 간헐 구동의 동작을 예시하는 타이밍차트도이다.
도 10b는, 도 9의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와 수신부의 간헐 구동의 동작을 예시하는 타이밍차트도이다.
도 11a는, 종래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 개폐 각도 검출 회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개량안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 개폐 각도 검출 회로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d는, 도 11c의 보충 설명도이다.
도 11e는, 도 11c의 보충 설명도이다.
도 12a는, 종래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장치의 CPU와 서브 CPU의 통신 회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CPU와 서브 CPU의 통신 신호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CPU와 서브 CPU의 통신 회로 블록도이다.
도 13b는,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CPU와 서브 CPU의 통신 회로 블록도이다.
도 13c는,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CPU와 서브 CPU의 통신 회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장치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에 대해서, 화장실 장치 등의 위생 세정 장치를 예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화장실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인 위생 세정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100)는 적어도 본체(200)와, 변기 덮개(210)와, 변기 시트(220)와, 리모트 컨트롤러(400)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200), 변기 덮개(210), 변기 시트(220)는 일체로 구성되어, 변기(110)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위생 세정 장치(100)에 있어서는, 본체(200)의 설치측을 후방, 변기 시트(220)의 설치측을 전방으로 하고, 전방을 향하여 오른쪽을 우측, 전방을 향하여 왼쪽을 좌측으로 해서 각 구성 요소의 배치를 설명한다.
본체(200)는 변기 덮개(210) 및 변기 시트(220)가 변기 시트 변기 덮개 회동 기구(215)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변기 시트 변기 덮개 회동 기구(215)는 예를 들어 직류 모터와 복수의 기어 등을 포함하고, 변기 덮개(210)와 변기 시트(220)를 개별 또는 동시에 개폐한다. 그리고, 변기 덮개(210)를 개방한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덮개(210)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최후방부에 위치하도록 기립한다. 한편, 변기 덮개(210)를 폐쇄하면 변기 시트(220)의 상면을 은폐한다.
또한, 변기 시트(220)는 변기 시트 히터(221)를 내장하고, 변기 시트 히터(221)는 변기 시트(220)의 착석면이 쾌적한 온도가 되도록, 예를 들어 40℃ 정도로 가열한다.
또한, 본체(200)의 내부에는, 세정수 공급 기구(도시하지 않음),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 세정 노즐(231) 등을 포함한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 기구(230)와, 세정 후의 국부를 건조하는 건조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본체 제어부(240) 등이 내장되어 있다. 세정 노즐(231)은 본체(20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세정 기구(230)는 본체(200)의 내부에 설치된 세정수 공급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세정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와, 세정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절 기구(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고, 세정 노즐(23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수도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열교환기로 가열하고, 가열한 온수를 세정 노즐(231)에 공급하고, 세정 노즐(231)로부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하여 분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국부를, 온수로 세정한다.
세정 노즐(231)은 엉덩이를 세정하는 엉덩이 세정 노즐부와,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는 비데 노즐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세정 노즐(231)은 본체(200) 내에 수용한 수납 위치와 본체(200)로부터 돌출되어서 세정 동작을 행하는 세정 위치와의 사이를 진퇴 이동하는 노즐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체(200)의 전방면 코너부에는, 예를 들어 반사형의 적외선 센서 등 을 포함하는 착석 검지 센서(25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착석 검지 센서(250)가 적외선을 발광하고, 인체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수광함으로써, 변기 시트(220) 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한다.
또한, 본체(200)의 우측에는, 본체(200)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소매부(Sleeve:260)가 설치되어 있다. 소매부(260)의 상면에는, 본체 조작부(261)와, 리모트 컨트롤러(400)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본체 수신부인 적외선 수신부(262)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 조작부(261)에는, 전원 스위치(261a)와, 사용 빈도가 높은 엉덩이 세정 기능을 조작하는 엉덩이 세정 스위치(261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본체(200)와는 별체로 구성되어, 변기 시트(220) 위에 착석한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위치, 예를 들어 화장실 룸의 벽면 등의 장소에 설치된다. 리모트 컨트롤러(400)에는, 화장실 룸에 입출한 사용자를 검지하는 인체 검지 센서(300)와, 위생 세정 장치(100)의 각 기능의 조작과 설정을 행하는 복수의 스위치 기능과, 표시 기능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화장실 룸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위생 세정 장치(100)는 변기 시트 히터(221)로의 통전을 정지, 또는 20℃ 정도의 대기 온도가 되도록 통전하여 변기 시트(220)를 보온하고 있다.
이때, 화장실 룸에 사용자가 입실하면, 인체 검지 센서(300)로부터의 인체 검지 신호를 받고, 변기 시트 히터(221)에 통전을 행한다. 또한, 변기 시트 히터는, 800W 정도의 매우 고출력의 히터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장실 룸에 입실하고 나서 변기 시트(220)에 착석할 때까지의, 예를 들어 6초에서 10초 정도의 사이에, 변기 시트(220)의 착석면을, 예를 들어 40℃ 정도의 설정 온도까지 승온한다.
그리고, 변기 시트(220)가 설정 온도에 도달한 후, 변기 시트 히터(221)로의 통전을 50W 정도의 저와트로 내려서 설정 온도를 유지한다.
그후, 사용자가 화장실 룸내에서 나가면, 변기 시트 히터(221)로의 통전을 정지, 또는 20℃ 정도의 대기 온도가 되도록 통전한다. 이에 의해, 화장실 룸에 사용자가 없을 때의, 위생 세정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대폭으로 삭감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에서 설명한 세정 노즐(231) 등을 포함하는 세정 기구(230)와 건조 장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므로, 이들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위생 세정 장치(100)의 구성이어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 및 작용)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생 세정 장치의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인체 검지 센서(300)가 인체를 검출하면, 인체 검지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적외선 송신부(436)로부터 송신한다. 송신된 인체 검지 신호는, 본체(200)의 본체 수신부(적외선 수신부)(262)에서 수신된 후, 본체 제어부(240)에 송신(전달)된다. 전달된 인체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본체 제어부(240)는 변기 시트 변기 덮개 회동 기구(215)를 구동하여 변기 덮개(210)를 개방한다. 그리고, 변기 시트(220)의 착석면이 10초 이내에 40℃ 정도가 되도록, 변기 시트(220)의 변기 시트 히터(221)로의 통전을 개시하여 승온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변기 시트(220)에 착석하면, 본체(200)의 착석 검지 센서(250)에 의해 사용자의 착석을 검출한다. 그리고, 본체 제어부(240)가 착석 신호를 수신하면, 본체(200)의 엉덩이 세정 스위치(261b) 및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세정 기능의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용변을 종료하면, 사용자가 설정하는, 엉덩이 세정 스위치(261b) 및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세정 조건에 기초하여, 세정 기구(230)에 의해 국부의 세정을 행한다. 그리고, 세정이 종료하면, 사용자는 변기 시트(220)에서 일어나 화장실 룸으로부터 나간다. 이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인체 검지 센서(300)로부터의 인체 검지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다음에, 인체 검지가 종료하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 후(예를 들어, 5분 후), 본체 제어부(240)는 변기 시트 변기 덮개 회동 기구(215)를 구동하여 변기 덮개(210)를 자동으로 폐색한다. 그리고, 변기 시트 히터(221)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그 후, 다시 사용자가 화장실 룸에 입실하여, 화장실 장치를 사용할 때까지, 본체 제어부(240)는 대기 전력가 대폭으로 저하되는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한다.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도 3으로부터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프론트 패널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5-5선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전체 형상이 얇은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로 성형된 상자 형상의 리모콘 본체(401)와, 리모콘 본체(401)의 전방면을 덮는 프론트 패널(402)을 포함하고 있다. 프론트 패널(402)은 리모콘 본체(401)의 전방면 하단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모콘 본체(401) 상단부 근방의 좌우에 설치한 자석(401a)과, 프론트 패널의 자석(40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한 스테인리스제의 지지판(402c)에 의해, 자력을 개재하여, 프론트 패널(402)의 폐색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통상,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402)을 폐색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설정 및 통상 별로 사용하지 않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402)을 개방하여 사용된다.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00)를 개방한 리모콘 본체(401)의 전방면 상부에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사용 시에 많이 사용하는 조작 스위치(410) 및 인체 검지 센서(300)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리모콘 본체(401)의 전방면 하부에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기능 설정을 행하는 설정 스위치(420)와, 통상 별로 사용하지 않는 조작 스위치(41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모콘 본체(401)의 전방면 중앙부에는, 비접촉에 의한 조작으로 사용하는 2개의 조도 센서(440)와 비접촉에 의한 조작과 마찬가지의 조작이 가능한 조작 스위치(41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스위치(410)나 설정 스위치(420)는 스위치의 조작부에 직접 접촉하여 조작하는 접촉 스위치인 택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프론트 패널(402)을 폐색한 상태에서, 통상, 사용하는 조작 스위치(410)로서, 프론트 패널(402)에는, 비데 세정 스위치(411)와, 엉덩이 세정 스위치(412)와, 건조 스위치(413)와, 정지 스위치(414)와, 변기 시트 개방 스위치(415)와, 변기 시트 폐쇄 스위치(416)가 배치되어 있다. 비데 세정 스위치(411)는 여성의 국부 세정을 개시하는 스위치이다. 엉덩이 세정 스위치(412)는 엉덩이의 세정을 개시하는 스위치이다. 건조 스위치(413)는 세정 후의 둔부 건조를 개시하는 스위치이다. 정지 스위치(414)는 비데 세정 스위치(411)와 엉덩이 세정 스위치(412)와 건조 스위치(413)로 개시한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위치이다. 변기 시트 개방 스위치(415)는 변기 시트(220)를 기립시키는 스위치이다. 변기 시트 폐쇄 스위치(416)는 변기 시트(220)를 도치하는 스위치이다. 또한, 변기 시트 개방 스위치(415)와 변기 시트 폐쇄 스위치(416)는 동일 수직선 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402)을 개방한 상태에서만 사용 가능한 조작 스위치(410)로서, 리모콘 본체(401)에는, 예를 들어 리듬 스위치(417)와, 와이드 스위치(418), 무브 스위치(419) 등이 배치되어 있다. 리듬 스위치(417)는 엉덩이 세정의 세정수를 강약으로 변화시키는 스위치이다. 와이드 스위치(418)는 엉덩이 세정 시의 세정수의 분출 범위를 확대, 축소하는 스위치이다. 무브 스위치(419)는 세정 중의 세정 위치를 전후로 반복하여 이동시키는 스위치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 본체(401)에는, 강도 표시등(431)과, 온수 온도 표시등(432)과, 변기 시트 온도 표시등(433)과, 전지 표시등(434)이 배치되어 있다. 강도 표시등(431)은 강도 스위치(421)의 근방에 설치되어, 세정수의 강약 레벨을 표시한다. 온수 온도 표시등(432)은 온수 온도 스위치(423)의 근방에 설치되어, 설정된 온수 온도의 레벨을 표시한다. 변기 시트 온도 표시등(433)은 변기 시트 온도 스위치(424)의 근방에 설치되어, 설정된 변기 시트 온도의 레벨을 표시한다. 전지 표시등(434)은 전지의 소모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 본체(401)에는, 제1 조도 센서(441)와, 제2 조도 센서(442)와, 센서 검지 표시등(435)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조도 센서(441)는 변기 시트 개방 스위치(415)의 하방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 조도 센서(442)는 변기 시트 폐쇄 스위치(416)의 하방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센서 검지 표시등(435)은 변기 시트 개방 스위치(415)와 변기 시트 폐쇄 스위치(416)의 대략 중간(중간을 포함함)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센서 검지 표시등(435)은 화장실 룸이 너무 어두워서, 제1 조도 센서(441) 및 제2 조도 센서(442)가 조도의 변화를 충분히 검지할 수 없는 경우에, 점멸 표시한다. 한편, 센서 검지 표시등(435)은 제스처 조작을 검출했을 때에, 점등 표시를 한다. 또한, 제스처 조작이란, 사용자가, 예를 들어 제1 조도 센서(441) 및 제2 조도 센서(442)를 포함하는 2개의 조도 센서(440)에 걸쳐서 근접하여 손을 움직이는 제스처에 의해, 소정의 조작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비접촉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조도 센서(441)와 제2 조도 센서(442)에 근접하여, 사용자가 손을 이동시키는 제스처를 행한다. 이에 의해, 조도의 변화를 검출하여, 이동의 방향을 판정하고,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변기 시트(220)를 세우고 눕히는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밑에서부터 위로 손을 이동시킴으로써, 제2 조도 센서(442)로부터 제1 조도 센서(441)의 순서로 조도 변화를 검출한 경우, 변기 시트(220)를 기립시킨다. 한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부터 아래로 손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 조도 센서(441)로부터 제2 조도 센서(442)의 순서로 조도 변화를 검출한 경우, 변기 시트(220)를 도치시킨다. 이에 의해, 조도 부족의 경우에도, 제스처 조작을 개재하여, 비접촉으로 변기 시트(220)의 개폐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 본체(401)의 상면 코너부에는, 예를 들어 발광 소자로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적외선 송신부(436)가 배치되어 있다. 적외선 송신부(436)는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조작 정보 및 설정 정보를 본체(200)의 소매부(260)에 설치된 적외선 수신부(262)에 송신한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프론트 패널(402)은 대략 평판 형상(평판 형상을 포함함)의 수지제의 패널 프레임(402a)과, 백커버(402b)와, 복수의 조작 버튼(403)을 포함하고 있다. 조작 버튼(403)은 리모콘 본체(401)에 설치한 조작 스위치(410)를 프론트 패널(402)의 표면으로부터 조작하는 버튼이다. 즉, 조작 버튼(403)은 프론트 패널(402)을 폐색한 상태에서, 비데 세정 스위치(411)와, 엉덩이 세정 스위치(412)와, 건조 스위치(413)와, 정지 스위치(414)와, 변기 시트 개방 스위치(415)와, 변기 시트 폐쇄 스위치(416)를 조작하기 위해서, 그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프론트 패널(402)에는, 제1 조도 센서(441)와 제2 조도 센서(442)와 강도 표시등(431)과 전지 표시등(434)에 대응하는 부분에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된 투과부(404)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론트 패널(402)의 표면으로부터 강도 표시등(431)과 전지 표시등(434)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투과부(404)를 개재하여, 제1 조도 센서(441)와 제2 조도 센서(442)는 조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론트 패널(402)을 폐색한 상태에서 제스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스처 조작에 의해, 제1 조도 센서(441)와 제2 조도 센서(442)의 조도 변화를 검지하여 변기 덮개(210)나 변기 시트(220)를 세우고 눕히는 동작을 실시한다. 그로 인해, 사용자가 설정 조건을 변경하는 경우에, 프론트 패널(402)의 개폐 동작의 도중에 발생하는 음영에 의한 조도 변화를 제스처 조작으로서 오검지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402)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개폐 검지 센서(437)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프론트 패널(402)의 개폐 동작 중에는 제1 조도 센서(441)와 제2 조도 센서(442)의 조도 변화를 검지해도 변기 시트(220)를 세우고 눕히는 동작을 실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계 구성)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계의 구성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정보 입력부로서 인체 검지 센서(300)와, 개폐 검지 센서(437)와, 조작 스위치(410)와, 설정 스위치(420)와, 조도 센서(4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출력부로서, 본체(200)에 제어 정보를 적외선으로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436)와, 제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등(43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구동원으로서 전지(4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리모콘 제어부(500)는 도시하지 않지만, 또한 센서 검출부와, 스위치 조작 검출부와, 제스처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 검출부는, 센서의 검지 신호를 검출한다. 스위치 조작 검출부는, 조작 스위치(410)와 설정 스위치(420)의 스위치 조작을 검출한다. 제스처 검출부는, 제1 조도 센서(441)와 제2 조도 센서(442)로 구성하는 조도 센서(440)로부터의 제스처 조작 신호를 디지털 신호화하여 검출한다. 이에 의해, 각종 조작 정보를 처리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스처 검출부는, 조도 센서(440)의 검출 전압을 A/D 컨버터를 개재하여 디지털 신호화하여 디지털 처리를 행한다. 그러나, 제스처 검출부는, 소비 전력이 크고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전원인 전지(450)의 소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인체 검지 센서(300)가 인체를 검지하고 있는 사이에만, 제스처 검출부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인체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사이에는, 제스처 검출부를 휴지시켜, 전지(450)의 소모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제스처 조작의 검출을 행하기 위해서, 조도 센서(440)를 구동하는 센서 구동부와, 조도 센서(440)의 감도를 조정하는 감도 조정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감도 조정부는, 리모트 컨트롤러(40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밝기 변화에 따라, 제스처 조작을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 전압과, 제스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임계값을 조정한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설치 장소가 너무 어두워서 기준 전압의 조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도 3이나 도 4에 도시하는 센서 검지 표시등(435)을 점멸 표시하고, 사용자에 제스처 조작을 할 수 없는 것을 통지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리모콘 제어부(500)는 도시하지 않은 전지(450)의 잔량을 검출하는 전지 검사부와, 제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등(430)을 구동하는 표시등 구동부와, 계시 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모콘 제어부(500)의 정보 처리 기능으로서, 주로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계가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을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조작부인 조작 스위치(410)와, 설정 스위치(420)와, 제1 조도 센서(441)와, 제2 조도 센서(442)로부터 각종 조작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입력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어떤 조작이 되었는지를, 리모콘 제어부(500)의 정보 처리부에서 판정하고, 표시등 구동부를 개재하여 소정의 표시등(430)을 점등시켜, 사용자에 인식시킨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리모콘 제어부(500)는 적외선 송신부(436)로부터 본체(200)의 적외선 수신부(262)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본체 제어부(240)는 송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위생 세정 장치(100)의 각종 기능의 제어를 행한다.
(전력 제어 장치의 구성)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의 전력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로부터 도 5를 참조하면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제어 장치는, 적어도 주전원(104)과, 보조 전원(109)을 포함하고 있다. 주전원(104)은 주전원 입력부(102)와, 주전원 제어 소자를 구성하는, 예를 들어 주전원 제어 IC(25)를 갖는 주전원 출력부(103)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주전원(104)은 위생 세정 장치(100)의 기능부인 세정 기구(230)나 변기 시트 히터(221) 및 열교환기 히터, 탈취 팬, 건조 팬 등의, 본체 제어부(240)에 의해 제어되는 출력측 부하(105)에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보조 전원(109)은 보조 전원 입력부(106)와, 보조 전원 출력부(107)와, 보조 전원 모드 전환 제어부(108)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보조 전원(109)은 제어부를 구성하는, 예를 들어 CPU(22)와, 2차측 부하(23)에 전력을 공급한다. CPU(22)는, 사용 검지부(111)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대기 전력 모드와 통상 전력 모드의 전환 지시를 출력한다. 또한, 2차측 부하(23)는 변기 시트 온도를 검지하는 변기 시트 서미스터나, 열교환기로의 입수 온도를 검지하는 입수 서미스터나, 열교환기로부터의 출탕 온도를 검지하는 출탕 서미스터 및 변기 시트(220)나 열교환기의 온도 과승 방지 회로 등이다. 또한, CPU(22)는, 릴레이(26)를 개재하여, 상용 전원과 주전원(104)과의 접속 및 차단을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 및 작용)에서 설명한 리모트 컨트롤러(400) 및 본체 수신부(적외선 수신부)(262)가, 도 6에 나타내는 사용 검지부(111)에 상당하고, 사용 검지부(111)로부터의 사용 검지 신호가 CPU(22)에 송신된다.
또한, 사용 검지부(111)로서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조작 스위치(410)를 조작하고, 리모트 컨트롤러(400)로부터 본체 수신부(적외선 수신부)(262)에 송신하는 구성도 포함된다.
또한, 사용 검지부(111)로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변기 덮개(210)나 변기 시트(220)을 개방했을 때도, 기기가 사용되는 신호로서 변기 시트 변기 덮개 회동 기구(215)로부터의 신호를 CPU(22)에 송신하는 구성도 포함된다.
또한, 본체 조작부(261)의 엉덩이 세정 스위치(261b)가 조작된 경우와 같이, 본체 조작부(261)로부터 기기가 사용되는 신호로서 CPU(22)에 송신되는 구성도 사용 검지부(111)에 포함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전원(109)은 보조 전원 입력부(106)에 설치한 1차 권선(112)과, 보조 전원 출력부(107)에 설치한 2차 권선(113)과, 보조 전원 제어 소자를 구성하는, 예를 들어 보조 전원 제어 IC(21)를 구비한 보조 전원 모드 전환 제어부(108)에 설치한 보조 2차 권선(114)을 포함하는 트랜스(115)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100)의 전력 제어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사용 검지부(111)로부터의 사용 검지 신호(기기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CPU(22)에 송신되면, CPU(22)는 대기 전력 모드로의 전환 지시에 의해 주전원(104)으로의 상용 전력의 공급을 차단한다. 동시에, CPU(22) 자체가 저속 모드인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트랜스(115)의 2차 권선(113)의 전류 저하에 의한 보조 2차 권선(114)의 전류 저하에 의해, 보조 전원 모드 전환 제어부(108)의 보조 전원 제어 IC(21)가 보조 전원(109)의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는 대기 전력 모드가 된다. 이에 의해, 대기 전력을 한없이 제로에 접근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대기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는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 및 작용)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 및 작용)에서 대기 전력 모드를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 검지부(111)로부터 CPU(22)에 송신되는 신호가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시키는 조건이 되면, CPU(22)는, 도 6에 나타내는 2차측 부하 차단용 소자(24)에 의해, 2차측 부하(23)를 차단한다. 동시에, CPU(22) 스스로도 고속 모드로부터 저속 모드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트랜스(115)의 2차 권선(113)측의 전력 부하가 더 작아진다.
즉, 사용 검지부(111)로부터의 기기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사용 검지 신호를 CPU(22)가 수신하면, CPU(22)는 2차측 부하 차단용 소자(24)에 의해, 2차측 부하(23)를 차단한다. 동시에, CPU(22) 스스로도 고속 모드로부터 저속 모드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115)의 2차 권선(113)에 흐르는 전류가 Ia로부터 Ib로 감소하여, 대기 전력이 감소한다. 또한, 2차측 부하(23)에 따라, 트랜스(115)의 보조 2차 권선(114)에 흐르는 전류도 Ic로부터 Id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있어서, 보조 전원 제어 IC(21)의 FB 단자에 걸리는 전압 VFB의, 통상 동작 시(트랜스(115)의 2차 권선(113)에 흐르는 전류가 Ia인 경우)에 있어서의 전압 VFB1은, VFB1=(R2+R3)×Ic/(R1+R2+R3)이 된다.
한편, CPU(22)가 2차측 부하를 차단하면, 트랜스(115)의 2차 권선(113)에 흐르는 전류가 Ia로부터 Ib로 감소하는 대기 전력 모드 동작으로 이행한다. 이때, 대기 전력 모드 동작 시의 보조 전원 제어 IC(21)의 FB 단자에 걸리는 전압 VFB2은, VFB2=(R2+R3)×Id/(R1+R2+R3)이 된다.
그리고, 보조 전원 제어 IC(21)의 FB 단자에 걸리는 전압 VFB2가, 소정의 전압 Vref보다 저하되면, 보조 전원 제어 IC(21) 자체가 대기 전력 모드가 되도록 작용한다.
즉, CPU(22)가 2차측 부하(23)를 차단하여, CPU(22) 자체를 저속 모드로 하고, 또한 보조 전원 모드 전환 제어부(108)에 의해 보조 전원 제어 IC(21) 자체가 대기 전력 모드가 되면, 보조 전원 제어 IC(21)가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는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전원 제어 IC(21)는, 대기 전력 모드 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1ms 구동, 24ms 정지의 간헐 구동 정지의 동작을 반복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보조 전원 제어 IC(21)의 FB 단자에 걸리는 전압 VFB2가, 소정의 전압 Vref보다 저하되면, 보조 전원 제어 IC(21) 자체가 대기 전력 모드가 되도록, 보조 2차 권선(114)의 출력 전류 Id, 저항 R1, R2, R3이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제어 장치는, 사용 검지부(11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시키는 조건이 되면, 먼저, CPU(22)는 주전원(104)으로의 상용 전력 공급을 차단함과 함께, 보조 전원(109)의 2차측 부하(23)를 차단한다.
동시에, CPU(22) 자체가 저속 모드인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한다. 그리고, 트랜스(115)의 2차 권선(113)의 전류 저하에 의한 트랜스(115)의 보조 2차 권선(114)의 전류 저하에 의해, 보조 전원 모드 전환 제어부(108)의 보조 전원 제어 IC(21)가, 보조 전원의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는 대기 전력 모드가 된다.
이에 의해, 주전원(104)으로의 상용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어서, 대기 전력 모드 시에 있어서, 주전원(104) 및 주전원의 출력측 부하(105)에서의 전력 소비가 없어진다.
또한, 보조 전원(109)의 2차측 부하(23)가 차단되어, 보조 전원(109)이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는 대기 전력 모드가 되는 것에 의해, 기기(위생 세정 장치)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의 대기 전력은, 약 0.004와트 정도로 한없이 제로에 가까운 값까지 저감한다. 그 결과, 대기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는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위생 세정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령 보조 전원 모드 전환 제어부(108)가 없는 구성의 경우, 전력 제어 장치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먼저, 전력 제어 장치는, 사용 검지부(11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시키는 조건이 되면, CPU(22)는 주전원(104)으로의 상용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동시에, 보조 전원(109)의 2차측 부하(23)를 차단한다. 그리고, CPU(22) 자체가 저속 모드인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대기 전력을 약 0.7와트 정도로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조 전원 모드 전환 제어부(108)가 없는 구성의 경우,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제어 장치의 대기 전력에 대하여 약 175배의 월등히 차이가 나는 대기 전력이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제어 장치와 같이, 보조 전원 모드 전환 제어부(108)를 구비함으로써, 대기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하는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의 송신 신호)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송신 신호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도 7로부터 도 10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에서 나타낸 사용 검지부(111)의, 특히 리모트 컨트롤러(400)로부터 본체 수신부인 적외선 수신부(262)에 송신되는 리모콘 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장실 룸에 드나드는 사람을 검지하는 인체 검지 센서(300)를 탑재한 리모트 컨트롤러(40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사람을 검지,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400)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410)가 조작되면, 적외선 송신부(436)로부터 적외선 신호가 송신된다. 송신된 적외선 신호는, 본체(200)의 본체 수신부(적외선 수신부)에서 수신되고, 또한 수신된 신호가 본체(200) 내의 CPU(22)에 입력된다.
이때, 전력 제어 장치가, 대기 전력을 저감하는 대기 전력 모드가 되어 있을 경우, 인체 검지 센서(300)가 사람을 검지, 또는 사람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조작 스위치(410)가 조작된 것을 검출했을 때, 전력 제어 장치를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전력 제어 장치를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본체 수신부(적외선 수신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본체 수신부(적외선 수신부)(262)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수광 유닛)(262a)와 보조 전원(109)과의 사이에, 전원 차단 소자(262b)를 삽입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CPU(22)는, 대기 전력 모드 시에 있어서, 전원 차단 소자(262b)에 의해,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수광 유닛)(262a)를, 1ms 온, 24ms 오프하는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종래의 본체 수신부(적외선 수신부)에는, 대기 전력 모드 시에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수광 유닛)를 간헐 구동 정지하는 전원 차단 소자를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그로 인해, 수신부(수광 유닛)에, 항상 통전되고 있다. 그 결과, 대기 전력이 크고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비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본체 수신부(적외선 수신부)(262)는, 대기 전력 모드 시에 있어서,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수광 유닛)(262a)의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도록 동작하는 전원 차단 소자(262b)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대기 전력을 더 저감한다.
그러나, 전원 차단 소자(262b)를 설치한 본체 수신부(적외선 수신부)(262)의 구성의 경우, 리모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나, 오동작하는 경우가 있다.
즉, 일반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는,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에어컨,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등, 대부분의 전기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로 인해, 가정 내에 있는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리모콘 신호에 의해,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 수신부(적외선 수신부)(262)에서, 올바른 리모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나, 오동작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각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리모콘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서, 가전 제품 협회 권장의 전송 신호 포맷이 있다.
이하에, 일반적인, 가전 제품 협회 권장의 전송 신호 포맷에 대해서, 도 8a로부터 도 8d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리모콘 신호 포맷을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리더부의 파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데이터부 「0」의 파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d는, 도 8a의 데이터부 「1」의 파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e는, 도 8a의 트레일러부의 파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a로부터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신호는, 「H」와 「L」을 포함하고, 리더부, 데이터부, 트레일러부를 포함하고 있다. 전송 신호의 구성은, 가전 제품 협회에 의해 정해지고, 각 메이커의 리모콘 신호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전송 신호를 구성하는 리더부는 신호의 선두 부분을 나타내고, 데이터부는 메이커를 식별하기 위한 메이커 코드, 기기의 식별을 행하기 위한 커스텀 코드(기기 코드) 및 기기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데이터 코드 등를 포함하고, 트레일러부는 신호의 종료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b로부터 도 8e에 나타내는 T는, 펄스의 기본 시간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436μs이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대기 전력 모드 시에 있어서, 인체 검지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조작 스위치(410)가 조작되었을 때, 확실하게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고, 통상 모드와 동등한 리모콘 수신 기능을 동작시키는 리모콘 신호의 구성, 작용에 대해서,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동 실시 형태의 리모콘 신호를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도 9의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와 수신부의 간헐 구동의 동작을 예시하는 타이밍차트도이다.
도 9로부터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리모콘 신호는, 도 8a에서 설명한 리더부, 데이터부, 트레일러부의 리모콘 신호의 전단에, 더미 코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더미 코드는, 도 8a의 리더부, 데이터부, 트레일러부 및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 코드는, 데이터를 모두 동일한, 예를 들어 「0」의 비트 데이터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코드는, CPU(22)의 대기 전력 모드에서의 수신부(수광 유닛)(262a)의 간헐 구동 정지 반복 주기의 시간보다 긴 시간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체의 검지,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조작 스위치(410)가 조작된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적외선 송신부(436)로부터 본체 수신부(적외선 수신부)(262)의 수신부(수광 유닛)(262a)에, 더미 코드를 포함하는 리모콘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리모콘 신호는, 소정 포맷의 전단의 송신 데이터 구성의 더미 코드에 있어서, 32 bit의 데이터 코드의 데이터를 모두 「0」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 전체 길이가 27.9ms(2T×32)가 된다.
한편, 위생 세정 장치의 전력 제어 장치는, 대기 전력 모드에서, 수신부(수광 유닛)(262a)는,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1ms 온, 24ms 오프로, 간헐 구동 정지가 반복되고 있는 상태의 리모콘 신호를 수신한다. 즉, 대기 전력 모드에서, 전력 제어 장치의 보조 전원 제어 IC(21)는, 간헐 구동 주기 25ms로 구동되고 있다.
그로 인해, 도 10a의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 선두와 수신부(수광 유닛)(262a)의 간헐 구동의 선두가 일치하고 있을 경우, 수신부(262a)는 1ms의 온일 때에,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 「0」의 신호 레벨이 「H」→ 「L」 또는 「L」→ 「H」가 되는 신호 변화를 반드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0b의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 선두와 수신부(수광 유닛)(262a)의 간헐 구동의 선두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수신부(262a)는 1ms의 온인 때에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 「0」의 신호 레벨이 「H」→ 「L」 또는 「L」→ 「H」가 되는 신호 변화를 반드시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력 제어 장치가 대기 전력 모드 중에서, 수신부(수광 유닛)(262a)가 간헐 구동 중인 경우에도, CPU(22)는 더미 코드를 포함하는 리모콘 신호가 송신되어 온 것을 반드시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CPU(22)를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는, 대기 전력 모드 시에도, 인체의 검지,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조작 스위치(410)가 조작된 경우, 확실하게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여 통상 모드 시의 동작과 동등한 리모콘 수신 기능을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를 32 bit로 구성하고, 데이터 코드의 데이터를 모두 「0」으로 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코드의 32 bit를 모두 「0」으로 하면, 데이터 코드의 전체 길이가 27.9ms가 되고, 수신부(262a)의 간헐 구동 정지의 반복 주기 25ms의 시간보다 긴 시간이 된다. 이에 의해,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 송신 기간에, 수신부(262a)의 간헐 구동의 온/오프하는 타이밍을 반드시 겹칠 수 있다. 그 결과,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확실하게 이행할 수 있다.
또한,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 「0」의 「L」 기간은 0.436ms로, 수신부(262a)의 온 시간 1ms보다 짧다. 그로 인해, 「H」→ 「L」 또는 「L」→ 「H」가 되는 신호 변화를 반드시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데이터부의 「1」의 「L」 기간은 1.308ms(3T)로, 수신부(262a)의 온 시간 1ms보다 길다. 그로 인해,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를 「1」로 하면, 「H」→ 「L」 또는 「L」→ 「H」가 되는 신호 변화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반드시 발생한다. 그로 인해, 데이터 코드의 32 bit를 모두 「0」로 하고 있다.
또한, 리모콘 신호는, 리더부, 메이커 또는 기종에 대응한 소정의 포맷의 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부, 트레일러부를 포함한다. 트레일러부의 전단의 데이터 코드는, CPU(22)의 대기 모드에서의 수신부(수신 유닛)(262a)의 간헐 구동 정지의 반복 주기의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구성하고, 또한 그 데이터를 모두 동일한 비트 데이터로 한 더미 코드로 하고 있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 신호 레벨이 「H」→ 「L」 또는 「L」→ 「H」가 되는 신호 변화를 반드시 검출할 수 있다. 즉, 수신부(262a)의 온 시간을 1ms보다 긴 시간으로 함으로써, 상기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 신호는, 확실하게 수신부(수신 유닛)(262a)가 확실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더미 코드와 소정 포맷의 송신 데이터의 조합을, 1조 더 조합하여 1개의 신호로 하고 있다.
그러나,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를 「0」으로 하면, 수신부(262a)의 온 시간을 가장 짧게 해서, 상기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그 결과, 대기 전력을 가장 적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00)로부터 송신하는 리모콘 신호를 구성함으로써, 대기 전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즉, 간헐 구동 정지하는 대기 전력 모드 시의 경우에도, 인체의 검지,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400)의 조작 스위치(410)가 조작되었을 때에, 확실하게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고, 통상 모드 시의 동작과 동등한 리모콘 수신 기능으로 위생 세정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변기 시트·변기 덮개 개폐 검지 회로의 구성)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제어 장치를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 변기 덮개(210) 및 변기 시트(220)가 수동으로 개폐되었을 경우에,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하는 회로 구성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도 11a로부터 도 11d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종래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 개폐 각도 검출 회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개량안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 개폐 각도 검출 회로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d는, 도 11c의 보충 설명도이다. 도 11e는, 도 11c의 보충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변기 시트(220) 및 변기 덮개(210)를 개폐하는 위생 세정 장치의 구성의 경우, 본체(200)에는, 변기 시트 변기 덮개 회동 기구(215)와, 개폐 각도 검출용 센서(215a)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변기 시트 변기 덮개 회동 기구(215)는 변기 시트(220) 및 변기 덮개(210)를 개폐하는 조작 스위치(410)에 의해, 변기 시트(220) 및 변기 덮개(210)를 개폐시킨다. 개폐 각도 검출용 센서(215a)는 변기 시트(220) 및 변기 덮개(210)를 원활하게 개폐시키기 위해서, 변기 시트(220) 및 변기 덮개(210)의 개폐 각도를 검출한다.
먼저, 종래의 위생 세정 장치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 개폐 각도 검출 회로에 대해서, 도 11a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 개폐 각도 검출 회로의 경우, 대기 전력 모드 시, 항상, 개폐 각도 검출용 센서(215a)의 저항에 전류가 흐른다. 그로 인해, 대기 전력 모드 시의 소비 전력이 올라간다.
따라서, 도 11b에 나타내는 종래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 개폐 각도 검출 회로의 개량안과 같이, 개폐 각도 검출용 센서(215a)로의 통전을 온/오프 할 수 있는 전원 전환 소자(215b)를 설치하고, CPU(22)에 의해 전원 전환 소자(215b)의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항상, 개폐 각도 검출용 센서(215a)의 저항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소비 전력의 상승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변기 시트(220), 변기 덮개(210)의 개폐에 따라, CPU(22)에는 A/D 신호가 입력된다. 그로 인해, 가령 개폐 각도 검출용 센서(215a)를 흐르는 전류를 차단해도, A/D 신호로 CPU(22)에 입력하면, 예를 들어 처리 시간 등의 관계에서, CPU(22)의 소비 전력이 커진다. 즉, 소비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 개폐 검지 회로는, 대기 전력 모드 시, A/D 신호를, 통상의 H/L 입력 신호로 전환하고, CPU(22) 자체도 대기 상태로 하여 전력을 억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도 11c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 개폐 검지 회로는, 개폐 각도 검출용 센서(215a)의 센서 출력 및 A/D 입력으로부터, 어떤 일정한 입력 이상이 되면 「L」→ 「H」로 전환하는 비교기(215c)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기(215c)는 변기 시트(220) 및 변기 덮개(210)의 개폐 각도에 따른 전압 Vin이 비교기(215c)의 +단자측에 입력된다. 한편, 비교기(215c)의 -단자측에는, 저항R1 및 저항R2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전압Vref인, R1×V/(R1+R2)의 전압이 입력된다. 그리고, 비교기(215c)의 +단자측에 입력된 전압Vin이, 기준 전압Vref 이하로 되면, 비교기(215c)의 출력Vout이 「H」→ 「L」이 된다. 또한, 비교기(215c)의 +단자측에 입력된 전압Vin이, 기준 전압Vref 이상의 전압이 되면, 비교기(215c)의 출력Vout가 「L」→ 「H」가 된다.
또한, 상기 기준 전압Vref는, 변기 시트(220), 변기 덮개(210)의 개폐 각도가 중간 위치가 되었을 때에, 비교기(215c)의 출력 신호Vout가 반전하도록, 저항R1 및 저항R2의 값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변기 시트·변기 덮개 개폐 검지 회로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 전력 모드에서 위생 세정 장치가 동작하고 있을 경우, 도 11c에 나타내는 CPU(22)는, 전원 전환1 및 전원 전환2로부터 「H」를 출력하고, 항상, 개폐 각도 검출용 센서(215a)의 전원 전환 소자(215b)를 ON 상태로 한다. 그리고, CPU(22)는, A/D 입력1 및 A/D 입력2로 전환하고, 각도 위치의 정보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CPU(22)가 대기 전력 모드가 되었을 경우, 먼저, 전원 전환1 및 전원 전환2의 출력을, 1ms ON, 150ms OFF의 간헐 통전으로 전환한다. 동시에, CPU(22)의 A/D 입력1 및 A/D 입력2로부터, H/L 입력1 및 H/L 입력2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개폐 각도 검출용 센서(215a)의 소비 전류와 CPU(22) 자체의 소비 전류를 억제한다.
그리고, 대기 전력 모드 사이에 있어서, 개폐 각도 검출용 센서(215a)의 전원 전환 소자(215b)가 ON일 때, 개폐 각도 검출용 센서(215a)의 전압Vin이 비교기(215c)의 -단자에 입력된다.
이때, 도 1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시트(220), 변기 덮개(210)의 개폐 각도가 중간보다 폐쇄측(Vin<Vref)인 경우, 비교기(215c)의 출력이 「L」인채로, 대기 전력 모드를 유지한다. 한편, 변기 시트(220), 변기 덮개(210)의 개폐 각도가 중간보다 개방측(Vin>Vref)인 경우, 비교기(215c)의 출력은 「L 」로부터 「H」가 된다. 이에 의해, CPU(22)는,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하고, 통상 전력 모드 시의 동작을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변기 시트·변기 덮개 개폐 검지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변기 시트(220), 변기 덮개(210)의 개폐에 따라, CPU(22)는 대기 전력 모드와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대기 전력 모드 시의 대기 전력을, 보다 저감하여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연속 통전 시와 동등하게 스무스한 변기 시트, 변기 덮개의 개폐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서브 CPU와의 통신)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제어 장치를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 본체 조작부(261)의 서브 CPU(27)와, 본체 제어부(240)의 CPU(22)와의 통신에 대해서, 도 12a로부터 도 13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a는, 종래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장치의 CPU와 서브 CPU의 통신 회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CPU와 서브 CPU의 통신 신호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로부터 도 13c는, 본 실시 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CPU와 서브 CPU의 통신 회로 블록도이다.
먼저, 종래의 일반적인 CPU(메인)와 기타의 기능을 행하는 별도의 CPU(서브)와의 통신 회로의 구성예를, 도 12a와 도 12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CPU(메인)와 CPU(서브)와의 통신 신호는,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bit를 「0」 또는 「1」로 하고, 1개의 코드가 11 bit를 포함하고 있다.
도 12a에 나타내는 종래의 CPU(메인)와 CPU(서브)와의 통신 회로는, 대기 전력 모드 시에 있어서, 메인의 CPU(22)를 저속 모드로 했을 경우, 처리 능력에 의해 통신할 수 없게 될 경우가 있다. 따라서, 통신할 수 있는 속도 모드로 하면, 소비 전력이 증가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따라서,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CPU(22)와 서브 CPU(27)의 통신 회로는, CPU(22)와 서브 CPU(27)가, 서로 신호의 전달을 행하는 통신 단자(TXD1, RXD1, TXD2, RXD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웨이크업 단자(A, 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3a에 나타내는 CPU(22)와 서브 CPU(27)의 통신 회로는, 통상 전력 모드의 경우, 메인의 CPU(22)와 서브 CPU(27)는 통신 단자를 사용하여 서로의 신호 전달을 행한다.
이때,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PU(22)가, 대기 전력 모드가 되는 조건이 되면, 먼저, CPU(22)의 통신 단자(TXD1)로부터 서브 CPU(27)의 통신 단자(RXD2)에 신호가 송신된다. 이에 의해, 서브 CPU(27)는 STOP 모드가 된다. 그리고, 서브 CPU(27)에 있어서, 통신 단자(RXD2)로부터 웨이크업 단자(B)로 전환된다.
한편, 동시에, CPU(22)도 통신 처리를 정지한다. 그리고, CPU(22)에 있어서, 통신 단자(RXD1)로부터 웨이크업 단자(A)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CPU(22)는 대기 전력 모드가 되고, 서브 CPU(27)는 STOP 모드가 되어, 대기 전력이 저감되고 있는 상태로 된다. 이때, 본체(200)의 소매부(260)에 설치된 본체 조작부(261)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도 13b와 같이, 서브 CPU(27)의 통신 단자(TXD2)로부터 CPU(22)의 웨이크업 단자(A)에 「L」→ 「H」의 신호가 송신된다.
그리고, CPU(22)는, 웨이크업 단자(A)에 입력된 「L」→ 「H」의 신호에 의해,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CPU(22)의 통신 단자(RXD1)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에, CPU(22)를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하고, 서브 CPU(27)를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할 경우, 도 13c와 같이, CPU(22)의 통신 단자(TXD1)로부터 「L」→ 「H」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CPU(22)의 통신 단자(TXD1)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서브 CPU(27)의 웨이크업 단자(B)에 입력되고, 서브 CPU(27)는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CPU(22)와 서브 CPU(27)의 통신 회로는, 통상의 통신 단자(TXD1, RXD1, TXD2, RXD2)로 전환된다.
이상과 같이, CPU와 서브 CPU에 설치한 웨이크업 단자에, 「L」→ 「H」의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대기 전력 모드 시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함과 함께, 2개 이상의 CPU의 통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자와 웨이크업 단자를 공용함으로써, 배선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제어 장치의 대기 전력 모드와 통상 전력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동작에 대해서, 도 14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장치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의 전력 제어 장치가 대기 전력 모드인 경우(스텝 F1),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F2). 전환되어 있지 않을 경우(스텝 F2의 "아니오"), 대기한다.
한편,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스텝 F2의 "예"), CPU(22)를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F3). 이에 의해, 전력 제어 장치의 보조 전원(109)의 2차측 권선을 흐르는 전류가 Ib로부터 Ia로 증가한다(스텝 F4).
또한, 보조 전원(109)과 보조 전원 제어 IC(21)가, 대기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된다(스텝 F5).
그리고, CPU(22)는, 릴레이(26)를 ON 하고, 상용 전원으로부터 주전원(104)에 전력을 공급하여, 주전원(104)을 동작시킨다(스텝 F6).
다음에, 예를 들어 5분간의 사이에, 인체를 검지하는 검지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F7). 인체를 검지하는 검지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스텝 F7의 "아니오"), 전력 제어 장치를 구동하여 위생 세정 장치의 세정 동작을 계속한다.
한편, 인체를 검지하는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5분간이 경과한 경우(스텝 F7의 "예"), CPU(22)는, 릴레이(26)를 OFF 하고, 상용 전원으로부터 주전원(104)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여, 주전원(104)의 동작을 정지한다(스텝 F8). 이에 의해, CPU(22)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대기 전력 모드로 전환된다(스텝 F9).
그리고, 전력 제어 장치의 보조 전원(109)의 2차측 권선을 흐르는 전류가 Ia로부터 Ib로 감소한다(스텝 F10).
또한, 보조 전원(109)과 보조 전원 제어 IC(21)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대기 전력 모드로 전환된다(스텝 F11).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제어 장치는, 대기 전력 모드와 통상 전력 모드를 전환하여 동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제어 장치에 의하면,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전원(104)과, 기기의 사용을 검지하는 사용 검지부(111)와, 사용 검지부(111)의 신호에 의해 대기 전력 모드와 통상 전력 모드의 전환 지시를 출력하는 CPU(22)와, CPU(22)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109)과, 트랜스(115)를 구비한다. 트랜스(115)는 보조 전원(109)의 보조 전원 입력부(106)에 설치한 1차 권선(112)과, 보조 전원 출력부(107)에 설치한 2차 권선과, 보조 전원 제어 IC를 구비한 보조 전원 모드 전환 제어부(108)에 보조 2차 권선(114)을 갖는다. CPU(22)는, 대기 전력 모드로의 전환 지시에 의해, 주전원(104)으로의 상용 전력 공급을 차단함과 함께, CPU(22) 자체가 저속 모드인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하고, 2차 권선(113)의 전류 저하에 의한 보조 2차 권선(114)의 전류 저하에 의해 보조 전원 제어 IC(21)가 보조 전원(109)의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 검지부(11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CPU(22)가 통상 전력 모드로부터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시키는 조건이 되면, 도 14의 스텝 F7 및 스텝 F8로 나타낸 바와 같이, CPU(22)는 주전원(104)으로의 상용 전력 공급을 차단함과 함께, 보조 전원(109)의 2차측 부하(23)를 차단한다.
그리고, 도 14의 스텝 F9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22) 자체가 저속 모드인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한다. 이때, 도 14의 스텝 F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115)의 2차 권선(113)의 전류 저하에 의해, 트랜스(115)의 보조 2차 권선(114)의 전류가 저하된다. 그리고, 도 14의 스텝 F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전원 모드 전환 제어부(108)의 보조 전원 제어 IC(21)가, 보조 전원(109)의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는 대기 전력 모드가 된다.
이에 의해, 주전원(104)으로의 상용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고, 대기 전력 모드 시에 있어서, 주전원(104) 및 주전원(104)의 출력측 부하(105)에서의 전력 소비가 없어진다.
또한, 보조 전원(109)의 2차측 부하(23)가 차단되어, 보조 전원(109)이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는 대기 전력 모드가 된다. 이에 의해, 기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의 대기 전력이 한없이 제로에 접근할 수 있다. 그 결과, 대기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는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 예를 들어 위생 세정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제어 장치에 의하면, 사용 검지부(111)는 기기에 리모콘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400)와,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본체 수신부(262)를 구비한다. 그리고, 리모콘 신호는, 리더부, 데이터부, 트레일러부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의 전단에, 리더부, 데이터부, 트레일러부 및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는 더미 코드를 더 구비한다. 또한, 더미 코드는, 데이터 코드를 CPU(22)의 대기 전력 모드에서의 본체 수신부(262)의 간헐 구동 정지 반복 주기의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구성함과 함께, 데이터 코드의 데이터를 모두 동일한 비트 데이터로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대기 전력 모드에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통상의 동작과 동등한 리모콘 수신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력 제어 장치에 의하면,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를 32 bit로 구성하고, 데이터 코드의 데이터를 모두 「0」의 비트 데이터로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기기의 대기 전력 모드에서, 기기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의 대기 전력의 대폭적인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동작과 동등한 리모콘 수신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기는, 상기의 전력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기기의 대기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제어 장치를 구비한 기기로서 위생 세정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생 세정 장치에 한하지 않고, 조작 리모콘 등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한 에어컨이나 텔레비전 등의 기기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위생 세정 장치와 마찬가지로, 대기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기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의 대기 전력의 대폭적인 저감이 요망되는 전력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인체 검지 센서나 리모트 컨트롤러가 탑재된 기기 등의 기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21 보조 전원 제어 IC
22 CPU
23 2차측 부하
24 2차측 부하 차단용 소자
25 주전원 제어 IC
26 릴레이
27 서브 CPU
100 위생 세정 장치
102 주전원 입력부
103 주전원 출력부
104 주전원
105 출력측 부하(기능부)
106 보조 전원 입력부
107 보조 전원 출력부
108 보조 전원 모드 전환 제어부
109 보조 전원
110 변기
111 사용 검지부
112 1차 권선
113 2차 권선
114 보조 2차 권선
115 트랜스
200 본체
210 변기 덮개
215 변기 시트 변기 덮개 회동 기구
215a 개폐 각도 검출용 센서(변기 시트·변기 덮개 위치 검지 센서)
215b 전원 전환 소자
215c 비교기
220 변기 시트
221 변기 시트 히터
230 세정 기구
231 세정 노즐
240 본체 제어부
250 착석 검지 센서
260 소매부
261 본체 조작부
261a 전원 스위치
261b 엉덩이 세정 스위치
262 본체 수신부(적외선 수신부)
262a 수신부(수광 유닛)
262b 전원 차단 소자
300 인체 검지 센서
400 리모트 컨트롤러(조작 리모콘)
401 리모콘 본체
401a 자석
402 프론트 패널(외곽)
402a 패널 프레임
402b 백커버
402c 지지판
403 조작 버튼
404 투과부
410 조작 스위치
411 비데 세정 스위치
412 엉덩이 세정 스위치
413 건조 스위치
414 정지 스위치
415 변기 시트 개방 스위치
416 변기 시트 폐쇄 스위치
417 리듬 스위치
418 와이드 스위치
419 무브 스위치
420 설정 스위치
421 강도 스위치
423 온수 온도 스위치
424 변기 시트 온도 스위치
430 표시등
431 강도 표시등
432 온수 온도 표시등
433 변기 시트 온도 표시등
434 전지 표시등
435 센서 검지 표시등
436 적외선 송신부
437 개폐 검지 센서
440 조도 센서
441 제1 조도 센서
442 제2 조도 센서
450 전지
500 리모콘 제어부

Claims (4)

  1.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전원과,
    상기 기기의 사용을 검지하는 사용 검지부와,
    상기 사용 검지부의 신호에 의해 대기 전력 모드와 통상 전력 모드의 전환 지시를 출력하는 CPU와,
    상기 CPU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과,
    트랜스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는, 상기 보조 전원의 보조 전원 입력부에 설치한 1차 권선과, 보조 전원 출력부에 설치한 2차 권선과, 보조 전원 제어 IC를 구비한 보조 전원 모드 전환 제어부에 설치한 보조 2차 권선을 갖고,
    상기 CPU는, 상기 대기 전력 모드로의 전환 지시에 의해, 상기 주전원으로의 상용 전력 공급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CPU 자체를 대기 전력 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2차 권선의 전류 저하에 의한 상기 보조 2차 권선의 전류 저하에 의해 상기 보조 전원 제어 IC가 상기 보조 전원의 간헐 구동 정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 검지부는, 상기 기기에 리모콘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본체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모콘 신호는, 리더부, 데이터부, 트레일러부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 전단에, 리더부, 데이터부, 트레일러부 및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는 더미 코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더미 코드는, 상기 데이터 코드를 상기 CPU의 대기 전력 모드에서의 상기 본체 수신부의 간헐 구동 정지 반복 주기의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 코드의 데이터를 모두 동일한 비트 데이터로 구성하는, 전력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코드의 데이터 코드는, 32 bit로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코드의 데이터를 모두 「0」의 비트 데이터로 구성한, 전력 제어 장치.
  3. 제1항에 기재된 전력 제어 장치를 구비한 기기.
  4. 삭제
KR1020157001593A 2012-08-03 2013-08-01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 KR101649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2635 2012-08-03
JPJP-P-2012-172635 2012-08-03
PCT/JP2013/004654 WO2014020913A1 (ja) 2012-08-03 2013-08-01 電力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836A KR20150023836A (ko) 2015-03-05
KR101649836B1 true KR101649836B1 (ko) 2016-08-19

Family

ID=5002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593A KR101649836B1 (ko) 2012-08-03 2013-08-01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82058A4 (ko)
JP (2) JP5543046B1 (ko)
KR (1) KR101649836B1 (ko)
CN (2) CN104767273A (ko)
WO (1) WO2014020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2379B (zh) * 2014-09-16 2022-06-10 夏立军 一种用于处理废料的系统
JP5900777B1 (ja) * 2014-09-19 2016-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アホン装置およびその無線通信方法
JP5900779B1 (ja) * 2014-09-24 2016-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アホン装置およびその無線通信方法
JP6596651B2 (ja) * 2015-04-20 2019-10-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器
JP2016204902A (ja) * 2015-04-20 2016-1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器
CN105587027B (zh) * 2015-09-25 2017-12-19 万军 多功能马桶装置
JP6410155B2 (ja) * 2016-02-23 2018-10-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アホン装置
US10711442B2 (en) 2016-04-26 2020-07-14 Kohler Co. Composite faucet body and internal waterway
US11118338B2 (en) 2017-05-22 2021-09-14 Kohler Co. Plumbing fixtures with insert-molded components
US11096530B2 (en) 2017-06-15 2021-08-24 Global Innovations, Llc Toilet closure systems
CN108086433A (zh) * 2018-02-05 2018-05-29 李星 自清洗不堵无味便器
JP7111543B2 (ja) * 2018-07-23 2022-08-02 中央発條株式会社 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
JP7314534B2 (ja) * 2019-03-08 2023-07-26 株式会社アイシン 便座装置
US11379264B2 (en) * 2019-04-15 2022-07-05 Intel Corporation Advanced cloud architectures for power outage mitigation and flexible resource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027A (ja) 1998-03-10 2000-04-21 Fiderikkusu:Kk 電源装置
JP2002252973A (ja) 2001-02-23 2002-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3507B (fi) * 1989-03-07 2004-04-30 Rca Licensing Corp Purskemoodin lepotilatoiminnalla varustettu hakkuriteholähde
DE19652604A1 (de) * 1996-04-23 1997-10-30 Thomson Brandt Gmbh Netzteil für ein Gerät mit Standby-Betrieb
JP3196157B2 (ja) * 1997-04-30 2001-08-06 伸 中川 省電力電気機器またはその電源装置
JP2002146878A (ja) 2000-11-15 2002-05-22 Toto Ltd トイレ装置
CN100487210C (zh) * 2006-10-25 2009-05-13 合肥荣事达佳优电子电器有限公司 电子洁身器
CN102742137A (zh) * 2009-11-30 2012-10-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源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2039684A (ja) * 2010-08-03 2012-02-23 Canon Inc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027A (ja) 1998-03-10 2000-04-21 Fiderikkusu:Kk 電源装置
JP2002252973A (ja) 2001-02-23 2002-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67273A (zh) 2015-07-08
EP2882058A4 (en) 2015-08-26
CN103748754A (zh) 2014-04-23
JP5807162B2 (ja) 2015-11-10
EP2882058A1 (en) 2015-06-10
JPWO2014020913A1 (ja) 2016-07-21
KR20150023836A (ko) 2015-03-05
CN103748754B (zh) 2015-05-20
JP5543046B1 (ja) 2014-07-09
JP2014143917A (ja) 2014-08-07
WO2014020913A1 (ja)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836B1 (ko)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
KR101260133B1 (ko) 변좌 장치
JP5721665B2 (ja) ビデの便座温度制御方法
CN103207020B (zh) 卫生间用人体检测装置及具备该装置的卫生清洗便座装置
JP2002146878A (ja) トイレ装置
JPWO2004049883A1 (ja) 人体を検知するトイレ装置と人体検出方法
TWI517821B (zh) Toilet seat device (a)
KR100978941B1 (ko) 착석 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스탠드가 구비된 책걸상 세트및 전원관리방법
JP6019394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6204902A (ja) 電力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器
JP6596651B2 (ja) 電力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器
KR101736480B1 (ko) 절전기능을 구비한 비데
JP5857187B2 (ja) 便座装置
JP6646807B2 (ja) 電力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器
JP2010185214A (ja) 衛生洗浄装置
JP2003024225A (ja) 洗面器装置
JP4232422B2 (ja) 暖房便座
JP5691975B2 (ja) 暖房便座装置
JP2017179831A (ja) 衛生洗浄装置
JP2004285732A (ja) 温水洗浄便座システム
JP2007016455A (ja) 電力制御装置
JP2009165684A (ja) 便座装置
JP4866455B2 (ja) 衛生洗浄装置
JP5061251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7085836A (ja) 電力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