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388B1 -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 Google Patents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388B1
KR101648388B1 KR1020150111444A KR20150111444A KR101648388B1 KR 101648388 B1 KR101648388 B1 KR 101648388B1 KR 1020150111444 A KR1020150111444 A KR 1020150111444A KR 20150111444 A KR20150111444 A KR 20150111444A KR 101648388 B1 KR101648388 B1 KR 10164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hook
link bar
hooking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감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인텍
Priority to KR1020150111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5Containers with stacking feet or corn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 B65D2519/009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모드와 해체 모드로 변화될 수 있으며, 조립 모드와 해체 모드 모두에서 복수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고 서로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CONTAINER PALLETE}
본 발명은 조립 모드와 해체 모드로 변화될 수 있는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립 모드와 해체 모드 모두에서 복수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고 서로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는, 내부에 직육면체 형태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에 마련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가장자리 변의 상부에 배치되는 4개의 측판 부재와, 상기 4개의 측판 부재의 상부에 마련되는 덮개판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수용 공간에 화물을 적재한 경우에는 4개의 측판 부재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지만, 수용 공간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을 때에는 4개의 측판 부재가 베이스 부재에 적층되는 형태로 접혀져 보관되어 그 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대표적인 종래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1740호 "컨테이너 파렛트"(2012. 3. 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7030호 "수송 및 보관용 접이식 컨테이너"(2009. 5. 4. 등록)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는 그 자체로서 보관 및 운송된다는 면에서는 편리하지만, 복수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를 함께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복수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를 상하로 적층시키고 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2304호 "지지틀을 갖는 접이식 적재용 파렛트"(2012. 4.26.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1740호 "컨테이너 파렛트"(2012. 3. 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7030호 "수송 및 보관용 접이식 컨테이너"(2009. 5. 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3239호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2008. 1. 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 모드와 해체 모드로 변화될 수 있으며, 조립 모드와 해체 모드 모두에서 복수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고 서로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직육면체 형태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에 마련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가장자리 변의 상부에 배치되는 4개의 측판 부재와, 상기 4개의 측판 부재의 상부에 마련되는 덮개판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에 있어서 :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면에 물품이 적재되기 위한 사각형 형태의 받침면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면의 가장자리 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받침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지지부에 한 쌍의 지게차 포크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제1걸림고리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제1걸림고리 수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용 기둥이 상기 받침면의 4개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위마다 마련되며 ; 상기 4개의 측판 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판 부재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측판 부재로 구분되며 ; 상기 제1측판 부재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한 쌍의 베이스용 기둥 사이에 마련되어 하단부 양측이 상기 베이스용 기둥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측판 몸체와, 상부에는 제2걸림고리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걸림고리가 수용되기 위한 제2걸림고리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1측판 몸체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판용 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제2측판 부재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한 쌍의 베이스용 기둥 사이에 마련되어 하단부 양측이 상기 베이스용 기둥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측판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덮개판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받침면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되, 상기 덮개판 부재의 4개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상기 제1걸림고리와 상기 제2걸림고리 중 어느 하나가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기 위한 걸림고리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고리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1걸림고리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1걸림고리 또는 상기 제2걸림고리를 걸기 위하여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후크가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가 상기 지게차 포크 삽입부의 상부를 지나도록 배치되는 제1링크바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바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바와, 일단이 상기 제2링크바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링크바와, 일단이 상기 제3링크바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후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링크바가 마련되어, 외력이 없을 경우 상기 후크는 상기 제1걸림고리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1걸림고리 또는 상기 제2걸림고리를 걸게 되며, 상기 지게차 포크 삽입부에 삽입된 지게차 포크가 상기 제1링크바를 상부로 들어올리면 상기 후크는 상기 제1걸림고리 또는 상기 제2걸림고리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동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4링크바에 위치 고정 핀이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후크가 상기 제1걸림고리 또는 상기 제2걸림고리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 고정 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4링크바를 고정할 수 있는 핀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지지부에 상기 위치 고정 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상기 제1걸림고리 또는 상기 제2걸림고리를 거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가 상기 후크, 상기 제1링크바, 및 상기 제3링크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후크가 4개 마련되며, 각각의 후크마다 상기 제1,2,3,4링크바가 마련되며, 상기 제1,2걸림고리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2걸림고리를 걸게되는 한 쌍의 후크가 서로 연동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후크를 서로 연결하는 연동바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 모드와 해체 모드로 변화될 수 있으며, 조립 모드와 해체 모드 모두에서 복수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고 서로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의 조립 모드에서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가 조립 모드에서 해체 모드로 변화되는 상태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
도 7은 도 1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가 해체 모드로 변화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1 상태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가 복수로 적층되고 지게차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 상태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가 복수로 적층되고 지게차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상하로 적층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에서 상부에 위치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의 후크에 하부에 위치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의 걸림고리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도 10에서 지게차 포크 삽입부로 지게차 포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12는 도 10에서 위치 고정 핀이 강제 걸림 해제 모드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3은 도 10의 주요부의 개념 사시도,
도 14는 위치 고정 핀이 핀 삽입부에 고정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의 조립 모드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가 조립 모드에서 해체 모드로 변화되는 상태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1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가 해체 모드로 변화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1 상태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가 복수로 적층되고 지게차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 상태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가 복수로 적층되고 지게차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상하로 적층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에서 상부에 위치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의 후크에 하부에 위치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의 걸림고리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1은 도 10에서 지게차 포크 삽입부로 지게차 포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2는 도 10에서 위치 고정 핀이 강제 걸림 해제 모드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3은 도 10의 주요부의 개념 사시도이며, 도 14는 위치 고정 핀이 핀 삽입부에 고정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100)는 조립 모드(100a)와 해체 모드(100b)를 가진다.
조립 모드(100a)는 본 컨테이터 파렛트가 그 내부의 수용 공간에 물품 등이 보관될 수 있는 상태로, 측판 부재(121, 122) 등이 세워져서 도 1과 같이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 수용 공간 내부에 물품 등이 보관되어 운송되거나 별도의 장소에 보관될 수 있다.
해체 모드(100b)는 도 7과 같이 본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각 측판 부재(121, 122)를 접어서 본 컨테이너 파렛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킨 상태를 의미한다. 물론 이 상태에서는 본 컨테이너 파렛트에 물품을 보관할 수 없다.
본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100)는, 크게 베이스 부재(110)와, 4개의 측판 부재(121, 122)와, 덮개판 부재(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100)는, 베이스 부재(110)와, 4개의 측판 부재(121, 122)와, 덮개판 부재(130)에 의하여 도 1과 같이 내부에 직육면체 형태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직사각형 형태로서 하부에 마련된다.
베이스 부재(110)의 상면에는 물품이 적재되기 위한 사각형 형태의 받침면(111)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받침면(111)의 4개의 가장자리 변에서 하부로 연장되면서 받침지지부(112)가 형성되며, 각각의 받침지지부(112)에는 지게차의 포크(10)가 삽입될 수 있는 지게차 포크 삽입부(112a)가 형성된다.
받침면(111)의 4개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위마다 베이스용 기둥(113)이 마련된다. 즉 4개의 베이스용 기둥(113)이 마련된다.
베이스용 기둥(113)은 그 상부에 제1걸림고리(113a)가 마련되며 그 하부에는 제1걸림고리 수용공간(113b)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베이스용 기둥(113)의 하단은 받침지지부(112)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까지 하부로 연장되는 한편, 베이스용 기둥(113)의 상단은 받침면(111)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 부재(110)의 가장자리 변의 상부에 측판 부재(121, 122)가 마련되며, 베이스 부재(110)가 직사각형 형태이므로 총 4개의 측판 부재(121, 122)가 마련된다.
4개의 측판 부재(121, 122)는, 측판용 기둥(121b)을 가지면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제1측판 부재(121)와, 측판용 기둥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제2측판 부재(12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측판 부재(121)의 제1측판 몸체(121a)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베이스용 기둥(113) 사이에 마련되어 하단부 양측이 베이스용 기둥(1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측판 부재(121)의 측판용 기둥(121b)은 제1측판 몸체(121a)의 양측에 마련되며, 각각의 측판용 기둥(121b)은 그 상부에 제2걸림고리(121b-1)가 마련되며 그 하부에는 제2걸림고리 수용공간(121b-2)이 형성되어 있다.
측판용 기둥(121b)의 제2걸림고리 수용공간(121b-2)은 베이스 부재(110)의 베이스용 기둥(113)의 제1걸림고리(113a)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다.
제2측판 부재(121)의 제2측판 몸체(121)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베이스용 기둥(113) 사이에 마련되어 하단부 양측이 베이스용 기둥(1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2측판 부재(121, 122)는 경우에 따라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으며, 제1,2측판 부재(121, 122)는 베이스용 기둥(1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립 모드와 해체 모드에 따라 회동될 수 있으며, 또한 조립 모드에서 제2측판 부재(122)와 제1측판 부재(121)는 서로 잠금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회동 가능한 결합 내지 잠금 상태를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본 컨테이너 파렛트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제1,2측판 부재(121, 122)의 상부에 덮개판 부재(130)가 마련된다.
덮개판 부재(130)는 베이스 부재(110)의 받침면(111)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되, 덮개판 부재(130)의 4개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걸림고리 관통홀(13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리 관통홀(131)은 제1걸림고리(113a)와 제2걸림고리(121b-1) 중 어느 하나가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기 위한 것이다.
덮개판 부재(130)는 제1,2측판 부재(121, 12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잠금(locking) 상태로 고정되며, 이러한 잠금 상태를 위하여 필요한 기술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100)의 모드 변환을 도 1 내지 도 7을 기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조립된 상태의 모드이며, 도 7은 해체된 상태의 모드이며, 도 1에서 도 7의 순서로 해체된다. 물론 도 7에서 도 1의 순서로 조립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에서 베이스 부재(110)와, 4개의 측판 부재(121, 122)와, 덮개판 부재(130)에 의하여 내부에 직사각형 형태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서 덮개판 부재(130)의 관통홀(131)에는 제1측판 부재(121)의 측판용 기둥(121b)의 제2걸림고리(121b-1)가 관통되어 있는 상태이다.
덮개판 부재(130)는 제2측판 부재(122)에 잠금(locking)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먼저 도 2와 같이 덮개판 부재(130)를 제거한다.
덮개판 부재(130)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먼저 덮개판 부재(130)와 제2측판 부재(122)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덮개판 부재(130)를 들어올리면 된다.
도 2에서 덮개판 부재(130)의 걸림고리 관통홀(131)이 명확히 확인되며, 아울러 베이스 부재(110)의 받침면(111)도 확인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순차적으로 2개의 제2측판 부재(122)를 베이스 부재(110)와 적층되도록 접는다.
제2측판 부재(122)는 하단부가 베이스 부재(110)의 베이스용 기둥(1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한편, 제1측판 부재(121)의 측판용 기둥(121b)에 잠금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측판 부재(122)와 제1측판 부재(121)의 측판용 기둥(121b)간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제2측판 부재(122)를 회동시키면 된다.
아울러 제2측판 부재(122)가 베이스용 기둥(1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는 그 회전축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끔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제2측판 부재(122)를 접은 상태에서 그 상부에 다른 하나의 제2측판 부재(122)를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도 4에서는 2개의 제1측판 부재(121)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4에서 제1측판 부재(121)의 측판용 기둥(121b)의 제2걸림고리 수용공간(121b-2)은 외측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형태이므로, 베이스 부재(110)의 베이스용 기둥(113)의 제1걸림고리(113a)가 안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아울러 베이스 부재(110)의 베이스용 기둥(113)의 제1걸림고리(113a)는 제1측판 부재(121)의 측판용 기둥(121b)의 내측으로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순차적으로 2개의 제1측판 부재(121)를 베이스 부재(110)와 적층되도록 접는다.
도 6 이후 도 2에서 제거한 덮개판 부재(130)를 도 7과 같이 결합하면 해체 모드(100b)가 완성된다.
이때 덮개판 부재(130)의 걸림고리 관통홀(131)에는 베이스용 기둥(113)의 제1걸림고리(113a)가 관통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8은 본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의 조립 모드(100a)에서 복수개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게차가 그 포크(10)를 이용하여 하나의 컨테이너 파렛트(100a)를 들어 올리거나 혹은 하나의 컨테이너 파렛트(100a)를 다른 하나의 컨테이너 파렛트(100a)에 적층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 9는 본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의 해체 모드(100b)에서 복수개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게차가 그 포크(10)를 이용하여 하나의 컨테이너 파렛트(100b)를 들어 올리거나 혹은 하나의 컨테이너 파렛트(100b)를 다른 하나의 컨테이너 파렛트(100b)에 적층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본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100)는 서로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때 도 8과 같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1측판 부재(121)의 측판용 기둥(121b)의 제2걸림고리(121b-2)가 베이스 부재(110)의 베이스용 기둥(113)의 제1걸림고리 수용공간(113b)에 삽입되는 반면, 도 9와 같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베이스 부재(110)의 베이스용 기둥(113)의 제1걸림고리(113a)가 베이스 부재(110)의 베이스용 기둥(113)의 제1걸림고리 수용공간(113b)에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아래에 위치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100)와 위에 위치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100)가 서로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지게차 포크(10)에 의하여 그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도 10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베이스 부재(110)의 베이스용 기둥(113)의 제1걸림고리 수용공간(113b)에는, 상단부가 베이스 부재(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후크(205)가 마련된다.
후크(205)는 제1걸림고리(113a) 또는 제2걸림고리(121b-1)를 걸기 위한 것이다. 즉 도 8과 같이 조립 모드에 있어서는 아래에 위치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의 제2걸림고리(121b-1)가 위에 위치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의 후크(205)에 걸리게 되며, 도 9와 같이 해체 모드에 있어서는 아래에 위치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의 제2걸림고리(113a)가 위에 위치한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의 후크(205)에 걸리게 된다.
아울러 후크(205)의 걸림 상태와 걸림 해제 상태에 따른 회동 작동을 위하여 제1링크바(201), 제2링크바(202), 제3링크바(203), 제4링크바(204)가 마련된다.
제1링크바(201)는 일단이 베이스 부재(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링크바(201)의 타단에 제2링크바(202)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링크바(202)의 타단에 제3링크바(203)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링크바(203)의 타단에 제4링크바(204)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4링크바(204)의 타단이 후크(20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3링크바(203)는 그 중간부(203a)가 베이스 부재(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제1링크바(201)의 중간부는 도 10과 같이 지게차 포크 삽입부(112a)의 상부를 지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지게차 포크 삽입부(112a)에 지게차의 포크(10)가 삽입되어 컨테이너 파렛트를 들어올리게 되면 도 11과 같이 지게차의 포크(10)가 제1링크바(201)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링크바(201)가 상부로 들어올려지게 되면 후크(205)는 걸림고리(113a 또는 121b-1)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동 작동하여 걸림 해제 상태가 된다.
또한 외력이 없을 경우 후크(205)는 회동 작동하여 걸림고리(113a 또는 121b-1)를 다시 걸게 되어 걸림 상태가 된다.
즉 지게차 포크 삽입부(112a)에 지게차 포크(10)가 삽입되어 컨테이너 파렛트를 들어올리게 되면 자연스럽게 도 11의 상태로 변화되어 후크(205)가 걸림고리(113a 또는 121b-1)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컨테이너 파렛트를 다른 컨테이너 파렛트에 적층한 후 지게차 포크 삽입부(112a)로부터 지게차 포크(10)가 이탈되면 후크(205)가 걸림고리(113a 또는 121b-1)를 걸게 되어, 상하에 위치한 컨테이너 파렛트가 서로 걸린 상태가 된다.
한편 도 10의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후크(205)가 걸림고리(113a 또는 121b-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도 11의 상태에서 도 10의 상태로 원활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후크(205), 제1링크바(201), 제3링크바(203) 중 어느 하나에 탄성체(미도시)를 마련하여, 탄성체는 후크(205)가 걸림고리(113a 또는 121b-1)를 거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체로서는 토션스프링 등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컨테이너 파렛트(100)는 경우에 따라 크레인 등에 의하여 인양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지게차 포크 삽입부(112a)에 지게차 포크(10)가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수동 작동에 의하여 후크(205)가 걸림고리(113a 또는 121b-1)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4링크바(204)에 위치 고정 핀(206)이 마련된다.
아울러 베이스 부재(110)의 특정 위치에는 위치 고정 핀(206)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핀 삽입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특정 위치란 후크(205)가 걸림고리(113a 또는 121b-1)로부터 이탈된 위치를 말한다.
아울러 받침지지부(112)에는 위치 고정 핀(206)이 외부로 노출되며 위치 고정 핀(206)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112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크레인 등에 의하여 본 컨테이너 파렛트를 인양하고자 할 경우 수동으로 위치 고정 핀(206)을 도 12와 같이 중앙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때 위치 고정 핀(206)을 가이드 구멍(112b)에 의한 한계 범위까지 이동시킨다. 이후 도 14와 같이 위치 고정 핀(206)을 잡고 살짝 당긴 후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위치 고정 핀(206)을 놓으면 위치 고정 핀(206)은 내부의 스프링에 의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핀 삽입부(114)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위치 고정 핀(206)이 핀 삽입부(114)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가 되면 제4링크바(204)와 이에 연결된 후크(205)는 강제 걸림 해제 모드가 된다.
아울러 다시 상하에 위치한 컨테이너 파렛트를 걸린 상태로 만들고자 할 경우 도 14와 같이 위치 고정 핀(206)을 잡고 살짝 당긴 후 90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위치 고정 핀(206)을 놓으면 위치 고정 핀(206)은 핀 삽입부(114)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제4링크바(204) 및 이에 연결된 후크(205)가 도 10과 같이 변화하여 상하로 걸린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한편 도 13은 도 10의 주요부의 개념 사시도이며, 특히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2걸림고리를 걸게 되는 한 쌍의 후크(205)가 연동바(20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후크(205)는 다른 하나의 후크(205)와 연동 동작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쪽에 위치된 지게차 포크 삽입부(112a)로 지게차 포크(10)가 삽입되어 하나의 후크(205)를 도 11의 상태로 변화시킬 때 다른 후크(205)도 도 11과 같은 상태로 변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100a : 조립 모드 100b : 해체 모드
110 : 베이스 부재
111 : 받침면
112 : 받침지지부 112a : 지게차 포크 삽입부
112b : 가이드 구멍
113 : 베이스용 기둥 113a : 제1걸림고리
113b : 제1걸림고리 수용공간
114 : 핀 삽입부
121 : 제1측판 부재 121a : 제1측판 몸체
121b : 측판용 기둥 121b-1 : 제2걸림고리
121b-2 : 제2걸림고리 수용공간
122 : 제2측판 부재
130 : 덮개판 부재 131 : 걸림고리 관통홀
201~204 : 제1~4링크바 205 : 후크
206 : 위치 고정 핀 207 : 연동바
203a : 제3링크바 중간부

Claims (5)

  1. 내부에 직육면체 형태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에 마련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가장자리 변의 상부에 배치되는 4개의 측판 부재와, 상기 4개의 측판 부재의 상부에 마련되는 덮개판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에 있어서 :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면에 물품이 적재되기 위한 사각형 형태의 받침면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면의 가장자리 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받침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지지부에 한 쌍의 지게차 포크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제1걸림고리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제1걸림고리 수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용 기둥이 상기 받침면의 4개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위마다 마련되며 ;
    상기 4개의 측판 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판 부재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측판 부재로 구분되며 ;
    상기 제1측판 부재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한 쌍의 베이스용 기둥 사이에 마련되어 하단부 양측이 상기 베이스용 기둥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측판 몸체와, 상부에는 제2걸림고리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걸림고리가 수용되기 위한 제2걸림고리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1측판 몸체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판용 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제2측판 부재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한 쌍의 베이스용 기둥 사이에 마련되어 하단부 양측이 상기 베이스용 기둥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측판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덮개판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받침면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되, 상기 덮개판 부재의 4개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상기 제1걸림고리와 상기 제2걸림고리 중 어느 하나가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기 위한 걸림고리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고리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1걸림고리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1걸림고리 또는 상기 제2걸림고리를 걸기 위하여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후크가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가 상기 지게차 포크 삽입부의 상부를 지나도록 배치되는 제1링크바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바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바와, 일단이 상기 제2링크바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링크바와, 일단이 상기 제3링크바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후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링크바가 마련되어,
    외력이 없을 경우 상기 후크는 상기 제1걸림고리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1걸림고리 또는 상기 제2걸림고리를 걸게 되며,
    상기 지게차 포크 삽입부에 삽입된 지게차 포크가 상기 제1링크바를 상부로 들어올리면 상기 후크는 상기 제1걸림고리 또는 상기 제2걸림고리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동 작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링크바에 위치 고정 핀이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후크가 상기 제1걸림고리 또는 상기 제2걸림고리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 고정 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4링크바를 고정할 수 있는 핀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지지부에 상기 위치 고정 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상기 제1걸림고리 또는 상기 제2걸림고리를 거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가 상기 후크, 상기 제1링크바, 및 상기 제3링크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후크가 4개 마련되며, 각각의 후크마다 상기 제1,2,3,4링크바가 마련되며, 상기 제1,2걸림고리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2걸림고리를 걸게되는 한 쌍의 후크가 서로 연동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후크를 서로 연결하는 연동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KR1020150111444A 2015-08-07 2015-08-07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KR101648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444A KR101648388B1 (ko) 2015-08-07 2015-08-07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444A KR101648388B1 (ko) 2015-08-07 2015-08-07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388B1 true KR101648388B1 (ko) 2016-08-16

Family

ID=5685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444A KR101648388B1 (ko) 2015-08-07 2015-08-07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38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4716A (en) * 2016-10-05 2018-04-11 Drainfast Ltd Stillage
KR101952534B1 (ko) 2018-03-23 2019-02-27 김종균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
KR102002432B1 (ko) * 2019-01-23 2019-07-23 한국파렛트풀(주) 접이식 컨테이너
KR102002433B1 (ko) * 2019-01-23 2019-07-23 한국파렛트풀(주) 접이식 컨테이너의 프론트패널/리어패널 회전 지지부재
KR102002434B1 (ko) * 2019-01-23 2019-07-23 한국파렛트풀(주) 접이식 컨테이너의 프론트패널/리어패널 회전용 토션바 설치방법
KR102005882B1 (ko) * 2019-01-23 2019-07-31 한국파렛트풀(주) 컨테이너 접철방법
KR102085163B1 (ko) * 2019-10-15 2020-03-04 비엠스틸 주식회사 적층식 운반상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8235A (ko) * 1974-11-14 1976-05-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KR100793239B1 (ko) 2006-05-24 2008-01-10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
KR100897030B1 (ko) 2001-10-04 2009-05-14 쇨러 아르카 시스템즈 에이비 수송 및 보관용 접이식 컨테이너
KR20120001740U (ko) 2010-08-02 2012-03-09 공간찬넬주식회사 컨테이너 파렛트
KR101142304B1 (ko) 2009-06-22 2012-06-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지틀을 갖는 접이식 적재용 파렛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8235A (ko) * 1974-11-14 1976-05-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KR100897030B1 (ko) 2001-10-04 2009-05-14 쇨러 아르카 시스템즈 에이비 수송 및 보관용 접이식 컨테이너
KR100793239B1 (ko) 2006-05-24 2008-01-10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
KR101142304B1 (ko) 2009-06-22 2012-06-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지틀을 갖는 접이식 적재용 파렛트
KR20120001740U (ko) 2010-08-02 2012-03-09 공간찬넬주식회사 컨테이너 파렛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4716A (en) * 2016-10-05 2018-04-11 Drainfast Ltd Stillage
GB2554716B (en) * 2016-10-05 2020-04-01 Sitestak Ltd Stillage
KR101952534B1 (ko) 2018-03-23 2019-02-27 김종균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
KR102002432B1 (ko) * 2019-01-23 2019-07-23 한국파렛트풀(주) 접이식 컨테이너
KR102002433B1 (ko) * 2019-01-23 2019-07-23 한국파렛트풀(주) 접이식 컨테이너의 프론트패널/리어패널 회전 지지부재
KR102002434B1 (ko) * 2019-01-23 2019-07-23 한국파렛트풀(주) 접이식 컨테이너의 프론트패널/리어패널 회전용 토션바 설치방법
KR102005882B1 (ko) * 2019-01-23 2019-07-31 한국파렛트풀(주) 컨테이너 접철방법
WO2020153536A1 (ko) * 2019-01-23 2020-07-30 한국파렛트풀(주) 컨테이너 접철방법
CN113382937A (zh) * 2019-01-23 2021-09-10 韩国托盘共用公司株式会社 集装箱折叠方法
US20220112028A1 (en) * 2019-01-23 2022-04-14 Korea Pallet Pool Co., Ltd Container folding method
KR102085163B1 (ko) * 2019-10-15 2020-03-04 비엠스틸 주식회사 적층식 운반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388B1 (ko)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US7739965B2 (en) Automatically interlocking pallets, and shipping and storage systems employing the same
US8083448B2 (en) Interlocking pallets, and shipping and storage systems employing the same
US7726496B2 (en) Shipping and storage system
US8561824B2 (en) Assembly box and plate material connecting structure
WO2011071076A1 (ja) パレットラック、パレットラックユニット及びパレットラックを備えたコンテナ
JP6933892B2 (ja) パレット
US20080190810A1 (en) Collapsible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KR200399805Y1 (ko)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JP5034833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5678646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2010105691A (ja) 折り畳み式ラック
JP6375727B2 (ja) ロール製品用コンテナ
KR20140141968A (ko)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KR101988349B1 (ko) 개폐 가능한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JP2004131105A (ja) 輸送用折畳コンテナ
KR20100030935A (ko)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
JP2006347617A (ja) 箱状コンテナの壁面構造
JP2007186220A (ja) コンテナ用リターナブルケース
KR100430121B1 (ko) 파렛트용 지지틀
JP5511877B2 (ja) 変形コンテナ
JP4941582B2 (ja) パレットラック
JP3200355U (ja) ロール製品用コンテナ
JP3180951U (ja) ラック
KR102464080B1 (ko) 조립식 파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