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534B1 -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534B1
KR101952534B1 KR1020180033862A KR20180033862A KR101952534B1 KR 101952534 B1 KR101952534 B1 KR 101952534B1 KR 1020180033862 A KR1020180033862 A KR 1020180033862A KR 20180033862 A KR20180033862 A KR 20180033862A KR 101952534 B1 KR101952534 B1 KR 101952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llet
hinge
protru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균
Original Assignee
김종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균 filed Critical 김종균
Priority to KR1020180033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판상으로 파렛트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양단은 상기 파렛트 측면을 지지하고, 중앙 하방에는 홈이 마련되어 지게차 포크가 들어가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1-1커버와, 상기 제 1-1커버 맞은편에 위치하며, 상기 제 1-1커버와 대응되는 제 1-2커버와, 상기 제 1-1커버와 상기 제 1-2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커버와, 상기 제 2커버 맞은편에 위치하며, 상기 제 2커버와 대응되는 제 3커버와, 상기 제 2커버는, 일단 하방에는 홈이 마련되며 타단은 상기 파렛트 측면을 지지하고, 일측에 안쪽방향으로 제 1돌출부가 형성되는 제 2-1커버와, 상기 제 2-1커버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안쪽방향으로 제 2돌출부가 형성되는 제 2-2커버와, 상기 제 2-1커버와 상기 제 2-2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제 2경첩과, 판상으로 상기 제 2-1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2-1걸림판과, 판상으로 상기 제 2-2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2-2걸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커버는, 일단 하방에는 홈이 마련되며 타단은 상기 파렛트 측면을 지지하고, 일측에 제 3돌출부가 안쪽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1커버와, 상기 제 3-1커버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 4돌출부가 안쪽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2커버와, 상기 제 3-1커버와 상기 제 3-2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제 3경첩과, 판상으로 상기 제 3-1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3-1걸림판과, 판상으로 상기 제 3-2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3-2걸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커버 일단과 상기 제 2-1커버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1경첩과, 상기 제 1-1커버 타단과 상기 제 3-1커버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2경첩과, 상기 제 1-2커버 일단과 상기 제 2-2커버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3경첩과, 상기 제 1-2커버 타단과 상기 제 3-2커버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4경첩과, 판상으로 상기 제 1-1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1-1걸림판과, 판상으로 상기 제 1-2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1-2걸림판과, 상기 제 1-1커버와 상기 제 1-2커버 외면에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Cover assembly for pallet}
본 발명은 파렛트 커버 어셈플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취급이 용이하고,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커버에 관한 것이다.
파렛트는 지게차 따위로 물건을 실어나를 때, 물건을 안정적으로 옮기기 위해 사용하는 구조물이다. 파렛트 상부에 화물을 적재한 다음 한꺼번에 옮길 수 있어, 하역 및 수송시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능률이 향상되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파렛트를 운반하는 지게차는 굉장히 단단하고 무거운 차체가 움직이는 만큼 충돌시 많은 충격을 줄 수 밖에 없고, 이 충격으로 인해 상기 파렛트 상부의 화물이 추락할 위험성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648388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렛트 외면에 마련되어, 파렛트 상부에 적제된 화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판상으로 파렛트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양단은 상기 파렛트 측면을 지지하고, 중앙 하방에는 홈이 마련되어 지게차 포크가 들어가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1-1커버와, 상기 제 1-1커버 맞은편에 위치하며, 상기 제 1-1커버와 대응되는 제 1-2커버와, 상기 제 1-1커버와 상기 제 1-2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커버와, 상기 제 2커버 맞은편에 위치하며, 상기 제 2커버와 대응되는 제 3커버와, 상기 제 2커버는, 일단 하방에는 홈이 마련되며 타단은 상기 파렛트 측면을 지지하고, 일측에 안쪽방향으로 제 1돌출부가 형성되는 제 2-1커버와, 상기 제 2-1커버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안쪽방향으로 제 2돌출부가 형성되는 제 2-2커버와, 상기 제 2-1커버와 상기 제 2-2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제 2경첩과, 판상으로 상기 제 2-1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2-1걸림판과, 판상으로 상기 제 2-2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2-2걸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커버는, 일단 하방에는 홈이 마련되며 타단은 상기 파렛트 측면을 지지하고, 일측에 제 3돌출부가 안쪽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1커버와, 상기 제 3-1커버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 4돌출부가 안쪽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2커버와, 상기 제 3-1커버와 상기 제 3-2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제 3경첩과, 판상으로 상기 제 3-1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3-1걸림판과, 판상으로 상기 제 3-2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3-2걸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커버 일단과 상기 제 2-1커버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1경첩과, 상기 제 1-1커버 타단과 상기 제 3-1커버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2경첩과, 상기 제 1-2커버 일단과 상기 제 2-2커버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3경첩과, 상기 제 1-2커버 타단과 상기 제 3-2커버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4경첩과, 판상으로 상기 제 1-1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1-1걸림판과, 판상으로 상기 제 1-2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1-2걸림판과, 상기 제 1-1커버와 상기 제 1-2커버 외면에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커버, 상기 제 3커버가 접힐 때, 상기 제 1돌출부는 상기 제 1-1커버와 상기 제 2-1커버 사이에, 상기 제 2돌출부는 상기 제 1-2커버와 상기 제 2-2커버 사이에, 상기 제 3돌출부는 상기 제 1-1커버와 상기 제 3-1커버 사이에, 상기 제 4돌출부는 상기 제 1-2커버와 상기 제 3-2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파렛트 커버를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여 차지하는 부피가 적고 공간 활용률이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의 접힌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의 접힌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의 접힌 형상 일측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의 제 2커버 일측을 확대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파렛트 커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파렛트(1000)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양단은 상기 파렛트(1000) 측면을 지지하고, 중앙 하방에는 홈이 마련되어 지게차 포크가 들어가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1-1커버(100) 맞은편에 위치하며, 상기 제 1-1커버(100)와 대응되는 제 1-2커버(200)와,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1-2커버(200)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커버(300)와, 상기 제 2커버(300) 맞은편에 위치하며, 상기 제 2커버(300)와 대응되는 제 3커버(400)와, 상기 제 2커버(300)는, 일단 하방에는 홈이 마련되며 타단은 상기 파렛트(1000) 측면을 지지하고, 일측에 안쪽방향으로 제 1돌출부(360)가 형성되는 제 2-1커버(310)와, 상기 제 2-1커버(310)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안쪽방향으로 제 2돌출부(370)가 형성되는 제 2-2커버(320)와, 상기 제 2-1커버(310)와 상기 제 2-2커버(320) 사이에 마련되는 제 2경첩(350)과, 판상으로 상기 제 2-1커버(310)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1000) 상부에 걸리는 제 2-1걸림판(330)과, 판상으로 상기 제 2-2커버(320)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1000) 상부에 걸리는 제 2-2걸림판(3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커버(400)는, 일단 하방에는 홈이 마련되며 타단은 상기 파렛트(1000) 측면을 지지하고, 일측에 제 3돌출부(460)가 안쪽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1커버(410)와, 상기 제 3-1커버(410)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 4돌출부(470)가 안쪽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2커버(420)와, 상기 제 3-1커버(410)와 상기 제 3-2커버(420) 사이에 마련되는 제 3경첩(450)과, 판상으로 상기 제 3-1커버(410)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1000) 상부에 걸리는 제 3-1걸림판(430)과, 판상으로 상기 제 3-2커버(420)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1000) 상부에 걸리는 제 3-2걸림판(4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커버(100) 일단과 상기 제 2-1커버(310)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1경첩(500)과, 상기 제 1-1커버(100) 타단과 상기 제 3-1커버(410)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2경첩(600)과, 상기 제 1-2커버(200) 일단과 상기 제 2-2커버(320)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3경첩(700)과, 상기 제 1-2커버(200) 타단과 상기 제 3-2커버(420)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4경첩(800)과, 판상으로 상기 제 1-1커버(100)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1000) 상부에 걸리는 제 1-1걸림판(110)과, 판상으로 상기 제 1-2커버(200)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1000) 상부에 걸리는 제 1-2걸림판(210)과,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1-2커버(210) 외면에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는 보강부재(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파렛트(1000) 일측면에 제 1-1커버(1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커버(100)는 판상으로 상기 파렛트(1000)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양단은 상기 파렛트(1000) 측면을 지지하며, 중앙 하방에는 홈이 파져있다. 중앙 하방의 홈은 상기 파렛트(1000)에 지게차의 포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1커버(100) 중앙 하방에 안쪽 방향으로 제 1-1걸림판(11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1걸림판(110)은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파렛트(1000) 상부에 걸려 상기 제 1-1커버(100)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 1-1커버(100) 맞은편에 상기 제 1-1커버(100) 대응되는 상기 제 1-2커버(2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 커버(200) 중앙 하방에 안쪽 방향으로 제 1-2걸림판(21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2걸림판(210)은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파렛트(1000) 상부에 걸려 상기 제 1-2커버(200)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1-2커버(200) 사이에 제 2커버(3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커버(300)는 제 2-1커버(310), 제 2-2커버(320), 제 2-1걸림판(330), 제 2-2걸림판(340), 제 2경첩(350), 제 1돌출부(360), 제 2돌출부(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1커버(310)는 판상으로 마련되어 일단 하방에는 홈이 파져있으며, 이는 상기 파렛트(1000)에 지게차의 포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타단은 상기 파렛트(1000) 측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일측에는 상기 제 1돌출부(360)가 안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2커버(320)는 상기 제 2-1커버(310)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마련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 2돌출부(370)가 안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1커버(310) 중앙 하방에 안쪽 방향으로 상기 제 2-1걸림판(330)이 마련된다. 상기 제 2-1걸림판(330)은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파렛트(1000) 상부에 걸려 상기 제 2-1커버(310)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2-1걸림판(330)과 상기 제 1돌출부(360)는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마련된다.
상기 제 2-2커버(320) 중앙 하방에 안쪽 방향으로 상기 제 2-2걸림판(340)이 마련된다. 상기 제 2-2걸림판(340)은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파렛트(1000) 상부에 걸려 상기 제 2-2커버(310)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2-2걸림판(340)과 상기 제 2돌출부(370)는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돌출부(360) 외면과 상기 제 2돌출부(370)외면이 접촉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 2-1커버(310)와 상기 제 2-2커버(320) 사이에는 상기 제 2경첩(350)이 마련된다. 상기 제 2경첩(350)은 상기 제 1돌출부(360)와 제 2돌출부(370)의 반대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 2경첩(350)은 상기 제 2-1커버(310)가 상기 제 1-1커버(100) 방향으로 90˚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2-2커버(320)가 상기 제 1-2 커버(200) 방향으로 90˚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1커버(310)와 상기 제 2-2커버(320)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다.
상기 제 1돌출부(360) 외면과 상기 제 2돌출부(370) 외면은 서로 접촉하여 마련된다. 상기 제 2-1커버(310)와 상기 제 2-2커버(320)가 얇은 판상으로 마련되어 휘어지기 쉽기 때문에, 상기 제 2-1커버(310)와 상기 제 2-2커버(320)가 바깥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1커버(310)와 상기 제 2-2커버(320)가 내측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제 1돌출부(360)는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2-1커버(31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돌출부(370)는 상기 제 1-2커버(200)와 상기 제 2-2커버(32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 1돌출부(360)는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2-1커버(310) 사이 간격을 유지시켜,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2-1커버(310)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2-1커버(310) 사이 간격에 의해 접혀있는 상기 제 2-1커버(310)를 펼치기 용이하다.
상기 제 2돌출부(370)는 상기 제 1-2커버(200)와 상기 제 2-2커버(320) 사이 간격을 유지시켜, 상기 제 1-2커버(200)와 상기 제 2-2커버(320)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2-1커버(310) 사이 간격에 의해 접혀있는 상기 제 2-2커버(320)를 펼치기 용이하다.
상기 제 2커버(300) 맞은편에 상기 제 2커버(300)와 대응되는 제 3커버(4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3커버(400)는 제 3-1커버(410), 제 3-2커버(420), 제 3-1걸림판(430), 제 3-2걸림판(440), 제 3경첩(450), 제 3돌출부(460), 제 4돌출부(4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1커버(410)는 판상으로 하방에는 홈이 파져있으며, 이는 상기 파렛트(1000)에 지게차의 포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타단은 상기 파렛트(1000) 측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일측에는 상기 제 3돌출부(460)가 안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3-2커버(420)는 상기 제 3-1커버(410)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마련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 4돌출부(470)가 안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3-1커버(410) 중앙 하방에 안쪽 방향으로 상기 제 3-1걸림판(430)이 마련된다. 상기 제 3-1걸림판(430)은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파렛트(1000) 상부에 걸려 상기 제 3-1커버(410)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3-1걸림판(430)과 상기 제 3돌출부(460)는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 3-2커버(420) 중앙 하방에 안쪽 방향으로 상기 제 3-2걸림판(440)이 마련된다. 상기 제 3-2걸림판(440)은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파렛트(1000) 상부에 걸려 상기 제 3-2커버(410)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3-2걸림판(440)과 상기 제 4돌출부(470)는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다.
또한 상기 제 3돌출부(460) 외면과 상기 제 4돌출부(470) 외면은 접촉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 3-1커버(410)와 상기 제 3-2커버(420) 사이에는 상기 제 3경첩(450)이 마련된다. 상기 제 3경첩(450)은 상기 제 3돌출부(460)와 상기 제 4돌출부(470)의 반대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 3경첩(450)은 상기 제 3-1커버(410)가 상기 제 1-1커버(100) 방향으로 90˚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3-2커버(420)가 상기 제 1-2 커버(200)방향으로 90˚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1커버(410)와 상기 제 3-2커버(420)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다.
상기 제 3돌출부(460) 외면과 상기 제 4돌출부(470) 외면은 서로 접촉하여 마련된다. 상기 제 3-1커버(410)와 상기 제 3-2커버(420)가 얇은 판상으로 마련되어 휘어지기 쉽기 때문에, 상기 제 3-1커버(410)와 상기 제 3-2커버(420)가 바깥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1커버(410)와 상기 제 3-2커버(420)가 내측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제 3돌출부(460)는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3-1커버(41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4돌출부(470)는 상기 제 1-2커버(200)와 상기 제 3-2커버(42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 3돌출부(460)는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3-1커버(410) 사이 간격을 유지시켜,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3-1커버(410)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3-1커버(410) 사이 간격에 의해 접혀있는 상기 제 3-1커버(410)를 펼치기 용이하다.
상기 제 4돌출부(470)는 상기 제 1-2커버(200)와 상기 제 3-2커버(420) 사이 간격을 유지시켜, 상기 제 1-2커버(200)와 상기 제 3-2커버(420)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2커버(200)와 상기 제 3-2커버(420) 사이 간격에 의해 접혀있는 상기 제 3-2커버(420)를 펼치기 용이하다.
상기 제 1-1커버(100) 일단과 상기 제 2-1커버(310)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1경첩(50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1경첩(500)은 상기 제 2-1커버(310)가 상기 제 1-1경첩(500)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1커버(100) 방향으로 90˚회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2-1커버(310)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1커버(100) 타단과 상기 제 3-1커버(410)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2경첩(60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2경첩(600)은 상기 제 3-1커버(410)가 상기 제 1-2경첩(600)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1커버(100) 방향으로 90˚회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3-1커버(410)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2커버(200) 일단과 상기 제 2-2커버(320)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3경첩(70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3경첩(700)은 상기 제 2-2커버(320)가 상기 제 1-3경첩(700)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2커버(200) 방향으로 90˚회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2-2커버(320)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2커버(200) 타단과 상기 제 3-2커버(420)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4경첩(80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2경첩(800)은 상기 제 3-2커버(420)가 상기 제 1-4경첩(800)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2커버(200) 방향으로 90˚회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3-2커버(420)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1-2커버(200) 외면에는 보강부재(900)가 마련된다. 상기 보강부재(900)는 디귿자 형상으로, 상기 1-1커버(100)와 상기 제 1-2커버(200)의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1-1커버(100)와 상기 제 1-2커버(200)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커버(200)와 상기 제 3커버(400)가 접혔을 때, 상기 제 1-1걸림판(100)과 상기 제 1-2걸림판(210)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1-2커버(200)가 얇은 판상으로 마련되어 휘어지기 쉽기 때문에, 상기 제 1-1커버(100)와 상기 제 1-2커버(200)가 바깥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커버(300)와 상기 제 3커버(400)를 내측으로 밀면, 상기 제 2커버(300)와 상기 제 3커버(400)가 접힌다. 상기 제 2-1커버(310)가 상기 제 1-1경첩(500)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1커버(100) 방향으로 90˚ 회전하면서 절첩된다. 상기 제 2경첩(350)은 상기 제 2-1커버(310)를 내측으로 90˚ 회전시켜 절첩이 용이하도록 보조하고, 절첩된 상기 제 2-1커버(310)가 상기 제 1-1커버(10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2커버(320)가 상기 제 1-3경첩(700)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2커버(200) 방향으로 90˚ 회전하면서 절첩된다. 상기 제 2경첩(350)은 상기 제 2-2커버(320)를 내측으로 90˚ 회전시켜 절첩이 용이하도록 보조하고, 절첩된 상기 제 2-2커버(320)가 상기 제 1-2커버(20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3-1커버(410)가 상기 제 1-2경첩(600)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1커버(100) 방향으로 90˚ 회전하면서 절첩된다. 상기 제 3경첩(450)은 상기 제 3-1커버(410)를 내측으로 90˚ 회전시켜 절첩이 용이하도록 보조하고, 절첩된 상기 제 3-1커버(410)가 상기 제 1-1커버(10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3-2커버(420)가 상기 제 1-4경첩(800)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2커버(200) 방향으로 90˚ 회전하면서 절첩된다. 상기 제 경첩(450)은 상기 제 3-1커버(420)를 내측으로 90˚ 회전시켜 절첩이 용이하도록 보조하고, 절첩된 상기 제 3-2커버(420)가 상기 제 1-2커버(20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완전하게 접힌 경우,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이므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다시 펼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접힘 과정을 역순으로 실시하면 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 1-1커버 : 100 제 1-1걸림판 : 110
제 1-2커버 : 200 제 1-2걸림판 : 210
제 2커버 : 300 제 2-1커버 : 310
제 2-2커버 : 320 제 2-1걸림판 : 330
제 2-2걸림판 : 340 제 2경첩 : 350
제 1돌출부 : 360 제 2돌출부 : 370
제 3커버 : 400 제 3-1커버 : 410
제 3-2커버 : 420 제 3-1걸림판 : 430
제 3-2걸림판 : 440 제 3경첩 : 450
제 3돌출부 : 460 제 4돌출부 : 470
제 1-1경첩 : 500 제 1-2경첩 : 600
제 1-3경첩 : 700 제 1-4경첩 : 800
보강부재 : 900 파렛트 : 1000

Claims (2)

  1. 판상으로 파렛트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양단은 상기 파렛트 측면을 지지하고, 중앙 하방에는 홈이 마련되어 지게차 포크가 들어가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1-1커버;
    상기 제 1-1커버 맞은편에 위치하며, 상기 제 1-1커버와 대응되는 제 1-2커버;
    상기 제 1-1커버와 상기 제 1-2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커버;
    상기 제 2커버 맞은편에 위치하며, 상기 제 2커버와 대응되는 제 3커버;
    상기 제 2커버는,
    일단 하방에는 홈이 마련되며 타단은 상기 파렛트 측면을 지지하고, 일측에 안쪽방향으로 제 1돌출부가 형성되는 제 2-1커버;
    상기 제 2-1커버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안쪽방향으로 제 2돌출부가 형성되는 제 2-2커버;
    상기 제 2-1커버와 상기 제 2-2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제 2경첩;
    판상으로 상기 제 2-1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2-1걸림판;
    판상으로 상기 제 2-2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2-2걸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커버는,
    일단 하방에는 홈이 마련되며 타단은 상기 파렛트 측면을 지지하고, 일측에 제 3돌출부가 안쪽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1커버;
    상기 제 3-1커버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 4돌출부가 안쪽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2커버;
    상기 제 3-1커버와 상기 제 3-2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제 3경첩;
    판상으로 상기 제 3-1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3-1걸림판;
    판상으로 상기 제 3-2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3-2걸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커버 일단과 상기 제 2-1커버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1경첩;
    상기 제 1-1커버 타단과 상기 제 3-1커버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2경첩;
    상기 제 1-2커버 일단과 상기 제 2-2커버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3경첩;
    상기 제 1-2커버 타단과 상기 제 3-2커버 타단을 연결시키는 제 1-4경첩;
    판상으로 상기 제 1-1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1-1걸림판;
    판상으로 상기 제 1-2커버 중앙 하방에 안쪽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파렛트 상부에 걸리는 제 1-2걸림판;
    상기 제 1-1커버와 상기 제 1-2커버 외면에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커버, 상기 제 3커버가 접힐 때, 상기 제 1돌출부는 상기 제 1-1커버와 상기 제 2-1커버 사이에, 상기 제 2돌출부는 상기 제 1-2커버와 상기 제 2-2커버 사이에, 상기 제 3돌출부는 상기 제 1-1커버와 상기 제 3-1커버 사이에, 상기 제 4돌출부는 상기 제 1-2커버와 상기 제 3-2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
KR1020180033862A 2018-03-23 2018-03-23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 KR101952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862A KR101952534B1 (ko) 2018-03-23 2018-03-23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862A KR101952534B1 (ko) 2018-03-23 2018-03-23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534B1 true KR101952534B1 (ko) 2019-02-27

Family

ID=6556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862A KR101952534B1 (ko) 2018-03-23 2018-03-23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5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236A (ja) * 1995-11-10 1997-05-20 Aron Kasei Co Ltd 折りたたみ式プラスチックコンテナ
KR0122112Y1 (ko) * 1995-12-22 1998-08-01 안효순 파렛트용 지지틀
KR20010029603A (ko) * 1999-09-15 2001-04-06 정준호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KR101648388B1 (ko) 2015-08-07 2016-08-16 주식회사 신화인텍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236A (ja) * 1995-11-10 1997-05-20 Aron Kasei Co Ltd 折りたたみ式プラスチックコンテナ
KR0122112Y1 (ko) * 1995-12-22 1998-08-01 안효순 파렛트용 지지틀
KR20010029603A (ko) * 1999-09-15 2001-04-06 정준호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KR101648388B1 (ko) 2015-08-07 2016-08-16 주식회사 신화인텍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509B2 (en)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CN104334471A (zh) 用于运输尤其呈线圈的形状的产品的集装箱
US10556720B2 (en) Foldable pallet deck
JP5061321B2 (ja) 搬送パレット
KR101952534B1 (ko)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
KR200399805Y1 (ko)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JP5678646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2010105691A (ja) 折り畳み式ラック
KR20100030935A (ko)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
KR101484758B1 (ko) 어셈블리 박스용 측벽 및 어셈블리 박스
KR102498618B1 (ko) 물품이송박스용 파레트
JP2022074436A (ja) 輸送パレットの段積み用サポートフレーム
JP3207288U (ja) 組立式容器および支持具
JP4116313B2 (ja) 運搬容器
JP2020083372A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CN110254898A (zh) 一种托盘
KR20200026482A (ko) 차량용 적재 장치
CN218618222U (zh) 一种集装箱底架及集装箱
KR20200056678A (ko) 조립식 스태킹 랙
KR200386721Y1 (ko) 제품보관용 팔레트
US10676238B2 (en) Anti-sagging devices and assemblies for racking pallets
CN109850314B (zh) 物流车用装配式货箱
US20230182955A1 (en) Pallet having stackable structure
JP3211035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3164495U (ja) コンテナ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