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121B1 - 파렛트용 지지틀 - Google Patents

파렛트용 지지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121B1
KR100430121B1 KR10-2001-0070295A KR20010070295A KR100430121B1 KR 100430121 B1 KR100430121 B1 KR 100430121B1 KR 20010070295 A KR20010070295 A KR 20010070295A KR 100430121 B1 KR100430121 B1 KR 100430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ece
frames
locking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399A (ko
Inventor
장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Priority to KR10-2001-007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121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1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of skeleton construction, e.g. made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54Materials for the side walls
    • B65D2519/0016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B65D2519/0058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 B65D2519/0058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65D2519/0059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렛트용 지지틀에 관한 것으로서, 각기 하단에 결합편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연결되는 앵글바와 사방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사방프레임 중 좌우프레임은 등분된 좌우측판을 힌지로 절첩가능케 연결되고 펼침시에는 일측 측판에 연결된 고정편(105)(107)이 펼침상태를 유지하는 파렛트용 지지틀에 있어, 전면프레임 (20)은 좌우분리구성하여 지지대(12)(14)에 힌지로 연결하고 일측 측판(14)의 내측에는 잠금봉(56)을 연결설치하여 닫힘시 이와 마주하는 앵글바(28)의 걸림편(66)과 잠금이 이루어지게 하고, 그 상부에는 타측하방으로 경사진 안내장공(72)에 잠금핀(74)이 끼워진 잠금편(78)을 연결설치하고, 타측측판 (46)의 모서리에는 걸림편(80)을 돌출형성하여 전면프레임(20)의 닫힘시 좌우측판 (44)(46)이 잠금편(78)에 의해 닫힘을 유지하도록 하고, 측면프레임(24)의 양측 또는 일측 상하에는 잠금봉(114)이 스프링(112)으로 탄력설치된 연결편(106)과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편(108)을 연결형성하고, 지지대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편(118)과 결합핀(124)이 상부로 돌출형성된 연결편(120)을 연결형성하여 측면프레임(24)(26)이 상기 잠금봉(114)과 결합핀(124)에 의해 분리가능케 연결되게 하므로서 전면프레임(20)을 개방하여 그 개방부를 통하여 물품의 적재 및 하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물품의 적재 및 하차시 그 측방향으로부터 지지틀을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적재 및 하치작업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렛트용 지지틀{Side frame for pallet}
본 발명은 규격화된 목재나 합성수지재 파렛트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파렛트용 지지틀에 관한 것이다.
파렛트용 지지틀의 선행기술로서는 본건 출원인의 공개실용신안 2000-5957호와, 일본실개소51-153966호 및 일본특개평5-278784호등 여러건을 예로 들수가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사방프레임 중 전후프레임은 상하판으로 분리구성하여 하판으로부터 상판을 개폐가능케 연결하고, 좌우프레임은 좌우두개의 측판으로 분리구성한 다음 힌지로 절첩가능케 연결하여 물품적재시 전후프레임의 상판을 개방하여 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보관시에는 좌우프레임을 이용한 절첩으로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한 구조로 된 것임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물품의 적재 및 하치시에는 최소한 전후프레임의 하판이 갖는 높이만큼은 들어올려 주어야 하므로 물품의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클 경우 적재 및 하치작업이 여간 힘들고 까다로운 일이 아닐 수 없고 또 이로 인하여 부피가 크고 무거운 물품의 운반용으로는 이용할 수가 없어 지지틀의 이용폭이 줄어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에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절첩이 가능하면서도 무겁고 부피가 큰 물품의 적재 및 하치작업까지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고 그에 따라 지지틀의 이용폭을 더욱 확대시켜 줄 수가 있는 파렛트용 지지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프레임을 좌우측판으로 분리구성하여 개폐가능케 연결설치하되 닫힘시 일측 측판은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되는 긴 잠금봉과 걸림편에 의해 잠금이 유지되게 하고, 후방프레임은 하부측판으로부터 상부측판을 개폐가능케 연결구성하며, 좌우프레임은 힌지로 연결되는 좌우측판으로 분리구성하되 지지대와는 잠금봉과 결합핀을 이용하여 분리가능케 연결하여 물품의 적재 및 적재된 물품의 하치작업시 전면프레임을 개방하거나 또는 파렛트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해 줄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전면프레임의 일부정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의 일부확대사시도
도 4 : 본 발명 측면프레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 후방프레임의 일부정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의 요부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지지틀 (4)(6)(8)(10)--결합편
(12)(14)(16)(18)--지지대 (20)(22)(24)(26)--프레임
(28)(30)(32)(34)--앵글바 (36)(38)(40)(42)--받침편
(44)(46)--측판 (48)(50)--힌지
(52)--연결편 (54)--손잡이
(56)--잠금봉 (58)--지지편
(60)--스프링 (62)--경사면
(66)--걸림편 (68)--고정편
(70)--작동실 (72)--안내장공
(74)--잠금핀 (76)--결합돌기
(78)--잠금편 (80)--걸림편
(82)--결합공 (84)--상부측판
(86)--하부측판 (88)(104)--힌지
(90)--잠금구 (92)--지지편
(96)(98)(100)(102)--측판 (105)(107)--고정편
(106)(108)(118)(120)--연결편 (110)--손잡이
(112)--스프링 (114)--잠금봉
(124)--결합핀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 지지틀(2)은 하단에 결합편(2)(4)(6) (8)(10)이 용접형성된 네개의 지지대(12)(14)(16)(18)와, 상기 지지대(12)(14)(16) (18)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사방프레임(20)(22)(24)(26)과, 상기 사방프레임(20) (22)(24)(26) 하부에 갖는 앵글바(28)(30)(32)(34)와, 각 모서리부 상부에 연결설치되는 받침편(36)(38)(40)(42)으로 구성된다.
상기에 있어 사방프레임(20)(22)(24)(26) 하부에 갖는 앵글바(28)(30)(32) (34) 중 전면의 앵글바(28)는 전면프레임(20)과 분리구성하여 좌우결합편(4)(6) 사이에 일체감있게 용접고정하고, 후방의 앵글바(30)는 후방프레임(22)과 좌우결합편 (8)(10) 사이에 일체감있게 용접형성하며, 좌우앵글바(32)(34)는 좌우프레임(24) (26)에 일체감있게 용접형성하여 결합편(4)(6)(8)(10)과 앵글바(28)(30)(32)(34) 사이에 파렛트가 결합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 전면프레임의 일부정면구성도로서, 사방프레임(20)(22)(24) (26) 중 전면프레임(20)은 좌우측판(44)(46)으로 분리구성하여 각각 지지대(12) (14)에 힌지(48)(50)로 연결하고, 일측 측판(44)의 내측수직바 안쪽에는 수개의 연결편(52)을 이용하여 손잡이(54)를 갖는 긴 잠금봉(56)을 수직바와 나란히 연결설치하여 상기 잠금봉이 일측 측판(44) 하방으로 출몰하도록 하고, 상기 잠금봉(56)의 돌출길이를 결정하는 지지편(58)과 하부연결편(52) 사이에는 스프링(60)을 설치하여 잠금봉(56)을 하방으로 탄력지지토록 한다.
상기 일측측판(44)의 잠금봉(56)과 마주하는 앵글바(28)에는 전방의 경사면(62)을 지나 잠금공(64)이 형성된 걸림편(66)을 용접형성하여 일측 측판(44)의 닫힘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측 측판(44)의 하부전면에는 고정편(68)을 타측으로 돌출되게 용접형성하여 닫힘시 타측측판(46)을 지지토록 한다.
또한 전면프레임(20)을 구성하는 일측측판(44)의 내측 상부 모서리부에는 작동실(70) 요입형성하고, 상기 작동실(70)의 인근 상부에는 상면으로부터 양측면이 절곡형성된 긴 형태로서 그 측면에 타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안내장공(72)을 통하여 잠금핀(74)이 끼워 설치되고 타측 하부에는 결합돌기(76)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잠금편(78)을 축핀으로 연결설치한다.
또한 타측측판(46)에는 내측 상부 모서리부에 걸림편(80)을 용접형성하여 일측 측판(44)의 작동실(70) 내부로 돌출되게 하고, 잠금편(78)의 잠금시 결합돌기 (76)와 마주하는 상부수평바에는 결합공(82)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확대사시도로서, 후방프레임의 정면구성도로서, 후방프레임(22)은 상하측판 (84)(86)으로 분리구성하여 하부측판(86)은 좌우지지대(16) (18) 및 앵글바(30)와 일체감있게 용접형성하고, 상부측판(84)은 하부측판(86) 상부에 힌지(88)로 연결하고, 상부측판(84)의 양측 상부에는 잠금구(90)를 외측으로 출몰가능토록 설치하여 상기 잠금구(90)를 받쳐주는 지지편(92)이 잠금구(90)의 잠금 및 해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잠금구(90)와 마주하는 지지대(16)(18)에는 잠금공을 형성한다.
측면프레임(24)(26)은 등분된 좌우측판(96)(98)(100)(102)을 힌지(104)로 연결구성하고, 일측 측판(96)(100)의 내측상부에는 상판으로부터 양측판을 절곡형성한 비교적 긴 고정편(105)(107)을 축핀으로 연결설치하여 좌우측판(96)(98)(100)(102)의 펼침상태에서 타측측판(98)(102)과 결합되게 하면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좌우지지대(12)(14)(16)(18)와는 분리가능케 연결한다.
도 4는 본 발명 측면프레임과 지지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측면프레임(24)(26)의 양측 상하에 연결편(106)(108)을 돌출형성하여 상부연결편(106) 저면에 손잡이(110)가 형성되고 또 스프링(112)이 상부로 탄력지지하는 잠금봉 (114)을 상부로 출몰가능케 연결설치하고, 하부연결편(108)에는 결합공을 관통형성한다.
상기 측면프레임(24)(26)을 연결지지하는 지지대(12)(14)(16)(18)에는 측면프레임(24)(26)의 양측에 돌출형성된 연결편(106)(108) 외측으로부터 약간의 간격을 두고 접하는 연결편(118)(120)을 돌출형성하여 그 중 상부연결편(118)에는 측면프레임의 상부연결편(106)에 설치된 잠금봉(114)이 드나들 수 있는 결합공을 관통형성하고, 하부연결편(120)에는 결합핀(124)을 상부로 돌출형성하여 상기 결합핀 (124)이 측면프레임(24)(26)의 하부연결편(108)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게 한다.
상기에 있어 지지대와 측면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편(106)(108)(118)(120)의 잠금봉(114)과 결합핀(124) 그리고 결합공은 지지대(12)(14)(16)(18)로부터 측면프레임(24)(26)을 분리가능케 연결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측 모두 잠금봉과 결합핀(24) 그리고 결합공을 통하여 연결해 주게 되면 필요에 따라 사방프레임(20) (22)(24)(26)이 각기 분리되도록 하거나 또는 전면프레임(20)과 일측 프레임(24) 그리고 후면프레임(22)과 타측프레임(26)이 서로 연결되는 두개로 분리되게 하거나 또는 어느 한 측면프레임의 일측만 분리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측면프레임(24) (26)의 일측만 분리가능케 구성하고 다른 일측은 힌지로 연결하여 구성하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 지지틀(2)의 상부모서리부에 연결설치되는 받침편(36)(38)(40)(42)은 상면이 엠보싱가공형성된 판체로서, 각기 측면프레임(24)(26)의 양측 상부에 힌지로 연결하여 펼침시 그 외측이 인근의 전후프레임(20)(22) 상면과 접하여 지지되게 한다.
본 발명 지지틀(2)은 측면프레임(24)(26)의 양측 상하에 돌출형성된 연결편(106)(108) 중 하부연결편(108)의 결합공 저부로부터 지지대(12)(14)(16) (18)의 하부연결편(120)에 돌출형성된 결합핀(124)이 결합되게 하고 뒤이어 측면프레임(24)(26)의 상부연결편(106)에 스프링(112)으로 탄력설치된 잠금봉(114)의 손잡이(110)를 잡고 하방으로 후퇴시켜서 상기 연결편(106)의 출몰공이 지지대의 상부연결편(118)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하로 일치되게 한 다음 잡고 있던 손잡이(110)를 놓아주게 되면 잠금봉(114)이 스프링(112)의 반발력으로 상부로 돌출하여 지지대의 상부연결편(118)이 갖는 결합공에 결합되며, 결합후 잠금봉(114)을 인위적으로 후퇴시켜 주지 않는한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또 잠금봉(114)과 결합핀(124)은 힌지로서의 역할을 겸하여 측면프레임(24)(26)의 절첩이 가능토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조립후 전면프레임(20)의 타측 측판(46)을 먼저 닫고, 일측 측판(44)을 닫아주게 되면 상기 일측측판(44)의 내측에 설치된 잠금봉(56)의 하단부가 닫힘직전 앵글바(28)에 용접형성된 걸림편(66)의 경사면(62)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닫힘시에는 그 자중 및 스프링(60)의 반발력으로 하방으로 돌출하여 이와 마주하는 잠금공에 결합되어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일측측판(44)의 전면 하부에 용접형성된 고정편(68)은 타측측판(46)의 하부전면과 접하여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전면프레임(20)을 구성하는 좌우측판(44)(46)의 닫힘후 일측측판(44)의 내측상부에 연결설치된 잠금편(78)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좌우측판(44) (46)을 연결해 주게 되면 좌우측판(44)(46)의 상부 모서리부가 잠금편(78)의 내측에 결합되고 또 저부로 돌출된 결합돌기(76)는 타측측판(46)의 결합공(82)에 결합되며, 타측하방으로 경사진 안내장공(72)에 끼워 설치된 잠금핀(74)은 그 자중에 의해 일측 측판(44)의 모서리부에 갖는 작동실(70)을 통하여 타측 하방으로 이동하여 타측측판(46)의 모서리부로부터 작동실(70) 내부로 돌출형성된 걸림편(80) 저면과 접하여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잠금편(74)의 잠금시에는 지지틀(2)이 일측으로 기울거나 또는 잠금핀(74)을 인위적으로 후퇴시켜 주지 않는 한 견고한 잠금으로 좌우측판(44) (46)으로 분리구성된 전면프레임(20)을 펼침상태로 유지시켜 주게 된다.
후방프레임(22)은 하부측판(86)과 힌지(88)로 연결설치된 상부측판(84)을 직립시켜서 그 양측 상부에 설치된 잠금구(90)를 외측으로 돌출시켜 주게 되면, 상기 잠금구(90)가 지지대(16)(18)의 잠금공과 잠금이 이루어져 직립고정되며 이때 잠금구(90)는 손잡이가 받침편(92)을 사이에 두고 옮겨 다니면서 잠금 및 해지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잠금구(90)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지 않는 한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측면프레임(24)(26)은 각각 좌우측판(96)(98)(100)(102)을 펼쳐서 일측측판(98)(100)에 연결설치된 고정편(105)(107)을 회전시켜 서로 마주하는 좌우측판 (96)(98)(100)(102)의 상부모서리부에 결합해 주게 되면, 고정편(105)(107)을 구성하는 상면과 양측면에 좌우측판을 연결지지하여 측면프레임(24)(26)을 펼침상태로 유지시켜 주게 되고, 상기 고정편 역시 인위적으로 조작하지 않는 한 자중에 의해 측면프레임(24)(26)의 펼침상태를 견고히 유지시켜 주게 되므로 지지틀(2)은 물품적재가 가능한 평면사각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평면사각으로 펼쳐진 지지틀(2)은 종전과 같이 파렛트 상부로부터 결합해 주게 되면 각 지지대(12)(14)(16)(18)의 저부에 용접형성된 결합편(4) (6)(8)(10)과 앵글바(28)(30)(32)(34) 사이에 파렛트의 상부모서리부가 결합되어 물품적재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물품적재시에는 적재하고자 하는 물품이 가볍거나 또는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종전과 같이 후방프레임(22)의 상부측판(84)을 개방하고 그 개방부를 통하여 물품을 적재해 주면 된다.
그러나 적재하고자 하는 물품이 맥주회사의 생맥주 저장탱크나 또는 탄산가스 저장탱크 등과 같이 무겁고 부피가 클 경우에는 전면프레임(20)을 개방하고 그 개방부를 통하여 물품을 적재 및 하치시켜 주면 된다.
상기 전면 프레임(20)은 좌우측판(44)(46)을 연결지지하고 있는 잠금편(78)의 잠금핀(74)을 잡고 일측으로 상향경사진 안내장공(72)을 따라 후퇴시켜서 타측측판(46)의 걸림편(80)과 걸림을 해지시킨 상태에서 잠금편(78)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좌우측판(44)(46)이 분리되게 하고, 뒤이어 잠금봉(56)의 손잡이(54)를잡고 상부로 당겨서 상기 잠금봉(56)의 하단부가 걸림편(66)의 잠금공으로부터 분리시켜 주게 되면 좌우측판(44)(46)은 지지대(12)(14)를 연결하는 힌지(48)(50)를 축으로 개방된다.
상기 전면프레임(20)의 개방시 전면프레임(20)을 연결지지하는 지지대 (12)(14)는 전면프레임(20)과 분리구성되는 앵글바(28)가 일체감을 갖고 연결지지하게 되므로 파렛트와는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물품을 파렛트가 갖는 높이만큼만 들어올려서 적재해 주면 되므로 후방프레임(22)의 상부측판(84)을 개방한 상태에서 물품을 적재 및 하치시켜 주는데 비해 적재 및 하치가 더욱 신속하게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물품 적재후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타측측판(46)을 닫고, 뒤이어 일측 측판(44)을 닫아 주게 되면 별다른 조작없이 잠금봉(56)의 잠금 및 고정편(68)의 지지로 닫힘이 유지되고 또 잠금편(78)의 잠금으로 더욱 견고한 잠금이 이루어지게 됨다.
물품이 적재된 파렛트와 지지틀(2)은 보관 및 운반시 공간활용율을 높이기 위하여 적측해 주고자 할 경우 측면프레임(24)(26)의 양측 상부에 힌지로 연결된 받침편(36)(38)(40)(42)을 내측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상기 받침편(36)(38)(40) (42)의 외측은 전후프레임(20)(22)의 상면과 접하여 지지되므로 그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파렛트를 보다 안정감 있게 받쳐주게 된다.
또한 적재된 물품의 하치작업시에는 전면프레임(20)을 개방하고 하치시켜 줄수도 있으나 다른 방법으로서는 측면프레임(24)(26)을 연결하는 잠금봉(114)의 손잡이(110)을 잡고 하방으로 당겨서 상기 잠금봉(114)이 지지대(12)(14)(16) (18)의 연결편(118)에 형성된 결합공으로부터 분리되게 한 상태에서 측면프레임(24) (26)을 약간 들어올려서 지지대의 결합핀(124)을 연결편(108)의 결합공으로부터 이탈시켜 주게 되면 지지틀(2)은 파렛트 상에 물품이 안치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완전분리되므로 지지틀(2)의 분리후 적재된 물품을 하치시켜 줄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지지틀(2)의 분리시 상기 지지틀(2)을 구성하는 측면프레임(24)(26)은 양측 모두 잠금봉(114)과 결합핀(124)을 이용하여 분리가능케 연결해 줄 경우 측면프레임(24)(26)을 전후프레임(20)(22)으로부터 완전분리해 줄 수도 있고, 또 측면프레임(24)(26)은 일측만 분리하여 전면프레임(20)과 일측프레임(24) 그리고 측면프레임(22)과 타측프레임(26)이 분리되게 할 수도 있으며, 좌우프레임(24)(26) 중 어느 한 프레임의 일측만 분리하여 사방 프레임(20)(22)(24)(26)이 전체적으로는 연결되면서 파렛트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측면프레임(24)(26)은 양측 중 일측은 잠금봉(114)과 결합핀(124)을 이용하여 분리가능케 연결하고 다른 일측은 힌지로 분리불가능하도록 연결해 주더라도 물품의 적재상태에서 물품의 측방향으로 분리시켜 줄 수가 있게 되므로 동일기술범주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물품의 하치작업시 적재된 물품이 부피가 크고 무거울 경우 측면프레임(24)(26)을 연결하는 잠금봉(114)과 결합핀(124)을 이용하여 지지대(12) (14)(16)(18)로부터 분리하여 파렛트 상에 적재된 물품의 측방향으로 해체한 다음하치시켜 줄 수가 있게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적재된 물품의 하치시에만 지지틀을 분리시켜 주는 것은 아니며, 물품 적재시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가 크고 무거운 것으로서 파렛트 상에 안정감있게 적재될 수 있는 경우 상기 파렛트 상에 물품을 먼저 적재하고 지지틀(2)을 구성하는 측면프레임(24)(26)을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분리하여 적재된 물품의 측방향으로부터 지지틀을 빙둘러서 연결해 주게 되면 전면프레임(20)을 개방하고 물품을 적재하는데 비해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해 줄수가 있게 된다.
사용후 보관시에는 종전과 같이 각각 좌우측판으로 분리된 측면프레임(24) (26)을 펼침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편(105)(107)을 분리하고 좌우측판(96)(98)(100) (102)을 연결하는 힌지를 이용하여 측면프레임(24)(26)을 내측으로 절첩보관할 수도 있고, 측면프레임(24)(26)을 연결하는 잠금봉(114)과 결합핀(124)을 이용하여 사방프레임(20)(22)(24)(26)을 완전 또는 일부 분해하여 보관토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피가 크고 무거운 물품의적재 및 하치작업시 전면프레임(20)을 완전개방하여 그 개방부를 통하여 적재 및 하치하거나 또는 파렛트 상에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지지틀을 조립고정하여 지지틀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하거나 또는 하치시 지지틀(2)을 분리하고 적재된 물품을 하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지지틀의 이용폭이 더욱 확대되고 또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물품을 적재 또는 하치시켜 줄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네 개의 지지대(12)(14)(16)(18)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연결되는 앵글바(28)(30)(32)(34)와, 사방프레임(20)(22)(24)(26)으로 구성되고 사방프레임 중 측면프레임(24)(26)은 좌우분리구성하여 힌지(104)로 연결하고 그 상부에는 펼침상태를 유지하는 고정편(125)(107)을 연결하여서 된 파렛트용 지지틀에 있어서, 전면프레임 (20)은 좌우측판(44)(46)으로 분리구성하여 지지대(12)(14)에 힌지로 연결하고, 일측 측판(44)의 내측에는 손잡이(54)를 갖는 긴 잠금봉(56)을 하방으로 출몰하도록 연결설치하고, 이와 마주하는 앵글바(28)에는 잠금공을 갖는 걸림편(66)을 용접형성하고, 그 상부 모서리에는 작동실(70)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실(70) 인근에는 타측으로 하향경사진 안내장공(72)에 잠금핀(74)이 끼워 설치된 잠금편(78)을 축핀으로 연결설치하고, 타측측판(46)의 상부 모서리에는 걸림편(80)을 돌출형성하여서 된 파렛트용 지지틀.
  2. 네 개의 지지대(12)(14)(16)(18)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연결되는 앵글바(28)(30)(32)(34)와, 사방프레임(20)(22)(24)(26)으로 구성되고 사방프레임 중 측면프레임(24)(26)은 좌우분리구성하여 힌지(104)로 연결하고 그 상부에는 펼침상태를 유지하는 고정편(125)(107)을 연결하여서 된 파렛트용 지지틀에 있어서, 측면프레임(24)(26)의 양측 또는 일측의 상하에 잠금봉(114)이 스프링(112)으로 탄력설치되는 연결편(106)과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편(108)을 연결형성하고, 이와 마주하는 지지대(12)(14)(16)(18) 상하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편(118)과 결합핀(124)이 상부로 돌출형성된 연결편(120)을 측면프레임(24)(26)의 연결편(106)(108) 외측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연결형성하여서 된 파렛트용 지지틀.
KR10-2001-0070295A 2001-11-13 2001-11-13 파렛트용 지지틀 KR100430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95A KR100430121B1 (ko) 2001-11-13 2001-11-13 파렛트용 지지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95A KR100430121B1 (ko) 2001-11-13 2001-11-13 파렛트용 지지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399A KR20030039399A (ko) 2003-05-22
KR100430121B1 true KR100430121B1 (ko) 2004-05-03

Family

ID=2956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295A KR100430121B1 (ko) 2001-11-13 2001-11-13 파렛트용 지지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1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685B1 (ko) * 2013-02-04 2013-08-14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덤프형 절첩식 박스파렛트
KR20220142191A (ko) * 2021-04-14 2022-10-21 공간찬넬주식회사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17B1 (ko) * 2007-04-13 2008-05-22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파렛트용 지지틀
KR102024082B1 (ko) * 2019-04-04 2019-09-24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전면 도어를 가진 컨테이너
KR200491835Y1 (ko) * 2019-04-10 2020-06-12 (주)헬파티엘에스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784A (ja) * 1992-04-03 1993-10-26 Katsuto Yanagimoto 折り畳み自在な運搬容器
JPH0678234U (ja) * 1993-04-19 1994-11-04 ヤマト・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ボックスパレット
JPH0740986A (ja) * 1993-07-16 1995-02-10 Gifu Plast Ind Co Ltd フレーム付きパレット
KR970027618A (ko) * 1995-11-28 1997-06-24 전성원 데크도어 록킹장치
KR980007998U (ko) * 1996-07-31 1998-04-30 안효순 오픈형 적재파렛트
KR20000005957U (ko) * 1998-09-04 2000-04-06 김정식 파렛트용 지지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784A (ja) * 1992-04-03 1993-10-26 Katsuto Yanagimoto 折り畳み自在な運搬容器
JPH0678234U (ja) * 1993-04-19 1994-11-04 ヤマト・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ボックスパレット
JPH0740986A (ja) * 1993-07-16 1995-02-10 Gifu Plast Ind Co Ltd フレーム付きパレット
KR970027618A (ko) * 1995-11-28 1997-06-24 전성원 데크도어 록킹장치
KR980007998U (ko) * 1996-07-31 1998-04-30 안효순 오픈형 적재파렛트
KR20000005957U (ko) * 1998-09-04 2000-04-06 김정식 파렛트용 지지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685B1 (ko) * 2013-02-04 2013-08-14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덤프형 절첩식 박스파렛트
KR20220142191A (ko) * 2021-04-14 2022-10-21 공간찬넬주식회사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
KR102562363B1 (ko) * 2021-04-14 2023-08-01 공간찬넬주식회사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399A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9093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および折り畳まれたコンテナを輸送する方法
US8267018B2 (en) Load support
AU756030B2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transporting a liquid
US6422409B2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an unbroken top wall
US20050150892A1 (en) Collapsible container having recessed lid locking latches
US11116174B2 (en) Collapsible pet crate
KR101648388B1 (ko)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EP0404520B1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storage and transport of manufactured articles
KR100430121B1 (ko) 파렛트용 지지틀
JP2010105691A (ja) 折り畳み式ラック
JP3903253B2 (ja) 輸送用折畳コンテナ
CN217436670U (zh) 一种托盘箱
JP4544738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ー
CN113291649A (zh) 一种托盘箱
JP5976591B2 (ja) 折畳み容器
JP2000128160A (ja) 梱包用コンテナ
KR101250958B1 (ko)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KR100560995B1 (ko) 부품적재용 파렛트
KR100345636B1 (ko) 물품적재용 파렛트
CN219447618U (zh) 可折叠容器
CN215156553U (zh) 折叠篮
US20230399142A1 (en) Collapsible Crate
JP2500274Y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KR20220142052A (ko) 접이식 캠핑박스
JPH0939954A (ja) 簡易組立式通い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