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835Y1 -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 - Google Patents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835Y1
KR200491835Y1 KR2020190001463U KR20190001463U KR200491835Y1 KR 200491835 Y1 KR200491835 Y1 KR 200491835Y1 KR 2020190001463 U KR2020190001463 U KR 2020190001463U KR 20190001463 U KR20190001463 U KR 20190001463U KR 200491835 Y1 KR200491835 Y1 KR 200491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rame
door frame
palle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경
Original Assignee
(주)헬파티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파티엘에스 filed Critical (주)헬파티엘에스
Priority to KR2020190001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8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54Materials for the side walls
    • B65D2519/0016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223Materials for the corner elements or corner frames
    • B65D2519/00233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0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whereby at least one side wall is made of two or more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B65D2519/0058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 B65D2519/0058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65D2519/0059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65D2519/0064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65D2519/00646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by mean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을 적재하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프레임이 구비되고, 베이스프레임의 각 코너에는 지주를 지지하는 지주브라켓이 구비되고, 베이스프레임의 둘레 양변에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지주에 수직상태로 결속되는 한 쌍의 측면도어가 구비되되, 측면도어는 제1힌지장치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로 접철되는 상부도어프레임 및 하부도어프레임을 포함하고, 측면도어에는 상부도어프레임과 하부도어프레임이 접철된 상태에서 측면도어를 추가로 접철하도록 하부도어프레임을 지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힌지장치가 양단부에 구비됨으로써, 측면도어를 2단으로 폴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PALLET HAVING FOLDING DOOR}
본 고안은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면도어를 이단으로 접어서 베이스프레임에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을 포장하거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파레트가 존재한다. 화물의 적재 및 운반을 위한 파레트는 상,하부면이 평면인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면에 화물을 적재하여 비교적 크기가 큰 화물이나 다량의 화물을 한 번에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류관리 시 물건의 이송 및 보관을 간편하게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파레트에는 적재된 화물의 이송 과정에서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파레트의 각 코너에 수직으로 세워진 지주가 결합되고 이 지주들 사이에는 도어 또는 측벽으로서 기능하는 측판부재가 연결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들 파레트를 보관할 경우에는, 파레트가 차지하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사용시에만 원하는 형상을 하며, 보관시에는 그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파레트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신용신안공보 제20-0399805호(접철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를 통해, 측판을 접어서 베이스프레임에 포개는 것이 가능한 파레트가 제시되어 있다. 즉, 종래의 파레트는 지주 또는 측판부재들이 접철되어 베이스프레임에 포개어지거나, 베이스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파레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그 부피를 줄여 보관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파레트는 작업자의 키와 비슷한 높이를 가진 측판부재로 인해서 측판부재를 접어 보관하거나 이를 다시 세울 경우에 측판부재를 잡고서 작업하는 것이 불편할 뿐더러, 회동 작동중에 측판부재를 놓쳐 측판부재가 전도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측판부재는 힌지회동되는 구조로 인해, 힌지연결된 측판부재의 하측이 아닌 상측을 파지한 상태로 들어 올려야하는데, 측판부재의 높이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측판부재의 상측부가 접철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곳이 반대편의 측판부재가 설치된 위치까지 놓여지게 되므로, 이를 들어올리려면 파레트 위로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서 측판부재나 지주들을 밟고서 작업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작업자의 체중에 의해 부재들이 휘거나 파손될 위험성 또한 존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파레트는, 대향하는 2개의 측판부재가 적재 보관됨에 있어 하나의 측판부재 위로 다른 측판부재가 적층된 상태로 놓여짐으로써, 파레트를 사용할 시 위에 놓인 측판부재를 우선적으로 세운 뒤에 아래에 놓인 측판부재를 세워야 하므로 작업 수행 순서를 제한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KR 20-0399805 Y1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측면도어를 사용시는 베이스프레임에 수직하게 세워 설치하고, 비사용시는 측면도어를 베이스프레임에 구속한 상태로 베이스프레임 위로 회전시켜 베이스프레임에 평행하게 구비할 수 있도록 한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측면도어가 일정 높이를 갖더라도 이를 반으로 접은 상태로 접철하거나 다시 세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레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시 작업상의 위험성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잇는 파레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측면도어를 수직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외부충격 등에 의한 우발적인 접철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파레트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는, 물품을 적재하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각 코너에 설치되어 지주를 지지하는 지주브라켓, 및 베이스프레임의 둘레 양변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도어를 포함하고, 측면도어는 상하로 분할 구성되는 상부도어프레임 및 하부도어프레임을 포함하여, 그 분할된 변이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측면도어에는 상부도어프레임을 하부도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힌지장치와, 하부도어프레임을 지주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힌지장치를 갖는 힌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측면도어를 2단으로 폴딩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도어는, 제1힌지장치는 상부도어프레임이 하부도어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접철되어 하부도어프레임에 포개지도록 양 프레임을 연결하며, 제2힌지장치는 하부도어프레임을 베이스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접철되도록 함으로써, 양 프레임이 포개어진 상태로 베이스프레임에 적층 보관될 수 있다.
더욱이, 힌지브라켓의 힌지공은 상측이 개방된 "U"자 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되되, 힌지공의 상측 개방부에는 그 폭을 감소시키도록 내향 돌출되는 내향돌부가 구비되며, 힌지돌기는 힌지공의 상측 개방부를 통해 힌지공에 삽입되되, 가로폭 또는 세로폭의 길이 중 어느 하나가 상측 개방부의 폭과 대응하도록 좁게 형성됨으로써, 하부도어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그 위치가 전환되어 힌지공의 상측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어, 측면도어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탈을 제한한다.
아울러, 측면도어를 전개된 수직상태로 지주에 결속 고정하기 위한 구속수단이 구비되며, 구속수단은, 상부도어프레임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상부도어프레임을 지주의 상부에 구속하는 제1구속부와, 하부도어프레임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하부도어프레임을 지주의 하부에 구속하는 제2구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2구속부는, 지주의 하부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고정브라켓 및 하부도어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2고정브라켓에 결속 가능하게 작동하는 제2고정핀을 갖는 제2구속부를 포함하고, 제2고정브라켓에는 제2고정핀이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되, 제2고정브라켓은 제2관통공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도어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제2고정핀이 출입되도록 개방형성되는 출입부와, 제2관통공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출입부를 통해 진입한 제2고정핀을 내측에 수용하는 잠금부를 포함함으로써, 하부도어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한다.
한편, 베이스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좌우로 분할되고 각 지주에 힌지결합되어 양측으로 개폐되는 양개도어가 구비됨으로써,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는 측면도어가 설치되고, 다른 측부에는 양개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는,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측면도어를 사용시는 베이스프레임에 수직하게 세워 설치하고, 비사용시는 베이스프레임에 구속한 상태로 베이스프레임 위로 회동시켜 베이스프레임에 평행하게 구비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상태에서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파레트는, 제1힌지장치를 통해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의 외측으로 접철되도록 회동되고, 제2힌지장치를 통해 하부프레임을 베이스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접철되도록 회동됨으로써,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측면도어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양측에서 접철됨에 따라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고 2열로 나란히 위치될 수 있어 서로 간섭되지 않으며, 이에 각각의 측면도어를 개별적으로 접철하고 세우는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는, 작업자가 파레트를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측면도어가 제1힌지장치에 의해 반만 접힌 상태로 베이스프레임을 향해 완전히 접히거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전환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야 하는 측면도어의 전체 높이를 절반 가량으로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측면도어를 눕히고 세우는 작업이 수월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측면도어가 일정 무게를 갖더라도 그 회동 작동에 대한 무게중심이 낮게 형성됨으로써 전도될 위험성을 줄이고, 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측면도어가 제1힌지장치 없이 제2힌지장치에 의해서만 회전되는 경우라면, 작업자는 자신의 키와 비슷하거나 더 높이 위치된 측면도어의 측부 또는 상부를 파지한 상태로 도어를 접거나 세워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고 도어가 전도될 위험성이 존재하지만, 본 고안의 파레트는, 2단 접철 동작에 의해 측면도어의 높이가 반으로 줄어 작업자가 파지하는 위치가 기존보다 상당히 낮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고안의 파레트는 측면도어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접철되어 보관됨에 따라, 반으로 접힌 측면도어의 상측이 베이스프레임 위에 놓여지는 위치가 베이스프레임의 절반 부근에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파레트 위로 올라가지 않더라도 팔만 뻗어 베이스프레임의 외측에서 측면도어를 파지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고안의 파레트는 제1구속부와 제2구속부를 통해 측면도어를 수직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외부충격 등에 의한 우발적인 접철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의 비사용시 보관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의 지주 및 지주브라켓 간의 분리 및 결합 구성도이다.
도 5-1 내지 5-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의 측면도어의 접철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6-1 내지 6-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의 제2힌지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7-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의 제1구속부의 작동도며, 도 7-2는 제1구속부를 이용하여 양개도어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의 제2구속부의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의 사용시 복수의 파레트를 적층한 보관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의 비사용시 복수의 파레트를 적층한 보관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단 접철도어가 구비된 파레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을 올려 적재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의 코너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주(120)와, 지주(120)를 지지하는 지주브라켓(130)과, 베이스프레임(110)의 둘레 양변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도어(200)와, 측면도어(20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및 제2 힌지장치(310)(320)를 갖는 힌지부(300)를 포함하며, 측면도어(200)를 지주(120)에 구속하도록 구속수단(40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파레트는 사용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지주(120)와 도어들을 수직하게 세워 구비하고, 비사용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20) 및 도어들을 접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평행하게 위치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적재물을 적재 보관할 수 있는 있도록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코너부에는 네 쌍의 지주(120)가 지주브라켓(130)을 통해 세워져 구비되고, 둘레를 따라 각각의 변에는 지주(120)에 의해 지지되는 네 개의 도어들이 수직하게 세워져 구비된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10)의 둘레를 따라 마주하는 긴 변에는 각각의 측면도어(200)가 수직하게 세워져 서로 마주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베이스프레임(110)의 짧은 변에는 양개도어(250)와 고정도어(255)가 수직하게 세워져 서로 마주하게 된다. 베이스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측면도어(200)는 지주(120)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며, 양개도어(250)와 고정도어(255)는 지주(120)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여기에서, 양개도어(250)는 좌우 한 쌍의 부재로 구비되되 각 지주(120)에 복수의 힌지(251)를 통해 각 부재가 회전 개폐되는 구조로 작동하는 양문형의 개방 도어로 설치되고, 고정도어(255)는 양측이 양 지주(120)에 고정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측벽으로 기능한다. 각 도어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적재물의 충돌에 대해 탄력적으로 작용하여 충격으로부터 물품을 보호하는 보호판재(200a)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보호판재(200a)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각 도어에 설치된다. 이때, 보호판재(200a)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도록 도면의 단순화를 위해 도 3에서만 도시하고, 이외의 도면에서는 생략하였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는 고무판(200b)이 부착 설치됨으로써 상측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하면을 보호한다.
이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각 코너부에 배치되는 지주(120)와, 지주(120)를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주브라켓(130)이 구비된다.
지주(120)는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봉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지주브라켓(130)을 통해 수직으로 세워져 도어들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주(120)는 파레트(10)의 비사용시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지주브라켓(130)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지주(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에 가이드핀(121)이 지주(120)를 가로질러 관통되게 결합된다.
이 가이드핀(121)은 그 양측 단부가 후술할 지주브라켓(130)의 가이드공(131)을 관통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가이드공(131)에 구속된 상태에서, 가이드공(131)에 의해 상하로 이동 및 회전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지주(120)의 외측면에는 가이드핀(121)의 상부에 이격되어서, 지주브라켓(130)의 결합홈(132)에 형상 맞춤으로 결합되는 결합돌부(122)가 형성되고, 이 결합돌부(122)는 직사각형에서 하단부가 뾰족하게 돌출된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결합돌부(122)는 가이드핀(121)과 동일한 지주(120)의 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인접한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지주(120)의 결합돌부(122)가 지주브라켓(130)의 결합홈(132)에 형상 맞춤으로 결합되면, 지주(120)와 지주브라켓(130) 간의 유격이 최소화되어 지주(120)의 유동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지주(120)는 지주브라켓(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파레트(10)의 비사용시에는 회전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눕혀지게 된다. 이때, 지주(12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긴 변을 따라 눕혀지도록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후술할 힌지브라켓(322)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주(120)에 결합되어 있는 양개도어(250)의 경우 지주(12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적재될 수 있게 된다.
지주브라켓(130)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 각 코너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되, 도 4에서와 같이 지주(120)를 힌지회전 가능하게 파지함으로써 각 지주(120)를 접거나 세울 수 있도록 구비된다.
지주브라켓(130)은 지주(120)가 결합되도록 지주(120)의 외면에 대응하여 중공형인 사각 형상의 사각봉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지주브라켓(130)을 평면에서 사분면으로 나눴을 때 그 일분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주브라켓(130)에 그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주(120)가 지주브라켓(130)의 개구부 측으로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러한 지주브라켓(130)은 그 하단부에 받침대(부호 미표기)가 구비된다. 받침대는 지주브라켓(130)의 사각 형상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바닥면이 상방으로 함몰된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10에서와 같이, 파레트(10)의 비사용시 다수의 파레트(10)가 적층되는 경우에, 지주브라켓(130)의 상단부에 올려져 적층되게 구비된다. 이때, 하측에 위치된 다른 파레트(10)의 지주브라켓(130)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된 파레트(10)의 받침대의 바닥면에 일부 삽입되어 구비됨으로써 파레트(10)를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주브라켓(130)의 양측면에는 지주브라켓(130)에서 회전되는 지주(120)의 가이드핀(121)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공(131)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이로써, 후술될 지주(120)의 가이드핀(121)이 가이드공(131)의 하부에 위치되면 지주(120)가 지주브라켓(130)에서 수직하게 세워져 구비되고, 지주(120)의 가이드핀(121)이 가이드공(131)의 상부에 위치되면 지주(120)가 지주브라켓(130)에서 베이스프레임(110) 측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공(131)의 높이는 서로 마주하는 양편의 지주(120)를 베이스프레임(110) 측으로 회전시켜 양 지주(120)를 포개어 적층되게 구비할 때, 양 지주(120)의 가이드핀(121)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가이드공(131)의 상부에 걸림되어 간섭되지 않을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지주브라켓(130)의 상단부에는 아래 방향으로 단차진 "U"자 형상의 결합홈(132)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지주(120)의 외측면에는 결합돌부(12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주(120)의 결합돌부(122)가 지주브라켓(130)의 결합홈(132)에 삽입되면, 지주(120)는 지주브라켓(130)에서 정위치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견고히 고정되어 회전이 불가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결합돌부(122)와 결합홈(132)은 대응하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이들의 결합시 결합돌부(122)와 결합홈(132) 간의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지주브라켓(130)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지주(120)의 유동이 최소화되어 지주(120)가 베이스프레임(110)에 적재되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파레트의 비사용시 양개도어(250)와 함께 지주(120)를 회전시켜 접은 상태로 보관할 때, 지주(120)가 베이스프레임(110)의 외측 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베이스프레임(110)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보강부재(111)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재(111)는 "ㄱ"자의 프레임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되게 마련된 수직부의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고정되고, 수평되게 마련된 수평부의 단부가 지주브라켓(130)에 고정 설치된다. 즉, 보강부재(111)는 마주하는 지주브라켓(130)의 개방부측 외측면과 베이스프레임(110)의 외측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지주(120)가 회전되어 베이스프레임(110)에 적재될 시 보강부재(11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배치됨에 따라, 지주(120)가 외측 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보강부재(111)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지주브라켓(13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바, 베이스프레임(110)에 수직으로 세워진 지주브라켓(13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작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측면도어(200)는 지주(120)와 지주브라켓(130)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에 수직되게 세워져 구비된다. 이때, 측면도어(200)는 접철식으로 설치되어 보관시 접철된 상태로 베이스프레임(110)에 상면에 적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측면도어(200)는 상하로 분할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부프레임(210) 및 하부프레임(220)을 포함하는데, 사용시에는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이 서로 인접한 변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되 베이스프레임(110)에 수직되게 세워져 파레트(10)의 측벽으로서 기능하고, 보관시에는 접철되어서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적재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파레트에는 측면도어(200)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힌지부(300)는 측면도어(200)를 각각의 접철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힌지장치(310)와 제2힌지장치(320)를 포함한다. 힌지부(300)는 제1힌지장치(310)를 통해 측면도어(200)의 양 프레임을 서로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제2힌지장치(320)를 통해 측면도어(200)를 지주(12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서 측면도어(200)는 제1힌지장치(310)를 통해 양 프레임이 한 번 접철된 상태에서 제2힌지장치(320)에 의한 추가적인 접철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1힌지장치(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도어(200)를 반으로 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측면도어(200)의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을 직접 힌지연결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힌지장치(3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이 상하로 마주하게 되는 각 측변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힌지부재(311)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재(311)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의 접하는 측변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되어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힌지부재(311)는 상부프레임(210)에 고정되는 힌지끼움부(311a)와, 하부프레임(220)에 고정되어 힌지끼움부(311a)에 삽입되는 힌지핀부(311b)로 구성될 수 있다.
힌지끼움부(311a)는 힌지핀부(311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봉상부재로 형성되며, 하부프레임(220)과 접하는 상부프레임(210)의 하측에 구비된다.
힌지핀부(311b)는 복수개로 구성된 힌지끼움부(311a)를 동시에 연결하도록 길게 형성된 하나의 봉상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힌지끼움부(311a)에 대해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핀부(311b)는 힌지끼움부(311a)의 양측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프레임(220)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핀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힌지핀부(311b)는 각 돌출핀의 일단부가 하부프레임(22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힌지끼움부(311a)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타단부가 하부프레임(220)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된다.
여기에서, 힌지부재(311)는 상부프레임(210)이 하부프레임(220)에 대해 베이스프레임(110)의 외측 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양 프레임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1힌지장치(310)는 힌지부재(311)를 회전축으로하여 상부프레임(210)을 하부프레임(2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측면도어(200)가 폴딩되어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제1힌지장치(310)는 측면도어(200)를 반만 접은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힌지장치(310)는 상부프레임(210)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외측 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양 프레임의 외측면에 힌지부재(311)가 마련되는바, 제1힌지장치(310)를 통해 접철되는 상부프레임(210)이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하부프레임(22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접철되게 함으로써, 이후 하부프레임(220)을 회전시키는 제2힌지장치(320)를 통해 측면도어(200)가 내측 방향으로 한번 더 접철될 때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하부프레임(220)이 적층되고 그 위에 상부프레임(210)이 적층되는 구조가 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제2힌지장치(320)는 도 5에 바와 같이, 측면도어(200)를 완전히 접어 보관하도록 측면도어(200) 전체를 폴딩 가능하게 지주(12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면도어(200)의 하부프레임(220)을 지주브라켓(130)에 힌지연결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힌지장치(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20)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핀 형상의 힌지돌기(321)와, 힌지돌기(321)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공(323)이 형성되어 하부프레임(220)을 구속한 상태로 회전시키는 힌지브라켓(3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힌지돌기(321)는 하부프레임(220)의 하부 양단에 돌출 형성되어 힌지브라켓(322)에 끼움 결합된다.
힌지브라켓(322)은 지주브라켓(130)에 설치되는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도록 지주브라켓(130)에 일체로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브라켓(322)은 개방된 "U"자 형인 지주브라켓(130)의 개방된 측에 대면하는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힌지브라켓(322)에는 힌지돌기(321)가 결합되는 힌지공(323)이 구비된다. 이 힌지브라켓(322)의 힌지공(323)은 하부프레임(220)의 결합시 하부프레임(220)의 힌지돌기(321)가 상측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개방된 "U"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이에, 제2힌지장치(320)는 힌지돌기(321)가 힌지브라켓(322)의 힌지공(323)에 삽입됨으로써 하부프레임(220)을 지주브라켓(130)에 연결하게 되며, 힌지돌기(321)를 축으로하여 하부프레임(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2힌지장치(320)는, 힌지돌기(321)가 힌지공(323)으로부터 상측으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힌지공(323)의 형상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힌지공(323)은 힌지돌기(321)의 삽입을 유도하는 개방된 진입부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힌지돌기(321)를 수용하게 되는 수용부의 위치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배치되도록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개방된 진입부와 수용부의 위치가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하부프레임(220)의 회전 작동에도 힌지돌기(321)가 상측으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힌지공(323)에는, 힌지돌기(321)의 이탈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내향돌부(323a)가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내향돌부(323a)는 힌지공(323)의 진입부인 상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힌지공(323)은 내향돌부(323a)에 의해 상측에 위치한 진입부 측의 폭이 하측에 위치한 수용부 측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힌지돌기(321)는 힌지공(323)의 내향돌부(323a)로 인한 좁은 폭에 대응하도록 좌우 방향 폭의 길이가 좁게 형성되고, 상하의 폭은 힌지공(323)의 수용부 측의 폭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힌지돌기(321)는 하부프레임(220)의 회동 상태에 따라 회전하게 되어 그 폭 방향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위치전환됨으로써, 힌지공(323)의 상측 진입부를 통과하거나 통과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로써, 제2힌지장치(320)는 이들 형상으로 인하여 힌지돌기(321)가 가로로 눕혀지는 경우에는 힌지공(323)에서 이탈되는 것이 제한되고, 세로로 세워지는 경우에만 힌지공(323)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때, 힌지돌기(321)는 하부프레임(220)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태에서 가로로 눕혀지게 배치됨으로써, 하부프레임(220)의 수직 상태에서는 내향돌부(323a)에 걸림에 따라 이탈이 제한되고, 하부프레임(220)이 접철되어 수평 상태로 놓여질 때만 힌지공(323)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내향돌부(323a)는 힌지돌기(321)가 삽입되어 있는 결합 상태에서는 힌지돌기(321)의 이탈을 제한하고, 측면도어(200)를 분리하거나 다시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힌지돌기(321)가 힌지공(323)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힌지돌기(321)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서, 제2힌지장치(320)는 제1힌지장치(310)에 의해 반으로 접힌 상태의 측면도어(200)를 추가적으로 폴딩 가능하게 지주(120)에 연결함으로써, 측면도어(200) 전체를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측면도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연결구조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의도적으로 측면도어(200)를 분리하려는 경우에만 연결구조가 해제될 수 있도록 전환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파레트에는, 측면도어(200)를 전개된 수직 상태로 지주(120)에 구속하는 구속수단(40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속수단(400)은 상부프레임(210)을 지주(120)에 구속시키는 제1 구속부(410)와, 하부프레임(220)을 지주(120)에 구속시키는 제2 구속부(420)를 포함한다.
제1 구속부(410)는 상부프레임(210)을 지주(120)에 구속한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20)의 상부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 고정브라켓(411)과, 상부프레임(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 고정브라켓(411)에 결속 가능하게 작동하는 제1 고정핀(4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고정브라켓(411)은 상하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수평부와, 수평부를 잇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수직부의 판재가 지주(120)에 대면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지주(120)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제1 고정브라켓(411)은 용접 등의 부착 방식으로 지주(12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고정브라켓(411)의 수직부에는 상부프레임(210)의 제1 고정핀(4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관통공(411a)이 형성된다.
제1 고정핀(412)은 상부프레임(210)의 양단 상부에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 고정핀(412)은 상부프레임(210)의 양단부로부터 프레임이 설치된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1 고정핀(412)은 상부프레임(210)의 단부에서 지주(120)를 향해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후퇴 진입하도록 동작되며, 그 움직임에 따라 제1 고정브라켓(411)의 제1 관통공(411a)의 안으로 출입하게 된다.
이에, 상부프레임(210)은 제1 고정핀(412)이 제1 관통공(411a)에 끼워지는 위치로 이동되면 지주(120)에 구속된 상태가 되어 상기 힌지장치를 통한 측면도어(200)의 회전을 제한하고, 제1 고정핀(412)이 이동되어 제1 관통공(411a)으로부터 벗어나게되면, 지주(120)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가 되며 측면도어(200)의 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이때, 제1 구속부(410)는 제1 고정핀(412)이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관통공(411a)에 삽입되는 제1 고정핀(412)의 단부에는 "ㄱ"자 형상의 꺾임부(412a)가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고, 제1 관통공(411a)은 제1 고정핀(412)의 꺾임부(412a)와 대응하는 길이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1 고정핀(412)은 회전 작동되어 꺾임부(412a)가 제1 관통공(411a)의 수직방향의 형상과 대응하는 위치로 전환될 때에만, 제1 관통공(411a)을 통과할 수 있게 되며, 제1 고정핀(412)이 임의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제1 구속부(410)는 제1 고정핀(412)의 동작에 따라 상부프레임(210)을 지주(120)에 구속하거나 구속된 상태를 해제하도록 그 결합관계를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고정핀(412)의 회전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제1 고정핀(412)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손잡이(412b)가 구비된다. 손잡이(412b)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절곡 형성되는 "ㄱ"자 형상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고정핀(412)의 외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손잡이(412b)는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개도어(250)가 개방되었을 때, 절곡된 부분이 양개도어(250)의 상부를 구속하도록 하여 양개도어(250)가 닫히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손잡이(412b)는 제1 고정핀(412)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이 좀 더 길게 연장 형성됨으로써 양개도어(250)의 프레임을 절곡부 내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손잡이(412b)는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핀(412)과 함께 회동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양개도어(250)를 개방하여 측면도어(200)의 외면에 중첩되도록 개방시킨 뒤에, 손잡이(412b)를 회전시켜 양개도어(250)의 외면을 감싸도록 위치시켜 양개도어(25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속부(420)는 하부프레임(220)을 지주(120)에 구속한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주(120)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 고정브라켓(421)과, 하부프레임(2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2 고정브라켓(421)과 결속 가능하게 작동하는 제2 고정핀(4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2 고정브라켓(421)과 제2 고정핀(422)의 위치는, 회전작동되면서 수평 또는 수직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프레임(220)을 수직 상태에서 구속하기 위하여 하부프레임(22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제2 고정브라켓(421)의 위치는 지주(120)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이동된 위치로 설정되어 제2 힌지부(320)와의 간섭이 회피된다.
제2 고정핀(422)은 하부프레임(220)의 양단 상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제2 고정브라켓(421)에 결속된다.
제2 고정브라켓(421)은, 전술한 제1 고정브라켓(411)과 마찬가지로 "ㄷ"자 형태로 마련되어 지주(12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 고정브라켓(421)의 수직부에는 하부프레임(220)의 제2 고정핀(42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관통공(421a)이 형성된다.
이때, 제2 관통공(421a)은, 하부프레임(220)이 제2힌지장치(320)를 통해 베이스프레임(110)의 내측을 향하여 접철되고, 외측을 향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회전 작동하게 되는바, 하부프레임(220)의 회전 작동에 따른 제2 고정핀(422)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관통공 내로 출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2 관통공(421a)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방 형성되는 출입부(421b)를 포함하고, 회전에 따른 하부프레임(220)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잠금부(42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2 관통공(421a)은 측방향으로는 출입부(421b)가 연장 형성되고 하방향으로는 잠금부(421c)가 연장 형성됨으로써 "ㄱ"자 형상의 구멍으로 구비되며, 제2 관통공(421a)은 하부프레임(220)이 회전 작동하게 되면, 출입부(421b)를 통해 제2 고정핀(422)이 관통공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제2 고정핀(422)이 내측에 진입된 상태에서는 제2 고정핀(422)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잠금부(421c)에 위치으로써 잠금부(421c) 측에 제2 고정핀(422)을 수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관통공(421a)은 잠금부(421c)에 제2 고정핀(422)을 수용하여 제2 고정핀(422)의 측방향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하부프레임(200)의 회동 작동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구속수단(400)은, 제1 구속부(410)를 통해 상부프레임(210)을 지주(120)의 상측에 고정하고 제2 구속부(420)를 통해 하부프레임(220)을 지주(120)의 하측인 지주 브라켓(130)에 고정하도록 각각 구비됨으로써, 측면도어(200)를 지주(120)의 상측과 하측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즉, 구속수단(400)은 측면도어(200)의 회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고정 지지하게 된다.
한편, 측면도어(200)에는 상부보강편(230)과 하부보강편(2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보강편(230)은 상부프레임(21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마련되는 "ㄱ"자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프레임(210)의 코너부 즉, 양단 상부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보강편(230)은 도 7-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구속부(410)의 제1 고정핀(412)을 상부프레임(2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하부보강편(240)은 하부프레임(22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비되는바, 하부프레임(220)의 코너부 즉, 양단 하부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하부보강편(240)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2힌지장치(320)의 힌지돌기(321)를 돌출되게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레트(10)의 사용시는 도 2에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포개진 상태로 적층되어 있던 지주(120)와 양개도어(250)를 상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도 1에서와 같이 지주브라켓(130)에 수직하게 세워 설치한다.
이 과정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지주(120)는 결합돌부(122)가 지주브라켓(130)의 결합홈(132)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지주브라켓(130) 상에 정위치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측면도어(200)를 제2힌지장치(320)를 통해 상방향으로 회동시켜 제2 구속부(420)로 하부프레임(220)을 지주(120)에 우선 고정하고, 하부프레임(220)에 포개어 있는 상부프레임(210)을 제1힌지장치(310)를 통해 상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 구속부(410)로 상부프레임(210)을 지주(120)에 고정함으로써 측면도어(200)를 수직한 상태로 세워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레트(10)는 힌지수단을 통해 측면도어(200)를 접철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구속수단(400)을 통해 측면도어(200)를 수직한 상태로 세워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110) 위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양개도어(250)를 통해 일측을 개방함으로써 적재물의 이동이나 작업자의 출입을 허용하게 된다.
이후, 파레트(10)의 비사용시에는 도 2 또는 도 10과 같이, 파레트(10)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적층시켜 구비하게 된다.
즉, 도 5-1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도어(200)가 수직으로 세워져 구비된 상태에서, 측면도어(200)의 상부프레임(210)을 구속하고 있는 제1 구속부(410)를 잠금해제한다. 이러한 제1 구속부(410)의 잠금 해제 동작은 도 7-1에 도시되어 있는바, 손잡이(412b)를 들어올림과 동시에 제1 고정핀(412)을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꺾임부(412a)가 제1 관통공(411a)의 형상과 대응하는 위치로 전환되고 나면, 제1 고정핀(412)을 이동시켜 제1 고정브라켓(411)의 제1 관통공(411a)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구속부(410)에 의한 상부프레임(21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구속수단(400)은 제1 구속부(410)를 잠금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동작이, 제1 고정핀(412)을 회전시켜 꺾임부(412a)의 위치를 전환한 상태에서 이를 밀어 잠금상태로 이동시키거나 당겨서 잠금해제상태로 이동시키게 되는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우발적인 제1 구속부(410)의 작동을 제한하게 됨으로써 상부프레임(210)이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막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상부프레임(21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고 나면, 도 5-2에서와 같이, 상부프레임(210)을 1차적으로 접는다. 이때, 상부프레임(210)은 제1힌지장치(3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베이스프레임(110)의 외측을 향하고 있는 상부프레임(210)의 외측면이 하부프레임(220)의 외측면과 대면하여 포개어지도록 회전된다. 즉, 측면도어(200)는 외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절반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부프레임(210)을 접은 상태에서, 제2 구속부(4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여기에서, 제2 구속부(420)는 잠금부(421c) 내에 제2 고정핀(422)을 수용하여 측면도어(200)를 구속한 상태에서는, 하부프레임(220)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만 하부프레임(2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하부프레임(220)이 회전되지 않고 수직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구속부(420)는 하부프레임(22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하부프레임(220)의 우발적인 회동 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2 구속부(42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도어(200)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을 통해, 잠금부(421c)에 수용된 제2 고정핀(422)을 상향 이동시키고 이로서 제2 고정핀(422)이 출입부(421b)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위치시킨다. 이에, 제2 구속부(420)에 의한 측면도어(200)의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제2 구속부(420)의 구속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한 뒤에, 하부프레임(220)을 제2힌지장치(320)를 중심으로 베이스프레임(110)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제2 고정핀(422)의 완전한 이탈을 유도한다. 즉, 하부프레임(220)은 회동 작동과 함께 제2 고정핀(422)이 출입부(421b)를 향해 이동되어 제2 관통공(421a)으로부터 제2 고정핀(422)이 완전히 이탈됨으로써 제2 구속부(420)에 의한 구속상태가 완전히 해제될 수 있으며, 하부프레임(220)은 접철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적층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구속수단(400)은, 제1 구속부(410)와 제2 구속부(420)를 통해 측면도어(200)의 움직임을 두 곳에서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속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측면도어(200)를 수직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측면도어(200)의 접철 동작을 수행하고자 제1 구속부(410)와 제2 구속부(420)에 의한 구속상태를 모두 해제해야만 그 접철 동작 움직임을 허용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구속수단(400)은 제1 구속부(41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기 전에는 외부 충격이나 우발적인 상황에 의해 측면도어(200)가 상향 이동되더라도 제2 구속부(420)가 임의로 회전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우발적인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는, 2단으로 폴딩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어 필요에 따라 상부프레임(210)만을 접은 상태로 두거나, 측면도어(200) 전체를 접은 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작업자가 파레트(10)를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측면도어(200)가 제1힌지장치(310)에 의해 반만 접힌 상태로 베이스프레임(110)을 향해 완전히 접히거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전환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야 하는 측면도어(200)의 전체 높이를 절반 가량으로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측면도어(200)를 눕히고 세우는 작업이 수월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측면도어(200)가 일정 무게를 갖더라도 그 회동 작동에 대한 무게중심이 낮게 형성됨으로써 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측면도어(200)가 제1힌지장치(310) 없이 제2힌지장치(320)에 의해서만 회전되는 경우라면, 작업자는 자신의 키와 비슷하거나 더 높이 위치된 측면도어(200)의 측부 또는 상부를 파지한 상태로 도어를 접거나 세워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고 도어가 전도될 위험성이 존재하지만, 본 고안의 파레트는, 2단 접철 동작에 의해 측면도어(200)의 높이가 반으로 줄어 작업자가 파지하는 위치가 기존보다 상당히 낮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고안의 파레트는 측면도어(200)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접철되어 보관됨에 따라, 반으로 접힌 측면도어(200)의 상측이 베이스프레임(110) 위에 놓여지는 위치가 베이스프레임(110)의 절반 부근에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파레트(110) 위로 올라가지 않더라도 팔만 뻗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외측에서 측면도어(200)를 파지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본 고안의 파레트는, 제1힌지장치(310)를 통해 상부프레임(210)이 하부프레임(220)의 외측으로 접철되도록 회동되고, 제2힌지장치(320)를 통해 하부프레임(220)을 베이스프레임(110)의 내측 방향으로 접철되도록 회동됨으로써,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측면도어(200)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양측에서 접철됨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고 2열로 나란히 위치될 수 있어 서로 간섭되지 않으며, 이에 각각의 측면도어(200)를 개별적으로 접철하고 세우는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파레트는 제2힌지장치(320)의 힌지돌기(321) 및 힌지브라켓(322)의 결속 구조로 인해, 측면도어(20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힌지돌기(321)가 힌지브라켓(3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우발적인 상향 이동에 따른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2힌지장치(320)는 측면도어(200)가 접철되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만 힌지돌기(321)가 힌지브라켓(32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므로, 파레트(10)를 접어 보관할 경우에만 측면도어(2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측면도어(200)를 접철한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110)으로부터 완전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파레트(10)의 보관시 측면도어(200)를 분리한 상태로 보관하거나, 적재물을 적재하여 사용시 일측의 측면도어(200)만을 분리하여 개방한 상태로 적재물을 적재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파레트는 개방 가능한 양개도어(250)가 구비되어 있어 양개도어(250)를 개방한 상태로 적재물의 이동이나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이때, 도 7-2에서와 같이, 양개도어(250)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1 구속부(410)를 통해 양개도어(250)가 닫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양개도어(250)를 고정하는 장치를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하는 것이 아닌, 측면도어(200)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구속부(410)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지 않게 되어 구조적으로 간단하며,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측면도어(200)를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제공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긴 변에 위치한 측면도어(200)의 개방을 통한 넓은 면적의 공간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게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에 의해 제한되기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파레트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지주 130 : 지주브라켓
200 : 측면도어 210 : 상부프레임
220 : 하부프레임 250 : 양개도어
300 : 힌지부 310 : 제1힌지장치
320 : 제2힌지장치 400 : 구속수단
410 : 제1구속부 420 : 제2구속부

Claims (7)

  1. 물품을 적재하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각 코너에 설치되어 지주를 지지하는 지주브라켓; 및
    베이스프레임의 둘레 양변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도어를 포함하고,
    측면도어는 상하로 분할 구성되는 상부도어프레임 및 하부도어프레임을 포함하여, 그 분할된 변이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측면도어에는 상부도어프레임을 하부도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힌지장치와, 하부도어프레임을 지주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힌지장치를 갖는 힌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측면도어를 2단으로 폴딩 가능한 파레트로서,
    제2힌지장치는,
    하부도어프레임의 양측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핀형상의 힌지돌기와,
    지주브라켓에 설치되며 힌지돌기가 삽입되는 힌지공을 갖는 힌지브라켓을 포함하고,
    힌지브라켓의 힌지공은 상측이 개방된 "U"자 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되되, 힌지공의 상측 개방부에는 그 폭을 감소시키도록 내향 돌출되는 내향돌부가 구비되며,
    힌지돌기는 힌지공의 상측 개방부를 통해 힌지공에 삽입되되, 가로폭 또는 세로폭의 길이 중 어느 하나가 상측 개방부의 폭과 대응하도록 좁게 형성됨으로써, 하부도어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그 위치가 전환되어 힌지공의 상측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는 파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힌지장치는 상부도어프레임이 하부도어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접철되어 하부도어프레임에 포개지도록 양 프레임을 연결하며, 제2힌지장치는 하부도어프레임을 베이스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접철되도록 함으로써, 양 프레임이 포개어진 상태로 베이스프레임에 적층 보관되는 파레트.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도어를 전개된 수직상태로 지주에 결속 고정하기 위한 구속수단이 구비되며,
    구속수단은,
    상부도어프레임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상부도어프레임을 지주의 상부에 구속하는 제1구속부와,
    하부도어프레임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하부도어프레임을 지주의 하부에 구속하는 제2구속부를 포함하는 파레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2구속부는, 지주의 하부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고정브라켓 및 하부도어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2고정브라켓에 결속 가능하게 작동하는 제2고정핀을 갖는 제2구속부를 포함하고,
    제2고정브라켓에는 제2고정핀이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되,
    제2고정브라켓은 제2관통공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도어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제2고정핀이 출입되도록 개방형성되는 출입부와, 제2관통공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출입부를 통해 진입한 제2고정핀을 내측에 수용하는 잠금부를 포함함으로써, 하부도어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는 파레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좌우로 분할되고 각 지주에 힌지결합되어 양측으로 개폐되는 양개도어가 구비되는 파레트.
KR2020190001463U 2019-04-10 2019-04-10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 KR200491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463U KR200491835Y1 (ko) 2019-04-10 2019-04-10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463U KR200491835Y1 (ko) 2019-04-10 2019-04-10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835Y1 true KR200491835Y1 (ko) 2020-06-12

Family

ID=7107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463U KR200491835Y1 (ko) 2019-04-10 2019-04-10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83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9336A (zh) * 2021-07-02 2021-12-31 株式会社格林普乐斯 可折叠式轻型笼车
JP2022111808A (ja) * 2021-01-20 2022-08-01 ヒロホー株式会社 搬送容器
KR20220155938A (ko) * 2022-10-31 2022-11-24 박기혁 적재물 플레이트 구조물로부터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AU2022200628B1 (en) * 2022-02-01 2022-12-08 K. Hartwall Oy Ab Contain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99A (ko) * 2001-11-13 2003-05-22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파렛트용 지지틀
KR200399805Y1 (ko) 2005-07-29 2005-10-28 주식회사골드라인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JP2009196693A (ja) * 2008-02-25 2009-09-03 Minato Seiki Kogyo Kk ボックスパレット
KR20100137287A (ko) * 2009-06-22 2010-12-30 (주)포장법인 정명 지지틀을 갖는 접이식 적재용 파렛트
WO2011020951A1 (en) * 2009-08-19 2011-02-24 K. Hartwall Oy Ab Cage for handling or storing goods
KR20160114779A (ko) * 2015-03-24 2016-10-06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절첩식 파레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99A (ko) * 2001-11-13 2003-05-22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파렛트용 지지틀
KR200399805Y1 (ko) 2005-07-29 2005-10-28 주식회사골드라인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JP2009196693A (ja) * 2008-02-25 2009-09-03 Minato Seiki Kogyo Kk ボックスパレット
KR20100137287A (ko) * 2009-06-22 2010-12-30 (주)포장법인 정명 지지틀을 갖는 접이식 적재용 파렛트
WO2011020951A1 (en) * 2009-08-19 2011-02-24 K. Hartwall Oy Ab Cage for handling or storing goods
KR20160114779A (ko) * 2015-03-24 2016-10-06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절첩식 파레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11808A (ja) * 2021-01-20 2022-08-01 ヒロホー株式会社 搬送容器
JP7345863B2 (ja) 2021-01-20 2023-09-19 ヒロホー株式会社 搬送容器
CN113859336A (zh) * 2021-07-02 2021-12-31 株式会社格林普乐斯 可折叠式轻型笼车
AU2022200628B1 (en) * 2022-02-01 2022-12-08 K. Hartwall Oy Ab Container
KR20220155938A (ko) * 2022-10-31 2022-11-24 박기혁 적재물 플레이트 구조물로부터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102581684B1 (ko) 2022-10-31 2023-09-21 박기혁 적재물 플레이트 구조물로부터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835Y1 (ko)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
EP2546170B1 (en) Folding-type container
KR101641107B1 (ko) 승강식 비계장치
US20110011674A1 (en) Ladder equipped with safety bar
CN111907870A (zh) 一种与木托盘配套使用的托盘笼架及其安装、折叠方法
GB2376014A (en) Folding flatrack with outward bracing
US11104559B2 (en) Foldable personnel basket for a crane
WO2010075950A1 (en) Container with variable height
AU2009351312A1 (en) Collapsible shipping bin of variable capacity
EP3601105B1 (en)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KR200444904Y1 (ko)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WO1999047426A1 (en) Collapsible stackable container
EP3730419B1 (en) Container
JP4421926B2 (ja) 高重心縦長精密機器の輸送用ボックスパレット
CN210149776U (zh) 一种与木托盘配套使用的托盘笼架
CN113493048A (zh) 一种托盘箱
KR102133430B1 (ko)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
JP5912634B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EP1500754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ccess platform
EP3205785B1 (en) Access structure for modular buildings
KR20200024063A (ko) 스태킹 랙
CA1068223A (en) Collapsible container
CN215944559U (zh) 运输架组件及运输车
CN216581591U (zh) 一种托盘箱
KR102016346B1 (ko) 가변형 롤 파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