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363B1 -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 - Google Patents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2363B1 KR102562363B1 KR1020210048626A KR20210048626A KR102562363B1 KR 102562363 B1 KR102562363 B1 KR 102562363B1 KR 1020210048626 A KR1020210048626 A KR 1020210048626A KR 20210048626 A KR20210048626 A KR 20210048626A KR 102562363 B1 KR102562363 B1 KR 1025623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on
- interference
- side plate
- door
- long s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1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 B65D88/123—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open 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51—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은, 밑판, 상기 밑판의 장변 양측에서 회전에 의해 절첩되는 장측판 및 상기 밑판의 단변 양측에서 회전에 의해 절첩되는 단측판으로 구성된 몸체부; 상기 장측판 또는 상기 단측판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토출구의 일단부에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부; 상기 토출구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회전시 상기 도어부의 단부를 간섭 또는 간섭 해제하는 간섭부; 및 상기 간섭부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밑판에 회전에 의해 사방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장측판 및 단측판을 구비하여 보관시 부피 감소가 가능하고, 일측에 구비된 도어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지게차의 로테이팅 포크를 90° 이상 회전시키지 않아도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며, 도어부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밑판에 회전에 의해 사방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장측판 및 단측판을 구비하여 보관시 부피 감소가 가능하고, 일측에 구비된 도어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지게차의 로테이팅 포크를 90° 이상 회전시키지 않아도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며, 도어부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콩이나 쌀 등과 같은 곡물을 저장하거나 운송할 때 사용되는 박스형 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나 콩 등과 같은 곡물은 건조 등의 이유로 곡물 빈(bin)에 일시적으로 보관되어 왔다.
여기서, 곡물 빈은 배출에 별도의 오거나 컨베이어 장치가 필요없이 중력에 의해 배출할 수 있도록 호퍼형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재질은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제작비가 저렴하도록 FRP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더욱이, 호퍼의 하단은 곡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설정 각도를 갖도록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곡물 빈과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13281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박스형 빈의 각각의 면이 고정되므로 보관시 적층에 따른 부피가 크고, 개구된 상부를 통해서 곡물을 쏟게 되므로 지게차의 로테이팅 포크(Rotating Fork)의 회전 각도가 커지면서 포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박스형 빈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관시 부피 감소가 가능하고, 측면 하측에 도어가 설치되어 지게차의 로테이팅 포크의 회전시 포크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한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은, 밑판, 상기 밑판의 장변 양측에서 회전에 의해 절첩되는 장측판 및 상기 밑판의 단변 양측에서 회전에 의해 절첩되는 단측판으로 구성된 몸체부; 상기 장측판 또는 상기 단측판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토출구의 일단부에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부; 상기 토출구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회전시 상기 도어부의 단부를 간섭 또는 간섭 해제하는 간섭부; 및 상기 간섭부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섭부는, 상기 토출구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밑판에 횡방향으로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에 설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기 토출구의 타단부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간섭편; 및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간섭편을 상기 도어부를 간섭 위치 또는 간섭 해제 위치로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제어부는, 상기 간섭부의 회전기점 반대편 단부에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출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밑판에 구비된 회전안내편의 양측 제1, 2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 단부가 결속되는 간섭체; 및 상기 간섭체를 상기 회전안내편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게 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측판은 장측 프레임의 안쪽면에 합성수지재의 장측 마감판으로 마감되고, 상기 단측판은 단측 프레임의 안쪽면에 금속재의 단측 마감판으로 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밑판, 상기 밑판의 장변 양측에서 회전에 의해 절첩되는 장측판 및 상기 밑판의 단변 양측에서 회전에 의해 절첩되는 단측판으로 구성된 몸체부; 상기 장측판 또는 상기 단측판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토출구의 일단부에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부; 상기 토출구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회전시 상기 도어부의 단부를 간섭 또는 간섭 해제하는 간섭부; 및 상기 간섭부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섭부는, 상기 토출구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밑판에 횡방향으로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에 설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기 토출구의 타단부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간섭편; 및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간섭편을 상기 도어부를 간섭 위치 또는 간섭 해제 위치로 회전시키는 핸들; 및 상기 밑판과, 상기 장측판의 기둥을 지지하도록 상기 밑판의 모서리마다 구비된 직립가이드에 고정되어 일단과 타단에 제1 홀 및 제2 홀이 형성된 회전안내편;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어부의 간섭체 단부가 상기 제1 홀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간섭편이 상기 도어부에서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간섭체 단부가 상기 제2 홀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간섭편이 상기 도어부를 간섭하는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핸들의 회전시 상기 핸들의 단부에 구비된 회전 제어부의 간섭체 단부가 상기 회전안내편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밑판, 상기 밑판의 장변 양측에서 회전에 의해 절첩되는 장측판 및 상기 밑판의 단변 양측에서 회전에 의해 절첩되는 단측판으로 구성된 몸체부; 상기 장측판 또는 상기 단측판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토출구의 일단부에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부; 상기 토출구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회전시 상기 도어부의 단부를 간섭 또는 간섭 해제하는 간섭부; 및 상기 간섭부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섭부는, 상기 토출구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밑판에 횡방향으로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에 설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기 토출구의 타단부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간섭편; 및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간섭편을 상기 도어부를 간섭 위치 또는 간섭 해제 위치로 회전시키는 핸들; 및 상기 밑판과, 상기 장측판의 기둥을 지지하도록 상기 밑판의 모서리마다 구비된 직립가이드에 고정되어 일단과 타단에 제1 홀 및 제2 홀이 형성된 회전안내편;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어부의 간섭체 단부가 상기 제1 홀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간섭편이 상기 도어부에서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간섭체 단부가 상기 제2 홀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간섭편이 상기 도어부를 간섭하는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핸들의 회전시 상기 핸들의 단부에 구비된 회전 제어부의 간섭체 단부가 상기 회전안내편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밑판에 회전에 의해 사방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장측판 및 단측판을 구비하여 보관시 부피 감소가 가능하고, 일측에 구비된 도어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지게차의 로테이팅 포크를 90° 이상 회전시키지 않아도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며, 도어부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에서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에서 간섭부 및 회전 제어부의 작동 전후 상태를 부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에서 간섭부의 작동 전후 상태를 부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의 장측판 및 단측판이 접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의 장측판 및 단측판이 접힌 상태에서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에서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에서 간섭부 및 회전 제어부의 작동 전후 상태를 부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에서 간섭부의 작동 전후 상태를 부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의 장측판 및 단측판이 접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의 장측판 및 단측판이 접힌 상태에서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에서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에서 간섭부 및 회전 제어부의 작동 전후 상태를 부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에서 간섭부의 작동 전후 상태를 부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의 장측판 및 단측판이 접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의 장측판 및 단측판이 접힌 상태에서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100)은 몸체부(110), 도어부(120), 간섭부(130) 및 회전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밑판(1110), 장측판(1120) 및 단측판(1130)을 포함한다.
밑판(1110)은 금속 등의 재질을 통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변과 단변이 연결되는 모서리마다 횡단면이 절곡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직립되는 장측판(1120)의 양측 기둥을 지지하도록 직립 고정된 직립가이드(1112)가 각각 고정되고, 장변의 양측면에 지게차의 로테이팅 포크(도면에 미도시)가 삽입되는 삽입구(1114)가 형성된다.
한편, 단측판(1130)은 장측판(1120) 및 밑판(1110)의 절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므로 접는 경우 양측을 접은 상태에서 밑판(1110) 상에 동일평면을 유지하게 된다.
장측판(1120)은 밑판(1110)의 장변 양측에서 힌지(도면에 미도시)로 연결되면서 회전에 의해 절첩되며, 장측 프레임(1122) 및 장측 마감판(1124)을 포함한다.
장측 프레임(1122)은 하측 변부가 밑판(1110)의 장변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각 테투리와 테두리 대향면을 교차 연결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한편, 장측 프레임(1122)에서 양측에 직립 설치된 장측판 기둥(1121)에 수평부 및 수직부로 구성된 절곡 형상의 클립(1121a)의 수평부의 단부가 고정되어 단측 프레임(1132) 중 양측에 직립 설치된 단측판 기둥을 간섭 또는 간섭해제시킴으로써 장측판(1120) 및 단측판(1130)에 대해 외부 방향으로의 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장측판(1120)과 단측판(1130)의 직립시 장측판 기둥(1121)에 고정된 클립(1121a)이 단측 프레임(1132)의 단측판 기둥을 이동하지 못하도록 밀착 및 지지하게 되고, 단측판(1130)이 접히는 경우 단측판(1130)이 밑판(1110)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클립(1121a)에 간섭받지 않는다.
장측 마감판(1124)은 장측 프레임(1122)의 안쪽면에 마감되며, 일예로 합성수지재의 판재로 구비된다.
단측판(1130)은 밑판(1110)의 단변 양측에서 힌지(도면에 미도시)로 연결되면서 회전에 의해 절첩되며, 단측 프레임(1132) 및 단측 마감판(1134)을 포함한다.
단측 프레임(1132)은 하측 변부가 밑판(1110)의 단변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각 테투리와 테두리 대향면을 교차 연결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단측 마감판(1134)은 단측 프레임(1132)의 안쪽면에 마감되며, 일예로 금속재의 판재로 구비된다.
이때, 단측 마감판(1134)이 장측 마감판(1124)과 달리 금속판재로 구비되는 이유는 박스형 빈(100) 내부에 저장된 곡물을 배출시킬 때 토출구(1138)가 일측 단측판(1130)에 형성되면서 곡물이 단측 마감판(1134)에 쏠리게 되므로 강성에 의해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단측판(1130)은 양측 장측판(1120)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가 가능하도록 상단 양측에 "ㅜ"자 형상의 개폐구(1136)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개폐구(1136)는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단부를 양측 장측판(1120)의 대향면 상단에 형성된 결속공에 결합시키면 단측판(1130)이 장측판(1120)에 고정되고, 단부를 결속공에서 분리시키면 단측판(1130)이 장측판(1120)에 고정 해제된다.
도어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측판(1130)의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1138)에 횡축 기준으로 회전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도어부(120)는 상단과 토출구(1138)의 상단에 연결된 힌지(12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도어부(120)는 일측 단측판(113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양측 단측판(1130)에 모두 구비 가능하며, 단측판(1130)이 아닌 장측판(1120)에도 구비 가능하다.
간섭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138)의 하측에 구비되어 회전시 도어부(120)의 하부를 간섭 또는 간섭 해제하며, 회전축(132), 회전간섭편(134), 핸들(136) 및 회전안내편(138)을 포함한다.
회전축(132)은 토출구(1138)의 하측에 위치된 밑판(1110)에 횡방향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양단의 지지구(132a)에 의해 밑판(1110) 측면에 지지된다.
회전간섭편(134)은 회전축(132) 상에 설정 간격마다 다수 배치되어 회전축(132)에 의해 일률적으로 연동되면서 도어부(120)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어부(120)가 회전되지 않게 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어부(120)가 회전되도록 간섭하지 않게 한다.
이때, 회전간섭편(134)은 상단에 돌기가 형성되어 단측판(1130)의 하측 단측 프레임(1132) 측면과 상면을 동시 가압하게 하므로 하측 단측 프레임(113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핸들(136)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회전축(13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회전축(132)에 의해 회전간섭편(134)을 도어부(120)의 하부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사용자가 회전시킨다.
그리고 핸들(136)의 타단부는 밑판(1110)에 구비된 회전안내편(138)의 외면을 따라 회전된다.
회전안내편(138)은 밑판(1110)의 모서리에 고정된 직립가이드(1112)의 상단과 이와 이웃한 밑판(1110) 측면에 원호 형상으로 고정되며, 직립가이드(1112) 측인 일단에 제1 홀(138a)이 형성되고, 밑판(1110) 측면 방향인 타단에 제2 홀(138b)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홀(138a)은 회전 제어부(140)의 간섭체(144) 단부가 결합되면 회전간섭편(134)이 도어부(120)의 하단에서 이격된 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제2 홀(138b)은 회전 제어부(140)의 간섭체(144) 단부가 결합되면 회전간섭편(134)이 도어부(120)의 하단에 간섭한 상태가 되게 한다.
즉, 제1 홀(138a)과 제2 홀(138b)은 회전 제어부(140)의 간섭체(144) 단부의 결합 위치를 한정하면서 핸들(136)이 지정된 위치가 아닌 위치에서 회전되지 못하게 한다.
더욱이, 회전안내편(138)은 핸들(136)이 회전축(132)을 기점을 회전될 때 회전 제어부(140)의 간섭체(144) 단부가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안내되며, 이를 위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 제어부(1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130)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며, 몸체(142), 간섭체(144) 및 탄성체(146)를 포함한다.
몸체(142)는 회전축(132)의 반대측인 핸들(136)의 외측단에 고정되며, 내부에 간섭체(144) 및 탄성체(146)가 위치된다.
간섭체(144)는 몸체(142)의 내부에 전후로 출몰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안내편(138)의 제1 홀(138a) 및 제2 홀(138b) 중 어느 하나의 홀에 단부가 결속된다.
이때, 간섭체(144)는 제1 홀(138a) 및 제2 홀(138b) 중 어느 하나의 홀에 결합되는 핀(144a)과, 몸체(142)의 외부에 위치되면서 핀(144a)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잡고 당기는 손잡이(144b)를 포함한다.
탄성체(146)는 몸체(142)의 내벽면과 이와 대향된 핀(144a)의 확경부 사이에 위치되어 간섭체(144)가 항시 제1 홀(138a) 및 제2 홀(138b) 중 어느 하나의 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일예로 스프링이 이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100)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밑판(1110)의 전후좌우 면에 장측판(1120) 및 단측판(1130)을 각각 세워 직립시킨 후 개폐구(1136)를 통해 단측판(1130)을 장측판(1120)의 대향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몸체부(110)의 내부에 곡물 등을 채우게 된다[도 5(a) 참조].
이때, 도어부(120)는 회전 제어부(140)의 간섭체(144)에 형성된 핀(144a)이 핸들(136)의 회전에 의해 수평하게 위치되면서 회전안내편(138)의 제1 홀(138a)에 결합되고, 회전간섭편(134)이 도어부(120)의 하부를 회전되지 못하도록 간섭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 후에, 곡물의 토출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가 간섭체(144)의 손잡이(144b)를 당기게 되면 핀(144a)이 제1 홀(138a)에서 분리되고, 손잡이(144b)의 당김 상태에서 핸들(136)을 회전시켜 수직하게 위치되게 하면 핀(144a)이 회전안내편(138)의 제2 홀(138b)에 결합되고 회전간섭편(134)이 도어부(120)의 하부에서 이격되므로 도어부(120)가 개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도 4(b) 참조].
그리고 지게차의 로테이팅 포크가 밑판(1110)의 삽입구(1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박스형 빈(100)을 들어올리고 도어부(120)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곡물의 자중에 의해 도어부(120)가 토출구(1138)에서 개방되기 시작하므로 곡물이 토출구(1138)에서 토출된다.
그리고 곡물의 토출이 완료되면 지게차의 로테이팅 포크를 원위치로 오게 하여 도어부(120)가 토출구(1138)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간섭체(144)의 손잡이(144b)를 반대 방향으로 밀게 되면 핀(144a)이 제2 홀(138b)에서 분리되고, 손잡이(144b)의 당김 상태에서 핸들(136)을 회전시켜 수평하게 위치되게 하면 핀(144a)이 회전안내편(138)의 제1 홀(138a)에 결합되고 회전간섭편(134)이 도어부(120)의 하부를 간섭하게 되면서 도어부(120)의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도 4(a) 참조].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박스형 빈(100)의 미사용시 부피 감소를 위해 접을 때는 일측 단측판(1130)에 구비된 개폐구(1136)를 단측판(113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일측 단측판(1130)을 밑판(1110) 상에 접는다[도 5(b) 참조].
그리고 타측 단측판(1130)에 구비된 개폐구(1136)를 단측판(113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타측 단측판(1130)을 밑판(1110) 상에 접는다[도 5(c) 참조]. 이 상태에서는 양측의 장측판(1120)이 직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일측 장측판(1120)을 단측판(1130) 상에 접고[도 5(d) 참조], 타측 장측판(1120)을 일측 장측판(1120) 상에 접는다[도 5(e) 참조].
이때, 타측 장측판(1120)은 일측 장측판(1120)의 두께만큼 상측에서 몸체부(110)의 타측 장변에 힌지에 의해 고정되면서 높이 차를 갖도록 구비되므로 타측 장측판(1120)이 일측 장측판(1120)의 상면에서 평행한 상태로 접혀진다.
반면, 박스형 빈(100)의 펼침시 상술한 방법의 역순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부피가 감소된 박스형 빈(100)을 적층시키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
110: 몸체부 1110: 밑판
1120: 장측판 1130: 단측판
120: 도어부 130: 간섭부
132: 회전축 134: 회전간섭편
136: 핸들 138: 회전안내편
140: 회전 제어부 142: 몸체
144: 간섭체 146: 탄성체
110: 몸체부 1110: 밑판
1120: 장측판 1130: 단측판
120: 도어부 130: 간섭부
132: 회전축 134: 회전간섭편
136: 핸들 138: 회전안내편
140: 회전 제어부 142: 몸체
144: 간섭체 146: 탄성체
Claims (4)
- 밑판, 상기 밑판의 장변 양측에서 회전에 의해 절첩되는 장측판 및 상기 밑판의 단변 양측에서 회전에 의해 절첩되는 단측판으로 구성된 몸체부;
상기 장측판 또는 상기 단측판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토출구의 일단부에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부;
상기 토출구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회전시 상기 도어부의 단부를 간섭 또는 간섭 해제하는 간섭부; 및
상기 간섭부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섭부는, 상기 토출구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밑판에 횡방향으로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에 설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기 토출구의 타단부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간섭편; 및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간섭편을 상기 도어부를 간섭 위치 또는 간섭 해제 위치로 회전시키는 핸들; 및 상기 밑판과, 상기 장측판의 기둥을 지지하도록 상기 밑판의 모서리마다 구비된 직립가이드에 고정되어 일단과 타단에 제1 홀 및 제2 홀이 형성된 회전안내편;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어부의 간섭체 단부가 상기 제1 홀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간섭편이 상기 도어부에서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간섭체 단부가 상기 제2 홀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간섭편이 상기 도어부를 간섭하는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핸들의 회전시 상기 핸들의 단부에 구비된 회전 제어부의 간섭체 단부가 상기 회전안내편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부는,
상기 간섭부의 회전기점 반대편 단부에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출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밑판에 구비된 회전안내편의 양측 제1, 2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 단부가 결속되는 간섭체; 및
상기 간섭체를 상기 회전안내편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게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측판은 장측 프레임의 안쪽면에 합성수지재의 장측 마감판으로 마감되고, 상기 단측판은 단측 프레임의 안쪽면에 금속재의 단측 마감판으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8626A KR102562363B1 (ko) | 2021-04-14 | 2021-04-14 |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8626A KR102562363B1 (ko) | 2021-04-14 | 2021-04-14 |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2191A KR20220142191A (ko) | 2022-10-21 |
KR102562363B1 true KR102562363B1 (ko) | 2023-08-01 |
Family
ID=8380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8626A KR102562363B1 (ko) | 2021-04-14 | 2021-04-14 |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236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0121B1 (ko) * | 2001-11-13 | 2004-05-03 |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 파렛트용 지지틀 |
KR101296685B1 (ko) * | 2013-02-04 | 2013-08-14 |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 덤프형 절첩식 박스파렛트 |
KR101605513B1 (ko) * | 2014-10-22 | 2016-04-01 | 화신강업(주) |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3281B1 (ko) | 1994-10-31 | 1999-08-02 | 전주범 | 광로조절장치 |
-
2021
- 2021-04-14 KR KR1020210048626A patent/KR1025623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0121B1 (ko) * | 2001-11-13 | 2004-05-03 |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 파렛트용 지지틀 |
KR101296685B1 (ko) * | 2013-02-04 | 2013-08-14 |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 덤프형 절첩식 박스파렛트 |
KR101605513B1 (ko) * | 2014-10-22 | 2016-04-01 | 화신강업(주) |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2191A (ko) | 2022-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50277B2 (en) | Cage for handling or storing goods | |
US4192430A (en) | Laterally openable storage and transport box | |
US9050986B2 (en) | Roll container | |
AU2019319476B2 (en) | Foldable container | |
US2756894A (en) | Pallet with a collapsible container | |
US5248057A (en) | Versatile double actuation trash container lid | |
CN103158924A (zh) | 可折叠的托盘箱 | |
KR102562363B1 (ko) | 도어를 구비한 곡물 저장 및 운송용 박스형 빈 | |
EP1340598A2 (en) | Container | |
CN217436460U (zh) | 托盘箱 | |
US5873204A (en) | Cart with multi-position doors | |
US5901871A (en) | Box for storing and simultaneously exposing small goods | |
JP2510103B2 (ja) | 折りたたみ箱 | |
KR200438174Y1 (ko) | 회전식 철제 포장박스 | |
JPH0343149Y2 (ko) | ||
JP3785224B2 (ja) | 箱型容器 | |
KR101484758B1 (ko) | 어셈블리 박스용 측벽 및 어셈블리 박스 | |
KR101813216B1 (ko) |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 |
CN216036441U (zh) | 一种集装箱 | |
CN214085274U (zh) | 一种多层的汽车盖板放置料架 | |
JPS6231399Y2 (ko) | ||
JP4575090B2 (ja) | 折り畳み容器 | |
JPH0516105Y2 (ko) | ||
JPH08258Y2 (ja) | 折り畳みコンテナ | |
JPH0110358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