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080B1 - 조립식 파레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080B1
KR102464080B1 KR1020220028745A KR20220028745A KR102464080B1 KR 102464080 B1 KR102464080 B1 KR 102464080B1 KR 1020220028745 A KR1020220028745 A KR 1020220028745A KR 20220028745 A KR20220028745 A KR 20220028745A KR 102464080 B1 KR102464080 B1 KR 102464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support
pallet
side plat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운
Original Assignee
윤석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운 filed Critical 윤석운
Priority to KR102022002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6Pallets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xtending between guide element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71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corner posts to the pallet
    • B65D2519/00676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65D2519/00681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제품 또는 반제품의 화물을 담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조립식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화물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에는 박스형태를 갖추었다가 보관 또는 운반을 완료한 상태에서는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저면 각 모서리에 다리(101)가 형성된 파레트판(100)의 상면 각 모서리에 수직장공(161) 및 지지홈(162) 그리고 받침턱(163)을 갖는 브라켓(160)을 받침턱(163)이 각각 90°위상차를 갖도록 고정하고, 상기 각 브라켓(160)에는 수직장공(161)과 지지홈(162)에 끼워지는 삽입돌기(111) 및 지지돌기(112)가 외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111)와 90°위상차를 갖는 지점에는 개구부(113)가 수직으로 기다랗게 형성되며, 삽입돌기(111)가 형성된 반대편에는 걸고리(114)가 고정된 폴대(110)를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폴대(110)의 내부에는 축(120)의 양단이 베어링(121) 및 캡(122)으로 지지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축(120)과 캡(122) 사이에 리턴스프링(130)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축(120)에는 스크린(140)의 일단을 고정하고 스크린의 타단 상, 하부에는 개구부(11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포켓(141)을 각각 형성함과 함께 상기 포켓(141)에 써포트(150)의 상, 하부에 형성된 결합편(151)을 각각 결합하여 보관시에는 스크린(140)이 권취된 각 폴대(110)를 90°위상차를 갖도록 브라켓(160)에서 접힌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각 브라켓(160)으로부터 폴대(110)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손잡이(152)를 이용하여 폴대(110)로부터 스크린(140)을 인출하여 써포트(150)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153)를 이웃하는 폴대에 형성된 걸고리(114)에 걸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파레트{Prefabricated palette}
본 발명은 완제품 또는 반제품의 화물을 담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조립식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그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화물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에는 박스형태를 갖추었다가 보관 또는 운반을 완료한 상태에서는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화물을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종류의 파레트(palette)가 알려져 있다.
화물의 적재 및 운반을 위한 파레트는 상,하부면이 평면인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면에 화물을 적재하여 비교적 크기가 큰 화물이나 다량의 화물을 한 번에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류관리 시 화물의 이송 및 보관을 간편하게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파레트에는 적재된 화물의 이송 과정에서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파레트의 각 코너에 수직으로 세워진 지주가 결합되고 이 지주들 사이에는 도어 또는 측벽으로 기능하는 측판부재가 연결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파레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한 다음 보관할 경우에는, 파레트가 차지하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사용시에만 원하는 형상을 하며, 보관시에는 그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파레트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와 같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파레트가 등록신용신안공보 제20-0399805호(접철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로 알려져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의 파레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파레트를 분리하여 나타낸 측면도로써, 종래의 파레트판(10)은 소정의 넓이와 두께를 가지며 물건이 놓여지는 상부면과, 바닥에 놓여지는 하부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사각의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레트판(10)의 하부면에는 간격을 두고 지지판(12)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12)과 파레트판(10)의 하부면 사이 간격에는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바(13)가 장착되어 파레트판(10)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십자형상의 지지바(13)가 파레트판(10)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정면에서 파레트판(10)과 지지판(12) 사이의 간격과 측면에서 파레트판(10)과 지지판(12) 사이의 간격을 반으로 나눠 구획함으로써 지게차와 핸드트럭의 병용 가능하고, 2대 동시 평행 운반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파레트판(10)의 양측에는 후술되는 제2 측면판부재(40)를 고정시키는 고정홈(11)이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파여져 형성되는 데, 상기 고정홈(11)은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파레트판(10)의 각 모서리에는 지지 가이드 프레임(20)이 장착되어 있는 데, 상기 지지 가이드 프레임(2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이 절곡되어 절곡된 각 부분이 후술되는 제1, 2 측면판부재(30)(40)를 지지하는 측면판 지지부(21)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레트판(10)의 전방과 후방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제1 측면판부재(30)가 장착되어 있는 데, 상기 파레트판(10)의 양 측면에는 제1 측면판부재(30)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제2 측면판부재(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 측면판부재(30) 또는 제2 측면판부재(40)는 외곽의 틀형상을 이루는 테두리 프레임(31)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31)에 장착되어 상기 테두리 프레임(31)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가림판(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2 측면판부재(30)(40)의 상부에는 덮개 프레임(70)이 구비되어 있는 데, 상기 덮개 프레임(7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2 측면판부재(30)(4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판부재(30)는 하단부의 양 측단이 각각 힌지핀(30a)으로 내측을 향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브라켓(34)에 결합되어 제1 측면판부재(30)가 상기 힌지 브라켓(34)을 중심으로 내측을 향해 접히는 구조이다.
상기 힌지 브라켓(34)은 그 측면에 힌지핀(30a)이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세로로 뚫려진 가이드구멍(34a)이 뚫려져 상기 가이드구멍(34a)을 통해 힌지핀(30a)이 관통되어 제 1 측면판부재(30)의 하단부에 고정됨으로써 제1 측면판부재(3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측면판부재(40)는 제1 측면판부재(30)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데, 상기 제2 측면판부재(40)의 상부에는 일단이 제2 측면판부재(40)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그 하부에 제1 측면판부재(30)의 상단이 결합되는 결합홈(41a)이 형성된 결합브라켓(4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 측면판부재(40)의 하부에는 상기 파레트판(10)의 양 측에 파여진 고정홈(1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돌기부(5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부(50)는 상기 고정홈(11)의 형상과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2 측면판부재(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금속재의 원형봉으로 형성되어 제2 측면판부재(40)의 하부에 용접하므로 장착 고정된다.
즉, 제1 측면판부재(30)의 사이에 제2 측면판부재(40)가 결합되어 사각함체를 이루며 상기 사각함체의 상부에는 덮개 프레임(7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측면판부재(40)가 제1 측면판부재(30)의 사이로 결합되면 제1 측면판부재(30)의 상단은 결합브라켓(41)의 결합홈(41a)에 삽입되어 결합 고정된다.
이렇게 제1, 2 측면판부재(30)(40)로 이루어진 사각함체는 상기 파레트판(10)의 외곽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 시 상기 파레트판(10)의 상부면으로 안착된다.
상기 파레트판(10)의 상부면으로 제1, 2 측면판부재(30)(40)가 안착되면 상기 제1, 2 측면판부재(30)(40)가 지지 가이드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며, 제2 측면판부재(40)의 하부에 돌출된 고정돌기부(50)가 고정홈(11)에 삽입되어 결합함으로써 그 위치가 더욱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2 측면판부재(30)(40)를 분리할 경우에는 제1, 2 측면판부재(30)(40)를 들어올려 간단히 분리됨으로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미사용 시에는 제2 측면판부재(40)를 제1 측면판부재(30)의 상부로 분리한 후 제 1 측면판(30)을 힌지핀(30a)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아래로 접고 그 접힌 제1 측면판(30)의 위로 제2 측면판(40)을 눕혀 쌓아 보관함으로써 적은 공간으로 보관이 가능하도록 그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측면판부재(30)는 하나의 제 1 측면판부재(30)를 힌지핀(30a)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접어 파레트판(10)의 상부에 눕힌 후 다른 편의 제1 측면판부재(30)를 상부로 들어올려 힌지핀(30a)이 가이드구멍(34a)의 상부로 위치시킨 후 힌지핀(30a)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접음으로써 서로 간섭되지 않고 하나의 제1 측면판부재(30)의 상부에 다른 제1 측면판부재(30)가 얹히는 상태로 접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측면판부재(30) 또는 제2 측면판부재(40)에는 일단이 테두리프레임(31)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테두리 프레임(31)의 측면에 고정되는 보강프레임(33)을 장착하게 된다.
즉, 종래의 파레트는 다 수로 쌓여져 사용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 경우 파레트판(10)과 상기 파레트판(10)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에 의해 제1, 2 측면판부재(30)(40)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제1, 2 측면판부재(30)(40)의 외곽 틀을 이루는 테두리 프레임(31)의 모서리에 보강 프레임(33)을 장착함으로써 하중을 견디고 비틀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2 측면판부재(30)(4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2 측면판부재(30)(40)가 연결된 각 모서리에 제1, 2 측면판부재(30)(40)의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가지는 걸림고리부(6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걸림고리부(60)는 제1, 2 측면판부재(30)(40)가 연결된 각 모서리에 장착 고정된 장착판(61)와, 상기 장착판(61)에 장착 고정되어 제1, 2 측면판부재(30)(40)의 상부로 돌출되며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고리(6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고리부(60)는 파레트가 다수로 쌓여질 경우 제1, 2 측면판부재(30)(4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제1, 2 측면판부재(30)(40)의 상부로 올려지는 파레트판(10)의 하부가 걸려 이송 중 쌓여진 파레트판(1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로 쌓지 않고 하나로 사용될 경우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9805(2005.10.28.공고)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96674(2008.01.23.공고)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361625(2022.02.09.공고)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철식 파레트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작업자의 키와 비슷한 높이를 가진 측판부재로 인해서 측판부재를 접어 보관하거나 이를 다시 세울 경우에 측판부재를 잡고서 작업하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회동 작동중에 측판부재를 놓쳐 측판부재가 전도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다.
둘째, 측판부재가 힌지회동되는 구조로 인해, 힌지연결된 측판부재의 하측이 아닌 상측을 파지한 상태로 들어 올려야 하는 데, 측판부재의 높이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측판부재의 상측부가 접철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곳이 반대편의 측판부재가 설치된 위치까지 놓여지게 되므로, 이를 들어 올리려면 파레트 위로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서 측판부재나 지주들을 밟고서 작업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작업자의 체중에 의해 부재들이 휘거나 파손될 위험성 또한 존재하고 있다.
셋째, 대향하는 2개의 측판부재가 적재 보관됨에 있어 하나의 측판부재 위로 다른 측판부재가 적층된 상태로 놓여짐으로써, 파레트를 사용할 시 위에 놓인 측판부재를 우선적으로 세운 뒤에 아래에 놓인 측판부재를 세워야 하므로 작업 수행 순서를 제한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파레트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별도의 측면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폴대의 내부에 권취되어 있던 스크린을 펼침에 따라 스크린이 측면부재의 역할을 하였다가 파레트의 역할을 다하고 나면 파레트판의 모서리에서 폴대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대에 권취된 스크린의 일단에 써포트를 끼워 조립함에 따라 조립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레트판의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각 폴대로부터 스크린을 펼친 다음 펼쳐진 스크린의 끝단을 이웃하는 폴대의 측면에 고정하기만 하면 박스형태의 파레트가 완성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저면 각 모서리에 다리가 형성된 파레트판의 상면 각 모서리에 수직장공 및 지지홈 그리고 받침턱을 갖는 브라켓을 받침턱이 각각 90°위상차를 갖도록 고정하고, 상기 각 브라켓에는 수직장공과 지지홈에 끼워지는 삽입돌기 및 지지돌기가 외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와 90°위상차를 갖는 지점에는 개구부가 수직으로 기다랗게 형성되며, 삽입돌기가 형성된 반대편에는 걸고리가 고정된 폴대를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폴대의 내부에는 축의 양단이 베어링 및 캡으로 지지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축과 캡 사이에 리턴스프링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축에는 스크린의 일단을 고정하고 스크린의 타단 상, 하부에는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포켓을 각각 형성함과 함께 상기 포켓에 써포트의 상, 하부에 형성된 결합편을 각각 결합하여 보관시에는 스크린이 권취된 각 폴대를 90°위상차를 갖도록 브라켓에서 접힌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각 브라켓으로부터 폴대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손잡이를 이용하여 폴대로부터 스크린을 인출하여 써포트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를 이웃하는 폴대에 형성된 걸고리에 걸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레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각 브라켓에 접혀져 있던 폴대를 수직으로 세운다음 각 폴대로부터 스크린을 잡아당겨 써포트를 이웃하는 폴대의 걸고리에 걸어두기만 하면 파레트의 조립이 완료되고, 파레트의 사용을 완료한 후에는 반대로 걸고리에서 써포트를 분리한 후 폴대를 접어주기만 하면 부피를 최소화하므로 파레트의 관리가 편리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물류비는 물론이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축에 권취되는 스크린이 파레트의 측면부재역할을 함에 따라 파레트의 무게를 경량화함은 물론이고 파레트의 취급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축에 권취되는 스크린의 길이를 파레트판의 최대길이보다 길게 설정함에 따라 폴대를 규격이 다른 모든 파레트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넷째, 개구부를 통해 폴대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크린에 포켓을 형성하고 써포트에는 포켓에 끼워지는 결합편을 구비함에 따라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음은 물론이고 가공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스크린에 써포트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각 브라켓에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폴대에는 지지홈에 끼워지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브라켓에서 폴대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파레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파레트를 분리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폴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폴대 및 브라켓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브라켓에서 폴대가 접혀진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브라켓에서 폴대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축에 권취된 스크린이 이웃하는 폴대에 고정된 상태의 측면도
도 9a는 브라켓에 폴대가 접혀진 상태도
도 9b는 브라켓에서 폴대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폴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폴대 및 브라켓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화물이 얹히는 파레트판(100), 상기 파레트판(100)의 각 모서리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폴대(110), 상기 폴대(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120), 상기 축(120)을 초기상태로 환원시키는 리턴스프링(130), 상기 축(120)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폴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크린(140)과, 상기 폴대(110)의 외부로 노출된 스크린(140)에 고정되어 이웃하는 폴대에 고정되는 써포트(1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레트판(100)은 저면 각 모서리에 다리(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각 모서리에는 도 6과 같이 단면이 "ㄷ"형상인 브라켓(160)이 고정되어 있는 데, 상기 브라켓(160)에는 일측면에 수직장공(16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장공(161)의 상측에는 지지홈(1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장공(161)이 형성된 측면과 이웃하는 면에는 받침턱(163)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브라켓(160)의 일측면에 수직장공(161) 및 지지홈(162)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수직장공(161) 및 지지홈(162)을 양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파레트판(100)의 각 모서리에 고정된 브라켓(160)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폴대(110)에는 각 브라켓(160)에 형성된 수직장공(161)으로 끼워지는 삽입돌기(111) 및 지지홈(162)에 끼워지는 지지돌기(112)가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삽입돌기(111)와 90°위상차를 갖는 지점에는 개구부(113)가 수직으로 기다랗게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돌기(111)가 형성된 반대편에는 걸고리(114)가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브라켓(160)의 양측면에 수직장공(161) 및 지지홈(162)을 형성할 경우에는 폴대(110)에도 양측면에 대향되게 삽입돌기(111) 및 지지돌기(112)를 형성하여야 된다.
상기 폴대(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120)의 양단이 베어링(121) 및 캡(122)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캡(122)의 외측으로는 커버(123)가 씌워져 있는 데, 상기 축(120)과 캡(122) 사이에는 축(120)을 초기상태로 환원시키는 리턴스프링(130)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리턴스프링(1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나타낸 도 5와 같이 축(120)의 양단에 각각 설치하여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 축(120)의 일단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축(120)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폴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크린(140)은 축(120)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는 데, 상기 스크린(140)의 타단은 개구부(113)를 통해 폴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폴대(110)의 개구부(11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스크린(140)의 끝단에 상, 하로 구획된 포켓(14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포켓(141)을 이용하여 써포트(150)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써포트(150)에는 상, 하방향으로 절곡된 결합편(151)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편(151)을 스크린(140)의 포켓(141)에 결합하면 스크린(140)에 써포트(150)가 고정되므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크린(140)에 써포트(150)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스크린(140)에 써포트(150)를 고정하면 포켓(141)사이에 써포트의 손잡이(152)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써포트(150)의 외측으로는 폴대(110)로부터 스크린(140)이 펼쳐진 상태에서 써포트(150)를 이웃하는 폴대(110)의 걸고리(114)에 걸어두도록 후크(1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써포트(150)의 상, 하부에 후크(153)를 각각 형성하고 각 폴대(110)에는 후크(153)가 걸리는 2개의 걸고리(114)를 고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축(120)에 권취되는 스크린(140)의 길이를 파레트판(100)의 최대길이보다 길게 설정하는 것이 파레트판(100)의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즉,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파레트판(100)의 길이가 대략 1800 × 2000mm정도이므로 축(120)에 감기는 스크린(140)의 길이를 2300mm로 설정하면 파레트판(100)의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폴대(110)를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레트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시에는 각 폴대(110)에 설치된 스크린(140)이 리턴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축(120)에 권취된 상태로 각 폴대(110)가 도 9a와 같이 각 브라켓(160)에 절첩되어 폴대(110)의 하단이 브라켓(160)에 형성된 받침턱(163)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레트판(100)의 각 모서리에 고정된 브라켓(160)에 절첩되는 폴대(110)는 도 7과 같이 파레트판(100)의 각 변에 위치되므로 절첩시 상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레트판(100)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파레트판(100)에 절첩되어 있던 각 폴대(110)를 수직상태로 세워야 된다.
도 7과 같이 파레트판(100)의 각 모서리에 고정된 브라켓(160)의 받침턱(163)에 얹혀지도록 접혀져 있던 각 폴대(110)를 수직으로 들어올리면 삽입돌기(111)가 수직장공(161)을 따라 상승하면서 폴대(110)가 받침턱(163)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브라켓(160)에서 폴대(110)를 수직상태로 세울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라켓(160)에서 폴대(110)를 차례로 수직상태로 세우고 폴대(110)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자중에 의해 폴대(110)의 하부에 고정된 삽입돌기(111)가 수직장공(161)을 따라 하강하게 되므로 삽입돌기(111)의 상부에 위치된 지지돌기(112)가 지지홈(162)에 끼워져 폴대(110)의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각 브라켓(160)으로부터 폴대(110)를 수직상태로 세운 다음 각 폴대(110)의 개구부(11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써포트(150)의 손잡이(152)를 파지한 상태로 써포트(150)를 이웃하는 폴대(110)까지 잡아당기면 상기 캡(122)과 축(120) 사이에 양단이 고정된 리턴스프링(130)이 풀리면서 축(120)으로부터 스크린(140)이 펼쳐지므로 써포트(150)의 후크(153)를 이웃하는 폴대(110)의 걸고리(114)에 차례로 걸어둠에 따라 스크린(140)이 파레트의 측면부재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완성된 파레트에 화물을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화물의 운송을 마치고 나면 파레트의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각각의 폴대(110)로부터 펼쳐진 스크린(140)을 축(120)에 권취한 다음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폴대(110)를 도 7과 같이 접어야 된다.
즉, 써포트(150)의 손잡이(152)를 파지한 다음 이웃하는 폴대(110)의 걸고리(114)에 걸려있던 후크(153)의 걸림상태를 차례로 해제하면 스크린(140)의 리턴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축(120)에 권취되는 데, 이때 상기 축(120)의 양단은 캡(122)에 고정된 베어링(121)으로 각각 지지되어 있어 상기 스크린(140)이 축(120)에 안정된 상태로 권취된다.
상기 각 폴대(110)의 축(120)에 스크린(140)을 권취한 다음 수직상태로 세워져 있던 각 폴대(110)를 차례로 파지하여 수직장공(161)에 끼워져 있던 삽입돌기(111)가 수직장공(161)을 따라 이동하도록 폴대(110)를 도 9b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삽입돌기(111)의 상측에 위치하여 지지홈(162)에 끼워져 있던 지지돌기(112)가 지지홈(162)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므로 브라켓(160)에서 폴대(110)를 수평상태로 눕혀 파레트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파레트판 110 : 폴대
111 : 삽입돌기 112 : 지지돌기
113 : 개구부 114 : 걸고리
120 : 축 121 : 베어링
122 : 캡 130 : 리턴스프링
140 : 스크린 141 : 포켓
150 : 써포트 151 : 결합편
152 : 손잡이 153 : 후크
160 : 브라켓 161 : 수직장공
162 : 지지홈 163 : 받침턱

Claims (2)

  1. 저면 각 모서리에 다리(101)가 형성된 파레트판(100)의 상면 각 모서리에 수직장공(161) 및 지지홈(162) 그리고 받침턱(163)을 갖는 브라켓(160)을 받침턱(163)이 각각 90°위상차를 갖도록 고정하고, 상기 각 브라켓(160)에는 수직장공(161)과 지지홈(162)에 끼워지는 삽입돌기(111) 및 지지돌기(112)가 외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111)와 90°위상차를 갖는 지점에는 개구부(113)가 수직으로 기다랗게 형성되며, 삽입돌기(111)가 형성된 반대편에는 걸고리(114)가 고정된 폴대(110)를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폴대(110)의 내부에는 축(120)의 양단이 베어링(121) 및 캡(122)으로 지지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축(120)과 캡(122) 사이에 리턴스프링(130)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축(120)에는 스크린(140)의 일단을 고정하고 스크린의 타단 상, 하부에는 개구부(11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포켓(141)을 각각 형성함과 함께 상기 포켓(141)에 써포트(150)의 상, 하부에 형성된 결합편(151)을 각각 결합하여 보관시에는 스크린(140)이 권취된 각 폴대(110)를 90°위상차를 갖도록 브라켓(160)에서 접힌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각 브라켓(160)으로부터 폴대(110)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손잡이(152)를 이용하여 폴대(110)로부터 스크린(140)을 인출하여 써포트(150)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153)를 이웃하는 폴대에 형성된 걸고리(114)에 걸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레트.
  2. 삭제
KR1020220028745A 2022-03-07 2022-03-07 조립식 파레트 KR102464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745A KR102464080B1 (ko) 2022-03-07 2022-03-07 조립식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745A KR102464080B1 (ko) 2022-03-07 2022-03-07 조립식 파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080B1 true KR102464080B1 (ko) 2022-11-04

Family

ID=8410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745A KR102464080B1 (ko) 2022-03-07 2022-03-07 조립식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0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2513A1 (en) * 1993-11-05 1995-05-11 Vorstenbosch Albertus Francisc Box-like transport container
JP2009067414A (ja) * 2007-09-11 2009-04-02 Ricoh Co Ltd 荷崩れ防止装置
WO2012087213A1 (en) * 2010-12-23 2012-06-28 Crossborder Technologies Ab Attachment for foldable pallet surround or pallet superstructure.
KR20210084815A (ko) * 2019-12-30 2021-07-08 김상기 양면 사용 전동롤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2513A1 (en) * 1993-11-05 1995-05-11 Vorstenbosch Albertus Francisc Box-like transport container
JP2009067414A (ja) * 2007-09-11 2009-04-02 Ricoh Co Ltd 荷崩れ防止装置
WO2012087213A1 (en) * 2010-12-23 2012-06-28 Crossborder Technologies Ab Attachment for foldable pallet surround or pallet superstructure.
KR20210084815A (ko) * 2019-12-30 2021-07-08 김상기 양면 사용 전동롤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91189A (ja) ボックスパレット
US20080190810A1 (en) Collapsible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KR200399805Y1 (ko)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KR20210126139A (ko) 화물 유닛
KR102464080B1 (ko) 조립식 파레트
CN113329956A (zh) 具有角部锁定结构的折叠式集装箱
JP2009023692A (ja) 折りたゝみ式通函
JP3993934B2 (ja) コンテナ
US20130319887A1 (en) Collapsible Garment Stillage
JP3210364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US20130206620A1 (en) Collapsible Garment Stillage
FI128389B (en) Container
JPH0511156Y2 (ko)
KR101641906B1 (ko) 안정 고정 크레이트
US20230242303A1 (en) Container
WO2019207491A1 (en) Stillage box
JP3029507U (ja) 吊り下げ式メッシュパレット
JPH0320314Y2 (ko)
JPH0126589Y2 (ko)
JP3180951U (ja) ラック
KR200433342Y1 (ko)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FI128372B (en) A substance, a combination, a plurality of parts, a process for preparing the combination and its use
KR100326736B1 (ko) 자동차 부품 전용 파렛트
IT202100015281A1 (it) Scatola e assieme per la gestione di merci
KR20240029819A (ko) 조립식 파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