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151B1 -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151B1
KR101645151B1 KR1020157025565A KR20157025565A KR101645151B1 KR 101645151 B1 KR101645151 B1 KR 101645151B1 KR 1020157025565 A KR1020157025565 A KR 1020157025565A KR 20157025565 A KR20157025565 A KR 20157025565A KR 101645151 B1 KR101645151 B1 KR 101645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late
sensor
substrat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090A (ko
Inventor
아키코 후지우치
이치히로 아베
고이치로 오카무라
세이이치 마츠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1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49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 H04N1/0318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source, a lens array and a photodetector array which are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Abstract

이미지 센서(100)는, 판독 대상을 투과하거나 또는 판독 대상에서 반사하여, 제 1 투명판(2)을 투과한 광을 집속하는 렌즈체(4)와, X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렌즈체(4)로 집속된 광을 수광하는 센서(6)와, 제 1 투명판(2)이 고정되고, 렌즈체(4) 및 센서(6)를 수납 또는 유지하는 제 1 케이스(1)와, 제 1 케이스(1)의 X 방향 단부에 설치되고, 제 1 케이스(1)에 수납 또는 유지된 렌즈체(4)를 봉지하는 브래킷(1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본 발명은, 복합기나 지폐 판독 장치 등에 이용되는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는, 케이스 내에 내장된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조사광을 판독 대상에 조사하고, 판독 대상에서 반사된 광을, 렌즈 등의 결상 광학계를 통해서 광전 변환 소자 상에 결상하여, 화상 정보를 얻는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이미지 센서는, 렌즈 및 센서 기판을 유지하는 제 1 케이스와, 광원 기판 및 글라스를 유지하는 제 2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6-237977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8-140632 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이미지 센서에서는, 결상 광학계는, 제 2 케이스로 봉지되어 있고, 제 1 케이스 단일체로는 봉지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결상 광학계가 더러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결상 광학계의 더러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결상 광학계와, 수광부와, 판재와, 제 1 케이스와, 브래킷(bracket)과, 봉지판을 구비하는 것이다. 결상 광학계는, 피조사체를 투과하거나 또는 피조사체에서 반사하여, 제 1 천판부를 투과한 광을 집속한다. 수광부는, 주(主)주사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결상 광학계로 집속된 광을 수광한다. 판재는, 수광부를 지지한다. 제 1 케이스는, 피조사체측의 제 1 개구와, 피조사체측과는 반대측의 제 2 개구와,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결상 광학계 및 수광부를 수납 또는 유지한다. 브래킷은, 제 1 케이스의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봉지판은,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는, 제 1 천판부가 제 1 개구를 덮고, 판재가 제 2 개구를 덮고, 브래킷 및 봉지판이 구멍을 덮음으로써, 제 1 케이스에 수납 또는 유지된 결상 광학계를 봉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상 광학계는 제 1 케이스로 봉지되어 있으므로, 결상 광학계의 더러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분해도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외관도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주주사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부주사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기판 유지판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광로(光路)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분해도이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부(副)주사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주주사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봉지판을 제거했을 때, 이미지 센서를 주주사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브래킷을 제거했을 때, 이미지 센서를 주주사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부주사 방향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주주사 방향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광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이미지 센서의 구성, 및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판독 대상이란,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조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이미지 센서로부터 화상으로서 판독되는 피조사체이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판독 대상의 반송이란, 판독 대상 자체가 반송되는 경우에 더하여, 판독 대상에 대해서 이미지 센서 자체가 부주사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도 1 ~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직교 좌표계 XYZ를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이미지 센서(100)의 주주사 방향을 X축, 부주사 방향을 Y축으로 한다. X축 및 Y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Z축으로 한다. 판독 대상은 이미지 센서(100)의 Z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100)로부터 판독 대상의 방향을 Z축의 정(+)의 방향으로 한다. 이하, 주주사 방향을 X 방향, 부주사 방향을 Y 방향이라고 한다. Z 방향은 초점 심도(深度)의 방향이다. 또, 이미지 센서(100)의 판독 대상측을 +Z측, 그 반대측을 -Z측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주주사 방향의 한쪽측을 +X측, 다른 쪽을 -X측이라고도 한다. 또, 부주사 방향의 한쪽측을 +Y측, 다른 쪽을 -Y측이라고도 한다. 추가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는, 이미지 센서(100)의 판독 폭이란, 이미지 센서(100)가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직선의 길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판독 폭이란, 주주사 방향을 따르는 직선의 길이이다. 도면 내,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분해도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외관도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주주사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부주사 방향 단면도이다. 부주사 방향 단면이란, 주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면이다. 즉, 부주사 방향 단면이란, YZ면 단면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기판 유지판의 확대도이다.
이미지 센서(100)는, 제 1 케이스(1)와, 제 1 투명판(2)과, 렌즈체(결상 광학계)(4)와, 센서(수광부)(6)와, 센서 기판(7)과, 기판 유지판(9)과, 신호 처리 기판(10)과, 브래킷(11)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케이스(1)는 금속이나 수지 등의 성형성이 좋은 재료를 이용하여, 압출이나 사출 성형, 혹은 절삭 가공 등에 의해서 제조된 프레임이다. 제 1 케이스(1)의 +Z측의 면에는 개구(1f)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f)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제 1 투명판(2)을 지지하는 단차 부분(1g)이 형성되어 있다. 단차 부분(1g)의 단차는, 적어도 X 방향을 따라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1f)는 광이 통과하는 광로로 된다. 이 때문에, 개구(1f)는, X 방향의 길이가 판독 폭보다 크고, Y 방향의 길이가 렌즈체(4)의 Y 방향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스(1)에는, X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의 Y 방향 및 Z 방향의 길이는, 렌즈체(4) 및 렌즈 지지판(5)의 각각의 Y 방향 및 Z 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제 1 케이스(1)는 YZ면 단면이 볼록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는 평면부(1h)와 돌출부(1i)를 갖는다. 돌출부(1i)에는, 렌즈체(4)를 수납하는 렌즈체 수납부(1e)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i)의 선단(先端)은 제 1 투명판(2)을 지지하고 있다.
제 1 케이스(1)의 -Z측의 표면에는, 센서 구동 기판(8) 및 기판 유지판(9)을 유지하기 위해서 유지 홈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 홈은, X 방향에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 홈은 Y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스(1)의 -Z측의 표면에는, Z 방향으로 깊은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해당 홈은, 제 1 케이스(1)가 센서 기판(7) 상의 실장 부품과 간섭하지 않도록, Y 방향 및 Z 방향의 길이가 실장 부품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의 +X측 및 -X측의 표면에는, 브래킷 장착 구멍(1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의 +Y측 및 -Y측의 표면에는, 커버 장착 구멍(1b)이 형성되어 있다. 광원 장착 기준면(1d)에는, 광원 장착 구멍(1c)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의 광원 장착 기준면(1d)과 제 1 투명판(2)을 탑재하고 있는 면의 사이에는, XZ 평면에 대해서 경사진 면(1j)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돌출부(1i)는, +Z측을 향해서, YZ면 단면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투명판(2)은, 예를 들면, 유리나 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제 1 투명판(2)은 개구(1f)를 덮는 커버로서 기능한다. 제 1 투명판(2)은 판독 대상에서 반사한 광의 감쇠를 방지하기 위해서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판독 대상은 제 1 투명판(2)에 대해서 +Z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광은 제 1 투명판(2)을 투과하여 렌즈체(4)에 입사한다.
또, 제 1 투명판(2)은, UV 커트 글라스 또는 IR 커트 글라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 1 투명판(2)에, 자외광 또는 적외광을 차단하는 광학 파장 선택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일(3)은 양면이 접착면으로 되어 있는 시트 형상의 재료로 구성된다. 시일(3)은, 길이가 단차 부분(1g)의 X 방향 및 Y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시일(3)의 중앙부에는, 제 1 투명판(2)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체(4)는, 광을 집속하여 결상하는 광학 부재(예를 들면, 로드(rod) 렌즈 어레이, 매크로 렌즈 어레이 등의 렌즈 어레이) 또는 광학 부재를 복합한 것(예를 들면, 미러군과 렌즈를 조합한 것과 같은 결상 광학계)이다. 센서(6)는, 렌즈체(4)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센서 IC(수광 소자)로 구성되는 센서 어레이이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렌즈체(4)가 로드 렌즈 어레이인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로드 렌즈 어레이는, 정립(正立) 등배의 상을 맺는 로드 렌즈가 X 방향으로 다수 배열되어 프레임 등으로 형성된 것이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렌즈체(4)로서, X 방향으로 가늘고 긴 박스 형상의 외형만을 도시한다.
렌즈 지지판(5)은 X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재(板材)이며, 렌즈체(4)를 보강한다.
센서 기판(7)은, 센서(6)가 X 방향으로 판독 폭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센서(6)가 실장된 판재이다. 센서 기판(7)은 X 방향으로 연장한다. 센서(6)는 광전 변환 소자이다. 센서(6)는, 센서 구동 기판(8)에 와이어 본딩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센서(6)는 렌즈체(4)로 수속된 광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을 행한다. 센서(6)는 센서 구동 기판(8)과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센서 구동 기판(8)에 의해서 구동된다. 센서(6)는, 전기 신호로 변환한 광을 센서 구동 기판(8)에 출력한다.
센서 구동 기판(8)은 X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로 기판이다. 센서 구동 기판(8)은, 신호 처리 기판(10)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8a)를 가지고 있다. 센서 구동 기판(8)은 제 1 케이스(1)에 고정되기 위한 감합 구멍(8b)을 가진다. 센서 구동 기판(8)은, 센서(6)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와 해당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패드 등을 가지고 있다.
기판 유지판(9)은,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재이다. +Z 방향에서 보면, 기판 유지판(9)은, 케이스 장착면(9a)과, 센서 기판 장착 기준면(9b)과, 보강 구조(9d)와, 감합 구멍(9e)과, 감합 구멍(9f)을 가진다. 케이스 장착면(9a)은 Y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장착면(9a)은 +Z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센서 기판 장착 기준면(9b)은, 케이스 장착면(9a)과 본체면(9g)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면이다. 보강 구조(9d)는, 기판 유지판(9)의 -Z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보강 구조(9d)는 X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센서(6)는 보강 구조(9d)의 +Z측에 배치된다. 케이스 장착면(9a)은 X 방향으로 연장한다. 케이스 장착면(9a)은 본체면(9g)과 평행하다. 센서 기판 장착 기준면(9b)은 본체면(9g)에 대해서 수직이다. 감합 구멍(9e)은 기판 유지판(9)을 제 1 케이스(1)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감합 구멍(9e)은 케이스 장착면(9a) 상에 설치된다. 감합 구멍(9f)은 기판 유지판(9)과 센서 구동 기판(8)을 제 1 케이스(1)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감합 구멍(9f)은 본체면(9g) 상에 설치된다.
또, 보강 구조(9d)는 X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나사(14)에 의해, 기판 유지판(9)을 제 1 케이스(1)에 고정할 때, 기판 유지판(9)에 발생하는 비틀림이나 왜곡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기판 유지판(9)에 발생하는 X 방향의 굴곡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센서(6) 및 제 1 케이스(1)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정밀도가 확보된다.
신호 처리 기판(10)은 회로 기판이다. 센서 구동 기판(8)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10a)와, 광원 구동용 커넥터(10b)와, 커넥터(10c)와, 감합 구멍(10d, 10e)을 가지고 있다. 커넥터(10a)는 센서 구동 기판(8)에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이다. 커넥터(10c)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는다. 커넥터(10c)는 외부 기기에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이다. 신호 처리 기판(10)은 제 1 케이스(1)에 고정하기 위한 감합 구멍(10e)을 가진다. 또, 센서 구동 기판(8)은, 광원(20)을 구동하는 전원 회로와, 신호 처리 회로인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가진다. 신호 처리 기판(10)과 센서 구동 기판(8)은 필요에 따라서 일체화되어도 좋다.
브래킷(11)은, YZ 평면에 평행한 면과, XY 평면에 평행한 면을 가지는 대략 L자 형상의 부재이다. 브래킷(11)은 금속판 등으로 구성된 판재로 이루어진다. 브래킷(11)은, YZ 평면에 평행한 면에, 케이스 감합 구멍(11a)과, 봉지판 감합 구멍(11b)을 가진다. 브래킷(11)의 YZ 평면에 평행한 면은, 제 1 케이스(1)의 +X측 및 -X측의 개구와 동일한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래킷(11)의 YZ 평면에 평행한 면은, 제 1 케이스(1)와 부착되었을 때에 제 1 케이스(1)의 +X측 및 -X측의 개구를 덮는 것이 가능하다. 브래킷(11)은 대략 L자 형상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필요한 강도에 따라서, 예를 들면 박스형으로 하는 등의 보강 구조가 설치되어도 좋다.
봉지판(12)은 YZ 평면에 평행한 면을 가지는 판재이다. 봉지판(12)은, 금속판 등으로 구성된다. 봉지판(12)은, 브래킷(11)에 고정되기 위한 구멍으로서, 감합 구멍(12a)을 가진다.
커버(13)는 +Z측으로 개구된 박스체이다. 커버(13)는 금속판이나 성형품 등으로 형성된다. 커버(13)는 감합 구멍(13a)을 가진다.
나사(14) 또는 스페이서 나사(31)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체결 부재로서 이용된다. 즉, 나사(14) 또는 스페이서 나사(31)는, 제 1 케이스(1)에 대해서, 렌즈 지지판(5)과, 센서 구동 기판(8)과, 기판 유지판(9)과, 신호 처리 기판(10)과, 커버(13)와, 브래킷(11)을 체결한다. 또, 나사(14) 또는 스페이서 나사(31)는, 브래킷(11)과 봉지판(12)을 체결한다. 나사(14) 또는 스페이서 나사(31)는, 각각의 체결점이 필요로 하는 강도에 적합한 체결 강도 및 개수로 최적화되는 것이 당연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이미지 센서(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투명판(2)은, 시일(3)에 의해서, 개구(1f)에 고정된다.
렌즈 지지판(5) 및 렌즈체(4)는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착된다. 또, 렌즈 지지판(5) 및 렌즈체(4)의 둘다 단수일 필요는 없고, 복수 부재가 결합된 구성이어도 좋다. 렌즈체(4)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판(5)은, 제 1 케이스(1)에 삽입되어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렌즈체(4)의 초점은 판독 대상이 반송되는 면에 맞도록 배치된다.
센서 기판(7) 및 센서 구동 기판(8)은 기판 유지판(9)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기판 유지판(9)은, 센서 기판(7) 및 센서 구동 기판(8)을 +Z측에 유지한다. 센서 기판(7)은 접착제나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기판 유지판(9)에 접착된다. 센서 기판(7)이 기판 유지판(9)에 접착될 때에, 센서 기판 장착 기준면(9b)에 대해서 센서 기판(7)의 +Y측의 면이 당접함으로써, 센서 기판(7) 및 기판 유지판(9)은, Y 방향 및 Z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위치 정밀도가 확보된다. 센서(6)는 센서 기판(7) 상에 실장된다. 센서 구동 기판(8)은, 기판 유지판(9)의 본체면(9g)에 당접함으로써, 센서 기판(7)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추가로, 센서 구동 기판(8)은, 감합 구멍(9f)과 감합 구멍(8b)이 Z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된 후, 접착제나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착된다.
센서 구동 기판(8)은, 감합 구멍(8b)과 감합 구멍(9f)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나사(31)에 의해서 제 1 케이스(1)에 유지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8a)가 광원 구동용 커넥터(10b)에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경우에도, 센서 구동 기판(8)과 제 1 케이스(1)의 부착 상태가 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센서 구동 기판(8)과 제 1 케이스(1)의 부착 상태는 안정된다. 기판 유지판(9)은, 감합 구멍(9e)과 감합 구멍(9f)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나사(31)에 의해서 제 1 케이스(1)에 고정된다.
감합 구멍(9e)은, 센서(6)의 +Y측에 형성되어 있다. 감합 구멍(9f)은, 센서(6)의 -Y측에 형성되어 있다. 센서(6)는, Y 방향에 있어서, 감합 구멍(9e)과 감합 구멍(9f)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 유지판(9)은, 감합 구멍(9e)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나사(31)의 텐션(tension)을 받는다. 기판 유지판(9)은, 감합 구멍(9f)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나사(31)의 텐션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기판 유지판(9)은 +Z측을 향해 유지된다. 이 때문에, 센서(6)는, 기판 유지판(9)에 의해, +Z측을 향해 유지된다. 센서(6)는, 센서 기판(7) 및 기판 유지판(9)이 스페이서 나사(31)에 의해서 제 1 케이스(1)에 고정되어도, 스페이서 나사(31)의 체결시의 텐션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 때문에, 센서(6)는 체결시의 텐션에 의한 특성 변동을 받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센서(6)는 안정하게 유지된다. 또, 센서 기판(7)과 기판 유지판(9)을 제 1 케이스(1)에 고정하는 수단은 스페이서 나사(31)에 한정되지 않고, 리벳에 의한 감합이나 접착 등이어도 좋다.
신호 처리 기판(10)은, 커넥터(10a)가 커넥터(8a)에 감합됨으로써, 센서 구동 기판(8)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감합 구멍(10d)과 감합 구멍(9e)은 Z 방향으로 겹친다. 감합 구멍(9e)에 삽입된 스페이서 나사(31)의 나사 구멍과 감합 구멍(10d)에 나사(14)가 삽입됨으로써, 기판 유지판(9)과 신호 처리 기판(10)은 체결된다. 추가로, 감합 구멍(10e)과 감합 구멍(9f)은 Z 방향으로 겹친다. 감합 구멍(9f)에 삽입된 스페이서 나사(31)의 나사 구멍과 감합 구멍(10e)에 나사(14)가 삽입됨으로써, 기판 유지판(9)과 신호 처리 기판(10)은 더 강고하게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신호 처리 기판(10)은 제 1 케이스(1)에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또, 신호 처리 기판(10)과 센서 구동 기판(8)을 일체화한 경우는, 센서 구동 기판(8)을 제 1 케이스(1)에 고정함으로써, 신호 처리 기판(10)이 제 1 케이스(1)에 고정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브래킷(11)은, 케이스 감합 구멍(11a)과 제 1 케이스(1)의 브래킷 장착 구멍(1a)에 나사(14)가 삽입됨으로써, 제 1 케이스(1)에 고정된다.
봉지판(12)은, 감합 구멍(12a)과 브래킷(11)의 봉지판 감합 구멍(11b)에 나사(14)가 삽입됨으로써, 브래킷(11)에 고정된다.
커버(13)는, 감합 구멍(13a)과 제 1 케이스(1)의 커버 장착 구멍(1b)에 나사(14)가 삽입됨으로써, 제 1 케이스(1)에 고정된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화상 정보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광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원(20)은, 판독 대상(30)을 사이에 두고 이미지 센서(100)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은, 판독 대상(30)을 투과하여 이미지 센서(100)에 입사한다. 이미지 센서(100)에 입사한 광은, 제 1 투명판(2)을 투과하여 렌즈체(4)를 통해서 센서(6) 상에 결상된다. 이것에 의해, 판독 대상(30)의 화상 정보는, 광으로서 센서(6) 상에 결상된다. 광전 변환된 광은 센서(6)로부터 센서 구동 기판(8)을 통해서 신호 처리 기판(10)에 도달하고, 커넥터(10c)를 통해서 이미지 센서(100)의 외부 기기에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판독 대상(30)의 화상 정보는, 전기 신호로서 이미지 센서(100)의 외부 기기에 출력된다. 또, 광원(20)을 판독 대상(30)에 대해서 이미지 센서(100)와 같은 측에 배치하는 경우, 광원(20)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판독 대상(30)에서 반사하여 이미지 센서(100)에 입사하는 점이 다르지만, 이미지 센서(100)에의 입사 후의 동작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효과를 설명한다. 기판 유지판(9)은, 감합 구멍(9e)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나사(31)의 텐션을 받는다. 기판 유지판(9)은, 감합 구멍(9f)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나사(31)의 텐션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기판 유지판(9)은, +Z측을 향해 유지된다. 이 때문에, 센서 기판(7) 및 센서(6)는, 기판 유지판(9)에 의해, +Z측을 향해 유지된다. 센서(6)는, 센서 기판(7) 및 기판 유지판(9)이 스페이서 나사(31)에 의해서 제 1 케이스(1)에 고정되어도, 스페이서 나사(31)의 체결시의 텐션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센서 기판(7)의 +Y측의 면은, 센서 기판 장착 기준면(9b)에 당접한다. 감합 구멍(9e) 및 감합 구멍(9f)에는, 스페이서 나사(31)가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센서 기판(7) 및 기판 유지판(9)은, Y 방향 및 Z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정밀도가 확보된다. 결과적으로, 센서 기판(7) 및 센서(6)는, Y 방향 및 Z 방향으로 고정밀도로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제 1 케이스(1) 및 기판 유지판(9)에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 센서 구동 기판(8)은, 감합 구멍(8b)과 감합 구멍(9f)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나사(31)에 의해서 제 1 케이스(1)에 유지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8a)가 광원 구동용 커넥터(10b)에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경우에도, 센서 구동 기판(8)과 제 1 케이스(1)의 부착 상태가 변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센서 구동 기판(8)과 제 1 케이스(1)의 부착 상태는 안정된다. 또, 신호 처리 기판(10)이 스페이서 나사(31)에 의해서 기판 유지판(9)이 체결되었을 때에, 신호 처리 기판(10)은, 기판 유지판(9)보다 +Y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신호 처리 기판(10)의 +Y측에, 커넥터(10a)를 포함한 전기 부품을 표리면에 실장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보강 구조(9d)는, 기판 유지판(9)의 -Z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 유지판(9)은, 컴팩트하면서도, 센서(6)를 Z 방향으로 정밀도 좋게 유지하는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1의 이미지 센서(100)의 방진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구(1f)는 제 1 투명판(2)으로 봉지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의 -Z측의 개구는 센서 구동 기판(8) 및 기판 유지판(9)에 의해서 봉지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의 X 방향의 구멍은 브래킷(11) 및 봉지판(12)으로 봉지되어 있다. 즉, 제 1 케이스(1)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는, 모두, 봉지 구조가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케이스(1)의 내부의 렌즈체(4) 및 센서(6)에 대해서 높은 방진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광원(20)은, 광원 장착 구멍(1c)이 설치되어 있는 광원 장착 기준면(1d)과, 평면부(1h)의 +Z측의 면에 당접됨으로써, 탑재된다. 면(1j)은 XZ 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돌출부(1i)는, +Z측을 향해서, YZ면 단면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판독 대상(30)에 대해서 광원(2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입사 각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광원(20)을 더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접 광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는 광원(20)을 제 1 케이스(1)에 근접시켜 입사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산란광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는 광원(20)을 제 1 케이스(1)로부터 이격하여 입사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광원(20)의 조도가 더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는, 광원(20)을 판독 대상(30)에 근접시킬 수 있다. 또, 점 광원을 어레이 배치하도록 한 광원에서 리플(편차)이 생기는 경우에는, 광원(20)을 판독 대상(30)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이미지 센서의 구성, 및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실시의 형태 2에 대해 도 7 ~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직교 좌표계 XYZ를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이미지 센서(200)의 주주사 방향을 X축, 부주사 방향을 Y축으로 한다. X축 및 Y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Z축으로 한다. 판독 대상은 이미지 센서(200)의 Z축 방향에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200)로부터 판독 대상의 방향을 Z축의 정(+)의 방향으로 한다. 이하, 주주사 방향을 X 방향, 부주사 방향을 Y 방향이라고 한다. Z 방향은 초점 심도의 방향이다. 또, 이미지 센서(200)의 판독 대상측을 +Z측, 그 반대측을 -Z측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주주사 방향의 한쪽의 측을 +X측, 다른쪽을 -X측이라고도 한다. 또, 부주사 방향의 한쪽의 측을 +Y측, 다른쪽을 -Y측이라고도 한다. 추가로,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는, 이미지 센서(200)의 판독 폭이란, 이미지 센서(200)가 판독할 수 있는 직선의 길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판독 폭이란, 주주사 방향에 따른 직선의 길이이다. 도면 내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분해도이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부주사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주주사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봉지판을 제거했을 때, 이미지 센서를 주주사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브래킷을 제거했을 때, 이미지 센서를 주주사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부주사 방향 단면도이다. 부주사 방향 단면이란, 주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면이다. 즉, 부주사 방향 단면이란 YZ면 단면이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주주사 방향 단면도이다. 주주사 방향 단면이란, 부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면이다. 즉, 주주사 방향 단면이란, XZ면 단면이다.
이미지 센서(200)는, 제 1 케이스(1)와, 제 1 투명판(2)과, 렌즈체(결상 광학계)(4)와, 센서(수광부)(6)와, 센서 기판(7)과, 기판 유지판(9)과, 신호 처리 기판(10)과, 브래킷(41)과, 봉지판(42)과, 방열면(방열 핀)(15e)을 갖는 제 2 케이스(15)와, 제 2 투명판(16)과, 광원(20)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케이스(1)는 금속이나 수지 등의 성형성이 좋은 재료를 이용하여, 압출이나 사출 성형, 혹은 절삭 가공 등에 의해서 제조된 프레임이다. 제 1 케이스(1)의 +Z측의 면에는, 개구(1f)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f)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제 1 투명판(2)을 지지하는 단차 부분(1g)이 형성되어 있다. 단차 부분(1g)의 단차는, 적어도 X 방향을 따라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1f)는 광이 통과하는 광로로 된다. 이 때문에, 개구(1f)는, X 방향의 길이가 판독 폭보다 크고, Y 방향의 길이가 렌즈체(4)의 Y 방향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스(1)에는, X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의 Y 방향 및 Z 방향의 길이는, 렌즈체(4) 및 렌즈 지지판(5)의 각각의 Y 방향 및 Z 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제 1 케이스(1)는, YZ면 단면이 오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는, 평면부(1h)와 돌출부(1i)를 가진다. 돌출부(1i)에는, 렌즈체(4)를 수납하는 렌즈체 수납부(1e)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i)의 선단은, 제 1 투명판(2)을 지지하고 있다.
제 1 케이스(1)의 -Z측의 표면에는, 센서 구동 기판(8) 및 기판 유지판(9)을 유지하기 위해서 유지 홈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 홈은, X 방향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 홈은, Y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스(1)의 -Z측의 표면에는, Z 방향으로 깊은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해당 홈은, 제 1 케이스(1)가 센서 기판(7) 상의 실장 부품과 간섭하지 않도록, Y 방향 및 Z 방향의 길이가 실장 부품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의 +X측 및 -X측의 표면에는, 브래킷 장착 구멍(1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의 +Y측 및 -Y측의 표면에는, 커버 장착 구멍(1b)이 형성되어 있다. 광원 장착 기준면(1d)에는, 광원 장착 구멍(1c)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의 광원 장착 기준면(1d)과 제 1 투명판(2)을 탑재하고 있는 면의 사이에는, XZ 평면에 대해서 경사하는 면(1j)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돌출부(1i)는, +Z측을 향하여, YZ면 단면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투명판(2)은, 예를 들면, 유리나 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제 1 투명판(2)은, 개구(1f)를 덮는 커버로서 기능한다. 제 1 투명판(2)은, 판독 대상에서 반사한 광의 감쇠를 억제하기 위해서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판독 대상은 제 1 투명판(2)에 대해서 +Z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광은 제 1 투명판(2)을 투과하여 렌즈체(4)에 입사한다.
또, 제 1 투명판(2)은, UV 커트 글라스 또는 IR 커트 글라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 1 투명판(2)에, 자외광 또는 적외광을 차단하는 광학 파장 선택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일(3)은 양면이 접착면으로 되어 있는 시트 형상의 재료로 구성된다. 시일(3)은, 길이가 단차 부분(1g)의 X 방향 및 Y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시일(3)의 중앙부에는, 제 1 투명판(2)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체(4)는, 광을 집속하여 결상하는 광학 부재(예를 들면, 로드 렌즈 어레이, 매크로 렌즈 어레이 등의 렌즈 어레이) 또는 광학 부재를 복합한 것(예를 들면, 미러군과 렌즈를 조합한 것과 같은 결상 광학계)이다. 센서(6)는, 렌즈체(4)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센서 IC(수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센서 어레이이다.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렌즈체(4)가 로드 렌즈 어레이인 것으로서 설명을 행한다. 로드 렌즈 어레이는, 정립 등배의 상을 맺는 로드 렌즈가 X 방향으로 다수 배열되어 프레임 등으로 형성된 것이다. 실시의 형태 2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렌즈체(4)로서, X 방향으로 가늘고 긴 박스 형상의 외형만을 도시한다.
렌즈 지지판(5)은 X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재이며, 렌즈체(4)를 보강한다.
센서 기판(7)은, 센서(6)가 X 방향으로 판독 폭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센서(6)가 실장된 판재이다. 센서 기판(7)은 X 방향으로 연장한다. 센서(6)는 광전 변환 소자이다. 센서(6)는, 센서 구동 기판(8)에 와이어 본딩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센서(6)는 렌즈체(4)로 수속된 광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을 행한다. 센서(6)는 센서 구동 기판(8)과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센서 구동 기판(8)에 의해서 구동된다. 센서(6)는, 전기 신호로 변환한 광을 센서 구동 기판(8)에 출력한다.
센서 구동 기판(8)은 X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로 기판이다. 센서 구동 기판(8)은, 신호 처리 기판(10)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8a)를 가지고 있다. 센서 구동 기판(8)은 제 1 케이스(1)에 고정되기 위한 감합 구멍(8b)을 가진다. 센서 구동 기판(8)은, 센서(6)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와 해당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패드 등을 가지고 있다.
기판 유지판(9)은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재이다. +Z 방향에서 보면, 기판 유지판(9)은, 케이스 장착면(9a)과, 센서 기판 장착 기준면(9b)과, 보강 구조(9d)와, 감합 구멍(9e)과, 감합 구멍(9f)을 가진다. 케이스 장착면(9a)은 Y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장착면(9a)은 +Z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센서 기판 장착 기준면(9b)은, 케이스 장착면(9a)과 본체면(9g)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면이다. 보강 구조(9d)는 기판 유지판(9)의 -Z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보강 구조(9d)는 X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센서(6)는, 보강 구조(9d)의 +Z측에 배치된다. 케이스 장착면(9a)은 X 방향으로 연장한다. 케이스 장착면(9a)은 본체면(9g)과 평행하다. 센서 기판 장착 기준면(9b)은, 본체면(9g)에 대해서 수직이다. 감합 구멍(9e)은, 기판 유지판(9)을 제 1 케이스(1)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감합 구멍(9e)은 케이스 장착면(9a) 상에 설치된다. 감합 구멍(9f)은, 기판 유지판(9)과 센서 구동 기판(8)을 제 1 케이스(1)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감합 구멍(9f)은 본체면(9g) 상에 설치된다.
또, 보강 구조(9d)는 X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나사(14)에 의해, 기판 유지판(9)을 제 1 케이스(1)에 고정할 때, 기판 유지판(9)에 발생하는 비틀림이나 일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기판 유지판(9)에 발생하는 X 방향의 굴곡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센서(6) 및 제 1 케이스(1)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정밀도가 확보된다.
신호 처리 기판(10)은 회로 기판이다. 센서 구동 기판(8)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10a)와, 광원 구동용 커넥터(10b)와, 커넥터(10c)와, 감합 구멍(10d, 10e)을 가지고 있다. 커넥터(10a)는, 센서 구동 기판(8)에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이다. 커넥터(10c)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는다. 커넥터(10c)는, 외부 기기에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이다. 신호 처리 기판(10)은 제 1 케이스(1)에 고정하기 위한 감합 구멍(10e)을 가진다. 또, 센서 구동 기판(8)은, 광원(20)을 구동하는 전원 회로와, 신호 처리 회로인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가진다. 신호 처리 기판(10)과 센서 구동 기판(8)은 필요에 따라서 일체화되어도 좋다.
브래킷(41)은, YZ 평면에 평행한 면과 XZ 평면에 평행한 면을 가지는 대략 L자 형상의 부재이다. 브래킷(41)은, 금속판 등으로 구성된 판재로 이루어진다. 브래킷(41)은, YZ 평면에 평행한 면에, 케이스 감합 구멍(41a)과 봉지판 감합 구멍(41b)을 가진다. 제 1 케이스(1)에 제 2 케이스(15)가 장착되면, 제 2 케이스(15)의 +X측 및 -X측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브래킷(41)의 YZ 평면에 평행한 면은, 제 2 케이스(15)의 +X측 및 -X측에 형성되는 개구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브래킷(41)은, 제 2 케이스(15)에 형성되는 개구(15g)를 남기고, 제 2 케이스(15)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X측 및 -X측을 막을 수 있다. 개구(15g)는 제 2 케이스(15)의 +X측 및 -X측에 형성된다. 개구(15g)는 제 1 케이스(1)보다 +Z측에 형성된다. 브래킷(41)은, 봉지판(42)과 함께, 제 2 케이스(15)의 +X측 및 -X측을 덮는다. 브래킷(41)은 대략 L자 형상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필요한 강도에 따라서, 예를 들면 박스 형상으로 하는 등의 보강 구조를 설치되어도 좋다.
봉지판(42)은, YZ 평면에 평행한 면과, XY 평면에 평행한 면을 가지는 대략 L자 형상의 부재이다. 봉지판(42)은, 금속이나 수지 등으로 구성된 판재로 이루어진다. 봉지판(42)은, 감합 구멍(42a)과, 글라스 압착면(42b)을 가진다. 감합 구멍(42a)은, 브래킷(41)의 YZ 평면에 평행한 면에 봉지판(42)이 고정되기 위한 구멍이며, 봉지판 감합 구멍(41b)과 YZ 좌표가 일치한다. 글라스 압착면(42b)은, 봉지판(42)의 -Z측에 있어서의 XY 평면에 평행한 면이다. 글라스 압착면(42b)은, 봉지판(42)에 있어서의 YZ 평면에 평행한 면과 연속하고 있다. 또, 글라스 압착면(42b)의 Y 방향의 길이는, 제 2 투명판(16)의 Y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다. 글라스 압착면(42b)의 Z 방향의 길이는, 제 2 투명판(16)과 플레이트(18)의 Z 방향의 길이의 차분의 1/2과 동일하다.
커버(13)는 +Z측으로 개구한 박스체이다. 커버(13)는 금속판이나 성형품 등으로 형성된다. 커버(13)는 감합 구멍(13a)을 가진다.
제 2 케이스(15)는 금속이나 수지 등의 성형성이 좋은 재료를 이용하여, 압출이나 사출 성형, 혹은 절삭 가공 등에 의해서 제조된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제 2 케이스(15)는 X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2 케이스(15)는, 제 1 케이스 장착면(15a)과, 제 1 케이스 장착 구멍(15b)과, 광원 기판 장착면(15c)과, 글라스 장착면(15d)과, 방열면(15e)을 가진다.
제 1 케이스 장착면(15a)은 광원 장착 기준면(1d)과 평행하다. 제 1 케이스 장착 구멍(15b)은 제 1 케이스 장착면(15a) 상에 배치된다. 제 1 케이스 장착 구멍(15b)은, 광원 장착 구멍(1c)과 Y 방향이 겹친다. 광원 기판 장착면(15c)은 제 1 케이스 장착면(15a)과 연속하고 있다. 광원 기판 장착면(15c)은, 제 1 케이스 장착면(15a)에 대해서 각도를 갖고, X 방향으로 연장한다. 광원 기판 장착면(15c)과 제 1 케이스 장착면(15a)이 이루는 각도를 θ로 하면, 90도<θ<180도이다. 광원(20)의 조사 방향이 광원 기판 장착면(15c)과 수직인 경우, 판독 대상에 대한 입사 각도는 180-θ이다. 글라스 장착면(15d)은 제 1 투명판(2)의 -Z측의 면과 평행하다. 글라스 장착면(15d)은, 제 2 투명판(16)과 플레이트(18)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글라스 장착면(15d)은, 광원(20)으로부터 판독 대상까지의 광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광원 기판 장착면(15c)의 +Z측으로는 연장하지 않는다.
방열면(15e)은, 광원 기판 장착면(15c)의 Y 방향의 뒤쪽에 위치하는 면이다. 방열면(15e)은, 핀 형상의 돌출부에 의해서 형성된 면이다. 방열면(15e)의 핀은, Y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방열면(15e)은, 광원(20)으로부터의 발열을 대기중으로 방열한다. 또, 방열면(15e)의 핀에 대해서는, 핀의 날개의 매수나 길이, 폭, 피치 등을, 광원(20)의 발열량이나 이미지 센서(200)의 외형 제약 등의 설계 조건에 따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투명판(16)은, 예를 들면, 유리나 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제 2 투명판(16)은, 제 2 케이스(15)의 +Z측의 개구를 덮는 커버로서 기능한다. 제 2 투명판(16)은, 판독 대상에서 반사된 광의 감쇠를 억제하기 위해서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판독 대상은, 제 2 투명판(16)의 +Z측에 배치된다.
시일(17)은 양면이 접착면으로 되어 있는 시트 형상의 재료로 구성된다. 시일(17)은, 길이가 플레이트(18)의 X 방향 및 Y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시일(17)의 중앙부에는, 제 2 투명판(16)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18)는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구성된다. 플레이트(18)는, 시트 형상 또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플레이트(18)는, 길이가 글라스 장착면(15d)의 X 방향 및 Y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18)의 중앙부에는, 제 2 투명판(16)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18)의 개구부는, 시일(17)의 개구부와 XY 평면 상에서 동일 형상으로 된다.
광원 기판(19)은, 길이가 광원 기판 장착면(15c)의 X 방향 및 Y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광원 기판(19)은 X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재이다. 광원 기판(19)은, 글라스 에폭시 기판 또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금속 기판으로 구성된다. 광원 기판(19)은, 광원(20)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공급되는 커넥터(19a)를 가진다. 광원 기판(19)은 필요에 따라서, 분할된 기판이 X 방향으로 배열된 구성이어도 좋다.
광원(20)은 LED 등의 점 광원이다. 광원(20)은 필요에 따라서 복수색 광원, 예를 들면, 적, 청, 녹, UV광, 적외광을 발광하는 복수색 광원을 조합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 광원 기판(19)에는, X 방향뿐만 아니라 Y 방향에도 복수의 광원(20)이 탑재되어도 좋다.
하니스(21)(harness)는 광원(20)을 구동하기 위한 케이블이다. 하니스(21)는, 광원 기판(19)과 신호 처리 기판(10)을 접속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시일(22)은 양면이 접착면으로 되어 있는 시트 형상의 재료로 구성된다. 시일(22)의 접착면은, 광원 기판(19)의 접착면과 동일 형상이다. 시일(22)은 열전도성이 좋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2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투명판(2)은, 시일(3)에 의해서, 개구(1f)에 고정된다.
렌즈 지지판(5) 및 렌즈체(4)는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착된다. 또, 렌즈 지지판(5) 및 렌즈체(4)의 둘다 단수일 필요는 없고, 복수의 부재가 결합된 구성이어도 좋다. 렌즈체(4)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판(5)은, 제 1 케이스(1)에 삽입되어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렌즈체(4)의 초점은 판독 대상이 반송되는 면에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센서 기판(7) 및 센서 구동 기판(8)은, 기판 유지판(9)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기판 유지판(9)은, 센서 기판(7) 및 센서 구동 기판(8)을 +Z측에 유지한다. 센서 기판(7)은 접착제나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기판 유지판(9)에 접착된다. 센서 기판(7)이 기판 유지판(9)에 접착될 때에, 센서 기판 장착 기준면(9b)에 대해서 센서 기판(7)의 +Y측의 면이 당접함으로써, 센서 기판(7) 및 기판 유지판(9)은, Y 방향 및 Z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정밀도가 확보된다. 센서(6)는 센서 기판(7) 상에 실장된다. 센서 구동 기판(8)은, 기판 유지판(9)의 본체면(9g)에 당접함으로써, 센서 기판(7)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센서 구동 기판(8)은, 감합 구멍(9f)과 감합 구멍(8b)이 Z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된 후, 접착제나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착된다.
센서 구동 기판(8)은, 감합 구멍(8b)과 감합 구멍(9f)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나사(31)에 의해서 제 1 케이스(1)에 유지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8a)가 광원 구동용 커넥터(10b)에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경우에도, 센서 구동 기판(8)과 제 1 케이스(1)의 부착 상태가 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센서 구동 기판(8)과 제 1 케이스(1)의 부착 상태는 안정하다. 기판 유지판(9)은, 감합 구멍(9e)과 감합 구멍(9f)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나사(31)에 의해서 제 1 케이스(1)에 고정된다.
감합 구멍(9e)은, 센서(6)의 +Y측에 형성되어 있다. 감합 구멍(9f)은, 센서(6)의 -Y측에 형성되어 있다. 센서(6)는, Y 방향에 있어서, 감합 구멍(9e)과 감합 구멍(9f)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 유지판(9)은, 감합 구멍(9e)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나사(31)의 텐션을 받는다. 기판 유지판(9)은, 감합 구멍(9f)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나사(31)의 텐션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기판 유지판(9)은, +Z측을 향해 유지된다. 이 때문에, 센서(6)는, 기판 유지판(9)에 의해, +Z측을 향해 유지된다. 센서(6)는, 센서 기판(7) 및 기판 유지판(9)이 스페이서 나사(31)에 의해서 제 1 케이스(1)에 고정되어도, 스페이서 나사(31)의 체결시의 텐션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 때문에, 센서(6)는 체결시의 텐션에 의한 특성 변동을 받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센서(6)는, 안정되게 유지된다. 또, 센서 기판(7)과 기판 유지판(9)을 제 1 케이스(1)에 고정하는 수단은 스페이서 나사(31)에 한정되지 않고, 리벳에 의한 감합이나 접착 등이어도 좋다.
신호 처리 기판(10)은, 커넥터(10a)가 커넥터(8a)에 감합됨으로써, 센서 구동 기판(8)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감합 구멍(10d)과 감합 구멍(9e)은, Z 방향으로 겹친다. 감합 구멍(9e)에 삽입된 스페이서 나사(31)의 나사 구멍과 감합 구멍(10d)에 나사(14)가 삽입됨으로써, 기판 유지판(9)과 신호 처리 기판(10)은 체결된다. 또한, 감합 구멍(10e)과 감합 구멍(9f)은 Z 방향으로 겹친다. 감합 구멍(9f)에 삽입된 스페이서 나사(31)의 나사 구멍과 감합 구멍(10e)에 나사(14)가 삽입됨으로써, 기판 유지판(9)과 신호 처리 기판(10)은 더 강고하게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신호 처리 기판(10)은, 제 1 케이스(1)에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또, 신호 처리 기판(10)과 센서 구동 기판(8)을 일체화한 경우는, 센서 구동 기판(8)을 제 1 케이스(1)에 고정함으로써, 신호 처리 기판(10)이 제 1 케이스(1)에 고정되는 것은 당연하다.
브래킷(41)은, 케이스 감합 구멍(41a)과 제 1 케이스(1)의 브래킷 장착 구멍(1a)에 나사(14)가 삽입됨으로써, 제 1 케이스(1)에 고정된다.
광원(20) 및 커넥터(19a)는, 광원 기판(19)에 납땜을 이용하여 실장함으로써, 부착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광원 기판(19)은, 선 형상 광원으로 된다. 또, 광원 기판(19) 및 광원(20) 대신에, 예를 들면, 램프나 EL 광원 등의 면 광원을 이용해도 좋다.
광원 기판(19)은, 광원 기판 장착면(15c)에 시일(22)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제 2 케이스(15)는, 나사(14)가 제 1 케이스 장착 구멍(15b)에 삽입됨으로써, 제 1 케이스(1)에 고정된다. +Y측의 제 2 케이스(15)와 마찬가지로, -Y측의 제 2 케이스(15)도, 제 1 케이스(1)에 고정된다.
제 2 케이스(15)가 제 1 케이스(1)에 고정됨으로써, 제 2 케이스(15)의 -Z측의 면은, 평면부(1h)의 +Z측의 면에 당접한다. 제 1 케이스 장착면(15a)은, 광원 장착 기준면(1d)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케이스(15) 및 제 1 케이스(1)는, Z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정밀도로 고정되어 있다.
제 2 케이스(15)가 제 1 케이스(1)에 장착됨으로써, 평면부(1h)와 방열면(15e)의 사이에는, 오목부(15f)가 형성된다. 오목부(15f)는, Y 방향으로 패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부(15f)는, 제 1 케이스(1)의 평면부의 +Z측의 면과, 방열면(15e)의 핀의 -Z측의 면과, 제 1 케이스(1)의 평면부와 방열면(15e)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케이스의 XZ 평면에 평행한 면에 의해서 둘러싸여 형성된다. 오목부(15f)는, 제 2 케이스(15)의 광원 기판 장착면(15c) 부근과, 평면부(1h)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하니스(21)가 일단에 갖는 단자는, 커넥터(19a)에 삽입된다. 하니스(21)가 타단에 갖는 단자는, 광원 구동용 커넥터(10b)에 삽입된다. 하니스(21)는, 평면부(1h)로부터 제 1 케이스(1)의 밖으로 꺼내져서, 오목부(15f)를 경유하여, 제 2 케이스(15)에 고정된 광원 기판(19)에 접속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니스(21)는, 광원 구동용 커넥터(10b)로부터, 평면부(1h)의 +X측에 형성된 오목부와, 오목부(15f)와, 제 2 케이스(15)의 +X측에 형성된 오목부를 차례로 거쳐서, 커넥터(19a)를 향해 연장한다. 이 때문에, 하니스(21)의 굵기, 개수가 변화해도, 각각의 오목부에 하니스(21)를 통과시킬 수 있는 한, 이미지 센서(200)의 X 방향, Y 방향, Z 방향의 길이는 변화하지 않는다.
커버(13)는, 감합 구멍(13a)과 커버 장착 구멍(1b)에 나사(14)가 삽입됨으로써, 제 1 케이스(1)에 고정된다.
제 2 투명판(16)은, 시일(17)에 의해서 플레이트(18)에 접착된다. 제 2 투명판(16)은, 개구(15g)로부터, 글라스 장착면(15d)을 따라서, 제 2 케이스(15)의 내부를 향해 X 방향으로 삽입된다. 플레이트(18)의 Y 방향의 길이는, 제 2 투명판(16)의 Y 방향의 길이보다 크고, 글라스 장착면(15d)에 형성된 개구의 Y 방향의 길이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제 2 투명판(16)이 개구(15g)에 삽입될 때, 플레이트(18)는, 제 2 투명판(16)이 슬라이딩하기 위한 레일로서 기능한다. 플레이트(18)는 제 2 케이스(15)와 제 2 투명판(16)의 사이를 덮기 때문에, 이물 혼입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봉지판(42)은 브래킷(41)에 장착된다. 글라스 압착면(42b)은, 플레이트(18)의 +Z측에 위치하지만, 제 2 투명판(16)의 +Z측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봉지판(42)은, 제 2 투명판(16)을 직접 누르지 않는다. 즉, 봉지판(42)은, 간접적으로 제 2 투명판(16)을 X 방향 및 Z 방향으로 고정한다. 플레이트(18)의 +Z측에 봉지판(42)이 위치함으로써, 제 2 케이스(15)와 제 2 투명판(16)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덮기 때문에, 이물 혼입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봉지판(42)이 브래킷(41)에 장착되는 수단은, 나사(14)를 이용한 고정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리벳에 의한 감합이나 접착 등이 이용되어도 좋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화상 정보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광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원(20)은, 하니스(21)를 통해서 신호 처리 기판(10)에 의해서 구동된다.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은, 제 2 투명판(16)을 투과하여 판독 대상(30)에 조사된다. 판독 대상(30)에서 반사된 광은 제 2 투명판(16) 및 제 1 투명판(2)을 투과하여 렌즈체(4)를 통해서 센서(6) 상에 결상된다. 이것에 의해, 판독 대상(30)의 화상 정보는, 광으로서 센서(6) 상에 결상된다. 광전 변환된 광은 센서(6)로부터 센서 구동 기판(8)을 통해서 신호 처리 기판(10)에 도달하고, 커넥터(10c)를 통해서 이미지 센서(200)의 외부 기기에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판독 대상(30)의 화상 정보는, 전기 신호로서, 이미지 센서(200)의 외부 기기에 출력된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광원(2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광원(2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광원(20)이 광원 기판(19)에 실장된 면을 통해서 광원 기판(19)에 전열된다. 광원 기판(19)의 열은, 광원(20)이 실장되어 있는 면의 이면(裏面)에 밀착하고 있는 시일(22)에 전열된다. 시일(22)의 열은 광원 기판 장착면(15c)을 통해서 제 2 케이스(15)에 전열된다. 제 2 케이스(15)의 열은, 광원 기판 장착면(15c)으로부터의 열이 제 2 케이스(15) 내에 확산된 후, 방열면(15e)을 포함하는 제 2 케이스(15)의 표면으로부터 대기중으로 방열된다.
하니스(21)는, 오목부(15f)를 하니스 루트로 하여 인출된다. 오목부(15f)는, 제 2 케이스(15)의 내측으로 패어 있다. 이 때문에, 하니스(21)는 제 2 케이스(15)의 외형보다 내측으로 인출된다. 이것에 의해, 이미지 센서(200)는, 단순한 구조가 되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200)에 부재를 장착하는 작업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하니스(21)의 걸림 등의 작업 미스에 의한 제품 파괴를 미리 막을 수 있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2의 이미지 센서(200)의 방진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개구(1f)는 제 1 투명판(2)으로 봉지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의 -Z측의 개구는 센서 구동 기판(8) 및 기판 유지판(9)에 의해서 봉지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의 X 방향의 구멍은 브래킷(41) 및 봉지판(42)으로 봉지되어 있다. 즉, 제 1 케이스(1)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는, 모두, 봉지 구조가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케이스(1)의 내부의 렌즈체(4) 및 센서(6)에 대해서 높은 방진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글라스 장착면(15d)에는, 플레이트(18) 및 제 2 투명판(16)이 탑재되어 있다. 플레이트(18)의 X 방향 및 Y 방향의 길이는, 글라스 장착면(15d)의 X 방향 및 Y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플레이트(18)의 +Z측의 면의 일부는, 제 2 투명판(16)의 -Z측의 면과 Z 방향이 겹치고 있다. 또, 제 1 케이스 장착면(15a)은, 광원 장착 기준면(1d)에 당접하고 있다. 제 2 케이스(15)의 -Z측의 면은, 평면부(1h)의 +Z측의 면에 당접하고 있다. 또, 제 2 케이스(15)의 +X측 및 -X측은, 브래킷(41) 및 봉지판(42)에 의해서 덮혀 있다. 또, 봉지판(42)은 플레이트(18)의 +X측 및 -X측을 덮기 때문에, 광원(20)과 제 1 케이스(1)의 내부의 렌즈체(4) 및 센서(6)에 대해서 높은 방진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제 2 케이스(15)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는, 모두 봉지되어 있기 때문에, 광원(20)과 제 1 케이스(1)의 내부의 렌즈체(4) 및 센서(6)에 대해서 높은 방진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광원 기판 장착면(15c)에는, 광원 기판(19)이 시일(22)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원(20)은, 제 2 케이스(15)에 유지되어 있다. 제 2 케이스(15)는, 광원 장착 구멍(1c)에 나사(14)가 삽입됨으로써, 제 1 케이스(1)에 체결되어 있다. 나사(14)를 착탈함으로써, 제 1 케이스(1)로부터 제 2 케이스(15)를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나사(14)를 착탈함으로써, 제 1 케이스(1)를 봉지한 채로, 광원 기판(19) 및 광원(20)을 교환할 수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41)은 글라스 장착면(15d)의 +Z측을 덮고 있지 않다. 보다 상세하게는, 브래킷(41)은, 제 2 케이스(15)의 X 방향으로 개구하는+Z측 또는 -Z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지 않는다. 이 때문에, 브래킷(41)을 장착한 채로, 제 2 투명판(16) 및 플레이트(18)를 X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제 2 투명판(16)이, 파손이나 마모에 의해 표면 상태가 열화하여, 이미지 센서(200)로부터 소망의 광학 특성 및 방진성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1 케이스(1)의 내부의 렌즈체(4)의 방진 효과를 확보하면서, 제 2 투명판(16) 및 플레이트(18)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종래, 회로판을 유기 EL 유닛의 프린트 배선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이, 케이블 통로로부터 관통 구멍을 통해서 하우징의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이미지 센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그렇지만, 이러한 이미지 센서는, 케이블이 하우징의 밖으로 인출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굵기, 개수 등에 의해 이미지 센서의 외형이 변화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미지 센서(200)는, 하니스(21)가 제 2 케이스(15)의 광원 기판(19)의 고정부와 평면부(1h)의 사이에 형성된 제 2 케이스(15)의 비돌출부(오목부(15f))를 경유하여 광원 기판(19)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외부를 경유하여 하니스(21)를 인출하여도 외형 치수가 변화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실시 형태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 형태가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낸다. 그리고, 특허 청구의 범위내 및 그것과 동등의 발명의 의의의 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여러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내로 간주된다.
본 출원은, 2013년 3월 19일에 출원된,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일본 특허 출원 제 2013-056761 호, 및, 일본 특허 출원 제 2013-056764 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제 2013-056761 호, 및, 일본 특허 출원 제 2013-056764 호의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본 출원에 포함된다.
1 : 제 1 케이스 1a : 브래킷 장착 구멍
1b : 커버 장착 구멍 1c : 광원 장착 구멍
1d : 광원 장착 기준면 1e : 렌즈체 수납부
1f : 개구 1g : 단차 부분
1h : 평면부 1i : 돌출부
1j : 면 2 : 제 1 투명판
3 : 시일 4 : 렌즈체(결상 광학계)
5 : 렌즈 지지판 6 : 센서(수광부)
7 : 센서 기판 8 : 센서 구동 기판
8a : 커넥터 8b : 감합 구멍
9 : 기판 유지판 9a : 케이스 장착면
9b : 센서 기판 장착 기준면 9d : 보강 구조
9e : 감합 구멍 9f : 감합 구멍
9g : 본체면 10 : 신호 처리 기판
10a : 커넥터 10b : 광원 구동용 커넥터
10c : 커넥터 10d : 감합 구멍
10e : 감합 구멍 11 : 브래킷
11a : 케이스 감합 구멍 11b : 봉지판 감합 구멍
12 : 봉지판 12a : 감합 구멍
12b : 글라스 압착면 13 : 커버
13a : 감합 구멍 14 : 나사
15 : 제 2 케이스 15a : 제 1 케이스 장착면
15b : 제 1 케이스 장착 구멍 15c : 광원 기판 장착면
15d : 글라스 장착면 15e : 방열면
15f : 오목부 15g : 개구
16 : 제 2 투명판 17 : 시일
18 : 플레이트 19 : 광원 기판
19a : 커넥터 20 : 광원
21 : 하니스 22 : 시일
30 : 판독 대상 31 : 스페이서 나사
41 : 브래킷 41a : 케이스 감합 구멍
41b : 봉지판 감합 구멍 42 : 봉지판
42a : 감합 구멍 42b : 글라스 압착면
100 : 이미지 센서 200 : 이미지 센서

Claims (7)

  1. 피조사체를 투과하거나 또는 피조사체에서 반사하여, 제 1 천판부를 투과한 광을 집속하는 결상 광학계와,
    주(主)주사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상기 결상 광학계에서 집속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를 지지하는 판재와,
    상기 피조사체측의 제 1 개구와, 상기 피조사체측과는 반대측의 제 2 개구와,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결상 광학계 및 상기 수광부를 수납 또는 유지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고정된 브래킷(bracket)과,
    상기 브래킷에 고정된 봉지판
    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천판부가 상기 제 1 개구를 덮고, 상기 판재가 상기 제 2 개구를 덮고, 상기 브래킷 및 상기 봉지판이 상기 구멍을 덮음으로써, 상기 제 1 케이스에 수납 또는 유지된 상기 결상 광학계가 봉지되는
    이미지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상기 수광부가 형성된 센서 기판과, 상기 수광부를 구동하는 센서 구동 기판과, 상기 센서 기판 및 상기 센서 구동 기판이 장착된 기판 유지판을 갖는 이미지 센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 2 천판부를 투과하여 상기 피조사체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제 1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천판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 2 천판부를 유지하고, 상기 조명부를 수납 또는 유지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케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상기 제 2 천판부를 상기 제 2 케이스에 고정하는 제 2 천판부 고정판
    을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개구를 덮는 이미지 센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천판부 고정판은 상기 봉지판이며,
    상기 봉지판은,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기 구멍을 덮기 위한 봉지면과, 상기 제 2 천판부를 고정하기 위한 압착면으로 L자를 이루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미지 센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천판부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보다 부(副)주사 방향이 길고 상기 투명판에 고정된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판을 투과한 광이 상기 개구부를 투과하는
    이미지 센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천판부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천판부의 장착면을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를 레일로 하여 상기 주주사 방향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에 유지되는 이미지 센서.
KR1020157025565A 2013-03-19 2014-03-03 이미지 센서 KR101645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6764 2013-03-19
JPJP-P-2013-056764 2013-03-19
JP2013056761 2013-03-19
JPJP-P-2013-056761 2013-03-19
PCT/JP2014/055331 WO2014148236A1 (ja) 2013-03-19 2014-03-03 イメージセ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090A KR20150121090A (ko) 2015-10-28
KR101645151B1 true KR101645151B1 (ko) 2016-08-02

Family

ID=5157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565A KR101645151B1 (ko) 2013-03-19 2014-03-03 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24996B2 (ko)
JP (1) JP6049858B2 (ko)
KR (1) KR101645151B1 (ko)
CN (1) CN105144677B (ko)
DE (1) DE112014001556B4 (ko)
TW (1) TW201505416A (ko)
WO (1) WO2014148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53412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3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4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8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6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7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7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5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5S (ko) * 2015-06-18 2016-07-11
JP6813021B2 (ja) * 2016-03-28 2021-01-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801569B2 (ja) * 2017-04-28 2020-12-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基板用コネクタ
USD885389S1 (en) * 2017-09-04 2020-05-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mage sensor for scanner
JP2022074332A (ja) * 2020-11-04 2022-05-18 株式会社ヴィーネックス 光ラインセン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7977A (ja) 2005-02-24 2006-09-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メージセンサ
JP2010028216A (ja) 2008-07-15 2010-02-04 Toshiba Design & Manufacturing Service Corp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ー、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10283436A (ja) 2009-06-02 2010-12-16 Mitsubishi Electric Corp 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958A (ja) * 1983-07-12 1985-01-31 Toshiba Corp 固体撮像装置
JPH0277963U (ko) 1988-12-01 1990-06-14
JP3179796B2 (ja) 1991-06-18 2001-06-25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バイスユニット
JP2696025B2 (ja) 1991-11-18 1998-01-1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読取りヘッド
JP4606201B2 (ja) 2005-02-24 2011-0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装置並びに表示制御方法
JP4866218B2 (ja) 2006-11-30 2012-02-01 東芝ディーエムエス株式会社 El光源ユニット、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543072B2 (ja) * 2007-10-24 2010-09-15 シャープ株式会社 ケース部材、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情報機器
JP5302141B2 (ja) * 2009-09-02 2013-10-02 ニスカ株式会社 走行ユニット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
JP5506406B2 (ja) * 2010-01-04 2014-05-28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2013056764A (ja) 2011-09-09 2013-03-28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式進退作動装置
JP2013056761A (ja) 2011-09-09 2013-03-28 Murata Machinery Ltd 用紙分離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48825B2 (ja) * 2011-12-01 2016-07-06 株式会社リコー 開閉蓋装置、電子機器
CN104285430B (zh) * 2012-05-10 2017-07-04 三菱电机株式会社 图像传感器
US9456105B2 (en) * 2013-02-22 2016-09-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mage sensor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sensor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7977A (ja) 2005-02-24 2006-09-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メージセンサ
JP2010028216A (ja) 2008-07-15 2010-02-04 Toshiba Design & Manufacturing Service Corp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ー、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10283436A (ja) 2009-06-02 2010-12-16 Mitsubishi Electric Corp 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24996B2 (en) 2016-12-20
DE112014001556B4 (de) 2024-04-04
CN105144677B (zh) 2018-01-05
JPWO2014148236A1 (ja) 2017-02-16
TW201505416A (zh) 2015-02-01
WO2014148236A1 (ja) 2014-09-25
KR20150121090A (ko) 2015-10-28
US20160133661A1 (en) 2016-05-12
DE112014001556T5 (de) 2015-12-03
CN105144677A (zh) 2015-12-09
JP6049858B2 (ja)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151B1 (ko) 이미지 센서
KR101647268B1 (ko) 이미지 센서
JP6049859B2 (ja) イメージセンサ
US9158062B2 (en) Illumination apparatus, image sensor uni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20150316706A1 (en) Light guide,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reading device
US20120154877A1 (en) Image sensor unit and image reading apparartus using the same
US9386198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imaging sensor package
US9478090B2 (en) Image sensor unit, image read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distinguishing apparatus
JP5837767B2 (ja) 光源ユニット
JP2013005356A (ja) キャリッジユニット
CN110506414B (zh) 图像读取装置
US20220303424A1 (en) Image-reading device
JP6380247B2 (ja) 電子機器筐体及びそれを用いたイメージセンサ
JP2015159446A (ja) 画像読取装置
JPH10164329A (ja) 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JPH1049619A (ja) 光学的情報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