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733B1 - 광섬유 각도 절단기 - Google Patents

광섬유 각도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733B1
KR101643733B1 KR1020140075269A KR20140075269A KR101643733B1 KR 101643733 B1 KR101643733 B1 KR 101643733B1 KR 1020140075269 A KR1020140075269 A KR 1020140075269A KR 20140075269 A KR20140075269 A KR 20140075269A KR 101643733 B1 KR101643733 B1 KR 101643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over
main body
optical cabl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904A (ko
Inventor
김희중
한종수
김근환
박종태
이준열
Original Assignee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73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각도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위치할 수 있고, 일부분이 휘어질 수 있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를 고정할 수 있는 누름부재, 상기 회동부 또는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에 흠집을 낼 수 있는 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고정하며 상기 광케이블을 비틀 수 있는 비틀림 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의 흠집난 부분은 상기 받침부가 휘어질 때 끊어진다.

Description

광섬유 각도 절단기{Optical fiber angle cleaver}
본 발명은 광섬유 각도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각종 통신기기, 정밀 계측기, 오디오 및 비디오 기기, 센서 등의 광 링크에 널리 사용된다.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를 감싸는 피복으로 구성된다.
광케이블의 끝부분에는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결합되고, 커넥터 내부에는 광섬유가 내장된 페롤이 배치되어 있다. 페롤의 광섬유는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연결되어 광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종래의 페롤과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 29를 참고하면, 광케이블의 광섬유(3)와 페롤의 광섬유(5a)가 접하는 부분은 광섬유(3, 5a)의 길이 방향 가상의 중심선(C)과 수직하다. 광신호가 광케이블의 광섬유(3)에서 페롤의 광섬유(5a)로 전송될 때 광섬유(3, 5a)의 수직한 단면 형상에 의해 일부 광신호가 반사되었다. 반사된 광신호는 전송되는 광신호와 간섭되어 광신호의 전송효율 및 장비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광신호의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광섬유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기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9528호 (2008.07.28) 등록특허공보 제10-0471083호 (2005.02.01)
본 발명은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 한 광섬유를 쉽고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광섬유 각도 절단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각도 절단기는,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위치할 수 있고, 일부분이 휘어질 수 있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를 고정할 수 있는 누름부재, 상기 회동부 또는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에 흠집을 낼 수 있는 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고정하며 상기 광케이블을 비틀 수 있는 비틀림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의 흠집 난 부분은 상기 받침부가 휘어질 때 끊어질 수 있다.
상기 비틀림 유닛은, 상기 받침부와 연결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이 위치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복을 고정하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덮개부재, 상기 덮개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에 걸릴 수 있는 잠금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걸리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의 일면은 상기 피복을 누르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복 중 외피를 누르는 외피 누름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복 중 내피를 탄력적으로 누르는 내피 누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 일측과 접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수직하고 회전한 상기 본체부의 하면 타측이 접할 수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비틀림 유닛은,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상기 본체부의 하면 일측 및 상기 본체부의 하면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의 회전 상태를 고정하는 제1 내지 제4 영구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틀림 유닛은, 상기 제2 부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조절 스크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스크류의 끝부분은 상기 본체부의 하면 타측과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 스크류의 끝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간격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회전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광섬유 각도 절단기는 상기 덮개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피복을 누를 때 상기 피복을 가압하여 상기 피복에 마킹부를 형성하는 절단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회동부와 연결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있고 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비틀림 유닛이 연결되어 있는 텐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부는 탄성력을 갖는 텐션층과 상기 텐션층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가 접하는 완충력을 갖는 완충층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완충층 부분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접하는 상기 완충층 부분은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각도 절단기는,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위치할 수 있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 또는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에 흠집을 낼 수 있는 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고정하며, 상기 광케이블을 비틀 수 있는 비틀림 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유닛은 상기 받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비틀림 유닛의 이동으로 상기 광섬유의 흠집 부분이 절단된다.
상기 광섬유 각도 절단기는 상기 광섬유를 사이에 두고 상기 블레이드와 마주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광섬유를 상기 블레이드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블레이드에 접하면서 상기 광섬유에 흠집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쉽고 간편한 조작으로 광섬유의 절단면이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게 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휴대가 용이하여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 조립 작업 시 사용이 간편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누름부재는 광섬유를 금속층에 누르게 된다. 금속층이 광섬유를 지지하게 되어 광섬유는 휘어지지 않고 눌려 고정될 수 있다. 이에 광섬유가 견고히 고정되어 비틀림 유닛에 의해 광섬유가 비틀릴 때 광섬유는 정확하게 비틀릴 수 있어 광섬유의 절단 각도를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킹부에 의해 광섬유의 절단방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페롤의 광섬유 절단방향을 나타내는 표시부와 광케이블의 마킹부를 일치시키면 페롤의 광섬유 절단면과 광케이블의 광섬유 절단면이 일치하게 되어 광커넥터 내에서 양 절단면이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에 현장에서 광케이블과 페롤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정확한 현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피 누름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내피를 탄력적으로 누르고 있어 광케이블은 비틀림 유닛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내피의 직경이 달라져도 내피 누름부재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내피에 접촉될 수 있어 내피의 직경이 달라져도 광케이블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비틀린 상태에서 끊어지므로 광섬유의 절단면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광케이블의 광섬유 절단면과 페롤 광섬유의 절단면이 접촉되어 정렬된다. 따라서 반사된 신호가 광섬유 외부로 빠져나가 전송되는 광신호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게 되는 바, 광신호의 전송 효율 및 장비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각도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II-II선을 따라 광섬유 각도 절단기를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1 도시한 광섬유 각도 절단기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Ⅳ-Ⅳ선을 따라 비틀림 유닛을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Ⅴ-Ⅴ선을 따라 비틀림 유닛을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Ⅶ-Ⅶ선을 따라 비틀림 유닛을 자른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각도 절단기에 광케이블이 놓이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광케이블이 광섬유 각도 절단기에 놓여 덮개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회동부가 1단계 회전하여 누름부재가 광섬유를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도시한 비틀림 유닛의 본체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회동부가 2단계 회전하여 블레이드가 광섬유에 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텐션부가 구부러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서 광섬유가 절단된 광케이블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광섬유 각도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광섬유 각도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광섬유 각도 절단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받침부재와 본체부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받침부재와 본체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광섬유 각도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광섬유 각도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광섬유 각도 절단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3은 도 21에 도시한 XVⅢ- XVⅢ선을 따라 광섬유 각도 절단기를 잘라 회동부 회전으로 누름부재와 가압부재가 광섬유를 누르고 있으며, 본체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한 B부분 확대도.
도 25는 도 23에 도시한 본체부가 영구자석의 인력에 의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C부분 확대도.
도 27은 도 3에 도시한 광섬유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28은 도 15에 도시한 절단 표시부에 의해 마킹부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나타낸 단면도.
도 29는 종래의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페롤의 광섬유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각도 절단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각도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II-II선을 따라 광섬유 각도 절단기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 도시한 광섬유 각도 절단기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각도 절단기(100)는 받침부(10), 회동부(20) 및 비틀림 유닛(40)을 포함하며, 광 케이블을 비튼 상태에서 광섬유를 절단하여 광섬유의 절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도 27을 참고하면, 광케이블(1)은 광신호가 전송되는 광섬유(3)와 광섬유(3)를 보호하는 피복(2)으로 이루어져 있다. 피복(2)은 외피(2b) 및 내피(2a)를 포함한다. 내피(2a)는 외피(2b)와 연결된 0.9내피(2c) 및 0.9내피(2c)와 광섬유(3) 사이에 위치한 0.25내피(2d)를 포함한다. 내피(2a)의 개수는 광케이블(1)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피복(2)은 별도의 탈피 장치를 이용하여 탈피되며, 피복(2)의 탈피 길이는 0.9내피(2c)의 끝은 외피(2b)의 끝으로부터2mm 정도 떨어져 있다. 그러나 0.9내피(2c)의 끝과 외피(2b)의 끝은 동일할 수 있다. 0.25내피(2d)의 끝은 0.9내피(2c)의 끝으로부터 22mm 내지 24mm 정도 떨어져 있으며, 광섬유(3)의 끝부분은 0.25내피(2d)의 끝으로부터 50mm 정도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피(2b)의 끝을 기준으로 0.9내피(2c)의 끝이 2mm 떨어져 있고, 0.9내피(2c)의 끝을 기준으로 0.25내피(2d)의 끝이 22mm 내지 24mm 떨어져 있으며, 0.25내피(2d)의 끝을 기준으로 광섬유(3)의 끝부분이 50mm 떨어진 것을 예로 들며 떨어진 거리는 광케이블 및 광 커넥터의 설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받침부(10)와 회동부(20)는 일측이 힌지축(30)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받침부(10)와 회동부(20)의 사이에는 받침부(10)와 회동부(20)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탄성부재(31)가 배치되어 있다.
받침부(10)는 지지대(11) 및 텐션부(12)를 포함하고, 절단할 광섬유(3)를 지지한다. 지지대(11)의 일측은 회동부(20)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하측으로 구부러진 구부림부분(111)이 형성되어 있다.
텐션부(12)의 일측은 지지대(11)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구부림부분(111) 위에 위치한다. 텐션부(12)는 판 스프링인 텐션층(121)과 고무인 완충층(122)을 포함하며, 외력이 가해지면 휘어질 수 있다. 텐션층(121)과 완충층(122)은 중첩되어 있다.
완충층(122)은 광케이블(1)의 광섬유(3)를 지지하며, 광섬유(3)가 위치하는 완충층(122)의 적어도 일부분은 금속층(122a)으로 형성되어 있다.
텐션층(121)은 완충층(122)을 지지하면서 외력에 의해 구부림부분(111) 방향으로 휘어질 때 탄성력이 발생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완충층(122)에는 광섬유(3)를 거치하는 거치대(13)가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13)에 의해 광섬유(3)는 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거치대(13)는 생략될 수 있다.
회동부(20)에는 누름부재(23)와 블레이드(24)가 유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블레이드(24)는 광섬유(3)에 흠집(3a)(도 12 참조)을 낸다.
회동부(20)는 지지대(11) 위에 위치하며 하면이 완충층(122)과 마주한다. 회동부(20)의 일측은 힌지축(30)으로 지지대(11)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텐션부(12) 타측과 마주한다. 회동부(20)는 힌지축(3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동부(20)는 광섬유(3)를 고정을 위한 1단계 회전 및 광섬유(3)에 흠집을 내기 위한 2단계 회전할 수 있다.
누름부재(23)는 회동부(20)에서 금속층(122a)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회동부(20)가 텐션부(12) 방향으로 1단계 회전하면 누름부재(23)는 금속층(122a)에 접하고, 이때 광섬유(3)를 누를 수 있다. 광섬유(3)를 탄력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누름부재(23)의 끝부분은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재(23)와 회동부(20) 사이에는 텐션부(12) 방향으로 누름부재(2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231)가 배치되어 있다.
누름부재(23)는 회동부(20) 1단계 회전 시 끝부분이 광섬유(3)와 금속층(122a)에 접하며, 2차 회전 시 회동부(2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231)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재(23)는 광섬유(3)를 탄력으로 가압 고정한다. 이때 누름부재(23)가 누르고 있는 광섬유(3) 부분을 금속층(122a)이 지지하므로 광섬유(3)는 휘어지지 않는다.
블레이드(24)는 누름부재(23)와 소정 간격 떨어져 있고 회동부(20)에서 텐션부(1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블레이드(24)의 끝부분(24a)은 광섬유(3)를 절단할 수 있도록 칼날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칼날의 각도는 광섬유(3)의 절단 방향, 절단 각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칼날의 각도는 블레이드(24)가 회동부(20)의 하면을 기준으로 돌출된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회동부(20)에는 텐션부(12) 방향으로 블레이드(2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241)가 배치되어 있다. 블레이드(24)는 회동부(20) 2차 회전 시 광섬유(3)에 접할 수 있다.
누름부재(23)가 광섬유(3)를 눌러 고정한 상태에서 회동부(20)가 2차 회전하면 블레이드(24)의 끝부분(24a)이 광섬유(3)에 접하게 되면서 광섬유(3)에 흠집(3a)이 발생할 수 있다. 흠집(3a)은 블레이드(24)의 끝부분(24a)이 접한 광섬유(3) 부분이 함몰되면서 형성된다. 블레이드(24)는 광섬유(3)에 흠집(3a)을 내고 절단까지는 진행되지 않는다.
비틀림 유닛(40)은 베이스부(41), 본체부(42), 그리고 덮개부(43)를 포함하며, 광케이블(1)을 비틀 수 있다.
베이스부(41)는 결합부재(411), 받침부재(412) 및 힌지 브래킷(413)을 포함하며, 본체부(42)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다.
결합부재(411)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텐션부(12)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다. 결합부재(411)의 길이는 광섬유(3)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결합부재(411)의 상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광섬유(3)가 통과하는 내피 안내홈(411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411)의 타측에는 내피 안내홈(411a)과 연결된 제1 힌지홈(41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힌지홈(411b)이 형성된 결합부재(411) 부분에는 광섬유(3) 부분을 유도하는 절개홈(411c)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 브래킷(413)은 결합부재(411)와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받침부재(412)에 의해 결합부재(411)와 연결되어 있다. 힌지 브래킷(413)에는 제1 힌지홈(411b)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제2 힌지홈(413a)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재(41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은 결합부재(411)의 하면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힌지 브래킷(413)에 연결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받침부재(412)를 정면에서 본 단면 모양은 "ㄱ"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받침부재(412)는 결합부재(411)의 하면 일측과 연결된 제1 부분(412a)과 제1 부분(412a)과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부분(412b)을 포함한다. 제1 부분(412a)에는 고정 제1 영구자석(414)이, 제2 부분(412b)에는 고정 제2 영구자석(415)이 배치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 부분(412b)에는 회전본체(421)의 회전범위를 설정하는 조절 스크류(416)가 결합되어 있으며, 조절 스크류(416)의 일측은 제2 부분(412b)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타측은 제1 부분(412a) 아래에 위치한다.
제2 부분(412b)에는 조절 스크류(416)에 접한 고정 스크류(417)가 결합되어 있다. 고정 스크류(417)는 조절 스크류(416)가 충격과 같은 외부요건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부분(412a)의 하측에는 커버(418)가 결합되어 있으며, 커버(418)는 조절 스크류(416)의 타측을 가려 조절 스크류(416)를 실수로 조작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커버(418)는 제1 부분(412a) 하측을 가려 받침부재(412)의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본체부(42)는 회전본체(421), 힌지축(421h, 421g) 및 스토퍼(423)를 포함한다.
회전본체(421)는 결합부재(411)와 힌지 브래킷(413)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본체(421)의 하면 일측(421e)은 제1 부분(412a)과 중첩된다. 회전본체(421)의 상면 중앙에는 내피 안내홈(411a)과 연결된 피복홈(421a)이 형성되어 있고, 피복홈(421a)은 내피홈(421b) 및 외피홈(421c)을 포함한다.
내피홈(421b)은 회전본체(4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내피 안내홈(411a)과 연결되어 있다. 외피홈(421c)은 회전본체(421)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내피홈(421b)과 연결되어 있다. 외피홈(421c)에는 광케이블(1)의 피복 중 외피(2b)가 위치하며, 내피홈(421b)에는 내피(2a)의 0.25내피(2d)가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423)는 내피홈(421b)과 외피홈(421c)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0.25내피(2d)가 놓일 수 있도록 상면이 함몰되어 있다. 0.9내피(2c)의 끝은 스토퍼(423)에 걸려 내피홈(421b)에 위치하지 못한다.
힌지축(421g, 421h)은 회전본체(421)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축(421g)은 제1 힌지홈(411b)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고, 힌지축(421h)는 제2 힌지홈(413a)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제1 힌지홈(411b)에 연결된 힌지축(421g)에는 길이방향을 광섬유(3)가 통과하는 관통홀(422c)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421g)의 적어도 일부분은 결합부재(411)의 절개홈(411c)과 연결된 절개홈(422d)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411)의 절개홈(411c)과 힌지축(421g)의 절개홈(422d)을 통해 관통홀(422c)에 광섬유(3)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회전본체(421)는 힌지축(421h, 421g)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회전 시 회전본체(421)의 하면 타측(421f)은 제2 부분(412b)과 중첩될 수 있다. 회전본체(421)의 하면 타측(421f)이 조절 스크류(416)의 끝부분에 접하면 회전본체(421)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회전본체(421)의 회전범위는 0도 내지 90도 일 수 있다.
회전본체(421)의 하면 일측(421e)에는 고정 제1 영구자석(414)과 인력이 발생하는 고정 제3 영구자석(424)이 배치되어 있고, 하면 타측(421f)에는 고정 제2 영구자석(415)과 인력이 발생하는 고정 제4 영구자석(425)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 제1 영구자석(414)과 고정 제3 영구자석(424) 또는 고정 제2 영구자석(415)과 고정 제4 영구자석(425)의 인력에 의해 회전된 회전본체(421)는 제1 부분(412a) 또는 제2 부분(412b)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본체(421)의 하면 타측(421)이 제2 부분(412b)에 접하면, 고정 제2 영구자석(415)과 고정 제4 영구자석(425)의 인력에 의해 회전본체(421)의 타측은 제2 부분(412b)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된 회전본체(421)는 받침부(10) 구부림 시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조절 스크류(416)의 돌출에 의해 회전본체(421)의 하면 타측(421)이 제2 부분(412b)에 접하지 않으면, 고정 제2 영구자석(415)과 고정 제4 영구자석(425)의 인력이 미비하여 회전본체(421)는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는 작업자가 회전본체(421)와 받침부재(421)를 함께 잡고 받침부(10)를 구부릴 수 있다.
덮개부(43)는 덮개부재(431), 내피 누름부재(432), 외피 누름부재(433), 잠금부재(434), 그리고 탄성부재(435)를 포함한다.
덮개부재(431)는 회전본체(421)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회전본체(421)에 힌지핀(431a)으로 연결되어 있다(도 5 참고). 덮개부재(431)는 힌지핀(431a)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덮개부재(431)는 외피홈(421c) 일부분과 내피홈(421b)을 덮는다.
도 6을 참고하면, 내피 누름부재(432)와 외피 누름부재(433)는 회전본체(421)에 접하는 덮개부재(431)의 일면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내피 누름부재(432)는 내피홈(421b)에 위치한 0.25내피(2d)를 눌러 고정하며, 외피 누름부재(433)는 외피홈(421c)에 위치한 외피(2b)를 눌러 고정한다.
내피 누름부재(432)와 덮개부재(431) 사이에는 본체부(42) 방향으로 내피 누름부재(43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432a)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432a)의 탄성력에 의해 내피 누름부재(432)는 0.25내피(2d)를 탄력적으로 누를 수 있으며 0.25내피(2d)의 직경이 달라져도 항상 0.25내피(2d)를 누를 수 있다. 0.25내피(2d)에 접하는 내피 누름부재(432)의 끝부분은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432a)는 생략할 수 있다. 아울러 외피 누름부재(433)와 덮개부재(431) 사이에 외피 누름부재(43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외피 누름부재(433)는 외피(2b)를 탄력적으로 누를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잠금부재(434)는 회전본체(421)의 측면과 덮개부재(431)의 타측면에 접하며, 중앙 부분이 덮개부재(431)에 힌지핀(434b)으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본체(421)와 마주하는 잠금부재(434)의 하부측에는 회전본체(421)의 걸림홈(421d)에 걸리는 걸림턱(434a)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434a)이 걸림홈(421d)에 걸리면 덮개부재(431)는 회전본체(421)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435)는 덮개부재(431)와 잠금부재(434)의 상측 사이에 위치하며, 잠금부재(434)의 상측이 덮개부재(431)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잠금부재(434)의 상측이 덮개부재(431)로부터 멀어지면 잠금부재(434)는 힌지핀(434b)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걸림턱(434a)이 걸림홈(421d)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은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광섬유 각도 절단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고하면, 회전본체(421)의 하면 일측(421e)이 베이스부(41)의 제1 부분(412a)과 중첩되어 있고, 덮개부(43)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 제1 영구자석(414)과 고정 제3 영구자석(424)(도 4 참조)의 인력에 의해 회전본체(421)는 베이스부(41)의 제1 부분(412a)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광케이블(1)을 피복홈(421a)에 위치시킬 때 외피(2b)를 외피홈(421c)에 위치하면서 0.9내피(2c)의 끝이 스토퍼(423)에 접촉되도록 한다. 0.25내피(2d)는 내피홈(421b) 및 내피 안내홈(411a)에 위치한다. 0.9내피(2c)의 끝이 스토퍼(423)에 접촉되므로 0.25내피(2d)의 끝에서 10mm 정도 떨어진 광섬유(3) 부분이 블레이드(24)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광섬유(3)의 끝부분은 금속층(122a)에 위치하여 누름부재(23)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0.9내피(2c)의 끝이 스토퍼(423)에 접하므로 0.25내피(2d)의 끝부분에서 블레이드(24)까지의 광섬유(3) 길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노출된 광섬유(3)를 규격화할 수 있다. 광섬유(3)의 규격화된 길이는 적용되는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사용 길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개방된 덮개부재(431)를 닫으면 덮개부재(431)의 일면이 회전본체(421)의 상면에 접하며, 외피 누름부재(433)는 외피(2b)를 누르고, 내피 누름부재(432)는 0.25내피(2d)(도 6, 7 참조)를 누른다. 잠금부재(434)의 걸림턱(434a)(도 7 참조)은 걸림홈(421d)(도 7 참조)에 걸리게 되어 광케이블(1)은 광섬유 각도 절단기(100)에 고정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회동부(20)를 텐션부(12) 방향으로 1단계 회전시키면 누름부재(23)는 금속층(122a)과 광섬유(3)에 접하며, 광섬유(3)는 누름부재(23)와 금속층(122a) 사이에서 고정된다. 누름부재(23)와 덮개부(43)에 의해 광케이블(1)은 광섬유 각도 절단기(1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누름부재(23)는 회동부(20) 내부로 이동하지 않으며, 탄성부재(231) 또한 완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회동부(20)의 1단계 회전으로 누름부재(23)가 광섬유(3)를 누르고 있을 때 블레이드(24)는 광섬유(3)에 접하지 않는다.
도 4, 도 5 및 도 11를 참고하면, 광케이블(1)이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부(42)를 회전시킨다. 회전본체(421)가 힌지축(421g, 422h)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그 일측(421e)이 제1 부분(412a)에서 떨어지고, 그 하면 타측(421f)이 조절 스크류(416)의 끝부분에 접할 때까지 회전본체(421)는 회전한다. 회전된 본체부(42)의 하면 타측(421f)은 제2 부분(412b)과 마주하고, 고정 제2 영구자석(415)과 고정 제4 영구자석(425)의 인력에 의해 회전본체(421)는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체부(42)의 회전으로 광케이블(1)도 따라 움직인다. 광섬유(3)의 끝부분이 누름부재(23)에 의해 눌려 있으므로 광섬유(3)의 끝부분은 회전되지 않는다. 이에 광섬유(3)는 누름부재(23)를 기준으로 비틀리게 된다. 광섬유(3)의 비틀림은 본체부(42)의 회전 정도에 따라 다르다. 광섬유(3)의 비틀린 각도는 0도 내지 90도일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회동부(20)의 타측을 받침부(10) 방향으로 2단계 회전시켜 최대한 누르면 누름부재(23)는 회동부(20) 내부로 이동하고 탄성부재(231)는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누름부재(23)는 광섬유를 탄력적으로 눌러 고정할 수 있다. 회동부(20)의 2단계 회전으로 블레이드(24)의 끝부분(24a)은 광섬유(3)에 접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24)는 회동부(20) 내부로 이동하며 탄성부재(241)는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발생한다. 탄성부재(241)에 의해 블레이드(24)가 광섬유(3)를 탄력적으로 누르면 블레이드(24)의 끝부분(24)이 접한 광섬유(3) 부분에 흠집(3a)이 발생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블레이드(24)가 광섬유(3)에 접한 상태에서 비틀림 유닛(40)을 구부림부분(111) 방향으로 가압하면 텐션부(12)의 타측은 구부림부분(111)을 따라 휘어지게 된다. 텐션부(12)의 휘어짐으로 광섬유(3) 또한 휘어지게 된다. 이때 광섬유(3)의 흠집(3a)(도 10 참조) 부분은 휘어지는 힘에 의해 끊어질 수 있다.
광섬유(3)가 비틀린 상태에서 절단되므로 광섬유(3)의 절단면(3b)은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섬유(3)의 중심(C)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수직선(H)을 기준으로 6ㅀ내지 10ㅀ정도로 경사 각(D)이 형성될 수 있다. 절단면의 경사 각(D)은 광섬유(3)의 비틀린 정도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케이블 각도 절단기에 의해 끊어진 광케이블(1)의 광섬유(3)와 페롤의 광섬유(5a)의 절단면은 경사지게 접촉된다. 페롤의 광섬유(5a)의 경우 제작 단계에서 그 끝이 경사지게 제작된다.
경사진 광케이블의 광섬유 절단면과 페롤 광섬유의 절단면이 접촉되어 정렬된다. 따라서 반사된 신호가 절단면의 절단각도에 의해 광섬유 외부로 빠져나가 전송되는 광신호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게 되는 바, 광신호의 전송 효율 및 광신호를 송수신 하는 장비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각도 절단기(200)는 받침부(10), 회동부(20), 비틀림 유닛(40), 그리고 절단 표시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0), 회동부(20) 및 비틀림 유닛(40)은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받침부, 회동부 및 비틀림 유닛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절단 표시부(50)는 광섬유(3)의 끊어진 방향을 표시하는 것으로 일측은 덮개부재(431)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피복홈(421a)을 향해 있다. 그러나 절단 표시부(50)는 피복홈(421a)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절단 표시부(50)는 비틀림 유닛(40) 내에서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재(431)가 회전본체(421)에 고정될 때 절단 표시부(50)의 타측 부분이 외피(2b)를 가압하여 외피(2b)에 마킹부(4)(도 28 참고)를 형성한다. 피복(2)의 눌린 방향은 블레이드(24)가 광섬유(3)에 접한 방향과 같다. 절단 표시부(50)의 타측은 피복(2)을 가압하지 않고, 잉크 등을 묻힐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케이블 각도 절단기에 의해 절단면이 경사지게 끊어진 광케이블의 광섬유(3)와 페롤의 광섬유(5a)의 절단면이 경사지게 접촉될 수 있다. 페롤의 광섬유(5a)의 경우 제작 단계에서 그 끝이 경사지게 제작되며, 경사면의 끊어진 ??향을 나타내는 표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광케이블과 페롤을 연결할 때 광케이블의 마킹부(4)가 페롤의 표시부와 일치하도록하여 광커넥터에 결합하면 광케이블의 광섬유(3) 절단면과 페롤의 광섬유(5a) 절단면이 정확하게 일치되어 광커넥터 내에서 정렬될 수 있다. 이에 현장에서 간편하고 정확하게 광케이블과 페롤을 연결할 수 있어 현장작업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 및 도 1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16 내지 도 1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각도 절단기(300)는 받침부(10), 회동부(20) 및 비틀림 유닛(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0) 및 회동부(20)는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실시예의 받침부 및 회동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비틀림 유닛(40)은 베이스부(41), 본체부(42), 그리고 덮개부(43)를 포함하며, 광케이블(1)을 비튼다.
베이스부(41)는 결합부재(411) 및 받침부재(412)를 포함하며, 본체부(42)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다.
결합부재(411)는 하측부재(411d) 및 상측부재(411e)를 포함한다. 하측부재(411d)는 텐션부(12) 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측부재(411e)는 하측부재(411d)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상측부재(411e)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광섬유(3)가 통과하는 내피 안내홈(411a)이 형성되어 있다. 내피 안내홈(411a)의 주변에는 광섬유(3)의 절단 위치를 설정하는 눈금 표시부(411f)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재(412)와 본체부(42)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한 실시예의 받침부재와 본체부와 유사한 구조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받침부재(412)와 본체부(42)의 연결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고, 조절 스크류가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412)에는 반원 형태의 결합홈(412c)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홈(412c)에는 링크핀(412d)이 결합되어 있다.
본체부(42)는 회전본체(421) 및 회전본체(421)의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각 결합홈(412c)에 삽입되는 반원 형태의 브래킷(426)을 포함한다. 도 18에서 결합홈(412c)과 브래킷(426)을 2개로 도시하였으나, 결합홈(412c)과 브래킷(426)의 숫자는 결합부재(411)와 본체부(42)의 너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브래킷(426)에는 링크핀(412d)이 관통하는 링크홈(426a)이 형성되어 있다. 링크홈(426a)은 반원 형태로 궤적을 형성한다. 링크홈(426a)의 궤적 내에서 회전본체(421)는 회전할 수 있다. 회전본체(421)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본체(421)의 하면 일측(421e)은 제1 부분(412a)에 접하고, 회전본체(421)의 하면 타측(421f)은 제2 부분(412b)에 접할 수 있다.
회전본체(421)의 상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광케이블(1)의 피복 부분이 놓이는 피복홈(421a)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43)는 덮개부재(431), 외피 누름부재(433) 덮개 제1 영구자석(435a) 및 덮개 제2 영구자석(435b)을 포함한다.
덮개부재(431)는 본체부(42)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본체부(42)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외피 누름부재(433)는 본체부(42)에 접하는 덮개부재(431)의 일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광케이블(1)의 외피(2b)에 접할 수 있다. 외피 누름부재(433)는 외피(2b)를 탄력적으로 눌러 고정하며, 외피(2b)에 접하는 외피 누름부재(433) 부분은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덮개 제1 영구자석(435a)은 덮개부재(43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고, 덮개 제2 영구자석(435b)은 덮개 제1 영구자석(435a)이 접하는 본체부(42)에 결합되어 있다. 덮개 제1 영구자석(435a)과 덮개 제2 영구자석(435b)은 인력이 발생하도록 극성이 배치되어 있다. 덮개 제1 영구자석(435a)과 덮개 제2 영구자석(435b)의 인력에 의해 덮개부재(431)는 본체부(42)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이 본 실시예에 선택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9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선택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본체부(42)와 받침부재(412)를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 다르다. 본체부(42)와 받침부재(412)의 일측에는 링크핀(412d)가 위치한 결합홈(412c)과 결합홈(412c)에 결합되는 브래킷(4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42)와 받침부재(412)의 타측에는 돌기(419a)와 돌기홈(419b)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419a)가 돌기홈(419b)에 삽입되면서 본체부(42)와 받침부재(412)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42)는 회전 시 돌기(419a)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체부(42)의 일측은 회전을 가이드하고, 타측은 회전 중심이 되어 본체부(42) 의 회전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1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2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선택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24)는 받침부(10)에 배치되어 있고, 받침부(10)의 지지대(11)는 구부러져 있지 않다.
블레이드(24)의 끝부분(24a)은 받침부(10) 위로 돌출되어 있다. 블레이드(24) 주변부의 받침부(10)에는 개방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10)에 위치한 광섬유(3)는 블레이드(24) 끝부분(24a)에 놓일 수 있다.
블레이드(24)와 마주하는 회동부(20) 부분에는 가압부재(22)가 배치되어 있다. 회동부(20)가 받침부(10) 방향으로 회전하면 누름부재(23)와 가압부재(22)는 광섬유(3)에 접할 수 있다. 회동부(20)를 최대한 꾹 누르면 광섬유(3)는 가압부재(22)에 의해 개방홀(112)에 삽입되고, 블레이드(24)에 접하면서 흠집(3a)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틀림 유닛(40)의 본체부(42)는 받침부재(412)에 회전 및 직선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본체부(42)의 회전본체(421) 일측에는 결합부재(411)의 제1 힌지홈(411b)에 삽입되는 힌지축(421g)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재(412)의 타측에 연결된 힌지 브래킷(413)에는 피복홈(421a)에 삽입되는 힌지축(421h)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2)는 힌지축(421g, 421h)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회전본체(421)의 길이방향 일측과 브래킷(413) 사이에 간격이 있고, 회전본체(421)의 길이방향 타측과 결합부재(411) 사이에 간격이 있어, 힌지축(421h)이 피복홈(421a) 내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고, 힌지축(421g)이 제1 힌지홈(411b) 내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어 회전본체(421)는 외력에 의해 결합부재(411)와 힌지 브래킷(413) 사이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회전본체(421)의 하면 타측(421f)이 제2 부분(412b)에 접하면 본체부(42)는 블레이드(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본체부(42)와 받침부재(412)의 타측에 배치된 이동 제1 영구자석(436a), 이동 제2 영구자석(436b)의 인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누름부재(23)와 가압부재(22)가 광섬유(3)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본체부(42)가 블레이드(2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압부재(22)와 본체부(42) 사이의 광섬유(3) 부분에 인장력이 발생하고, 인장력에 의해 흠집(3a)이 발생한 광섬유(3) 부분은 끊어질 수 있다. 광섬유(3)의 끊어짐으로 본체부(42)는 블레이드(2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0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광케이블 2: 피복
2a: 내피 2b: 외피
3, 5a: 광섬유 3a: 흡집
4: 마킹부 5: 페롤
100, 200, 300, 400: 광섬유 각도 절단기
10: 받침부 11: 지지대
111: 구부림부분 112: 개방홀
12: 텐션부 121: 텐션층
122: 완충층 122a: 금속층
13: 거치대 20: 회동부
22: 가압부재 23: 누름부재
31, 231, 241, 432a, 435: 탄성부재 24: 블레이드
24a: 끝부분 30, 421g, 421h, 435: 힌지축
40: 비틀림 유닛 41: 베이스부
411: 결합부재 411a: 내피 안내홈
411b: 제1 힌지홈 411c: 절개홈
411d: 하측부재 411e: 상측부재
411f: 눈금 표시부 412: 받침부재
412a: 제1 부분 412b: 제2 부분
412c: 결합홈 412d: 링크핀
413: 힌지 브래킷 413a: 제2 힌지홈
414: 고정 제1 영구자석 415: 고정 제2 영구자석
416: 조절 스크류 417: 고정 스크류
418: 커버 419a: 돌기
419b: 돌기홈 42: 본체부
421: 회전본체 421a: 피복홈
421b: 내피홈 421c: 외피홈
421d: 걸림홈 421e: 하면 일측
421f: 하면 타측 422c: 관통홀
422d: 절개홈 423: 스토퍼
424: 고정 제3 영구자석 425: 고정 제4 영구자석
426: 브래킷 426a: 링크홈
43: 덮개부 431: 덮개부재
431a, 434b: 힌지핀 432: 내피 누름부재
433: 외피 누름부재 434: 잠금부재
434a: 걸림턱 435a: 덮개 제1 영구자석
435b: 덮개 제2 영구자석 436a: 이동 제1 영구자석
436b: 이동 제2 영구자석 50: 절단 표시부

Claims (10)

  1.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위치할 수 있고, 일부분이 휘어질 수 있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를 고정할 수 있는 누름부재,
    상기 회동부 또는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에 흠집을 낼 수 있는 블레이드 및
    상기 받침부와 연결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이 위치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복을 고정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고정하며 상기 광케이블을 비틀 수 있는 비틀림 유닛
    를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의 흠집난 부분은 상기 받침부가 휘어질 때 끊어지며,
    상기 덮개부는,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덮개부재,
    상기 덮개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에 걸릴 수 있는 잠금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걸리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광섬유 각도 절단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덮개부재의 일면은 상기 피복을 누르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복 중 외피를 누르는 외피 누름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복 중 내피를 탄력적으로 누르는 내피 누름부재
    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각도 절단기.
  5.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위치할 수 있고, 일부분이 휘어질 수 있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를 고정할 수 있는 누름부재,
    상기 회동부 또는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에 흠집을 낼 수 있는 블레이드 및
    상기 받침부와 연결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이 위치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복을 고정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고정하며 상기 광케이블을 비틀 수 있는 비틀림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 일측과 접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수직하고 회전한 상기 본체부의 하면 타측이 접할 수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비틀림 유닛은,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상기 본체부의 하면 일측 및 상기 본체부의 하면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의 회전 상태를 고정하는 제1 내지 제4 영구자석을 더 포함하는 광섬유 각도 절단기.
  6. 제5항에서,
    상기 비틀림 유닛은, 상기 제2 부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조절 스크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스크류의 끝부분은 상기 본체부의 하면 타측과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 스크류의 끝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간격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회전범위가 달라지는 광섬유 각도 절단기.
  7.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위치할 수 있고, 일부분이 휘어질 수 있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를 고정할 수 있는 누름부재,
    상기 회동부 또는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에 흠집을 낼 수 있는 블레이드 및
    상기 받침부와 연결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이 위치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복을 고정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고정하며 상기 광케이블을 비틀 수 있는 비틀림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피복을 누를 때 상기 피복을 가압하여 상기 피복에 마킹부를 형성하는 절단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각도 절단기.
  8.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위치할 수 있고, 일부분이 휘어질 수 있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를 고정할 수 있는 누름부재,
    상기 회동부 또는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에 흠집을 낼 수 있는 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고정하며 상기 광케이블을 비틀 수 있는 비틀림 유닛
    를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의 흠집난 부분은 상기 받침부가 휘어질 때 끊어지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회동부와 연결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있고, 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비틀림 유닛이 연결된 텐션부
    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부는 탄성력을 갖는 텐션층과, 상기 텐션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광섬유가 접하는 완충력을 갖는 완충층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완충층 부분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와 접하는 상기 완충층 부분은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는 광섬유 각도 절단기.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75269A 2014-06-19 2014-06-19 광섬유 각도 절단기 KR101643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269A KR101643733B1 (ko) 2014-06-19 2014-06-19 광섬유 각도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269A KR101643733B1 (ko) 2014-06-19 2014-06-19 광섬유 각도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904A KR20150145904A (ko) 2015-12-31
KR101643733B1 true KR101643733B1 (ko) 2016-08-01

Family

ID=5512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269A KR101643733B1 (ko) 2014-06-19 2014-06-19 광섬유 각도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7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652A (ja) 2004-05-10 2005-11-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切断器
JP2011133787A (ja) 2009-12-25 2011-07-0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斜め切断装置及び光ファイバ斜め切断方法
JP2011191356A (ja) 2010-03-12 2011-09-29 Sumiden Opcom Ltd 光ファイバの切断方法および切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083B1 (ko) 2002-12-2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섬유 절단장치
JP5065800B2 (ja) 2007-01-23 2012-11-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652A (ja) 2004-05-10 2005-11-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切断器
JP2011133787A (ja) 2009-12-25 2011-07-0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斜め切断装置及び光ファイバ斜め切断方法
JP2011191356A (ja) 2010-03-12 2011-09-29 Sumiden Opcom Ltd 光ファイバの切断方法および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904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9628C2 (ru) Способ скалывания оптоволок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10507830A (ja) 光ファイバー切断装置
US20110176780A1 (en) Fiber optic connector of a fiber optic connection termination system
WO2009151076A1 (ja) 光ファイバ接続方法、接続工具および接続用治具
EP2126617B1 (en) Retention and rotation clamp assembly for use with an angled optical fiber cleaver
JP2012515936A (ja) 光ファイバ接続のための成端システム
KR101643733B1 (ko) 광섬유 각도 절단기
JP2006323067A (ja) メカニカル接続型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組立工具。
KR20090081179A (ko) 광섬유 절단기
JP2007121878A (ja) 光コネクタの接続工具
US20100127034A1 (en) Optical Fiber Cleave Tool
US200902202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t Least One Optical Waveguide
JP5982717B2 (ja) 光ファイバカッタ
WO2008050942A1 (en) Optical fiber cleaver
CN108369320A (zh) 光连接器以及光连接器的制造方法
JP4057553B2 (ja) 光ファイバ切断器
AU2011201544A1 (en) Fiber devices with displaceable fiber guide
JP4806672B2 (ja) 光コネクタ
US11513291B2 (en) Optical fiber cleaving apparatus and optical fiber cleaving method
JP5290929B2 (ja) 融着接続機
KR20240010904A (ko) 광섬유 커팅기
JP2007121601A (ja) 心線把持具及び現地組立型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WO2024079931A1 (ja) 光コネクタ用着脱工具
JP2002286944A (ja) ハンディ型光ファイバカッタ
JP6854308B2 (ja) ファイバカッ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