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595B1 - 레독스 플로우 전지 - Google Patents

레독스 플로우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595B1
KR101638595B1 KR1020100008596A KR20100008596A KR101638595B1 KR 101638595 B1 KR101638595 B1 KR 101638595B1 KR 1020100008596 A KR1020100008596 A KR 1020100008596A KR 20100008596 A KR20100008596 A KR 20100008596A KR 101638595 B1 KR101638595 B1 KR 10163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metal
redox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881A (ko
Inventor
선희영
박정원
황승식
이두연
이명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595B1/ko
Priority to US12/828,551 priority patent/US8481192B2/en
Publication of KR2011008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41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53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consisting of layers of polym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ionically condu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0Indirect fuel cells, e.g. fuel cells with redox couple being irrever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레독스 플로우 전지가 개시된다. 전해질로 사용된 금속 이온의 환원시 전해액 중에서의 재침전 또는 전극에서의 석출이 일어나지 않아 에너지 밀도가 높고 충방전 효율이 높은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독스 플로우 전지 {Redox flow battery}
레독스 플로우 전지가 제공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고 충방전 효율이 높은 레독스 플로우 전지가 제공된다.
2차 전지는 고효율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소형 모바일용으로부터 중대형 전력 저장용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 및 액정 분야, 음향 분야 및 휴대전화, 노트북과 같은 정보통신 분야에서 주요 핵심부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저장 시스템에는 더욱 안정한 에너지 공급과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에 대규모 전력 저장 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고출력 및 고내구성의 2차 전지로서 레독스 플로우 전지가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다른 전지와는 다르게 활물질이 고체가 아닌 수용액 상태의 이온으로 존재하며, 양극과 음극에서 각 이온들의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저장 및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가진다.
즉,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전극의 활물질이 용매에 녹아 있는 전해액(용액) 상태이며, 산화수가 다른 양극전해액과 음극전해액으로 구성된 전지를 충전시키면 양극에서는 산화반응이, 음극에서는 환원반응이 일어나며, 전지의 기전력은 양극전해액과 음극전해액을 구성하고 있는 레독스 커플(redox couple)의 표준전극전위(E0)의 차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한편, 전해액은 전해액 탱크로부터 펌프에 의해 공급되며 양극과 음극의 표면에서 산화환원 반응속도가 빠른 일반 전지의 장점과 높은 출력 특성을 가지는 연료전지의 장점을 동시에 가진다.
도 1은 종래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이온교환막(10)에 의해 양극 셀(1)과 음극 셀(2)로 나뉘어진다. 양극 셀(1)과 음극 셀(2)은 각각 양극(11)과 음극(12)을 포함한다. 양극 셀(1)은 파이프(41)를 통해 양극 전해액(13)을 공급 및 방출하기 위한 양극 탱크(21)에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음극 셀(2)은 파이프(42)를 통해 음극 전해액(14)을 공급 및 방출하기 위한 음극 탱크(22)에 연결되어 있다. 전해액은 펌프(31, 32)를 통해 순환하고, 양극(13)과 음극(14)에서 이온의 원자가 변경 반응에 따라 충전 및 방전이 일어난다.
상기 이온교환막(10)은 양극 전해액(11)과 음극 전해액(12)의 활물질 이온간의 혼합을 방지하고 지지 전해질의 전하운반체 이온의 전달만 허용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에너지 밀도가 크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측면에 따라 양극 전해액;
음극 전해액; 및
상기 양극 전해액과 음극 전해액 사이에 위치하는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로서, 상기 양극 전해액과 음극 전해액 중 하나 이상이 비수계 용매; 지지 전해질; 및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해액이고, 상기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은 산화가 0인 원자 상태에서 전해액 중에서 용해되어 있는 유기 전해액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가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은 Ni, Co, Fe, Ru, Zn, Mn, Y, Zr, Ti, Cr, Mg, Ce 및 Cu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리간드는 디피리딜, 터피리딜,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페난트롤린 및 2,6-비스(메틸이미다졸-2-일리덴)피리딘(2,6-bis(methylimidazol-2-ylidene)pyridine) 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은 산화 환원시 2개 이상의 전자가 이동할 수 있다.
한 측면에 따르면 에너지 밀도가 높고 에너지 효율이 뛰어난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전지의 방전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과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따른 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에너지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예시적인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양극 전해액; 음극 전해액; 및 상기 양극 전해액과 음극 전해액 사이에 위치하는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 전해액과 음극 전해액 중 하나 이상이 비수계 용매; 지지전해질; 및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해액으로서, 상기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은 산화가 0인 원자 상태에서 전해액 중에서 용해되어 안정한 유기 전해액이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전기 부하를 포함하는 외부 회로에 연결하여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방전되며, 반대로 전지에 외부 전원을 연결하여 전류를 유입되게 함으로써 충전이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양극 전해액(catholyte)은 레독스 커플이 2가지 산화가 (oxidation state) 중 높은 쪽으로 산화될 때 충전되며, 2가지 산화가 중 낮은 쪽으로 환원될 때 방전된다. 역으로, 음극 전해액(anolyte)은 레독스 커플이 2가지 산화가 중 낮은 쪽으로 환원될 때 충전되며, 2가지 산화가 중 높은 쪽으로 산화될 때 방전된다.
양극
Cn ( Cn -y + ye- (충전)
Cn -y + ye- ( Cn (방전)
(C: 양극 전해질)
음극
An -x + xe- ( An (충전)
An ( An -x + xe- (방전)
(A: 음극 전해질)
수계 용매를 사용하는 종래의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경우 작동 전위가 물 분해 전위 영역에 한정되기 때문에 구동 전압이 낮으므로 에너지 밀도가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비수계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종래의 전해질은 비수계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낮고, 금속 이온의 환원시 석출되는 경향이 있어서 원하는 에너지 밀도를 얻기가 곤란하고, 사이클 횟수가 증가할수록 충방전 비가역 용량이 누적되어 셀 수명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은 산화가 0인 상태에서 전해액 중에서 안정한 유기 전해액을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산화가 0인 상태에서 전해액 중에서 안정한"이란 의미는 용매, 예를 들어 비수계 용매 중에서 산화가 0인 상태의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이 침전 또는 석출되지 않고 용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산화가 0인 상태에서 전해액 중에서 안정한 금속은 Ni, Co, Fe, Ru, Zn, Mn, Y, Zr, Ti, Cr, Mg, Ce 및 Cu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 중에서 특히 Ni가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 중 리간드는 디피리딜, 터피리딜,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페난트롤린 및 2,6-비스(메틸이미다졸-2-일리덴)피리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은 산화 환원시 2개 이상의 전자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로서 하기한 것들을 예로 들 수 있다:
Figure 112010006488258-pat00001
Figure 112010006488258-pat00002
Figure 112010006488258-pat00003
Figure 112010006488258-pat00004
Figure 112010006488258-pat00005
Figure 112010006488258-pat00006
Figure 112010006488258-pat00007
Figure 112010006488258-pat00008
Figure 112010006488258-pat00009
Figure 112010006488258-pat00010
Figure 112010006488258-pat00011
Figure 112010006488258-pat00012
Figure 112010006488258-pat00013
Figure 112010006488258-pat00014
Figure 112010006488258-pat00015
Figure 112010006488258-pat00016
Figure 112010006488258-pat00017
Figure 112010006488258-pat00018
Figure 112010006488258-pat00019
Figure 112010006488258-pat00020
Figure 112010006488258-pat00021
Figure 112010006488258-pat00022
Figure 112010006488258-pat00023
Figure 112010006488258-pat00024
Figure 112010006488258-pat00025
Figure 112010006488258-pat00026
Figure 112010006488258-pat00027
Figure 112010006488258-pat00028
Figure 112010006488258-pat00029
Figure 112010006488258-pat00030
Figure 112010006488258-pat00031
Figure 112010006488258-pat00032
Figure 112010006488258-pat00033
Figure 112010006488258-pat00034
상기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의 짝 음이온으로는 BF4 -, PF6 -, CF3SO3 -, 또는 (CF3SO2)2N-를 들 수 있다.
상기 비수계 용매로는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아세토니트릴, γ-부티로락톤(GBL),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N-메틸-2-피롤리돈(NMP),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양극 전해액과 음극 전해액중 하나는 산화가 0인 상태에서 전해액중에서 안정한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유기전해액일 수 있다.
즉, 양극 전해액 또는 음극 전해액의 하나가 산화가 0인 상태에서 전해액중에서 안정한 금속-리간드 배위화합물로 이루어진 전해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대측 음극 전해액 또는 양극 전해액은 공지의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양극 전해액과 음극 전해액중 하나 이상은 산화 환원시 2개 이상의 전자가 이동하는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전해액과 음극 전해액은 Fe2 +/Ni0, Ru2 +/Ni0, Ru2 +/Co0 또는 Fe2 +/Co0의 레독스 커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양극을 포함하는 양극 셀, 음극을 포함하는 음극 셀 및 상기 양극 셀 및 음극 셀과 각각 유체 연결된 양극 전해액 탱크 및 음극 전해액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교환막은 양극 전해질과 음극 전해질의 혼합을 방지하고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의 짝 음이온을 전하 운반체로 사용하도록 하며 적은 양의 지지전해질로도 충분한 양의 전하운반체의 농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양이온인 활물질의 이동을 억제하여 높은 충방전 효율 및 전압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종래의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하는 경우 전하운반체의 제공물질(source)로 양이온의 염(Na+, Li+, H+)을 사용하였으나 유기용매에서의 이러한 염의 용해도가 떨어지고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소량의 물을 첨가하는 경우 리간드가 불안정하여 산화 환원반응이 완전히 가역적이지 못한 반면, 음이온 교환막을 사용하면 유기용매에서도 용해도가 높은 염을 도입할 수 있어 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되며 리간드가 분해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의 산화 환원반응이 가역적이 됨으로써 사이클 특성이 개선되고 전압특성이 향상된다.
상기 음이온 교환막으로는 스티렌-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여 클로로메틸기를 도입, 아미노화 한 음이온 교환막, 비닐피리딘-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를 4급 피리듐화한 음이온 교환막, 방향족 폴리설폰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여 클로로메틸기를 도입, 아미노화한 음이온 교환막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음이온 교환막으로는 ASTOM사의 NEOSEPTA-AMEX, NEOSEPTA-AHA, NEOSEPTA-ACS, LANXESS사의 Cybron ionan MA3475, FuMa-atech사의 FAS, FAB, FAN, FAA, FAD, PCA(Polymerchemie Altmeier)사의 PC 100D, PC 200D, PC-SA가 있다.
상기 지지 전해질은 반응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고 양극 전해액과 음극 전해액 간의 전하의 균형을 유지하는 (charge balance)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 전해질로는 LiBF4, LiPF6, LiClO4, LiCF3SO3, Li(CF3SO2)2N, TEABF4 (triethylamine tetrafluorborate) 및 TBABF4(tributhylamine tetrafluorbor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전해질을 종래의 황산 대신 사용할 경우 비수계 용매를 사용하여 전해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기존의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등의 용도 외에, 전기차량(Electric Vehicle)과 같은 고용량, 고출력이 요구되는 용도에도 적합하며, 기존의 내연기관, 연료전지, 수퍼커패시터 등과 결합하여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Vehicle)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고출력, 고전압이 요구되는 기타 모든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Ni2 +- (페난트롤린)3[BF4]2의 제조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NiSO4·H2O 2.692g및 30ml 메탄올을 넣고 5에서 20분 동안 용액 상태가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별도의 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페난트롤린 5.767g 및 60ml 메탄올을 넣고 5 에서 10분 동안 용액 상태가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상기 NiSO4·6H2O 용액에 페난트롤린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 용액의 색이 남색 -> 보라색 -> 분홍색이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용액에 NaBF4를 5.490g 첨가한 다음 30분 이상 교반 하였다. 상기 결과물을 여과한 다음 물 및 메탄올로 수 회 세척한 다음 진공 건조하여 Ni2 +- (페난트롤린)3[BF4]2 3.456g을 얻었다.
제조예 2: Fe2 +- (페난트롤린)3[BF4]2의 제조
NiSO4·6H2O 2.692g 대신 FeSO4·7H2O 1.52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Fe2 +- (페난트롤린)3[BF4]2 7.15g을 얻었다.
실시예 1
0.6 M Fe(Phen)3BF4를 GBL 5 ml에 녹여 양극 전해액으로 하고 0.3M Ni(Phen)3BF4를 5ml GBL에 녹여 음극 전해액으로 한 다음 충전을 실시하였다. 지지 전해질로 0.5 M의 TEABF4 (triethylamine tetrafluoroborate)를 각각 상기 전해액에 녹여 사용하였다.
카본 펠트(Nippon Graphite, GF20-3, t = 3 mm, A = 5ⅹ5 cm2)를 공기 분위기에서 500℃로 5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준비된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전지는 non-flow type 전지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음이온 교환막은 Astom사의 "NEOSEPTA" AMX를 사용하였다.
너트 일체형 엔드 플레이트(end plate)가 밑으로 오게 한 후 절연체, 집전체(current collector) 및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적층하였다. 5ⅹ5 cm2 정사각형 카본 펠트(carbon felt) 전극을 1/2로 잘라 직사각형으로 한 후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요면(concave) 안에 삽입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양극 카본 펠트 전극 및 음극 카본 펠트 각각에 상기에서 제조한 유기 전해액을 3 ml를 주액한 후 조립하였다. 접시 스프링이 끼워진 볼트를 토크 렌치(torque wrench)로 1.5 Nm까지 대각선 순서로 조여주었다. 조립 완료 후 각 전극의 주액 구멍으로 나머지 전해액을 주액 한 후, 테플론 볼트(teflon bolt)로 막았다. 기체 누출 홀(leak hole)이 있는 것이 각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한 개씩 사용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음이온 교환막으로 Astom사의 "NEOSEPTA" AMX 대신 PCA사의 PC-S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M VOSO4 (Aldrich, 97% hydrate)과 2M H2SO4(Aldrich 96% 용액)의 조성을 갖는 수용액으로부터 1M의 V2 +, V5 + 용액을 제조하여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은 카본 펠트(carbon felt, Nippon Graphite, GF20-3, t = 3 mm, A = 5ⅹ5 cm2)를 사용하였고, 양이온 교환막인 수소 이온으로 치환된 나피온 117을 사용하였다. All vanadium 전지 조립 방법 및 순서는 상기 실시예 1의 전지의 조립 방법 및 순서와 동일하다.
충방전 평가( non - flow type 전지)
상기 제조한 전지를 이용하여 상온(25℃)에서 충방전 실험을 수행하였다.
충방전 조건은 충전시 10mA로 2.6V까지 정전류로 충전하였다. 방전은 0.8V까지 5mA의 정전류로 방전시켰다. 상기와 같은 충방전을 6회 반복하였다.
에너지 효율은 전압효율과 충방전효율의 곱으로 나타내며, 전압효율은 평균방전전압을 평균충전전압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로 나타내며, 충방전 효율은 방전전하량을 충전전하량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로 나타낸다.
상기 충방전 실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한 전지의 방전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실시예 1에 따른 전지는 높은 셀 내부 저항 때문에 전류 크기를 1/2로 하여 충방전을 실시하였다. 교류임피던스 법으로 셀 저항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의 전지의 용액 저항은 5Ω으로 비교예 1의 전지에 비해 50배 가량 컸다. 실시예 1에 따른 전지는 all VRB의 1.5V 대비 2.34V의 높은 개방회로전압을 가졌으며 평균 방전 전압도 2.1V의 높은 값을 가졌다. All VRB 대비 60% 수준의 활물질 농도에도 불구하고 방전 전하량도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과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한 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충방전 효율은 실시예 1은 평균 90.4%, 실시예 2는 평균 89.3%로 비교예 1 (평균 25.4%)에 비해 3배 이상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 1과 및 비교예 1에 따른 전지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서 보듯이 높은 막 저항 때문에 충전 및 방전 전류가 비교예 1의 all VRB보다 작았으나 10 사이클 평균 에너지 효율은 81.6%로 25.1%에 비해 3배 이상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른 전지의 에너지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에너지 양(mWh)는 방전 용량(mAh)에 전압(V)을 곱하여 구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실시예 1에 의한 셀은 비교예 1과 비교해 60% 수준의 활물질 농도를 가지고도 3배 이상 높은 에너지 양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 양극 셀 2: 음극 셀
10: 이온교환막
11: 양극 전해액 12: 음극 전해액
13: 양극 14: 음극
21, 22: 탱크 31, 32: 펌프
41, 42: 파이프

Claims (12)

  1. 양극 전해액;
    음극 전해액;
    상기 양극 전해액과 음극 전해액 사이에 위치하는 음이온 교환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로서, 상기 양극 전해액과 음극 전해액중 하나 이상이 비수계 용매; 지지 전해질; 및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해액이고, 상기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은 산화가 0인 원자 상태에서 전해액 중에서 용해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은 산화 환원시 2개 이상의 전자가 이동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Ni, Co, Fe, Ru, Zn, Mn, Y, Zr, Ti, Cr, Mg, Ce 및 Cu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는 디피리딜, 터피리딜,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페난트롤린 및 2,6-비스(메틸이미다졸-2-일리덴)피리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 중 1종 이상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
    Figure 112010006488258-pat00035
    Figure 112010006488258-pat00036
    Figure 112010006488258-pat00037
    Figure 112010006488258-pat00038
    Figure 112010006488258-pat00039
    Figure 112010006488258-pat00040
    Figure 112010006488258-pat00041
    Figure 112010006488258-pat00042
    Figure 112010006488258-pat00043
    Figure 112010006488258-pat00044
    Figure 112010006488258-pat00045
    Figure 112010006488258-pat00046
    Figure 112010006488258-pat00047
    Figure 112010006488258-pat00048
    Figure 112010006488258-pat00049
    Figure 112010006488258-pat00050
    Figure 112010006488258-pat00051
    Figure 112010006488258-pat00052
    Figure 112010006488258-pat00053
    Figure 112010006488258-pat00054
    Figure 112010006488258-pat00055
    Figure 112010006488258-pat00056
    Figure 112010006488258-pat00057
    Figure 112010006488258-pat00058
    Figure 112010006488258-pat00059
    Figure 112010006488258-pat00060
    Figure 112010006488258-pat00061
    Figure 112010006488258-pat00062
    Figure 112010006488258-pat00063
    Figure 112010006488258-pat00064
    Figure 112010006488258-pat00065
    Figure 112010006488258-pat00066
    Figure 112010006488258-pat00067
    Figure 112010006488258-pat00068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리간드 배위 화합물의 짝 음이온으로서 BF4 -, PF6 -, CF3SO3 -, 또는 (CF3SO2)2N-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전해질은 LiBF4, LiPF6, LiClO4, LiCF3SO3, Li(CF3SO2)2N, TEABF4 (triethylamine tetrafluorborate)및 TBABF4(tributhylamine tetrafluorobor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막은 스티렌-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여 클로로메틸기를 도입, 아미노화 한 음이온 교환막, 비닐피리딘-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를 4급 피리듐화한 음이온 교환막 또는 방향족 폴리설폰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여 클로로메틸기를 도입, 아미노화한 음이온 교환막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전해액과 음극 전해액은 2개 이상의 전자 전달 반응을 수행하는 레독스 커플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레독스 커플은 Fe2 +/Ni0, Ru2 +/Ni0, Ru2 +/Co0 또는 Fe2 +/Co0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계 용매는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아세토니트릴, γ-부티로락톤(GBL),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N-메틸-2-피롤리돈(NMP),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
  12. 제 1항에 있어서,
    양극을 포함하는 양극 셀, 음극을 포함하는 음극 셀, 및 상기 양극 셀 및 음극 셀과 각각 유체 연결된 양극 전해액 탱크 및 음극 전해액 탱크를 더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20100008596A 2010-01-29 2010-01-29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163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596A KR101638595B1 (ko) 2010-01-29 2010-01-29 레독스 플로우 전지
US12/828,551 US8481192B2 (en) 2010-01-29 2010-07-01 Redox flow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596A KR101638595B1 (ko) 2010-01-29 2010-01-29 레독스 플로우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881A KR20110088881A (ko) 2011-08-04
KR101638595B1 true KR101638595B1 (ko) 2016-07-12

Family

ID=44341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596A KR101638595B1 (ko) 2010-01-29 2010-01-29 레독스 플로우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81192B2 (ko)
KR (1) KR101638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171A (ko) 2017-01-18 2018-07-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크로스 전해액 탱크가 마련된 레독스 흐름 전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0321B2 (en) 2008-07-07 2010-10-26 Enervault Corporation Redox flow battery system for distributed energy storage
US8785023B2 (en) 2008-07-07 2014-07-22 Enervault Corparation Cascade redox flow battery systems
KR101747862B1 (ko) * 2010-11-03 2017-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1819036B1 (ko) * 2010-12-31 201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
US9269982B2 (en) 2011-01-13 2016-02-23 Imergy Power Systems, Inc. Flow cell stack
US8916281B2 (en) 2011-03-29 2014-12-23 Enervault Corporation Rebalancing electrolytes in redox flow battery systems
US8980484B2 (en) 2011-03-29 2015-03-17 Enervault Corporation Monitoring electrolyte concentrations in redox flow battery systems
KR101882861B1 (ko) * 2011-06-28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WO2013048603A1 (en) * 2011-09-27 2013-04-04 Battelle Memorial Institute Redox flow batteries having multiple electroactive elements
KR101327741B1 (ko) * 2011-10-19 2013-11-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레독스 커플 담지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KR101890747B1 (ko) 2011-11-03 201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교환막 충전용 조성물, 이온 교환막의 제조방법, 이온 교환막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CN102544523A (zh) * 2012-01-13 2012-07-04 中国东方电气集团有限公司 电极材料、其制备方法以及包括其的液流电池
US9300000B2 (en) 2012-02-28 2016-03-29 Uchicago Argonne, Llc Organic non-aqueous cation-based redox flow batteries
US9966625B2 (en) 2012-02-28 2018-05-08 Uchicago Argonne, Llc Organic non-aqueous cation-based redox flow batteries
EP2846389B1 (en) 2012-05-01 2017-02-22 Nissin Electric Co., Ltd. Energy storage battery
KR20130132107A (ko) 2012-05-25 201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교환막 충전용 조성물, 이온 교환막의 제조방법, 이온 교환막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CN104364959A (zh) * 2012-06-15 2015-02-18 特拉华大学 多膜多电解质氧化还原流电池设计
US9899694B2 (en) 2012-07-27 2018-02-20 Lockheed Martin Advanced Energy Storage, Ll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s and methods featuring high open circuit potential
US8691413B2 (en) 2012-07-27 2014-04-08 Sun Catalytix Corporation Aqueous redox flow batteries featuring improved cell design characteristics
US9692077B2 (en) 2012-07-27 2017-06-27 Lockheed Martin Advanced Energy Storage, Llc Aqueous redox flow batteries comprising matched ionomer membranes
US9559374B2 (en) 2012-07-27 2017-01-31 Lockheed Martin Advanced Energy Storage, Ll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s and methods featuring large negative half-cell potentials
US8753761B2 (en) 2012-07-27 2014-06-17 Sun Catalytix Corporation Aqueous redox flow batteries comprising metal ligand coordination compounds
US9865893B2 (en) 2012-07-27 2018-01-09 Lockheed Martin Advanced Energy Storage, Ll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s and methods featuring optimal membrane systems
US9382274B2 (en) 2012-07-27 2016-07-05 Lockheed Martin Advanced Energy Storage, Llc Aqueous redox flow batteries featuring improved cell design characteristics
US9768463B2 (en) 2012-07-27 2017-09-19 Lockheed Martin Advanced Energy Storage, Llc Aqueous redox flow batteries comprising metal ligand coordination compounds
US10164284B2 (en) 2012-07-27 2018-12-25 Lockheed Martin Energy, Llc Aqueous redox flow batteries featuring improved cell design characteristics
WO2014030231A1 (ja) * 2012-08-22 2014-02-27 日新電機 株式会社 電力貯蔵電池
CN103682212B (zh) * 2012-09-06 2016-08-03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碱性多孔膜在液流储能电池中的应用
KR102014987B1 (ko) 2012-12-14 2019-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
WO2014092654A1 (en) * 2012-12-14 2014-06-19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Liquid metal battery
CN103887539B (zh) * 2012-12-20 2017-03-1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锌镍液流电池结构及锌镍液流电池系统
KR102038619B1 (ko) * 2013-01-08 2019-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
WO2015054260A2 (en) * 2013-10-07 2015-04-1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 redox flow battery that uses complexes of cobalt and iron with amino-alcohol ligands in alkaline electrolytes to store electrical energy
KR102126034B1 (ko) 2013-11-01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교환막,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2163726B1 (ko) 2013-11-22 202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
CN105280864B (zh) * 2014-07-03 2018-04-03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碱性多孔膜在锂硫二次电池中的应用
US20160036060A1 (en) * 2014-07-30 2016-02-04 Concurrent Technologies Corporation Composite electrode for flow battery
EP3218947B1 (en) * 2014-11-10 2018-12-19 LANXESS Solutions US Inc. Energy storage device comprising a polyurethane separator
CN107108669A (zh) 2014-11-26 2017-08-29 洛克希德马丁尖端能量存储有限公司 取代的儿茶酚盐的金属络合物及含有其的氧化还原液流电池
US10253051B2 (en) 2015-03-16 2019-04-09 Lockheed Martin Energy, Llc Preparation of titanium catecholate complexes in aqueous solution using titanium tetrachloride or titanium oxychloride
DE102015010083A1 (de) 2015-08-07 2017-02-09 Friedrich-Schiller-Universität Jena Redox-Flow-Zelle zur Speicherung elektrischer Energie und deren Verwendung
KR101763406B1 (ko) * 2015-11-19 2017-08-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US10316047B2 (en) 2016-03-03 2019-06-11 Lockheed Martin Energy, Llc Processes for forming coordination complexes containing monosulfonated catecholate ligands
US10644342B2 (en) 2016-03-03 2020-05-05 Lockheed Martin Energy, Llc Coordination complexes containing monosulfonated catecholate ligand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US9938308B2 (en) 2016-04-07 2018-04-10 Lockheed Martin Energy, Llc Coordination compounds having redox non-innocent ligands and flow batteries containing the same
IT201600071670A1 (it) * 2016-07-08 2018-01-08 Eni Spa Batterie Redox a flusso non acquose
US10343964B2 (en) 2016-07-26 2019-07-09 Lockheed Martin Energy, Llc Processes for forming titanium catechol complexes
US10377687B2 (en) 2016-07-26 2019-08-13 Lockheed Martin Energy, Llc Processes for forming titanium catechol complexes
KR20180035975A (ko) * 2016-09-29 2018-04-09 전자부품연구원 분리막이 없는 이산화황계 레독스 흐름 이차 전지
US10065977B2 (en) 2016-10-19 2018-09-04 Lockheed Martin Advanced Energy Storage, Llc Concerted processes for forming 1,2,4-trihydroxybenzene from hydroquinone
US10930937B2 (en) 2016-11-23 2021-02-23 Lockheed Martin Energy, Llc Flow batteries incorporating active materials containing doubly bridged aromatic groups
US10497958B2 (en) 2016-12-14 2019-12-03 Lockheed Martin Energy, Llc Coordinatively unsaturated titanium catecholate complexes and processes associated therewith
US10374239B2 (en) * 2016-12-29 2019-08-06 Uchicago Argonne, Llc Aqueous pyridinium cation-based redox flow batteries
US10741864B2 (en) 2016-12-30 2020-08-11 Lockheed Martin Energy, Llc Aqueous methods for forming titanium catecholate complexes and associated compositions
US10320023B2 (en) 2017-02-16 2019-06-11 Lockheed Martin Energy, Llc Neat methods for forming titanium catecholate complexes and associated compositions
CN106832326B (zh) * 2017-03-28 2019-11-05 河北医科大学 一种高热稳定性铈配位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0553890B2 (en) 2017-06-23 2020-02-04 Uchicago Argonne, Llc Aqueous redox flow batteries
US10424805B2 (en) 2017-08-15 2019-09-24 Uchicago Argonne, Llc Benzothiophene-based redox molecules for flow battery
KR102144745B1 (ko) 2018-12-05 2020-08-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전극 내 혼합판이 삽입된 레독스 흐름 전지
US11271237B2 (en) 2019-07-29 2022-03-08 Uchicago Argonne, Llc Organic redox molecules for flow batteries
CN111628185B (zh) * 2020-05-27 2021-11-16 西安交通大学 一种吡咯啉/烷氮氧自由基类化合物水系有机液流电池
CN114142075B (zh) * 2021-11-30 2023-10-27 成都先进金属材料产业技术研究院股份有限公司 钒液流电池电解液的制备方法
CN114361548A (zh) * 2021-12-31 2022-04-15 重庆大学 一种采用多孔膜的非水系热再生电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3082A1 (en) * 2008-01-23 2009-07-30 Acal Energy Limited Redox fuel cells
JP2009544132A (ja) 2006-07-19 2009-12-10 エーカル・エナジー・リミテッド 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2116A (en) 1981-05-22 1983-05-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Zirconium carbide as an electrocatalyst for the chromous/chromic REDOX couple
JPS58133788A (ja) 1982-02-01 1983-08-09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電解質溶液
JPS6215770A (ja) 1985-07-11 1987-01-24 Yamaguchi Univ レドックス二次電池
US4857423A (en) * 1987-11-30 1989-08-15 Eic Labotatories, Inc. Overcharge protection of secondary, non-aqueous batteries
US20060063065A1 (en) 2001-08-10 2006-03-23 Clarke Robert L Battery with bifunctional electrolyte
US7252905B2 (en) * 2001-08-10 2007-08-07 Plurion Limited Lanthanide batteries
IN266777B (ko) * 2006-03-24 2015-06-01 Acal Energy Ltd
US8642202B2 (en) * 2010-01-29 2014-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electrolyte solution and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747862B1 (ko) * 2010-11-03 2017-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4132A (ja) 2006-07-19 2009-12-10 エーカル・エナジー・リミテッド 燃料電池
WO2009093082A1 (en) * 2008-01-23 2009-07-30 Acal Energy Limited Redox fuel cell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pplied Electrochemistry, Volume 18, Issue 6, pp 909-914 호(1988.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171A (ko) 2017-01-18 2018-07-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크로스 전해액 탱크가 마련된 레독스 흐름 전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89549A1 (en) 2011-08-04
KR20110088881A (ko) 2011-08-04
US8481192B2 (en)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595B1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1793205B1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1747862B1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1819036B1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2014986B1 (ko) 유기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EP2355223B1 (en)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an organic electrolyte soution
KR102038619B1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
US8642202B2 (en) Organic electrolyte solution and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882861B1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TWI604657B (zh) 氧化還原液流電池系統
KR101819037B1 (ko) 유기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1793206B1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1905711B1 (ko) 열적안정성을 향상시킨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KR102014987B1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
US11145885B2 (en) High capacity organic radical mediated phosphorous anode for redox flow batteries
Pan et al. Redox Flow Lithium Batteries
CN117936777A (zh) 一种水性有机阳极i2电池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