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313B1 - 비수용성 절삭유 - Google Patents

비수용성 절삭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313B1
KR101635313B1 KR1020150012000A KR20150012000A KR101635313B1 KR 101635313 B1 KR101635313 B1 KR 101635313B1 KR 1020150012000 A KR1020150012000 A KR 1020150012000A KR 20150012000 A KR20150012000 A KR 20150012000A KR 101635313 B1 KR101635313 B1 KR 101635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dditive
reaction
extreme pressure
ole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이
Original Assignee
김정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이 filed Critical 김정이
Priority to KR1020150012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수용성 절삭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재생정제유에 고분자 합성윤활첨가제와 황계극압첨가제를 추가하여 신유와 동등한 성능을 가지는 비수용성 절삭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87~95중량% 광유계 재생정제유와; 올레인산, 트리메칠올프로판(TPM) 및 인산촉매로 제조된 0~8중량%의 고분자 합성윤활 첨가제와; 0~3중량%의 황계극압첨가제와; 0~1중량%의 산화방지제와; 0~1중량%의 방청제;를 구비하며, 상기 원료를 반응온도 45~80℃를 유지한 상태에서 30~120분간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재생정제유는 유압작동유와 비수용성 절삭유를 정제하여 점도 15~25cst를 만족하며, 고분자 합성 윤활 첨가제는 올레인산과 트리메칠올프로판(TMP)의 혼합 중량비율이 1:1로 구성되며, 상기 황계극압첨가제는 식물성 올레인산과 알콜을 반응시킨 지방산에스테르에 3~10중량%의 황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유를 재생 정제유를 사용함으로서, 제조단가를 신유에 비하여 30%이상 절감시키면서도 신유와 동등한 윤활 성능을 가지며, 정제유에 고분자합성윤활 첨가제와 황계극압 첨가제의 혼합비율을 적절히 조절하면 절삭유 뿐만 아니라 프레스유 및 금속가공유에 확대 적용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비수용성 절삭유{Non-water-soluble cutting oil}
본 발명은 비수용성 절삭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재생정제유에 고분자 합성윤활첨가제와 황계극압첨가제를 추가하여 신유와 동등한 성능을 가지는 비수용성 절삭유에 관한 것이다.
재생 정제유는, 각종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윤활유 및 금속가공유의 장기사용으로 폐기 처리되는 폐유를 정제한 것으로, 판매되는 윤활유의 60%만 수거되고 나머지는 버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재생 정제유의 수거율이 낮은 것은 폐유의 대부분이 농사용 난방용 연료로 사용되고, 활용할 수 분야는 적게 때문이다.
절삭유를 비롯한 금속가공유는 산업전반에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대부분이 신제품의 절삭유를 사용하지 재생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원인은 재생 정제유의 동점도 및 내구성이 신유에 비하여 일정하지 않고, 절삭유에 적합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기술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폐유중에서 유압작동유 및 비수용성 절삭유는 절삭유로서 요구되는 충족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고분자 합성 윤활 첨가제로 성능을 개선시키면 충분히 절삭유로 재활용할 수 있다.
1. KR 10-1044042, '공작 기계용 절삭유 정제장치', 등록일자: 2011.06.17. 2. KR 10-0757079, '가공유 재생장치', 등록일자: 2007.09.13. 3. KR 10-0407159, '폐윤활유 정화장치 및 그 방법', 등록일자: 2003.11.13. 4. KR 10-0964709, '폐윤활유 재생시스템 및 그 방법', 등록일자: 2010.06.10.
본 발명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재생 정제유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재생 정제유에 고분자 합성윤활첨가제와 황계극압 첨가제를 교반하여 신유와 동등한 성능을 가지는 비수용성 절삭유를 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압작동유와 비수용성 절삭유를 정제하여 점도 10~25cst를 만족하는 87~95 중량% 광유계 재생정제유와; 올레인산, 트리메칠올프로판(TPM) 및 인산촉매로 제조된 0~8중량%의 고분자 합성윤활 첨가제와; 0~3중량%의 황계극압첨가제와; 0~1중량%의 산화방지제와; 0~1중량%의 방청제;를 구비하며, 상기 원료를 반응온도 45~80℃를 유지한 상태에서 30~120분간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고분자 합성 윤활 첨가제는 올레인산과 트리메칠올프로판(TMP)의 혼합 비율이 1:1로 구성되며, 상기 황계극압첨가제는 식물성 올레인산과 알콜을 반응시킨 지방산에스테르에 3~10중량%의 황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용성 절삭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생 정제유에 첨가되는 고분자 합성 윤활 첨가제는, 진공감압장치에 올레인산과 트리메칠올프로판(TMP)의 혼합 중량비율을 몰비로 1:1와 첨가제 인산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투입단계 이후, 진공압력 5토르(torr), 반응온도 100~ 130℃, 교반회전속도 600rpm 조건에서 7~ 8시간 반응시키는 1차 반응단계와; 상기 1차 반응단계이후, 냉각하여 고분자 합성윤활 첨가제를 검사하는 검사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검사단계에서 산가(PH)가 0.7~1.2이내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용성 절삭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합성 윤활 첨가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검사단계에 있어서, 고분자 합성 윤활 첨가제의 산가를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검사단계이후, 진공압력 5토르(torr), 반응온도 100~ 130℃, 교반회전속도 600rpm 조건에서 4~6시간 반응시키는 2차 반응단계와; 상기 2차 반응단계이후, 냉각하여 고분자 합성윤활 첨가제를 검사하는 2차 검사단계;와 상기 2차 검사단계에서 산가를 만족시키 못할경우에 같은 조건에서 반응단계와 검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용성 절삭유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기유를 재생 정제유를 사용함으로서, 제조단가를 신유에 비하여 30%이상 절감시키면서도 신유와 동등한 윤활 성능을 가진다.
둘째, 재생 정제유에 첨가할 수 있는 고분자합성 윤활 첨가제를 개발함으로서, 정제유의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윤활첨가제의 국산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셋째, 정제유에 고분자합성윤활 첨가제와 황계극압 첨가제의 혼합비율을 적절히 조절하면 절삭유 뿐만 아니라 프레스유 및 금속가공유에 확대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몰비, 반응시간 및 촉매에 따른 지방유의 비교표.
도 2는 올레인산과 트리메칠올프로판 함유비율에 따른 성능비교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제품 3종의 성능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 제품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과 제조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비수용성 절삭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재생정제유에 고분자 합성윤활첨가제와 황계극압첨가제를 추가하여 신유와 동등한 성능을 가지는 비수용성 절삭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KS규격으로 2종 1호 내지 3호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기유 대신 재생 정제유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유압작동유와 비수용성 절삭유를 정제하여 점도 15~25cst를 만족하는 30~95중량% 광유계 재생정제유와; 올레인산, 트리메칠올프로판(TPM) 및 인산촉매로 제조된 0~8중량%의 고분자 합성윤활 첨가제와; 0~3중량%의 황계극압첨가제와; 0~1중량%의 산화방지제와; 0~1중량%의 방청제;를 구비하며, 상기 원료를 반응온도 45~80℃를 유지한 상태에서 30~120분간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올레인산과 트리메칠올프로판(TMP)의 혼합 중량비율이 1:1로 구성되며, 상기 황계극압첨가제는 식물성 올레인산과 알콜을 반응시킨 지방산에스테르에 3~10중량%의 황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생 정제유는 산업 유압작동유와 비수용성 절삭유를 재생처리업체에서 재생한 정제유를 사용하며, 유해물질을 제거한 전기절연유도 적용 가능하다.
절삭유에 요구되는 점도가 10cst 이상이므로, 재생 정제유에 요구되는 점도는 15~25cst이상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몰비, 반응시간 및 촉매에 따른 지방유의 비교표이다.
도 1은 지방유중에서 식물성 올레인산, 대두유 및 팜유중에서 몰비, 반응시간과 촉매에 따른 Ph값을 측정한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절삭유에 요구되는 Ph수치는 0.5~1.5이며, 상기 수치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에는 강산성 내지 강알카리성을 성질을 가지게 되어 금속부식이 우려된다. 따라서, 절삭유의 Ph는 중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몰비에서는 식물성 올레인산(C18H34O2)과 트리메칠올프로판(C2H5C(CH2OH)3)의 혼합 중량몰비가 1: 1~1.5일 경우가 대두유와 팜유에 비하여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반응시간에서는 식물성 올레인산과 트리메칠올프로판을 혼합비율를 조절하면서 반응온도 120~170℃조건에서 6~8시간 반응시간이후에 트리메칠올프로판이 완전용해되었다.
따라서, 1차 반응시간 8시간, 2차 반응시간 6시간 및 3차 반응시간 4시간으로 구성된 1조건과, 1차 반응시간 10시간, 2차 반응시간 8시간 및 3차 반응시간 6시간으로 구성된 2조건으로 비교한 결과, 1조건과 2조건의 수치는 동등하여, 1조건으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촉매에 따른 비교를 측정하였다. 사용된 촉매는 인산, 티타늄 및 PTSA(Para Toluene sulfonic acid monohydrate, 파라-톨루엔설폰산 모노수화물)을 적용하여, 가격대비 양호한 성능을 나타낸 인산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도 2는 올레인산과 트리메칠올프로판 함유비율에 따른 성능비교표이다.
도 2는, 식물성 올레인산과 트리메칠올프로판을 혼합비율를 조절하면서 반응온도 120~170℃조건에서 6~8시간 반응시간이후의 냄새, 색상, 동판부식시험 및 마찰마모극압시험을 실시한 결과이다.
상기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적조건은 올레인산과 트리메칠올프로판 혼합 중량비율이 1:1인 조건으로 나타났다.
종래 윤활유의 극압 첨가제로 황계 극압 첨가제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 황계 극압 첨가제는 분자 내에 황원자를 가지며, 기유에 용해 또는 균일하게 분산되어 극압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황화유지, 황화 지방산, 황화 에스테르, 폴리술피드, 황화 올레핀, 티오카르바메이트류, 티오테르펜류 및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류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황계 극압 첨가제는 금속을 부식시키거나, 기타 첨가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소부 방지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거나, 또는 내마모성이 불충분하다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황계 극압첨가제에 비해 우수한 내하중 성능과 내마모성을 겸비할 뿐만 아니라 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황계 극압첨가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황계 극압첨가제는 식물성 올레인산과 알콜을 반응시킨 지방산 에스테르에 3~10중량%의 황을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황의 비율이 3중량%미만일 경우에는 절삭유에서 요구되는 극압첨가제의 효과가 현저하게 적게되며, 황의 비율이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타 첨가제와 반응하여 악영향이 높아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제품 3종의 성능표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 제품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180과 P190은 재생 정제유를 사용한 비수용성 절삭유의 시제품 제품명(가칭)이며, 색상, 동점도, 동판부식, 윤활성테스터, 수분함량 및 혼화안정도를 비교한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색상은 신유에 비하여 갈색이 있는 연갈색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나, 색상을 제외한 나머지 성능수치는 신유와 동등한 수준이며, 절삭유에서 요구되는 수준은 모두 만족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내지 4에서의 PM750는 프레스 가공유로 개발된 것으로서, 절삭유와 동일하게 신유가 같은 성능을 보인다. 다만, 황계 극압첨가제 비율이 높아 색상은 진갈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과 제조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비수용성 절삭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재생 정제유에 추가되는 고분자 합성 윤활 첨가제를 제조하는 것이 핵심기술이며. 상기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고분자 합성 윤활 첨가제의 제조방법은, 진공감압장치에 올레인산과 트리메칠올프로판(TMP)의 혼합 중량비율 1:1와 첨가제 인산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투입단계 이후, 진공압력 5토르(torr), 반응온도 100~ 130℃, 교반회전속도 600rpm 조건에서 7~ 8시간 반응시키는 1차 반응단계와; 상기 1차 반응단계이후, 냉각하여 고분자 합성윤활 첨가제를 검사하는 검사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검사단계에서 산가(PH)가 0.7~1.2이내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사단계에 있어서, 고분자 합성 윤활 첨가제의 산가를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검사단계이후, 진공압력 5토르(torr), 반응온도 100~ 130℃, 교반회전속도 600rpm 조건에서 4~6시간 반응시키는 2차 반응단계와; 상기 2차 반응단계이후, 냉각하여 고분자 합성윤활 첨가제를 검사하는 2차 검사단계;와 상기 2차 검사단계에서 산가를 만족시키 못할경우에 같은 조건에서 반응단계와 검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감압방식은 상압 방식에서 쉽게 일으나는 산화현상을 방지하고, 낮은 온도에서 상온과 같은 효과를 보이므로 온도 상승시간의 단축, 반응시간의 촉진 및 제조원가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진공압력 5토르에서의 130도는 상온 170도 이상의 온도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상온 120~ 170도에서 10시간동안 교반해야만 가능한 1차 반응 단계가, 진공압력 5토르(torr), 반응온도 100~ 130℃, 교반회전속도 600rpm 조건에서 7~8시간에 모든 반응을 마치는 효과를 가진다.
고분자 합성윤활 첨가제의 제조에 있어서, 1차 반응단계이후, 1차 검사단계에서 품질검사를 통과하면 2차반응을 실시하지 않는다.
다만, 1차 반응단계에서 품질검사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 2차 내지 3차 반응을 실시한다.

Claims (3)

  1. 87~95 중량% 광유계 재생정제유와;
    올레인산, 트리메칠올프로판(TPM) 및 인산촉매로 제조된 0~8 중량%의 고분자 합성윤활 첨가제와;
    0~3 중량%의 황계극압첨가제와;
    0~1 중량%의 산화방지제와;
    0~1 중량%의 방청제;를 구비하며,
    상기 원료를 반응온도 45~80℃를 유지한 상태에서 30~120분간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재생정제유는 유압작동유와 비수용성 절삭유를 정제하여 점도 15~25cst를 만족하며,
    상기 고분자 합성 윤활 첨가제는,
    진공감압장치에 올레인산과 트리메칠올프로판(TMP)의 혼합 중량비율을 몰비로 1:1와 첨가제 인산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투입단계 이후, 진공압력 5토르(torr), 반응온도 100~ 130℃, 교반회전속도 600rpm 조건에서 7~ 8시간 반응시키는 1차 반응단계와;
    상기 1차 반응단계이후, 냉각하여 고분자 합성윤활 첨가제를 검사하는 검사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검사단계에서 산가(PH)가 0.7~1.2이내를 만족하며,
    상기 황계극압첨가제는 식물성 올레인산과 알콜을 반응시킨 지방산에스테르에 3~10중량%의 황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용성 절삭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합성 윤활 첨가제의 검사단계에 있어서,
    고분자 합성 윤활 첨가제의 산가를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검사단계이후, 진공압력 5토르(torr), 반응온도 100~ 130℃, 교반회전속도 600rpm 조건에서 4~6시간 반응시키는 2차 반응단계와;
    상기 2차 반응단계이후, 냉각하여 고분자 합성윤활 첨가제를 검사하는 2차 검사단계;와
    상기 2차 검사단계에서 산가를 만족시키 못할경우에 같은 조건에서 반응단계와 검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용성 절삭유.
  3. 삭제
KR1020150012000A 2015-01-26 2015-01-26 비수용성 절삭유 KR101635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000A KR101635313B1 (ko) 2015-01-26 2015-01-26 비수용성 절삭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000A KR101635313B1 (ko) 2015-01-26 2015-01-26 비수용성 절삭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313B1 true KR101635313B1 (ko) 2016-06-30

Family

ID=5635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000A KR101635313B1 (ko) 2015-01-26 2015-01-26 비수용성 절삭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3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3391A (zh) * 2017-09-15 2017-12-29 上海瑞轻润滑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废轧制油制备的环保型冲压油
CN109504506A (zh) * 2018-12-06 2019-03-22 汎宇化学(昆山)有限公司 非水溶性切削油及其制备方法
KR102672888B1 (ko) 2023-09-15 2024-06-05 이현식 누설방지 첨가제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159B1 (en) 2003-04-21 2003-11-28 Korea Mach & Materials Inst Apparatus of purifying waste lubricant oil and method therefor
KR100757079B1 (ko) 2007-02-15 2007-09-19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가공유 재생 장치
KR20070111762A (ko) * 2006-05-19 2007-11-22 조길래 난연성 유압 작동유 조성물
KR20100003503A (ko) * 2008-07-01 2010-01-11 주식회사 한국발보린 바이오디젤 생산시 생성되는 잔류물과 잔류물부터 얻어지는메틸에스테르와 부산물을 이용한 비수용성 금속가공유조성물
KR100964709B1 (ko) 2007-12-10 2010-06-21 동우전기공업(주) 폐윤활유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4042B1 (ko) 2010-08-19 2011-06-23 김명복 공작 기계용 절삭유 정제장치
KR20110081921A (ko) * 2010-01-09 2011-07-15 김도균 인결합폴리올에스테르
KR20130055373A (ko) * 2011-11-18 2013-05-28 (주)한동기술화학 폐금속가공유를 이용한 금속가공유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159B1 (en) 2003-04-21 2003-11-28 Korea Mach & Materials Inst Apparatus of purifying waste lubricant oil and method therefor
KR20070111762A (ko) * 2006-05-19 2007-11-22 조길래 난연성 유압 작동유 조성물
KR100757079B1 (ko) 2007-02-15 2007-09-19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가공유 재생 장치
KR100964709B1 (ko) 2007-12-10 2010-06-21 동우전기공업(주) 폐윤활유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3503A (ko) * 2008-07-01 2010-01-11 주식회사 한국발보린 바이오디젤 생산시 생성되는 잔류물과 잔류물부터 얻어지는메틸에스테르와 부산물을 이용한 비수용성 금속가공유조성물
KR20110081921A (ko) * 2010-01-09 2011-07-15 김도균 인결합폴리올에스테르
KR101044042B1 (ko) 2010-08-19 2011-06-23 김명복 공작 기계용 절삭유 정제장치
KR20130055373A (ko) * 2011-11-18 2013-05-28 (주)한동기술화학 폐금속가공유를 이용한 금속가공유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3391A (zh) * 2017-09-15 2017-12-29 上海瑞轻润滑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废轧制油制备的环保型冲压油
CN109504506A (zh) * 2018-12-06 2019-03-22 汎宇化学(昆山)有限公司 非水溶性切削油及其制备方法
KR102672888B1 (ko) 2023-09-15 2024-06-05 이현식 누설방지 첨가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029B1 (ko) 그리스 조성물
JP5646859B2 (ja) 無段変速機用潤滑油組成物
CN105038925A (zh) 润滑剂及其制备方法
KR101931511B1 (ko) 식품 산업용 고온 윤활제
SG172651A1 (en) Sulfurized metal alkyl phenate compositions having a low alkyl phenol content
EP3372660B1 (de) Hochtemperaturschmierstoffe
DE102006023219A1 (de) Fluidzusammensetzungen für Doppelkupplungsgetriebe
DE60300494T2 (de) Phosphorothionate
WO2011099207A1 (ja) 潤滑油組成物
CN106146550A (zh) 腰果酚及其衍生物基硫代磷酸的金属盐衍生物、其制备方法及应用
EP3692121A1 (en) Grease composition
CN103571590A (zh) 润滑油组合物及用途
CN102250671A (zh) 一种宽温高极压复合锂润滑脂组合物
KR101635313B1 (ko) 비수용성 절삭유
CN103571591A (zh) 润滑油组合物及其用途
KR101305080B1 (ko) 고극압 내마모성 복합알루미늄 그리스의 제조방법
JP6051097B2 (ja) グリースの製造方法
CN105001946B (zh) 酯型难燃液压油及其生产方法
CN107429193A (zh) 润滑脂组合物
CN110669574A (zh) 一种极压抗磨润滑脂及其制备方法
JP2008056707A (ja) 金属材料加工用の潤滑油
CN110643415B (zh) 一种利用再生底线油的开式齿轮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705621B (zh) 润滑脂组合物的改善的侧倾稳定性
CN104277895B (zh) 一种链条润滑油及其制备方法
JP2007332307A (ja) 金属材料加工用の潤滑油とそれを用いた金属材料の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