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467B1 - 현상제 카트리지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카트리지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467B1
KR101634467B1 KR1020147014544A KR20147014544A KR101634467B1 KR 101634467 B1 KR101634467 B1 KR 101634467B1 KR 1020147014544 A KR1020147014544 A KR 1020147014544A KR 20147014544 A KR20147014544 A KR 20147014544A KR 101634467 B1 KR101634467 B1 KR 101634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rame
resin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249A (ko
Inventor
도시테루 야마사키
아키라 스즈키
아키코 다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45731A external-priority patent/JP57381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75772A external-priority patent/JP58587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75773A external-priority patent/JP5858767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9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03G21/0029Details relating to the blad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75Arrangements for shipping or transporting of the developing device to or from the user
    • G03G2215/0877Sealing of the developing device opening, facing the image-carrying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이며,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회전 가능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회전 가능 부재 사이의 틈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수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부재는,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프레임에 형성되고, 용접에 의해 상기 시트 부재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현상제 카트리지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ER CARTRID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해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체 및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을 하나의 유닛으로서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준비되며, 프로세스 수단은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클리닝 수단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정비공에게 의지하지 않고 유저 자신이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는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6은 수용체 시트(203)에 초기 장력을 부가했을 때의 개략도이다. 도 27는 상온(예를 들면, 23℃), 고온(예를 들면, 50℃), 상온(예를 들면, 23℃)의 순으로 환경이 변화했을 때의 클리닝 용기(201), 양면 테이프(204), 수용체 시트(203)의 각각의 계면의 어긋남을 설명하는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8은 클리닝 용기(201)에 부착된 수용체 시트(203)의 선단이 굴곡진(기복을 이루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형성 시에 이하와 같은 공정이 되풀이된다. 우선, 감광층을 외주면에 가지는 전자사진 상 담지체(상 담지체(202))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제 담지체(302)를 경유해서 현상 수단으로부터 반송된 현상제에 의해 이 정전 잠상을 상으로서 현상(가시화)하고, 얻어진 상을 전사재(현상제 상 수용재)에 전사한다. 또한, 하나의 화상 형성 공정 종료 후에, 상 담지체 표면에 잔류한 현상제 및 그 밖의 부착물을 다음 화상 형성 공정 시작 전에 클리닝 수단에 의해 충분히 제거한다.
클리닝 수단의 일례로서, 클리닝 블레이드(205)와, 수용체 시트(203)와, 클리닝 용기(201)로 구성되는 수단이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205)는 상 담지체(202) 위에 잔류한 토너를 긁어 떨어뜨리는 데에 사용되고, 수용체 시트(203)는 긁어 떨어뜨린 토너를 스쿠핑(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들 부재(205, 203)는 상 담지체(202) 표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어져 있다. 클리닝 용기(201)는 스쿠핑한 잔여 토너를 모으기 위한 잔여 토너실(200)을 구비하고 있다. 수용체 시트(203)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클리닝 용기(201)의 소정 위치(부착면)에 양면 테이프(204)에 의해 부착된다. 상 담지체(202)와 접촉하는 수용체 시트(203)는, 선단부의 굴곡 등이 없게 정밀하게 클리닝 용기(201)에 부착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수용체 시트(203)가 정밀하게 부착되지 않을 경우, 수용체 시트(203)의 선단이 상 담지체(202)의 표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없고, 그 결과, 클리닝 블레이드(205)에 의해 긁어 떨어뜨린 현상제를 확실하게 스쿠핑할 수 없기 때문이다(일본 특허 제3231848호). 또한, 수용체 시트(203)의 선단부의 굴곡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용체 시트(203)의 선단에 장력을 주어, 만곡량(초기 장력량) m을 얻도록 수용체 시트(203)가 클리닝 용기(201)에 부착된다(도 26 참조). 또한, 상 담지체 단부 시일 부재(206a, 206b) 및 대전 롤러(207)가 마련된다. 또한, 수용체 시트(203)는, 상 담지체(202)를 향해 돌출하도록 양면 테이프(204)가 부착되는 경우,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204)를 따라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용체 시트(203)가 부착되는 경우, 수용체 시트(203)의 선단(203a)은 상 담지체(202)의 표면에 완전하게 밀착될 수 없고, 그 결과, 수용체 시트는 클리닝 블레이드(205)에 의해 긁어 떨어뜨린 현상제를 확실하게 스쿠핑할 수 없다. 이러한 불완전한 부착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클리닝 용기(201)의 부착면(201a)의 폭 o1을 충분하게 확보해서, 양면 테이프(204)가 상 담지체(202)를 향해 돌출하도록 한다(일본 특허 제3231848호).
또한, 현상 수단의 일례로서, 현상 블레이드 유닛(305)과, 분출 방지 시트(303)를 포함하는 수단이 있다. 현상 블레이드 유닛(305)은 현상제 담지체(302)의 회전 방향의 상류 측에 현상제 담지체(302)에 담지되어 있는 현상제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데에 이용된다. 분출 방지 시트(303)는 현상 용기(301)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현상제의 분출(누설)을 방지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들 현상 블레이드 유닛(305) 및 분출 방지 시트(303)는 현상제 담지체(302)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어져 있다. 또한, 분출 방지 시트(303)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에 의해 형성되고, 현상 용기(301)의 소정 위치(부착면)에 양면 테이프(304)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분출 방지 시트(303)에 관해서도 전술한 수용체 시트(20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출 방지 시트(303)를 선단부의 굴곡 등이 없게 정밀하게 현상 용기(301)에 부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분출 방지 시트(303)가 정밀하게 부착되지 않을 경우, 분출 방지 시트(303)의 선단이 현상제 담지체(302)의 표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없고, 그 결과, 이 틈으로부터 현상 용기(301) 내의 현상제가 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용체 시트(20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출 방지 시트(303)의 선단부의 굴곡을 방지하기 위해서, 분출 방지 시트(303)의 선단에 장력이 주어져, 분출 방지 시트(303)는 소정의 만곡량(초기 장력량)을 얻도록 현상 용기(301)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담지체 단부 시일 부재(306a, 306b)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수용체 시트(203) 및 분출 방지 시트(303)(이하, 이들 시트는 박판 부재라고 함)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해서 클리닝 용기(201)나 현상 용기(301)(이하, 이들 용기는 프레임이라 함)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그 부착 위치는, 프레임으로부터의 현상제 누설 방지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 때문에, 현상제의 누설 방지를 위해 양면 테이프를 고정밀도로 프레임에 부착할 필요가 있으며, 박판 부재 선단의 굴곡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박판 부재는 화상 형성 장치의 휴지(정지) 및 사용 동안의 화상 형성 장치 내의 관련 카트리지 주변의 온도 변화(예를 들면, 0℃ 내지 50℃)에 대하여 박판 부재 선단의 굴곡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온(예를 들면, 23℃), 고온(예를 들면, 50℃), 상온(예를 들면, 23℃) 순의 환경 하에 카트리지를 방치한 경우에는, 각각의 부재는 그 선 팽창 계수에 대응해서 연장하게 된다. 이때, 양면 테이프(204)는 클리닝 용기(201)와, 수용체 시트(203)의 각각의 계면에서 어긋나서(벗어나서), 클리닝 용기(201)와 수용체 시트(203)의 신장의 차이를 흡수한다. 또한, 온도가 상온으로 되돌아올 때에 이 어긋남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지 않고, y1, y2로서 남을 경우가 있다. 이때, 만곡량(초기 장력량) m이 불충분할 경우, 만곡량 m이 작아져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W가 생길 경우가 있다.
최근, 자동 기기에 의한 카트리지의 조립 공정에서, 비용을 더 감소시키기 위해, 생산 효율 및 제품의 제작 정밀도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성능 및 화질의 개선에 수반하여, 카트리지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박판 부재를 프레임에 부착하는 전술한 접착(부착)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양면 테이프가 부드럽기 때문에, 비용 감소 및 카트리지의 소형화를 위하여 양면 테이프의 폭을 작게 하면, 양면 테이프의 사행이 발생하여, 박막 부재를 카트리지 프레임에 고정밀도로 부착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카트리지를 고온 하의 환경에 방치한 후, 양면 테이프와 박판 부재의 계면, 양면 테이프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계면에서 어긋남이 발생하여, 만곡량 m이 작아져서, 박판 부재의 초기 장력이 감쇠한다. 그 때문에, 초기 장력 감쇠를 고려한 박판 부재 선단의 장력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에 시트 부재를 고정밀도로 부착할 수 있는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이며,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회전 가능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회전 가능 부재 사이의 틈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수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부재는,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프레임에 형성되고, 용접에 의해 상기 시트 부재에 고정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아래의 설명을 고려할 때에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클리닝 부재와 상 담지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실시예 1의 클리닝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실시예 1의 클리닝 부재의 구성 설명도.
도 6 및 7은 실시예 1의 현상 유닛의 구성 부재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실시예 1의 현상 유닛의 설명도.
도 9의 (a) 내지 (d) 부분은 실시예 1의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b)에 표시된 A-A 선을 따른 실시예 1의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
도 11은 실시예 1의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2 내지 17의 각각의 (a) 및 (b) 부분은 실시예 1의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 형상을 도시하는 구성 설명도.
도 18의 (a) 및 (b) 부분은 실시예 1의 수용체 시트가 부착된 클리닝 용기의 설명도.
도 19의 (a) 및 (b) 부분은 실시예 1의 수용체 시트의 상단에 장력을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20은 실시예 1에서 엘라스토머 부재를 용융시켜 시트를 용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1은 실시예 1에서 엘라스토머 부재를 용융시켜 시트를 용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2는 실시예 1에서 엘라스토머 부재를 용융시켜 시트를 용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 21에 표시된 D 부분의 확대도.
도 23은 실시예 1에서 수용체 시트를 용착시킨 클리닝 용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4의 (a) 및 (b) 부분은 실시예 1에서의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5는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
도 26은 초기 장력이 수용체 시트에 가해진 때의 클리닝 용기 및 수용체 시트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7은 상온 및 고온 환경 하에서의 계면 어긋남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8은 수용체 시트의 상단의 굴곡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9의 (a) 및 (b) 부분은 실시예 2에서 수용체 시트가 부착된 클리닝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0의 (a) 및 (b) 부분은 실시예 2에서 시트에 장력 툴을 이용하여 장력을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1은 시트 용착의 설명도.
도 32은 시트 용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33은 실시예 2에서 도 32에 표시된 D 부분의 확대도.
도 34는 실시예 2에서 수용체 시트가 용착된 클리닝 용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5는 실시예 2에서 수용체 시트가 용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6은 실시예 2에서 시트 규제면에 수용체 시트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7의 (a), (b), (a-1) 및 (b-1) 부분은 실시예 3에서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 형상의 효과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38의 (a) 내지 (d) 부분은 실시예 3에서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 형상의 효과를 각각 설명하는 개략도.
도 39는 시트가 경사져서 시트와 현상제 담지체 사이에 틈을 생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실시예 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를 예시할 것이며, 특히, 실시예 1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료, 형상, 상대 배치 등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기기)의 구성이나 각종 조건에 의해 적절히 변경된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방향과 교차하는(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상 담지체의 회전 축선 방향)이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왼쪽 및 오른쪽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왼쪽 및 오른쪽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표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방에 위치하는 면이며, 하면은 상기 장착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 위치하는 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구성)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이하 화상 형성 장치 본체라고 함)의 일례인 컬러 레이저 빔 프린터의 개략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는, Y(옐로우), M(마젠타), C(시안), Bk(블랙) 각 색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와, 중간 전사 벨트(중간 전사체)(35)와, 정착부(50)와, 배출 롤러군(53, 54, 55)과, 배출 트레이(56)를 포함한다. 4색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급지 롤러(41)가 회전해서 급지 카세트(7) 내의 전사재(기록재) P 중 1매를 분리한 뒤에, 그 전사재 P를 레지스트 롤러(44)에 반송한다. 한편, 상 담지체(21)와 중간 전사체(35)가, 소정의 외주 속도 V(이하, 프로세스 속도라고 부름)로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 담지체(21)는 대전 수단에 의해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된 후에, 레이저에 의해 노광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 잠상 형성과 동시에, 현상 유닛(2b)이 상 담지체(21) 상의 잠상을 현상제(토너)로 현상한다. 상 담지체(21) 위에 형성된 Y, M, C, Bk 각 색의 컬러 화상은, 중간 전사체(35)의 외주면에 1차 전사된다. 중간 전사체(35) 위로 전사된 각 색의 화상은, 전사재 P에 2차 전사되고, 그 후에 전사재 P에 정착된다. 화상이 정착된 전사재 P는 배출 롤러 쌍(53, 54, 55)을 개재해서 배출 트레이(56) 위로 배출되어, 화상 형성 동작을 종료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성)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개략 단면도이다. Y, M, C, Bk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동일 구성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클리닝 유닛(2a)과 현상 유닛(2b)으로 나누어져 있다.
클리닝 유닛(2a)에는 회전체로서의 상 담지체(21)가 클리닝 용기(2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 담지체(21) 주면(peripheral surface) 상에는, 상 담지체(2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1차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23)와, 상 담지체(21) 위에 남은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2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28)가 제거한 토너를 스쿠핑하기 위한 가소성 시트 부재로서의 수용체 시트(박판 부재)(15)와, 수용체 시트(15)를 고정하는 수지 부재인 엘라스토머 부재(접착 부재)(1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전 롤러(23)를 클리닝하기 위한 대전 롤러 클리너(17)와, 대전 롤러 클리너(17)를 고정하는 엘라스토머 부재(12)가 배치되어 있다.
현상 유닛(2b)은 현상 수단인 현상제 담지체(22)와, 토너가 수용된 토너 용기(현상제 수용부)(70)와, 현상 용기(71)로 구성된다. 현상제 담지체(22)는, 회전가능하게 현상 용기(71)에 의해 지지된다. 현상제 담지체(22)의 주면 상에는, 현상제 담지체(22)와 접촉해서 화살표 Z 방향으로 회전하는 토너 공급 롤러(72)와, 현상제 규제 부재(73)와, 분출 방지 시트(박판 부재)(16)와, 분출 방지 시트(16)를 고정하는 엘라스토머 부재(접착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토너 용기(70) 내에는 토너 교반 기구(74)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의 화살표 X 방향으로 회전하는 토너 교반 기구(74)에 의해 토너가 토너 공급 롤러(72)에 반송된다. 토너 공급 롤러(72)는 화살표 Z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토너를 현상제 담지체(22)에 공급한다. 현상제 담지체(22) 위로 공급된 토너는, 현상제 담지체(22)의 화살표 Y 방향의 회전에 의해 현상제 규제 부재(현상 블레이드 유닛)(73)의 위치에 도달한다. 현상제 규제 부재(73)는 토너를 규제해서 원하는 대전 전하량을 부여함과 함께, 소정의 토너 박층을 형성한다. 현상제 규제 부재(73)에 의해 규제된 토너는, 상 담지체(21)와 현상제 담지체(22)가 접촉하는 현상부에 반송되고, 현상제 담지체(22)에 인가된 현상 바이어스에 의한 상 담지체(21) 상의 현상에 사용된다. 상 담지체(21) 상의 현상에 사용된 토너가 중간 전사체(35)에 1차 전사된 후, 상 담지체(21) 위에 잔류한 잔여 토너가 클리닝 블레이드(28)에 의해 제거된다. 제거된 잔여 토너는 잔여 토너실(현상제 수납부)(30)에 모아진다.
(클리닝 유닛)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클리닝 유닛(2a)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클리닝 부재와 상 담지체(21)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클리닝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5는 클리닝 수단을 도 4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설명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담지체(21)로부터 잔여 토너 등의 잔류물을 긁어 떨어뜨리는 클리닝 블레이드(28)와, 긁어 떨어뜨려진 잔류 토너를 스쿠핑하는 수용체 시트(1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잔류물을 수납하는 잔여 토너실(30)과, 잔여 토너실(30)로부터 잔류물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클리닝 블레이드(28)의 양 단부에 배치된 상 담지체 단부 시일 부재(26a, 26b)와, 클리닝 블레이드 하측 시일(27)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부재가 클리닝 용기(24)에 갖추어져서 클리닝 유닛(2a)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블레이드(28) 및 수용체 시트(15)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 담지체(21)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개구(24a)가 형성된다. 수용체 시트(15)는 클리닝 용기(24)에 수용체 시트(15)의 접착 부재로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0) 부분에 용착되어 있다. 그 상세 내용은 후술한다. 상 담지체(21)는 클리닝 용기(24)의 개구부(24a)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수용체 시트(15)는 상 담지체(21)에 접촉함으로써 클리닝 용기(24)와 상 담지체(21)의 사이의 틈으로부터 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 담지체 단부 시일 부재(26a, 26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블레이드(28)에 기초하여 배치되고, 수용체 시트(15)의 양 단부에 접촉하고 있고,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담지체(21)의 외주면과도 접촉하고 있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 하측 시일(27)에 의해 클리닝 블레이드(28)와 클리닝 용기(24) 사이의 틈 등의 틈을 밀폐하고 있다.
또한, 대전 롤러(23)를 클리닝하기 위한 대전 롤러 클리너(17)가 설치되어 있고, 대전 롤러 클리너(17)는 클리닝 용기(24) 상에 대전 롤러 클리너(17)의 접착 부재로서 성형된 엘라스토머 부재(12) 부분에 용착되어 있다.
(현상 유닛)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현상 유닛(2b)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분출 방지 시트(16)와, 현상 블레이드 유닛(73)과, 현상제 담지체 단부 시일 부재(95a, 95b)와, 현상제 담지체(22)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분출 방지 시트(16)와, 현상 블레이드 유닛(73)과, 현상제 담지체 단부 시일 부재(95a, 95b)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이들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담지체(22)의 토너를 균일화하는 현상 블레이드 유닛(73)과, 현상 담지체(22)와 현상 용기(71)의 사이의 틈에서 토너가 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분출 방지 시트(1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토너를 수납하는 현상 용기(71)와, 프로세스 카트리지(71)로부터 잔류물이 새어 나오는 것을 막도록 현상 블레이드 유닛(73)의 양 단부에 배치한 현상제 담지체 단부 시일 부재(95a, 95b)와, 현상 블레이드 하측 시일(93)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부재가 현상 용기(71)에 갖추어져서 현상 유닛(2b)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블레이드 유닛(73) 및 분출 방지 시트(16)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현상제 담지체(22)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어, 개구(71a)가 형성된다. 분출 방지 시트(16)는 현상 용기(71) 상에 분출 방지 시트(16)의 접착 부재로서 성형된 엘라스토머 부재(11) 부분에 용착되어 있다. 그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또한, 현상제 담지체 단부 시일 부재(95a, 95b)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블레이드 유닛(73) 및 분출 방지 시트(16)의 양 단부에 접촉하고 있고,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담지체(22)의 외주면과도 접촉하고 있다. 또한, 현상 블레이드 하측 시일(93)에 의해 현상 블레이드 유닛(73)과 현상 용기(71) 사이의 틈 등의 틈을 밀폐하고 있다.
또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비산 방지 시트(18)가 설치되어 있고, 비산 방지 시트(18)는 현상 용기(71) 상에 비산 방지 시트의 접착 부재로서 성형된 엘라스토머 부재(13) 부분에 용착되어 있다.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엘라스토머 부재(10)를 성형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도 9의 (a) 내지 (d) 부분은 접착 부재로서의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성형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9의 (a)는 클리닝 용기(24)의 개략도와, 주입구 부분의 개략 확대도를 포함하고, 도 9의 (b)는 클리닝 용기(24)에 엘라스토머 성형 금형(83)을 클램핑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9의 (c)는 도 9의 (b)에 표시된 A-A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 단면도이며, 도 9의 (d)는 도 9의 (b)에 표시된 B-B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에 표시된 A-A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 단면도이며,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성형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성형 시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용기(24)의 일단 측의 상 담지체 단부 시일 부재(26a, 26b)와, 타단 측의 상 담지체 단부 시일 부재의 사이에 엘라스토머 부재 형성부(71d)가 마련되어 있다. 엘라스토머 부재 형성부(71d)는 엘라스토머 부재(10)가 주입되는 오목부(71d1)와, 금형이 접촉하는 접촉면(71d2, 71d3)을 포함한다. 또한, 길이 방향의 소정 개소에는, 시일(엘리스토머 부재) 형성부(71d)의 오목부(71d1)와 연통하고 있는 원통형의 주입구(76)가 마련되어져 있다.
다음으로,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부재 형성부(71d)의 길이 중앙부 1군데에 주입구(76)를 마련하고 있지만, 2군데 이상 마련하여도 된다. 엘라스토머 부재(10)를 성형할 때, 도 9의 (c), 도 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용기(24)의 엘라스토머 부재 형성부(71d)의 접촉면(71d2, 71d3)에 엘라스토머 성형 금형(83)을 접촉시킨다. 엘라스토머 성형 금형(83)은 엘라스토머 부재(10)의 형상으로 깎여 들어가도록, 즉,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오목부(83d)가 마련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클리닝 용기(24)의 길이 중앙부 1군데에 마련되어진 주입구(76)에 수지 재료 주입 장치의 게이트(82)를 접촉시킨다. 그리고, 엘라스토머 부재(10)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수지 재료)를 수지 재료 주입 장치의 게이트(82)로부터 클리닝 용기(24)의 주입구(76)에 도 9의 (c)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주입한다. 주입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용기(24)의 엘라스토머 부재 형성부(71d)의 오목부(71d1)와 엘라스토머 성형 금형(83)의 오목부(83d)에 의해 형성된 성형 공간으로 흐르게 된다. 길이 중앙부 1군데로부터 주입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부재 형성부(71d)의 오목부(71d1)와 엘라스토머 성형 금형(83)의 오목부(83d)에 의해 형성된 성형 공간에서 길이 방향 단부 측을 향해 흐른다. 이렇게, 클리닝 용기(24)에 형이 접촉되어서 형성되는 성형 공간 내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주입해서 성형시킴으로써, 클리닝 용기(24)에 일체적으로 엘라스토머 부재(10)가 성형된다.
엘라스토머 부재(10)는 클리닝 용기(24)에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재료로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를 이용하고 있다. 이것은, 클리닝 용기(24)가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HI-PS)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로서는, HI-PS와 같은 계열의 재료이며, 탄성을 가지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가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동일한 계열의 수지 재료의 부품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부품끼리의 분해를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리사이클 때의 부품의 분해 작업성이 뛰어나다. 또한,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한, 상기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와는 다른 엘라스토머 수지 토너가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엘라스토머 부재(10)로서, 탄성율이 2.5MPa 내지 10MPa의 물성의 엘라스토머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탄성율의 조정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폴리스티렌(PE)을 20중량부 함유시킴으로써 행하였다. 그러나, 엘라스토머 수재 재료는 탄성율 2.5MPa 내지 10MPa의 생성된 엘라스토머 부재를 마련하기만 하면 되므로, PE의 함유량을 바꾸어도 되고, PE 이외의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그 밖의 엘라스토머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엘라스토머 부재(10)의 클리닝 용기(24)에의 성형 방법은, 엘라스토머 부재(11, 13)의 현상 용기(71)에의 성형 및 엘라스토머 부재(21)의 클리닝 용기(24)에의 성형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엘라스토머 부재(10, 11, 12, 13)의 성형 방법으로서, 상기 성형 방법 이외에도 2색 성형이나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클리닝 용기(24)나 현상 용기(71) 등의 프레임에 성형해도 된다.
접착 부재로서 양면 테이프를 이용한 종래 기술의 경우, 양면 테이프는 부드럽기때문에 양면 테이프의 폭이 작을수록 프레임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실시예 1에서는,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는 형을 이용하여 직접 프레임에 엘라스토머 부재를 성형하므로, 엘라스토머 부재는 프레임에 양면 테이프보다도 고정밀도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접착 부재로서 양면 테이프를 이용한 종래 기술의 경우, 고온 하의 환경에 생성된 구조를 방치한 후, 양면 테이프와 프레임의 접착 계면에 어긋남이 발생한다. 그러나, 실시예 1에서는, 성형에 의해 프레임에 직접 엘라스토머 부재를 형성하므로, 엘라스토머 부재와 프레임의 접착 계면에서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 부재의 용기에의 성형 형상)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프레임(클리닝 용기(24) 또는 현상 용기(71) 등)에 일체 성형되는 엘라스토머 부재(10, 11, 12, 13)의 성형 형상 및 프레임에서의 엘라스토머 부재 형성부의 각종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의 (a) 및 (b) 부분은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성형 형상 1을 성형하는 개략도이며, 도 12의 (a)는 엘라스토머 부재(10)와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의 (a) 및 (b) 부분은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성형 형상 2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13의 (a)는 엘라스토머 부재(10)와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화살표로 표시된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의 (a) 및 (b) 부분은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성형 형상 4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14의 (a)는 엘라스토머 부재(10)와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14의 (b)는 도 14의 (a)의 화살표로 표시된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의 (a) 및 (b) 부분은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성형 형상 2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15의 (a)는 엘라스토머 부재(10)와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화살표로 표시된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의 (a) 및 (b) 부분은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성형 형상 5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16의 (a)는 엘라스토머 부재(10)와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16의 (b)는 도 16의 (a)의 화살표로 표시된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 단면도이다. 도 17의 (a) 및 (b) 부분은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성형 형상 6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17의 (a)는 엘라스토머 부재(10)와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17의 (b)는 도 17의 (a)의 화살표로 표시된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의 (a),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 형상 1에서는, 프레임의 엘라스토머 부재 형성부(71d1)인 오목부에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엘라스토머 부재(10)는, 길이 방향 단부를 제외하는 폭 방향 전역에 대하여, 0mm보다 큰 폭 o1, o2를 가져서 프레임에 접촉하지 않고 있다. 즉, 프레임의 시트 부재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규제부가, 엘라스토머 부재(10)의 폭 방향에 대하여 엘라스토머 부재(10)로부터 o1, o2만큼 간격을 가지고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성형 시에, 자유 길이(높이) h를 0.5mm 이상 확보하고, 프레임에 0.3mm의 깊이 k만큼 들어가서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를 성형하고 있다. 즉,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일부가 프레임의 오목부 내에 진입하도록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가 주입되어 성형된다. 이것은, 고온 하의 환경에 방치되어 프레임의 선 팽창에 의한 신장의 영향을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시트 용착부가 받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프레임에 엘라스토머 부재(10)가 고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용착 전의 시트 부재 부착면(접촉 위치)(24)의 높이는, 프레임의 시트 부재 규제부의 시트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면(접촉 위치)의 높이보다 엘라스토머 부재 용융 마진 i만큼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성형 형상은 다음의 특징 (1) 내지 (3)을 갖는 것이면 된다.
(1)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이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로 프레임의 선 팽창에 의한 신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엘라스토머 부재(10)가 수용체 시트(15) 등의 시트 부재(박판 부재)에 프레임의 선 팽창에 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완충층으로서 작용한다.
(3) 엘라스토머 부재(10)가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3가지 특징 (1) 내지 (3)을 만족하면, 도 13의 (a),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부재(10)가 길이 및 폭 방향 전역에서 0mm보다 큰 폭 p1, p2와, 0mm보다 큰 폭 o1, o2를 가져서 프레임에 접촉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성형 형상 2). 또한, 엘라스토머 부재(10)가 점착성을 가지고 있으면, 도 14의 (a),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에 오목부를 준비하지 않고, 프레임의 평면 상에 볼록형으로 엘라스토머 부재(10)를 형성하는 구성이라도 된다(성형 형상 3). 또한, 충분히 유연성이 있는 엘라스토머 부재(10)를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15의 (a),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으로부터의 자유 길이(높이)를 성형 형상 1보다도 짧게 한 구성이라도 된다(성형 형상 4). 또한, 도 16의 (a),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으로부터의 자유 길이를 성형 형상 1보다도 짧게 하면서, 엘라스토머 부재 형성부(71d1)의 깊이를 성형 형상 1보다 깊게 한 구성이라도 된다(성형 형상 5). 또한, 도 17의 (a),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에 준비한 볼록부를 피복하도록 엘라스토머 부재(10)를 성형에 의해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이라도 된다(성형 형상 6).
이상 설명한 엘라스토머 부재(10)의 클리닝 용기(24)에의 성형 형상의 각종 구성예는, 엘라스토머 부재(11, 13)의 현상 용기(71)에의 성형 형상 및 엘라스토머 부재(12)의 클리닝 용기(24)에의 성형 형상으로도 적용가능하다.
접착 부재로서 양면 테이프를 이용한 종래 기술의 경우, 양면 테이프가 프레임과 시트 부재 간의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에서의 선 팽창의 차이를 흡수하는 완충 재료로서 활동하여,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 후의 시트 부재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도, 엘라스토머 부재(10)를 프레임에 성형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엘라스토머 부재(10)가 프레임과 시트 부재 간의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에서의 선 팽창의 차이를 흡수하는 완충 재료로서 작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 후의 시트 부재의 굴곡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트의 용착)
도 18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시트를 용착하는 공정에 대해서 반도체 레이저가 사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18의 (a) 및 (b) 부분은 수용체 시트(15)를 부착한 클리닝 용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18의 (a)는 수용체 시트(15)에 굴곡이 발생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의 (b)는 수용체 시트(15)에 굴곡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의 (a) 및 (b) 부분은 수용체 시트의 상단에 장력을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19의 (a)는 클리닝 용기(24)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을 장력(인장) 지그(48)에 의해 만곡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의 (b)는 클리닝 용기(24)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의 만곡을 제거함으로써 수용체 시트(15)의 상단에 장력이 부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0은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0)를 용융시켜 수용체 시트(15)를 용착시킨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D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3은 수용체 시트(15)를 엘라스토머 부재(10)에 용착시킨 클리닝 용기(24)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4의 (a) 및 (b) 부분은 실시예 1의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4의 (a)는 성형 형상의 개략 전면도이고, 도 24의 (b)는 성형 형상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38μm, 광 투과율 85% (960nm의 근적외선)의 폴리에스테르의 수용체 시트(15)를 사용했다. 우선,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용기(24)를 준비한다. 이때, 수용체 시트(15) 자체의 주름, 환경 변동 등에 의해 수용체 시트(15)의 선단(상 담지체(21)와의 접촉부)에 도 18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굴곡 x가 생길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체 시트(15)를 부착할 때에는,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 지그(48)에 의해 클리닝 용기(24)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을 만곡시킬 때 힘을 수용하는)힘 수용부를 아래쪽으로 잡아 당긴다. 이 때의 탄성 변형에 의해 시트 부재 부착면(24d)을 만곡시켜, 이 상태로 수용체 시트(15)를 부착한 후에, 이 만곡을 제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리닝 용기(24)를 만곡시킴으로써, 수용체 시트(15)의 선단에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장력량 n을 제공하여 굴곡을 막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 장력량 n을 0.5mm 내지 0.8mm의 범위에서 제공하고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의 하방을, 장력 지그(48)를 이용해서 만곡시킨 상태로, 수용체 시트(15)를 시트 부재 부착면(24d)에 접하도록 시트 부재 부착면(24d)과 겹치게 한다. 또한, 수용체 시트(15) 위로부터 근적외선에 대하여 투과성을 가지는 가압 지그(45)를 이용하여, 시트 위치 규제면(49)에 수용체 시트(15)가 압접된다. 그 결과, 수용체 시트(15)의 접착 시에 수용체 시트(15)의 클리닝 용기(24)에 대한 위치가 벗어나지(어긋나지) 않도록 수용체 시트(15)를 가위치 결정한다.
그 후에, 레이저 조사 헤드(60)로부터 수용체 시트(15)를 경유하여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을 향해서 근적외선의 레이저 광 e를 조사한다. 엘라스토머 부재(10)는 근적외선을 흡수하도록 카본블랙을 함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사된 레이저 광 e는 근적외선에 투과성을 가지는 가압 지그(45) 및 수용체 시트(15)를 투과하고,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에 의해 흡수된다. 시트 부재 부착면(24d)에 의해 흡수된 레이저 광은 열로 변환되어, 시트 부재 부착면(24d)이 발열해서, 그 열에 의해 엘라스토머 부재(10)가 용융되어, 시트 부재 부착면(24d)에 접촉하고 있는 수용체 시트(15)와 용착(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조사 헤드(6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 e는 시트 부재 부착면(24d)에 도달할 때에는 지름 1.5mm의 원형 스폿이 되도록 집광시켰다. 즉, 레이저 광의 스폿 지름은 1.5mm이다. 또한,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 폭을 1.5mm보다 작게 함으로써,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을 균일하게 용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용융 폭 e1은 약 1.0mm이다. 또한, 레이저 광을 수용체 시트(15)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 쪽의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조사한다. 그 결과, 도 2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용착면 g1을 얻은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압 지그(45)로서는, 수용체 시트(15)와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의 접촉면 전역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강성을 가지는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수지, 글래스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 부재 부착면(24d)을 가지는 엘라스토머 부재(10)를 성형에 의해 형성한 클리닝 용기(24)는 수지 재료로부터 이루어지고 있어, 수용체 시트(15)를 부착하는 때에는 시트 부재 부착면(24d)이 만곡해서 약간의 요철이나 변형이 생길 경우가 있다. 또한, 클리닝 용기(24)에 대한 수용체 시트(15)의 위치가 어긋날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지그(45)를 탄성체의 가압 부재(47)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가압 부재(47)에 의해, 수용체 시트(15)를 클리닝 용기(24)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해서 가위치 결정함으로써, 수용체 시트(15)와 시트 부재 부착면(24d)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체 시트(15)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압 지그(45)로서, 강성을 가지는 부재로서 아크릴 부재(46)와, 탄성체로서 두께 5mm의 실리콘 고무 부재(가압 부재)(47)를 투과성이 있는 양면 테이프로 붙인 것을 포함하는 부재를 이용했다. 또한, 수용체 시트(15)가 엘라스토머 부재(10)에 용착되고, 그런 다음 가압 지그(45)가 제거된 후에, 엘라스토머 부재(10)의 변형이 제거되어, 수용체 시트(15)가 표면(49)으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근적외선 조사 장치로서, 장치(파인 디바이스사 제조의 “FD200” (파장: 960nm))가 사용되었다. 근적외선 조사 장치의 길이 방향 주사 속도는 50mm/sec이었고, 출력은 20W이었으며, 엘라스토머 부재면에서의 스폿 지름은 1.5mm이었다. 또한, 엘라스토머 부재(10)의 표면에서의 에너지 밀도는 0.22J/mm2이었다. 또한, 엘라스토머 부재(10)로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카본블랙 0.5 내지 12.0중량부를 함유시켜서 제조된 부재가 사용되었다.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0)와 수용체 시트(15)의 상기 접착 방법은, 현상 용기(71)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1)와 분출 방지 시트(16)의 용착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2)와 대전 롤러 클리너(17)의 접착에 상기 접착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현상 용기(71)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3)와 비산 방지 시트(18)의 용착에 상기 접착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 투과율 85% 이하의 수용체 시트(15)도 용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용착(접합) 방법 이외의 방법으로서, 엘라스토머 부재(10)와 수용체 시트(15)를 열 시일 등에 의해 용착해도 된다. 또한, 열 시일 등에 의해, 수용체 시트(15)와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접합 계면에만 열을 가할 수는 없으나, 수용체 시트(15)의 상면으로부터 열을 전한다(가한다). 따라서, 열의 전달 시간 및 수용체 시트(15)의 용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접착 부재로서 양면 테이프를 이용한 종래 방법의 경우,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 후, 수용체 시트(15) 등의 각 시트 부재와 양면 테이프의 접합 계면에 어긋남이 발생하여, 시트 부재의 초기 장력이 감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부재와 엘라스토머 부재(10 내지 13) 각각을 열 용착에 의해 접합한다. 그리고, 엘라스토머 부재의 탄성율을 클리닝 용기(24)나 현상 용기(71) 등의 프레임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 후의 엘라스토머 부재의 영구 변형량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 후에, 시트 부재와 엘라스토머 부재의 접합 계면과, 프레임과 엘라스토머 부재의 접합 계면에 어긋남이 생기지 않으므로, 시트 부재의 초기 장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에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엘라스토머 부재는 구체적으로 도 2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형상이며, 각각의 치수는, h=0.6 내지 0.8mm, i=0.1 내지 0.3mm, j=1.0mm, k=0.3mm, r=1.6mm이다. 여기서, h는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 시의 자유 길이, i는 엘라스토머 부재 용융 마진, j는 엘라스토머 부재 성형 폭(윗변), k는 엘라스토머 부재가 용기에 진입하는 진입량, r는 엘라스토머 부재 성형 폭(밑변)이다. 이러한 치수 구성에서, 단면 계수는 약 0.25이다. 또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재료는 HIPS(하이 임피던스 폴리스티렌)이며, 그 선 팽창 계수는 0.000087 (1/℃)이며, 그 재료의 탄성율은 2.38GPa이다. 시트 부재용 재료는 폴리에스테르이며, 두께 38μm이며, 선 팽창 계수는 0.000015 (1/℃)이며, 탄성율은 4.5GPa이다. 즉, 프레임의 온도 변화 정도는 시트 부재의 약 5.8배이다. 따라서, 방치되는 환경이 상온(예를 들면, 23℃)에서 50℃로 변하면, 프레임과 시트 부재의 신장의 차분에 대응하는 부하가 프레임과 시트 부재 사이에 개재하는 엘라스토머 부재에 가해진다. 이러한 부하는, 50℃ 환경 하에서의 프레임과 시트 부재의 변위차이다. 50℃ 환경 하에서의 변위를 계산했을 경우, (시트 부재의 전장과 동일한 전장 220mm를 가지는)프레임의 신장량은 0.52mm, 시트 부재의 신장량은 0.09mm이므로, 신장 차분 Δ는 0.43mm가 된다.
이렇게, 엘라스토머 부재의 탄성율을 시트 부재의 탄성율보다 작은 2.5MPa 이상 10MPa 이하의 범위로 함으로써, 50℃ 환경 하에서의 부하에 의한, 주위 온도가 상온으로 되돌아왔을 때의 엘라스토머 부재의 영구 변형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과 엘라스토머 부재의 접합 계면과, 시트 부재와 엘라스토머 부재의 접합 계면 각각이 성형 및 용착에 의해 형성되므로 어긋남이 생기지 않아서, 시트 부재의 초기 장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시트 부재의 굴곡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르면, 엘라스토머 부재를 성형에 의해 프레임에 직접 형성하기 때문에 양면 테이프의 경우보다 고정밀도의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양면 테이프를 이용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 후의 프레임과 양면 테이프의 접합 계면의 어긋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와 엘라스토머 부재를 용착에 의해 서로 접합함으로써, 접착 부재로서 양면 테이프를 이용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 후의 시트 부재와 양면 테이프의 접합 계면의 어긋남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엘라스토머 부재의 탄성율을 프레임이나 시트 부재의 탄성율보다 작게 함으로써,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 후의 엘라스토머 부재의 영구 변형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과 엘라스토머 부재의 접합 계면과, 시트 부재와 엘라스토머 부재의 접합 계면에 어긋남이 없기 때문에, 시트 부재의 초기 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 시트 부재의 굴곡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및 2에 공통되는 부재나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에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엘라스토머 부재는 구체적으로 도 2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형상이며, 각각의 치수는, h=0.6 내지 0.8mm, i=0.1 내지 0.3mm, j=1.0mm, k=0.3mm, r=1.6mm, (p1, p2)=0.75 내지 1.05mm이다. 여기서, h는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 시의 자유 길이, i는 엘라스토머 부재 용융 마진, j는 엘라스토머 부재 성형 폭(윗변), k는 엘라스토머 부재가 용기에 진입하는 진입량, r는 엘라스토머 부재 성형 폭(밑변)이다.
이상 설명한 클리닝 용기(24)에의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성형 형상의 각종 구성예는, 현상 용기(71)에의 엘라스토머 부재(11, 13)의 성형 형상 및 클리닝 용기(24)에의 엘라스토머 부재(12)의 성형 형상에도 적용가능하다.
(시트의 용착)
도 29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시트 부재 용착 공정에 대해서 레이저 용착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29의 (a) 및 (b) 부분은 수용체 시트(15)를 부착한 클리닝 용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29의 (a)는 수용체 시트(15)에 굴곡이 발생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29의 (b)는 수용체 시트(15)의 폭 방향 선단(15a)에 굴곡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0의 (a) 및 (b) 부분은 수용체 시트의 상단에 장력을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30의 (a)는 수용체 시트(15)를 클리닝 용기(24)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상에 장력 하에 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장력은, 상단(15a) 측에 2개의 길이 방향 단부(15c, 15d)에 수용체 시트(15)를 유지하고, 수용체 시트(15)를 화살표 L1 및 L2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발생한다. 또한, 도 30의 (b)는 수용체 시트(15)의 상단(15a)에 장력이 부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1은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0)를 용융시켜 수용체 시트(15)의 다른(하부) 선단(15b)을 용착시킨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D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4는 수용체 시트(15)를 엘라스토머 부재(10)에 용착시킨 클리닝 용기(24)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38μm, 광 투과율 85% (960nm의 근적외선)의 폴리에스테르의 수용체 시트(15)를 사용했다. 우선, 도 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용기(24)에 수용체 시트(15)가 부착된 때에, 수용체 시트(15) 자체의 주름, 환경 변동 등에 의해 수용체 시트(15)의 선단(상 담지체(21)와의 접촉부)(15a)에 도 29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굴곡 x가 생길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체 시트(15)를 부착할 때에는, 도 3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장력 지그에 의해 수용체 시트(15)의 선단(15a) 측의 2개의 길이 방향 단부(15c, 15d)가 화살표 L1 및 L2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리닝 용기(24)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에 수용체 시트(15)를 부착함으로써, 도 3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 시트(15)의 선단(15a)에 초기 장력량 n이 제공되어, 굴곡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약 0.3mm의 초기 장력량 n이 제공된다.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장력 지그를 이용하여 수용체 시트(15)의 선단(15a)에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수용체 시트(15)가 시트 부재 부착면(24d)과 하단 측에서 겹치도록 하여, 시트 부재 부착면(24d)에 접촉하게 한다. 또한, 수용체 시트(15) 위로부터 근적외선에 대하여 투과성을 가지는 가압 지그(45)를 이용하여, 시트 위치를 규제하는 시트 위치 규제면(규제부)(49)에 수용체 시트(15)가 압접된다. 그 결과, 수용체 시트(15)의 접착 시에 수용체 시트(15)의 클리닝 용기(24)에 대한 위치가 벗어나지(어긋나지) 않도록 수용체 시트(15)를 가위치 결정한다.
그 후에, 레이저 조사 헤드(60)로부터 수용체 시트(15)를 경유하여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을 향해서 근적외선의 레이저 광 e를 조사한다. 엘라스토머 부재(10)는 근적외선을 흡수하도록 카본블랙을 함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사된 레이저 광 e는 근적외선에 투과성을 가지는 가압 지그(45) 및 수용체 시트(15)를 투과하고,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에 의해 흡수된다. 시트 부재 부착면(24d)에 의해 흡수된 레이저 광은 열로 변환되어, 시트 부재 부착면(24d)이 발열해서, 그 열에 의해 엘라스토머 부재(10)가 용융되어, 시트 부재 부착면(24d)에 접촉하고 있는 수용체 시트(15)의 선단부(15b)와 용착(접착)될 수 있다. (열)용착 후에, 가압 지그(45)가 분리되어, 엘라스토머 부재(10)가 압축 상태로부터 해제되고, 그 후에 가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높이가 증가한다. 그 결과, 엘라스토머 부재(10)와 수용체 시트(15)의 접촉 위치가 시트 규제면(49)의 높이보다 높아진다.
여기서, 조사 헤드(6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 e는 시트 부재 부착면(24d)에 도달할 때에는 지름 1.5mm의 원형 스폿이 되도록 집광시켰다. 즉, 레이저 광의 스폿 지름은 1.5mm이다. 또한,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 폭을 1.5mm보다 작게 함으로써,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을 균일하게 용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용융 폭 e1은 약 1.0mm이다. 또한, 레이저 광을 수용체 시트(15)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 쪽의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조사한다. 그 결과, 도 3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용착면 g1을 얻은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압 지그(45)로서는, 수용체 시트(15)와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시트 부재 부착면(24d)의 접촉면 전역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강성을 가지는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수지, 글래스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 부재 부착면(24d)을 가지는 엘라스토머 부재(10)를 성형에 의해 형성한 클리닝 용기(24)는 수지 재료로부터 이루어지고 있어, 수용체 시트(15)를 부착하는 때에는 시트 부재 부착면(24d)이 만곡해서 약간의 요철이나 변형이 생길 경우가 있다. 또한, 클리닝 용기(24)에 대한 수용체 시트(15)의 위치가 어긋날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지그(45)를 탄성체의 가압 부재(47)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가압 부재(47)에 의해, 수용체 시트(15)를 클리닝 용기(24)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해서 가위치 결정함으로써, 수용체 시트(15)와 시트 부재 부착면(24d)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체 시트(15)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압 지그(45)로서, 강성을 가지는 부재로서 아크릴 부재(46)와, 탄성체로서 두께 5mm의 실리콘 고무 부재(가압 부재)(47)를 투과성이 있는 양면 테이프로 붙인 것을 포함하는 부재를 이용했다.
또한, 엘라스토머 부재(10)로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카본블랙 0.5 내지 12.0중량부를 함유시켜서 제조된 부재가 사용되었다.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0)와 수용체 시트(15)의 상기 접착 방법은, 현상 용기(71)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1)와 분출 방지 시트(16)의 용착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2)와 대전 롤러 클리너(17)의 접착에 상기 접착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현상 용기(71)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3)와 비산 방지 시트(18)의 용착에 상기 접착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 투과율 85% 이하의 수용체 시트(15)도 용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용착(접합) 방법 이외의 방법으로서, 엘라스토머 부재(10)와 수용체 시트(15)를 열 시일 등에 의해 용착해도 된다. 또한, 열 시일 등에 의해, 수용체 시트(15)와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접합 계면에만 열을 가할 수는 없으나, 수용체 시트(15)의 상면으로부터 열을 전한다(가한다). 따라서, 열의 전달 시간 및 수용체 시트(15)의 용융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시트 부재 용착 후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5는 수용체 시트(15)가 클리닝 용기(24)에 부착된 경우에 용착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6은 수용체 시트(15)가 시트 규제면(49)의 규제부(49a)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우선,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스토머 부재(10)에 용착 버 z가 발생되어, 수용체 시트(15)에 부분적으로 만곡(아치 형상)이 제공되어, 엘라스토머 부재(10)에 용착된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에서는, 수용체 시트(15)의 선단(15a) 측이 도 36에 나타내는 화살표 a 방향으로 강하하여, 수용체 시트 선단(15a)의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체 시트(15)를 길이 방향에 대하여 시트 규제면(49)에 접촉시켜서, 수용체 시트(15)의 폭 방향에 대한 화살표 a 방향으로의 강하를 방지하여, 수용체 시트(15)의 선단(15a)의 위치를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용체 시트(15)를 시트 규제면(49)에 접촉시키기 위해서, 엘라스토머 부재(10)와 클리닝 용기(24)의 틈 p1을 동일한 정도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틈 p1이 좁고, 용착면 높이 y가 클 경우, 수용체 시트(15)가 시트 규제면(49)에 접촉하지 않고, 화살표 a 방향으로 강하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착면 높이 y가 0.05 내지 0.15mm이기 때문에, 수용체 시트(15)를 시트 규제면(49)의 규제부(49a)에 접촉시키기 위해서 틈 p1을 0.75 내지 1.05mm로 하였다. 이때, 수용체 시트(15)와 시트 규제면(49)이 이루는 각도 b는 1 내지 2°였다.
또한, 상기 시트 규제 구조는, 수용체 시트(15)의 선단(15a)의 위치가, 선단(15a)이 상 담지체(21)에 접촉하는 위치에 규제되도록, 시트 규제면(49)이 수용체 시트(15)에 접촉가능한 구성이면,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용체 시트(15)가 시트 위치 규제면(49)에 길이 방향 전역에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시트 위치 규제부(49)에 부분적으로 접촉하여도 된다.
이상,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0)에 수용체 시트(15)가 용착되었을 때의 형상을 서술했다. 그러나, 실시예 2의 형상은, 현상 용기(71)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1)에 분출 방지 시트(16)가 용착되었을 때의 형상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형상은, 클리닝 용기(24)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2)에 대전 롤러 클리너(17)가 용착 되었을 때의 형상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형상은 현상 용기(71)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엘라스토머 부재(13)에 비산 방지 시트(18)가 용착되었을 때의 형상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르면, 엘라스토머 부재를 성형에 의해 직접 프레임에 형성함으로써, 엘라스토머 부재의 고정밀도의 조립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시트 규제 구조에 따르면, 엘라스토머 부재와 시트 부재(박판 부재)의 용착 상태(용착 후의 용착부의 형상)에 관계없이, 시트 부재의 폭 방향의 경사를 방지하여, 시트 부재의 선단 위치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및 3에 공통되는 부재 또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에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엘라스토머 부재는 구체적으로 도 2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형상이며, 각각의 치수는, h=0.6 내지 0.8mm, i=0.1 내지 0.3mm, j=1.0mm, k=0.3mm, r=1.6mm이다. 여기서, h는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 시의 높이, i는 시트 부재 접착 시에 레이저 성형에 의한 엘라스토머 수지 재료의 용융을 허용하는 엘라스토머 부재 용융 마진, j는 엘라스토머 부재 성형 폭(윗변), k는 엘라스토머 부재가 용기에 진입하는 진입량, r는 엘라스토머 부재 성형 폭(밑변)이다. 이러한 치수 구성에서, 단면 계수는 약 0.25이다.
도 3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부재(10)가 클리닝 용기(24)와 수용체 시트(15)의 사이에서 압축(가압)되는 영역에서의 길이 방향에 직교(교차)하는 (엘라스토머 부재(10)가 클리닝 용기(24)에 진입하는 부위를 제외한) 단면 형상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 결과, 엘라스토머 부재의 압축 시의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7의 (a), (b), (a-1), (b-1)은 본 실시예에서의 엘라스토머 부재의 성형 형상 효과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a)는 상기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인 경우의 압축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상기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인 경우의 압축 시의 상태를 나타내며, (a-1)은 상기 단면 형상이 구형인 경우의 압축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1)은 상기 단면 형상이 구형인 경우의 압축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즉, (a-1), (b-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상기 단면 형상을 구형으로 했을 경우에는, 버클링이 발생하여, 엘라스토머 부재(10)를 압축했을 때에 압축 방향(q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q2 방향)에 대하여 엘라스토머 부재(10)가 격렬하게 작용하게 하는 변형이 생겨서 엘라스토머 부재(10)의 자세가 안정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용체 시트(15)의 용착이 불충분하게 되어, 용착면에 어긋남이 발생하여 용착 후의 수용체 시트(15)의 기울기 등이 발생한다. 한편, 도 3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면 형상을 압축 방향에 대하여 서서히 폭이 커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함으로써, 압축 시의 형상 안정성을 향상시켜 버클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 부재의 상기 단면 형상은, 압축 시의 형상 안정성이 높은 형상이면 사다리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엘라스토머 부재가 박판 부재와 프레임의 사이에서 압축됨으로써 변형이 생기는 영역의 엘라스토머 부재의 단면 형상은, 압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박판 부재 측에서 프레임 측을 향해서 커지기만 하면 된다. 도 38의 (a) 내지 (d)는 엘라스토머 부재의 상기 단면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프레임을 형성하는 재료는 HIPS(하이 임피던스 폴리스티렌)이며, 그 선 팽창 계수는 0.000087 (1/℃)이며, 그 재료의 탄성율은 2.38GPa이다. 시트 부재용 재료는 폴리에스테르이며, 두께 38μm이며, 선 팽창 계수는 0.000015 (1/℃)이며, 탄성율은 4.5GPa이다. 즉, 프레임의 온도 변화 정도는 시트 부재의 약 5.8배이다. 따라서, 방치되는 환경이 상온(예를 들면, 23℃)에서 50℃로 변하면, 프레임과 시트 부재의 신장의 차분에 대응하는 부하가 프레임과 시트 부재 사이에 개재하는 엘라스토머 부재에 가해진다. 이러한 부하는, 50℃ 환경 하에서의 프레임과 시트 부재의 변위차이다. 50℃ 환경 하에서의 변위를 계산했을 경우, (시트 부재의 전장과 동일한 전장 220mm를 가지는)프레임의 신장량은 0.52mm, 시트 부재의 신장량은 0.09mm이므로, 신장 차분 Δ는 0.43mm가 된다.
이렇게, 엘라스토머 부재의 탄성율을 시트 부재의 탄성율보다 작은 2.5MPa 이상 10MPa 이하의 범위로 함으로써, 50℃ 환경 하에서의 부하에 의한, 주위 온도가 상온으로 되돌아왔을 때의 엘라스토머 부재의 영구 변형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과 엘라스토머 부재의 접합 계면과, 시트 부재와 엘라스토머 부재의 접합 계면 각각이 성형 및 용착에 의해 형성되므로 어긋남이 생기지 않아서, 시트 부재의 초기 장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시트 부재의 굴곡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르면, 엘라스토머 부재를 성형에 의해 프레임에 직접 형성하기 때문에 양면 테이프의 경우보다 고정밀도의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양면 테이프를 이용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 후의 프레임과 양면 테이프의 접합 계면의 어긋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와 엘라스토머 부재를 용착에 의해 서로 접합함으로써, 접착 부재로서 양면 테이프를 이용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 후의 시트 부재와 양면 테이프의 접합 계면의 어긋남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엘라스토머 부재의 탄성율을 프레임이나 시트 부재의 탄성율보다 작게 함으로써, 고온 하의 환경에의 방치 후의 엘라스토머 부재의 영구 변형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과 엘라스토머 부재의 접합 계면과, 시트 부재와 엘라스토머 부재의 접합 계면에 어긋남이 없기 때문에, 시트 부재의 초기 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 시트 부재의 굴곡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개시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본 발명의 목적 또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변경 또는 변화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밀도로 프레임 상에 시트 부재를 부착할 수 있는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6)

  1.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이며,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회전 가능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회전 가능 부재 사이의 틈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수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부재는,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프레임에 형성되고, 용접에 의해 상기 시트 부재에 고정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수지 재료와는 상이하며 상기 프레임의 수지 본체보다 작은 탄성율을 가지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는 상기 시트 부재의 탄성율보다 작은 탄성율을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가열에 의해 상기 수지 부재에 용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는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카본블랙을 함유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근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근적외선의 흡수를 통해 상기 수지 부재의 발열에 의해 상기 수지 부재에 용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지 부재가 압축되어 상기 수지 부재에 상기 시트 부재를 용착하는 경우에,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가 접촉하는 접촉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상기 시트 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수지 부재에 용착된 후에 상기 시트 부재로터 이격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는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는 오목부에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는, 상기 수지 부재가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수지 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위치 이외의 위치에서는 상기 프레임과 접촉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폭 방향의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수지 부재에 용착되고, 폭 방향의 다른 단부에서 상기 회전 가능 부재와 접촉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폭 방향의 하나의 단부와 상기 폭 방향의 다른 단부의 사이의 위치에 접촉하여,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폭 방향의 다른 단부에서 상기 회전 가능 부재와 접촉하도록 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수지 부재의 상기 폭 방향의 하나의 단부의 아치형 단부에 용착된 상기 시트 부재에 접촉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수지 부재에 상기 수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용착되고, 상기 수지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수지 부재가 상기 시트 부재에 접촉하는 측으로부터, 상기 수지 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 부재는 상 담지체이고,
    상기 현상제 수용부는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 부재는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담지체이고,
    상기 현상제 수용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용 유닛.
  16.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회전 가능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회전 가능 부재 사이의 틈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시트 부재를 고정시키는 수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부재는,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용착에 의해 상기 시트 부재에 고정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47014544A 2011-11-09 2012-11-08 현상제 카트리지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634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5731 2011-11-09
JP2011245731A JP5738153B2 (ja) 2011-11-09 2011-11-09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275772A JP5858766B2 (ja) 2011-12-16 2011-12-16 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1-275773 2011-12-16
JP2011275773A JP5858767B2 (ja) 2011-12-16 2011-12-16 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1-275772 2011-12-16
PCT/JP2012/079575 WO2013069805A2 (en) 2011-11-09 2012-11-08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249A KR20140099249A (ko) 2014-08-11
KR101634467B1 true KR101634467B1 (ko) 2016-06-28

Family

ID=4729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544A KR101634467B1 (ko) 2011-11-09 2012-11-08 현상제 카트리지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918011B2 (ko)
EP (1) EP2776893B1 (ko)
KR (1) KR101634467B1 (ko)
CN (1) CN103917921B (ko)
RU (1) RU2579638C2 (ko)
WO (1) WO20130698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6892B1 (en) 2011-11-09 2019-06-05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comprising an electrode
JP5456142B2 (ja) 2011-11-09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3122489A (ja) 2011-11-09 2013-06-20 Canon Inc カートリッジ及びユニット
US8918011B2 (en) * 2011-11-09 2014-12-23 Canon Kabushiki Kaisha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000543B2 (ja) 2011-12-19 2016-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218493B2 (ja) * 2012-09-06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ニット、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
US9146526B2 (en) * 2012-09-13 2015-09-29 Canon Kabushiki Kaisha Unit, clean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057651B2 (ja) 2012-10-01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274892B2 (ja) 2014-02-04 2018-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138181B2 (ja) 2014-04-15 2017-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樹脂成形品及び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可動部材の製造方法及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WO2016103429A1 (ja) * 2014-12-25 2016-06-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6676391B2 (ja) 2016-01-29 2020-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生方法及びカートリッ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3584A (ja) * 1999-03-19 2000-09-26 Canon Inc ポリアミド系成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1848A (ja) 1990-02-07 1991-10-15 Mitsubishi Kasei Vinyl Co 農業用塩化ビニル系樹脂フイルム
JP3231848B2 (ja) 1991-07-25 2001-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貼付方法
EP0543485B1 (en) 1991-11-20 1997-12-03 Canon Kabushiki Kaisha Squeegee sheet adher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597024Y2 (ja) * 1992-11-06 1999-06-28 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8314269A (ja) * 1995-05-16 1996-11-2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容器のシール部材の成形方法
JP3342362B2 (ja) 1996-09-20 2002-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63727B2 (ja) 1996-12-12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廃トナー容器の組立方法
JP3745111B2 (ja) 1997-03-18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結合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JP2000019841A (ja) 1998-07-02 2000-01-21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437460B2 (ja) 1998-08-31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
JP2000098729A (ja) 1998-09-22 2000-04-07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98809A (ja) 1998-09-24 2000-04-07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98855A (ja) 1998-09-24 2000-04-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131945A (ja) 1998-10-26 2000-05-12 Canon Inc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748506B2 (ja) 1999-05-20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US6549736B2 (en) 2000-01-19 2003-04-1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ngaging member therefor and method for mounting developing roller and magnet
EP1162515B1 (en) 2000-06-09 2011-04-2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flexible seal
JP4136299B2 (ja) 2000-09-12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部品結合体
JP3542569B2 (ja) 2001-04-27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564080B2 (ja) 2001-04-27 2004-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840063B2 (ja) 2001-04-27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48558B2 (ja) 2001-12-13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771920B2 (en) 2002-02-21 2004-08-03 Canon Kasei Kabushiki Kaisha Charging roller including a conductive cover layer being formed of a seamless tub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uch a charging roller
US7099607B2 (en) 2003-06-18 2006-08-29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toner container
US6907210B2 (en) * 2003-09-13 2005-06-14 Wazana Brothers International, Inc. Remanufactured toner cartridge having modified roller section
JP4416524B2 (ja) 2004-01-30 2010-02-17 株式会社沖データ 嵌合構造、嵌合構造を用いた現像剤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7366439B2 (en) 2004-06-14 2008-04-29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remanufacturing cartridge and remanufactured cartridge
US7609993B2 (en) * 2005-09-30 2009-10-27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prevents developer from spilling
US7519311B2 (en) 2006-04-19 2009-04-1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ssemblying method for developing apparatus
US7343218B2 (en) * 2006-05-09 2008-03-11 Branson Ultrasonics Corporation Automatic part feedback compensation for laser plastics welding
JP5075578B2 (ja) * 2007-10-30 2012-11-21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ル部材、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176508B2 (ja) * 2007-12-04 2013-04-03 株式会社リコー 締結構造、ブレード構造体、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68957B2 (ja) 2008-03-31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4846062B1 (ja) 2010-08-20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918011B2 (en) * 2011-11-09 2014-12-23 Canon Kabushiki Kaisha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122489A (ja) 2011-11-09 2013-06-20 Canon Inc カートリッジ及びユニット
JP5456142B2 (ja) 2011-11-09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2776892B1 (en) 2011-11-09 2019-06-05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comprising an electrode
JP6000543B2 (ja) 2011-12-19 2016-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3584A (ja) * 1999-03-19 2000-09-26 Canon Inc ポリアミド系成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69805A2 (en) 2013-05-16
CN103917921A (zh) 2014-07-09
RU2014123018A (ru) 2015-12-20
WO2013069805A3 (en) 2013-08-01
EP2776893A2 (en) 2014-09-17
US8918011B2 (en) 2014-12-23
US20150071679A1 (en) 2015-03-12
KR20140099249A (ko) 2014-08-11
EP2776893B1 (en) 2020-01-08
US9367023B2 (en) 2016-06-14
RU2579638C2 (ru) 2016-04-10
US20130129375A1 (en) 2013-05-23
CN103917921B (zh)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467B1 (ko) 현상제 카트리지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US9377716B2 (en)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980064B2 (ja) 現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2014071428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20160185036A1 (en) Cartridge,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016579B2 (ja) ユニット
JP5858767B2 (ja) 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573815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425465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5858766B2 (ja) 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6676391B2 (ja) 再生方法及びカートリッジ
JP2007171818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US10732565B2 (en) Cartrid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rtridge
JP6406916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376906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