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571B1 -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571B1
KR101629571B1 KR1020140172341A KR20140172341A KR101629571B1 KR 101629571 B1 KR101629571 B1 KR 101629571B1 KR 1020140172341 A KR1020140172341 A KR 1020140172341A KR 20140172341 A KR20140172341 A KR 20140172341A KR 101629571 B1 KR101629571 B1 KR 101629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bus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아성
이윤호
박순규
이상술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에 설치된 탑승 정보 제공 장치에서 실행되는 탑승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버스에 탑승한 탑승자의 단말기로부터 승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승차 알림 메시지를 이용하여 정류장 별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정류장 별 예상 탑승 인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을 고려한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여 탑승 대기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탑승 대기자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METHOD OF PROVIDING BOARDING INFORMATION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발달에 따라 버스, 전철, 철도 등의 대중교통수단에 대한 이용도는 날로 높아져 가고 있으므로, 이용객들이 효과적으로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설이나 장치들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시간과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 자가용 차량과 달리 상기와 같은 대중교통 차량은 정해진 노선상의 정류장을 경유하여 운행되고 있으므로 차량의 승차시간이나 하차시간과 같은 운행정보가 정확하게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대중교통수단의 효과적인 이용에 중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현재 버스, 전철, 철도 등의 차량 내부와 차량의 정류장에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시설이나 장치가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차량의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정류장에 설치되어 대중교통수단의 이용객에게 차량의 승차정보를 미리 알려주는 차량 승차정보 안내시스템과, 운행되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탑승객에게 차량의 하차정보를 미리 알려주는 차량 하차정보 안내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정류장에 설치되는 차량 승차정보 안내시스템은 버스의 경우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이용하고, 전철이나 철도 등의 궤도차량은 선로상에 설치된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위성항법장치나 센서 등에서 감지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정류장으로 송신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위치나 정류장 도착 예정시간을 알려주게 하고 있다
반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 하차정보 안내시스템의 경우에는 주로 차량의 운전자가 수동으로 직접 버튼조작을 수행하여 안내 방송하거나 안내 메시지가 안내판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차량 하차정보 안내시스템은 수동조작으로 하차정보 안내가 이루어짐에 따라 운전자의 실수에 의해 잘못된 하차정보가 제공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안내시스템을 많은 신경을 써야함에 따라 운전이 소홀해져 차량사고의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을 고려한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여 탑승 대기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탑승 대기자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버스에 설치된 탑승 정보 제공 장치에서 실행되는 탑승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버스에 탑승한 탑승자의 단말기로부터 승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승차 알림 메시지를 이용하여 정류장 별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정류장 별 예상 탑승 인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버스에 설치된 탑승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버스에 탑승한 탑승자의 단말기로부터 승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승차 알림 메시지 수신부, 상기 승차 알림 메시지를 이용하여 정류장 별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한 정류장 별 예상 탑승 인원을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을 고려한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여 탑승 대기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탑승 대기자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차 예정지 자동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 정보 제공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 정보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 정보 제공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정류장에서의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차 예정지 자동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차 예정지 자동 알림 시스템은 버스(100), 버스(100)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의 단말기(200), 버스(100)에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버스(100)는 복수의 하차 벨(110_a 내지 110_d), 승차 문(120), 하차 문(130), NFC 단말기(140),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 및 디스플레이 장치(160)를 포함한다.
버스(100)는 운전사에 의해 조작되어 기 결정된 운행 경로로 주행하며 기 결정된 운행 경로 상에 있는 각각의 정류소에서 소정 시간 정차하게 된다.
버스(100)에는 복수의 하차 벨(110_a 내지 110_d)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하차 벨(110_a 내지 110_d)은 버스(100) 내부의 여러 곳(예컨대, 좌석 주변, 안전 기둥 주변, 하차 문 주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하차 벨(110_a 내지 110_d)중에서 어느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이 동시에 승객에 의해 최초로 선택되어 해당 하차 벨(110_a 내지 110_d)이 눌려지면, 하차 벨 컨트롤러(미도시)는 램프 온 신호와 하차 대기 신호를 출력하여 복수의 하차 벨(110_a 내지 110_d)의 하차 램프를 모두 온 시킴과 동시에 하차 벨 신호를 출력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일정 시간 동안 비프(beep)가 출력되게 함으로써 버스(100)의 운전자에게 승객이 하차 대기 중임을 알린다.
이후, 버스(100)의 운전자는 다음 정류장(170)에 정차하여 승차 문(120) 및 하차 문(130) 중 적어도 하나의 문에 대한 스위치를 문 열림 위치로 작동시킨다. 승차 문(120) 및 하차 문(130) 중 적어도 하나의 문이 열림과 동시에 하차 벨 컨트롤러(미도시)는 램프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복수의 하차 벨(110_a 내지 110_d)의 하차 램프를 모두 오프시킨다.
탑승자는 버스(100)의 승차 문(120)을 통해 버스(100)에 승차하여 NFC 단말기(140)에 자신의 단말기(200)를 접근시켜 버스 요금을 정산한다.
그러면, NFC 단말기(140)는 탑승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승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승차 알림 메시지는 하차 예정 정류장을 포함하며, 탑승자에 의해 버스(100)에 탑승하기 전에 선택된 것이다.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승차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하차 예정 정류장을 이용하여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을 산출하여 제공한다. 이때,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버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60) 및 탑승자의 단말기(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 실시간 탑승 인원 및 실시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버스(100) 내의 현재 탑승 인원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 및 실시간 위치에 기초하여 다음 정류장(170)에서의 하차 예정 인원을 산출하고, 다음 정류장(170)에서의 하차 예정 인원 및 현재 탑승 인원에 따라 다음 정류장(170)에서의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다음 정류장(17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다음 정류장(170)에 위치하는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300) 및 버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6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탑승자의 단말기(200)는 버스(100)에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고,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300)는 특정 정류장에서 버스에 탑승하기 위해서 대기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탑승자의 단말기(200) 및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300)는 이동 단말기, 스마트폰, 노트북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다.
탑승 대기자는 버스에 탑승하기 전에 자신의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탑승 예정 버스 및 하차 예정 정류장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탑승 대기자는 버스(100)가 도착하면 버스(100)에 탑승하여 NFC 단말기(140)에 자신의 단말기(300)를 태그하며, 단말기(300)는 승차 알림 메시지를 NFC 단말기(140)에 제공하게 된다.
탑승자의 단말기(200) 및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300) 각각은 버스 정보 제공 서버(미도시)에 접속 또는 통신을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탑승자의 단말기(200) 및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300) 각각은 버스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탑승 예정 버스 선택, 하차 예정 정류장 선택 등을 처리하는 과정에 필요한 소정의 연산 중 적어도 일부는 빠른 처리를 위하여 탑승자의 단말기(200) 및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30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탑승자의 단말기(200) 및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300) 각각은 자체로 구비한 어플리케이션의 연산 결과를 버스 정보 제공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 정보 제공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승차 알림 메시지 수신부(151), 산출부(152) 및 정보 제공부(153)를 포함한다.
승차 알림 메시지 수신부(151)는 버스에 탑승한 탑승자의 단말기로부터 승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승차 알림 메시지는 하차 예정 정류장을 포함하며, 하차 예정 정류장은 탑승자에 의해 버스(100)에 탑승하기 전에 선택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승차 알림 메시지 수신부(151)는 버스에 탑승한 탑승자가 버스 요금을 결제하기 위해 단말기를 NFC 단말기에 태그하면 NFC 단말기를 통해 승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산출부(152)는 승차 알림 메시지를 이용하여 정류장 별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한다.
먼저, 산출부(152)는 승차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하차 예정 정류장을 이용하여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을 산출한다. 산출부(152)는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 실시간 탑승 인원 및 실시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탑승 인원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산출부(152)는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 및 실시간 위치에 기초하여 다음 정류장에서의 하차 예정 인원을 산출하고, 다음 정류장에서의 하차 예정 인원 및 현재 탑승 인원에 따라 다음 정류장에서의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53)는 산출부(152)에 의해 산출된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을 버스의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 및 탑승자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153)는 산출부(152)에 의해 다음 정류장에서의 예측 탑승 인원을 다음 정류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다음 정류장에 위치하는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 및 버스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 정보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버스에 탑승한 탑승자의 단말기로부터 승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S310).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승차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하차 예정 정류장을 이용하여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을 산출한다(단계 S320).
그리고 나서,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을 버스의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 및 탑승자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한다(단계 S33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 정보 제공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의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 및 실시간 위치에 기초하여 다음 정류장에서의 하차 예정 인원을 산출한다(단계 S410).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다음 정류장에서의 하차 예정 인원 및 현재 탑승 인원에 따라 다음 정류장에서의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한다(단계 S420). 그리고 나서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다음 정류장에서의 예측 탑승 인원을 제공한다(단계 S430).
도 5 및 도 6은 정류장에서의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경기 101 버스(500)에 대한 탑승 정보는 현재 탑승 인원 10명, 하차 예정 인원 0명, 예측 탑승 인원 10명이다.
정류장(B)에서 경기 101 버스(500)에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 대기자는 도 6의 참조 번호(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탑승 예정 버스인 경기 101 버스(500)를 선택하고, 참조 번호(b)와 같이 하차 예정지를 선택한다.
이 때, a 명의 탑승 대기자는 정류장(B)에서 정차한 경기 101 버스(500)에 탑승하며, a 명 각각의 단말기가 경기 101 버스(500)내의 NFC 단말기에 태깅될 때마다 NFC 단말기는 a 명의 승객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승차 알림 메시지를 경기 101 버스(500)에 장착된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에 전송한다. a 명의 승객의 탑승이 완료되면 경기 101 버스(500)는 정류장(C)를 향해서 이동한다.
이 때,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경기 101 버스(500)내에 10명의 승객이 탑승해 있는 상태에서 정류장(B)에서 a명의 승객이 탑승하고 하차한 승객이 0명이기 때문에 현재 탑승 인원을 10+a명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승객 a명 각각의 단말기에서 수신된 승차 알림 메시지를 이용하여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을 산출하여 도 6의 참조 번호(c)와 같이 경기 101 버스(500)의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고,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 및 실시간 위치에 기초하여 다음 정류장에서의 하차 예정 인원을 x명으로 산출한다.
그런 다음, 탑승 정보 제공 장치(150)는 현재 탑승 인원 10+a명에서 다음 정류장에서의 하차 예정 인원 x명을 차감한 인원인 10+a-x명을 다음 정류장에서의 예측 탑승 인원으로 산출하여 다음 정류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다음 정류장에 위치하는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 및 버스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버스
110: 복수의 하차 벨
120: 승차 문
130: 하차 문
140: NFC 단말기
150: 탑승 정보 제공 장치
160: 디스플레이 장치
170: 다음 정류장
200: 탑승자의 단말기
300: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

Claims (12)

  1.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가 버스에 탑승하기 전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탑승 예정 버스 및 하차 예정 정류장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가 상기 버스의 NFC 단말기에 태그되면 상기 하차 예정 정류장을 포함하는 승차 알림 메시지를 탑승 정보 제공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탑승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버스에 탑승한 탑승자의 단말기로부터 승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승차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하차 예정 정류장을 이용하여 정류장 별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한 정류장 별 예상 탑승 인원 및 실시간 위치에 기초하여 다음 정류장에서의 하차 예정 인원을 산출하는 단계; 및
    다음 정류장에서의 하차 예정 인원 및 현재 탑승 인원에 따라 다음 정류장에서의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탑승 정보 제공 시스템의 실행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을 상기 버스의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탑승자의 단말기 및 버스 정보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 정보 제공 시스템의 실행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정류장에서의 하차 예정 인원 및 현재 탑승 인원에 따라 다음 정류장에서의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다음 정류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다음 정류장에 위치하는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 상기 버스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버스 정보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 정보 제공 시스템의 실행 방법.

  7. 버스에 탑승하는 탑승자가 보유하는 단말기로부터 승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NFC 단말기;
    버스에 탑승하기 전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탑승 예정 버스 및 하차 예정 정류장을 선택하고, 상기 버스의 상기 NFC 단말기에 태그되면 상기 하차 예정 정류장을 포함하는 승차 알림 메시지를 탑승 정보 제공 장치에 제공하는 단말기;
    상기 버스에 탑승한 탑승자의 상기 단말기로부터 승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승차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하차 예정 정류장을 이용하여 정류장 별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정류장 별 예상 탑승 인원 및 실시간 위치에 기초하여 다음 정류장에서의 하차 예정 인원을 산출하고, 다음 정류장에서의 하차 예정 인원 및 현재 탑승 인원에 따라 다음 정류장에서의 예측 탑승 인원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탑승 정보 제공 장치; 및
    상기 탑승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산출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탑승 정보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단말기 및 버스 정보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 정보 제공 시스템.
    .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정류장 별 하차 예정 인원, 실시간 탑승 인원 및 실시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탑승 인원을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 정보 제공 시스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다음 정류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다음 정류장에 위치하는 탑승 대기자의 단말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버스 정보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예측 탑승 인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40172341A 2014-12-03 2014-12-03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629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341A KR101629571B1 (ko) 2014-12-03 2014-12-03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341A KR101629571B1 (ko) 2014-12-03 2014-12-03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571B1 true KR101629571B1 (ko) 2016-06-22

Family

ID=5636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341A KR101629571B1 (ko) 2014-12-03 2014-12-03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5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8150A (ja) * 2005-01-06 2006-07-20 Nippon Signal Co Ltd:The 乗車率予測システム
KR20060092775A (ko) * 2005-02-19 200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스정보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정보 운용 방법
KR100726082B1 (ko) * 2004-11-11 2007-06-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53617A (ko) * 2006-12-11 2008-06-16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082B1 (ko) * 2004-11-11 2007-06-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6188150A (ja) * 2005-01-06 2006-07-20 Nippon Signal Co Ltd:The 乗車率予測システム
KR20060092775A (ko) * 2005-02-19 200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스정보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정보 운용 방법
KR20080053617A (ko) * 2006-12-11 2008-06-16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321B1 (ko) 대중교통 스마트 승하차 관리시스템
KR101273299B1 (ko) 버스 내장형 비스 단말장치
JP7067441B2 (ja) 運行支援装置、車載装置、運行支援システム、運行支援方法及び運行支援プログラム
JP2016161479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07102390A (ja) 空席予約システム
JP6398874B2 (ja) 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乗降案内システム
CN112236806A (zh) 人车会合支持系统以及车辆共乘支持系统
JP200920445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94526B2 (ja) 運転支援装置
JP7108900B2 (ja) 歩行者端末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ならびに車載端末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JPWO2019159605A1 (ja) 運行管理装置、運行管理方法および運行管理システム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JP2018206186A (ja) 歩行者端末装置、車載端末装置、歩車間通信システム、および降車通知方法
KR20190030271A (ko)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95802B1 (ko)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29571B1 (ko)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180091429A (ko)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는 차량단말장치 및 방법
KR20180058900A (ko) 대중교통 이용 시 하차지점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WO2019168026A1 (ja) 支援システム及び支援方法
KR101815885B1 (ko) 시각 장애인용 교통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452478B1 (ko)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
JP2020095460A (ja) 交通管理装置、交通管理システム、交通管理方法、及び交通管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033259A (ko) 도착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US20230251824A1 (en) Voice guidance method
KR20160033823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교통 안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