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617A -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617A
KR20080053617A KR1020060125370A KR20060125370A KR20080053617A KR 20080053617 A KR20080053617 A KR 20080053617A KR 1020060125370 A KR1020060125370 A KR 1020060125370A KR 20060125370 A KR20060125370 A KR 20060125370A KR 20080053617 A KR20080053617 A KR 20080053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information
portable internet
internet termin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12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3617A/ko
Publication of KR2008005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은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위한 각 모듈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로그인 처리부;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와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저장하는 버스 정보 수집부; 및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버스 노선 검색 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 버스의 위치 정보와 혼잡도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 정보 안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버스에 탑재하여 버스 노선 안내, 버스의 배차 간격, 버스의 혼잡도, GPS 수신기를 통한 주변 정류장의 위치 및 버스 도착 시간을 안내하며 버스 시스템 내에 네비게이션 및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하여 지하철 노선과 교통 정보를 연동하여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휴대인터넷(WiBro), 혼잡도, 위치, 버스 노선 정보, 지하철 노선 안내

Description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us guidance information using the Portable Intenet terminal}
도 1은 종래의 휴대인터넷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상의 특정 목적지(예:시청)를 검색한 경우 버스 노선 안내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의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버 11: 제어부
12: 회원정보 DB 13: 버스 노선 정보 DB
14: 지하철 정보 DB 15: 회원정보 관리부
16: 로그인 처리부 17: 버스 정보 수집부
18: 버스 정보 안내부 19: 지하철 정보 안내부
20: 지도정보(LBS) 서버 21: 과금 처리부
23: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 24: 버스카드 검출기
33: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
본 발명은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WiBro) 단말기를 교통 카드 단말기와 연결하여 주기적으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 및 혼잡도 정보를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로 버스 노선 안내, 같은 번호를 가진 버스의 배차 간격, 교통 카드에 따라 승객수를 계산이 따른 버스의 혼잡도, GPS 수신기를 통한 주변 정류장의 위치를 네비게이션을 통해 3D 입체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버스 도착 시간을 안내하며,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지하철 노선 정보와 교통 정보를 연동하여 제공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3GHz 대역 휴대인터넷 시스템은 이동통신 기반의 무선 인터넷과 무선랜의 중간 위치에서 휴대인터넷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여 정지 또는 중저속(60km/h 또는 120km/h) 이동중에 IP 기반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인터넷 시스템 구성도이다.
2,3 GHz 대역을 사용하는 IEEE 802.16 WMAN(Wireless MAN) 기반의 휴대인터넷 시스템은 휴대인터넷 단말기(PSS:Portable Subscriber Station)(31), 휴대인터넷 기지국(RAS:Radio Access Station)(RAS)(32), 접속제어 라우터(ACR:Access Control Router)(30),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서버(22), 및 홈 에이전트(HA:Home Agent)(21)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인터넷 단말기(PSS)(31)는 단말 초기화, 동기화(synchronization) 및 초기 레인징(Ranging) 과정을 수행하여 휴대인터넷 기지국(RAS)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휴대인터넷(WiBro) 시스템은 무선 구간에서 고속 데이타 전송을 위해 프레임 단위로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OFDMA/TD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Time Division Duplex) 또는 MS-SCDMA 무선 전송 방식을 사용하며, OFDMA/TDD 방식은 부반송파(subcarrier) 그룹(Group1, Group2, Group3,..Group N)으로 구성된 서브 채널 단위(subchannel A, subchannel B, subchannel C..)로 데이타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휴대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은 하향링크(downlink) 프레임과 상향링크(uplink)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매 프레임마다 맨 앞에 프레임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트래픽을 위한 DL-MAP과 상향 트래픽을 위한 UL-MAP으로 구성된다.
휴대인터넷 단말기(PSS)(31)의 단말 동기화 과정은 단말 초기화 과정 후,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채널을 획득하기 위하여 하향링크 맵(DL-MAP) 및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향 링크 채널 디스크립터(UCD:Uplink Channel Descriptor) 및 상향링크 맵(UL-MAP)을 통하여 상향링크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시간 동기를 추출하게 되어 상향 링크로 데이타를 전송한다.
상기 휴대인터넷 단말기(31)의 초기 레인징(ranging) 과정은 OFDM 심볼을 샘플링 시간에 맞추는 타이밍 오프셋을 획득하기 위한 과정으로 단말(31)이 기지국(32)으로 레인징을 요청하면, 기지국은 레인징 슬롯과 레인징 코드를 알려주는 RNG-RSP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고, 단말(31)은 RNG-RSP 메시지로부터 전력, 검출 가능 주파수 등의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휴대인터넷 기지국(RAS)(32)은 RF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 수신된 패킷 신호의 기저대역 변복조 신호 처리 기능, 다수의 단말로 무선 자원(예: Bandwidth)을 할당하는 하향링크 패킷 스케쥴링, 상향링크 패킷 스케쥴링, 무선 자원 할당 및 레인징(ranging) 기능, 핸드 오버(handover) 제어 기능, 및 접속제어 라우터(ACR)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접속제어 라우터(ACR)(30)는 휴대인터넷 단말기(31)의 고속 이동성 보장을 위한 핸드 오버 제어 기능, 외부 에이전트(FA) 제어 기능, 인증 및 과금 데이타 수집 및 전송, 및 패킷 라우팅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AAA 서버(22)는 휴대인터넷(Wibro) 서비스의 인증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홈 에이전트(HA)(21)는 Mobile IPv4 또는 Mobile IPv6 기술을 사용하여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주소를 관리하여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휴대인터넷(WiBro) 서비스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한 인터넷 자료 검색, 이메 일, 메신저 서비스,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VOD/MOD), 원격 교육(Distance Learning), 네트워크 게임, 이동 전자상거래와 지불 서비스(M-Commerce/Payment), VoIP 서비스, 화상 통화, 그룹웨어, 텔레매틱스 서비스, 위치 기반 서비스(LBS:Location Based Service), 다양한 IP 기반 무선 멀티미디어 데이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인터넷 단말기는 버스에 탑재하여 버스 노선 안내, 버스의 배차 간격, 버스의 혼잡도, GPS 수신기를 통한 주변 정류장의 위치 및 버스 도착 시간을 안내하며, 버스 시스템 내에 네비게이션 및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하여 지하철 노선과 연동된 지능형 교통 정보를 제공하지 못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에 설치된 GPS 수신기를 내장한 휴대인터넷(WiBro) 단말기를 교통 카드 단말기와 연결하여 주기적으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 및 혼잡도 정보를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로 버스 노선 안내, 같은 번호를 가진 버스의 배차 간격, 교통 카드에 따라 승객수를 계산이 따른 버스의 혼잡도, GPS 수신기를 통한 주변 정류장의 위치를 네비게이션을 통해 3D 입체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버스 도착 시간을 안내하며,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지하철 노선 정보와 교통 정보를 연동하여 제공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으로서,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위한 각 모듈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로그인 처리부;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와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저장하는 버스 정보 수집부; 및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버스 노선 검색 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 버스의 위치 정보와 혼잡도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 정보 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에 따라 지하철 노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하철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현재의 버스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의 위치 정보들을 검출하고 오차 성분을 보정하여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버스의 교통 카드 검출기와 연결되어 버스 내 교통 카드의 출입 인원과 버스 요금을 체크하기 위한 교통 카드 검출부; 상기 교통 카드 검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버스로 승하차하는 버스 승객의 카운트를 계산하여 버스 정보 안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버스 혼잡도 계산부; 및 각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는, 버스 노선과 관련된 지도 정보, 버스 노선 구간별 위치 정보 및 각 버스 노선 구간별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정보를 저장한 저장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음성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버스 구간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버스는, 버스 ID에 따라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버에 접속하여 버스 도착 예상 시간 및 그 버스의 혼잡도를 제공받는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은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정보 DB; 각 버스 정류장별 위치 및 버스 노선 번호 안내 정보 및 버스 요금 정보를 저장하는 버스 노선 정보 DB; 및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위한 지하철 정보와 연동하기 위해 각 버스 정류장별 근처의 지하철 노선 정보를 저장하는 지하철 정보 DB를 포함하는 데이타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버스 정보 안내부는, 일반적인 버스 노선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 같은 버스 번호를 가진 버스의 배차 간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스 정보 안내부는, 교통카드의 승객수 계산에 따른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은 가입 자 회원별로 휴대인터넷망을 이용한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과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과금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인터넷에서 버스 정보 안내 방법으로서, (a)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가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버스 ID, 현재 버스의 위치, 및 버스의 혼잡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로부터 버스 정보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 및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교통 카드의 승객수에 따라 버스 혼잡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지하철 노선 정보를 연동하여 목적지까지의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은 가입자 회원별로 상기 휴대인터넷망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과금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에, (a)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가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버스 ID, 현재 버스의 위치, 버스의 혼잡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기능; (b) 상기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로부터 버스 정보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및 (c)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10) 시스템은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33)와 연결되고, 제어부(11), 회원 정보 DB(12), 버스 노선 정보 DB(13), 지하철 정보 DB(14), 회원 정보 관리부(15), 로그인 처리부(16), 버스 정보 수집부(17), 버스 정보 안내부(18), 지하철 정보 제공 부(19), 지도정보(LBS) 서버(20), 및 과금 처리부(21)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33)는 휴대인터넷(WiBro)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10)에 접속하여 버스 노선 검색, 지하철 노선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버스 노선 안내, 같은 버스 번호를 가진 버스의 배차 간격, 버스 ID에 따라 각 버스의 교통카드의 승객수 계산에 따른 버스의 혼잡도를 표시하고, GPS 수신기를 통한 주변 정류장의 위치를 네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3D 입체 그래픽으로 표시하며, 및 해당 노선 번호의 버스 요금 정보 및 버스 도착 시간을 안내하며, 버스 시스템 내에 네비게이션 및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하여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지하철 노선 정보와 교통 정보를 제공하여 환승 안내를 제공한다.
상기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33)는 버스의 장착된 휴대인터넷 단말기에 내장된 GPS 수신기를 통해 3개 내지 4개의 위성으로부터 통해 차량에 대한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좌표를 이용하여 휴대인터넷 단말기가 부착된 버스의 위치, 운행속도, 도착 정류장 등을 검출한 후 버스 ID,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 및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휴대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33)를 통해 버스 노선 안내, 버스 번호 체계, 버스 요금 정보(간선 버스/지선 버스/광역 버스/순환 버스 요금 정보(현금 900원, 교통카드 800원)), 고속 버스 및 시외 버스 운행 정보(첫차 시간, 막차 시간, 소요시간, 운임), 정류장의 인근의 지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버스 커뮤니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10)는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2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버스 운행정보를 가공하여, 휴대인터넷 단말기 이용자들에게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23)는 3~4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버스 주행에 따라 현재의 버승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의 위치 정보들을 검출하고 오차 성분을 보정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버스 노선과 관련된 지도 정보, 지도 정보의 버스 노선 구간별 위치 정보 및 각 버스 노선 구간별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정보를 저장한 저장부; 버스의 교통 카드 검출기(24)와 연결되어 버스 내 교통 카드의 출입 인원과 버스 요금을 체크하기 위한 교통 카드 검출부; 상기 교통 카드 검출부와 연결되어 버스 ID가 부여된 버스로 승하차하는 버스 승객의 카운트를 계산하여 버스 혼잡도를 계산하여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10)로 전송하기 위한 버스 혼잡도 계산부; 각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데이타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음성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버스 구간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위한 각 모듈의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회원 정보 관리부(15)는 상기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에 대한 이용 약관을 게시하고, 회원 가입, 회원 정보 수정, 비밀 번호 변경, 회원 탈퇴 기 능 및 회원의 비밀 번호 변경을 제공한다.
상기 회원 정보 DB(12)는 상기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 회원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가입자 회원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패스워드, 이름, 주민등록번호, 집주소, 직장 주소, 및 이메일 주소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로그인 처리부(16)는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버스 정보 수집부(17)는 교통 카드 검출기와 연결된 상기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23)로부터 수신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와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버스 정보 안내부(18)는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33)로부터 전송된 버스 정보 검색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기 버스 노선 정보 DB(13)를 검색하여 해당 목적지에 대한 버스 노선 정보를 제공하며, GPS 수신기를 통한 주변 정류장의 위치 및 해당 노선 번호의 버스 도착 시간을 안내하며, 노선버스가 운행중 다음에 정차할 정류장에 대한 안내방송을 음성 데이타로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버스 노선 정보 DB(13)는 각 버스 정류장별 위치 및 목적지에 따른 버스 노선 번호 안내 정보 및 버스 요금 정보(예: 현금 900원, 교통카드 800원)를 저장한다.
상기 버스 정보 검색 메시지는 노선, 번호, 정류장 또는 목적지별로 버스 노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 정보 안내부(18)는 정류장별 버스 운행 정보, 버스 번호체 계에 따른 간선 버스/지선 버스/광역 버스/순환 버스의 권역별로 일반적인 버스 노선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같은 버스 번호를 가진 버스의 배차 간격 정보를 제공하며, 교통카드의 승객수 계산에 따른 버스의 혼잡도를 단말기로 제공한다.
상기 버스의 혼잡도는 버스의 좌석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버스의 승객들의 교통 카드를 통해 승객수를 계산한다. 버스에 타는 손님은 교통카드를 한번 체크하여 승객수를 한 카운트 증가시키고, 내리는 손님은 다시 한번 교통카드를 체크하여 교통카드 검출부를 통해 버스의 혼잡도를 계산할 수 있다. 버스 이용객들이 몇 시간 전에 미리 혼잡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어제, 그저께의 혼잡도를 계산한 통계치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주변 정류장의 위치와 버스 도착 시간은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GPS 수신기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목적지를 위한 버스 노선 안내는 변동되지 않는 정보이므로 버스 시스템 내의 데이타베이스 또는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버(10)에 저장된 데이타베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바로 알려 줄 수 있다.
상기 지하철 정보 제공부(19)는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에 내장된 GPS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네비게이션(Navigation)으로 근처의 지하철 노선 정보와 교통 정보를 연동하여 제공한다.
상기 지하철 정보 DB(14)는 상기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위한 지하철 정보와 연동하기 위해 각 버스 정류장별 근처의 지하철 노선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지도정보(LBS) 서버(20)는 GPS 수신기를 내장한 사용자의 휴대인터 넷(WiBro) 단말기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를 네비게이션 상의 3D 입체 지도상에 표시되도록 위치 기반 서비스(LBS: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한다.
상기 과금 처리부(21)는 가입자 회원별로 휴대인터넷망을 이용한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월별 과금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GPS 수신기를 내장한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사용자는 어느 위치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서 몇번 버스를 타야 하는지 버스 노선 정보를 알 수 있고, 해당 노선 번호의 버스가 몇 분 후에 버스가 오는지를 나타내는 배차 간격 정보, 정류장에서 지금 도착을 기다리는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상의 특정 목적지(예:시청)를 검색한 경우 버스 노선 안내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실시예로, GPS 수신기를 내장한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사용자는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33)를 사용하여 검색할 지역(서울, 경기도, 인천, 충청도....)을 선택하고, 노선, 버스 번호, 정류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목적지(예: 시청)로 검색하여 원하는 목적지의 버스 노선 정보를 출력하며,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현재 휴대인터넷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예: 강남역)를 화살표로 표시되어 목적지(예: 시청)로 가는 버스 정보 안내와 함께 지도상에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의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10)는 유선 인터넷 또는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33)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사용자 아이디, 패스워드, 이름, 주민등록번호, 집주소, 직장 주소, 및 이메일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회원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한다(단계 S20).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10)는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위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한다(단계 S21).
사용자 인증 후,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1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버스에 설치된 GPS 수신기를 내장한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교통 카드의 승객수에 따라 버스 혼잡도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22).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10)는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33)로부터 목적지 등의 버스 정보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S23)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로 버스 노선 안내 정보,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 해당 노선 버스의 배차 간격 정보, 노선 번호별 각 버스에게 버스 ID를 할당하여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24).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에 부착된 GPS 수신기를 통해 버스 도착 예상 시간과 현재 휴대인터넷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화살표로 표시하고 주변 정류장의 위치를 3D 입체 그래픽으로 지도상에 표시한다(단계 S25).
이때,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10)는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33)의 네비게이션으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지하철 노선 정보를 연동하여 전송한다(단계 S26). 예를 들면, 강남역에서 휴대인터넷 단말기 사용자가 시청으로 가기 위해 와이브로 버스 안내 서비스를 사용하여 버스 노선 번호를 안내 받고, 현 위치와 연계된 지하철 정보를 알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10)는 가입자 회원별로 휴대인터넷망을 이용한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과금을 실시한다(단계 S27).
버스를 이용하는 사람은 늘 출발하는 지점과 버스 번호가 같은 출퇴근형의 경우, 즉, 집, 학교, 회사와 같은 곳에서 매일 똑같은 버스 정류장에서 똑같은 버스를 타게 된다. 이때 중요한 정보는 현재 있는 지점(집, 학교, 회사)에서 몇 분에 나서면 버스를 바로 탈 수 있고, 버스가 혼잡하지 않는지를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혼잡도를 통해 알 수 있다.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 이용자는 휴대인터넷 단말기에서 버스 정류장까지 도보로 가는 시간을 입력하고, 특정 시각에 도착되는 버스 ID가 부여된 버스에 대한 버스 혼잡도를 파악하여(서서 가도 좋은지, 몸이 불편해서 꼭 앉아서 가야 하는지) 지정하면 자동으로 몇 시 몇 분에 출발해야할 지 계산해서 알려주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낯선 지역에서 주변 정류장의 위치 및 목적지로 가는 버스 노선 번호를 모를 경우, 휴대인터넷(WiBro) 단말기에서 버스 검색/지하철 검색 기능에 따라 목적지를 입력하면 어느 위치의 버스 정류장에서 몇 번 버스를 타야 하는지를 버스 시스템의 네비게이션을 통해 "A지점의 지하철 역에서 2호선을 타고 강남역에서 내려서 B지점 버스 정류장에서 54번 버스를 타고 어느 정류장에서 내리면 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알 수 있다. 이때, 정류장의 위치는 GIS 지도상에서 3D 입체 그래픽으로 표현되며 버스 시스템 내의 데이타베이스에서 저장된 자료를 부착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로 전달된다. 그리고, 휴대인터넷 단말기 사용자는 해당 버스 의 혼잡도를 역시 알 수 있어 다음 버스를 이용하거나 좀 더 기다렸다가 버스 정류장으로 나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은 버스에 설치된 GPS 수신기를 내장한 휴대인터넷(WiBro) 단말기를 교통 카드 단말기와 연결하여 주기적으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 및 혼잡도 정보를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로 버스 노선 안내, 같은 번호를 가진 버스의 배차 간격, 교통 카드에 따라 승객수를 계산이 따른 버스의 혼잡도, GPS 수신기를 통한 주변 정류장의 위치를 네비게이션을 통해 3D 입체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버스 도착 시간을 안내하며,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지하철 노선 정보와 교통 정보를 연동하여 제공한다.
또한, WiBro 단말기를 가진 버스 이용객들은 버스 정류장에서 마냥 버스를 기다리거나 낯선 지역에서 길을 헤매는 일은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런 편리성에 따라 버스 이용객 증가로 인한 버스 회사의 이익을 증대하고 휴대인터넷 버스 안내 서비스에 대한 수익 창출이 기대된다.

Claims (15)

  1.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으로서,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위한 각 모듈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로그인 처리부;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와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저장하는 버스 정보 수집부; 및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버스 노선 검색 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 버스의 위치 정보와 혼잡도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 정보 안내부;
    를 포함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에 따라 지하철 노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하철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현재의 버스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의 위치 정보들을 검출하고 오차 성분을 보정하여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버스의 교통 카드 검출기와 연결되어 버스 내 교통 카드의 출입 인원과 버스 요금을 체크하기 위한 교통 카드 검출부;
    상기 교통 카드 검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버스로 승하차하는 버스 승객의 카운트를 계산하여 버스 정보 안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버스 혼잡도 계산부; 및
    각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는,
    버스 노선과 관련된 지도 정보, 버스 노선 구간별 위치 정보 및 각 버스 노선 구간별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정보를 저장한 저장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음성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버스 구간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는,
    버스 ID에 따라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버에 접속하여 버스 도착 예상 시간 및 그 버스의 혼잡도를 제공받는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정보 DB;
    각 버스 정류장별 위치 및 버스 노선 번호 안내 정보 및 버스 요금 정보를 저장하는 버스 노선 정보 DB; 및
    상기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를 위한 지하철 정보와 연동하기 위해 각 버스 정류장별 근처의 지하철 노선 정보를 저장하는 지하철 정보 DB;
    를 포함하는 데이타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보 안내부는,
    일반적인 버스 노선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 같은 버스 번호를 가진 버스의 배차 간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보 안내부는,
    교통카드의 승객수 계산에 따른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가입자 회원별로 휴대인터넷망을 이용한 와이브로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과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과금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11. 휴대인터넷에서 버스 정보 안내 방법으로서,
    (a)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가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버스 ID, 현재 버스의 위치, 및 버스의 혼잡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로부터 버스 정보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 및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교통 카드의 승객수에 따라 버스 혼잡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지하철 노선 정보를 연동하여 목적지까지의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가입자 회원별로 상기 휴대인터넷망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과금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
  15. 컴퓨터에, (a) 휴대인터넷 버스 정보 안내 서버가 버스에 설치된 휴대인터넷 단말기로부터 버스 ID, 현재 버스의 위치, 버스의 혼잡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기능;
    (b) 상기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로부터 버스 정보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및
    (c) 사용자의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클라이언트로 현재 버스의 위치 정보, 및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125370A 2006-12-11 2006-12-11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방법 KR20080053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370A KR20080053617A (ko) 2006-12-11 2006-12-11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370A KR20080053617A (ko) 2006-12-11 2006-12-11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617A true KR20080053617A (ko) 2008-06-16

Family

ID=3980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370A KR20080053617A (ko) 2006-12-11 2006-12-11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361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686A (ko)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021686B1 (ko) * 2008-11-05 2011-03-17 서울메트로 열차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101109271B1 (ko) * 2009-06-08 2012-01-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교통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WO2012043934A1 (ko) * 2010-10-01 2012-04-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통행정보 제공 시스템
KR101462414B1 (ko) * 2012-10-18 2014-11-17 주식회사 제일기획 미디어 존 관리장치
KR101629571B1 (ko) * 2014-12-03 2016-06-2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170075234A (ko) 2015-12-23 2017-07-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에 탑재된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86B1 (ko) * 2008-11-05 2011-03-17 서울메트로 열차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101109271B1 (ko) * 2009-06-08 2012-01-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교통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10004686A (ko)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WO2012043934A1 (ko) * 2010-10-01 2012-04-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통행정보 제공 시스템
KR101141059B1 (ko) * 2010-10-01 2012-05-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통행정보 제공 시스템
US9165382B2 (en) 2010-10-01 2015-10-20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KR101462414B1 (ko) * 2012-10-18 2014-11-17 주식회사 제일기획 미디어 존 관리장치
KR101629571B1 (ko) * 2014-12-03 2016-06-2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170075234A (ko) 2015-12-23 2017-07-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에 탑재된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39641B (zh) 一种基于WiFi中继站的车辆调度方法及系统
US83408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mmuter groups
KR20080053617A (ko)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방법
KR102046384B1 (ko)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US9532291B2 (en)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log analyzer
CN103680180B (zh) 一种交通状况信息提示方法和系统
US9212922B2 (en) Mobile station position estimation using transmitter almanac information
US9532240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quality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control device
US20040259545A1 (e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US7822544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CN101212774A (zh) 用个人手持电话系统获得公共运输工具位置的系统和方法
US2015031288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rom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vehicle infotainment ser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120064276A (ko) 이동통신 단말의 경로 관리장치, 경로 결정장치, 경로 검증장치,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경로 관리방법
US9372087B2 (en) Method of providing destination information, destination-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20131666A (ko) 버스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정보 처리 방법
KR10084994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철역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CN107274705A (zh) 公交车位置的确定方法、装置和系统
KR20090017151A (ko) 사용자 제작 컨텐츠 기반의 지역 poi 정보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Lim et al. A crowd-assisted real-time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service: No more endless wait
JP2002230244A (ja) 情報端末を用いたスケジュール管理支援システム
KR101757825B1 (ko)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Ahmed et al. Reducing scanning latency in WiMAX enabled VANETs
JP2008242538A (ja) Gps内蔵利用者端末を利用したバス運行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447221B1 (ko) 버스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03703A (ko) 버스 도착정보 안내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