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082B1 -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082B1
KR100726082B1 KR1020040092040A KR20040092040A KR100726082B1 KR 100726082 B1 KR100726082 B1 KR 100726082B1 KR 1020040092040 A KR1020040092040 A KR 1020040092040A KR 20040092040 A KR20040092040 A KR 20040092040A KR 100726082 B1 KR100726082 B1 KR 100726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sensor
detected
mobi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199A (ko
Inventor
손상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2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082B1/ko
Publication of KR20060044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차량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를 통해 단말기 정보를 해독하고 이를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정보 인식 센서를 통해 수집한 단말기 정보를 통해 이동 차량 탑승자의 목적지 정보를 산출하고 탑승자 상호간의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가능성 있는 빈 좌석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차량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와 단말기에 구비된 센서칩 상호간의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탑승자의 목적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칩의 감지도 및 산출된 목적지 정보를 통해 좌석에 앉아 있는 탑승자 중 이동 차량에서 가장 먼저 하차할 탑승자의 좌석 정보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비쿼터스, 센서, 좌석 정보, UWB

Description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AT INFORMATION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피감지 단말기 130 : 어플리케이션
150 : 수신 단말기 160 : 센서칩
200 : 정보 인식 센서 210 : 감지부
220 : 감지도 측정부 230 : 정보 해독부
300 : 센서 관리 서버 400 : 정보 제공 서버
410 : 단말기 정보 수집부 420 : 목적지 정보 산출부
430 : 탑승 상태 설정부 440 : 위치 정보 추출부
500 : 통신망
본 발명은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정보 인식 센서의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차량 탑승자의 목적지 정보를 산출하고, 탑승자간에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목적지가 가장 근접한 탑승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좌석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과학의 급속한 발달로 통신 기술이 발달하게 되고, 이제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이른바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가 도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생활공간 속에서는 환경과 사물들의 상태변화에 대한 정보를 개개인의 욕구에 맞게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환경과 사물 스스로 사람에게 필요한 정보를 고지하거나 상황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광대역통신과 컨버전스 기술의 일반화 등 정보 기술의 고도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근래에는 군에서 특수 목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되던 초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 Band) 기술의 응용 범위를 넓혀 점차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실현해가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구축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차량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를 통해 단말기 정보를 해독하고 이를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정보 인식 센서를 통해 수집한 단말기 정보를 통해 이동 차량 탑승자의 목적지 정보를 산출하고 탑승자 상호간의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가능성 있는 빈좌석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은, A-1) 이동 차량 내부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가 피감지 단말기를 감지하여 상기 피감지 단말기에 저장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승하차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승하차지 정보 및 승하차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승하차 정보를 통해 승하차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A-3)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산출한 승하차 통계 정보를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A-1) 단계는 A-1-1) 정보 인식 센서가 피감지 단말기에 구비된 센서칩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센서칩에 저장된 정보를 해독하여 센서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A-1-2) 상기 센서 관리 서버가 상기 해독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칩을 감지한 정보 인식 센서 정보를 통해 상기 정보 인식 센서가 구비된 해당 이동 차량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해독한 정보와 함께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A-1-1) 단계는 A-1-1-1) 이동 차량의 승차구 및 하차구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 및 좌석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가 피감지 단말기에 구비된 센서칩을 감지하는 단계; A-1-1-2) 상기 피감지 단말기가 상기 승차구 및 하차구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에 의해 상기 센서칩이 감지되면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승하차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좌석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에 의해 상기 센서칩이 감지되면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차량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A-1-1-3) 상기 산출된 승하차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상기 센서칩에 저장하는 단계; 및 A-1-1-4) 정보 인식 센서가 상기 센서칩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를 해독하고, 상기 센서칩에 대한 감지도를 측정하여 상기 해독된 단말기 정보와 함께 상기 측정된 감지도 정보를 상기 센서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단말기 정보는 상기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나이 정보 및 신장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나이 정보 및 신장 정보는 상기 피감지 단말기의 센서칩에 기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A-2) 단계는 A-2-1)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센서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차량 내부에 위치한 다수의 피감지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수집하는 단계; A-2-2) 상기 수집한 단말기 정보에 포함된 상기 승차지 정보 및 승하차 시간 정보를 토대로 하차한 빈도수가 높은 하차지를 상기 각각의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A-2-3) 상기 다수의 피 감지 단말기 각각의 산출된 목적지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가 가장 인접한 특정 피감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추출된 이동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가 가장 인접한 특정 피감지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상기 특정 피감지 단말기의 센서칩을 감지한 상기 정보 인식 센서가 부착된 이동 차량 내의 좌석 정보이며, 상기 좌석 정보는 상기 이동 차량 내의 좌석에 부착된 정보 인식 센서에서 상기 센서칩을 감지한 감지도가 기 설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특정 피 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착석한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특정 피 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착석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기에 상기 추출된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나이 정보 및 신체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설정에 의해 수신 단말기의 정보 제공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좌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센서칩과 정보 인식 센서는, 초광대역 무선 통신(UWB)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피감지 단말기는, 위치 정보 생성 및 승하차 정보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센서칩은, RFID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이동 차량 내부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될 경우,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 승하차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센서칩을 포함하는 구비된 단말기; 상기 센서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센서칩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를 해독하는 정보 해독부 및 상기 해독한 단말기 정보를 센서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정보 인식 센서; 상기 정보 인식 센서로부터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칩을 감지한 상기 정보 인식 센서 정보를 통해 이동 차량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이동 차량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센서 관리 서버; 및 상기 센서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말기 정보 및 이동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기 정보 수집부, 상기 단말기 정보에 포함된 상기 승차지 정보 및 승하차 시간 정보를 토대로 하차한 빈도수가 높은 장소를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로 산출하고, 감지된 단말기 중 이동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정보가 가장 인접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된 정보를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 차량의 승차구 및 하차구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에 의해 상기 센서칩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승하차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이동 차량의 좌석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에 의해 상기 센서칩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차량내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단말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단말기 정보를 상기 센서칩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정보 산출부는 상기 단말기 정보 수집부에 저장된 승차지 정보 및 승하차 시간 정보를 토대로 하차한 빈도수가 높은 하차지를 상기 각각의 단말기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산출하는 목적지 정보 산출부; 및 상기 산출한 목적지 정보를 통해 이동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가 가장 인접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정보 인식 센서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한 센서칩에 대한 감지도를 측정하는 감지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이동 차량의 좌석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를 통해 감지한 센서칩의 감지도를 기 설정한 기준 감지도와 비교하여 상기 센서칩을 구비한 단말기 사용자가 좌석에 앉아 있는지 여부를 설정하는 탑승 상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단말기 정보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나이 정보 및 신장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제공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산출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센서칩과 정보 인식 센서는, 초광대역 무선 통신(UWB)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센서칩은, RFID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100, 150), 정보 인식 센서(200), 센서 관리 서버(300) 및 정보 제공 서버(40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 150)를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정보 인식 센서의 감지 대상이 되는 단말기를 피감지 단말기(100)라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는 단말기를 수신 단말기(150)라 한다.
상기 피감지 단말기(100)는 피감지 단말기(1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130)을 통해 생성한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센 서칩(160)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센서칩(160)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칩으로 일정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칩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칩(160)은 고주파(RF) 신호를 수신하여 내장된 정보를 정보 인식 센서(2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130)은 정보 인식 센서(200)가 센서칩(160)을 감지하면 즉, 센서칩(160)이 고주파(RF) 신호를 수신하면 피감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및 승하차 정보를 생성시키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승하차 정보는 피감지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승하차지 및 승하차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 인식 센서(200)는 이동 차량의 승차구 및 하차구에 구비되며, 감지부(210), 정보 해독부(230), 감지도 측정부(220), 송수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210)는 고주파 신호를 발사하여 상기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피감지 단말기(100)의 센서칩(160)을 감지한다.
상기 정보 해독부(230)는 상기 감지된 센서칩(160)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를 해독한다. 특히, 이동 차량의 승하차구에 구비된 제 1 정보 인식 센서는 피감지 단말기(100)의 센서칩(160)으로부터 승하차 정보를 수신하여 해독하고, 이동 차량의 좌석에 구비된 제 2 정보 인식 센서는 상기 센서칩(160)으로 부터 피감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해독한다.
상기 감지도 측정부(220)는 정보 인식 센서(200)가 감지한 피감지 단말기(100)의 센서칩(160)에 대한 감지도를 측정한다.
상기 송수신부(240)는 정보 해독부(230)에서 해독한 단말기 정보 및 감지도 측정부(220)에서 측정한 감지도를 센서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감지부(210), 정보 해독부(230), 감지도 측정부(220) 및 송수신부(240)의 기능을 제어하여 각각의 기능을 실행시킨다.
상기 센서 관리 서버(200)는 센서칩(160)을 감지한 정보 인식 센서 정보를 통해 이동 차량 정보를 추출하고, 정보 인식 센서(200)의 송수신부(240)가 송신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며, 정보 인식 센서(200)를 제어하여 그 기능을 실행시킨다.
예컨대, 상기 이동 차량이 버스일 경우, 센서 관리 서버(300)는 버스가 정거장에 정차할 때마다 정보 인식 센서(200)를 실행 시켜 버스 정차 간격으로 피감지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정보 제공 서버(400)는 센서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통해 수신 단말기(150)에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며, 단말기 정보 수집부(410), 목적지 정보 산출부(420), 탑승 상태 설정부(430), 위치 정보 추출부(440), 송수신부(450) 및 제어부(46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정보 수집부(410)는 센서 관리 서버(300)로부터 단말기 정보 및 이동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한다.
따라서 단말기 정보 수집부(410)에는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승차지 정보, 피감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또는 좌석 정보, 이동 차량 정보, 감지도 정보,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나이 정보 및 키 정보 등을 관리한다.
상기 목적지 정보 산출부(420)는 단말기 정보 수집부(410)에 저장된 승하차 정보를 통해 상기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산출한다.
< 표 1>
승차일 승차시간 승차지 하차지
2004.10.1 금 8:00 홍대역 시청역
18:30 시청역 홍대역
2004.10.2 토 7:50 홍대역 시청역
13:40 시청역 을지로 3가역
13:50 을지로 3가역 압구정역
2004.10.3 일 14:00 홍대역 강남역
19:45 강남역 홍대역
2004.10.4 월 8:10 홍대역 시청역
20:00 시청역 홍대역
2004.10.5 화 8:14 홍대역 시청역
18:47 시청역 홍대역
2004.10.6 수 7:45 홍대역 시청역
21:00 시청역 홍대역
2004.10.7 목 8:20 홍대역 시청역
18:30 시청역 홍대역
2004.10.8 금 8:12 홍대역 시청역
18:20 시청역 홍대역
. . . . . . . . . . . .
예컨대, 표 1과 같이, 사용자의 승차시간, 승차지 및 하차지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예측한다.
이때, 상기 목적지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이동 차량에 탑승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거나, 승차지 또는 하차지를 기준으로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가 평일 오전 8시 10분에 홍대역에서 승차하였다면 하차지 즉, 사용자의 목적지는 '시청역'으로 목적지 정보를 산출한다.
또한, 통계적으로 승차지가 '홍대역'일 경우에는 하차지가 '시청역'이고, 승 차지가 '시청역'일 경우에는 하차지가 '홍대역'이 될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탑승 상태 설정부(430)는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 차량에 탑승한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즉, 상기 단말기 정보 수집부에 저장된 피감지 단말기(100)의 감지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도와 기 설정한 기준 감지도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도가 기준 감지도 이상인 피감지 단말기(100)를 좌석에 앉아 있는 탑승자의 피감지 단말기(100)로 설정한다.
따라서, 탑승 상태 설정부(430)를 통해 이동 차량 내에 앉아 있는 탑승자와 서 있는 탑승자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440)는 상기 목적지 정보 산출부(420)에서 산출한 목적지 정보를 통해 이동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가 가장 인접한 피감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특히, 상기 탑승 상태 설정부(430)에서 설정된 탑승자 상태 정보를 통해, 앉아 있는 탑승자 중 목적지가 현재의 위치와 가장 인접해 있는 탑승자의 피감지 단말기(100)의 좌석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송수신부(450)는 위치 정보 추출부(440)에서 추출한 좌석 정보 등과 같은 피감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 단말기(150)로 전송한다.
한편, 수신 단말기(150)는 탑승 상태 설정부(430)에서 설정한 서 있는 탑승자에 상응하는 피감지 단말기(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단말기 정보 수집부(410), 목적지 정보 산출부(420), 탑승 상태 설정부(430), 위치 정보 추출부(440) 및 송수신부(450)를 제어하 여 각각의 기능을 실행시킨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은 센서칩 감지 단계(S110), 단말기 정보 전송 단계(S120), 단말기 정보 수집 단계(S130), 목적지 정보 산출 단계(S140), 위치 정보 추출 단계(S150) 및 좌석 정보 제공 단계(S16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칩 감지 단계(S110)에서는 이동 차량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200)가 피감지 단말기(100)에 구비된 센서칩(160)을 감지한다.
즉, 센서 관리 서버(300)의 관리하에 정보 인식 센서(200)를 실행시켜 고주파 신호를 발산하고 상기 고주파 신호를 수신한 피감지 단말기(100)의 센서칩(160)에 내장된 정보를 인식한다.
한편, 상기 센서칩(160)은 단말기 정보 생성 단계(미도시) 및 단말기 정보 저장 단계(미도시)를 통해 센서칩(160)에 내장된 정보를 상기 정보 인식 센서(200)로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 정보 생성 단계(미도시)는 센서칩(160)이 정보 인식 센서(200)에 의해 감지되면, 피감지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130)을 실행시켜 승하차 정보 및 이동 차량내 피감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단말기 정보를 생 성한다.
상기 단말기 정보 저장 단계(미도시)는 상기 생성한 단말기 정보를 센서칩(160)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센서칩(160)은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사양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어, 어플리케이션(130)에 의해 생성된 단말기 정보와 함께 관리된다.
또한, 센서칩(160)은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나이 정보 및 키 정보 등을 더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인식 센서(200)의 실행에 의해 생성된 단말기 정보가 센서칩(160)에 저장된 상태에서 다음의 단계를 수행한다.
즉, 상기 단말기 정보 전송 단계(S120)에서는 감지한 피감지 단말기(100)의 센서칩(160)으로부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해독하고, 해독한 단말기 정보를 센서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센서칩(160)을 감지한 감지도를 측정하여 측정한 감지도 정보도 센서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센서 관리 서버(300)는 상기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여 정보 인식 센서(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센서 관리 서버(300)는 센서칩(160)을 감지한 정보 인식 센서 정보를 통해 이동 차량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단말기 정보와 함께 정보 제공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인식 센서(200)는 초광대역(UWB; Ultra-Wide Band)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피감지 단말기(100)의 센서칩(160)과 통신하며, 상기 센서칩(160)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 정보 수집 단계(S130)에서는 정보 제공 서버(400)가 센서 관리 서버(300)로부터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정보 제공 서버(400)는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승하차 정보, 위치 정보, 감지도 정보, 이동 차량 정보, 단말기 식별 정보, 단말기 사양 정보, 사용자의 연령 정보, 나이 정보 및 키 정보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한다.
상기 목적지 정보 산출 단계(S140)에서는 상기 승하차 정보를 통해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산출한다.
한편, 상기 목적지 정보는 사용자의 탑승 시간, 승차지 또는 하차지를 기준으로 산출된다.
상기 위치 정보 추출 단계(S150)에서는 상기 산출한 목적지 정보를 통해 동일한 이동 차량 내에 탑승한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목적지가 가장 인접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탑승 상태 설정 단계(미도시)를 통해 상기 이동 차량의 좌석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목적지가 가장 인접한 사용자의 좌석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탑승 상태 설정 단계(미도시)에서는 상기 감지도 정보와 기 설정한 감지도를 비교하여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탑승 상태를 설정한다.
한편, 상기 감지도 정보는 이동 차량의 좌석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200)에 의해 측정된 감지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이동 차량의 1번 좌석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된 피감지 단말기가 복수 개일 경우, 상기 복수개의 피감지 단말기의 감지도 중 상기 기준 감지도 이상이고 그 수치가 가장 높은 피감지 단말기를 상기 1 번 좌석에 앉은 사용자의 피감지 단말기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탑승 상태 설정 단계(미도시)를 통해, 이동 차량내 정보 인식 센서(200)에 의해 감지된 피감지 단말기의 사용자가 앉아 있는지 서 있는 지 등의 탑승 상태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정보 추출 단계(S150) 및 탑승 상태 설정 단계(미도시)를 통해 어떤 사용자가 좌석에서 가장 먼저 내릴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좌석 정보 제공 단계(S160)에서는 상기 위치 정보 추출 단계(S150)를 통해 추출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 즉,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를 수신 단말기(150)로 전송한다.
특히, 수신 단말기(150)는 피감지 단말기(100) 중 상기 탑승 상태 설정 단계(미도시)를 통해 이동 차량 내에 서 있는 사용자로 설정된 사용자의 피감지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석 정보 제공 단계(S160)에서는 정보 제공 서버(400)가 수신 단말기(150)에 상기 좌석 정보에 상응하는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나이 정보 및 키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한다. 따라서, 수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수신한 좌석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를 찾는 오차율을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이동 차량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와 단말기에 구비된 센서칩 상호간의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탑승자의 목적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보 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칩의 감지도 및 산출된 목적지 정보를 통해 좌석에 앉아 있는 탑승자 중 이동 차량에서 가장 먼저 하차할 탑승자의 좌석 정보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1)

  1. A-1) 이동 차량 내부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가 피감지 단말기를 감지하여 상기 피감지 단말기에 저장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승하차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승하차지 정보 및 승하차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승하차 정보를 통해 승하차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A-3)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산출한 승하차 통계 정보를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는
    A-1-1) 정보 인식 센서가 피감지 단말기에 구비된 센서칩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센서칩에 저장된 정보를 해독하여 센서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A-1-2) 상기 센서 관리 서버가 상기 해독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칩을 감지한 정보 인식 센서 정보를 통해 상기 정보 인식 센서가 구비된 해당 이동 차량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해독한 정보와 함께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1-1) 단계는
    A-1-1-1) 이동 차량의 승차구 및 하차구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 및 좌석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가 피감지 단말기에 구비된 센서칩을 감지하는 단계;
    A-1-1-2) 상기 피감지 단말기가 상기 승차구 및 하차구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에 의해 상기 센서칩이 감지되면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승하차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좌석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에 의해 상기 센서칩이 감지되면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차량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A-1-1-3) 상기 산출된 승하차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상기 센서칩에 저장하는 단계; 및
    A-1-1-4) 정보 인식 센서가 상기 센서칩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를 해독하고, 상기 센서칩에 대한 감지도를 측정하여 상기 해독된 단말기 정보와 함께 상기 측정된 감지도 정보를 상기 센서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정보는
    상기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나이 정보 및 신장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나이 정보 및 신장 정보는 상기 피감지 단말기의 센서칩에 기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는
    A-2-1)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센서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차량 내부에 위치한 다수의 피감지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수집하는 단계;
    A-2-2) 상기 수집한 단말기 정보에 포함된 상기 승차지 정보 및 승하차 시간 정보를 토대로 하차한 빈도수가 높은 하차지를 상기 각각의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A-2-3) 상기 다수의 피 감지 단말기 각각의 산출된 목적지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가 가장 인접한 특정 피감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이동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가 가장 인접한 특정 피감지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상기 특정 피감지 단말기의 센서칩을 감지한 상기 정보 인식 센서가 부착된 이동 차량 내의 좌석 정보이며,
    상기 좌석 정보는 상기 이동 차량 내의 좌석에 부착된 정보 인식 센서에서 상기 센서칩을 감지한 감지도가 기 설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특정 피 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착석한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특정 피 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착석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기에 상기 추출된 피감지 단말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나이 정보 및 신체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설정에 의해 수신 단말기의 정보 제공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좌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칩과 정보 인식 센서는,
    초광대역 무선 통신(UWB)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 단말기는,
    위치 정보 생성 및 승하차 정보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칩은,
    RFID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19. 이동 차량 내부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될 경우,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 승하차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센서칩을 포함하는 구비된 단말기;
    상기 센서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센서칩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를 해독하는 정보 해독부 및 상기 해독한 단말기 정보를 센서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정보 인식 센서;
    상기 정보 인식 센서로부터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칩을 감지한 상기 정보 인식 센서 정보를 통해 이동 차량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이동 차량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센서 관리 서버; 및
    상기 센서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말기 정보 및 이동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기 정보 수집부, 상기 단말기 정보에 포함된 상기 승차지 정보 및 승하차 시간 정보를 토대로 하차한 빈도수가 높은 장소를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로 산출하고, 감지된 단말기 중 이동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정보가 가장 인접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된 정보를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 차량의 승차구 및 하차구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에 의해 상기 센서칩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승하차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이동 차량의 좌석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에 의해 상기 센서칩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차량내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단말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단말기 정보를 상기 센서칩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산출부는
    상기 단말기 정보 수집부에 저장된 승차지 정보 및 승하차 시간 정보를 토대로 하차한 빈도수가 높은 하차지를 상기 각각의 단말기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산출하는 목적지 정보 산출부; 및
    상기 산출한 목적지 정보를 통해 이동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가 가장 인접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24. 삭제
  25. 삭제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인식 센서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한 센서칩에 대한 감지도를 측정하는 감지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27.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이동 차량의 좌석에 구비된 정보 인식 센서를 통해 감지한 센서칩의 감지도를 기 설정한 기준 감지도와 비교하여 상기 센서칩을 구비한 단말기 사용자가 좌석에 앉아 있는지 여부를 설정하는 탑승 상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정보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나이 정보 및 신장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29.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제공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산출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3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칩과 정보 인식 센서는,
    초광대역 무선 통신(UWB)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칩은,
    RFID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040092040A 2004-11-11 2004-11-11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26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040A KR100726082B1 (ko) 2004-11-11 2004-11-11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040A KR100726082B1 (ko) 2004-11-11 2004-11-11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199A KR20060044199A (ko) 2006-05-16
KR100726082B1 true KR100726082B1 (ko) 2007-06-08

Family

ID=3714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040A KR100726082B1 (ko) 2004-11-11 2004-11-11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0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505B1 (ko) * 2013-04-29 2015-08-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승객의 하차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29571B1 (ko) * 2014-12-03 2016-06-2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933606B1 (ko) 2018-07-09 2018-12-28 최이룸 지하철 자리 찾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579A (ko) * 2000-09-09 2002-03-15 신승중 위치정보확인 수신기를 갖춘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JP2004040745A (ja) 2002-07-01 2004-02-05 Takeshi Sudo 無料・格安通信ネットとgps利用の交通安全システム
WO2004045918A1 (de) 2002-11-20 2004-06-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ystem und verfahren zum erkennen der sitzbelegung in einem fahrzeug
KR20050055892A (ko) * 2003-12-09 2005-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목적지 알림 정보 송/수신 장치
KR20050105590A (ko) * 2004-04-30 2005-11-04 유성열 좌석 승객의 하차 위치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579A (ko) * 2000-09-09 2002-03-15 신승중 위치정보확인 수신기를 갖춘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JP2004040745A (ja) 2002-07-01 2004-02-05 Takeshi Sudo 無料・格安通信ネットとgps利用の交通安全システム
WO2004045918A1 (de) 2002-11-20 2004-06-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ystem und verfahren zum erkennen der sitzbelegung in einem fahrzeug
KR20050055892A (ko) * 2003-12-09 2005-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목적지 알림 정보 송/수신 장치
KR20050105590A (ko) * 2004-04-30 2005-11-04 유성열 좌석 승객의 하차 위치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505B1 (ko) * 2013-04-29 2015-08-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승객의 하차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29571B1 (ko) * 2014-12-03 2016-06-2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탑승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933606B1 (ko) 2018-07-09 2018-12-28 최이룸 지하철 자리 찾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199A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0619B2 (en) Method of estimating the position of a device and an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US11561280B2 (en) User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radio frequency radar
US10972813B2 (en) Electronic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cting a tag having a sensor associated therewith and receiving sensor information therefrom
CN107172590B (zh) 基于移动终端的活动状态信息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2017118485A (ja) 乗員情報取得システム
US20080133277A1 (en) Fall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emergency ai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JP6088504B2 (ja) 移動装置の位置推定
Mighali et al. A smart remote elderly monitoring system based on IoT technologies
EP1779772B1 (en) System for analysing a person&#39;s activity and for automatic fall detection
KR20090022829A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실시간 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US20190389329A1 (en) A system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occupant in a vehicle and means thereof
CN105830075A (zh) 用于对检测到的跌倒进行响应的方法和用于实施所述方法的装置
Parnandi et al. Coarse in-building localization with smartphones
JP2017067735A (ja) 測位システム
KR100726082B1 (ko) 이동 차량의 좌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22139B1 (ko) 차량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Mainetti et al. An IoT-aware system for elderly monitoring
US117436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ystem equipment diagnosis
Watanabe et al. {RouteDetector}: Sensor-based Positioning System That Exploits {Spatio-Temporal} Regularity of Human Mobility
CN103597889B (zh) 相邻小区位置平均化
US20160070948A1 (e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 hand vein pattern
CN115668989A (zh) 一种场景识别方法及电子设备
CN106999109B (zh) 运动信息测定装置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KR10133280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 장치 및 방법
Huang et al. BlueID: Enabling robust in-car localization and on-demand personalization using Bluetoo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