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139B1 - 차량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139B1
KR102422139B1 KR1020170146004A KR20170146004A KR102422139B1 KR 102422139 B1 KR102422139 B1 KR 102422139B1 KR 1020170146004 A KR1020170146004 A KR 1020170146004A KR 20170146004 A KR20170146004 A KR 20170146004A KR 102422139 B1 KR102422139 B1 KR 102422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iot
service
iot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519A (ko
Inventor
유하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6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139B1/ko
Priority to US16/178,347 priority patent/US10742741B2/en
Priority to CN201811309502.7A priority patent/CN109747568B/zh
Publication of KR2019005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Abstract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제1분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제2분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제1분류정보 및 제2분류정보에 대응하여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중복 전달되면, 신뢰도에 대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값을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OT DEVICES ENGAGED WITH VEHICLE}
본 발명은 차량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과 연동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응하여 수집 또는 전달하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과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의 결합은 차량 내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사물인터넷은 인간과 사물 및 서비스의 세가지 분산된 환경 요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 등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을 의미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에서 구성 요소로서의 사물은 유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가전기기뿐 만 아니라, 인간, 차량, 교량, 각종 전자장비, 문화재, 자연 환경을 구성하는 물리적 사물 등이 포함되며, 사물은 물론, 현실과 가상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기기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고, 가정이나 일정 공간에서도 다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들이 구비되고 있는 바, 가정이나 일정 공간 내에 구비되는 사물인터넷 기기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 기기들이 생성하는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저장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기기(즉, 사물)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로서 사물인터넷 서버가 사용된다.
차량에 탑재되거나 차량과 연동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들은 차량 내 프로세싱 시스템 또는 차량과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가공되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요구하는 서비스는 주행, 건강, 정보 등과 관련된 폭 넓은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에 관련한 정보 혹은 데이터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차량이 수집할 수 있는 정보 혹은 데이터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중복되어 전달될 수 있고, 정보 혹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오차, 오류, 신뢰성의 차이로 인하여 데이터에 편차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품질이 낮아질 수 있다.
KR 10-2017-0023316 A KR 10-2017-0059546 A
본 발명은 다수의 사물인터넷(IoT) 기기와 연동할 수 있는 차량에 장착된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udio-Video-Navigation, AVN) 장치가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기기의 특성과 사용자 또는 탑승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의 특성을 인지하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수집 및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동하는 차량용 전자장치를 통하여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의 중복 전달을 회피할 수 있어, 사물인터넷 기기를 이용한 복수의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무선 데이터 통신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제1분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제2분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분류정보 및 상기 제2분류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중복 전달되면, 상기 신뢰도에 대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값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류정보는 착용위치, 착용형태, 제품형태, 사용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의 생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의 건강 또는 주행 안전에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위치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상기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에게 기 설정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분류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분류정보는 생체 정보, 위치 정보, 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뢰도에 대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값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신뢰도가 가장 높은 제1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매칭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항목에 매치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사물인터넷 기기보다 상기 신뢰도가 하나 낮은 제2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해당 항목에 매칭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데이터가 모두 수집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뢰도에 대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값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 중 상기 신뢰도가 가장 높은 제1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오차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 중 상기 제1 사물인터넷 기기와 다른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수집된 상기 정보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 여부와 상기 유사성에 대응하여 상기 신뢰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차 여부는 상기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USB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및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연결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전술한 기재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전술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제1분류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제2분류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제1분류정보 및 상기 제2분류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중복 전달되면, 상기 신뢰도에 대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값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부는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서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하고, 상기 제1분류정보는 착용위치, 착용형태, 제품형태, 사용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의 생체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의 건강 또는 주행 안전에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부는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서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고, 상기 확인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상기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에게 기 설정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분류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분류정보는 생체 정보, 위치 정보, 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감지하고, 상기 신뢰도가 가장 높은 제1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매칭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항목에 매치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사물인터넷 기기보다 상기 신뢰도가 하나 낮은 제2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해당 항목에 매칭하는 제2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데이터가 모두 수집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 중 상기 신뢰도가 가장 높은 제1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오차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 중 상기 제1 사물인터넷 기기와 다른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수집된 상기 정보의 유사성을 비교하며, 상기 오차 여부와 상기 유사성에 대응하여 상기 신뢰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차 여부는 상기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하거나 결과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선택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개시부; 및 상기 선택된 값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기에 전달하여 결과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와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USB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및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연결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부, 상기 결정부 및 상기 선택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유사 정보를 송출하는 다수의 사물인터넷(IoT) 장치가 연동하는 경우, 무의미한 데이터와 유의미한 데이터를 분류하고 순위화 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기기 활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서비스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정확도를 높여 사용자, 특히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자의 차량에 대한 만족도,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1은 차량과 사물인터넷 기기와의 연동을 설명한다.
도2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1예를 설명한다.
도3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설명한다.
도4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2예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차량과 사물인터넷 기기와의 연동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에는 차량 주행과 안전을 위한 카메라, 센서, 주행 제어 장치 등의 다수의 기기(12)가 탑재되거나 포함되어 있다. 차량(10)에 탑재된 다수의 기기(12)는 차량 주행 중 위치 정보, 주변 정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차량(10)에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14)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장치(14)는 차량에 탑재되어,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물인터넷(IoT) 장치가 보편화되면서, 차량(10)과 연동할 수 있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장치(20)가 운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복수의 사물인터넷 장치(20)는 태블릿(22),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24), 스마트 안경(28), 스마트 시계(26)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밴드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로 사물인터넷 장치(2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휴대하지 않더라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기들은 사물인터넷 장치(20)로서 사용될 수 있다.
차량(10) 내 멀티미디어 장치(14)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장치(20)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사물인터넷 장치(20)의 종류와 수가 증가하면서, 유사 정보를 송출하는 다수의 사물인터넷 장치가 함께 차량(10) 내 멀티미디어 장치(14)와 연동하거나 연결되는 경우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탑승자 또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스마트 밴드의 경우 착용한 사람의 활동 패턴과 관련한 칼로리 소모량, 걸음수, 이동거리, 심박수 등을 수집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 내 멀티미디어 장치(14)와 이동 통신망 혹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 홈 기기들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관련한 수면시간, 선호 온도 설정값 등을 수집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탑승자 또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스마트 안경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활동 패턴과 관련한 걸음수, 이동거리, 시력, 눈피로도 등을 수집하여 전달할 수 있으며, 건강 관련 제품이나 병원 시스템 등은 사용자의 건강 패턴, 예를 들면, 투약 이력, 질병 이력 등을 수집하여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사물인터넷 장치(20)들 중 사람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로서 스마트 안경, 스마트 밴드, 휴대용 단말기, 스마트 시계 등은 사용자의 걸음 수, 이동거리 등을 각각 수집하여 차량 내 멀티미디어 장치(14)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안경, 스마트 밴드, 휴대용 단말기, 스마트 시계 등을 사용자가 동일한 시간 동안 휴대하였다고 하더라도, 각 기기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걸음 수는 전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복수의 사물인터넷 장치(20)로부터 수집된 정보(동일한 항목의 정보, 예 사용자의 걸음 수)를 바탕으로 수행되어 사용자에 제공되는 서비스가 있는 경우, 차량 내 멀티미디어 장치(14)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장치(20)로부터 수집된 정보 중 가장 신뢰성, 신뢰도가 높은 정보를 사용하거나 전달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서는 차량 내 멀티미디어 장치(14)가 복수의 사물인터넷 장치(20)와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장치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려는 서비스의 특성을 확인하여, 사용자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특성에 맞춰 복수의 사물인터넷 장치(20)에서 수집된 정보 중 가장 신뢰성 높은 정보를 수집, 전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내 멀티미디어 장치(14)는 연결된 복수의 사물인터넷 장치(20)의 특징, 특성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사물인터넷 장치(20)들은 어떠한 특징, 특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차량 내 멀티미디어 장치(14)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교환은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기기 간의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을 통해 미리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 멀티미디어 장치(14)가 스마트 시계(26)와 연결된다면, 차량 내 멀티미디어 장치(14)는 스마트 시계(26)의 제품형태, 착용 형태, 착용 부위, 사용 용도, 사용 기능 등의 분류 정보들을 인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분류 정보들은 스마트 시계(26)가 차량 내 멀티미디어 장치(14)에 연결될 때 전송해줄 수도 있고, 스마트 시계(26)가 가지는 고유 번호 등과 같은 식별자를 전달받은 차량 내 멀티미디어 장치(14)가 식별자를 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여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분류 정보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2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1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제1분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30),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제2분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32), 제1분류정보 및 제2분류정보에 대응하여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34),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중복 전달되면, 신뢰도에 대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값을 선택하는 단계(36), 및 선택된 값을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38)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와 연동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의 경우 제1분류정보는 착용위치, 착용형태, 제품형태, 사용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의 경우 착용 위치는 손목이고, 스마트 안경의 경우 착용 위치는 얼굴일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는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의 생체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수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의 건강 또는 주행 안전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중인 차량에서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사용하여 운전자에게 휴식을 권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수행 중이라면, 해당 서비스를 위해 운전자의 체온에 관한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스마트 안경과 스마트 시계가 모두 사용자의 체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경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스마트 안경과 스마트 시계 중 어느 기기가 보다 정확한 체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와 연동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위치정보를 출력하고,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차량에 탑재된 GPS 장치를 통해서도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만약,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선호 정보 혹은 관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면,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GPS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 중에 어느 기기가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제2분류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분류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분류정보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등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제2분류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제공되는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것인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즐거움(엔터테인먼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인지,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자율 주행을 지원하기 위한 것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가 필요로 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서비스에 의해 동작되는 기기도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분류정보는 사용되는 데이터의 종류뿐만 아니라 동작되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도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신뢰도에 대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값을 선택하는 단계(36)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감지하는 단계, 신뢰도가 가장 높은 제1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매칭하는 제1단계, 및 항목에 매치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제1 사물인터넷 기기보다 신뢰도가 하나 낮은 제2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해당 항목에 매칭하는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단계는 데이터가 모두 수집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가 하나의 단순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의 신뢰도가 가장 높은 기기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나, 서비스가 요청하는 정보의 양과 종류가 다양한 경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서비스가 요청하는 정보들을 신뢰도가 높은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순서대로 채울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신뢰도에 대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값을 선택하는 단계(36)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 중 신뢰도가 가장 높은 제1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오차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 중 제1 사물인터넷 기기와 다른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수집된 정보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단계, 및 오차 여부와 유사성에 대응하여 신뢰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정보, 데이터를 무조건 신뢰하기 보다는 정보, 데이터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바탕으로 오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밴드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사람의 심박수의 범위(임계 범위)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정보에는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전달된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 스마트 밴드의 기기 신뢰도가 높더라도 오류가 있는 심박수 정보를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거나 전달할 필요가 없다.
또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특정한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수에 대한 정보가 스마트 밴드(smart band), 액티비티 트래커(activity tracker) 및 스마트 시계(smart watch)로부터 전달되는 경우에 신뢰도가 가장 높은 스마트 밴드로부터 전달된 심박수와 다른 두 기기인 액티비티 트래커 및 스마트 시계로부터 전달된 심박수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스마트 밴드로부터 전달된 심박수가 다른 두 기기에서 전달된 심박수와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스마트 밴드의 신뢰도가 높더라도 스마트 밴드에서 전달된 심박수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가 특정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오류가 있다고 추정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거나 전달할 필요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가 수신한 데이터, 정보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물인터넷 기기의 신뢰도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사물인터넷 기기의 신뢰도를 조정하지 않더라도, 신뢰도가 가장 높은 사물인터넷 기기가 아닌 차순위로 신뢰도가 높은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전달된 데이터, 정보를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거나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망은 USB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및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연결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위치하는 사물인터넷 기기와도 연동할 수 있다.
도3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3, 25, 27, 29)와 연동할 수 있다.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는 제1 사물인터넷 기기(23), 제2 사물인터넷 기기(25), 제3 사물인터넷 기기(27), 제4 사물인터넷 기기(2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물인터넷 기기(23), 제2 사물인터넷 기기(25), 제3 사물인터넷 기기(27), 제4 사물인터넷 기기(29)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동작 방식, 제품의 형태, 사용빈도 등이 모두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1 사물인터넷 기기(23), 제2 사물인터넷 기기(25), 제3 사물인터넷 기기(27), 제4 사물인터넷 기기(29)는 서로 다른 데이터,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나, 일부 데이터, 정보에 대해서는 각각 수집하여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에 전달할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3, 25, 27, 29)에 대한 제1분류정보 및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3, 25, 27, 29)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제2분류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42), 제1분류정보 및 제2분류정보에 대응하여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3, 25, 27, 29)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결정부(44), 및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3, 25, 27, 29)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중복 전달되면, 신뢰도에 대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값을 선택하는 선택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 내 확인부(42)가 연동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3, 25, 27, 29)가 웨어러블 기기인 경우, 제1분류정보는 착용위치, 착용형태, 제품형태, 사용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부(42)가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의 생체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의 건강 또는 주행 안전에 관련될 수 있다.
확인부(42)가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3, 25, 27, 29)로서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는 경우, 확인부(42)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에게 기 설정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제2분류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분류정보는 생체 정보, 위치 정보, 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분류정보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의해 제어되는 사물인터넷 기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 내 선택부(48)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감지할 수 있다. 선택부(48)는 신뢰도가 가장 높은 제1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매칭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항목에 매치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제1 사물인터넷 기기보다 신뢰도가 하나 낮은 제2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해당 항목에 매칭하는 제2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단계는 데이터가 모두 수집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는 연동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3, 25, 27, 29)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정보의 오류를 확인할 수 있다. 선택부(48)는 먼저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3, 25, 27, 29) 중 신뢰도가 가장 높은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오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가 정보 자체가 가질 수 있는 값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신뢰하기 어렵다. 또한, 선택부(48)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3, 25, 27, 29) 중 신뢰도가 가장 높은 사물인터넷 기기와 그 외 다른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수집된 정보의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다. 신뢰도가 가장 높은 사물인터넷 기기가 전달한 정보가 다른 사물인터넷 기기가 전달한 정보 사이에 격차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클 경우, 선택부(48)는 신뢰도가 가장 높은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신뢰성을 의심할 수 있다.
선택부(44)는 선택부(48)의 신뢰도 점검 결과에 대응하여 신뢰도가 가장 높은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차순위 신뢰도를 가진 사물인터넷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정보에 대한 선택부(44)의 신뢰도 점검 결과에 대응하여 결정부(44)는 오차 여부와 유사성에 대응하여 사물인터넷 기기의 신뢰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하거나 결과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는 마이크, 버튼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탑승자로부터 요청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는 스피커, 스크린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결과를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는 선택부(48)에 의해 선택된 값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개시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가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가 운전자 또는 탑승자로부터 요청된 경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는 수집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를 통해 요청된 서비스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가 수행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는 선택부(48)에 의해 선택된 값을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기(예, 네트워크 서버(40))에 전달하여 결과를 수신하는 전송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3, 25, 27, 29)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무선 통신망은 USB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및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연결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차량과 원거리에 위치하는 사물인터넷 기기와도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에 포함된 확인부(42), 결정부(44) 및 선택부(48)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과 컴퓨팅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 내 프로세싱 시스템은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 내 확인부(42)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3, 25, 27, 29)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아 분류하는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부(42)가 수신하는 분류 정보는 착용위치, 착용형태, 제품형태, 사용빈도 등일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 내 서비스 개시부(46)는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개시부(46)에서 수행하는 서비스에 대한 분류 정보는 확인부(42)에 전달될 수 있다. 서비스에 대한 분류 정보는 서비스 종류,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 내 결정부(44) 및 선택부(48)는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판단과 선택을 할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4)는 확인부(42)를 통해 수신되는 분류 정보를 바탕으로 어떠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사용하거나 전달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도4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2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복수일 수 있다(52). 이 경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선택하고 분류할 필요가 있다.
먼저, 사물인터넷(IoT) 기기의 분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54). 또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정보를 바탕으로 동작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56). 이후, 서비스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복수인지 확인할 수 있다(58).
만약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복수가 아닌 경우, 전달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68).
반대로,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복수가 아닌 경우 사물인터넷 기기의 분류 정보와 동작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연결된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의 신뢰도를 판단(예, Dev0 , Dev1, Dev2, … Devn의 경우, Dev0는 가장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Devn는 가장 낮은 신뢰도를 가질 수 있다)하여 신뢰도가 높은 순서의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전달된 정보를 우선 사용할 수 있다(60). 이때, 신뢰도가 가장 높은 사물인터넷 기기의 데이터를 우선 사용하더라도, 다른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수신을 차단하지는 않는다(60).
신뢰도가 가장 높은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송신한 데이터에서 전송한 정보에 오차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오차가 없다고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68).
만약, 오차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신뢰도가 가장 높은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전달된 데이터와 다른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전달된 데이터의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64). 만약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신뢰도가 가장 높은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전달된 데이터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고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68).
만약, 신뢰도가 가장 높은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전달된 데이터와 다른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전달된 데이터의 유사성이 낮은 경우, 신뢰도가 가장 높은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전달된 데이터에 문제가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차순위의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사물인터넷 기기를 선정할 수 있다(66).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가 신뢰도를 산출하는 방법은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마다 기기 분류 정보 별로 신뢰도 값을 사전 정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신뢰도는 사용자가 본인의 선호도/생활 패턴에 맞춰 수정할 수도 있다. 또한, 신뢰도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에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가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가 송신 정보 오차 발생(신뢰성 의심) 검출 방법은 수신되는 정보값의 신뢰성 판단 기준을 신뢰구간 95%, 99% 등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신뢰구간의 범위값은 개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파라미터로 정의할 수도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가 유사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현재 서비스에 사용하고 있지 않은 차상위 신뢰도를 가지는 사물인터넷(IOT) 기기들과의 연결도 계속 유지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며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에 이용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기에서 송신하는 데이터의 신뢰성이 의심되는 경우, 서비스에 사용하고 있지 않은 사물인터넷(IOT) 기기들과의 데이터 상관분석(data correlation) 등을 통하여 데이터 유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에에 따라, 필요 정보를 송신하는 기기가 복수인 경우, 사물인터넷(IoT) 기기의 분류정보 기준으로 신뢰도를 판단하여 신뢰도가 높은 순서로 복수의 사물 인터넷 기기를 Devn , Devn -1, Devn-2, … Dev0 등으로 지정할 수 있다 만약, 심박수를 이용한 응급 SOS 서비스 중인 경우, 심박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기는 시계형(Dev0), 자켓형(Dev1), 안경형(Dev2)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뢰도가 가장 높은 시계형으로부터 심박수 정보를 가져와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단, 쟈켓형과 안경형과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와의 연결은 유지하고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쟈켓형과 안경형에서 송신하는 심박수 정보를 지속 수신하여 데이터를 누적할 수 있다. 이때, 시계형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심박수에 오차 발생으로 신뢰성이 의심되는 경우, 나머지 기기인 쟈켓형과 안경형에서 전송하던 누적 데이터와 시계형 에서 송신하는 정보의 데이터 간의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상관 계수가 특정값 이상일 경우, 유사하다고 판단하여 응급 SOS서비스를 개시하여 서비스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관 계수 값은 각 서비스 특성 별로 별도 파라미터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오류 최소화 필요한 중요 서비스의 경우 상관 계수를 을 1에 가까운 값으로 결정할 수 있고, 오류 최소화에 예민하지 않은 일반 서비스의 경우에는 상관 계수를 0.8 정도의 평균값으로 정할 수 있다. 즉,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정보를 사용하는 서비스에 따라 상관성, 유사성을 결정하는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만약 데이터의 유사성이 떨어지는 경우 시계형(Dev0) 장치에 오류/고장이 있음을 의심하여 서비스 사용에서 제외하고 차상위 신뢰도 보유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사물인터넷(IoT) 기기가 보편화되면서, 유사 정보를 송출하는 다수의 사물인터넷 기기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무의미한 데이터와 유의미한 데이터를 분류하고 순위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를 통해,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0, 22, 23, 24, 25, 26, 27, 28, 29: 사물인터넷 기기
14: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10: 차량 40: 네트워크 서버

Claims (27)

  1.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제1분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제2분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분류정보 및 상기 제2분류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중복 전달되면, 상기 신뢰도에 대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값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류정보는 착용위치, 착용형태, 제품형태, 사용빈도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의 생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의 건강 또는 주행 안전에 관련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위치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상기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에게 기 설정된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류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류정보는 생체 정보, 위치 정보, 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에 따라 구분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에 대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값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신뢰도가 가장 높은 제1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매칭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항목에 매치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사물인터넷 기기보다 상기 신뢰도가 하나 낮은 제2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해당 항목에 매칭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데이터가 모두 수집될 때까지 반복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에 대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값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 중 상기 신뢰도가 가장 높은 제1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오차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 중 상기 제1 사물인터넷 기기와 다른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수집된 상기 정보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 여부와 상기 유사성에 대응하여 상기 신뢰도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여부는 상기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가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USB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및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연결방식을 지원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
  12.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제1항,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응용 프로그램.
  13.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제1항,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제1분류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제2분류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제1분류정보 및 상기 제2분류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중복 전달되면, 상기 신뢰도에 대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달된 값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부는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서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하고,
    상기 제1분류정보는 착용위치, 착용형태, 제품형태, 사용빈도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의 생체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의 건강 또는 주행 안전에 관련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로서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고,
    상기 확인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는 상기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차량 내 운전자, 탑승자에게 기 설정된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류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류정보는 생체 정보, 위치 정보, 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에 따라 구분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감지하고,
    상기 신뢰도가 가장 높은 제1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매칭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항목에 매치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사물인터넷 기기보다 상기 신뢰도가 하나 낮은 제2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해당 항목에 매칭하는 제2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데이터가 모두 수집될 때까지 반복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 중 상기 신뢰도가 가장 높은 제1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오차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 중 상기 제1 사물인터넷 기기와 다른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수집된 상기 정보의 유사성을 비교하며,
    상기 오차 여부와 상기 유사성에 대응하여 상기 신뢰도를 조정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여부는 상기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가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하거나 결과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선택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개시부; 및
    상기 선택된 값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기에 전달하여 결과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USB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및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연결방식을 지원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 상기 결정부 및 상기 선택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KR1020170146004A 2017-11-03 2017-11-03 차량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22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04A KR102422139B1 (ko) 2017-11-03 2017-11-03 차량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6/178,347 US10742741B2 (en) 2017-11-03 2018-11-0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oT devices interlocked with vehicle
CN201811309502.7A CN109747568B (zh) 2017-11-03 2018-11-05 用于控制与车辆联动的物联网设备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04A KR102422139B1 (ko) 2017-11-03 2017-11-03 차량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519A KR20190050519A (ko) 2019-05-13
KR102422139B1 true KR102422139B1 (ko) 2022-07-18

Family

ID=6632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004A KR102422139B1 (ko) 2017-11-03 2017-11-03 차량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42741B2 (ko)
KR (1) KR102422139B1 (ko)
CN (1) CN1097475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7738B2 (en) 2019-02-18 2023-04-25 Sap Se Logical networking and affinity determination of IoT devices using partitioned virtual space
US11330048B2 (en) * 2019-02-18 2022-05-10 Sap Se Affinity determination and logical networking of IoT devices
US11102064B2 (en) * 2019-08-28 2021-08-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ally adapting a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CN113485206A (zh) * 2021-08-06 2021-10-08 时代云英(重庆)科技有限公司 一种可扩展的物联网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87783A1 (en) * 2015-12-24 2017-06-29 Intel Corporation Measurements exchange network, such as for internet-of-things (IoT) devices
US20170289253A1 (en) * 2016-04-01 2017-10-05 Ralf Graefe Sensor data search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2611B1 (en) * 2011-04-06 2017-06-27 Google Inc. Context-based sensor selection
US20130124009A1 (en) * 2011-11-14 2013-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ersonal settings on a vehicle
KR20150054505A (ko) 2013-11-12 2015-05-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가전기기들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서버 및 홈 가전기기들에 대한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US9989942B2 (en) 2013-12-3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Preemptively triggering a device action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based on a motion-based prediction of a user initiating the device action
WO2015183014A1 (en) 2014-05-28 2015-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WO2016148356A1 (ko) * 2015-03-13 2016-09-22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의 센서 제어 방법
KR101678606B1 (ko) 2015-06-15 2016-12-06 (주)엔텔스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14516B1 (ko) * 2015-07-27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에 구비된 전자장치, 그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70023316A (ko) 2015-08-20 2017-03-03 주식회사 케이티 다수의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복합적인 데이터를 메시업하여 처리하는 방법
KR20170059546A (ko) 2015-11-20 2017-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oT 사물 및 IoT 서비스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1782225B1 (ko) 2015-11-30 2017-09-2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사물 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778524B1 (ko) 2016-01-26 2017-10-16 (주)심플랫폼 클라우드 기반 사물인터넷 미들웨어 시스템
CN105959021A (zh) * 2016-05-31 2016-09-21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车载诊断处理方法和终端
US20180232643A1 (en) * 2017-02-10 2018-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ying user engagement based upon emotional st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87783A1 (en) * 2015-12-24 2017-06-29 Intel Corporation Measurements exchange network, such as for internet-of-things (IoT) devices
US20170289253A1 (en) * 2016-04-01 2017-10-05 Ralf Graefe Sensor data search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41132A1 (en) 2019-05-09
US10742741B2 (en) 2020-08-11
CN109747568A (zh) 2019-05-14
KR20190050519A (ko) 2019-05-13
CN109747568B (zh)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139B1 (ko) 차량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51425B2 (en) Smart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mart terminal processing data
US9508259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180222B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343682B2 (en) Vehicle operation based on activity tracking
US9386401B2 (en) Proximity-based sensing, communicating, and processing of user physiologic information
KR101575051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2446811B1 (ko) 복수의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통합 및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EP2998822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plurality of wearable devices in parallel
US10660395B2 (en) Smart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mart terminal processing data
US10068396B2 (en) Light-based security systems
US1035455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468984B2 (en) Device, method and application for establishing a current load level
KR20180102870A (ko)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9270627B1 (en) Light-based messaging systems
JPWO2009075294A1 (ja) 危険度予測システム及び方法
US10395453B1 (en) Light-based vehicle messaging systems
KR20180028358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2010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19010250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15548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487208B1 (ko) 푸시 방식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제공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KR102475626B1 (ko) 스마트 단말 서비스 시스템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스마트 단말기
US11265391B1 (en) Medical service provider rapid response system
KR20220017295A (ko) 행동 인지(activity recognition, AR)를 이용한 로케이션 히스토리 결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