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507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507A
KR20190102507A KR1020180022967A KR20180022967A KR20190102507A KR 20190102507 A KR20190102507 A KR 20190102507A KR 1020180022967 A KR1020180022967 A KR 1020180022967A KR 20180022967 A KR20180022967 A KR 20180022967A KR 20190102507 A KR20190102507 A KR 20190102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display apparatus
communication
recomm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594B1 (ko
Inventor
이호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594B1/ko
Priority to US16/284,067 priority patent/US11228815B2/en
Publication of KR2019010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딥러닝 등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 및 그 응용에 관련된 것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는 범위인 유효 존(available zone)에 위치한 제 1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제 2 장치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장치로부터 제 1 장치와 연결된 제 2 장치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장치로부터 수신한 통신 신호 및 제 1 장치와 제 2 장치의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장치가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시청인원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학습(딥러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인공지능 기술이 응용되는 다양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언어적 이해는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고 응용/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처리, 기계 번역, 대화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합성 등을 포함한다. 시각적 이해는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술로서, 객체 인식, 객체 추적, 영상 검색, 사람 인식, 장면 이해, 공간 이해, 영상 개선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정보를 지식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지식 구축(데이터 생성/분류), 지식 관리(데이터 활용) 등을 포함한다. 동작 제어는 차량의 자율 주행,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움직임 제어(항법, 충돌, 주행), 조작 제어(행동 제어) 등을 포함한다.
통신 기술과 다양한 미디어의 발전과 더불어 방송 통신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근래의 멀티미디어(Multimedia)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소비 형태를 근거로 하여 적절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적합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 티비를 시청하는 시청자를 판단하고, 시청자의 관심사에 해당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것은 방송 통신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관심사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시청자의 수를 판단하고, 맞춤형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개시에 의하여,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는 범위인 유효 존(available zone)에 위치한 제 1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제 1 장치로부터 제 1 장치와 연결된 제 2 장치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장치와 제 2 장치의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장치가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 맞춤형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는 범위인 유효 존에 위치한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유효 존에 위치한 제 1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제 1 장치로부터 제 1 장치와 연결된 제 2 장치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장치와 제 2 장치의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장치가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3 개시에 의하여, 일 개시에 의하여 개시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인원을 결정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시청인원 결정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한 제 1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유효 존에 위치한 단말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제 1 장치와 다른 장치들의 연결 신호 세기의 관계의 예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 1 장치에 대한 맞춤형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개시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유효 존에서 새로운 장치를 인식한 경우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개시에 의한, 복수개의 장치가 유효 존에 위치한 경우, 시청 인원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개시에 의한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개시에 의한 가족 모드에서 시작하는 경우 제공되는 맞춤형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개시에 의한 가족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제공되는 맞춤형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인원을 결정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TV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콘텐트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에 의해 제공되는 방송 콘텐트이거나, VOD(Video On Demand)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VOD 콘텐트일 수 있다.
제 1 장치(210) 또는 제 2 장치(220)는 사용자가 휴대 또는 착용 가능한 다양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장치(210) 또는 제 2 장치(22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콘텐트를 출력하는 동안, 제 1 장치(210) 및 제 2 장치(220)의 사용자는 콘텐트를 시청하거나,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 1 장치(210) 및 제 2 장치(220)만을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위에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이 존재할 수 있고, 전자 기기들 각각의 사용자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채널 또는 인터넷을 통해 콘텐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 기기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콘텐트가 저장되어 있고, 저장된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콘텐트는 콘텐트를 식별하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 정보에 기초해 출력 중인 콘텐트를 식별할 수 있다.
제 1 장치(210)는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장치(210)는 예를 들면, 손목 시계, 안경, 이어폰, 반지, 팔찌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센싱 정보는 제 1 장치(2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장치(2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자기계(magnetomet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관성 측정 유닛(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바이오 센서, 제스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싱 정보는 제 1 장치(210)가 감지한 가속도 정보, 자이로 정보, 자기 정보, 생체 신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정보, 자이로 정보, 자기 정보는 각각 x, y, z축에 대한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장치(210)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이나 저전력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의 예로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비콘 신호는 BLE 기반의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와 페어링이 없더라도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 1 장치(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호를 시간에 따라 이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신호에 포함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장치(210)가 유효 존(available zone)(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 세기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강도 지표일 수 있다.
유효 존(30)이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유효 존(3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의 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크린의 시야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존재하는 공간의 구조, 예를 들어, 벽의 유무 등에 기초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유효 존(30) 내에 있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고, 유효 존(30) 밖에 있으면 콘텐트를 시청할 수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1 장치(210)가 유효 존(30) 내에 있다고 판단하면, 제 1 장치(210)의 사용자가 콘텐트를 시청 중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1 장치(210)가 유효 존(30) 밖에 있다고 판단하면, 제 1 장치(210)의 사용자는 콘텐트를 시청하지 않는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1 장치(210)가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는 콘텐트를 시청하는 인원의 측정의 자료가 될 수 있다. 이하, 명세서에서 "판단 결과"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1 장치(210)가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블루투스 신호 연결에 기초하여 제 1 장치(21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신호에 포함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장치(210)가 유효 존(available zone)(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 세기는 블루투스 수신 신호 강도 지표일 수 있다.
블루투스는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 정도의 거리를 둔 정보기기 사이에, 전파를 이용해서 간단한 정보를 교환하는데 사용된다. PANs의 산업 표준중 하나인 블루투스는 ISM 대역인 2.45GHz를 사용한다. 버전 1.1과 1.2의 경우 속도가 723.1kbps에 달하며, 버전 2.0의 경우 EDR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통해 2.1Mbps의 속도를 낼 수 있다. 블루투스는 RS -232, 유선 USB를 대체하는 개념이며 이는 와이파이이더넷을 대체하는 개념과 유사하다. 암호화에는 SAFER을 사용한다. 복수개의 장치끼리 믿음직한 연결을 성립하려면 키워드를 이용한 페어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블루투스 1.1 버전은 802.15.1 IEEE 표준으로 승인되었고, 비 암호화 채널(non-encrypted channels)을 지원할 수 있으며,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블루투스 1.2 버전은 블루투스 1.1 버전과 호환되며, 패킷의 오류나 재전송에 따른 음성이나 음원신호의 quality손실을 막는 Extended Synchronous Connections (eSCO)를 지원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개의 장치들이 주고받는 블루투스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의 송수신 신호 세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복수개의 장치들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신호는 블루투스 연결 신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인 경우, 제 1 장치(210)로부터 제 1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원 온(ON)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가 유효 존(30) 내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전원 온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 1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제 1 장치(210)와 연결된 제 2 장치(220)의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장치(210)와 제 2 장치(220)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와 제 2 장치(220)의 연결 세기가 소정의 세기 이상이고, 제 1 장치(210)와 제 2 장치(220)의 연결 지속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인 경우 제 2 장치(220)가 유효 존(30)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의 사용자 및 제 2 장치(220)의 사용자를 시청인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시청인원 결정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블록 210에서 일 개시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개시에 의하여,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는 범위인 유효 존(available zone)에 위치한 제 1 장치(21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제 1 장치(210)의 사용자를 시청인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블록 220에서 일 개시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제 1 장치(210)와 연결된 제 2 장치(220)의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제 1 장치(210)와 제 2 장치(220)의 연결 세기, 연결 지속 시간, 제 2 장치(220)의 위치 및 동작을 센싱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제 2 장치(220)와의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제 2 장치(220)의 자이로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자기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장치(220)가 유효 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장치(220)의 센싱 정보의 변동이 큰 지점에서 제 2 장치(220)가 이동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를 전처리(pre-processing)하거나, 수신된 신호에 기초해 판단한 결과를 보정함으로써, 판단 결과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신호에 기초해 제 2 장치(220)가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간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이산적(discrete)으로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산적으로 수신된 신호들을 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전처리는 예를 들어 데이터 스무딩(smoothing), 이동 평균(moving average), 윈도잉(windowing)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처리를 위한 윈도우 크기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k-폴드 교차 검증을 통해 최적의 윈도우 크기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 세기를 전처리하거나, 센싱 정보를 전처리하거나,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센싱 정보를 전처리할 수 있다. 전처리를 통해 판단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오검출 비율(miss detection rate)이 감소될 수 있다.
블록 230에서 일 개시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장치(220)가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와 제 2 장치(220)의 연결 세기가 소정의 세기 이상이고, 제 1 장치(210)와 제 2 장치(220)의 연결 지속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인 경우 제 2 장치(220)가 유효 존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한 제 1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제 1 장치의 사용자 정보(21), 제 1 장치의 센싱 정보(22),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 세기(23), 제 2 장치와의 연결 지속 시간(24), 제 2 장치의 움직임을 센싱한 정보(25) 및 제 2 장치와의 관계에 대한 정보(26)를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장치의 사용자 정보(21)는 제 1 장치(210)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장치의 사용자 정보(21)는 제 1 사용자의 개인 정보, 제 1 사용자의 컨텐트 시청 이력 정보, 제 1 장치에서 사용한 애플리케이션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장치의 센싱 정보(22)는 제 1 장치(210)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 제 1 장치(210)의 동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해 제 1 장치(210)의 움직임, 자세(orientation), 방향(direction), 또는 위치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해 제 1 장치(210)의 움직임의 크기 또는 움직임의 빈도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센싱 정보에 포함된 가속도 정보 또는 자이로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가 움직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는, 센싱 정보에 포함된 가속도 정보 또는 자이로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가 유효 존에 없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해 제 1 장치(210)의 사용자의 행동을 추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행동은 예를 들어 걷기, 잠자기, 식사 등 다양할 수 있다.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제 1 장치(210)의 센싱 정보는 특정한 패턴 또는 특정한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행동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의 패턴 또는 범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센싱 정보에 매칭되는 사용자 행동을 추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 세기(23)는 제 1 장치(210)가 제 2 장치(220)로부터 수신하는 송신 신호의 강도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 세기(23)를 이용하여 제 2 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장치(220)의 송신 전력 세기(23)의 강도가 셀 수록, 제 1 장치(210)와 제 2 장치(220)가 근접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2 장치와의 연결 지속 시간(24)은 제 1 장치(210)와 제 2 장치(220)의 연결이 지속된 시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장치와의 연결 지속 시간(24)이 임계값 이하에 해당한다면, 제 2 장치(220)가 제 1 장치(210)의 주변에서 이동했다고 판단하여, 제 2 장치(220)가 유효 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2 장치의 움직임을 센싱한 정보(25)는 제 1 장치(210)가 제 2 장치(220)의 움직임을 센싱한 정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장치의 움직임을 센싱한 정보(25)에 기초해 제 2 장치(220)의 움직임, 자세(orientation), 방향(direction), 또는 위치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장치의 움직임을 센싱한 정보(25)에 기초해 제 2 장치(220)의 움직임의 크기 또는 움직임의 빈도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센싱 정보에 포함된 가속도 정보 또는 자이로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장치(220)가 움직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는, 센싱 정보에 포함된 가속도 정보 또는 자이로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장치(220)가 유효 존에 없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2 장치와의 관계에 대한 정보(26)는 제 1 장치(210)와 제 2 장치(220)의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장치와의 관계에 대한 정보(26)를 이용하여 제 1 장치(210)의 사용자와 제 2 장치(220)의 사용자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장치와의 관계에 대한 정보(26)를 이용하여 추천 컨텐트 및 추천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유효 존에 위치한 단말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반경에 포함된 장치들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워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근하는 경우, 스마트 워치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하는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로부터 스마트 워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얼만큼 근접해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할 수 있는 영역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할 수 없는 사각지대 영역에 상관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근접한 장치들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개의 장치(210, 220, 230 및 24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개의 장치(210, 220, 230 및 240)로부터 수신한 블루투스 통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장치(210, 220, 230 및 240) 각각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개의 장치(210, 220, 230 및 240) 로부터 소정의 세기 이상으로, 소정의 시간 이상 통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복수개의 장치(210, 220, 230 및 24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4 장치(240)으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제 2 장치(220)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신호의 세기 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 제 4 장치(240)가 제 2 장치(220)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깝게 위치해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4 장치(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뒤쪽, 즉 유효 존(30) 밖에 위치하며, 제 2 장치(220)는 유효 존(30)에 위치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하는 블루투스 신호 강도만으로는 복수개의 장치(210, 220, 230 및 240)가 유효 시청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 아래에서, 복수개의 장치(210, 220, 230 및 240)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장치(210, 220, 230 및 240)가 유효 존(30)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개의 장치 중 유효 존(30)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장치의 사용자를 시청인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 및 제 2 장치(220)를 유효 시청 단말로 판단하고, 제 3 장치(230) 및 제 4 장치(240)는 유효하지 않은 시청 단말로 판단할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개의 장치(210, 220, 230 및 240)로부터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개의 장치(210, 220, 230 및 240)로부터의 통신 신호가 소정의 세기 이상으로, 소정의 시간 이상 연결되는 경우 복 세기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장치(210, 220, 230 및 240)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장치(210)의 위치 P1(x1, y1)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의 위치 P1(x1, y1)로부터 제 1 장치(2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인 L1을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장치(210)는 제 2 장치(220) 및 제 3 장치(23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장치(210)는 제 2 장치(220) 및 제 3 장치(23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장치(210)는 제 2 장치(220) 및 제 3 장치(230)의 위치 및 동작을 센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장치(210)는 제 2 장치(220)의 위치 P2(x2, y2)를 결정하고, 제 3 장치(230)의 위치 P3(x3, y3)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제 2 장치(220)의 위치 P2(x2, y2), 제 3 장치(230)의 위치 P3(x3, y3) 및 제 4 장치(240)의 위치 P4(x4, y4)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장치(220)의 위치 P2(x2, y2)를 이용하여 제 2 장치(22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사이의 거리인 L2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3 장치(230)의 위치 P3(x3, y3)를 이용하여 제 3 장치(23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인 L3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4 장치(240)의 위치 P4(x4, y4)를 이용하여 제 4 장치(24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인 L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L1, L2, L3 및 L4를 이용하여 제 1 장치(210), 제 2 장치(220), 제 3 장치(230) 및 제 4 장치(240)가 유효 존(30)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효 존(30)으로 설정된 거리보다 멀리 위치한 제 3 장치(230)를 유효 존(30)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와 제 4 장치(240)의 거리가 유효 존(30)으로 설정된 거리보다 멀리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4 장치(24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있더라도, 유효 존(30)에 위치한 제 1 장치(210)를 기준으로 제 4 장치(240)가 멀리 위치해 있어, 유효 존(30)에 포함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4 장치(240)는 유효 존(30)이 아닌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근접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4 장치(24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위치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4 장치(240)로부터 수신한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세더라도, 제 1 장치(210)와 제 4 장치(240)의 통신 신호가 소정의 세기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 4 장치(240)의 사용자가 유효 시청자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제 1 장치와 다른 장치들의 연결 신호 세기의 관계의 예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도 5는 제 1 장치(210)이 A 장치장치 내지 F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 세기(signal strength)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거실에 존재하는 집 내부에서, 제 1 장치(210)이 각각 다른 장소에 위치한 A 장치장치 내지 F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존재하는 거실이 유효 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장치(210)이 다른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신호 세기는 위치에 따라 다른 범위 또는 다른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이 수신한 신호 세기에 기초해 다른 장치가 유효 존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A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 세기가 미리 결정된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 장치가 유효존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장치에 대한 맞춤형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이 유효 존에 위치한 경우, 제 1 장치(210)의 제 1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화면인 제 1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화면은 제 1 사용자의 최근 시청 내역 및 제 1 장치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S헬스 등의 개인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하여, 제 1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화면은 제 1 사용자를 위한 추천 컨텐트 및 추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사용자의 시청 이력 및 검색 이력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를 위한 추천 컨텐트 및 추천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사용자의 시청 이력 및 검색 이력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의 관심도를 학습한 결과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추천 애플리케이션 및 추천 컨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제 1 장치(210)와 제 2 장치(220)의 커뮤니케이션 정보에서 컨텐트의 시청 이력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트의 시청 기간, 컨텐트의 시청 횟수, 컨텐트의 종류, 컨텐트의 장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기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 및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컨텐트 및 애플리케이션에 가중치 정보를 부여하고,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추천 애플리케이션 및 추천 컨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제 1 사용자의 시청 이력 및 검색 이력 등을 포함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추천 모델 및 애플리케이션 추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컨텐트 추천 모델 및 애플리케이션 추천 모델은 미리 구축된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 추천 모델 및 애플리케이션 추천 모델은 기본 학습 데이터(예를 들어, 샘플 컨텐트 등)을 입력 받아 미리 구축된 모델일 수 있다. 컨텐트 추천 모델 및 애플리케이션 추천 모델은, 인식 모델의 적용 분야, 학습의 목적 또는 장치의 컴퓨터 성능 등을 고려하여 구축될 수 있다. 데이터 인식 모델은, 예를 들어, 신경망(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일 수 있다. 예컨대,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과 같은 모델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별도의 윈도우(601)를 이용하여 제 1 사용자가 사용한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사용자가 사용한 애플리케이션을 소정의 기준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의 기간 동안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회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 1의 아이콘(601)은 실행회수가 제일 적기 때문에, 제일 마지막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일 개시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유효 존에서 새로운 단말을 인식한 경우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효 존에 새로운 시청자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알림 메시지(701)를 표시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701)는 새로운 시청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등록된 시청자 A가 유효 존에 위치한 경우, 알림 메시지(701)는 시청자 A에 대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청자 A의 계정에 연결된 메시지(702)에 대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청자 A의 계정에 연결된 메시지(702) 중 확인하지 않은 메시지의 수(703)를 표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알림 메시지(701)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701)의 상세 내역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알림 메시지(701)를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일 개시에 의한, 복수개의 장치가 유효 존에 위치한 경우, 시청 인원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 제 1 장치(210) 및 제 2 장치(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 및 제 2 장치(22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와 일정 시간 이상으로 일정 세기 이상의 통신 연결을 유지하는 동시에 제 2 장치(220)와 일정 시간 이상으로 일정 세기 이상의 통신 연결을 유지하는 경우, 제 1 장치(210) 및 제 2 장치(220)가 유효 존(30)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장치(210)는 제 1-1 장치(212) 및 제 1-2 장치(214)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장치(210)는 제 1-1 장치(212) 및 제 1-2 장치(214)와 소정의 세기 이상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연결이 수립된 상태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제 1 장치(210)가 제 1-1 장치(212) 및 제 1-2 장치(214)와 연결되어있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와 제 1-1 장치(212) 사이의 연결 세기, 연결 강도, 제 1-1 장치(212)의 위치정보, 이동 정보 등에 기초하여 제 1-1 장치(212)가 유효 존(30)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2 장치(214)가 유효 존(30)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2 장치(220)는 제 2-1 장치(222)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2 장치(220)는 제 2-1 장치(222)와 소정의 세기 이상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태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장치(220)로부터 제 2 장치(220)가 제 2-1 장치(222) 사이의 연결 세기, 연결 강도, 제 2-1 장치(222)의 위치정보, 이동 정보 등에 기초하여 제 2-1 장치(222)가 유효 존(30)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총 5개의 장치가 컨텐트를 시청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5개 장치의 커뮤니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맞춤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우선적으로 제 1 장치(210)와 제 2 장치(220)의 커뮤니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맞춤형 화면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와 제 2 장치(220)에 연결된 다른 장치들의 개수에 가중치를 두어 맞춤형 화면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장치(210)에 연결된 다른 장치의 수가 더 많은 바, 제 1 장치(210)의 사용자 정보에 더 많은 가중치를 부가하여 추천 컨텐트 및 추천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 개시에 의한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개의 장치가 유효 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유효 존에 위치한 장치들의 정보에 기반하여 맞춤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효 존에 위치한 복수의 장치들의 관계성을 학습한 결과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장치들의 공통 관심사를 반영한 추천 컨텐트 및 추천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효 존에 위치한 복수개의 장치의 사용자들의 공통적인 정보가 10대 청소년임을 도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10 대 청소년들 사이에서 인기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는 메시지(901), 인기 컨텐트를 추천하는 메시지(90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장치 중 어느 한 사용자의 최근 시청 내역(903) 및 상세 시청내역(904)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개시에 의하여, 복수개의 장치가 한꺼번에 접속했던 연결 내역을 확인하여, 복수개의 장치의 시청 내역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일 개시에 의한 가족 모드에서 시작하는 경우 제공되는 맞춤형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동안, 제 1 장치(210)로부터 제 2 장치(220)의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할 수 있는 유효 존에 복수의 사용자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제 1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원 온(ON)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가족 모드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가족 모드는 복수의 시청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는 경우 표시되도록 설정된 화면일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가족 모드의 화면에서는, 등록된 사용자의 수를 표시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시지(1001)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알림 메시지(1002)를 통해 가족 모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동작됨을 알릴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 등록된 사용자들의 취향을 고려한 위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메시지(1003), 가족 모드에서의 컨텐트 추천 메시지(1004) 및 가족모드에서 최근 시청한 내역을 포함한 메시지(10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일 개시에 의한 가족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제공되는 맞춤형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개인 모드로 맞춤형 화면을 제공하다가, 새로운 시청자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가족모드로 전환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알림 메시지(1101)를 통해 새로운 시청자의 추가를 알릴 수 있다. 알림 메시지(1101)는 미리 등록된 시청자가 추가된 경우, 시청자의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가 알림 메시지(1102)를 통해 새로운 시청자의 추가로 인해 가족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족모드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목록(1103)을 표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목록(1103)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최근 실행된 순서, 실행 횟수, 사용자의 입력 등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목록(1103)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프로세서(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통신부(110)는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는 범위인 유효 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장치, 셋톱박스, 서버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기기와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의 예로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유선 통신 기술의 예로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의 기지국, 외부의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의 예로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 맞춤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TV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콘텐트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에 의해 제공되는 방송 콘텐트이거나, VOD(Video On Demand)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VOD 콘텐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채널 또는 인터넷을 통해 콘텐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 기기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콘텐트가 저장되어 있고, 저장된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콘텐트는 콘텐트를 식별하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 정보에 기초해 출력 중인 콘텐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프로세서(130)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유효 존에 위치한 제 1 장치(21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제 1 장치(210)로부터 제 1 장치(210)와 연결된 제 2 장치(220)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장치(210)와 제 2 장치(220)의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장치(220)가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메모리(140)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컨텐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되는 가이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100)는 가이드 정보의 출력 여부 판단을 위한 특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도 13에 개시된 제 1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장치로서, 유효 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수립하는 제 1 장치(210)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장치(210)는, 메모리(1100), 디스플레이부(1210), 카메라(1610) 및 프로세서(1300), 출력부(1200), 통신부(1500), 센싱부(1400), A/V 입력부(1600) 및 사용자 입력부(17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0)는, 프로세서(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제 1 장치(210)로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제 1 장치(210)로부터 출력되는 가이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100)는 가이드 정보의 출력 여부 판단을 위한 특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110), 터치 스크린 모듈(1120), 알림 모듈(11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1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제 1 장치(21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1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1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1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1130)은 제 1 장치(21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1 장치(2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1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모듈(1130)은 추정된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제 1 장치(2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10)는 카메라(161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0)는 프로세서(1300)에서 생성된 가이드 정보를 촬영된 이미지에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에 관련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1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제 1 장치(21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220)는 프로세서(1300)의 제어에 의해 알림 모듈(1130)에서 신호로 발생된 가이드 정보를 음향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0)는, 통상적으로 제 1 장치(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7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7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제 1 장치(21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제 1 장치(210)의 상태 또는 제 1 장치(21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및 RGB 센서(RGB sensor)(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1400)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차량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통신부(1500)는, 제 1 장치(210)가 다른 장치(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미도시)는 제 1 장치(21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부(1510)는 차량에 포함된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로 개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제 1 장치(210)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처된 이미지는 프로세서(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1610)는 차량의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610)는 주행중인 차량의 전방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00)는, 사용자가 제 1 장치(21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7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는 범위인 유효 존(available zone)에 위치한 제 1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제 2 장치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장치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수신한 통신 신호 및 상기 제 1 장치와 제 2 장치의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소정의 세기 이상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통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장치와 제 2 장치의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유효 존에 있다고 판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의 연결 세기가 소정의 세기 이상이고,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의 연결 지속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유효 존에 있다고 판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수신한 통신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제 1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원 온(ON)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전원 온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시청 이력 및 검색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관심도를 학습한 결과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추천 애플리케이션 및 추천 컨텐트를 결정하는 단계;및
    상기 추천 애플리케이션 및 추천 컨텐트를 포함하는 제 1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면은 제 1 사용자의 최근 시청 내역 및 제 1 장치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장치의 위치 및 동작을 센싱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장치의 위치 및 동작을 센싱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유효 존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일반모드의 제 2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의 커뮤니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장치와 제 2 장치 사이의 관계성을 획득한 관계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의 공통 관심사에 기초한 추천 애플리케이션 및 추천 컨텐트를 결정하는 단계;및
    상기 추천 애플리케이션 및 추천 컨텐트를 포함한 제 2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의 커뮤니케이션 정보에서 컨텐트의 시청 이력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트의 시청 기간, 컨텐트의 시청 횟수, 컨텐트의 종류, 컨텐트의 장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기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 및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컨텐트 및 애플리케이션에 가중치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애플리케이션 및 추천 컨텐트를 결정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제 1 장치와 연결된 복수개의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복수개의 장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애플리케이션 및 추천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및
    상기 결정된 추천 애플리케이션 및 추천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존에 위치한 제 3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제 3 장치로부터 상기 제 3 장치에 연결된 제 4 장치와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3 장치와 상기 제 4 장치와의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4 장치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유효 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복수개의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맞춤형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 내지 제 4 장치의 커뮤니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장치 내지 제 4 장치 사이의 관계성을 학습한 결과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장치 내지 제 4 장치의 공통 관심사를 반영한 추천 컨텐트 및 추천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컨텐트 및 추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맞춤형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사용자 맞춤형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는 범위인 유효 존에 위치한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유효 존에 위치한 제 1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장치와 연결된 제 2 장치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장치와 제 2 장치의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수신한 통신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제 1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원 온(ON)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 온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사용자의 시청 이력 및 검색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관심도를 학습한 결과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추천 애플리케이션 및 추천 컨텐트를 결정하고, 상기 추천 애플리케이션 및 추천 컨텐트를 포함하는 제 1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의 연결 세기가 소정의 세기 이상이고,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의 연결 지속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유효 존에 있다고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장치의 위치 및 동작을 센싱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장치의 위치 및 동작을 센싱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유효 존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일반모드의 제 2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
KR1020180022967A 2018-02-26 2018-0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9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967A KR102399594B1 (ko) 2018-02-26 2018-0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6/284,067 US11228815B2 (en) 2018-02-26 2019-02-25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967A KR102399594B1 (ko) 2018-02-26 2018-0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507A true KR20190102507A (ko) 2019-09-04
KR102399594B1 KR102399594B1 (ko) 2022-05-18

Family

ID=6768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967A KR102399594B1 (ko) 2018-02-26 2018-0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28815B2 (ko)
KR (1) KR102399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1875B2 (en) * 2018-06-04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chine learning-based approach to demographic attribute inference using time-sensitive features
US11115811B2 (en) * 2019-04-04 2021-09-07 Qualcomm Incorporated Address management for Bluetooth devices
US11665513B2 (en) * 2021-07-13 2023-05-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device power manag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984A (ko) * 2001-06-15 2003-03-1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다중 이용자 프로파일 생성
KR20140023852A (ko) * 2012-08-17 2014-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25295A (ko) * 2015-04-21 201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70078943A1 (en) * 2014-04-29 2017-03-16 Motorola Solutions, Inc Dynamic gateway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170344223A1 (en) * 2015-07-15 2017-11-30 Fyusion, Inc. Virtual reality environment based manipulation of multilayered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3189A1 (en) * 2012-08-17 2014-02-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KR101762930B1 (ko) 2014-11-28 2017-07-31 이케이웍스 주식회사 근거리 유저 식별을 통한 스마트 tv 시스템
US20160316263A1 (en) 2015-04-21 2016-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apparatus
KR101708130B1 (ko) 2015-11-04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984A (ko) * 2001-06-15 2003-03-1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다중 이용자 프로파일 생성
KR20140023852A (ko) * 2012-08-17 2014-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078943A1 (en) * 2014-04-29 2017-03-16 Motorola Solutions, Inc Dynamic gateway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160125295A (ko) * 2015-04-21 201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70344223A1 (en) * 2015-07-15 2017-11-30 Fyusion, Inc. Virtual reality environment based manipulation of multilayered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28815B2 (en) 2022-01-18
US20190268666A1 (en) 2019-08-29
KR102399594B1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9213B2 (en) Image-captu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659288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001180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knowledge graph
CN110447232B (zh) 用于确定用户情绪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1189278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esponse message to user input
KR102530045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55708A (ko) 이미지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508364B2 (en)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response to speech input by using appl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20567B1 (ko) 음성 인식 장치 및 방법
US1038290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about call request
KR20160079664A (ko)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1228815B2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90089628A (ko) 복수 개의 전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신경망 모델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2030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72534A (ko) 텍스트와 연관된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EP3816917A1 (en) Electronic device for upd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erver,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90051255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004874A1 (en) Electronic apparatus training individual model of us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464906B1 (ko) 패션 상품을 추천하는 전자 장치,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1153191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erver for ref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method of ref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KR20190032051A (ko) 디바이스 사용 문의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185369B1 (ko) 사용자와의 대화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532299B1 (ko) 광고를 교체하여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US11617957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teractive g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1217267B2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location information of externa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