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295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295A
KR20160125295A KR1020160046506A KR20160046506A KR20160125295A KR 20160125295 A KR20160125295 A KR 20160125295A KR 1020160046506 A KR1020160046506 A KR 1020160046506A KR 20160046506 A KR20160046506 A KR 20160046506A KR 20160125295 A KR20160125295 A KR 20160125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gnal
wearable device
conten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제환
김대식
서봉원
이중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408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71455A1/en
Priority to CN201680013958.1A priority patent/CN107409244B/zh
Priority to EP16783388.8A priority patent/EP3228085A4/en
Priority to US15/133,537 priority patent/US20160316263A1/en
Publication of KR20160125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04N21/44226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on soc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6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rating content, e.g. scoring a recommended movi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콘텐트를 출력하는 출력부,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는 범위인 유효 존(available zone)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DISPLAY APPARAG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시청률을 조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과 다양한 미디어의 발전과 더불어 방송 통신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콘텐트의 시청률은 방송 통신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관심사이다. 따라서 콘텐트의 시청률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콘텐트 시청률 조사 방법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시청률을 조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트를 출력하는 출력부,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는 범위인 유효 존(available zone)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시청에 대한 몰입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감지한 가속도 정보 및 자이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송신 전력 세기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전력 세기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신호 세기에 기초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 로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시청에 대한 몰입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콘텐트를 식별하는 콘텐트 정보,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콘텐트의 시청률을 조사하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시간에 따라 이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신호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복수의 제1 결과들을 획득하고, 복수의 제1 결과들 각각을 윈도우에 포함된 제1 결과들의 다수결(majority vote)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신호를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상기 신호에 기초해 상기 복수의 제1 결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다른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센싱 정보 및 송신 전력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콘텐트를 식별하는 콘텐트 정보,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및 상기 다른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콘텐트의 시청률을 조사하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블루투스 비컨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콘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는 범위인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콘텐트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통해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으로부터 제2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콘 신호 및 상기 제2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고,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신호를 파싱하여 획득된 콘텐트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리밍 신호는 방송 신호 또는 VOD(Video On Demand) 서비스에 의헤 제공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신호는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상기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는 콘텐트 출력을 위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신호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콘텐트 추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패킷은 상기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BLE 기술을 통해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신호를 파싱하여 획득된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신호에 기초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트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는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셋톱박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비콘으로부터 제2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비콘 신호 및 상기 제2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신호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비콘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사용 로그 정보의 예시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웨어러블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웨어러블 기기가 전송하는 신호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20은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따른 수신된 신호 세기의 관계의 예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시간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가 감지한 센싱 정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이다.
도 22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에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다수결을 적용하여 보정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2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기기,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시스템(10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시청률 조사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자 기기(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TV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콘텐트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에 의해 제공되는 방송 콘텐트이거나, VOD(Video On Demand)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VOD 콘텐트일 수 있다.
전자 기기(200)는 사용자가 휴대 또는 착용 가능한 다양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콘텐트를 출력하는 동안, 전자 기기(200)의 사용자는 콘텐트를 시청하거나, 전자 기기(2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200)만을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위에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이 존재할 수 있고, 전자 기기들 각각의 사용자가 존재할 수 있다.
서버(300)는 콘텐트의 시청률을 조사할 수 있는 컴퓨터이거나, 콘텐트의 시청률을 조사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도 있다.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통해 콘텐트의 시청률을 조사할 수 있다.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와 각각 유선 또는 무선 등 다양한 통신 기술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만을 도시하였으나, 서버(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시청률 조사 시스템(1000)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을 상술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고하면, 시청률 조사 시스템(10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스트리밍 신호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의 방송 신호이거나, VOD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를 처리하여 콘텐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를 파싱(parsing)하여 콘텐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콘텐트 정보는 프로그램 명, 프로그램 장르 등과 같이 콘텐트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일 것이다.
스트리밍 신호는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페이로드는 콘텐트 출력을 위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신호는 MPEG-2 시스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ransport stream packet)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beacon)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130). 콘텐트 정보는 특정 명령화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화되어 비콘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140).
비콘 신호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기기(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소정 반경 내에 있는 임의의 전자 기기(200)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200)가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콘 신호가 BLE 기술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소정 반경 내에 있는 임의의 전자 기기(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페어링이 없더라도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기기(20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50).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는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송신 전력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 기기(200)는 송신 전력 세기 정보 및 수신된 비콘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는 전자 기기(2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의 거리, 전자 기기(200)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기기(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비콘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비콘은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적어도 하나의 비콘은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전자 기기(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각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기기(200)는 전자 기기(200)의 사용 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60). 사용 로그 정보는 전자 기기(200)의 사용 내역 및 사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 로그 정보는 전자 기기(200)의 통화 기능을 사용한 시간, 이메일 기능을 사용한 시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시간 등일 수 있다.
전자 기기(200)는 콘텐트 정보, 위치 정보 및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S170).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200)만을 도시하였으나, 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별 전자 기기들로부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여 콘텐트의 시청률을 획득할 수 있다(S180). 서버(300)는 패킷에 포함된 콘텐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어떤 콘텐트를 시청하는지 추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콘텐트의 시청률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버(300)는 패킷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콘텐트를 시청 가능한 위치에 있는지 여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콘텐트 출력 시에 사용자의 이동 여부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패킷을 분석함으로써, 콘텐트의 시청률 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300)가 수신하는 패킷은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나이, 가구원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정보는 전자 기기(200)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전자 기기(200)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성별, 사용자의 나이, 가구원 유무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서버(300)는 콘텐트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속성, 예를 들어, 시청자의 성별, 시청자의 나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가구원들이 공동으로 콘텐트를 시청하는지, 가구원들 중 일부만이 콘텐트를 시청하는지 등을 추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300)는 패킷에 포함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콘텐트 시청 시 전자 기기(200)를 사용했는지 여부 및 어떤 기능을 사용했는지 등 콘텐트 시청 시 전자 기기(200) 사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200)를 콘텐트와 관련하여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기기(200)를 사용하여 콘텐트에 대한 생각 또는 감정을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업로드하는 경우, 전자 기기(200)는 콘텐트와 관련하여 사용된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 로그 정보의 분석을 통해, 서버(300)는 콘텐트 시청 시 시청자의 몰입도를 추정할 수 있다.
서버(300)는 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개인별 또는 가구별 콘텐트 추천 서비스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신호(10)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스트리밍 신호(10)는 헤더(11) 및 페이로드(1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11)는 콘텐트 정보(13)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 정보(13)는 헤더(11)에 포함되는 복수의 필드 중 특정 필드에 정의될 수 있다. 스트리밍 신호(10)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도 2의 100)는 스트리밍 신호(10)를 파싱하여 콘텐트 정보(13)를 추출할 수 있다. 페이로드(12)는 콘텐트 출력을 위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신호(11)는 MPEG-2 시스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비콘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시청률 조사 대상인 가구에는 비콘(41)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비콘(42, 43)이 설치될 수 있다. 비콘(41)은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며, 비콘(42, 43)은 각각 제2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비콘(41)이 송신하는 비콘 신호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나, 제2 비콘 신호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전자 기기(200)는 비콘(41)으로부터 비콘 신호 및 비콘(42, 43)으로부터 제2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기기(200)는 비콘 신호 및 제2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도 4는 비콘(42, 43)의 설치 예시일 뿐이며, 비콘(42, 43)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되지 않는 비콘(42, 43)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200)의 사용 로그 정보의 예시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 로그 정보는 메신저, 인터넷, SNS, 게임, 메일 등의 전자 기기(200)의 기능(51), 각 기능을 사용하기 시작한 시작 시간(52) 및 구간(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사용 로그 정보는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시스템(20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시청률 조사 시스템(20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자 기기(200), 서버(300) 및 셋톱박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시청률 조사 시스템(2000)은 도 1의 시청률 조사 시스템(1000)에서 셋톱박스(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셋톱박스(400)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고, 스트리밍 신호에 기초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AV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셋톱박스(400)는 서버(3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 각각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중 일부는 셋톱박스(4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서 전술한 내용은 도 6의 시청률 조사 시스템(20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시청률 조사 시스템(2000)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을 상술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고하면, 시청률 조사 시스템(2000)의 셋톱박스(400)는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스트리밍 신호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의 방송 신호이거나, VOD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일 수 있다.
셋톱박스(400)는 스트리밍 신호를 처리하여 콘텐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를 파싱하여 콘텐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트리밍 신호는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페이로드는 콘텐트 출력을 위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신호는 MPEG-2 시스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ransport stream packet)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셋톱박스(400)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230). 비콘 신호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BLE 기술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셋톱박스(400)는 스트리밍 신호에 기초하여 획득된 AV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S235).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V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240).
전자 기기(200)는 셋톱박스(400)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기기(20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50).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는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전자 기기(200)는 셋톱박스(400) 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비콘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전자 기기(200)는 셋톱박스(400) 및 적어도 하나의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각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기기(200)는 전자 기기(200)의 사용 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60).
전자 기기(200)는 콘텐트 정보, 위치 정보 및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S270).
서버(300)는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여 콘텐트의 시청률을 획득할 수 있다(S280). 또한, 서버(300)는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여 시청률 외에도 시청자의 속성, 시청자의 몰입도 등의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300)는 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개인별 또는 가구별 콘텐트 추천 서비스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셋톱 박스(4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셋톱박스(400)에서 송신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런데, 전자 기기(200)가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콘텐트의 시청률 조사가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다음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이에 대해 상술한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고하면, 시청률 조사 시스템(10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1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를 처리하여 콘텐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를 파싱(parsing)하여 콘텐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스트리밍 신호는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페이로드는 콘텐트 출력을 위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신호는 MPEG-2 시스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330).
전자 기기(200)는 사용 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40).
전자 기기(200)는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350). 비콘 신호는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나이, 가구원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정보는 전자 기기(200)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기기(200)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성별, 사용자의 나이, 가구원 유무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비콘 신호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BLE 기술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 기기(200)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이 오프되어 콘텐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도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오프된 경우에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60).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는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트 정보, 비콘 신호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 및 비콘 신호에 포함된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S370). 패킷은 비콘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300)는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여 콘텐트의 시청률을 획득할 수 있다(S380). 또한, 서버(300)는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여 시청률 외에도 시청자의 속성, 시청자의 몰입도 등의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서버(300)는 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개인별 또는 가구별 콘텐트 추천 서비스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셋톱박스(도 6의 400)가 연결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은 콘텐트 출력(S330)을 제외하고 셋톱박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셋톱박스가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여, 콘텐트 정보를 획득하고, 스트리밍 신호에 기초한 AV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전자 기기(200)로부터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콘텐트 정보, 위치 정보 및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셋톱박스가 서버(300)로부터 개인별 또는 가구별 콘텐트 추천 서비스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고하면, 시청률 조사 시스템(10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1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를 처리하여 콘텐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430).
전자 기기(200)는 사용 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40).
전자 기기(200)는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50). 전자 기기(200)는 사용 로그 정보를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S460). 도 8에서는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되나, 도 9에서 사용 로그 정보는 전자 기기(200)에서 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9의 비콘 신호는 도 8의 경우와 달리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 기기(200)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70).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는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트 정보 및 비콘 신호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S480). 패킷은 비콘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300)는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여 콘텐트의 시청률을 획득할 수 있다(S490). 또한, 서버(300)는 수신된 패킷 및 사용 로그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콘텐트 시청 시 시청자의 몰입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9에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450) 및 사용 로그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460)는 도 8과 차이가 있으나, 다른 단계는 도 8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셋톱박스(도 6의 400)가 연결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은 콘텐트 출력(S430)을 제외하고 셋톱박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셋톱박스가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여, 콘텐트 정보를 획득하고, 스트리밍 신호에 기초한 AV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전자 기기(2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콘텐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셋톱박스가 서버(300)로부터 개인별 또는 가구별 콘텐트 추천 서비스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전자 기기(200)가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런데, 전자 기기(200)와 분리된 비콘 기기가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비콘 기기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기기이다. 비콘 기기는 블루투스, BLE 등을 통해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콘 기기는 사용자가 휴대 또는 착용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비콘 기기는 사용자의 몸 속에 내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비콘 기기는 대응하는 사용자가 존재할 것이다. 비콘 신호는 비콘 기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비콘 기기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 기기(200)와 분리된 비콘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고하면, 시청률 조사 시스템(30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자 기기(200), 서버(300) 및 비콘 기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200) 및 비콘 기기(500)의 사용자는 동일인일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1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를 처리하여 콘텐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530).
전자 기기(200)는 사용 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40). 전자 기기(200)는 사용 로그 정보를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S550).
비콘 기기(500)는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560). 비콘 신호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나이, 가구원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정보는 비콘 기기(500)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는 비콘 기기(500)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성별, 사용자의 나이, 가구원 유무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콘 기기(500)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비콘 기기(5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70). 비콘 기기(500)의 위치 정보는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비콘 기기(500)의 위치 정보는 비콘 기기(5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의 거리, 비콘 기기(500)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트 정보 및 비콘 신호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S580). 패킷은 비콘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300)는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여 콘텐트의 시청률을 획득할 수 있다(S590). 또한, 서버(300)는 수신된 패킷 및 사용 로그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콘텐트 시청 시 시청자의 몰입도를 추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자 기기(200) 및 서버(300)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에서 전술한 내용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셋톱박스(도 6의 400)가 연결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은 콘텐트 출력(S530)을 제외하고 셋톱박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0에서 전자 기기(200)와 비콘 기기(500)가 분리된 경우를 설명하였다. 도 10에서 비콘 기기(500)는 독립된 기기일 수도 있고, 웨어러블 기기에 내장될 수도 있다.
비콘 기기(500)가 웨어러블 기기에 내장된 경우, 다음에서 설명하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라 시청률 조사 방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고하면, 시청률 조사 시스템(40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자 기기(200), 서버(300) 및 웨어러블 기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600)는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 기기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200) 및 웨어러블 기기(600)의 사용자는 동일인일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1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를 처리하여 콘텐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630).
전자 기기(200)는 사용 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40). 전자 기기(200)는 사용 로그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600)로 전달할 수 있다(S650).
웨어러블 기기(600)는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660). 비콘 신호는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웨어러블 기기(600)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기기(6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70). 웨어러블 기기(600)의 위치 정보는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600)의 위치 정보는 웨어러블 기기(6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의 거리, 웨어러블 기기(600)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리밍 신호로부터 획득된 콘텐트 정보, 비콘 신호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 및 비콘 신호에 포함된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S680). 패킷은 비콘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300)는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여 콘텐트의 시청률을 획득할 수 있다(S690). 또한, 서버(300)는 시청자의 속성, 콘텐트 시청 시 시청자의 몰입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1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자 기기(200) 및 서버(300)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에서 전술한 내용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셋톱박스(도 6의 400)가 연결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은 콘텐트 출력(S630)을 제외하고 셋톱박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200)는 통신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전자 기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 셋톱박스, 서버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기기와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의 예로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유선 통신 기술의 예로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의 기지국, 외부의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의 예로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전자 기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전자 기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도면들에서 설명한 전자 기기(200)의 동작의 제어나, 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는 제어부(2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셋톱박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비콘 신호가 BLE 기술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셋톱박스와의 페어링이 없더라도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셋톱박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더해, 적어도 하나의 비콘으로부터 제2 비콘 신호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비콘 신호 및 제2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사용 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콘텐트 정보, 위치 정보 및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로 송신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사용 로그 정보는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200)는 사용 로그 정보를 서버 또는 비콘 기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자 기기, 셋톱박스, 서버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기기와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의 예로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유선 통신 기술의 예로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의 기지국, 외부의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의 예로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도면들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의 제어나, 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는 제어부(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트리밍 신호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의 방송 신호이거나, VOD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스트리밍 신호를 처리하여 콘텐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스트리밍 신호를 파싱하여 콘텐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스트리밍 신호는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페이로드는 콘텐트 출력을 위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신호는 MPEG-2 시스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ransport stream packet)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20)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출력부(130)가 스트리밍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비콘 신호를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전자 기기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콘텐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된 비콘 신호는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패킷은 사용 로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서버로부터 개인별 또는 가구별 콘텐트 추천 서비스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셋톱박스로부터 AV 신호를 수신하고, AV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셋톱박스(400)는 통신부(410) 및 제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셋톱박스(400)가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기기와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의 예로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유선 통신 기술의 예로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의 기지국, 외부의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의 예로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셋톱박스(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셋톱박스(4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도면들에서 설명한 셋톱박스(400)의 동작의 제어나, 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는 제어부(4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4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20)는 통신부(410)를 제어하여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트리밍 신호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의 방송 신호이거나, VOD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420)는 스트리밍 신호를 처리하여 콘텐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스트리밍 신호를 파싱하여 콘텐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스트리밍 신호는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페이로드는 콘텐트 출력을 위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신호는 MPEG-2 시스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ransport stream packet)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420)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비콘 신호를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420)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전자 기기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콘텐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된 비콘 신호는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패킷은 사용 로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서버로부터 개인별 또는 가구별 콘텐트 추천 서비스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서버(300)는 통신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서버(300)가 디스플레이 장치, 셋톱박스, 전자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기기와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의 예로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유선 통신 기술의 예로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의 기지국, 외부의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의 예로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서버(3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도면들에서 설명한 서버(300)의 동작의 제어나, 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는 제어부(3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통신부(310)를 제어하여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콘텐트 정보, 전자 기기의 위치 정보 및 전자 기기의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20)는 통신부(31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셋톱박스로부터 콘텐트 정보 및 전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 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패킷 및 사용 로그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콘텐트의 시청률, 콘텐트 시청자의 속성, 시청자의 몰입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셋톱박스에 개인별 또는 가구별 콘텐트 추천 서비스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6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웨어러블 기기(600)는 통신부(610) 및 제어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10)는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 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610)는 웨어러블 기기(600)가 디스플레이 장치, 셋톱박스, 전자 기기, 서버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기기와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신부(61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의 예로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유선 통신 기술의 예로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의 기지국, 외부의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의 예로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웨어러블 기기(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웨어러블 기기(6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도면들에서 설명한 웨어러블 기기(600)의 동작의 제어나, 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는 제어부(6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6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620)는 통신부(610)를 제어하여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 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S10)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7을 참고하면, 전자 기기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1).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셋톱박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비콘 신호가 BLE 기술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셋톱박스와의 페어링이 없더라도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 전자 기기는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셋톱박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더해, 적어도 하나의 비콘으로부터 제2 비콘 신호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비콘 신호 및 제2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콘텐트 정보, 위치 정보 및 사용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S13).
도 17의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S10)은 전술된 도면들의 전자 기기(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S10)의 각 단계는 전술된 도면에서 설명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효율적이며 신뢰성 있는 콘텐트의 시청률을 조사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실시간으로 콘텐트의 시청률을 획득할 수 있고, 개인별 또는 가구별 콘텐트 추천 서비스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콘텐트의 시청률뿐 아니라, 위치 정보를 통해 시청자가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 등을 추정할 수 있어 시청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명수도 검출 가능하다. 또한, 서버는 전자 기기의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시청자의 멀티태스킹 여부 및 콘텐트 시청의 몰입도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및 서버 간에 통신이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한다. 기존의 시청률 조사 기기인 피플 미터의 경우, 콘텐트 시청 시 사용자가 피플 미터에 몇 가지 사항을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은 시청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개인별 응용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청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콘텐트의 시청률, 시청자의 속성 및 시청 몰입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신뢰성 있게 획득할 수 있어, 개선된 비즈니스 모델이 제공될 수 있다.
비콘 신호를 수신한 기기는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에 기초하여 비콘 신호를 전송한 기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앞에서 설명하였다. 이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에 더해 센싱 정보에 기초해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는 경우에 대해 상술한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웨어러블 기기(60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채널 또는 인터넷을 통해 콘텐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 기기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콘텐트가 저장되어 있고, 저장된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콘텐트는 콘텐트를 식별하는 콘텐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 정보에 기초해 출력 중인 콘텐트를 식별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600)는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2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600)는 예를 들면, 손목 시계, 안경, 이어폰, 반지, 팔찌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600)는 시청률 측정을 위한 신호(20)를 전송하는 용도의 기기로 구현되거나, 일반적인 웨어러블 기기에 신호(20)를 전송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센싱 정보는 웨어러블 기기(6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기기(6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자기계(magnetomet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관성 측정 유닛(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바이오 센서, 제스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싱 정보는 웨어러블 기기(600)가 감지한 가속도 정보, 자이로 정보, 자기 정보, 생체 신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정보, 자이로 정보, 자기 정보는 각각 x, y, z축에 대한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600)가 전송하는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20)는 블루투스 비콘 신호일 수 있다. 블루투스 비콘 신호는 BLE 기반의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웨어러블 기기(600)와 페어링이 없더라도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웨어러블 기기(600)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이나 저전력 통신 방식으로 신호(20)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BLE, 와이파이, 적외선 통신, 레이저 빔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웨어러블 기기(6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페어링(paring)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기기(600)는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20)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페어링 또는 암호화를 통해 특정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만이 신호(20)를 수신하거나 해독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라이버시(privacy)가 보장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600)는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20)를 시간에 따라 이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600)는 신호(20)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20)를 웨어러블 기기(6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호(20)를 시간에 따라 이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호(20)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20) 세기 및 신호(20)에 포함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available zone)(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20) 세기는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일 수 있다.
유효 존(30)이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유효 존(3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의 거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크린의 시야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존재하는 공간의 구조, 예를 들어, 벽의 유무 등에 기초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유효 존(30) 내에 있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고, 유효 존(30) 밖에 있으면 콘텐트를 시청할 수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 내에 있다고 판단하면, 웨어러블 기기(600)의 사용자가 콘텐트를 시청 중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 밖에 있다고 판단하면, 웨어러블 기기(600)의 사용자는 콘텐트를 시청하지 않는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는 콘텐트에 대한 시청률 측정의 자료가 될 수 있다. 이하, 명세서에서 "판단 결과"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20) 세기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6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음은 도 18 이전에 이미 설명하였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20) 세기에 더해 센싱 정보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600)의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판단된 위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웨어러블 기기(600)의 위치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의 정확도 역시 증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600)의 움직임, 자세(orientation), 방향(direction), 또는 위치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600)의 움직임의 크기 또는 움직임의 빈도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센싱 정보에 포함된 가속도 정보 또는 자이로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웨어러블 기기(600)가 움직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는, 센싱 정보에 포함된 가속도 정보 또는 자이로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에 없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600)의 사용자의 행동을 추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행동은 예를 들어 걷기, 잠자기, 식사 등 다양할 수 있다.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600)의 센싱 정보는 특정한 패턴 또는 특정한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행동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의 패턴 또는 범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20)에 포함된 센싱 정보에 매칭되는 사용자 행동을 추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 중인 콘텐트 시청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해 추정된 웨어러블 기기(600)의 움직임, 자세, 방향, 위치 또는 사용자의 행동 등에 기초해 몰입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에 있다고 판단하면, 센싱 정보에 기초해 몰입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몰입도를 복수의 등급들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입도는 상, 중, 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몰입도를 분류하는 각 등급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의 패턴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20)에 포함된 센싱 정보의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된 센싱 정보의 패턴과 매칭되는 등급을 몰입도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몰입도를 분류하는 각 등급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의 범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20)에 포함된 센싱 정보에 매칭되는 등급을 몰입도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몰입도를 분류하는 복수의 등급들 중 시청하지 않음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입도는 상, 중, 하 및 시청하지 않음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20) 세기 및 센싱 정보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에 없다고 판단되면, 몰입도를 시청하지 않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에 있다고 판단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22)에 기초해 몰입도를 시청하지 않음을 제외한 다른 등급들, 예를 들어 상, 중 하 중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8은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600)만을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 각각으로부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해 각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들에 포함된 센싱 정보에 기초해 사용자별 몰입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자마다 콘텐트 시청 여부 및 몰입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18에 관해 설명한 내용 외에도 도 1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내용이 도 18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웨어러블 기기(6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의 웨어러블 기기(600)가 전송하는 신호(20)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19를 참고하면, 웨어러블 기기(600)가 전송하는 신호(20)는 센싱 정보(2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20)는 송신 전력 세기 정보(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전력 세기 정보(23)는 웨어러블 기기(600)가 전송하는 신호의 강도를 나타낸다. 신호(20)는 웨어러블 기기(600)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20) 세기를 송신 전력 세기 정보(23)에 따라 교정(calibration)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교정된 수신된 신호(20) 세기 및 센싱 정보(23)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20)에 포함된 송신 전력 세기 정보(23) 및 수신된 신호(20) 세기에 기초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웨어러블 기기(600) 사이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거리 및 센싱 정보(22)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웨어러블 기기(600)의 사용자 정보(21), 콘텐트 정보,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된 정보에 기초해 사용자별 콘텐트 추천 서비스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21), 콘텐트 정보,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포함하는 신호를 콘텐트의 시청률을 조사하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센싱 정보(22)에 기초해 몰입도를 판단한 경우, 상기 신호는 몰입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 각각에 대해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서버로 전송하는 신호는 콘텐트 정보 및 각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각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각 웨어러블 기기별 몰입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청률을 조사하는 서버는 도 18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들로부터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한 신호에 기초해 사용자별 콘텐트 시청 여부, 콘텐트 시청 시 몰입도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별 또는 가구별 콘텐트 추천 서비스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따른 수신된 신호 세기의 관계의 예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거실(living room), 3개의 방(room1, room2, room3), 화장실(toilet), 부엌(kitchen)으로 구성된 가구의 각 방에서 웨어러블 기기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신한 신호 세기(signal strength)의 예시이다. 도 20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실에 존재하는 경우로, 거실이 유효 존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각 방에서 수신된 신호 세기가 다르다. 즉, 수신된 신호 세기는 위치에 따라 다른 범위 또는 다른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신호 세기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1은 시간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가 감지한 센싱 정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이다. 도 21의 센싱 정보는 자이로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자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1은 시간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자가 실제로 유효 존 내에 있는지 여부를 "In", "Out"으로 나타낸다. 도 21에서 "In"은 사용자가 유효 존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하고, "Out"은 사용자가 유효 존 밖에 있음을 의미한다. "In→Out"은 사용자가 유효 존 내에서 밖으로 이동함을 의미하고, "Out→ In"은 사용자가 유효 존 밖에서 안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도 21을 참고하면, 센싱 정보의 변동이 큰 지점(M1, M2)에서 사용자가 이동한다. 센싱 정보는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다른 범위 또는 다른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신호 세기와 함께 센싱 정보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판단의 정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설명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신호에 포함된 센싱 정보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신호를 전처리(pre-processing)하거나, 수신된 신호에 기초해 판단한 결과를 보정함으로써, 판단 결과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신호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이산적(discrete)으로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산적으로 수신된 신호들을 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전처리는 예를 들어 데이터 스무딩(smoothing), 이동 평균(moving average), 윈도잉(windowing)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처리를 위한 윈도우 크기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k-폴드 교차 검증을 통해 최적의 윈도우 크기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신호 세기를 전처리하거나, 센싱 정보를 전처리하거나,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센싱 정보를 전처리할 수 있다. 전처리를 통해 판단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오검출 비율(miss detection rate)이 감소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해 판단한 결과를 보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간에 따라 이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신호마다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복수의 제1 결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제1 결과들 각각을 윈도우에 포함된 제1 결과들 중 다수의 결과로 보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제1 결과들에 다수결(majority vote)을 적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신호를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신호에 기초해 복수의 제1 결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제1 결과들 각각을 보정할 수 있다.
도 22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에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에 다수결을 적용하여 보정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22는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 내 있는지에 대한 실제값(61), 디스플레이 장치가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해 판단한 결과(62), 판단 결과(62)를 보정한 결과(63)를 나타낸다. "In"은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하고, "Out"은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 밖에 있음을 의미한다.
도 22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초마다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판단하며, 다수결을 적용하기 위한 윈도우의 크기는 5초이다. 판단 결과(62) 전후로 5초의 윈도우에 포함된 결과들의 다수결로 보정(63)한다.
도 22의 테이블을 참고하면, 4초에서 실제값(61)은 "In", 판단 결과(62)는 "In"이다. 이는 4초에서 웨어러블 기기는 실제로 유효 존 내에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4초에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 내에 있다고 판단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4초에서의 판단 결과(62: In)를 4초에서의 윈도우인 2초부터 6초 사이의 판단 결과들(In, In, In, Out, In) 중 다수결에 따라 "In"으로 보정한다.
5초에서 실제값(61)은 "In", 판단 결과(62)는 "Out"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5초에서의 판단 결과(62: Out)를 5초에서의 윈도우인 3초부터 7초 사이의 판단 결과들(In, In, Out, In, In) 중 다수결에 따라 "In"으로 보정한다. 5초에서 실제값(61:In)과 판단 결과(62: Out)는 다르다. 즉, 판단 결과(62: Out)는 잘못된 것이나, 보정을 통해 보정 결과(63: In)는 실제값(61: In)과 일치하게 된다.
도 22의 테이블에서 5초, 11초, 14초에서 실제값(61)과 디스플레이 장치가 판단한 결과(62)가 다르다. 그런데, 보정 결과(63)는 실제값(61)과 일치하게 된다. 10초에서는 보정 결과(63: In)가 실제값(61: Out)과 일치하지 않으나, 전체적인 보정 결과(63)는 실제값(61)과 일치한다. 즉, 보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잘못 판단할 확률을 낮출 수 있어, 판단의 정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도 22에서 윈도우의 크기는 5초이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윈도우의 크기는 k-폴드 교차 검증을 수행하여 최적의 윈도우 크기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수신된 신호 세기뿐 아니라 센싱 정보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보정함으로써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웨어러블 기기(600), 전자 기기(200) 및 서버(30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18에서 전자 기기(200) 및 서버(300)가 추가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더라도 도 18에서 설명한 내용이 도 20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23에서 전자 기기(200)의 사용자와 웨어러블 기기(600)의 사용자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전자 기기(200)가 전송하는 신호와 웨어러블 기기(600)가 전송하는 신호는 각각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20)를 웨어러블 기기(6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20) 세기 및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기기(200)는 사용 로그 정보(7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 로그 정보(70)는 전자 기기(200)의 사용 내역 및 사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도 5는 사용 로그 정보(70)의 예시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 로그 정보(70)에 기초해 전자 기기(200)의 사용 여부, 사용 내역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웨어러블 기기(6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 및 전자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용 로그 정보(70)에 기초해 사용자의 몰입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8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해 사용자의 몰입도를 판단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 로그 정보(70)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에 더해 사용 로그 정보(70)에 기초해 몰입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8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600)의 움직임, 자세, 방향, 위치 또는 사용자의 행동 등을 추정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에 더해 사용 로그 정보(70)에 더 기초해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 및 사용 로그 정보(70)에 기초해 사용자의 콘텐트 시청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 정보, 사용자 정보,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 내에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를 포함하는 신호(80)를 콘텐트의 시청률을 조사하는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판단한 몰입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판단한 사용자의 행동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신호(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판단한 몰입도 또는 사용자의 행동 대신 센싱 정보 또는 사용 로그 정보(70)를 포함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서버(300)가 센싱 정보 또는 사용 로그 정보(70)에 기초해 몰입도 또는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할 수 있다.
도 23에서 전자 기기(200)는 사용 로그 정보(7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나, 전자 기기(200)는 사용 로그 정보(70)를 웨어러블 기기(600)로 전송하거나,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전자 기기(200)가 사용 로그 정보(70)를 웨어러블 기기(600)로 전송하는 경우, 웨어러블 기기(600)가 전송하는 신호(20)는 웨어러블 기기(600)가 감지한 센싱 정보 및 전자 기기(200)의 사용 로그 정보(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200)가 사용 로그 정보(70)를 서버(300)로 전송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 로그 정보(70) 없이 센싱 정보에 기초해 몰입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해 판단한 몰입도를 신호(80)에 포함시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판단한 몰입도를 전자 기기(200)의 사용 로그 정보(70)에 기초해 보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은 도 13에 도시된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부(130)는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기기(600)로부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 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가 시청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콘텐트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몰입도 등을 포함하는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0)가 서버로 전송하는 신호의 구성은 전자 기기(200)가 사용 로그 정보(7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웨어러블 기기(600) 및 서버(300) 중 어디로 전송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120)는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센싱 정보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600)가 유효 존(30)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해 몰입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웨어러블 기기(6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전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해 판단한 결과를 보정할 수 있다. 전처리, 후보정은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은 제어부(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21).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22).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센싱 정보에 기초해 웨어러블 기기가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4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 내지 도 23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8 내지 도 23에서 설명된 내용은 도 24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일부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콘텐트를 출력하는 출력부;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는 범위인 유효 존(available zone)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시청에 대한 몰입도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감지한 가속도 정보 및 자이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송신 전력 세기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전력 세기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신호 세기에 기초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 로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시청에 대한 몰입도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콘텐트를 식별하는 콘텐트 정보,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콘텐트의 시청률을 조사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시간에 따라 이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신호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복수의 제1 결과들을 획득하고, 복수의 제1 결과들 각각을 윈도우에 포함된 제1 결과들의 다수결(majority vote)로 보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신호를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상기 신호에 기초해 상기 복수의 제1 결과들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다른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센싱 정보 및 송신 전력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콘텐트를 식별하는 콘텐트 정보,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및 상기 다른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콘텐트의 시청률을 조사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블루투스 비컨 신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콘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는 범위인 유효 존(available zone)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시청에 대한 몰입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감지한 가속도 정보 및 자이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송신 전력 세기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전력 세기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신호 세기에 기초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거리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 시청에 대한 몰입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식별하는 콘텐트 정보,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콘텐트의 시청률을 조사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시간에 따라 이산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복수의 제1 결과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복수의 제1 결과들 각각을 윈도우에 포함된 제1 결과들의 다수결(majority vote)로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신호를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상기 신호에 기초해 상기 복수의 제1 결과들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다른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센싱 정보 및 송신 전력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른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트를 식별하는 콘텐트 정보,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및 상기 다른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유효 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콘텐트의 시청률을 조사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
KR1020160046506A 2015-04-21 2016-04-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25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4086 WO2016171455A1 (en) 2015-04-21 2016-04-2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apparatus
CN201680013958.1A CN107409244B (zh) 2015-04-21 2016-04-20 显示装置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方法
EP16783388.8A EP3228085A4 (en) 2015-04-21 2016-04-2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apparatus
US15/133,537 US20160316263A1 (en) 2015-04-21 2016-04-2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174 2015-04-21
KR20150056174 2015-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295A true KR20160125295A (ko) 2016-10-31

Family

ID=5714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506A KR20160125295A (ko) 2015-04-21 2016-04-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316264A1 (ko)
EP (1) EP3228085A4 (ko)
KR (1) KR20160125295A (ko)
CN (1) CN10740924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507A (ko) * 2018-02-26 2019-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132812A1 (en) * 2019-12-23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163334A1 (ko) * 2022-02-23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159A (ko) * 2015-10-29 2017-05-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 신호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8322792A (zh) * 2018-02-28 2018-07-24 何音建 基于机顶盒的收视率统计方法及其系统、机顶盒
CN110290401B (zh) * 2018-03-19 2021-02-02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定位方法、装置及收视记录处理方法、装置、系统
CN111857295B (zh) * 2020-07-30 2021-10-29 上海势炎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取证勘察箱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4977A1 (en) * 2006-09-05 2010-01-07 Innerscope Research Ll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User Experience For Interactive Activities
US7982615B2 (en) * 2008-12-23 2011-07-19 Dish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iewer-related information on a display based upon wireless identification of a particular viewer
US9055337B2 (en) * 2012-05-17 2015-06-09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Personalizing services using presence detection
US20140030982A1 (en) * 2012-07-11 2014-01-30 Javier Cardon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ance estimate using signal strength information
JP2014134922A (ja) * 2013-01-09 2014-07-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155897A (zh) * 2014-08-06 2014-1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可穿戴智能设备的电器控制方法和电器控制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507A (ko) * 2018-02-26 2019-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228815B2 (en) 2018-02-26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WO2021132812A1 (en) * 2019-12-23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7896B2 (en) 2019-12-23 202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163334A1 (ko) * 2022-02-23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8085A1 (en) 2017-10-11
US20160316264A1 (en) 2016-10-27
EP3228085A4 (en) 2017-12-13
CN107409244A (zh) 2017-11-28
CN107409244B (zh) 202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9244B (zh) 显示装置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方法
US9591071B2 (en) User location-based management of content presentation
US11626901B2 (en) Controlling a media device using a mobile device
CN106488306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9003457B2 (en) Media engagement factors
US10581941B2 (en) Time and content restrictions based on user-identification
US20160063894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voice guidance function, a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corresponding voice guidance method
US11122636B2 (en) Network-based user identification
US10452350B2 (en) Interaction-based user identification
WO202019582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00160378A1 (en) Content output system, terminal device, content out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60227280A1 (en) Content that reacts to viewers
US11228815B2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90051255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19419B1 (ko) 디바이스들 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6031626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apparatus
US8749651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ing information delivery manner using facial recognition
KR20210051349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0621A (ko) 단말내 정보 분석에 기반하여 사용자 맞춤형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말,서버, 시스템 및 방법과 그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87653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3734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 audience, and a mobile device
US20150163640A1 (en) Method for detecting synchronized terminal with pose similar to reference pose data,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recorded with program therefor
WO2012059960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rest rep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