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130B1 -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 Google Patents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130B1
KR101708130B1 KR1020150154198A KR20150154198A KR101708130B1 KR 101708130 B1 KR101708130 B1 KR 101708130B1 KR 1020150154198 A KR1020150154198 A KR 1020150154198A KR 20150154198 A KR20150154198 A KR 20150154198A KR 101708130 B1 KR101708130 B1 KR 101708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viewer
product
smart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대
Original Assignee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개인이 한 개 이상의 스마트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 웨어러블, IoT 장치 등)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사용자는 TV를 시청하는 경우에도 사용자 옆에 이들 복수의 스마트장치를 두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TV와 연결된 셋톱박스가 스마트폰에서 발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스마트폰의 가입자를 해당 TV의 시청자라고 판단하고, 해당 시청자에 대한 맞춤형 추천상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METHOD FOR RECOMMANDING PRODUCT TO REAL VIEWER OF TV USING SETTOP BOX}
본 발명은 TV 쇼핑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TV쇼핑에서의 상품 추천 방법에 관한다.
IPTV의 등장과 맞물려 최근 몇 년 사이에 다양한 TV 쇼핑방법이 등장하였다. 예컨대 특정 TV를 통한 구매이력 또는 시청이력을 분석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사용자 맞춤형 상품추천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맞춤형 상품추천방법은 특정 TV를 하나의 객체로 보고 이를 통한 구매이력이나 시청이력을 분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TV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단수이며 변화하지 않는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TV라는 매체는 한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생활하는 다수의 사람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용기기의 성격을 갖는다. 한 가정에는 할머니와 손자와 같이 연령차이가 많은 구성원이 생활하기도 하며, 남편과 아내와 같이 성별이 다른 구성원이 생활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TV 앞에는 연령이 다르고 성별이 다르며 취향이 다른 복수의 시청자가 존재할 수 있다. 그들은 서로 상반되며 이질적인 성향을 지닐 수도 있으며, 동일한 TV 앞에서도 실제 시청자가 누구이냐에 따라 알맞은 상품 추천이 알맞지 않은 추천으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상품추천방법은 이와 같이 다양한 시청자 개개인의 소비취향에 맞는 상품을 추천하기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시청자 맞춤형 상품추천이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진보적인 형태의 사용자 맞춤형 상품추천방법이 TV 쇼핑시장에 등장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TV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맞춤형 상품추천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이 시청자 개개인의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상징하는 스마트 장치를 인지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에는 개인이 한 개 이상의 스마트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 웨어러블, IoT 장치 등)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사용자는 TV를 시청하는 경우에도 사용자 옆에 이들 복수의 스마트장치를 두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TV와 연결된 셋톱박스가 스마트폰에서 발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스마트폰의 가입자를 해당 TV의 시청자라고 판단하고, 해당 시청자에 대한 맞춤형 상품추천을 진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사용자 개인이 사용하는 스마트장치를 인식하여 보다 정교한 사용자 맞춤형 상품추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스마트장치가 인식되는 경우 카메라모듈을 통한 안면인식을 통해 실 시청자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교한 사용자 맞춤형 상품추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TV에 연결된 셋톱박스가 상기 TV 주변에 존재하는 스마트장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스마트장치의 가입자를 상기 TV의 시청자라고 판단하는 단계;
(c) 데이터방송 홈쇼핑 채널의 서비스서버가 상기 셋톱박스에게 상기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TV에 상기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셋톱박스가 가입자정보서버에게 상기 스마트장치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정보서버가 상기 셋톱박스에게 상기 스마트장치의 가입자가 누구인지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TV 또는 셋톱박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카메라모듈로부터 상기 TV 전면의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스마트장치의 가입자정보 및 상기 영상의 안면인식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TV의 시청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셋톱박스가 안면인식서버에게 상기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안면인식서버가 상기 영상에서 연령 및 성별을 포함하는 안면인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셋톱박스가 안면정보를 사전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영상과 안면정보를 매칭하여 안면인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셋톱박스가 복수의 스마트장치에 대한 무선신호의 강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박스가 가장 큰 강도의 신호를 발신하는 스마트장치의 가입자를 상기 TV의 시청자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장치는 스마트폰, 테블릿PC, 웨어러블디바이스, 및 사물인터넷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장치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비접촉식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적외선 랜(LAN),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 Band)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보다 정교한 사용자 맞춤형 상품추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제 시청자가 누구인지를 결정하고 해당 시청자가 관심을 갖을 법한 상품을 추천하기 때문에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하며 상품 구매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스마트장치가 인식되는 경우 카메라모듈을 통한 안면인식을 통해 실 시청자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교한 사용자 맞춤형 상품추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품추천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품추천방법에서 스마트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품추천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품추천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셋톱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품추천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셋톱박스(200), 가입자정보서버(300), 서비스서버(400), 및 안면인식서버(500)를 포함한다.
셋톱박스(200)는 스마트장치(10)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스마트장치(10)는 개인이 소유하거나 사용하는 장치로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장치(10)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웨어러블, 및 IoT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셋톱박스(200)는 TV에 연결되어 서비스서버(4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방송을 TV에 송출한다.
가입자정보서버(300)는 스마트장치(10)의 소유자 또는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관한 정보인 '가입자정보'를 조회하는 서버이다. 이를 위해 가입자정보서버(300)는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400)는 셋톱박스(200)에 연결되어, 데이터방송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본 발명에서 서비스서버(400)는 데이터방송 홈쇼핑 채널을 서비스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비스서버(400)는 셋톱박스(200)에 추천상품 목록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서버(400)는 상품추천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상품추천서버(410), 사용자별 추천상품을 저장하는 추천상품 데이터베이스(4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인식서버(500)는 셋톱박스(200)에서 안면인식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입력받은 영상에서 안면을 인식한다. 안면인식서버(500)에서 분석한 안면인식정보에는 해당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품추천방법에서 스마트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셋톱박스가 스마트장치의 신호를 수신한다(S100). 수신된 신호가 단수인 경우 바로 해당 스마트장치가 누구의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가입자정보를 조회한다. 그러나, 수신된 신호가 복수인 경우(S200) 신호의 강도를 체크한다.
신호의 강도가 동일한 경우 실제 TV 앞에 누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영상을 취득한다(S400). 영상은 셋톱박스에 설치된 카메라모듈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TV에 설치된 카메라모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취득한 영상에서 안면인식정보를 추출(S450)하고, 안면인식정보에 근거하여 가입자정보를 조회한다(S500).
신호의 강도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스마트장치의 선택 단계로 진입한다(S430).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선택 단계는 신호의 강도가 센 스마트장치가 TV 앞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신호의 강도가 가장 센 스마트장치의 가입자정보를 조회한다(S500).
도 3은 본 발명의 상품추천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TV에 연결된 셋톱박스가 TV 주변에 존재하는 스마트장치의 무선신호를 수신한다(S1100).
셋톱박스는 스마트장치의 가입자를 TV의 시청자라고 판단한다. 이를 위해 셋톱박스가 가입자정보서버에게 스마트장치의 식별자를 전송하면(S1200), 가입자정보서버가 스마트장치의 가입자가 누구인지 조회하고 조회결과를 셋톱박스에게 회신한다(S1300).
셋톱박스가 조회결과에 따른 시청자정보를 서비스서버에게 전송한다(S1400). 시청자정보는 연령, 성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는 해당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조회하여 셋톱박스에게 전송한다(S1500).
셋톱박스는 수신한 추천상품을 TV를 통해 노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추천상품이 스마트장치를 소지한 시청자에게 보여진다(S1600).
도 4는 본 발명의 상품추천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TV에 연결된 셋톱박스가 TV 주변에 존재하는 복수의 스마트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한다(S2100, S2150). 복수의 스마트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였지만, 실제 시청자는 한 명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TV 앞에 두고 다른 방으로 이동한 경우가 그러하다. 이 경우 실제 시청자가 누구인지 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셋톱박스가 TV 또는 셋톱박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카메라모듈로부터 TV 전면의 영상을 취득하고, 셋톱박스가 안면인식서버에게 영상을 전송한다(S2200).
안면인식서버는 영상에서 연령 및 성별을 포함하는 안면인식정보를 추출하여 셋톱박스에 회신한다(S2300).
셋톱박스가 가입자정보서버에게 스마트장치의 식별자를 전송하면(S2400), 가입자정보서버가 스마트장치의 가입자가 누구인지 조회하고 조회결과를 셋톱박스에게 회신한다(S2500).
셋톱박스는 스마트장치의 가입자정보 및 영상의 안면인식정보를 매칭하여 TV의 시청자를 최종결정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셋톱박스가 S2300단계에서 회신받은 안면인식정보는 40대 여성이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셋톱박스가 S2500단계에서 회신받은 스마트장치의 가입자정보는 A스마트폰이 40대 남성의 것이며, B웨어러블이 40대 여성의 것이라는 정보가 있다. 셋톱박스는 이를 매칭하여 현재 TV 앞에는 40대 남성과 40대 여성의 스마트장치 2개가 있지만, 실제 TV를 시청하는 사람은 40대 여성뿐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시청자가 누구인지 확정되었으므로, 셋톱박스가 조회결과에 따른 시청자정보를 서비스서버에게 전송한다(S2600). 서비스서버는 해당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조회하여 셋톱박스에게 전송한다(S2700). 셋톱박스는 수신한 추천상품을 TV를 통해 노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추천상품이 스마트장치를 소지한 시청자에게 보여진다(S2800).
도 5는 본 발명의 셋톱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셋톱박스(200)는 신호수신부(210), 신호강도판단부(220), 제어부(230), 카메라모듈(240), 및 안면정보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210)는 복수의 스마트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신호수신부(210)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스마트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210)가 수신하는 무선신호는 스마트장치의 신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장치 기기 자체에 부여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실제 스마트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름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신호강도판단부(220)는 복수의 스마트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수치화하고 이를 비교한다.
제어부(230)는 신호수신부(210), 신호강도판단부(220), 카메라모듈(240), 및 안면정보저장부(250)에 연결되며 각 모듈을 제어한다. 그밖에 앞서 설명한 셋톱박스(200)의 기능과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수행한다.
카메라모듈(240)은 셋톱박스(200)의 일측에 내장되어 TV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한다.
안면정보저장부(250)는 카메라모듈(240)에서 촬용한 영상에 포함된 인물의 안면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남편과 아내의 안면이 어떠한지, 할머니와 아들의 안면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사전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마트장치는 스마트폰, 테블릿PC, 웨어러블디바이스, 및 사물인터넷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새롭게 정의되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특정인이 소지하고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는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에 포섭되는 개념이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이외에도 다양한 프로토콜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는 비접촉식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적외선 랜(LAN),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 Band)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2) 본 발명이 한 명의 시청자에 대한 상품을 추천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정에 따라서, 복수의 시청자에 대한 상품을 동시에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마트장치로부터 신호가 수신된 경우, 복수의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혼합하여 추천할 수 있다. 안면정보를 조회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무선신호의 세기를 비교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셋톱박스는 특정 스마트장치가 누구의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직접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특정한 스마트장치를 무선신호 수신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용으로 사용하는 스마트장치를 등록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셋톱박스는 시청자의 안면정보를 사전저장할 수 있다. 가족의 얼굴을 미리 등록시켜 놓으면, 보다 정교하게 현재 시청자가 누구인지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8)

  1. (a) TV에 연결된 셋톱박스가 상기 TV 주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장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스마트장치의 가입자를 상기 TV의 시청자라고 판단하는 단계;
    (c) 데이터방송 홈쇼핑 채널의 서비스서버가 상기 셋톱박스에게 상기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TV에 상기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복수의 무선신호가 검출되면,
    (b-1) 상기 셋톱박스가 복수의 스마트장치에 대한 무선신호의 강도를 비교하여, 복수의 스마트장치에 대한 무선신호의 강도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셋톱박스가 가장 큰 강도의 신호를 발신하는 스마트장치의 가입자를 상기 TV의 시청자라고 판단하는 단계;
    (b-2) 복수의 스마트장치에 대한 무선신호의 강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TV 또는 셋톱박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카메라모듈로부터 상기 TV 전면의 영상을 취득하고,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스마트장치의 가입자정보 및 상기 영상의 안면인식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TV의 시청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셋톱박스가 가입자정보서버에게 상기 스마트장치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정보서버가 상기 스마트장치의 가입자가 누구인지 조회하여 상기 셋톱박스에게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가 안면인식서버에게 상기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안면인식서버가 상기 영상에서 연령 및 성별을 포함하는 안면인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가 안면정보를 사전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영상과 안면정보를 매칭하여 안면인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54198A 2015-11-04 2015-11-04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KR101708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198A KR101708130B1 (ko) 2015-11-04 2015-11-04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198A KR101708130B1 (ko) 2015-11-04 2015-11-04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130B1 true KR101708130B1 (ko) 2017-02-17

Family

ID=5826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198A KR101708130B1 (ko) 2015-11-04 2015-11-04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13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061A (ko) * 2017-06-20 2018-12-28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
KR20190033810A (ko) * 2017-09-22 2019-04-01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광고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049358A (zh) * 2018-01-17 2019-07-23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电视的物品推送方法和系统
KR20210088922A (ko) 2020-01-07 2021-07-15 임다은 음성, 얼굴 인식 tv와 그 인식수단 및 연령별 프로그램 추천 장치
KR20210124145A (ko) * 2019-08-12 2021-10-14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US11228815B2 (en) 2018-02-26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142B1 (ko) * 2013-09-14 2014-01-07 주식회사 코어셀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KR20140060091A (ko) * 2012-11-09 2014-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스플레이 유닛의 시청자 인식 시스템
KR20150055410A (ko) * 2013-11-13 2015-05-21 주식회사 엠젠플러스 시청자의 이용패턴을 이용하여 개인별 맞춤형 채널 제공방법 및 콘텐츠 추천방법
KR20150092645A (ko) * 2014-02-05 2015-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091A (ko) * 2012-11-09 2014-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스플레이 유닛의 시청자 인식 시스템
KR101348142B1 (ko) * 2013-09-14 2014-01-07 주식회사 코어셀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KR20150055410A (ko) * 2013-11-13 2015-05-21 주식회사 엠젠플러스 시청자의 이용패턴을 이용하여 개인별 맞춤형 채널 제공방법 및 콘텐츠 추천방법
KR20150092645A (ko) * 2014-02-05 2015-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061A (ko) * 2017-06-20 2018-12-28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
KR102064479B1 (ko) 2017-06-20 2020-02-11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
KR20190033810A (ko) * 2017-09-22 2019-04-01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광고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30605B1 (ko) * 2017-09-22 2019-10-10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광고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049358A (zh) * 2018-01-17 2019-07-23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电视的物品推送方法和系统
CN110049358B (zh) * 2018-01-17 2022-07-05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电视的物品推送方法和系统
US11228815B2 (en) 2018-02-26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210124145A (ko) * 2019-08-12 2021-10-14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432721B1 (ko) * 2019-08-12 2022-08-12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88922A (ko) 2020-01-07 2021-07-15 임다은 음성, 얼굴 인식 tv와 그 인식수단 및 연령별 프로그램 추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130B1 (ko)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RU2731362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покупках в видео прямой трансляции
US1082005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otted advertising and control of corresponding user interfaces and transactions via user receiving devices and mobile devices
CN105323708A (zh) 移动设备和将移动设备与电子设备配对的方法
US100513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iggering user interfaces for product and/or service transactions via user receiving devices and mobile devices
CN104010220A (zh) 内容服务提供方法和装置
EP3174307B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3833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197053B2 (en) Set-top box with enhanced conten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2015005627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통합 리모컨 설정 방법
US2018018984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100197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dvertising, upselling, cross-selling, and purchasing of products and services via user receiving devices and mobile devices
US202302545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ustomized media access user experience with privacy settings
US20150222946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2804816A (zh) 用于至少部分地基于内容类别选择和一个或多个情景特性来提供内容包的输出的方法和装置
KR102300022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쇼핑 정보 제공 방법
CN104883603A (zh) 播放控制方法、系统及终端设备
CN104902318A (zh) 播放控制方法及终端设备
US202101202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ustomized media access user experience
KR101420156B1 (ko)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홈 쇼핑환경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홈 쇼핑방법
CN109416185B (zh) 加热调理器
KR102121800B1 (ko) 사용자화장품을 이용한 메이크업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11653049B2 (en) Set-top box with enhanced conten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1026187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6088B1 (ko) 선호채널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