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145A -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145A
KR20210124145A KR1020210131889A KR20210131889A KR20210124145A KR 20210124145 A KR20210124145 A KR 20210124145A KR 1020210131889 A KR1020210131889 A KR 1020210131889A KR 20210131889 A KR20210131889 A KR 20210131889A KR 20210124145 A KR20210124145 A KR 20210124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remote control
viewer
user
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2721B1 (ko
Inventor
배상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72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정확하고 빠르게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TARGETING SERV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타겟팅된 광고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타겟팅 서비스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개인이 적어도 하나씩은 소지하고 있는 이동단말의 경우, 다른 사람과 공유하지 않고 개인이 전용으로 사용하는 개인화 기기이다.
반면, 댁내 또는 사무실 등에 구비된 티브이(TV)와 같이 여러 사람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용 기기의 경우, 여러 사람들이 임의로 조작 및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시청자)가 계속해서 바뀌는 환경적 특징을 갖는다.
한편, 미디어, 커머스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사용자에 대한 수집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성향을 분석함으로써, 특정 사용자에게 타겟팅된 맞춤형 광고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타겟팅 서비스 기술들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타겟팅 서비스 기술에서는 사용자를 특정하고 실제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한 후에야 실제 사용자에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실제 사용자를 정확히 인식해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타겟팅 서비스를 개인화 기기(예: 이동단말)에 적용하는 경우는, 실제 사용자가 개인 한 명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기기에서의 조작을 기반으로 수집되는 수집정보(예: 검색/구매 이력, Behaivor 등)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등, 실제 사용자를 특정할 필요 없이도 실제 사용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용이하다.
반면, 타겟팅 서비스를 공용 기기(예: 티브이)에 적용하는 경우는, 실제 사용자(시청자)가 여러 명으로 가변적이기 때문에, 여러 명의 사용자 중 실제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하는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현재의 시청 환경에서는, 실제 사용자(시청자)를 정확하고 빠르게 인식해내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티브이의 리모컨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의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시청자인식부;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상기 티브이를 시청하는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성향분석부; 및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상기 리모컨과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단말 중,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센 이동단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의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리모컨 조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리모컨과의 페어링이 강제 종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 세기 차이가 상기 페어링된 제1 이동단말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단말이 존재 및 상기 제1 이동단말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만을 이용하여 분석되는 임시 시청 성향과, 상기 제1 이동단말 및 상기 제2 이동단말 각각의 사용자 별로 기 분석된 시청 성향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상기 제2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리모컨에 통지하는 페어링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제2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가 존재하는 동안 페어링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향분석부는,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상기 티브이의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하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청자 식별자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에서 생성되는 비식별 ID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티브이에 노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상기 티브이의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 및 상기 티브이 중 적어도 하나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티브이의 리모컨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의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시청자인식단계;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상기 티브이를 시청하는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성향분석단계; 및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상기 리모컨과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단말 중,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센 이동단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의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리모컨 조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리모컨과의 페어링이 강제 종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 세기 차이가 상기 페어링된 제1 이동단말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단말이 존재 및 상기 제1 이동단말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만을 이용하여 분석되는 임시 시청 성향과, 상기 제1 이동단말 및 상기 제2 이동단말 각각의 사용자 별로 기 분석된 시청 성향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상기 제2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리모컨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향분석단계는,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상기 티브이의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하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티브이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 실제 사용자(시청자) 개개인 별로 최적화된 타겟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타겟팅 서비스의 적용 범위 및 개인 만족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가 적용되는 시청 환경은, 댁내 또는 사무실 등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여러 사람들이 임의로 조작 및 사용할 수 있는 공용 기기(20, 예: 티브이)를 구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1에서는, 시청 환경의 일 예로서, 티브이(20)와, 해당 장소(예: 가정, 사무실 등) 내에서 인터넷 접속을 지원하는 무선중계장치(30)가 구비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시청 환경을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IPTV 시청 환경에서는,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출력하여 티브이(20)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셋탑박스(미도시)가 구비되며, 이러한 셋탑박스(미도시)는 무선중계장치(30)를 통해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예: Broadcast)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 및 출력하여 티브이(20)에서 재생(노출)시킬 수 있다.
무선중계장치(30, 예: 공유기)는, 셋탑박스(미도시)를 통해 티브이(20)에 대한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뿐만 아니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이동단말(1a,2a,3a, 예: 스마트폰 등)에 대해서도 무선 통신 기반의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IPTV 시청 환경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여러 사람들 예컨대 가족구성원들(1,2,3)이 공용 기기로서의 티브이(20)를 임의로 조작하여 사용자(시청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 및 재생하여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미디어, 커머스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사용자에 대한 수집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성향을 분석함으로써, 특정 사용자에게 타겟팅된 맞춤형 광고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타겟팅 서비스 기술들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타겟팅 서비스 기술에서는 사용자를 특정하고 실제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한 후에야 실제 사용자에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실제 사용자를 정확히 인식해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헌데, 타겟팅 서비스를 공용 기기(예: 티브이)가 구비된 시청 환경에 적용하는 경우는,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제 사용자(시청자)가 여러 가족구성원들(1,2,3) 중 한 명으로 가변적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시청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하는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의 시청 환경에서는, 실제 사용자(시청자)를 정확하고 빠르게 인식해내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에 실제 사용자(시청자)에 대한 시청 성향을 알아내는 것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타겟팅 서비스를 현재의 시청 환경에 적용하게 되면,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가족구성원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수집되는 수집정보(예: 검색/구매 이력, Behaivor 등) 기반의 시청 성향에 타겟팅하여 서비스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므로, 가족구성원 개개인 별로 타겟팅 서비스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타겟팅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안하며, 이러한 기술을 구현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시청자인식부(110), 성향분석부(120), 서비스제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페어링제어부(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티브이(20), 또는 셋탑박스(미도시), 또는 무선중계장치(30)과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티브이(20)/셋탑박스(미도시)/무선중계장치(30)와 분리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통신부(150)를 통해 티브이(20) 조작을 위한 기기(10, 예: 리모컨)/무선중계장치(30), 더 나아가 이동단말(예: 1a)과 연동하여 후술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할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티브이(20)/셋탑박스(미도시)/무선중계장치(30)와 분리 구현되는 실시예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통신부(15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기기 예컨대 티브이(20) 조작을 위한 기기(10, 예: 리모컨)/무선중계장치(30), 더 나아가 이동단말(예: 1a)과 실질적인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150)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타겟팅 서비스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타겟팅 서비스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타겟팅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구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타겟팅 서비스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시청자인식부(110)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티브이(20)의 리모컨(10)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의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리모컨(10) 및 이동단말 간 페어링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일 예로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일 수 있다.
즉, 시청자인식부(110)는, NFC 통신을 기반을 리모컨(10)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예: 1a)의 사용자(예: 1)를,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컨(10)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은, 리모컨(10)과 상근거리 통신의 신호 즉 NFC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단말 중, 리모컨(10)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센 이동단말일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기기로서의 티브이(20)를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사람들 예컨대 가족구성원들(1,2,3) 각각은, 자신의 이동단말(1a,2a,3a)를 각기 보유하며 일상적으로 항상 소지하고 있다고 전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1)이 이동단말(1a)를 소지한 상태로 리모컨(10)을 조작하여 티브이(20)를 사용한다면, 리모컨(10)에서는 리모컨(10)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이동단말(1a)로부터 송신되는 NFC 통신 신호를 가장 센 세기로 수신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리모컨(10)은 자신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 중 가장 센 세기의 NFC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단말(이하, 이동단말(1a)로 언급)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 및 자동으로 페어링(pairing)된다.
그리고, 리모컨(10)과 페어링(pairing)된 이동단말(1a)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리모컨(10) 조작에 따른 조작 정보가 NFC 통신을 통해 수신되면, 조작 정보 및 기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시청자 식별자는, 이동단말(1a)에서 생성되는 비식별 ID, 그리고 리모컨(10) 및 이동단말(1a) 간 최초 페어링 시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의해 이동단말(1a)에 할당되는 Unique Key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조작 정보 및 시청자 식별자를 페어링 정보로 명명하여 설명하겠다.
이에, 시청자인식부(110)는, 전술과 같이 이동단말(1a)로부터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페어링 정보 내 시청자 식별자를 기준으로 리모컨(10)과 페어링된 이동단말(1a)의 사용자(1)를 식별함으로써 해당 사용자(1)를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할 수 있다.
성향분석부(120)는,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상기 티브이를 시청하는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성향분석부(120)는, 특정 사용자 예컨대 사용자(1)을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티브이(20)의 리모컨(10)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및 특정 사용자 즉 사용자(1)에게 기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한다.
즉, 성향분석부(120)는, 전술과 같이 이동단말(1a)로부터 수신한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 내 시청자 식별자를 기준으로 사용자(1)을 실제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이동단말(1a)로부터 수신되는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를 근거로 조작 정보 및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함으로써, 사용자(1)에 대하여 시청 성향 분석 시 이용할 수집정보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성향분석부(120)는, 시청자로 인식되는 각 사용자(1,2,3) 별로 조작 정보 및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함으로써, 사용자(1,2,3) 별로 시청 성향 분석 시 이용할 수집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성향분석부(120)는, 사용자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성향분석부(120)는, 사용자(1)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고,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2,3) 각각의 시청 성향 역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성향분석부(120)는, 시청자가 인식되는 시점 마다 시청자로 인식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고, 또는 시청자가 인식되는 시점에 시청자로 인식된 사용자의 기 분석해 둔 시청 성향을 조회할 수도 있다.
여기서, 조작 정보를 근거로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데 이용하는 분석 알고리즘은, 기존의 다양한 알고리즘 중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시청 성향 분석 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겠다.
한편, 티브이(20)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는,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티브이(20)를 시청하거나 또는 티브이(20)를 시청하지는 않지만 실제 시청자와 동석하고 있는 동석자가 존재하는 등, 다양한 변칙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변칙 상황에서도 시청자인식부(110)에서 실제 시청자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실제 시청자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리모컨(10)과 페어링 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실제 시청자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리모컨(10)과 페어링되도록 하기 위한 페어링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페어링 제어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과 같이 리모컨(10)과 이동단말(1a)이 페어링 된 경우를 가정하면, 리모컨(10)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1a)은,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의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리모컨(10) 조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리모컨(10)과의 페어링이 강제 종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10)과 이동단말(1a)이 페어링 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리모컨(10)이 조작되면 리모컨(10)은 NFC 통신을 통해 페어링 상태의 이동단말(1a)로 조작 정보를 송신하고, 이동단말(1a)은 수신한 조작 정보 및 기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타겟팅 서비스장치(100), 구체적으로 후술의 페어링제어부(140)는, 티브이(20) 또는 셋탑박스(미도시)와 직접 또는 무선중계장치(30)를 통한 간접 연동을 통해, 티브이(20)에서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으로 정의된 특정 컨텐츠(예: 유료 컨텐츠(예: VoD),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이 재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페어링제어부(140)는, 티브이(20)에서 전술의 특정 컨텐츠(예: 유료 컨텐츠(예: VoD),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단말(1a)로부터 최초 또는 마지막으로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이동단말(1a)로부터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동단말(1a)이 리모컨(10)과 페어링된 상태이지만 실제 시청자가 부재 중이거나 또는 티브이(20)를 시청하지는 않고 있다고 간주하고, 리모컨(10)과 이동단말(1a)의 페어링을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페어링제어부(140)는, 리모컨(10) 또는 이동단말(1a)로 페어링 강제 종료를 명령할 수 있고, 이동단말(1a)에 대해서는 페어링 강제 종료 후 기 정의된 제외시간 동안 페어링 대상에서 제외시키도록 리모컨(10)에 명령하여 페어링이 강제 종료된 이동단말(1a)이 NFC 통신 신호 세기로 인해 리모컨(10)과 자동으로 재 페어링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리모컨(10)은,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 강제 종료 후, NFC 통신 신호가 새롭게 수신되거나 NFC 통신 신호가 기 수신되었으나 이동단말(1a) 보다는 신호 세기가 작았던 이동단말(이하, 이동단말(2a))이 있다면 해당 이동단말(2a)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 및 페어링될 수 있다.
한편, 리모컨(10)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의 세기 차이가 페어링된 상태의 제1 이동단말 즉 이동단말(1a)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예: 이동단말(2a))이 존재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실제 시청자가 이동단말(2a)의 사용자(2)일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이에, 페어링제어부(140)는, 리모컨(10)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의 세기 차이가 페어링된 상태의 이동단말(1a)과 임계차이 이내인 이동단말(2a)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단말(2a)이 존재 및 이동단말(1a)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만을 이용하여 분석되는 임시 시청 성향과, 이동단말(1a) 및 이동단말(2a) 각각의 사용자(1,2) 별로 분석된 시청 성향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페어링제어부(140)는, 이동단말(2a)이 존재 및 이동단말(1a)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이동단말(1a)로부터 수신되는 페어링 정보 내 조작 정보를 추출 및 성향분석부(120)에 전달하여, 성향분석부(120)에서 이때 전달된 조작 정보 만으로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임시 시청 성향을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페어링제어부(140)는, 전술의 비교 결과에 따라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이동단말(2a)과의 페어링을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리모컨(10)에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어링제어부(140)는, 전술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임시 시청 성향과의 일치율이 현재 실제 시청자로 인식된 사용자(1)의 시청 성향에서 더 높은 경우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유지하는 결정을 하고, 임시 시청 성향과의 일치율이 사용자(2)의 시청 성향에서 더 높은 경우 이동단말(2a)과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리모컨(10)은,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 유지 결정이 통지되면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단말(2a)과의 페어링 개시 결정이 통지되면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강제 종료하고 이동단말(2a)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 및 페어링될 수 있다.
*이때, 리모컨(10)은, 전술의 비교 결과에 따라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강제 종료하고 이동단말(2a)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하는 경우, 페어링 강제 종료한 이동단말(1a)에 대해서는 이동단말(2a)로부터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가 존재하는 동안 페어링 대상에서 제외시킴으로써, 페어링이 강제 종료된 이동단말(1a)이 NFC 통신 신호 세기로 인해 자동으로 재 페어링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리모컨(10)은,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 상태에서 이동단말(1a)로부터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 세기가 작아져 임계세기 이하로 떨어지면,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종료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에서는, 시청자가 이동단말을 두고 자리를 비우는 등 더 이상 시청을 하지 않거나, 또는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티브이(20)를 시청하거나 티브이(20)를 시청하지는 않지만 실제 시청자와 동석하고 있는 동석자가 존재하는 등, 다양한 변칙 상황에서도 실제 시청자를 정확하게 인식해낼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제공부(130)는,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제공부(130)는, 특정 사용자 예컨대 사용자(1)을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 예컨대 광고, 추천 VoD 등의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여 티브이(20)에 노출시킬 수 있다.
즉, 서비스제공부(130)는,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외부 컨텐츠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선택하고, 선택한 타겟팅 컨텐츠를 티브이(20) 또는 셋탑박스(미도시)와 직접 또는 무선중계장치(30)를 통한 간접 연동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티브이(20)에 노출시킬 수 있다.
또는, 서비스제공부(130)는, 특정 사용자 예컨대 사용자(1)의 이동단말(1a)이 티브이(20)의 리모컨(10)과 페어링되는 경우,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1)의 이동단말(1a) 및 티브이(20) 중 적어도 하나에 노출시킬 수 있다.
즉, 서비스제공부(130)는, 이동단말(1a)이 리모컨(10)과 페어링되어 사용자(1)을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선택한 타겟팅 컨텐츠를 이동단말(1a)로 제공하여 이동단말(1a)에 노출시킬 수 있고, 또는 이동단말(1a) 및 티브이(20)에 함께 노출시킬 수도 있다.
이때, 서비스제공부(130)는, 이동단말(1a) 및 티브이(20) 각각에 제공하여 노출시키는 타겟팅 컨텐츠를 동일하게 할 수도 있지만, 이동단말(1a)에는 사용자(1)의 시청 성향 만을 근거로 선택한 타겟팅 컨텐츠를 제공하고 티브이(20)에는 NFC 통신 신호 세기 차이가 이동단말(1a)과 임계차이 이내인 이동단말(2a)의 사용자(2)의 시청 성향도 활용하여 선택한 타겟팅 컨텐츠를 제공하는 등 이동단말(1a) 및 티브이(20) 각각에 제공하여 노출시키는 타겟팅 컨텐츠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따르면,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정확하고 빠르게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 실제 사용자(시청자) 개개인 별로 최적화된 타겟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타겟팅 서비스의 적용 범위 및 개인 만족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및 도 2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전체적인 시스템 관점에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10)은 자신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 중 가장 센 세기의 NFC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단말(이하, 이동단말(1a)로 언급)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 및 자동으로 페어링(pairing)된다(S1).
리모컨(10)과 페어링(pairing)된 이동단말(1a)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리모컨(10) 조작에 따른 조작 정보가 NFC 통신을 통해 수신되면(S2), 조작 정보 및 기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S3).
여기서, 시청자 식별자는, 이동단말(1a)에서 생성되는 비식별 ID, 그리고 리모컨(10) 및 이동단말(1a) 간 최초 페어링 시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의해 이동단말(1a)에 할당되는 Unique Key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조작 정보 및 시청자 식별자를 페어링 정보로 명명하여 설명하겠다.
이에,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이동단말(1a)로부터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페어링 정보 내 시청자 식별자를 기준으로 리모컨(10)과 페어링된 이동단말(1a)의 사용자(1)를 식별함으로써 해당 사용자(1)를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할 수 있다(S4).
그리고,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사용자(1)을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티브이(20)의 리모컨(10)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및 특정 사용자 즉 사용자1에게 기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한다.
이에, 본 발명의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사용자(1)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고(S4),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선택하고(S5), 선택한 타겟팅 컨텐츠를 티브이(20) 또는 셋탑박스(미도시)와 직접 또는 무선중계장치(30)를 통한 간접 연동을 통해 제공함으로써(S6) 티브이(20)에 노출시킬 수 있다(S7).
한편, 티브이(20)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는,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티브이(20)를 시청하거나 또는 티브이(20)를 시청하지는 않지만 실제 시청자와 동석하고 있는 동석자가 존재하는 등, 다양한 변칙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변칙 상황에서도 실제 시청자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실제 시청자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리모컨(10)과 페어링 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실제 시청자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리모컨(10)과 페어링되도록 하기 위한 페어링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10)과 이동단말(1a)이 페어링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리모컨(10)이 조작되면 리모컨(10)은 NFC 통신을 통해 페어링 상태의 이동단말(1a)로 조작 정보를 송신하고(S8), 이동단말(1a)은 수신한 조작 정보 및 기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타겟팅 서비스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S9).
한편,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티브이(20) 또는 셋탑박스(미도시)와 직접 또는 무선중계장치(30)를 통한 간접 연동을 통해, 티브이(20)에서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으로 정의된 특정 컨텐츠(예: 유료 컨텐츠(예: VoD),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이 재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티브이(20)에서 전술의 특정 컨텐츠(예: 유료 컨텐츠(예: VoD),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단말(1a)로부터 최초 또는 마지막으로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이동단말(1a)로부터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되지 않는 리모컨 조작 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10).
이에,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리모컨 조작 미 발생으로 판단 시(S10 Yes), 이동단말(1a)이 리모컨(10)과 페어링된 상태이지만 실제 시청자가 부재 중이거나 또는 티브이(20)를 시청하지는 않고 있다고 간주하고, 리모컨(10) 또는 이동단말(1a)로 페어링 강제 종료를 명령하여(S11a) 리모컨(10)과 이동단말(1a)의 페어링을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S11b).
한편, 리모컨(10)은, 리모컨(10)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의 세기 차이가 페어링된 상태의 제1 이동단말 즉 이동단말(1a)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예: 이동단말(2a))이 존재하는 경우(S13 Yes), 제2 이동단말 즉 이동단말(2a)에 대한 정보를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14).
이에,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리모컨(10)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의 세기 차이가 페어링된 상태의 이동단말(1a)과 임계차이 이내인 이동단말(2a)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단말(2a)이 존재 및 이동단말(1a)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만을 이용하여 분석되는 임시 시청 성향과, 이동단말(1a) 및 이동단말(2a) 각각의 사용자(1,2) 별로 분석된 시청 성향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이동단말(2a)과의 페어링을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15).
예를 들면,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전술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임시 시청 성향과의 일치율이 현재 실제 시청자로 인식된 사용자(1)의 시청 성향에서 더 높은 경우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유지하는 결정을 하고, 임시 시청 성향과의 일치율이 사용자(2)의 시청 성향에서 더 높은 경우 이동단말(2a)과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결정 내용을 리모컨(10)에 통지하고(S16), 리모컨(10)은,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 유지 결정이 통지되면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단말(2a)과의 페어링 개시 결정이 통지되면 이동단말(1a)과의 페어링을 강제 종료하고 이동단말(2a)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 및 페어링될 수 있다(S17).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타겟팅 서비스장치 관점에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컨(10)은 자신에 수신되는 NFC 통신 신호 중 가장 센 세기의 NFC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단말(이하, 이동단말(1a)로 언급)과 페어링(pairing)을 개시 및 자동으로 페어링(pairing)된다(S100).
이때, 실제 시청자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리모컨(10)과 페어링되도록 하기 위해, NFC 통신 신호 세기 기반의 페이링, 일반적인 페이링 종료 외에도, 페어링을 강제 종료하고 다른 이동단말과 페어링을 개시하는 등의 페어링 제어 기능이 실현된다(S100, 도 3의 설명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이동단말(1a)로부터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를 근거로 조작 정보 및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함으로써, 사용자(1)에 대하여 시청 성향 분석 시 이용할 수집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S11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이동단말(1a)로부터 페어링 정보(조작 정보+시청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페어링 정보 내 시청자 식별자를 기준으로 리모컨(10)과 페어링된 이동단말(1a)의 사용자(1)를 식별함으로써 해당 사용자(1)를 현 시점의 실제 시청자로 인식할 수 있다(S120).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사용자(1)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있다(S130).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타겟팅 서비스장치(100)는, 사용자(1)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외부 컨텐츠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선택하고 선택한 타겟팅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S140), 사용자(1)에 대해 타겟팅된 컨텐츠 예컨대 광고, 추천 VoD 등의 맞춤형 컨텐츠를 사용자(1)의 이동단말(1a) 및 티브이(20) 중 적어도 하나에 노출시킬 수 있다(S15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정확하고 빠르게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타겟팅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 실제 사용자(시청자) 개개인 별로 최적화된 타겟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타겟팅 서비스의 적용 범위 및 개인 만족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공용 기기(예: 티브이)를 시청하는 실제 시청자를 정확하고 빠르게 특정/인식하여 실제 시청자에게 타겟팅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타겟팅 서비스장치
110 : 시청자인식부 120 : 성향분석부
130 : 서비스제공부 140 : 페어링제어부

Claims (15)

  1.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티브이의 리모컨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의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시청자인식부;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상기 티브이를 시청하는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성향분석부; 및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모컨은,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 세기 차이가 상기 페어링된 제1 이동단말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이 존재하며 상기 제1 이동단말 및 상기 제2 이동단말 각각의 사용자 별로 기 분석된 시청 성향을 근거로 상기 제1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이 종료되고 상기 제2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제2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가 존재하는 동안 페어링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상기 리모컨과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단말 중,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센 이동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의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리모컨 조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리모컨과의 페어링이 강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 세기 차이가 상기 페어링된 제1 이동단말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단말이 존재 및 상기 제1 이동단말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만을 이용하여 분석되는 임시 시청 성향과, 상기 제1 이동단말 및 상기 제2 이동단말 각각의 사용자 별로 기 분석된 시청 성향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상기 제2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리모컨에 통지하는 페어링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분석부는,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상기 티브이의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하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시청자 식별자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에서 생성되는 비식별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티브이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상기 티브이의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 및 상기 티브이 중 적어도 하나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
  9.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티브이의 리모컨과 페어링(pairing)되는 이동단말의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시청자인식단계;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상기 티브이를 시청하는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성향분석단계; 및
    시청자로 인식된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리모컨은,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 세기 차이가 상기 페어링된 제1 이동단말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이 존재하며 상기 제1 이동단말 및 상기 제2 이동단말 각각의 사용자 별로 기 분석된 시청 성향을 근거로 상기 제1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이 종료되고 상기 제2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제2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가 존재하는 동안 페어링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상기 리모컨과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단말 중,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센 이동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과 페어링되는 이동단말은,
    재생 종료 시까지 시청이 유지되는 타입의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리모컨 조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리모컨과의 페어링이 강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의 신호 세기 차이가 상기 페어링된 제1 이동단말과 임계차이 이내인 제2 이동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단말이 존재 및 상기 제1 이동단말이 페이링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만을 이용하여 분석되는 임시 시청 성향과, 상기 제1 이동단말 및 상기 제2 이동단말 각각의 사용자 별로 기 분석된 시청 성향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상기 제2 이동단말과의 페어링을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리모컨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분석단계는,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인식 시점부터 상기 티브이의 리모컨이 조작되는 조작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할당된 시청자 식별자를 맵핑시켜 수집하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자 식별자와 맵핑하여 수집된 조작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시청자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근거로 타겟팅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티브이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팅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31889A 2019-08-12 2021-10-05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432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889A KR102432721B1 (ko) 2019-08-12 2021-10-05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280A KR20210019288A (ko) 2019-08-12 2019-08-12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10131889A KR102432721B1 (ko) 2019-08-12 2021-10-05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280A Division KR20210019288A (ko) 2019-08-12 2019-08-12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145A true KR20210124145A (ko) 2021-10-14
KR102432721B1 KR102432721B1 (ko) 2022-08-12

Family

ID=746874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280A KR20210019288A (ko) 2019-08-12 2019-08-12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10131889A KR102432721B1 (ko) 2019-08-12 2021-10-05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280A KR20210019288A (ko) 2019-08-12 2019-08-12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19288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646A (ja) * 2006-08-11 2010-01-07 エイ・ティ・アンド・ティ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アイ,エル.ピー.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テレビジョン・ネットワークに広告データを挿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00106563A (ko) * 2007-12-31 2010-10-01 엘몬드네트, 인크. 온라인 행동을 기반으로 하는 텔레비전 표적 광고
US20130326554A1 (en) * 2012-06-05 2013-12-05 Almondnet, Inc. Targeted television advertising based on a profile linked to an online device associated with a content-selecting device
KR20160045288A (ko) * 2014-10-17 2016-04-27 옥윤선 모바일단말 제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모바일단말 제어 시스템
KR20160065719A (ko) * 2014-11-28 2016-06-09 이케이웍스 주식회사 근거리 유저 식별을 통한 스마트 tv 시스템
KR101708130B1 (ko) * 2015-11-04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KR101975566B1 (ko) * 2018-11-21 2019-05-07 주식회사 오성전자 사용자 인식형 리모컨 및 이의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646A (ja) * 2006-08-11 2010-01-07 エイ・ティ・アンド・ティ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アイ,エル.ピー.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テレビジョン・ネットワークに広告データを挿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00106563A (ko) * 2007-12-31 2010-10-01 엘몬드네트, 인크. 온라인 행동을 기반으로 하는 텔레비전 표적 광고
US20130326554A1 (en) * 2012-06-05 2013-12-05 Almondnet, Inc. Targeted television advertising based on a profile linked to an online device associated with a content-selecting device
KR20160045288A (ko) * 2014-10-17 2016-04-27 옥윤선 모바일단말 제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모바일단말 제어 시스템
KR20160065719A (ko) * 2014-11-28 2016-06-09 이케이웍스 주식회사 근거리 유저 식별을 통한 스마트 tv 시스템
KR101708130B1 (ko) * 2015-11-04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KR101975566B1 (ko) * 2018-11-21 2019-05-07 주식회사 오성전자 사용자 인식형 리모컨 및 이의 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288A (ko) 2021-02-22
KR102432721B1 (ko)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39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ing data
US20140165094A1 (en) Roaming targeted advertising for a video services system
KR101591535B1 (ko)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법
US91916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lating generic requests into device specific request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117115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nciling playback using progress point information
KR101363454B1 (ko) Tv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mim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111722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yback of content using progress point information
KR20160132809A (ko) 컨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장치
US201103209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ultiple user access to media devices in a connected platform environment
KR20160053549A (ko) 단말 장치 및 그 정보 제공 방법
GB2492443A (en) Second-scre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 for interactive TV
KR102036384B1 (ko)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32721B1 (ko) 타겟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30077328A (ko) 컨텐츠 부가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그리고 개인 스토리지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130047176A1 (en) Content recommendation using subsequence profiling
US1186165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60182951A1 (en) Automatic "return to program" feature for a video delivery system
JP6426225B2 (ja)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103176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communicating with media devices in a connected platform environment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KR2020005906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882334B2 (en) Automated user-responsive video content
JP5788030B2 (ja) 放送のマルチメディア遺伝子を用いたグルーピングサー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50084276A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을 제어하는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60086088A (ko)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668559B1 (ko) 콘텐츠에 포함된 음파신호로부터 콘텐츠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