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061A -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061A
KR20180138061A KR1020170078142A KR20170078142A KR20180138061A KR 20180138061 A KR20180138061 A KR 20180138061A KR 1020170078142 A KR1020170078142 A KR 1020170078142A KR 20170078142 A KR20170078142 A KR 20170078142A KR 20180138061 A KR20180138061 A KR 20180138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terminal
connection
advertiseme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479B1 (ko
Inventor
최용태
정진식
노형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47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sche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사용자와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특정그룹(예: 가족) 내 각 구성원의 단말관련이용정보(예: 컨텐츠, 검색 등)를 기반으로 최적의 광고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특정사용자로 한정되던 광고 타겟팅 대상을 구성원 전체로 확대할 수 있으며, 광고시간에 시청 가능한 대상예측을 통해 타겟팅 성공률이 향상시키는, 새로운 광고 타겟팅 방안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DVERTISEMENTS}
본 발명은 광고 타겟팅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사용자와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특정그룹(예: 가족) 내 각 구성원의 단말관련이용정보(예: 컨텐츠, 검색 등)를 기반으로 최적의 광고가 제공되도록 하는, 새로운 광고 타겟팅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제공이 가능해졌다.
이처럼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하나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가 알려져 있다. IPTV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신호 등을 셋톱박스(Set-top Box)와 같은 수신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IPTV 서비스는, 특정그룹(예: 가족)을 형성하는 구성원 중 특정사용자가 계약자가 되어 IPTV 서비스 신청을 접수하게 되면, 해당 사업장에서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셋톱박스, 인터넷 공유기 등을 설치하여 제공된다.
즉, 특정사용자가 대표로 IPTV 서비스 계약과 관련되는 사용자정보(예: 성별, 연령 등)를 제공하여 IPTV 서비스 계약이 완료되면, 특정사용자와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특정그룹(예: 가족)의 구성원들 모두가 IPTV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IPTV 서비스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관리장치는, 특정사용자와 관련되는 사용자정보(예: 성별, 연령 등)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므로, IPTV 서비스를 통해 특정사용자만을 타겟팅으로 하는 광고를 제공할 수 밖에 없는 한계점이 있다.
결국,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그룹(예: 가족)에는 계약자인 특정사용자 이외에도 다른 구성원들이 존재할 것이나, 각 구성원들에 대한 사용자정보(예: 성별, 연령 등), 컨텐츠 구매이력, 검색이력 등을 확인할 수 없어 특정사용자에게 편향된 광고만을 제공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상세하게는 특정사용자와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특정그룹(예: 가족) 내 각 구성원의 단말관련이용정보(예: 컨텐츠, 검색 등)를 기반으로 최적의 광고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특정사용자로 한정되던 광고 타겟팅 대상을 구성원 전체로 확대할 수 있으며, 광고시간에 시청 가능한 대상예측을 통해 타겟팅 성공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광고관리장치는, 특정셋톱박스와 관련되는 공유기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접속한 경우, 상기 공유기 및 상기 특정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단말의 접속과 관련되는 접속관련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접속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그룹의 구성원 확인과 관련된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단말을 추정하는 추정부; 및 상기 특정단말에 대하여 기 저장된 광고 타겟팅과 관련되는 타겟팅관련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시간에 방송할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유기부터, 상기 공유기의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이 접속하는 접속시간과 상기 네트워크를 이탈하는 이탈시간을 포함하는 로그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확인부는, 상기 접속시간과 상기 이탈시간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접속유지시간과, 상기 접속유지시간이 기준 이상인 횟수를 누적하여 산출되는 접속빈도수를 제1 접속관련정보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셋톱박스로부터, 상기 공유기의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이후에 상기 특정셋톱박스와 관련되는 텔레비전의 실행이 제어되어 TV제어신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확인부는, 상기 TV제어신호정보로부터 검출되는 단말식별자 및 채널제어시점을 제2 접속관련정보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정부는, 상기 접속관련정보가 상기 제1 접속관련정보인 경우, 상기 접속유지시간 및 상기 접속빈도수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단말이 존재하면, 해당 단말을 상기 특정단말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정부는, 상기 접속관련정보가 제2 접속관련정보인 경우, 상기 채널제어시점에 상기 TV제어신호정보를 전송한 상기 단말식별자와 일치하는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단말이 존재하면, 해당 단말을 상기 특정단말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겟팅관련정보는, 상기 특정단말 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확인되는 컨텐츠이용관련정보 및 검색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타겟팅할 광고의 선택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주요시청시간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시간에 상기 텔레비전의 시청이 예측되는 특정단말을 포함하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된 경우, 상기 2개의 특정단말 중 상기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상기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된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의 공통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상기 접속빈도수 및 상기 접속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이상인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되며, 상기 특정광고가 특정컨텐츠 제공 중에 방송되는 중간광고인 경우, 상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이하인 제1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상기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며, 상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 상기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보다 긴 제2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상기 접속유지시간이 가장 긴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광고관리장치의 동작방법은, 특정셋톱박스와 관련되는 공유기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접속한 경우, 상기 공유기 및 상기 특정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단말의 접속과 관련되는 접속관련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접속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그룹의 구성원 확인과 관련된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단말을 추정하는 추정단계; 및 상기 특정단말에 대하여 기 저장된 광고 타겟팅과 관련되는 타겟팅관련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시간에 방송할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유기부터, 상기 공유기의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이 접속하는 접속시간과 상기 네트워크를 이탈하는 이탈시간을 포함하는 로그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접속시간과 상기 이탈시간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접속유지시간과, 상기 접속유지시간이 기준 이상인 횟수를 누적하여 산출되는 접속빈도수를 제1 접속관련정보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셋톱박스로부터, 상기 공유기의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이후에 상기 특정셋톱박스와 관련되는 텔레비전의 실행이 제어되어 TV제어신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TV제어신호정보로부터 검출되는 단말식별자 및 채널제어시점을 제2 접속관련정보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정단계는, 상기 접속관련정보가 상기 제1 접속관련정보인 경우, 상기 접속유지시간 및 상기 접속빈도수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단말이 존재하면, 해당 단말을 상기 특정단말로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관련정보가 제2 접속관련정보인 경우, 상기 채널제어시점에 상기 TV제어신호정보를 전송한 상기 단말식별자와 일치하는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단말이 존재하면, 해당 단말을 상기 특정단말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겟팅관련정보는, 상기 특정단말 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확인되는 컨텐츠이용관련정보 및 검색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타겟팅할 광고의 선택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주요시청시간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시간에 상기 텔레비전의 시청이 예측되는 특정단말을 포함하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된 경우, 상기 2개의 특정단말 중 상기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광고결정1단계; 상기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상기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된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의 공통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광고결정2단계; 및 상기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상기 접속빈도수 및 상기 접속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이상인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되며, 상기 특정광고가 특정컨텐츠 제공 중에 방송되는 중간광고인 경우, 상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광고결정3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결정3단계는, 상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이하 제1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상기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며, 상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 상기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보다 긴 제2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상기 접속유지시간이 가장 긴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특정사용자와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특정그룹(예: 가족) 내 각 구성원의 단말관련이용정보(예: 컨텐츠, 검색 등)를 기반으로 최적의 광고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특정사용자로 한정되던 광고 타겟팅 대상을 구성원 전체로 확대할 수 있으며, 광고시간에 시청 가능한 대상예측을 통해 타겟팅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관리장치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단말을 추정하기 위한 임계범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 내 구성들에 의한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관리장치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는, IP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장소(예: 댁내)에 설치되는 셋톱박스(Set-top Box)(100) 및 인터넷 공유기(200)와, 특정장소(예: 댁내)에서 인지되는 단말(300)과,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서비스제공서버(400)와 연동하여 IPTV 서비스를 통해 광고가 제공되도록 광고 타겟팅을 수행하는 광고관리장치(5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단말(300)은, 셋톱박스(Set-top Box)(100) 및 인터넷 공유기(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하여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데스크탑 및 노트북 등과 IPTV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특정장소(예: 댁내)에서 IPTV 서비스를 제공받기까지의 개략적인 과정을 살펴보면, 특정장소(예: 댁내) 구성원 중 특정사용자가 계약자가 되어 IPTV 서비스 신청을 요청한다. 즉, 특정사용자가 대표로 IPTV 서비스 계약과 관련되는 사용자정보(예: 성별, 연령 등)를 제공하여 IPTV 서비스 계약을 완료한다.
그러면, IPTV서비스제공서버(400)는, IPTV 서비스 제공을 위해 특정장소(예: 댁내)에 셋톱박스(100) 및 인터넷 공유기(200) 등을 설치할 것을 해당 사업장으로 요청한다. 이후, IPTV서비스제공서버(40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광고,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신호 등을 셋톱박스(100)와 인터넷 공유기(200)를 통해 제공한다.
즉, 특정사용자가 대표로 IPTV 서비스 계약과 관련되는 사용자정보(예: 성별, 연령 등)를 제공하여 IPTV 서비스 계약을 완료하면, 특정사용자와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특정장소(예: 댁내)에 존재하는 구성원들 모두가 IPTV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IPTV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광고의 경우, 광고관리장치(500)가 IPTV서비스제공서버(400)로부터 획득한 특정사용자의 사용자정보(예: 성별, 연령 등)를 기반으로 제공되므로, 특정사용자만을 타겟팅으로 하는 광고만을 제공하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
결국,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성원에는 계약자인 특정사용자 이외에도 다른 구성원들이 존재할 것이나, 각 구성원들에 대한 사용자정보(예: 성별, 연령 등), 컨텐츠 구매이력, 검색이력 등에 대한 고려 없이 특정사용자에게 편향된 광고만을 제공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특정사용자와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특정그룹(예: 가족) 내 각 구성원의 단말관련이용정보(예: 컨텐츠, 검색 등)를 기반으로 최적의 광고가 제공되도록 하는, 새로운 광고 타겟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관리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장소가 댁내인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관리장치(500)는, 특정셋톱박스와 관련되는 공유기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300)이 접속한 경우, 공유기 및 특정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단말(300)의 접속과 관련되는 접속관련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510), 접속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그룹의 구성원 확인과 관련된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단말을 추정하는 추정부(520), 및 특정단말에 대하여 기 저장된 광고 타겟팅과 관련되는 타겟팅관련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시간에 방송할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결정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확인부(510)는, 댁내에서 인지되는 단말(300)의 접속과 관련되는 접속관련정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댁내에는 IP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1,2,..) 및 공유기(1,2,..)가 구비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을 것이나, 설명의 편의 상, 댁내에 구비된 텔레비전(미도시)에는 IPTV 서비스 제공을 위해 셋톱박스1 및 공유기1이 연결되어 서로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하겠다.
이하에서는 특정셋톱박스로서 텔레비전(미도시)에 연결된 셋톱박스1을 언급하며, 셋톱박스1과 관련된 공유기로서 공유기1을 언급하며, 댁내에 존재하는 단말(300)로서 4개의 단말1,2,3,4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확인부(510)는, 셋톱박스1과 관련되는 공유기1에 단말1,2,3,4가 접속한 경우, 공유기1 및 셋톱박스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단말1,2,3,4의 접속과 관련되는 접속관련정보를 확인한다.
먼저, 공유기1로부터 단말1,2,3,4의 접속과 관련되는 접속관련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확인부(510)는, 단말1,2,3,4가 공유기1의 네트워크 범위에 포함되어 접속하는 접속시간과, 공유기1의 네트워크 범위를 이탈하는 이탈시간을 포함하는 로그관련정보를 공유기1로부터 수신한다.
즉, 공유기1이 댁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유기1은, 댁내로 진입하여 공유기1의 네트워크 범위에 포함되거나, 또는 댁내로부터 진출하여 공유기1의 네트워크 범위를 이탈하는 모든 단말들을 인지할 수 있다.
이처럼 공유기1이 특별한 조작 및 설정 없이도 댁내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단말들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은, 일종의 제로 구성 네트워킹(Zero configuration networking) 기법을 기반으로 공유기1과 단말1,2,3,4가 인터넷프로토콜(IP)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접속되기에 가능하다.
이러한 제로 구성 네트워킹(Zero configuration networking) 기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mDNS(Multicast Domain Name System)를 사용한다. mDNS는, DNS(Unicast Domain Name System)와 유사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및 패킷을 사용하며, 소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별도의 네임서버를 사용하지 않고 호스트를 찾을 수 있다.
이에, 공유기1은, 특별한 조작 및 설정 없이도 댁내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단말1,2,3,4의 접속시간 및 이탈시간을 확인하여 로그관련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에 따라 공유기1로부터 로그관련정보가 수신되면, 확인부(510)는, 단말1,2,3,4의 로그관련정보로부터 접속시간과 이탈시간을 확인한다. 이후, 확인부(510)는, 단말1,2,3,4 별로 접속시간과 이탈시간의 차이값에 해당하는 접속유지시간을 산출한다.
이어서, 확인부(510)는, 단말1,2,3,4 별 접속유지시간이 기준 이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횟수를 누적 카운트하여 단말1,2,3,4 별 접속빈도수를 산출한다.
전술에 따라 공유기1의 로그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2,3,4 별 접속유지시간 및 접속빈도수의 산출이 완료되면, 확인부(510)는, 접속유지시간과 접속빈도수를 제1 접속관련정보로 확인한다.
여기서, 제1 접속관련정보는, 댁내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단말 중 댁내에서 실제로 매일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성원만을 추출하여 특정그룹으로 그룹화하기 위한 판단기준정보로서, 공유기1이 제로 구성 네트워킹 기법을 기반으로 인지한 결과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셋톱박스1로부터 단말1,2,3,4의 접속과 관련되는 접속관련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확인부(510)는, 단말1,2,3,4가 공유기1의 네트워크에 접속한 이후 텔레비전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TV제어신호정보가 셋톱박스1로부터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TV제어신호정보는, 텔레비전의 전원 온/오프, 채널변경 등과 같이 텔레비전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되는 모든 제어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며, 어느 단말이 언제 제어를 요청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식별자 및 채널제어시점 등이 포함된다.
즉, 확인부(510)는, 셋톱박스1로부터 TV제어신호정보가 수신되면, 공유기1의 네트워크에 접속한 단말1,2,3,4가 텔레비전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해 TV제어신호정보를 전송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확인부(510)는, TV제어신호정보로부터 단말식별자 및 채널제어시점 등을 검출하여 제2 접속관련정보로 확인한다.
여기서, 제2 접속관련정보는, 댁내로 진입한 단말 중 댁내에서 실제로 매일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성원만을 추출하여 특정그룹으로 그룹화하기 위한 판단기준정보로서, 단말1,2,3,4가 셋톱박스1로 요청하는 TV제어신호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정보일 수 있다.
전술과 같이 단말1,2,3,4가 공유기1의 네트워크에 접속한 이후 텔레비전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TV제어신호정보를 전송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댁내에 일시적으로 방문하거나 처음 방문하는 단말이 아닌 실제로 매일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성원이어야 가능한 행동일 수 있다.
이에, 확인부(510)는, 단말식별자 및 채널제어시점을 제2 접속관련정보로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추정부(520)는, 접속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그룹의 구성원 확인과 관련된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단말을 추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정부(520)는, 확인부(510)로부터 제1 접속관련정보 및 제2 접속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먼저 확인부(510)로부터 제1 접속관련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추정부(520)는, 제1 접속관련정보로부터 단말1,2,3,4 별 접속유지시간과 접속빈도수를 검출한다. 이후, 추정부(520)는, 접속유지시간 및 접속빈도수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특정단말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단말1의 접속유지시간이 20분이고 접속빈도수가 15회이며, 단말2의 접속유지시간이 30분이고 접속빈도수가 10회이며, 단말3의 접속유지시간이 15분이고 접속빈도수가 5회이며, 단말4의 접속유지시간이 5분이고 접속빈도수가 1회인 경우, 추정부(520)는, 접속유지시간과 접속빈도수를 임계범위와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단말1,2,3,4의 접속유지시간과 접속빈도수가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즉, 추정부(520)는, 단말1의 접속유지시간(20분)과 접속빈도수(15회)가 임계범위에 포함되므로, 단말1을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특정단말로 추정한다. 또한, 추정부(520)는, 단말2의 접속유지시간(30분)과 접속빈도수(10회)가 임계범위에 포함되므로, 단말2를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특정단말로 추정한다. 또한, 추정부(520)는, 단말3의 접속유지시간(15분)과 접속빈도수(5회)가 임계범위에 포함되므로, 단말3을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특정단말로 추정한다. 반면, 단말4의 경우, 접속유지시간(5분)과 접속빈도수(1회)가 임계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추정부(520)는, 단말4가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전술에 따라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특정단말로서 단말1,2,3이 확인되고,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단말로서 단말4가 확인되면, 추정부(520)는, 댁내 존재하는 단말1,2,3,4 중 단말1,2,3을 실제로 매일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그룹인 가족 내 구성원(가구원)으로 판단하고, 단말4를 비구성원(비가구원)으로 판단하여 특정그룹에서 배제한다.
다음으로, 확인부(510)로부터 제2 접속관련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추정부(520)는, 제2 접속관련정보로부터 단말식별자 및 채널제어시점을 검출한다. 이후, 추정부(520)는, 채널제어시점에 TV제어신호정보를 전송한 단말식별자와 일치하는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특정단말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제2 접속관련정보로부터 단말식별자1 및 채널제어시점1과, 단말식별자2 및 채널제어시점2가 검출된 경우, 추정부(520)는, 단말1,2,3,4 별 단말식별자와 검출된 단말식별자1을 비교하여 단말식별자1과 일치하는 단말1을 검출한다. 이후, 추정부(520)는, 채널제어시점1에서 단말1이 TV제어신호정보를 셋톱박스1로 전송하는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추정부(520)는, 단말1의 단말식별자와 검출된 단말식별자1이 일치하며, 단말1이 채널제어시점1에서 TV제어신호정보를 셋톱박스1로 전송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1을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특정단말로 추정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추정부(520)는, 단말1,2,3,4 별 단말식별자와 검출된 단말식별자2,3을 비교하여 단말식별자2,3과 일치하는 단말2,3을 검출한다. 이후, 추정부(520)는, 채널제어시점2,3에서 단말2,3이 TV제어신호정보를 셋톱박스1로 전송하는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추정부(520)는, 단말2,3의 단말식별자와 검출된 단말식별자2,3가 일치하며, 단말2,3이 채널제어시점2,3에서 TV제어신호정보를 셋톱박스1로 전송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2,3을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특정단말로 추정한다.
전술에 따라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특정단말로서 단말1,2,3이 확인되고,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단말로서 단말4가 확인되면, 추정부(520)는, 댁내 존재하는 단말1,2,3,4 중 단말1,2,3을 실제로 매일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그룹인 가족 내 구성원(가구원)으로 판단하고, 단말4를 비구성원(비가구원)으로 판단하여 특정그룹에서 배제한다.
한편, 전술에서는 공유기1 및 셋톱박스1 중 적어도 하나로의 접속이력을 기반으로 특정그룹의 구성원을 추정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말1,2,3,4과 셋톱박스1의 수동 페이링 후 양단(단말1,2,3,4과 텔레비전(미도시)에서 시청이 가능한 특정상품(예: N-Screen)의 이용이 가능한 시점을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구성원을 추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결정부(530)는, 광고 타겟팅 대상을 고려하여 특정시간에 방송할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530)는, 특정단말에 대하여 기 저장된 광고 타겟팅과 관련되는 타겟팅관련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시간에 방송할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여기서, 타겟팅관련정보는, 특정단말 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확인되는 컨텐츠이용관련정보 및 검색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타겟팅할 광고의 선택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세그먼트정보는, 광고관리장치(5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단말서비스제공서버(600)로부터 제공되며, 특정단말 내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옥수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는 컨텐츠(예: VOD, 영화 등)에 해당하는 컨텐츠이용관련정보와,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네이버)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가 검색하는 검색어(예: 육아, 쇼핑 등)에 해당하는 검색관련정보 등이 누적되어 타겟팅할 광고의 선택기준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정단말 내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옥수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는 컨텐츠(예: VOD, 영화 등)를 확인했을 때, 유아가 시청하는 컨텐츠(예: VOD, 영화 등)와 30대 이상의 주부들이 선호하는 드라마와 관련되는 컨텐츠(예: VOD, 영화 등)가 거의 유사한 비율로 시청된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서비스제공서버(600)는, 특정단말에 대해 "아이를 키우는 주부"와 "드라마를 좋아하는 30대 여성"을 특정 세그먼트정보로 매핑하고, 이를 광고관리장치(500)로 전송한다.
전술에 따라 결정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에는, 주요시청시간이 매핑되어 있어 특정단말이 텔레비전을 시정하는 시간을 예측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즉, 특정 세그먼트정보가 "아이를 키우는 주부"인 경우, "아이를 키우는 주부"를 특정 세그먼트정보로 갖는 모든 사용자들의 주요시청시간(예: 아이 취침 이후 등)의 분포 등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주요시청시간이 매핑될 수 있다.
이에, 결정부(530)는, 단말서비스제공서버(600)로부터 특정단말에 대한 타겟팅관련정보가 수신되면, 타겟팅관련정보로부터 타겟팅할 광고의 선택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결정부(530)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주요시청시간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특정시간에 텔레비전의 시청이 예측되는 특정단말을 포함하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을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댁내 존재하는 단말1,2,3,4 중 단말1,2,3이 실제로 매일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그룹(예: 가족) 내 구성원이고, 단말4가 비구성원으로 판단되어 특정그룹에서 배제된 경우를 이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단말1,2,3,4 중 단말1,2,3이 특정그룹(예: 가족) 내 구성원으로 확인되면, 결정부(530)는, 단말1,2,3 별로 매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결정부(530)는, 단말1에 매핑되어 있는 특정 세그먼트정보가 "아이를 키우는 주부"이면, 단말1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인 "아이를 키우는 주부"에 매핑되어 있는 주요시청시간(예: 오후 10시)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2에 매핑되어 있는 특정 세그먼트정보가 "50대 드라마 시청을 좋아하는 여성"이면, 결정부(530)는, "50대 드라마 시청을 좋아하는 여성"에 매핑되어 있는 주요시청시간(예: 오후 10)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단말3에 매핑되어 있는 특정 세그먼트정보가 "40대 스포츠를 좋아하는 회사원"이면, 결정부(530)는, 단말3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인 "40대 스포츠를 좋아하는 회사원"에 매핑되어 있는 주요시청시간(예: 오후 9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결정부(530)는, 특정시간(오후 10시)에 텔레비전의 시청이 예측되는 특정단말로서 단말1,2를 특정시간(오후 10시)에서의 특정단말시청후보군으로 결정하며, 특정시간(오후 9시)에 텔레비전의 시청이 예측되는 특정단말로서 단말3을 특정시간(오후 9시)에서의 특정단말시청후보군으로 결정하게 된다.
전술에 따라 특정시간에 텔레비전의 시청이 예측되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의 결정이 완료되면, 결정부(530)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포함된 특정단말로 타겟팅할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즉, 결정부(530)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포함된 특정단말 별 접속빈도수 및 접속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타겟팅할 광고의 선택기준이 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시간(오후 10시)에서의 특정단말시청후보군으로 결정된 특정단말인 단말1,2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결정부(530)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된 경우, 2개의 특정단말 중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고하면, 특정시간(오후 10시)에서의 특정단말시청후보군으로 단말1,2가 포함된 경우, 단말1,2 중 접속빈도수가 더 높아 자주 접속하여 시청 가능한 단말1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인 "아이를 키우는 주부"를 기준으로 특정광고(예: 육아용품 등)를 결정한다.
만일, 전술과 달리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된 경우,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의 공통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즉, 특정시간(오후 10시)에서의 특정단말시청후보군으로 포함된 단말1,2의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값으로 동일하며, 단말1,2의 공통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가 "운동을 좋아하는 여성"인 경우, 결정부(530)는, 단말1과 단말2에 공통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인 "운동을 좋아하는 여성"을 기준으로 특정광고(예: 운동기구 등)를 결정한다.
한편, 결정부(530)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접속빈도수 및 접속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이상인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되며, 특정광고가 특정컨텐츠 제공 중에 방송되는 중간광고인 경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여기서,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라 함은, 예능 및 홈쇼핑 등과 같이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이하로 짧은 특징을 갖는 제1 프로그램과, 드라마 및 영화 등과 같이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보다 긴 특징을 갖는 제2 프로그램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일 수 있다.
즉, 결정부(530)는,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이하인 제1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1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방송시간에 맞춰 시청하는 비율보다는 채널변경 중에 관심을 갖게 되어 시청하게 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으므로, 특정단말시청후보군의 단말들 중 가장 자주 접속하게 됨에 따라 제1 프로그램을 시청할 확률이 높은 단말을 타겟팅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결정부(530)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접속빈도수 및 접속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이상인 단말1,2가 존재하며,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이하로 짧은 제1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인 경우에는, 단말1,2 중 가장 자주 접속하여 제1 프로그램을 시청할 확률이 높은, 즉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단말1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인 "아이를 키우는 주부"를 기준으로 특정광고(예: 육아용품 등)를 결정한다.
결국, 결정부(530)는, 제1 프로그램의 중간광고의 타겟팅 대상으로 가장 자주 접속하여 제1 프로그램을 시청할 확률이 높은 단말1을 선택하고, 단말1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하여 제1 프로그램의 중간에 방송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결정부(530)는,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보다 긴 제2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접속유지시간이 가장 긴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2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특정한 지정된 요일(예: 월화 드라마, 수목 드라마)의 지정된 시간(예: 8시, 10시 등)에 일정기간 이상 장기적으로 방송하여 방송시간에 맞춰 시청하게 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으므로, 특정단말시청후보군의 단말들 중 비록 접속빈도수가 작더라도 제2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하여 제2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예: 2시간)이 종료될 때까지 모두 시청할 확률이 높은 접속유지시간이 가장 긴 단말을 타겟팅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결정부(530)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접속빈도수 및 접속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이상인 단말1,2가 존재하며,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보다 긴 제2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인 경우에는, 단말1,2 중 가장 오랫동안 접속하여 시청할 확률이 높은, 즉 접속유지시간이 가장 긴 단말2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인 "50대 드라마 시청을 좋아하는 여성"을 기준으로 특정광고(예: 드라마 주인공 등장광고 등)를 결정한다.
결국, 결정부(530)는, 제2 프로그램의 중간광고의 타겟팅 대상으로 가장 오랫동안 접속하여 제2 프로그램을 시청할 확률이 높은 단말2를 선택하고, 단말2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제2 프로그램의 중간에 방송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전술에서는 특정시간에 텔레비전의 시청이 예측되는 특정단말을 특정단말시청후보군으로 결정한 후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포함된 특정단말로 타겟팅할 특정광고를 제공하는 일례를 언급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공유기의 동일한 네트워크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 중 셋톱박스와 수동 페이링된 특정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셋톱박스에 연결된 텔레비전(미도시)과 특정단말을 대상으로 실시간 크로스 타겟팅 동영상 광고나 팝업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 내 구성들에 의한 동작흐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3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며,
도 4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댁내에는 IP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1,2,..) 중 셋톱박스1과, 공유기(1,2,..) 중 공유기1이 텔레비전(미도시)에 연결되어 서로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하겠다.
댁내에 설치된 공유기1는, 댁내로 진입하여 공유기1의 네트워크 범위에 포함되거나, 또는 댁내로부터 진출하여 공유기1의 네트워크 범위를 이탈하는 단말1,2,3,4를 인지한다(S100).
이처럼 공유기1이 특별한 조작 및 설정 없이도 댁내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단말들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은, 일종의 제로 구성 네트워킹(Zero configuration networking) 기법을 기반으로 공유기1과 단말1,2,3,4가 인터넷프로토콜(IP)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접속되기에 가능하다. 이에, 공유기1에는 댁내 구성원의 단말뿐만 아니라 댁내에 일시적으로 방문하거나 처음 방문하는 모든 단말들이 자동으로 접속되게 된다.
한편, 단말1,2,3,4 중 댁내 구성원의 단말의 경우에는 셋톱박스1로 텔레비전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TV제어신호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S101).
이에 이하에서는 이러한 댁내 환경에서 단말1,2,3,4 중 특정그룹(예: 가족)의 구성원에 해당하는 특정단말을 추정하여 광고 타겟팅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광고관리장치(500)는, 단말1,2,3,4가 댁내로 진입한 경우, 공유기1 및 셋톱박스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단말1,2,3,4의 접속과 관련되는 접속관련정보를 확인한다.
즉, 공유기1은, 댁내로 진입하여 공유기1의 네트워크 범위에 포함되거나, 또는 댁내로부터 진출하여 공유기1의 네트워크 범위를 이탈하는 모든 단말들을 인지할 수 있다. 이에, 공유기1은, 특별한 조작 및 설정 없이도 댁내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단말1,2,3,4의 접속시간 및 이탈시간을 확인하여 로그관련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광고관리장치(500)로 전달할 수 있다(S102, S103).
즉, 광고관리장치(500)는, 공유기1로부터 단말1,2,3,4가 공유기1의 네트워크 범위에 포함되어 접속하는 접속시간과, 공유기1의 네트워크 범위를 이탈하는 이탈시간을 포함하는 로그관련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광고관리장치(500)는, 단말1,2,3,4의 로그관련정보로부터 접속시간과 이탈시간을 확인한 후, 단말1,2,3,4 별로 접속시간과 이탈시간의 차이값에 해당하는 접속유지시간을 산출한다.
이어서, 광고관리장치(500)는, 단말1,2,3,4 별 접속유지시간이 기준 이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횟수를 누적 카운트하여 단말1,2,3,4 별 접속빈도수를 산출한다.
전술과 같이 공유기1의 로그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2,3,4 별 접속유지시간 및 접속빈도수의 산출이 완료되면, 광고관리장치(500)는, 접속유지시간과 접속빈도수를 제1 접속관련정보로 확인한다(S104).
여기서, 제1 접속관련정보는, 댁내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단말 중 댁내에서 실제로 매일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성원만을 추출하여 특정그룹으로 그룹화하기 위한 판단기준정보로서, 공유기1이 제로 구성 네트워킹 기법을 기반으로 인지한 결과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광고관리장치(500)는, 단말1,2,3,4가 공유기1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이후 텔레비전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TV제어신호정보가 셋톱박스1로부터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TV제어신호정보는, 텔레비전의 전원 온/오프, 채널변경 등과 같이 텔레비전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되는 모든 제어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며, 어느 단말이 언제 제어를 요청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식별자 및 채널제어시점 등이 포함된다.
즉, 단말1,2,3,4 중 특정그룹(예: 가족)의 구성원의 단말의 경우에는 공유기1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이후 셋톱박스1로 텔레비전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TV제어신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셋톱박스1은, 단말1,2,3,4 로부터 TV제어신호정보가 수신되면, 단말1,2,3,4 중 어느 단말이 언제 제어를 요청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고관리장치(500)로 TV제어신호정보를 전송한다(S105, S106).
전술과 같이 셋톱박스1로부터 TV제어신호정보가 수신되면, 광고관리장치(500)는, TV제어신호정보로부터 단말식별자 및 채널제어시점을 검출하여 제2 접속관련정보로 확인한다(S107).
여기서, 제2 접속관련정보는, 댁내로 진입한 단말 중 댁내에서 실제로 매일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성원만을 추출하여 특정그룹으로 그룹화하기 위한 판단기준정보로서, 단말1,2,3,4가 셋톱박스1로 요청하는 TV제어신호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후, 광고관리장치(500)는, 접속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그룹의 구성원 확인과 관련된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단말을 추정한다(S108).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관리장치(500)는, 제1 접속관련정보 및 제2 접속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단말을 추정한다.
먼저 제1 접속관련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일 때 특정단말을 추정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광고관리장치(500)는, 제1 접속관련정보로부터 단말1,2,3,4 별 접속유지시간과 접속빈도수를 검출한다. 이후, 광고관리장치(500)는, 접속유지시간 및 접속빈도수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특정단말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단말1의 접속유지시간이 20분이고 접속빈도수가 15회이며, 단말2의 접속유지시간이 30분이고 접속빈도수가 10회이며, 단말3의 접속유지시간이 15분이고 접속빈도수가 5회이며, 단말4의 접속유지시간이 5분이고 접속빈도수가 1회인 경우, 광고관리장치(500)는, 접속유지시간과 접속빈도수를 임계범위와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단말1,2,3,4의 접속유지시간과 접속빈도수가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전술과 같이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 특정단말로서 단말1,2,3이 확인되고,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단말로서 단말4가 확인되는 경우, 광고관리장치(500)는, 댁내 존재하는 단말1,2,3,4 중 단말1,2,3을 실제로 매일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그룹인 가족 내 구성원(가구원)으로 판단하고, 단말4를 비구성원(비가구원)으로 판단하여 특정그룹에서 배제한다.
다음으로 제2 접속관련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일 때 특정단말을 추정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광고관리장치(500)는, 제2 접속관련정보로부터 단말식별자 및 채널제어시점을 검출한다. 이후, 광고관리장치(500)는, 채널제어시점에 TV제어신호정보를 전송한 단말식별자와 일치하는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특정단말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제2 접속관련정보로부터 단말식별자1 및 채널제어시점1과, 단말식별자2 및 채널제어시점2가 검출된 경우, 광고관리장치(500)는, 단말1,2,3,4 별 단말식별자와 검출된 단말식별자1을 비교하여 단말식별자1과 일치하는 단말1을 검출한다. 이후, 광고관리장치(500)는, 채널제어시점1에서 단말1이 TV제어신호정보를 셋톱박스1로 전송하는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광고관리장치(500)는, 단말1의 단말식별자와 검출된 단말식별자1이 일치하며, 단말1이 채널제어시점1에서 TV제어신호정보를 셋톱박스1로 전송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1을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특정단말로 추정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광고관리장치(500)는, 단말1,2,3,4 별 단말식별자와 검출된 단말식별자2,3을 비교하여 단말식별자2,3과 일치하는 단말2,3을 검출한다. 이후, 광고관리장치(500)는, 채널제어시점2,3에서 단말2,3이 TV제어신호정보를 셋톱박스1로 전송하는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단말2,3을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특정단말로 추정한다.
이처럼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특정단말로서 단말1,2,3이 확인되고,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단말로서 단말4가 확인되면, 광고관리장치(500)는, 댁내 존재하는 단말1,2,3,4 중 단말1,2,3을 실제로 매일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그룹인 가족 내 구성원(가구원)으로 판단하고, 단말4를 비구성원(비가구원)으로 판단하여 특정그룹에서 배제한다.
전술에 따라 특정그룹(예: 가족)과 관련되는 특정단말을 추정이 완료되면, 광고관리장치(500)는, 광고 타겟팅 대상을 고려하여 특정시간에 방송할 특정광고를 결정한다(S109-S110).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관리장치(500)는, 특정단말에 대하여 기 저장된 광고 타겟팅과 관련되는 타겟팅관련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시간에 방송할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여기서, 타겟팅관련정보는, 특정단말 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확인되는 컨텐츠이용관련정보 및 검색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타겟팅할 광고의 선택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세그먼트정보는, 광고관리장치(5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단말서비스제공서버(600)로부터 제공되며, 특정단말 내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옥수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는 컨텐츠(예: VOD, 영화 등)에 해당하는 컨텐츠이용관련정보와,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네이버)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가 검색하는 검색어(예: 육아, 쇼핑 등)에 해당하는 검색관련정보 등이 누적되어 타겟팅할 광고의 선택기준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정단말 내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옥수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는 컨텐츠(예: VOD, 영화 등)를 확인했을 때, 유아가 시청하는 컨텐츠(예: VOD, 영화 등)와 30대 이상의 주부들이 선호하는 드라마와 관련되는 컨텐츠(예: VOD, 영화 등)가 거의 유사한 비율로 시청된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서비스제공서버(600)는, 특정단말에 대해 "아이를 키우는 주부"와 "드라마를 좋아하는 30대 여성"을 특정 세그먼트정보로 매핑하고, 이를 광고관리장치(500)로 전송한다.
전술에 따라 결정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에는, 주요시청시간이 매핑되어 있어 특정단말이 텔레비전을 시정하는 시간을 예측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즉, 특정 세그먼트정보가 "아이를 키우는 주부"인 경우, "아이를 키우는 주부"를 특정 세그먼트정보로 갖는 모든 사용자들의 주요시청시간(예: 아이 취침 이후 등)의 분포 등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주요시청시간이 매핑될 수 있다.
이에, 광고관리장치(500)는, 단말서비스제공서버(600)로부터 특정단말에 대한 타겟팅관련정보가 수신되면, 타겟팅관련정보로부터 타겟팅할 광고의 선택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광고관리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주요시청시간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특정시간에 텔레비전의 시청이 예측되는 특정단말을 포함하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을 결정한다.
즉, 단말1,2,3,4 중 단말1,2,3이 특정그룹(예: 가족) 내 구성원으로 확인되면, 광고관리장치(500)는, 단말1,2,3 별로 매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광고관리장치(500)는, 단말1에 매핑되어 있는 특정 세그먼트정보가 "아이를 키우는 주부"이면, 단말1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인 "아이를 키우는 주부"에 매핑되어 있는 주요시청시간(예: 오후 10시)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2에 매핑되어 있는 특정 세그먼트정보가 "50대 드라마 시청을 좋아하는 여성"이면, 광고관리장치(500)는,"50대 드라마 시청을 좋아하는 여성"에 매핑되어 있는 주요시청시간(예: 오후 10)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단말3에 매핑되어 있는 특정 세그먼트정보가 "40대 스포츠를 좋아하는 회사원"이면, 광고관리장치(500)는, 단말3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인 "40대 스포츠를 좋아하는 회사원"에 매핑되어 있는 주요시청시간(예: 오후 9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광고관리장치(500)는, 특정시간(오후 10시)에 텔레비전의 시청이 예측되는 특정단말로서 단말1,2를 특정시간(오후 10시)에서의 특정단말시청후보군으로 결정하며, 특정시간(오후 9시)에 텔레비전의 시청이 예측되는 특정단말로서 단말3을 특정시간(오후 9시)에서의 특정단말시청후보군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처럼 특정시간에 텔레비전의 시청이 예측되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의 결정이 완료되면, 광고관리장치(500)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포함된 특정단말로 타겟팅할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즉, 광고관리장치(500)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포함된 특정단말 별 접속빈도수 및 접속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타겟팅할 광고의 선택기준이 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시간(오후 10시)에서의 특정단말시청후보군으로 결정된 특정단말인 단말1,2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광고관리장치(500)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된 경우, 2개의 특정단말 중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고하면, 특정시간(오후 10시)에서의 특정단말시청후보군으로 단말1,2가 포함된 경우, 단말1,2 중 접속빈도수가 더 높아 자주 접속하여 시청 가능한 단말1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인 "아이를 키우는 주부"를 기준으로 특정광고(예: 육아용품 등)를 결정한다.
만일, 전술과 달리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된 경우,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의 공통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즉, 특정시간(오후 10시)에서의 특정단말시청후보군으로 포함된 단말1,2의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값으로 동일하며, 단말1,2의 공통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가 "운동을 좋아하는 여성"인 경우, 광고관리장치(500)는, 단말1과 단말2에 공통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인 "운동을 좋아하는 여성"을 기준으로 특정광고(예: 운동기구 등)를 결정한다.
한편, 광고관리장치(500)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접속빈도수 및 접속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이상인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되며, 특정광고가 특정컨텐츠 제공 중에 방송되는 중간광고인 경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여기서,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라 함은, 예능 및 홈쇼핑 등과 같이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이하로 짧은 특징을 갖는 제1 프로그램과, 드라마 및 영화 등과 같이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보다 긴 특징을 갖는 제2 프로그램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일 수 있다.
즉, 광고관리장치(500)는,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이하인 제1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1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방송시간에 맞춰 시청하는 비율보다는 채널변경 중에 관심을 갖게 되어 시청하게 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으므로, 특정단말시청후보군의 단말들 중 가장 자주 접속하게 됨에 따라 제1 프로그램을 시청할 확률이 높은 단말을 타겟팅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광고관리장치(500)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접속빈도수 및 접속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이상인 단말1,2가 존재하며,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이하로 짧은 제1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인 경우에는, 단말1,2 중 가장 자주 접속하여 제1 프로그램을 시청할 확률이 높은, 즉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단말1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인 "아이를 키우는 주부"를 기준으로 특정광고(예: 육아용품 등)를 결정한다.
결국, 광고관리장치(500)는, 제1 프로그램의 중간광고의 타겟팅 대상으로 가장 자주 접속하여 제1 프로그램을 시청할 확률이 높은 단말1을 선택하고, 단말1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하여 제1 프로그램의 중간에 방송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광고관리장치(500)는,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보다 긴 제2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접속유지시간이 가장 긴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2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특정한 지정된 요일(예: 월화 드라마, 수목 드라마)의 지정된 시간(예: 8시, 10시 등)에 일정기간 이상 장기적으로 방송하여 방송시간에 맞춰 시청하게 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으므로, 특정단말시청후보군의 단말들 중 비록 접속빈도수가 작더라도 제2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 접속하여 제2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예: 2시간)이 종료될 때까지 모두 시청할 확률이 높은 접속유지시간이 가장 긴 단말을 타겟팅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광고관리장치(500)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접속빈도수 및 접속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이상인 단말1,2가 존재하며,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보다 긴 제2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인 경우에는, 단말1,2 중 가장 오랫동안 접속하여 시청할 확률이 높은, 즉 접속유지시간이 가장 긴 단말2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인 "50대 드라마 시청을 좋아하는 여성"을 기준으로 특정광고(예: 드라마 주인공 등장광고 등)를 결정한다.
결국, 광고관리장치(500)는, 제2 프로그램의 중간광고의 타겟팅 대상으로 가장 오랫동안 접속하여 제2 프로그램을 시청할 확률이 높은 단말2를 선택하고, 단말2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특정광고를 제2 프로그램의 중간에 방송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특정사용자와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특정그룹(예: 가족) 내 각 구성원의 단말관련이용정보(예: 컨텐츠, 검색 등)를 기반으로 최적의 광고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특정사용자로 한정되던 광고 타겟팅 대상을 구성원 전체로 확대할 수 있으며, 광고시간에 시청 가능한 대상예측을 통해 타겟팅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특정사용자와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특정그룹(예: 가족) 내 각 구성원의 단말관련이용정보(예: 컨텐츠, 검색 등)를 기반으로 최적의 광고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특정사용자로 한정되던 광고 타겟팅 대상을 구성원 전체로 확대할 수 있으며, 광고시간에 시청 가능한 대상예측을 통해 타겟팅 성공률이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셋톱박스 200 : 인터넷 공유기
300 : 단말 400 : IPTV서비스제공서버
500 : 광고관리장치
510 : 확인부 520 : 추정부
530 : 결정부 600 : 단말서비스제공서버

Claims (18)

  1. 특정셋톱박스와 관련되는 공유기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접속한 경우, 상기 공유기 및 상기 특정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단말의 접속과 관련되는 접속관련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접속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그룹의 구성원 확인과 관련된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단말을 추정하는 추정부; 및
    상기 특정단말에 대하여 기 저장된 광고 타겟팅과 관련되는 타겟팅관련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시간에 방송할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부터, 상기 공유기의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이 접속하는 접속시간과 상기 네트워크를 이탈하는 이탈시간을 포함하는 로그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확인부는,
    상기 접속시간과 상기 이탈시간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접속유지시간과, 상기 접속유지시간이 기준 이상인 횟수를 누적하여 산출되는 접속빈도수를 제1 접속관련정보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셋톱박스로부터, 상기 공유기의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이후에 상기 특정셋톱박스와 관련되는 텔레비전의 실행이 제어되어 TV제어신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확인부는,
    상기 TV제어신호정보로부터 검출되는 단말식별자 및 채널제어시점을 제2 접속관련정보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상기 접속관련정보가 상기 제1 접속관련정보인 경우, 상기 접속유지시간 및 상기 접속빈도수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단말이 존재하면, 해당 단말을 상기 특정단말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상기 접속관련정보가 제2 접속관련정보인 경우, 상기 채널제어시점에 상기 TV제어신호정보를 전송한 상기 단말식별자와 일치하는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단말이 존재하면, 해당 단말을 상기 특정단말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팅관련정보는,
    상기 특정단말 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확인되는 컨텐츠이용관련정보 및 검색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타겟팅할 광고의 선택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주요시청시간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시간에 상기 텔레비전의 시청이 예측되는 특정단말을 포함하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된 경우, 상기 2개의 특정단말 중 상기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상기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된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의 공통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상기 접속빈도수 및 상기 접속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이상인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되며, 상기 특정광고가 특정컨텐츠 제공 중에 방송되는 중간광고인 경우, 상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이하인 제1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상기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며,
    상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 상기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보다 긴 제2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상기 접속유지시간이 가장 긴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
  11. 특정셋톱박스와 관련되는 공유기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접속한 경우, 상기 공유기 및 상기 특정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단말의 접속과 관련되는 접속관련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접속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그룹의 구성원 확인과 관련된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단말을 추정하는 추정단계; 및
    상기 특정단말에 대하여 기 저장된 광고 타겟팅과 관련되는 타겟팅관련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시간에 방송할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결정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의 동작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부터, 상기 공유기의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이 접속하는 접속시간과 상기 네트워크를 이탈하는 이탈시간을 포함하는 로그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접속시간과 상기 이탈시간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접속유지시간과, 상기 접속유지시간이 기준 이상인 횟수를 누적하여 산출되는 접속빈도수를 제1 접속관련정보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의 동작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셋톱박스로부터, 상기 공유기의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이후에 상기 특정셋톱박스와 관련되는 텔레비전의 실행이 제어되어 TV제어신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TV제어신호정보로부터 검출되는 단말식별자 및 채널제어시점을 제2 접속관련정보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의 동작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단계는,
    상기 접속관련정보가 상기 제1 접속관련정보인 경우, 상기 접속유지시간 및 상기 접속빈도수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제1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단말이 존재하면, 해당 단말을 상기 특정단말로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관련정보가 제2 접속관련정보인 경우, 상기 채널제어시점에 상기 TV제어신호정보를 전송한 상기 단말식별자와 일치하는 제2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단말이 존재하면, 해당 단말을 상기 특정단말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의 동작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팅관련정보는,
    상기 특정단말 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확인되는 컨텐츠이용관련정보 및 검색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타겟팅할 광고의 선택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의 동작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그먼트정보에 매핑되어 있는 주요시청시간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시간에 상기 텔레비전의 시청이 예측되는 특정단말을 포함하는 특정단말시청후보군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의 동작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된 경우, 상기 2개의 특정단말 중 상기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광고결정1단계;
    상기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상기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된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의 공통되는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광고결정2단계; 및
    상기 특정단말시청후보군에 상기 접속빈도수 및 상기 접속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이상인 2개 이상의 특정단말이 포함되며, 상기 특정광고가 특정컨텐츠 제공 중에 방송되는 중간광고인 경우, 상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광고결정3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의 동작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결정3단계는,
    상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이하 제1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상기 접속빈도수가 가장 높은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며,
    상기 특정컨텐츠의 프로그램속성이 상기 시청유지시간이 기준 보다 긴 제2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상기 접속유지시간이 가장 긴 특정단말의 특정 세그먼트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광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관리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70078142A 2017-06-20 2017-06-20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 KR10206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42A KR102064479B1 (ko) 2017-06-20 2017-06-20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42A KR102064479B1 (ko) 2017-06-20 2017-06-20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61A true KR20180138061A (ko) 2018-12-28
KR102064479B1 KR102064479B1 (ko) 2020-02-11

Family

ID=6500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142A KR102064479B1 (ko) 2017-06-20 2017-06-20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4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646A (ja) * 2006-08-11 2010-01-07 エイ・ティ・アンド・ティ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アイ,エル.ピー.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テレビジョン・ネットワークに広告データを挿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00106563A (ko) * 2007-12-31 2010-10-01 엘몬드네트, 인크. 온라인 행동을 기반으로 하는 텔레비전 표적 광고
US20130326554A1 (en) * 2012-06-05 2013-12-05 Almondnet, Inc. Targeted television advertising based on a profile linked to an online device associated with a content-selecting device
KR20160065719A (ko) * 2014-11-28 2016-06-09 이케이웍스 주식회사 근거리 유저 식별을 통한 스마트 tv 시스템
KR101708130B1 (ko) * 2015-11-04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646A (ja) * 2006-08-11 2010-01-07 エイ・ティ・アンド・ティ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アイ,エル.ピー.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テレビジョン・ネットワークに広告データを挿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00106563A (ko) * 2007-12-31 2010-10-01 엘몬드네트, 인크. 온라인 행동을 기반으로 하는 텔레비전 표적 광고
US20130326554A1 (en) * 2012-06-05 2013-12-05 Almondnet, Inc. Targeted television advertising based on a profile linked to an online device associated with a content-selecting device
KR20160065719A (ko) * 2014-11-28 2016-06-09 이케이웍스 주식회사 근거리 유저 식별을 통한 스마트 tv 시스템
KR101708130B1 (ko) * 2015-11-04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479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274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nabling presence-based and use-based services
US20230046822A1 (en) Personalized Content Recommendations Based on Consumption Periodicity
US113039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ing data
JP64087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05313B1 (ko) 셋탑 박스에서 오디오 핑거프린트들의 시퀀스 생성
US8793729B2 (en) Preferential program guide
US8065698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btaining consumer information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US8843952B2 (en) Determining TV program information based on analysis of audio fingerprints
US9113203B2 (en) Generating a sequence of audio fingerprints at a set top box
US11245936B2 (en) Dynamic content insertion on a user-by-user basis
US20090222853A1 (en) Advertisement Replacement System
US20140373036A1 (en) Hybrid video recognition system based on audio and subtitle data
WO2014150656A2 (en) Enhancing targeted advertising in a home network gateway device
WO2017190750A1 (en) Evaluating an effect of tv content provided to tv watchers
US9800921B2 (en) In-home smart video cache
KR20180138061A (ko) 광고관리장치 및 방법
GB2490910A (en) Identifying user of mobile device linked to communal media receiver, for example for providing targeted, user profile-based advertisements
US10320882B2 (en) Uniform resource locator discovery and tracking for managing sponsored data
KR101894794B1 (ko) 광고중계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