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664A -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664A
KR20160079664A KR1020150179207A KR20150179207A KR20160079664A KR 20160079664 A KR20160079664 A KR 20160079664A KR 1020150179207 A KR1020150179207 A KR 1020150179207A KR 20150179207 A KR20150179207 A KR 20150179207A KR 20160079664 A KR20160079664 A KR 20160079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earable device
worn
information
we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헌
김남훈
이재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80070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106032B/zh
Priority to EP15873693.4A priority patent/EP3238012B1/en
Priority to PCT/KR2015/014274 priority patent/WO2016105166A1/en
Priority to US14/980,206 priority patent/US10952667B2/en
Publication of KR20160079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3Discriminating type of movement, e.g. walking or ru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며, 상기 착용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주요 제어 기기(main controlled device)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구별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WEARABLE DEVICE}
본 개시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가 개발되면서, 그 기능 또한 다양화 됨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는,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을 센싱하거나 사용자의 신체 변화량을 측정하는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를 다른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된 디바이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며, 상기 착용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주요 제어 기기(main controlled device)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구별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운동 타입을 추천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추천된 운동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결정된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결정된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를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결정된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요 제어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적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요 제어 기기로 재 결정된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주요 제어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적은 경우, 상기 배터리 잔량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알람을 출력하도록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주요 제어 기기로 결정된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요 제어 기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타입에 따른 운동 코칭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착용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웨어러블 기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움직임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착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움직임 패턴을 유도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웨어러블 기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가 포함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소정의 스펙트럼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스펙트럼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착용된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 타입을 추천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추천된 운동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착용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웨어러블 기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움직임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착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움직임 패턴을 유도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가 포함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소정의 스펙트럼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스펙트럼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착용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주요 제어 기기(main controlled device)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통신부를 통해 구별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착용된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 타입을 추천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추천된 운동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통신부를 통해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코칭 정보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에 기초한 알람 출력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웨어러블 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3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바이스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의 이동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신체 정보’는,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른 신체의 변화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신체 정보는, 심박수, 칼로리 소모량, 혈압, 혈류량, 체지방률, 심전도, 근육량, 심전도, 스트레스 지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정보’는,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른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신체 정보는, 걸음 수, 운동 반복 횟수, 활동 거리, 활동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웨어러블 기기(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전자 기기를 의미하고, 시계, 팔찌, 반지, 목걸이, 팬턴트, 클립, 패치, 이어폰, 신발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200)는 동일한 형태로 구현되고, 밴드, 패치, 클립 형태 등의 장착기구를 결합시킴에 따라, 신체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는, 웨어러블 기기(2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패턴의 움직임을 반복하는 경우에, 웨어러블 기기(200)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각도, 횟수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주요 제어 기기(main controlled device)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200) 중, 사용자의 운동 타입에 따라 신체 정보를 획득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로 선택한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목과 발목에 각각 웨어러블 기기(200)를 착용하고 걸으면,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200)에 의해, 사용자의 걸음 횟수, 칼로리 소모량 등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측정된 걸음 횟수, 칼로리 소모량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100)는 보다 정확히 신체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어떤 운동을 하느냐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기에 보다 적합한 위치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2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저전력 운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목에 제1 웨어러블 기기(200-1), 발목에 제2 웨어러블 기기(200-2), 허리에 제3 웨어러블 기기(200-3)을 착용하고 팔 운동을 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팔 움직임에 따른 신체 정보 측정에 보다 적합한 제1 웨어러블 기기(200-1)를 주요 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의 단계 S2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기기(200)의 움직임 패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기기(200)의 착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200)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각도 등을 포함하는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웨어러블 기기(200)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팔에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였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통신부(150)를 통해 착용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기기(200)가 센싱부(240)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200)의 움직이는 방향, 속도, 각도 등을 포함하는 움직임 패턴을 획득하고, 움직임 패턴에 기초하여 착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200)가 결정한 착용 위치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200)가 신체의 특정 위치에 착용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착용 위치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카메라(161)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가 포함된 영상으로부터, 웨어러블 기기(2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방출되는 스펙트럼을 카메라(161)를 통해 감지하고, 웨어러블 기기(2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후술할 도 3 내지 도 6에 관한 설명에서,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는 예들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202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가 제공한 추천 운동 프로그램 중에서 운동 타입(예컨대, 팔 운동)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운동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정의 운동 타입(예컨대, 윗몸 일으키기)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기기(200)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200)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각도 등을 포함하는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웨어러블 기기(200)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운동을 하고 있는지 즉, 사용자의 운동 타입(예컨대, 팔 운동)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후술할 도 7 내지 도 9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는 예들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203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사용자의 운동 타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주요 제어 기기(main controlled device)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손목과 발목에 각각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한 경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팔 운동으로 결정하면, 손목에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를 주요 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04에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구별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 중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팔 운동에 따른 운동량, 신체 변화량 등을 측정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발목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의 전원을 오프시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저전력 운용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21)에 제공되는 준비 운동 패턴을 따라서 움직이면,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기기(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에 기초하여, 팔, 다리 등의 착용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의 단계 S301에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움직임 패턴을 유도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사용자(p10)가 준비 운동을 따라 할 수 있도록 하는 준비 운동 화면(1040, 1041, 1042)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단계 S302에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 각각으로부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p10)가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되는 준비 운동을 따라서 움직이게 되면, 사용자(p10)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200-1, 200-2, 200-3)는 센싱부(240)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을 획득하고, 통신부(250)를 통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03에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착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200)를 착용하고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준비 운동을 따라 하는 경우의 웨어러블 기기(200)의 착용 위치 별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미리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는, 웨어러블 기기(200)의 착용 위치 별 움직임 각도, 속도,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70)는 사용자 손목에 웨어러블 기기(200)를 착용하고,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팔 준비 운동을 할 때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저장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와 대응하는 경우, 착용 위치를 손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카메라(161)를 통해 사용자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웨어러블 기기가 착용된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200-1, 200-2, 200-3)를 착용하고 디바이스(100)의 카메라(161) 방향에 위치하면, 제어부(130)는 카메라(161)를 통해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소정의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웨어러블 기기(200-1, 200-2, 200-3)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카메라(161)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가 포함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사용자 별로 식별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사용자 별로 부여된 식별 번호를 기초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운동 타입에 관한 이력, 사용자의 신체 정보, 사용자의 체력 정보 등에 관한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인식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운동 타입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인식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운동 코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소정의 스펙트럼(자외선, 적외선 등)을 감지하는 카메라(1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200)는 소정의 스펙트럼(자외선, 적외선 등)을 송출하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200-1, 200-2, 200-3)를 착용하고 디바이스(100)의 카메라(161) 앞쪽에 위치하면, 디바이스(100)의 카메라(161)는 웨어러블 기기(200-1, 200-2, 200-3)로부터 방출되는 스펙트럼을 감지함으로써, 웨어러블 기기(200-1, 200-2, 200-3)의 착용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단계 S7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기기(2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운동 타입을 추천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손목에 웨어러블 기기(200-1)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면, 손이나 팔을 주로 이용하는 운동 프로그램(예컨대, 바벨 컬(barbell curl), 푸쉬 업(push-up) 등)을 추천하는 화면(1081, 1082)을 디스플레이부(12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발목에 웨어러블 기기(200-2)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면, 발이나 다리를 주로 이용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화면(1083, 1084)을 디스플레이부(12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손목과 발목에 웨어러블 기기(200-1, 200-2)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면, 손, 팔, 발, 다리를 주로 이용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화면(1085, 1086)을 디스플레이부(12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단계 S702에서, 디바이스(100)는 추천된 운동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손목에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여, 제어부(130)가 푸쉬 업(push-up), 바벨 컬(barbell curl) 운동 프로그램을 추천한 경우, 사용자가 바벨 컬(barbell curl) 운동을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운동 타입을 바벨 컬 운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21)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를 제어하는 외부 기기(예컨대, 리모컨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추천 운동에 대응하는 바코드(bar code), QR 코드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200)를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운동에 대응하는 바코드, QR 코드를 스캔하고, 디바이스(100)는 상기 스캔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의 단계 S901에서, 제1 웨어러블 기기(200-1)는 제1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903에서, 제2 웨어러블 기기(200-2)는 제2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200-1, 200-2)는 웨어러블 기기에 장착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위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움직이는 방향, 속도, 속도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902에서, 디바이스(100)는, 제1 웨어러블 기기(200-1)로부터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904에서, 디바이스(100)는 제2 웨어러블 기기(200-2)로부터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200-1, 200-2) 각각으로부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905에서,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기기(200-1, 200-2)의 움직임 방향, 속도, 각도 등을 포함하는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운동을 하고 있는지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200-1, 200-2, 200-3) 중 제1 웨어러블 기기(200-1)를 주요 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200-2, 200-3)와 주요 제어 기기(200-1)를 구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팔 운동을 하고 있는 경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팔 운동에 따른 운동량 측정에 적합한 팔목에 착용된 제1 웨어러블 기기(200-1)를 주요 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주요 제어 기기(200-1)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200-2, 200-3)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주요 제어 기기(200-1)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200-2, 200-3)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기기(200-2, 200-3)의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싱부(240)의 기능을 오프(off)시킴으로써, 웨어러블 기기(20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주요 제어 기기(200-1)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200-2, 200-3)를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전력 모드란,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을 오프 시킴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웨어러블 기기(200-2, 200-3)의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능이 오프(off)될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0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팔 운동을 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된 제2 웨어러블 기기(200-2)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제3 웨어러블 기기(200-3)는 움직임 량이 적을 수 있기 때문에 신체 변화량 측정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00)는 발목에 착용된 제2 웨어러블 기기(200-2)와 허리에 착용된 제3 웨어러블 기기(200-3)를, 제1 웨어러블 기기(200-1)와 구별하여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를 저전력으로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0b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신체의 변화량,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센싱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걸음 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 폰)(100)를 팔 부분에 장착하고, 클립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200)를 신발 부분에 장착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조깅을 하는 경우, 스마트 폰(100)은 사용자의 신발에 장착된 웨어러블 기기(200)를 주요 제어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 폰(100)은 상기 주요 제어 기기로 결정한 웨어러블 기기(200)가 사용자의 걸음 수를 획득하도록 통신부(15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0)은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걸음 수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디바이스(100)의 걸음 수 측정 기능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디바이스(100)의 저전력 운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복수의 기기(디바이스(100), 웨어러블 기기(200))를 보유한 경우, 복수의 기기 중 사용자의 걸음 수 측정에 보다 적합한 착용 위치의 기기를 통해서, 보다 정확하게 걸음 수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표시하는 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주요 제어 기기(200)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바벨 컬(barbell curl) 운동을 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운동 횟수에 관한 정보(예컨대, 운동 횟수 30회(1111))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2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정보(예컨대, 칼로리 소모량 30kcal(1112))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2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복수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사용자 별로 신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카메라(161)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를 식별하고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코칭 정보를 표시하는 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타입에 따른 운동 코칭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바벨 컬(barbell curl) 운동을 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운동 횟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횟수에 관한 정보(예컨대, 추천 횟수 40회(1121))를 디스플레이부(12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운동 횟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응원 메시지(예컨대, “cheer up”(1122))를 디스플레이부(12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웨어러블 기기(200)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자세에 관한 메시지(예컨대, “팔을 좀 더 굽히세요”(1131))를 디스플레이부(121)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코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운동 이력 정보, 사용자의 체력 정보 등에 따라, 각 사용자에게 적절한 추천 운동 횟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에 기초한 알람 출력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주요 제어 기기(200-1)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적은 경우, 배터리 잔량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알람(예컨대, “삐~”(1141))을 출력하도록 주요 제어 기기(200-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200)의 제어부(230)는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적은 경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소정의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팔 운동 중, 손목에 착용된 주요 제어 기기(200-1)의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다는 알람을 들으면, 배터리 잔량이 충분한 발목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200-2)와 손목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200-1)를 교체함으로써, 팔 운동에 따른 신체 변화량 측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주요 제어 기기(200-1)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적은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200-2, 200-3) 중 주요 제어 기기(main controlled device)를 재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주요 제어 기기로 재 결정된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통신부(15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제어 기기(200-1)의 배터리 잔량이 적어 사용자의 운동량 측정이 어려운 경우, 다른 웨어러블 기기(200-2, 200-3) 중 보다 적절한 착용 위치의 기기를 주요 제어 기기로 재 결정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측정을 지속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신체에 착용하면,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에서 운동량, 신체 변화량 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팔에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면, 팔의 움직임이 많은 운동의 추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의 단계 S15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200-1, 200-2)의 착용 위치를 판단하고, 착용 위치를 나타내는 화면(1161)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가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의 단계 S1502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기기(200)가 착용된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 타입을 추천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손목과 발목에 웨어러블 기기(200-1, 200-2)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면, 손, 팔, 발, 다리를 주로 이용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화면(1162, 1163)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가 웨어러블 기기(200)의 착용 위치에 대응하는 운동 타입을 추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8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의 단계 S1503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추천된 운동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입력은,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리모컨 컨트롤러의 작동에 의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제어 신호 수신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의 단계 S1504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선택된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200)를 통신부(15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푸쉬 업(push-up) 운동이 선택된 경우,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200)가 사용자의 운동 횟수, 맥박수, 칼로리 소모량 등을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신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기기(2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와 결합함으로써, 워치형 웨어러블 기기(200-4)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200)는 사용자의 옷이나 신발 등에 착용 가능한 클립과 결합함으로써, 클립형 웨어러블 기기(200-5)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가능한 패치와 결합함으로써, 패치형 웨어러블 기기(200-6)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8은 신체의 특정 위치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 웨어러블 기기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기기(200-7)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형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기기(200-8)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한 이어폰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기기(200-9)는 사용자의 옷이나 신발에 착용 가능한 클립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2, 3, 7, 9, 15의 흐름도에서 도시한 동작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 일부 단계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 통신부(150), 카메라(161), 메모리(17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디바이스(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 통신부(150), 카메라(161), 메모리(170) 및 제어부(130)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싱부(140) 및 A/V 입력부(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통신부(150)를 통한 유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외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리모컨 컨트롤러 등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제어부(13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추천된 운동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21)와 음향 출력부(122), 진동 모터(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제어부(13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21)는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운동 타입을 추천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주요 제어 기기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타입에 따른 운동 코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움직임 패턴을 유도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1)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는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싱부(140), 통신부(150), A/V 입력부(16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착용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주요 제어 기기(main controlled device)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구별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추천된 운동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소정 시간 동안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결정된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주요 제어 기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타입에 따른 운동 코칭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결정된 주요 제어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적은 경우, 상기 배터리 잔량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알람을 출력하도록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웨어러블 기기 각각으로부터,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된 움직임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착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움직임 패턴을 유도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웨어러블 기기 각각으로부터,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카메라(161)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가 포함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스펙트럼을 카메라(161)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통신부(15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디바이스(1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온/습도 센서(143), 적외선 센서(144),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 기압 센서(147), 근접 센서(1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센싱부(1400)는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디바이스(100)와 외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100)와 서버(미도시)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부(151), 이동 통신부(152),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100)가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와 마이크로폰(1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3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디바이스(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카메라(161)는 디바이스(100)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61)는 소정의 스펙트럼(자외선, 적외선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 터치 스크린 모듈(172), 알림 모듈(1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웨어러블 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200)는, 통신부(250), 메모리(270), 디스플레이부(221), 센싱부(24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웨어러블 기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웨어러블(200)는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기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200)의 제어부(230)는, 센싱부(240)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200)의 제어부(230)는, 센싱부(240)를 통해 획득된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토신부(250)를 통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웨어러블 기기(200)와 외부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50)는, 근거리 통신부, 이동 통신부, 방송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제어부(2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센싱부(24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온/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154), 자이로스코프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기압 센서, 근접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240)는 웨어러블 기기(100)의 움직임,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변화량, 운동량, 생체 신호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200)는, 음향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통신부(25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는 웨어러블 기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200)의 음향 출력부는, 배터리 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적은 경우, 상기 배터리 잔량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100), 웨어러블 기기(200), 셋탑 박스(300),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디바이스(100)와 셋탑 박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시스템은, 디바이스(100)와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300)는 통신부(미도시)와 프로세서(미도시)를 구비하고, 외부의 네트워크망과 연결하여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300)는 카메라(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셋탑박스(300)에 포함된 카메라(미도시)는 사용자의 영상을 포함하는 화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각각의 실시 예들은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셋탑 박스(300)가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가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수행 결과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때,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셋탑 박스(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은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는 디바이스(100), 웨어러블 기기(200) 및 셋탑 박스(300) 중 적어도 하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400)는 새로운 운동 타입에 관한 정보, 운동 코칭 정보 등을 업데이트하여 디바이스(100) 또는 셋탑 박스(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400)는, 복수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의 신체 정보, 운동 이력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400)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운동 이력, 신체 정보, 체력 정보 등에 기초하여, 추천할 운동 타입의 난이도를 결정하고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타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셋탑 박스(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1)를 통해 사용자 얼굴을 식별하고, 사용자 식별 정보를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셋탑 박스(300)가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얼굴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셋탑 박스(300)는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3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이력 정보, 신체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셋탑 박스(3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타입을 결정하여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300)는 사용자의 운동 이력, 체력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의 난이도, 운동 타입 등을 결정하여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셋탑 박스(3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셋탑 박스(300)는 서버(4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여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4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 또는, 로그인 정보(아이디, 비밀 번호 등)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기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서버(4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접근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버(400)는 다양한 운동 타입 정보, 운동 난이도 정보, 체력 정보에 따른 추천 운동 타입 정보, 웨어러블 기기가 착용된 위치에 따른 추천 운동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셋탑 박스(3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운동 이력, 체력 정보 등에 기초하여 적합한 운동 난이도를 결정하고 추천 운동 타입에 관한 정보를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각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실시 예 중 일부만 구현되거나, 복수의 실시 예가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바이스
121 : 디스플레이부
130 : 제어부
150 : 통신부
170 : 메모리
200 : 웨어러블 기기

Claims (24)

  1.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며, 상기 착용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주요 제어 기기(main controlled device)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구별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운동 타입을 추천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추천된 운동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는,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는,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결정된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하는,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결정된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를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결정된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하는, 디바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요 제어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적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재 결정하는,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요 제어 기기로 재 결정된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어하는,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주요 제어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적은 경우, 상기 배터리 잔량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알람을 출력하도록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주요 제어 기기로 결정된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어하는, 디바이스.
  11. 제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요 제어 기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타입에 따른 운동 코칭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디바이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착용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웨어러블 기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움직임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착용 위치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14. 제13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움직임 패턴을 유도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디바이스.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웨어러블 기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16. 제1 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가 포함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17. 제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스펙트럼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스펙트럼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18.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착용된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 타입을 추천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추천된 운동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착용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웨어러블 기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움직임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한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착용 위치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움직임 패턴을 유도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디바이스.
  21. 제18 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가 포함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22. 제18 항에 있어서,
    소정의 스펙트럼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스펙트럼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23.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착용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사용자의 운동 타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주요 제어 기기(main controlled device)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중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제외한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주요 제어 기기를 통신부를 통해 구별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착용된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 타입을 추천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추천된 운동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통신부를 통해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50179207A 2014-12-26 2015-12-15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79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70891.0A CN107106032B (zh) 2014-12-26 2015-12-24 控制可穿戴装置的装置和方法
EP15873693.4A EP3238012B1 (en) 2014-12-26 2015-12-24 Device for controlling wearable device
PCT/KR2015/014274 WO2016105166A1 (en) 2014-12-26 2015-12-24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wearable device
US14/980,206 US10952667B2 (en) 2014-12-26 2015-12-28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1133 2014-12-26
KR1020140191133 2014-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664A true KR20160079664A (ko) 2016-07-06

Family

ID=5650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207A KR20160079664A (ko) 2014-12-26 2015-12-15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238012B1 (ko)
KR (1) KR20160079664A (ko)
CN (1) CN107106032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9574B2 (en) * 2015-04-29 2017-04-25 Salutron Inc. Multi-position, multi-parameter user-wearable sensor system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20180010537A (ko) * 2016-07-21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펙트럼 획득 장치 및 방법
KR20180094308A (ko) * 2017-02-15 2018-08-23 이순구 가상현실 체험용 시뮬레이션 보드 장치
IT201700037702A1 (it) * 2017-06-12 2018-12-12 Nicholas Caporusso Dispositivo e metodo utile per l’interazione mediante gesti e movimenti degli arti e delle dita.
KR102141841B1 (ko) * 2020-01-30 2020-08-06 주식회사 트리플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225236A1 (ko) * 2021-04-23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532419B1 (ko) * 2022-05-04 2023-05-16 주식회사 슬라운드 실시간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대시보드 디자인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3153597A1 (ko) * 2022-02-08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식 공간을 기반으로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1180B2 (en) * 2016-08-10 2019-10-15 Huami Inc. Episodical and continuous ECG monitoring
CN107469327A (zh) * 2017-08-07 2017-12-15 马明 一种运动辅导与动作监测设备及系统
CN110522411A (zh) * 2018-05-24 2019-12-03 浙江清华柔性电子技术研究院 可穿戴设备的固定装置
CN109885246A (zh) * 2019-02-25 2019-06-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交互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976693B (zh) * 2019-04-29 2022-09-16 上海均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联动显示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445279A (zh) * 2019-09-02 2021-03-05 中移物联网有限公司 可穿戴设备的控制方法、可穿戴设备、服务器及存储介质
US11029753B2 (en) 2019-11-05 2021-06-08 XRSpace CO., LTD. Human computer interaction system and human computer intera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7365A1 (de) * 2009-07-01 2011-01-05 Robert Bosch Gmbh Bewegungssensor und System zur Erfassung eines Bewegungsprofils
US9024865B2 (en) * 2009-07-23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e and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8849610B2 (en) * 2010-09-30 2014-09-30 Fitbit, Inc. Tracking user physical activity with multiple devices
US9030446B2 (en) * 2012-11-20 2015-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lacement of optical sensor 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9574B2 (en) * 2015-04-29 2017-04-25 Salutron Inc. Multi-position, multi-parameter user-wearable sensor system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20180010537A (ko) * 2016-07-21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펙트럼 획득 장치 및 방법
KR20180094308A (ko) * 2017-02-15 2018-08-23 이순구 가상현실 체험용 시뮬레이션 보드 장치
IT201700037702A1 (it) * 2017-06-12 2018-12-12 Nicholas Caporusso Dispositivo e metodo utile per l’interazione mediante gesti e movimenti degli arti e delle dita.
KR102141841B1 (ko) * 2020-01-30 2020-08-06 주식회사 트리플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225236A1 (ko) * 2021-04-23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3153597A1 (ko) * 2022-02-08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식 공간을 기반으로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32419B1 (ko) * 2022-05-04 2023-05-16 주식회사 슬라운드 실시간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대시보드 디자인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06032B (zh) 2021-06-01
EP3238012A1 (en) 2017-11-01
EP3238012B1 (en) 2021-07-21
CN107106032A (zh) 2017-08-29
EP3238012A4 (en)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9664A (ko)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952667B2 (e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wearable device
US115464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ly changing task-performing subjects
US113866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virtual image through HMD device
CN110168485B (zh) 对物联网装置的增强现实控制
US960295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363319A1 (en) Band mounting structur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50177939A1 (en) User interface based on wearable device interaction
US20160166180A1 (en) Enhanced Real Time Frailty Assessment for Mobile
KR20160035394A (ko)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10327715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f peripheral device
KR201600762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16263A (ko)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08859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42128A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169838A (zh) 基于人眼追踪而选择性地使显示器背光
US20180178064A1 (en) Method for providing exercise information and wearable device therefor
KR20170121719A (ko) Vr 공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201601139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210272698A1 (en) Personality based wellness coaching
US9699595B2 (en) Method and wearable device for interworking with a portable terminal
KR20160106410A (ko) 연결부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60462A (ko) 서비스 제공을 위한 웨어 시스템 및 방법
US11228815B2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N109845251B (zh) 用于显示图像的电子设备和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