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841B1 -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841B1
KR102141841B1 KR1020200011098A KR20200011098A KR102141841B1 KR 102141841 B1 KR102141841 B1 KR 102141841B1 KR 1020200011098 A KR1020200011098 A KR 1020200011098A KR 20200011098 A KR20200011098 A KR 20200011098A KR 102141841 B1 KR102141841 B1 KR 102141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ehavior pattern
feedback information
behavior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플
Priority to KR102020001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행동 패턴을 감지하는 사용자 기기와, 감지된 상기 행동 패턴에 상응하는 사용자 행동을 표시 패널을 통해 표출시키고, 감지된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를 원격지의 체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체험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행동 패턴 데이터 분석 기반의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상기 표시 패널을 통해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BASED ON BEHAVIOR PATTERN ANALYSIS}
본 발명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기기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의 행동 패턴 데이터를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가 수집된 행동 패턴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측으로 피드백할 수 있는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상 콘텐츠와 인터렉션 기술 등이 발달함에 따라 운동, 스포츠,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인식을 통한 인터렉션 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또는 착용)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예컨대, 운동, 스포츠, 게임 등)을 인식하고, 이 인식된 사용자 움직임을 시각화(이미지화)하여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로 표출시켜 사용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러한 서비스 모델을 통해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운동, 스포츠, 게임 등의 이미지화된 행동(사용자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움직임(행동)을 이미지화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 단순히 표출시켜 주는 종래 방식은 사용자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자신의 이미지화된 모습을 보면서 바람직하지 못한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이를 통해 자신의 행동 패턴에 변화를 주어가면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면 사용자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나, 현재로서는 이러한 서비스 모델이 전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142166호(공개일: 2019. 12. 26.)
본 발명은 사용자 기기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의 행동 패턴 데이터를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가 수집된 행동 패턴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사용자 맞춤형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측으로 피드백할 수 있는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행동 패턴을 감지하는 사용자 기기와, 감지된 상기 행동 패턴에 상응하는 사용자 행동을 표시 패널을 통해 표출시키고, 감지된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를 원격지의 체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체험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행동 패턴 데이터 분석 기반의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상기 표시 패널을 통해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하는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가 탑재된 무선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컨트롤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컨트롤러 지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체험 관리 서버는,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자세, 운동 속도 및 활동량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게임 형태의 그래픽으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체험 설명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체험 관리 서버는, 상기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각도에 의거하여 가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속도의 크기를 연산한 후 연산된 크기들의 표준편차를 산출하며, 산출된 표준편차에 의거하여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행동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사용자 기기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행동 패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상기 행동 패턴 데이터를 원격지의 체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행동 패턴 데이터에 의거하여 가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속도의 크기들을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가속도 크기들의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표준편차에 의거하여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된 상기 사용자 행동에 의거하여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표시 패널을 통해 표출될 수 있도록, 상기 체험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의 행동 패턴 데이터를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가 수집된 행동 패턴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측으로 피드백해 줌으로써, 사용자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의 활성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해 서버에 구비되는 체험 관리 모듈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행동 패턴의 분석 기반을 기반으로 맞춤형 콘텐츠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무선 단말을 사용자 기기로 이용하여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받는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VR 컨트롤러를 사용자 기기로 이용하여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받는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VR 컨트롤러 지그를 사용자 기기로 이용하여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받는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지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설명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계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기기(110), 디스플레이 기기(120), 네트워크(130) 및 체험 관리 서버(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기기(110)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행동 패턴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 감지된 행동 패턴(행동 패턴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 기기(120)로 무선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행동 패턴 데이터의 실시간 무선 전송은, 예컨대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은, 예컨대, 운동, 스포츠, 게임 등을 수행할 때 감지되는 사용자 움직임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운동, 스포츠, 게임 등의 예로서는 스쿼트, 팔운동, 다리운동, 다리 들고 수평 유지하기, 징검다리 뛰기, 바위 들기, 장애물 높이뛰기, 쉐도우 복싱, 스케이팅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기기(110)는,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가 탑재된 무선 단말(예컨대, 스마트폰, 휴대폰 등)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컨트롤러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컨트롤러 지그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기(11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행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일 수도 있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기기(120)는, 예컨대 위성 방송, IP 방송, 케이블 방송, 일반 방송 등을 표출할 수 있는 스마트 TV 등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예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기기(110)를 통해 감지된 행동 패턴에 상응하는 사용자 행동을 표시 패널(도시 생략)을 통해 표출시키고, 감지되는 행동 패턴의 데이터를 네트워크(130)를 통해 원격지의 체험 관리 서버(140)로 실시간 전송하며, 네트워크(130)를 통해 체험 관리 서버(140)로부터 제공되는 행동 패턴 데이터 분석 기반의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표시 패널을 통해 표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행동 패턴 데이터는, 예컨대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각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험 관리 서버(140)로부터 디스플레이 기기(120)로 제공되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예컨대 게임 형태의 그래픽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기기(120) 내 표시 패널의 소정 위치(예컨대, 패널의 상하좌우 측 중 어느 하나 또는 패널의 중앙 위치 등)에 표출되거나 혹은 체험 설명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디스플레이 기기(120) 내 표시 패널의 소정 위치(예컨대, 패널의 상하좌우 측 중 어느 하나 또는 패널의 중앙 위치 등)에 표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패널의 소정 위치에 표출되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예컨대 반투명 형상의 팝업 메뉴 형태로 표시 패널에 표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또는 맞춤형 트레이닝 콘텐츠로 정의될 수 있다.
다음에, 체험 관리 서버(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120) 측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행동 패턴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운동 자세, 운동 속도 및 활동량 등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체험 관리 서버(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예컨대 게임 형태의 그래픽으로 구성되거나 혹은 체험 설명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해 서버에 구비되는 체험 관리 모듈의 세부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체험 관리 모듈은 송수신부(210) 및 분석 실행부(22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석 실행부(220)는 가속도 검출부(222), 행동 분석부(224) 및 피드백 정보 생성부(2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송수신부(222)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도 1의 디스플레이 기기(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데이터들을 수신하여 분석 실행부(220) 내의 가속도 검출부(222)로 전달하고, 또한 분석 실행부(220) 내의 피드백 정보 생성부(226)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전달받아 네트워크(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120) 측으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행동 패턴 데이터는, 예컨대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각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예컨대 게임 형태의 그래픽으로 구성되거나 혹은 체험 설명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검출부(222)는 행동 패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신체의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각도에 의거하여 가속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가속도의 크기들을 연산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행동 분석부(224)는 가속도 검출부(222)를 통해 연산된 가속도 크기들의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표준편차에 의거하여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정보 생성부(226)는 행동 분석부(224)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 행동에 의거하여 사용자 피드백 정보(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또는 맞춤형 트레이닝 콘텐츠)를 생성하여 송수신부(21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예컨대 게임 형태의 그래픽으로 구성되거나 혹은 체험 설명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체험 설명은, 예컨대 올바른 운동 자세 정보, 부족한 운동 부위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운동 방법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송수신부(210)에서는 피드백 정보 생성부(226)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네트워크(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12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행동 패턴의 분석 기반을 기반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예컨대 운동, 스포츠, 게임 등의 신체 활동을 시작하면, 사용자 기기(110)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행동 패턴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 감지된 행동 패턴(행동 패턴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 기기(120)로 무선 전송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기기(110)는, 예컨대 무선 단말, VR 컨트롤러, VR 컨트롤러 지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기기(120)에서는 사용자 기기(110)를 통해 감지된 행동 패턴에 상응하는 사용자 행동을 표시 패널을 통해 표출시킴과 동시에 감지되는 행동 패턴의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네트워크(130)를 통해 원격지의 체험 관리 서버(140)로 실시간 전송한다(단계 302). 여기에서, 행동 패턴 데이터는, 예컨대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각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체험 관리 서버(140) 내의 가속도 검출부(222)에서는 행동 패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신체의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각도에 의거하여 가속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가속도의 크기들을 연산한다(단계 304).
또한, 행동 분석부(224)에서는 가속도 검출부(222)를 통해 연산된 가속도 크기들의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표준편차에 의거하여 사용자 행동을 분석한다(단계 306).
그리고, 피드백 정보 생성부(226)에서는 행동 분석부(224)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 행동에 의거하여 사용자 피드백 정보(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또는 맞춤형 트레이닝 콘텐츠)를 생성한다(단계 308). 여기에서,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예컨대 게임 형태의 그래픽으로 구성되거나 혹은 체험 설명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송수신부(210)에서는 피드백 정보 생성부(226)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네트워크(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120) 측으로 전송한다(단계 310).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기(120)의 표시 패널의 소정위치에는 체험 관리 서버(140)가 행동 패턴 분석을 기반으로 생성하여 제공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가 표출되며, 사용자는 표시 패널을 통해 표출되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보고 자신이 신체 활동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혹은 어느 부분을 보강 또는 보완해야 하는 지를 시각적으로 실시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패널의 소정 위치에 표출되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예컨대 반투명 형상의 팝업 메뉴 형태로 표시 패널에 표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사용자 기기
120 : 디스플레이 기기
140 : 체험 관리 서버
210 : 송수신부
220 : 분석 실행부
222 : 가속도 검출부
224 : 행동 분석부
226 : 피드백 정보 생성부

Claims (7)

  1.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행동 패턴을 감지하는 사용자 기기와,
    감지된 상기 행동 패턴을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행동 패턴에 상응하는 사용자 행동을 표시 패널을 통해 표출시키고, 감지된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를 원격지의 체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체험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행동 패턴 데이터 분석 기반의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상기 표시 패널을 통해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게임 형태의 그래픽으로 구성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특정 위치에 표출되거나, 체험 설명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상기 표시 패널의 특정 위치에 표출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특정 위치에 표출되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반투명 형상의 팝업 메뉴 형태이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또는 사용자 맞춤형 트레이닝 콘텐츠이고,
    상기 체험 관리 서버는,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에 포함된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각도에 의거하여 가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속도의 크기를 연산한 후 연산된 크기들의 표준편차를 산출하며, 산출된 표준편차에 의거하여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행동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자세, 운동속도 및 활동량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은, 스쿼트, 팔운동, 다리운동, 다리들고 수평 유지하기, 징검다리 뛰기, 바위 들기, 장애물 높이뛰기, 쉐도우 복싱 및 스케이팅을 포함하는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가 탑재된 무선 단말인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컨트롤러인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컨트롤러 지그인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상기 행동 패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기기인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11098A 2020-01-30 2020-01-30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1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098A KR102141841B1 (ko) 2020-01-30 2020-01-30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098A KR102141841B1 (ko) 2020-01-30 2020-01-30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841B1 true KR102141841B1 (ko) 2020-08-06

Family

ID=7204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098A KR102141841B1 (ko) 2020-01-30 2020-01-30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8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618A (ko) *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듀코젠 사용자 행동 기반의 실감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4122A (ja) * 2010-04-19 2011-11-10 Sharp Corp 行動認識装置
KR20160079664A (ko) * 2014-12-26 201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21747A (ko) * 2017-08-23 2019-03-06 엔티지(주) 가상현실 환경 제공을 위한 사용자 모션 인식 시스템
KR101963682B1 (ko) * 2018-09-10 2019-03-29 주식회사 큐랩 증강현실 기반의 스포츠 콘텐츠에 따른 신체 측정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190142166A (ko) 2018-06-16 2019-12-26 모젼스랩(주) 이용자 모션 분석에 따른 가상 줄넘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4122A (ja) * 2010-04-19 2011-11-10 Sharp Corp 行動認識装置
KR20160079664A (ko) * 2014-12-26 201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21747A (ko) * 2017-08-23 2019-03-06 엔티지(주) 가상현실 환경 제공을 위한 사용자 모션 인식 시스템
KR20190142166A (ko) 2018-06-16 2019-12-26 모젼스랩(주) 이용자 모션 분석에 따른 가상 줄넘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1963682B1 (ko) * 2018-09-10 2019-03-29 주식회사 큐랩 증강현실 기반의 스포츠 콘텐츠에 따른 신체 측정 데이터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618A (ko) *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듀코젠 사용자 행동 기반의 실감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616505B1 (ko) * 2020-08-24 2023-12-21 주식회사 듀코젠 사용자 행동 기반의 실감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02388B (zh) 一种互动式运动方法及头戴式智能设备
US10445932B2 (en) Running exercise equipment with associated virtual reality interaction method and non-volatile storage media
Nilsson et al. Tapping-in-place: Increasing the naturalness of immersive walking-in-place locomotion through novel gestural input
US11887258B2 (en) Dynamic integration of a virtual environment with a physical environment
US96430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ed gameplay based on a geospatial position
US10342462B2 (en) Application of gait characteristics for mobile
US10661148B2 (en) Dual motion sensor bands for real time gesture tracking and interactive gaming
KR20140036555A (ko) 사용자 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메타버스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메타버스 클라이언트 단말 및 방법
CN103635891A (zh) 大量同时远程数字呈现世界
WO2019231643A1 (en) Assistive device for the visually-impaired
US10471305B2 (en) Modification of an exercise plan
US10488222B2 (en) Mobile device control leveraging user kinematics
CN103167145A (zh) 一种手机体感游戏实现系统及方法
CN110456905A (zh) 定位跟踪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CN115768532A (zh) 使用激光雷达传感器的增强现实互动运动装置
US9314694B2 (en) Integrated digital play system
CN113076002A (zh) 基于多部位动作识别的互联健身竞技系统及方法
KR102141841B1 (ko) 행동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129164A (zh) 基于虚拟现实的交互控制方法、系统及虚拟现实设备
Park et al. A multipurpose smart activity monitoring system for personalized health services
WO2014174513A1 (en) Kinetic user interface
CN111450480B (zh) 一种基于vr的踏步机运动平台
WO2018057044A1 (en) Dual motion sensor bands for real time gesture tracking and interactive gaming
US20150273321A1 (en) Interactive Module
KR102476285B1 (ko)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개인별 운동량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