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478B1 -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478B1
KR101452478B1 KR1020130169046A KR20130169046A KR101452478B1 KR 101452478 B1 KR101452478 B1 KR 101452478B1 KR 1020130169046 A KR1020130169046 A KR 1020130169046A KR 20130169046 A KR20130169046 A KR 20130169046A KR 101452478 B1 KR101452478 B1 KR 101452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passenger
boarding
passeng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찬우
Original Assignee
(주)모아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아솔 filed Critical (주)모아솔
Priority to KR1020130169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2Message structure or message content, e.g. message protoc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Abstract

승객 단말에 설치된 앱이 구동되어 GPS 모듈로부터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이 상기 표시된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탑승위치와 탑승시간, 목적지와 이동방향, 호출비용 및 안심호출 요청여부, 그리고 승객 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출정보를 입력받아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탑승위치에 인접한 콜택시에 상기 수신한 호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인증된 콜택시 단말에 설치된 앱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신한 호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콜택시 단말에서 상기 표시된 호출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호출과 콜택시 단말의 전화번호가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승객 단말로부터 수신한 호출정보에 안심호출 요청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 결과, 상기 안심호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콜택시 단말로부터 승객 탑승 완료를 수신하고 상기 콜택시의 운행경로의 추적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승객 단말로부터 수신한 호출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 운행경로와 실제 운행경로를 실시간으로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결과, 상기 실제 운행경로가 상기 기준 운행경로가 다른 경우, 지정된 순서에 따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택시의 안심호출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Method for Safe Call Service of Call Taxi}
본 발명은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객이 탑승한 콜택시의 운행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에 관련한다.
콜택시(call taxi) 호출 서비스는 택시정보화의 한 분야로서 택시고객의 편익과 운송서비스이 선진화 측면에서 정부차원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 콜택시 서비스는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택시사업자에 의해 소규모로 시작하였고, 그 방법 또한 전산화되지 못하고 수기 등 원시적인 방법으로 운용해 왔으나 2000년 이후 운송서비스의 선진화와 택시 이용자의 시간가치의 증대 등으로 인하여 어디서나 호출하여 신속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는 고객의 욕구 충족을 위해 콜택시 호출 서비스는 규모가 점차 확대되어 현재는 대형 콜택시 센타 위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술분야이다.
그러나, 현재의 콜택시 호출 서비스는 승객의 안전을 완전하게 보장하지 못하고 있어 승객이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이 탑승한 콜택시의 운행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승객 단말에 설치된 앱이 구동되어 GPS 모듈로부터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이 상기 표시된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탑승위치와 탑승시간, 목적지와 이동방향, 호출비용 및 안심호출 요청여부, 그리고 승객 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출정보를 입력받아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탑승위치에 인접한 콜택시에 상기 수신한 호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인증된 콜택시 단말에 설치된 앱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신한 호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콜택시 단말에서 상기 표시된 호출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호출과 콜택시 단말의 전화번호가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승객 단말로부터 수신한 호출정보에 안심호출 요청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 결과, 상기 안심호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콜택시 단말로부터 승객 탑승 완료를 확인하고 상기 콜택시의 운행경로의 추적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승객 단말로부터 수신한 호출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 운행경로와 실제 운행경로를 실시간으로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결과, 상기 실제 운행경로가 상기 기준 운행경로가 다른 경우, 지정된 순서에 따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택시의 안심호출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객 탑승 완료는, ⅰ)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콜택시 단말로부터 승차 완료를 수신하여 확인하거나, ⅱ)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승객 단말의 위치와 상기 콜택시 단말의 위치가 동일한 방향으로 기설정 시간동안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차 완료의 수신은, 상기 콜택시의 운전자에 의해 상기 콜택시 단말에 직접 입력하여 이루어지거나, 주행미터기의 온(ON) 신호를 수신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정된 순서는, 상기 승객 단말 - 승객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단말 - 경찰청 서버 순이며, 통화 연결이나 메시지 전송을 통하여 상기 경고가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과 상기 콜택시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승객 단말 전화번호와 상기 콜택시 단말 전화번호를 각각 롤링 코드(rolling code)로 암호화하여 상기 콜택시 단말과 상기 승객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승객 단말과 상기 콜택시 단말은 각각 상기 상대방의 롤링 코드를 표시하며, 통화 연결시 상기 롤링 코드를 대응하는 단말 전화번호로 변환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승객이 탑승한 콜택시의 운행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승객의 안전이 확보됨으로써 사용자 수가 증가하여 호출 서비스가 활성화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콜택시 호출 서비스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승객 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승객 단말에 표시되는 호출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콜택시 단말의 기능적 구성의 블록도, 내비게이터 및 주행미터기와의 연결을 보여준다.
도 5는 콜택시 단말에 표시되는 호출선택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콜택시 호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콜택시 호출 서비스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다수의 클라이언트(100, 200)와 하나의 서버(300)가 인터넷이나 공중전화망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10)으로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승객 단말(100)에는 콜택시 호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승객용 앱'이라 함)이 설치되어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운영서버(300)에 접속된다. 여기서, 승객 단말(100)로 통상 개인이 소지한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콜택시 단말(200)에도 콜택시 호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기사용 앱'이라 함)이 설치되어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운영서버(300)에 접속된다. 콜택시 단말(200)은, 승객 단말(100)과 같이, 통상 개인이 소지한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것처럼, 택시에 장착되어 내비게이터와 통신 연결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운영서버(300)는 가입된 승객과 기사의 신원정보를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0)로 구비하여 관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승객 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승객 단말에 표시되는 호출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탑승위치 입력부(120)는 승객이 탑승하고자 하는 위치를 승객으로부터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며, 가령 도 3에 표시된 맵(map)(20) 위에 터치 방식으로 탑승위치(21b)를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승객이 탑승위치를 입력하는 경우, 요청시간은 승객 단말(100) 자체의 시간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산출되어 입력된다.
맵 표시부(130)는, 도 3과 같이, 승객 단말(100)의 GPS 모듈이 수신한 승객 단말(100)의 현재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맵(20)을 표시하며, 맵(20) 위에 현재 위치(21a)를 나타낸다.
탑승시간 산출부(140)는 탑승위치 입력부(120)가 입력받은 탑승위치(21b)와 승객 단말(100)의 현재 위치(21a) 사이의 거리를 승객이 도보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으로부터 탑승시간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목적지 입력부(150)는 승객으로부터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입력받으며, 도 3에 목적지 입력버튼(24)으로 구성한다.
이동방향 입력부(160)는 탑승위치(21b)를 기준으로 승객이 가고자 하는 방향을 승객으로부터 입력받는다. 후술하는 것처럼, 이동방향은 택시의 현재 주행방향과 밀접하게 관련될 수 있다. 이동방향 입력부(160)는, 가령 도 3과 같이, 맵(20)의 네 모서리에 탑승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각각 동서남북의 네 방향의 화살표(22)로 나타낼 수 있다.
호출비용 입력부(170)는 승객이 원하는 호출비용을 입력받으며, 도 3과 같이 호출비용과 관련하여 무료, 기설정 금액 및 승객 직접 입력의 3가지 종류로 입력버튼(23)을 구비할 수 있다. 가령, '호출비용(무료)' 버튼은 탑승위치가 대로변이나 택시가 많이 다니는 곳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선택할 수 있고, '호출비용(1000원)' 버튼은 대로에서 100미터 이내라고 생각하는 경우 선택할 수 있으며, '호출비용(OO 원)' 버튼은 상기의 경우에 속하지 않으면서 승객이 호출비용으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비용을 직접 입력하고자 할 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버튼(23)의 종류는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콜택시 요금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안심호출 요청부(180)는 승객으로부터 안심호출의 요청을 입력받아 콜택시 운행 중에 운행경로를 추적하여 정상경로인지를 체크하도록 하며, 도 3에 안심호출 요청버튼(26)으로 구성한다.
전화연결부(190)는 호출을 선택한 운전자의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운영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의 전화번호는 암호화된 롤링 코드(rolling code)로 전송되어 롤링된 전화번호가 표시되며, 전화를 걸 때에는 제어부(110)에서 롤링 코드를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110)는 앱이 구동하면 승객 단말(100)의 GPS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한 각 구성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임시로 저장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다른 구성부에 제공한다.
한편, 도 3과 같이, 승객 단말(100)의 화면에는 호출신청 버튼(25)이 표시되는데, 모든 정보가 승객에 의해 입력된 후, 승객이 호출신청 버튼(25)을 누르면 입력된 정보가 운영서버(3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운영서버(300)로 전송되는 정보는, 탑승위치, 요청시간, 탑승시간, 이동방향, 목적지, 호출비용, 안심호출 요청여부, 및 승객 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콜택시 단말의 기능적 구성의 블록도, 내비게이터 및 주행미터기와의 연결을 보여주고, 도 5는 콜택시 단말에 표시되는 호출선택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콜택시 단말(200)은 내비게이터(400)와 통신 연결되어 도 3과 같은 앱 화면을 내비게이터(400)에 표시할 수 있고, 내비게이터(400)로부터의 터치 입력이 콜택시 단말(200)로 전달된다.
콜택시 단말(200)과 내비게이터(400)의 연결은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이나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내비케이터(400)에는 콜택시 단말(200)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모듈이 별도로 구비되어 내비게이터(400)가 연결되는 경우 식별자를 콜택시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내비게이터(400)에는 주행미터기(410)가 연결되어 주행미터기(410)의 온/오프에 따라 승객의 승하차정보의 입력, 운행경로의 추적개시와 종료, 또는 내비게이터(400)의 화면전환 등이 결정될 수 있다. 가령, 내비게이터(400)는 주행미터기(410)로부터의 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앱 화면을 내비게이션 화면으로 전환하고 운영서버(300)에 호출수신 거부를 통지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호출 선택부(220)는 운영서버(300)로부터 수신된 호출을 표시하여 기사로부터 선택을 입력받고, 필요시 맵 형태로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다.
승차 입력부(230)는 승객이 승차하였음을 입력받고, 하차 입력부(240)는 승객이 하차하였음을 입력받는데, 승객의 안심귀가를 위한 승차정보와 하차정보의 제공을 위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주행미터기(410)의 온/오프신호를 승객의 승하차정보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승차 및 하차 입력부(230, 240)를 생략할 수 있다.
휴식 입력부(250)는 승객이 승차한 상태에서, 휴식을 위해 일정시간 주행하지 않을 경우, 해당 시간이 휴식임을 입력받는다.
전화연결부(260)는 선택된 호출에 포함된 승객의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것처럼, 운영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승객의 전화번호는 암호화된 롤링 코드로 전송되어 롤링된 전화번호가 표시되며, 전화를 걸 때에는 제어부(210)에서 롤링 코드를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통신 연결된 내비게이터(4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스 한다.
제어부(210)는 앱이 구동하면 콜택시 단말(200)의 GPS 모듈을 활성화하고, 운영서버(300)에 콜택시 단말(200)의 상태를 전송하며, 각 구성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와 내비게이터(4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다른 구성부에 제공하며, 내비게이터(400)의 제어모듈과 데이터 통신 연결된다.
한편, 운영서버(300)는 본 발명의 콜택시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과 콜택시기사를 회원으로 등록하여 관리하며, 등록된 콜택시기사의 위치를 상시 모니터링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회원으로 가입된 승객이 승객 단말(100)에 설치된 앱을 구동하면 제어부(110)에 의해 승객 단말(100)의 GPS 모듈이 활성화되어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맵 표시부(130)는 수신한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맵(20)을 도 3과 같이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S1).
일 예로, 강남역에 위치한 '이즈타워' 빌딩의 정면에 승객이 현재 위치하고 있고 강남역 12번 출구에 인접한 테헤란로에서 탑승하고자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맵(20)이 표시되고 그 위에 승객의 현재 위치(21a)가 '이즈타워' 빌딩의 정면에 표시되며, 맵(20)의 네 모서리에 이동방향이 화살표(22)로 표시된다. 또한, 호출비용의 선택을 위한 호출비용 입력버튼(23)이 표시되고, 목적지 입력버튼(24)과 호출신청 버튼(25), 및 안심호출 요청버튼(26)이 각각 표시된다.
승객이 맵(20) 위에 탑승하고자 하는 위치를 터치하면, 탑승위치 입력부(120)는 맵(20) 상의 터치된 부분의 위치정보를 제어부(210)에 전달한다(단계 S2). 이와 함께, 맵 표시부(130)는 맵(20) 위에 탑승위치(21b)를 다른 색의 점으로 표시하거나, 점멸하게 하거나, 또는 '탑승위치'라는 텍스트를 병기하여 현재 위치(21a)와 구분되도록 한다.
상기한 것처럼, 승객이 탑승위치를 입력하는 경우, 요청시간은 승객 단말(100) 자체의 시간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산출되어 입력된다.
탑승시간 산출부(140)는 승객의 현재 위치(21a)와 탑승위치(21b)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해당 거리를 도보로 이동할 때 평균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되어, 결과적으로 강남역 12번 출구에 인접한 '테헤란로' 대로변에서 탑승할 탑승시간을 산출한다(단계 S3).
이와 달리, 탑승시간 산출부(140)는 탑승시간을 승객으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탑승위치가 현재 위치에 인접하더라도 승객의 사정으로 인해 탑승시간을 길게 설정하고 싶을 경우, 승객은 직접 탑승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이어 순차적으로, 목적지 입력부(140)와 이동방향 입력부(150) 및 호출비용 입력부(170)는 각각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와 탑승위치(24)를 기준으로 승객이 이동할 방향 그리고 승객이 원하는 호출비용을 입력받는다(단계 S4).
가령, 목적지로 '서울대 입구'를 입력받고, 이동방향으로 도 3에서 볼 때 좌측 하단의 화살표를 입력받으며, 호출비용은 대로변이므로 '호출비용(무료)'를 입력받게 된다. 이와 같은 입력내용은 한 예이며, 실제 승객은 목적지로 '서울대 입구'를 입력하더라도 다른 이동방향과 호출비용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은 안심호출 요청버튼(26)을 눌러 운행경로를 추적하여 안전한 귀가를 요청할 수 있다.
승객이 호출신청 버튼(25)을 누르면, 제어부(210)는 승객으로부터 입력된 호출정보를 운영서버(300)에 전송한다(단계 S5).
상기한 것처럼, 운영서버(300)로 전송되는 호출정보는, 탑승위치, 요청시간, 탑승시간, 이동방향, 목적지, 호출비용, 안심호출 요청여부, 및 승객 단말 전화번호와 같은 항목을 포함하며 각 항목의 예는 표 1과 같다.
항목
탑승위치 강남역 12번 출구에 인접한 '테헤란로' 대로변
요청시간 오후 7:25
탑승시간 오후 7:30
이동방향 서쪽
목적지 서울대 입구
호출비용 0원
안심호출 요청 요청됨
승객 단말 전화번호 010-1234-5678
상기의 호출정보 중에서 '승객 단말 전화번호'는 실제 전화번호가 송신되지만, 상기한 것처럼, 운영서버(300)에서 콜택시 단말(200)로 보내는 승객 단말 전화번호는 암호화된 롤링 코드(rolling code)로 전송되어 롤링된 전화번호가 표시되어 승객의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며, 롤링 코드는 승객이 하차한 후 일정시간 경과하면 자동으로 삭제된다.
상기한 것처럼, 운영서버(300)는 등록된 택시 기사의 콜택시 단말(200)이 대기모드에 있음을 수신하면 해당 콜택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승객 단말(100)로부터 호출정보와 함께 호출신청을 수신하면, 호출정보를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는 콜택시의 현재 위치를 호출정보에 포함된 탑승위치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는 콜택시에게 호출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6).
여기서, 기설정범위는 거리상의 범위 뿐만 아니라 시간상의 범위도 포함할 수 있다. 즉, 탑승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범위에 있는 콜택시 또는 탑승시간 내에 탑승위치에 도착할 수 있는 콜택시에게 모두 호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콜택시 단말(200)은 내비게이터(400)에 연결되면서 사전에 운영서버(300)로부터 인증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먼저, 콜택시 기사가 자신의 콜택시 단말(200)을 내비게이터(400)에 연결하고, 설치된 앱을 구동하면, 제어부(210)는 콜택시 단말(200)의 GPS 모듈을 활성화하여 콜택시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연결된 내비게이터(400)로부터 식별자를 수신한다(단계 S7).
이어, 현재 위치와 내비게이터(400) 식별자 및 콜택시 단말(200)의 전화번호를 운영서버(300)에 전송한다(단계 S8).
운영서버(300)는 콜택시 단말(200)의 전화번호와 수신한 내비게이터(400) 식별자를 이용하여 콜택시 단말(200)에 연결된 내비게이터(400)가 등록된 정당한 내비게이터인지를 판정하여 등록된 콜택시 단말(200)이 등록된 내비게이터(400)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한다(단계 S9).
이러한 확인과정에 의해, 분실된 콜택시 단말(200)이 콜택시 호출 서비스에 무단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콜택시 내부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6에서, 운영서버(300)가 송신한 호출정보를 콜택시 단말(200)이 수신하면, 호출 선택부(220)는 내비게이터(400)의 화면에 도 5와 같이 호출 요약정보 리스트(31)를 표시한다(단계 S10).
이때, 상기한 것처럼, 콜택시 기사가 특정 호출에 대한 '상세보기' 버튼(32)을 눌러 선택하면, 선택한 호출의 상세정보가 도 3과 같은 형태로 맵 위에 표시될 수 있다.
그 결과, 콜택시 기사는 콜택시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맵에 표시된 이동방향, 호출비용 그리고 목적지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비용 효율적인 호출을 선택할 수 있다.
콜택시 기사가 표시된 호출 중에서 원하는 호출을 선택하고, 탑승위치까지의 도착시간을 입력한다(단계 S11).
이어 호출선택 버튼(30)을 누르면, 제어부(210)는 선택 호출, 콜택시 단말(200)의 전화번호 및 도착시간을 운영서버(300)로 전송한다(단계 S12).
운영서버(300)는 가장 먼저 수신된 호출 승인을 접수하고, 해당 호출을 신청한 승객의 승객 단말(100)로 예약번호, 콜택시 단말(200)의 전화번호, 도착시간 및 콜택시 차량번호를 전송한다(단계 S13).
여기서, 콜택시 차량번호는 콜택시 단말(200)로부터 직접 받을 수 있지만, 조작의 우려가 있는 경우, 수신한 콜택시 단말(200)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콜택시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승객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콜택시 단말(200)의 전화번호는 암호화된 롤링 코드로 전송되어 롤링된 전화번호가 표시된다.
또한, 승객으로부터 안심호출 요청이 있는 경우, 콜택시 단말(200)에 안심호출 요청이 있음을 표시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안심호출에 의해 운행경로가 추적되고 있음을 인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콜택시 기사가 승객과 전화통화를 원하는 경우, 전화연결 버튼(36)을 누르면, 제어부(210)는 수신된 롤링 코드를 대응하는 승객의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통화를 연결한다.
탑승위치에서 승객이 탑승하면 택시 기사는 승차 버튼(33)을 눌러 탑승이 완료됨을 운영서버(300)에 전송한다(단계 S14).
별도의 승차 버튼(33)을 눌러 탑승 완료를 전송할 수 있지만, 주행미터기(410)를 온(ON)하여 자동으로 탑승 완료를 전송할 수 있다.
운영서버(300)는 콜택시 단말(200)로부터 탑승 완료를 수신하고, 해당 콜택시에 탑승한 승객이 안심호출을 요청하였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5).
안심호출을 요청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운영서버(300)는 호출정보를 기준으로 예상되는 기준 운행경로를 설정하여 실제 운행경로와 실시간으로 비교한다(단계 S16).
여기서, 운영서버(300)는 탑승 완료를 수신하여 운행경로의 추적을 개시하지만, 탑승 완료와 관계 없이 승객 단말(100)의 위치와 콜택시 단말(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추적을 개시할 수 있다. 가령, 승객 단말(100)의 위치와 콜택시 단말(200)의 위치가 동일한 방향으로 기설정 시간동안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참조하여 콜택시 운행경로의 추적을 개시할 수 있다.
기준 운행경로의 설정을 위해서 운영서버(300)는 허용 기준범위를 구비할 수 있고, 가령 거리나 시간 또는 주행방향 등의 변수에 허용 기준범위를 적용하여 기준 운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상기한 것처럼, '강남역'에서 '서울대 입구'까지 운영하는 경우, 거리나 시간 또는 주행방향 등을 고려할 때, 다수의 운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기준 운행경로를 실제 운행경로와 실시간으로 비교하면서 운행경로를 추적한다.
단계 S16에서, 비교결과 실제 운행경로가 기준 운행경로로부터 벗어난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경고를 한다(단계 S17).
가령, 1차로 승객 단말에 전화를 걸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승객이 사전에 지정한 단말로 전화를 걸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그리고 최후로 경찰청에 신고를 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목적지에서 도달하여 승객이 하차하면 택시 기사는 하차 버튼(34)을 누르거나 주행미터기(410)를 오프(OFF)하여 하차가 완료됨을 운영서버(300)에 전송한다.
승객의 하차가 완료된 시점에서 승객 단말(100)와 콜택시 단말(200)에 임시로 저장된 호출정보는 일정시간 후 삭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 네트워크
100: 승객 단말
200: 콜택시 단말
300: 운영서버
400: 내비게이터
410: 주행미터기

Claims (5)

  1. 승객 단말에 설치된 앱이 구동되어 GPS 모듈로부터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승객 단말의 화면에 맵(map)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맵의 네 모서리에 동서남북을 지시하는 화살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이, 상기 표시된 맵 위에 터치에 의해 입력된 탑승위치와, 상기 표시된 화살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의한 이동방향과, 탑승시간/목적지/호출비용/안심호출 요청여부/승객 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출정보를 입력받아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탑승위치에 인접한 콜택시에 상기 수신한 호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인증된 콜택시 단말에 설치된 앱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신한 호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콜택시 단말에서 상기 표시된 호출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호출과 콜택시 단말의 전화번호가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승객 단말로부터 수신한 호출정보에 안심호출 요청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 결과, 상기 안심호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콜택시 단말로부터 승객 탑승 완료를 확인하고 상기 콜택시의 운행경로의 추적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승객 단말로부터 수신한 호출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 운행경로와 실제 운행경로를 실시간으로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결과, 상기 실제 운행경로가 상기 기준 운행경로가 다른 경우, 지정된 순서에 따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승객 탑승 완료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승객 단말의 위치와 상기 콜택시 단말의 위치가 동일한 방향으로 기설정 시간동안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택시의 안심호출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객 탑승 완료의 수신은, 상기 콜택시의 운전자에 의해 상기 콜택시 단말에 직접 입력하여 이루어지거나, 주행미터기의 온(ON) 신호를 수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택시의 안심호출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순서는, 상기 승객 단말 - 승객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단말 - 경찰청 서버 순이며,
    통화 연결이나 메시지 전송을 통하여 상기 경고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택시의 안심호출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과 상기 콜택시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승객 단말 전화번호와 상기 콜택시 단말 전화번호를 각각 롤링 코드(rolling code)로 암호화하여 상기 콜택시 단말과 상기 승객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승객 단말과 상기 콜택시 단말은 각각 상대방의 상기 롤링 코드를 표시하며,
    통화 연결시 상기 롤링 코드를 대응하는 단말 전화번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
KR1020130169046A 2013-12-31 2013-12-31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 KR101452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46A KR101452478B1 (ko) 2013-12-31 2013-12-31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46A KR101452478B1 (ko) 2013-12-31 2013-12-31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478B1 true KR101452478B1 (ko) 2014-10-27

Family

ID=5199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046A KR101452478B1 (ko) 2013-12-31 2013-12-31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4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5258A1 (en) * 2015-06-17 2016-12-22 Uber Technologies, Inc. Trip anomaly detection system
WO2018014758A1 (zh) * 2016-07-18 2018-01-2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叫车处理方法、装置、设备和系统
US10212556B2 (en) 2014-09-05 2019-02-19 Uber Technologies, Inc. Providing route information to devices during a shared transport ser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986A (ko) * 2007-10-08 2009-04-13 신재욱 안전 콜택시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20009177A (ko) * 2010-07-22 2012-02-01 대덕위즈주식회사 승객 안전 서비스 시스템
KR20130077761A (ko) * 2011-12-29 2013-07-09 정승현 콜 서비스 시스템 및 콜 서비스 방법
KR20130130930A (ko) * 2012-05-23 2013-12-03 주식회사 헤븐리아이디어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986A (ko) * 2007-10-08 2009-04-13 신재욱 안전 콜택시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20009177A (ko) * 2010-07-22 2012-02-01 대덕위즈주식회사 승객 안전 서비스 시스템
KR20130077761A (ko) * 2011-12-29 2013-07-09 정승현 콜 서비스 시스템 및 콜 서비스 방법
KR20130130930A (ko) * 2012-05-23 2013-12-03 주식회사 헤븐리아이디어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2556B2 (en) 2014-09-05 2019-02-19 Uber Technologies, Inc. Providing route information to devices during a shared transport service
US10873839B2 (en) 2014-09-05 2020-12-22 Uber Technologies, Inc. Providing route information to devices during a shared transport service
WO2016205258A1 (en) * 2015-06-17 2016-12-22 Uber Technologies, Inc. Trip anomaly detection system
US10123199B2 (en) 2015-06-17 2018-11-06 Uber Technologies, Inc. Trip anomaly detection system
US10301867B2 (en) 2015-06-17 2019-05-28 Uber Technologies, Inc. Trip anomaly detection system
WO2018014758A1 (zh) * 2016-07-18 2018-01-2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叫车处理方法、装置、设备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304B1 (ko)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EP2273468B1 (en) Method of calling a vehicle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US10794714B2 (en)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JP2018032427A (ja) 中央サーバを有する車両要求管理システム
KR20120090445A (ko) 안전한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948301A (zh) 一种车辆智能通信和导航系统
CN107248273B (zh) 一种针对坐轮椅乘客的应对方法
CN108668222A (zh) 一种约车方法和装置
CN105844902A (zh) 打车呼叫装置、打车系统及方法
KR101452478B1 (ko)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
KR20160107997A (ko) 스마트 택시 서비스 지원 시스템
KR20200008676A (ko) 지오펜스의 예외 목적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701397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58295A (ko)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52602B1 (ko)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좌석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0535B1 (ko) 택시 통합 콜 센터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30130930A (ko)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CN111309009B (zh) 自动驾驶车辆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运载工具
KR101907293B1 (ko) 정류장 및 택시 정보 안내 시스템
KR20170030251A (ko)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 확보를 위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1012973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1942A (ko) 긴급 차량의 이동경로 확보를 위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60112805A (ko)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대중교통 안심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91565A (ko) 순환차량 관리 시스템
KR101431483B1 (ko) 콜 택시 호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