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0930A -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 Google Patents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0930A
KR20130130930A KR1020120054593A KR20120054593A KR20130130930A KR 20130130930 A KR20130130930 A KR 20130130930A KR 1020120054593 A KR1020120054593 A KR 1020120054593A KR 20120054593 A KR20120054593 A KR 20120054593A KR 20130130930 A KR20130130930 A KR 20130130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taxi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븐리아이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븐리아이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븐리아이디어
Priority to KR102012005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0930A/ko
Publication of KR2013013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은, 승객의 택시탑승 여부를 승객의 휴대단말기와 택시 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 변화를 통해 확인하고, 승객의 택시탑승 및 탑승택시가 확인되면, 승객의 탑승시간, 탑승택시정보 등의 탑승정보를 승객 휴대단말기 어플리케이션에 기등록된, 보호자 휴대단말기로 자동 전송함으로써 택시 이용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모든 서비스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승객 휴대단말기의 택시호출정보를 획득하여 가용한 택시를 호출하고, 호출된 택시의 택시 단말기와 승객 휴대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가 동일구역에 진입 후, 승객 휴대단말기 위치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면 승객이 택시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승객의 상기 택시 탑승이 확인되면, 승객 휴대단말기와 동일한 지피에스 궤적을 갖는 택시를 승객의 탑승택시로 판단하는 단계, 및 탑승택시가 확인되면, 탑승정보를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기등록된 상기 보호자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Method of Confirmation to the Automatic Analysis of GPS on Board}
본 발명은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승객 휴대단말기와 택시(Taxi) 단말기의 지피에스(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 변화를 통해 승객의 택시탑승 여부와 탑승한 택시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승객의 탑승정보를 승객 휴대단말기 어플리케이션에 기등록된 보호자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택시승객을 노린 범죄관련 기사가 언론매체를 통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며 언제, 누구라도 택시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범죄에 노출이 될 수 있어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야간에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들은 택시범죄가 발생하더라도 주위에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이 쉽지 않아 사건발생 시, 경찰 및 보호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대안책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단말기를 이용해 승객이 탑승한 택시의 정보를 지인들에게 전송하는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한국공개특허 제 10-2011-0125878호 "스마트폰과 이차원바코드를 이용한 택시 모니터링 및 안심귀가서비스"는 택시에 탑승한 승객이, 택시에 구비된 택시정보 및 택시회사 정보가 포함된 이차원바코드를 카메라로 스캔하고, 스캔된 이차원바코드를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인들에게 전송하는 서비스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서비스방법은 이차원바코드를 구비한 택시에 한정되며, 승객이 택시 탑승 시 직접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해 이차원바코드를 촬영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 휴대단말기와 택시 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 변화와 이동궤적을 이용하여 승객의 택시탑승 및 탑승택시를 확인하고, 탑승정보를 보호자 휴대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택시 이용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범죄의 예방 및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상기한 일련의 과정들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승객 휴대단말기, 택시 단말기 및 보호자 휴대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Network) 접속되는 서버(Server)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택시호출정보를 획득하여 가용한 택시를 호출하고, 호출된 상기 택시의 상기 택시 단말기와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가 동일구역에 진입 후,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위치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면 승객이 택시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승객의 상기 택시 탑승이 확인되면,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와 동일한 지피에스 궤적을 갖는 택시를 상기 승객의 탑승택시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택시가 확인되면, 탑승정보를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기등록된 상기 보호자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택시 이용자가 탑승한 택시에 대한 정보와 탑승시각, 위치 등의 탑승정보를 보호자에게 전송함으로써 택시관련 범죄를 예방하거나, 범죄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련의 과정들이 추가적인 동작이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휴대단말기, 보호자 휴대단말기, 택시 단말기, 서버, 인공위성의 접속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승객 휴대단말기와 택시 단말기의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을 일 예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승객 휴대단말기와 대리기사 휴대단말기의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을 일 예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승객 휴대단말기를 통해 택시호출, 택시탑승 및 안심문자서비스 발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택시 단말기의 택시호출정보 수신 및 위치정보확인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승객의 대리호출요청 시, 대리기사 휴대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참조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승객은, 콜택시 서비스 또는 대리기사 서비스를 원하는 고객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승객차량은, 승객이 대리운전을 요청한 차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대리기사는, 승객차량을 운전하는 대리운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대리운전은, 대리기사가 승객차량을 승객 대신 운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승객 휴대단말기 및 보호자 휴대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으로 기능하는 디스플레이부, 프로세서, 메모리, GPS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로써, 어플리케이션 구동, 음성통신, 데이터 통신 및 위성을 통한 위치추적이 가능한 형태이며, 사용자가 휴대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 휴대단말기 및 보호자 휴대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기타 다양한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택시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으로 기능하는 디스플레이부, 프로세서, 메모리, GPS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나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이 외에 스마트 폰이나 휴대단말기에 네이게이션 기능을 포함한 기기 또는 네비게이터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보호자 휴대단말기는, 승객이 승객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보호자로 등록된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단말기로써, 승객의 택시탑승정보를 문자메세지, 음성메세지 및 화상메세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세지로 수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대리기사 휴대단말기는, 승객 휴대단말기가 서버에 요청한 대리기사 호출에 응답할 수 있는 대리운전을 하는 대리기사의 휴대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택시호출정보는, 승객이 호출하는 택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에 대한 것으로, 예를 들어, 택시 위치정보, 택시 운전자정보, 목적지 요금정보 및 택시차량정보 등의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대리호출정보는, 서버가 승객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대리기사위치정보, 대리기사신상정보, 요금정보 및 대리기사회사정보 등의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동일구역은, 승객 휴대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와 택시 단말기 또는 대리기사 휴대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가, 동시에 반경 1m 내지 10m 안에 위치하게 되었을 때 이를 동일구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동일이동궤적은, 승객 휴대단말기 지피에스 좌표와 이동방향, 이동거리 및 현재 위치 등이 일치하는 궤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승객 휴대단말기의 위치이동속도는, 승객 휴대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가 초(/sec)당, 분(/min) 및 시간(/hor)당 중 어느 하나의 시간 변화에 따른 이동거리를 계산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기준속도는, 일반적인 사람의 보속 중 4 내지 10km/h의 속도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승객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은, 택시 또는 대리기사호출기능, 택시 또는 대리기사 위치확인기능, 단골택시 또는 단골대리기사 등록기능, 안심문자서비스기능 및 탑승택시 또는 호출한 대리기사 평가기능 등의 콜택시 또는 대리기사 관련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리기사호출은, 승객이 승객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선택한 대리기사의 호출 또는 가용한 모든 대리기사의 호출 중 어느 하나의 호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탑승정보는, 승객의 탑승시간정보, 탑승위치정보, 탑승택시, 탑승택시회사, 대리기사신상정보, 대리기사회사정보 및 목적지정보 등의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휴대단말기, 보호자 휴대단말기, 택시 단말기, 대리기사 휴대단말기, 서버 및 인공위성의 접속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승객이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청한 택시호출정보를 서버(500)가 수신하여, 가용한 택시의 택시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택시는 수신된 택시호출정보에 대해 승락, 거절 등의 응답을 하게 되고, 택시의 승락이 이루어지면, 서버(500)는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택시호출요청과 택시 단말기(300)의 택시호출 응답을 중계하고, 승객 휴대단말기(100)와 택시 단말기(300)에는 각각 상대방의 위치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승객 휴대단말기(100) 또는 택시 단말기(300)의 지피에스 좌표를 통해 인지되며, 승객과 택시는 사람 형태의 이미지나, 택시 형태의 이미지로 승객 휴대단말기(100)와 택시 단말기(30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객 휴대단말기(100)와 택시 단말기(300)의 지피에스 좌표는 승객 휴대단말기(100), 택시 단말기(300)의 지피에스, 서버(500), 인공위성(600) 및 이동통신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승객 휴대단말기(100)와 택시 단말기(300)의 지피에스 좌표가 동일구역에 포함되고 나서,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 위치이동속도가 서버(500)에 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사람이 이동하는 평균적인 속도가 아니므로, 어떤 이동수단을 이용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부터 서버(500)는 승객이 택시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한다.
승객이 택시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500)는 승객이 탑승한 택시를 판단하기 위해 승객 휴대단말기(100) 지피에스 좌표와 동일이동궤적을 가지는 택시 단말기(300)를 검색한다.
여기서 승객이 탑승한 택시를 판단하기 위해, 승객 휴대단말기(100)가 서버(500)를 통해 택시를 호출했던 통신데이터와, 호출된 택시가 서버(500)를 통해 응답했던 통신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승객 휴대단말기(100) 지피에스 좌표와 동일이동궤적을 가지는 택시 단말기(300)가 확인이 되면, 서버(500)는 택시 단말기(300)가 구비된 택시를 승객이 탑승한 택시로 판단한다.
서버(500)에서 승객이 탑승한 택시가 판단되면, 서버(500)는 승객의 탑승정보를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에 기등록된 보호자 휴대단말기(200)로 자동 전송한다.
여기서 승객의 탑승정보는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에 있는 메뉴의 선택을 통해서 수동으로 보호자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객의 탑승정보를 보호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승객의 택시 이용 중 범죄가 발생 하면, 신속한 대처와 범죄해결에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승객이 택시를 호출하고 승객의 택시탑승을 판단하고, 승객이 탑승한 택시를 판단하여 승객의 보호자 휴대단말기(200)로 승객의 탑승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는 승객이 대리기사를 호출하여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다.
서버(500)가 승객의 대리호출정보를 수신받아 가용한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로 호출하고, 호출된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와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가 동일구역에 진입 후,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면 승객차량을 대리기사가 대리운전하는 것으로 서버(500)는 판단한다.
승객차량의 대리운전이 판단되면, 서버(500)는 승객차량을 운전하는 대리기사를 판단하기 위해 승객 휴대단말기(100)와 동일이동궤적을 가지는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를 검색한다.
여기서 승객차량을 대리운전하는 대리기사를 판단하기 위해, 승객 휴대단말기(100)가 서버(500)를 통해 대리기사를 호출했던 통신데이터와, 호출된 대리기사가 서버(500)를 통해 응답했던 통신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승객 휴대단말기(100) 지피에스 좌표와 동일이동궤적을 가지는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가 확인되면, 서버(500)는 해당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를 소유한 대리기사를 승객차량을 대리운전하는 대리기사로 판단한다.
서버(500)에서 승객차량을 대리운전하는 대리기사가 판단되면, 서버(500)는 승객의 탑승정보를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에 기등록된 보호자 휴대단말기(200)로 자동 전송한다. 이를 통해 승객의 탑승정보를 보호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승객의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 중 범죄가 발생하면, 신속한 대처와 범죄해결의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승객 휴대단말기와 택시 단말기의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을 일 예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객이 택시를 이용하기 위해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호출정보를 서버(500)에 요청하면, 서버(500)는 가용한 택시의 택시 단말기(300)와 승객의 휴대단말기(100)를 중계한다.
여기서 서버(500)는, 승객의 택시호출정보 요청에 즉시 응답할 수 있기 위해 택시 단말기(300)로부터 택시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승객이 자신의 승객 휴대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호출을 서버(500)에 요청하면, 서버(500)는 승객이 선택한 택시 또는 가용한 택시에 호출정보를 전송하고, 호출정보를 수신한 택시의 호출승락이 이루어지면 호출된 택시의 택시 단말기(300)와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를 실시간으로 비교한다.
여기서 승객이 승객 휴대단말기(100)를 통해 택시를 호출하는 방법은, 승객이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택시를 직접 선택하는 방법 또는 가용한 모든 택시에 대한 호출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호출정보는, 승객의 위치정보, 목적지정보 및 탑승인원정보 등의 택시를 호출한 승객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서버(500)는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와 택시 단말기(300)의 지피에스 좌표가 동일구역에 동시에 진입하고 나서, 승객 휴대단말기(100) 지피에스 좌표의 위치이동속도가 서버(500)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승객이 택시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한다.
승객의 택시탑승이 판단되면, 서버(500)는 승객이 탑승한 택시를 판단하기 위해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와 동일이동궤적 또는 택시에 탑승한 승객과 택시호출정보를 송수신한 데이터를 갖는 택시를 서버(500)에서 검색하며, 검색된 택시 중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의 궤적과 동일이동궤적을 갖거나, 택시에 탑승한 승객과 택시호출정보를 송수신한 데이터를 갖는 택시 단말기(300)를 구비한 택시를 승객이 탑승한 택시로 판단한다.
승객이 탑승한 택시가 판단되면, 서버(500)는 승객이 택시에 탑승한 탑승정보를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에 기등록된 보호자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도 4는 승객 휴대단말기와 대리기사 휴대단말기의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을 일 예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승객이 대리기사를 이용하기 위해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리호출정보를 서버(500)에 요청하면, 서버(500)는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로부터 전송받은 대리기사정보를 승객 휴대단말기(100)에 전송하여 승객 휴대단말기(100)와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를 중계한다.
여기서 서버(500)는, 승객의 대리호출정보 요청에 즉시 응답할 수 있기 위해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로부터 대리기사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승객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대리기사정보는, 대리기사 위치정보, 대리기사 신상정보, 요금정보 및 대리기사 회사정보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대리기사정보를 통해 승객이 대리기사를 선택하여 서버(500)에 호출정보를 전송하면, 서버(500)는 승객이 선택한 대리기사 또는 가용한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로 호출정보를 전송하고, 호출정보를 수신한 대리기사의 호출승락이 이루어지면, 서버(500)는 호출된 대리기사의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와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를 실시간으로 비교한다.
여기서 호출정보는, 승객위치정보, 목적지정보 및 승객인원정보 등의 대리기사를 호출한 승객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서버(500)는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와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의 지피에스 좌표가 동일구역에 동시에 진입하고 나서, 승객 휴대단말기(100) 지피에스 좌표의 위치이동속도가 서버(500)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승객차량을 대리기사가 대리운전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승객차량의 대리운전이 판단되면, 서버(500)는 승객차량을 운전하는 대리기사를 판단하기 위해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와 동일이동궤적 또는 승객과 대리호출정보를 송수신한 데이터를 갖는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를 서버(500)에서 검색하여,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의 궤적과 동일이동궤적을 갖거나, 대리운전차량에 탑승한 승객과 대리호출정보를 송수신한 데이터를 갖는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를 구비한 대리기사를, 승객차량을 대리운전하는 대리기사로 확인한다.
승객차량을 대리운전하는 대리기사가 확인되면, 서버(500)는 승객의 탑승정보를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에 기등록된 보호자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승객이 휴대단말기를 통해 택시호출, 택시탑승 및 안심문자서비스 발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여기서 안심문자서비스는 승객의 택시 탑승정보를 보호자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서비스일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승객의 택시호출 요청시 승객 휴대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승객이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500)에 택시정보를 요청하면, 서버(500)는 택시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받은 택시정보를 승객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화면에는 승객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주위에 가용한 택시들과 불가용한 택시들이 택시아이콘으로 실시간 표시되며, 승객은 택시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택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택시아이콘은 승객 휴대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아이콘으로써, 택시임을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택시정보 확인 후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조작을 통해 택시호출을 할 수 있으며, 택시호출 시, 확인메뉴창(101)이 표시되어 승객의 택시호출 선택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조작은 승객 휴대단말기(100)에서 택시아이콘을 연속으로 터치하는 방법, 명령어를 입력하는 방법 등이 될 수 있다.
도 6은 승객 휴대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승객과 승객이 호출한 택시의 지피에스 좌표를 도시한 것으로, 승객의 택시호출요청을 통해 택시호출이 이루어지면, 택시 단말기(300)의 지피에스 좌표와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가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되며, 승객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승객의 위치를 중심으로 원형의 동일구역을 표시한다. 이를 통해 승객은 호출한 택시와 자신의 거리 및 위치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구역은,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화면상에 색상을 포함한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서버(500)가 승객의 택시탑승 및 탑승택시 확인 후, 승객의 탑승정보를 보호자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승객 휴대단말기(100)와 택시 단말기(300)의 지피에스 좌표가 동일구역에 동시에 진입하고,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 위치이동속도가 서버(500)에 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서버(500)는 승객이 택시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한다.
서버(500)는 승객 휴대단말기(100) 지피에스 좌표와 동일이동궤적 또는 동일한 택시호출정보를 송수신한 택시 단말기(300)를 검색하여 승객이 탑승한 택시를 판단한다. 승객이 탑승한 택시가 판단되면, 승객의 탑승정보를 승객 휴대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에 기등록된 보호자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하며, 승객 휴대단말기(100) 화면에는 안심문자발송확인서비스창(102)을 띄우고, 예측하지 못한 기계 또는 전산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여 안심문자발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승객 휴대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 화면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안심문자수동발송버튼(103)을 터치하여 수동으로 발송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택시 단말기의 택시호출정보 수신 및 위치정보확인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승객의 택시호출요청 시, 택시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호출메뉴창(301)을 도시한 것으로, 택시 안에 구비되는 택시 단말기(300)는 승객이 서버(200)에 전송한 택시호출정보를 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자세히 보기, 승객의 위치, 수락, 장소 다시 요구 및 콜 요청거부 등의 선택메뉴가 포함되어 있는 호출메뉴창(301)을 표시한다. 각각의 선택메뉴는 택시 단말기(300)의 화면터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으며, 콜 요청 거부 메뉴를 선택 시, 서버(500)는 택시호출실패 또는 재호출요구 등의 메세지를 승객 휴대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또한, 장소 다시 요구 메뉴를 선택 시, 서버(500)는 승객의 현재 위치를 재검색하여 갱신된 승객의 위치를 택시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자세히 보기 메뉴 선택 시, 승객의 호출정보에 대한 자세한 내용(승객 위치정보, 목적지정보 및 탑승인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호출메뉴창(301)에서 수락 메뉴를 선택했을 경우 택시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승객 휴대단말기(100)와 택시 단말기(300)의 지피에스 좌표를 도시한 것으로, 승객의 택시호출요청을 통해 택시호출이 이루어지면, 택시 단말기(300)의 지피에스 좌표와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가 택시 단말기(300)의 화면에 표시되며, 택시 단말기(300)의 화면상에 택시의 위치를 중심으로 원형의 동일구역을 표시한다. 이를 통해 택시는 호출한 승객과 자신의 거리 및 위치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승객의 대리호출요청 시, 대리기사 휴대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참조도면이다.
먼저 도 10은, 승객의 대리기사 요청시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에 표시되는 대리요청수신메뉴창(401)을 도시한 것으로, 대리기사가 구비하는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는 승객이 서버(500)에 전송한 호출정보를 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자세히 보기, 승객의 위치, 수락, 장소 다시 요구 및 요청거부 등의 선택메뉴가 포함되어 있는 대리요청수신메뉴창(401)을 표시한다. 각각의 선택메뉴는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의 화면터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으며, 요청 거부 메뉴 선택 시, 서버(500)는 대리호출실패 또는 재호출요구 등의 메세지를 승객 휴대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또한, 장소 다시 요구 메뉴를 선택 시, 서버(500)는 승객의 현재 위치를 재검색하여 갱신된 승객의 위치를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자세히 보기 메뉴 선택 시, 승객의 호출정보에 대한 자세한 내용(승객위치정보, 승객인원정보 및 목적지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대리요청수신메뉴창(401)에서 수락 메뉴를 선택했을 경우, 대리기사 단말기(400)에 표시되는 승객 휴대단말기(100)와 대리기사 단말기(400)의 지피에스 좌표를 도시한 것으로, 승객의 호출정보를 통해 대리기사호출이 이루어지면,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의 지피에스 좌표가 대리기사아이콘(402)으로,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 좌표는 승객아이콘(403)으로 각각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의 화면에 표시된다.
여기서 대리기사아이콘(402), 승객아이콘(403)은 대리기사 및 승객을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 화면에서 표현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의 화면은 대리기사아이콘(402)를 중심으로 표시되며, 대리기사아이콘(402) 주위에는 동일구역이 동시에 표시된다. 따라서, 승객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와 대리기사 휴대단말기(400)의 위치가 동일구역에 진입 했는 지를 쉽게 확인 가능하며, 동일구역이 아닌 구역에서도 승객아이콘(403)과 대리기사아이콘(402)를 통해 대리기사를 호출한 승객과의 거리 및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100 승객 휴대단말기 200 보호자 단말기
300 택시 단말기 400 대리기사 휴대단말기
500 서버 600 인공위성

Claims (13)

  1. 승객 휴대단말기, 택시 단말기 및 보호자 휴대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 접속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택시호출정보를 획득하여 가용한 택시를 호출하고, 호출된 상기 택시의 상기 택시 단말기와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가 동일구역에 진입 후,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 위치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면 승객이 택시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승객의 상기 택시 탑승이 판단되면,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와 동일이동궤적을 갖는 택시를 상기 승객의 탑승택시로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탑승택시가 판단되면, 탑승정보를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기등록된 상기 보호자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이 상기 택시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택시호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택시호출정보는
    택시 위치정보, 택시 운전자정보, 택시 회사정보, 택시 요금정보 및 택시차량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구역은,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와 상기 택시 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가 반경 1m 내지 10m 안에 동시에 포함되는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위치이동속도는,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지피에스 좌표가 초(/sec)당, 분(/min)당 및 시간(/hou)당 중 어느 하나의 시간변화에 따른 이동거리를 계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의 탑승택시로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와 동일이동궤적 및 이동속도를 갖는 택시를 상기 승객의 탑승택시로 등록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승객의 상기 탑승정보를 문자메세지 전송, 음성메세지 전송 및 화상메세지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방법을 통해 상기 보호자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이동궤적은,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 상기 지피에스 좌표와 이동방향, 이동거리 및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치하는 궤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정보는,
    상기 승객의 탑승시간정보, 탑승위치정보, 탑승택시정보, 탑승택시회사정보 및 목적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10. 승객 휴대단말기, 보호자 휴대단말기, 대리기사가 구비한 대리기사 휴대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 접속되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대리호출정보를 통해 승객의 호출에 대응하는 대리기사를 호출하는 단계;
    호출된 상기 대리기사 휴대단말기와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지피에스 좌표가 동일구역에 진입 후,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 위치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면, 승객차량을 대리기사가 운전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와 동일이동궤적을 갖는 상기 대리기사 휴대단말기를 상기 승객차량의 대리기사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승객차량의 대리기사가 확인되면, 상기 승객의 탑승정보를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기등록된 상기 보호자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호출정보는,
    상기 서버가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대리기사위치정보, 대리기사신상정보, 요금정보 및 대리기사회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기사는,
    상기 승객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승객이 직접 선택한 대리기사 또는 가용한 모든 대리기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정보는,
    상기 승객의 탑승시간정보, 탑승위치정보, 대리기사신상정보, 대리기사회사정보 및 목적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KR1020120054593A 2012-05-23 2012-05-23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KR20130130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593A KR20130130930A (ko) 2012-05-23 2012-05-23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593A KR20130130930A (ko) 2012-05-23 2012-05-23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930A true KR20130130930A (ko) 2013-12-03

Family

ID=4998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593A KR20130130930A (ko) 2012-05-23 2012-05-23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093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478B1 (ko) * 2013-12-31 2014-10-27 (주)모아솔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
GB2534273A (en) * 2014-11-30 2016-07-20 Creative Mobile Tech Llc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passengers and in-vehicle equipment
US9928745B2 (en) 2014-11-30 2018-03-27 Creative Mobile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passengers and in-vehicle equipment
KR102358572B1 (ko) * 2021-02-15 2022-02-08 박재홍 지하철 하차 알림 방법
KR102423801B1 (ko) * 2021-10-27 2022-07-21 로드윈휴먼 주식회사 차량의 탁송과 대리운전을 중개하는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478B1 (ko) * 2013-12-31 2014-10-27 (주)모아솔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
GB2534273A (en) * 2014-11-30 2016-07-20 Creative Mobile Tech Llc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passengers and in-vehicle equipment
US9928745B2 (en) 2014-11-30 2018-03-27 Creative Mobile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passengers and in-vehicle equipment
KR102358572B1 (ko) * 2021-02-15 2022-02-08 박재홍 지하철 하차 알림 방법
KR102423801B1 (ko) * 2021-10-27 2022-07-21 로드윈휴먼 주식회사 차량의 탁송과 대리운전을 중개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0496B2 (ja) 自動運転車及び自動運転車用プログラム
JP2017050008A (ja) 同一の移動パスに沿って移動する装置を関連付け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2035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afe taxi service
CN108668222B (zh) 一种约车方法和装置
KR20170016537A (ko) 콜택시 서비스 서버, 이를 갖는 콜택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콜택시 서비스 방법
JP2004192366A (ja) 配車システム
US11912309B2 (en) Travel control device and travel control method
KR20130130930A (ko) 지피에스 분석 자동탑승 확인방법
KR101633188B1 (ko) 여행 가이드 시스템
KR20100005922A (ko) 콜택시 서비스 방법
JP2002032897A (ja) タクシーの配車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1334672B1 (ko) 구조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N112133082A (zh) 一种车辆调度方法、装置及系统
KR101907293B1 (ko) 정류장 및 택시 정보 안내 시스템
JP4983715B2 (ja) 運転者安否確認システム
KR101452478B1 (ko)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
JP5239592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方法
US20210089983A1 (en) Vehicle ride-sharing assist system
JP466356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携帯電話
JP2003168190A (ja) 車両配車案内システム及び車両配車案内方法
JP2019184336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目的地設定システム
JP2007004772A (ja) ワイヤレス・システムを介して緊急対応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4194342A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10097444A (ko) 이동전화, 유선전화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근접 차량 호출방법
CN113177825A (zh) 安全打车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