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304B1 -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304B1
KR101565304B1 KR1020140003905A KR20140003905A KR101565304B1 KR 101565304 B1 KR101565304 B1 KR 101565304B1 KR 1020140003905 A KR1020140003905 A KR 1020140003905A KR 20140003905 A KR20140003905 A KR 20140003905A KR 101565304 B1 KR101565304 B1 KR 101565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passenger
call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153A (ko
Inventor
최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엔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엔시
Priority to KR102014000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30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택시 콜(call)을 활성화할 수 있는 콜택시 예약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은, 승객용 앱이 설치된 승객 단말과, 기사용 앱이 설치된 콜택시 단말 및 가입된 승객과 기사의 등록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여 관리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승객용 앱은, 탑승위치를 입력받아 상기 승객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탑승위치에서의 예약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탑승위치와 예약시간과 함께 입력받은 목적지와 콜 비용 및 승객 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상기 운영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수신한 예약정보를 상기 콜택시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기사용 앱은,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신한 예약정보를 참조하여 원하는 콜을 선택하고 상기 탑승위치에 도착하는 도착시간을 입력받아 콜택시 단말 전화번호와 함께 콜 확인정보를 상기 운영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콜 확인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에 전송한다.

Description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Method for Reservation Service of Call Taxi}
본 발명은 콜택시 예약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약을 위한 별도의 인원이 필요하지 않은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에 관련한다.
콜택시(call taxi) 호출 서비스는 택시정보화의 한 분야로서 택시고객의 편익과 운송서비스의 선진화 측면에서 정부차원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 콜택시 호출 서비스는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택시사업자에 의해 소규모로 시작하였고, 그 방법 또한 전산화되지 못하고 수기 등 원시적인 방법으로 운용해 왔으나 2000년 이후 운송서비스의 선진화와 택시 이용자의 시간가치의 증대 등으로 인하여 어디서나 호출하여 신속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는 고객의 욕구 충족을 위해 콜택시 호출 서비스는 규모가 점차 확대되어 현재는 대형 콜택시 센타 위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술분야이다.
이와 함께 콜택시 호출 서비스의 확장된 개념으로 콜택시 예약서비스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콜택시 호출 서비스와는 다른 관점에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먼저, 종래 콜택시 예약은 통상 전화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화 예약을 받기 위한 별도의 인원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콜택시 예약의 분배가 공평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해당 지역 전체에서 전면적으로 수행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정에 의해 예약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경우 그에 따른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에 예약 승객이나 예약 택시 양자 모두 불측의 손해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약을 위한 별도의 인원이 필요하지 않은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콜택시 예약이 해당 지역 내에서 등록된 콜택시 회원에게 공평하게 분배될 수 있는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정에 의해 예약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경우 콜택시 호출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는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승객 단말에 설치된 앱이 구동되어 GPS 모듈로부터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화면에 탑승위치와 예약시간을 입력받는 단계;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와 상기 탑승위치를 기준으로 승객이 이동할 방향 그리고 승객이 원하는 예약비용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탑승위치, 상기 예약시간, 상기 이동방향, 상기 목적지, 상기 예약비용, 및 승객 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기설정된 기준과 순서에 기초하여 선정된 콜택시의 단말에 상기 수신한 예약정보와 예약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콜택시 단말에 설치된 앱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신한 예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예약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예약과 해당 콜택시 단말의 전화번호가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가 수신된 예약 확인을 접수하고, 해당 예약을 신청한 승객의 단말로 상기 콜택시 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예약번호 및 콜택시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정된 콜택시의 단말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도 예약확인이 수신되지 않으면, 2차로 대상 콜택시를 선정하여 해당 예약을 다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승객에 의해 상기 예약이 취소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예약된 콜택시를 콜택시 호출 서비스로 전환하여 콜택시 호출에 우선권을 부여하고, 콜택시 사정에 의해 상기 예약이 취소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예약정보를 호출정보로 전환하여 상기 탑승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의 콜택시에 상기 호출정보를 전송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콜택시 예약이 단말로부터 운영서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콜택시 예약을 받기 위한 별도의 인원이 필요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설정된 기준과 순서에 의해 콜택시 예약을 분배하기 때문에 공평한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어 단위 지역에서 전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사정에 의해 예약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경우 콜택시 호출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어 예약 승객이나 예약 택시 양자 모두 손해를 입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콜택시 예약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승객 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승객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콜택시 단말의 기능적 구성의 블록도, 내비게이터 및 주행미터기와의 연결을 보여준다.
도 5는 콜택시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콜택시 예약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다수의 클라이언트(100, 200)와 하나의 서버(300)가 인터넷이나 공중전화망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10)로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승객 단말(100)에는 콜택시 예약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승객용 앱'이라 함)이 설치되어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운영서버(300)에 접속된다. 여기서, 승객 단말(100)로 통상 승객 개인이 소지한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콜택시 단말(200)에도 콜택시 예약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기사용 앱'이라 함)이 설치되어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운영서버(300)에 접속된다. 콜택시 단말(200)은, 승객 단말(100)과 같이, 통상 콜택시 기사 개인이 소지한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것처럼, 택시에 장착되어 내비게이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운영서버(300)는 회원으로 가입된 승객의 신원정보와 등록된 기사의 신원정보와 택시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0)로 구비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택시정보는 개인택시와 법인택시로 구분되는 택시유형과, 교대와 같은 운행정보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승객 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승객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탑승위치 입력부(120)는 승객이 탑승하고자 하는 위치를 승객으로부터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며, 가령 도 3에 표시된 맵(map)(20) 위에 터치 방식으로 탑승위치(24)를 입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탑승위치 입력부(120)는 탑승위치를 검색하여 알려주는 기능도 구비할 수 있는데, 가령 승객이 탑승지역을 입력하여 검색 요청하면 검색된 탑승지역을 열거하여 승객이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맵 표시부(130)는, 도 3과 같이, 승객 단말(100)의 GPS 모듈이 수신한 승객 단말(100)의 현재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맵(20)을 표시하며, 맵(20) 위에 현재 위치(22)를 나타낸다. 또한, 탑승위치 입력부(120)에 의해 검색된 탑승지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탑승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맵을 표시할 수 있다.
예약시간 입력부(140)는 승객이 탑승위치에서 탑승하는 탑승일자와 시각을 입력받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예약시간 입력버튼(80)으로 구성한다.
목적지 입력부(150)는 승객으로부터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입력받으며, 도 3에서와 같이 목적지 입력버튼(50)으로 구성한다.
이동방향 입력부(160)는 탑승위치(24)를 기준으로 승객이 가고자 하는 방향을 승객으로부터 입력받으며, 후술하는 것처럼, 이동방향은 택시의 현재 주행방향과 밀접하게 관련될 수 있다. 이동방향 입력부(160)는, 가령 도 3에서와 같이, 맵(20)의 네 모서리에 탑승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각각 동서남북의 네 모서리에 이동방향 입력버튼(30)이 화살표로 표시된다.
예약비용 입력부(170)는 승객이 원하는 예약비용을 입력받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예약비용과 관련하여 무료, 기설정 금액 및 승객 직접 입력의 3가지 종류로 예약비용 입력버튼(40)을 구비할 수 있다. 가령, '예약비용(무료)' 버튼은 탑승위치가 대로변이나 택시가 많이 다니는 곳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선택할 수 있고, '예약비용(1000원)' 버튼은 대로에서 100미터 이내라고 생각하는 경우 선택할 수 있으며, '예약비용( 원)' 버튼은 상기의 경우에 속하지 않으면서 승객이 예약비용으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비용을 직접 입력하고자 할 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예약비용 입력버튼(40)의 종류는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콜택시 요금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전화연결부(180)는 예약 배차된 운전자의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운영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의 전화번호는 암호화된 롤링 코드(rolling code)로 전송되어 롤링된 전화번호가 표시되며, 전화를 걸 때에는 제어부(110)에서 롤링 코드를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110)는 앱이 구동하면 승객 단말(100)의 GPS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한 각 구성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임시로 저장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다른 구성부에 제공한다.
한편, 도 3과 같이, 승객 단말(100)의 화면에는 예약신청 버튼(60)이 표시되는데, 모든 정보가 승객에 의해 입력된 후, 승객이 예약신청 버튼(60)을 누르면 입력된 정보가 운영서버(3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운영서버(300)로 전송되는 예약정보는, 탑승위치, 예약시간, 이동방향, 목적지, 예약비용, 및 승객 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콜택시 단말의 기능적 구성의 블록도, 내비게이터 및 주행미터기와의 연결을 보여주고, 도 5는 콜택시 단말에 표시되는 예약선택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콜택시 단말(200)은 내비게이터(400)와 통신 연결되어 도 3과 같은 앱 화면을 내비게이터(400)에 표시할 수 있고, 내비게이터(400)로부터의 터치 입력이 콜택시 단말(200)로 전달된다.
콜택시 단말(200)과 내비게이터(400)의 연결은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이나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내비케이터(400)에는 콜택시 단말(200)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모듈이 별도로 구비되어 내비게이터(400)가 연결되는 경우 식별자를 콜택시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내비게이터(400)에는 주행미터기(410)가 연결되어 주행미터기(410)의 온/오프에 따라 승객의 승하차정보의 입력, 운행경로의 추적개시와 종료, 또는 내비게이터(400)의 화면전환 등이 결정될 수 있다. 가령, 내비게이터(400)는 주행미터기(410)로부터의 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앱 화면을 내비게이션 화면으로 전환하고 운영서버(300)에 호출(call)이나 예약 수신 거부를 통지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예약 선택부(220)는 운영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예약을 표시하여 기사로부터 선택을 입력받고, 필요시 맵 형태로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다.
승차 입력부(230)는 승객이 승차하였음을 입력받고, 하차 입력부(240)는 승객이 하차하였음을 입력받는데, 승객의 안심귀가를 위한 승차정보와 하차정보의 제공을 위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주행미터기(410)의 온/오프신호를 승객의 승하차정보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승차 및 하차 입력부(230, 240)를 생략할 수 있다.
휴식 입력부(250)는 승객이 승차한 상태에서, 휴식을 위해 일정시간 주행하지 않을 경우, 해당 시간이 휴식임을 입력받는다.
전화연결부(260)는 예약정보에 포함된 승객의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것처럼, 운영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승객의 전화번호는 암호화된 롤링 코드로 전송되어 롤링된 전화번호가 표시되며, 전화를 걸 때에는 제어부(210)에서 롤링 코드를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통신 연결된 내비게이터(4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스 한다.
제어부(210)는 앱이 구동하면 콜택시 단말(200)의 GPS 모듈을 활성화하고, 운영서버(300)에 콜택시 단말(200)의 상태를 전송하며, 각 구성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와 내비게이터(4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다른 구성부에 제공하며, 내비게이터(400)의 제어모듈과 데이터 통신 연결된다.
한편, 운영서버(300)는 본 발명의 콜택시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과 콜택시 기사를 회원으로 등록하여 관리한다.
콜택시 회원은 콜택시 기사가 그 대상이 되는데, 운영의 편의를 위하여 개인회원과 법인회원으로 구별할 수 있다. 즉, 개인회원은 개인택시 기사가 되고 법인회원은 법인의 관리자(가령, 배차담당 관리자)가 되도록 하여 법인 콜택시에 대한 예약 분배는 법인의 배차담당 관리자가 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운영서버(300)는 수신한 예약정보를 개인택시 기사나 법인의 배차담당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회원으로 가입된 승객이 승객 단말(100)에 설치된 앱을 구동하면 제어부(110)에 의해 승객 단말(100)의 GPS 모듈이 활성화되어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맵 표시부(130)는 수신한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맵(20)을 도 3과 같이 디폴트로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S1).
가령, 강남역을 기준으로 하는 맵(20)이 화면에 표시되며, 가령 승객의 현재 위치는 '이즈타워' 정면에 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맵(20)이 표시되고 그 위에 승객의 현재 위치(22)가 표시되며, 맵(20)의 네 모서리에 이동방향 입력버튼(30)이 화살표로 표시된다. 또한, 예약 비용의 선택을 위한 예약비용 입력버튼(40)이 표시되고, 목적지 입력버튼(50)과 예약 신청 버튼(60), 탑승위치 검색버튼(70) 및 예약시간 입력버튼(80)이 각각 표시된다.
승객이 탑승위치 검색버튼(70)을 눌러 탑승하고자 하는 지역을 검색 요청하면, 제어부(210)는 관련 지역을 검색하여 표시해주는데, 승객이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면, 맵 표시부(130)는 해당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맵을 표시한다.
승객이 맵(20) 위에 탑승하고자 하는 위치를 터치하면, 탑승위치 입력부(120)는 맵(20) 상의 터치된 부분의 위치정보를 제어부(210)에 전달한다(단계 S2).
이와 함께, 맵 표시부(130)는 맵(20) 위에 탑승위치(24)를 다른 색의 점으로 표시하거나, 점멸하게 하거나, 또는 '탑승위치'라는 텍스트를 병기하여 현재 위치(22)와 구분되도록 한다. 가령, 일 예로 도 3과 같이 탑승위치는 '테헤란로'의 대로변으로 선택된다.
승객이 예약시간 입력버튼(80)을 눌러 탑승 일자와 시각을 입력하면, 예약시간 입력부(140)는 입력받은 예약시간 정보를 제어부(210)에 전달한다(단계 S3).
이어 순차적으로, 목적지 입력버튼(50)과 이동방향 입력버튼(30) 및 예약비용 입력버튼(40)에 대응하는 목적지 입력부(140)와 이동방향 입력부(150) 및 예약 비용 입력부(170)는 각각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와 탑승위치(24)를 기준으로 승객이 이동할 방향 그리고 승객이 원하는 예약 비용을 입력받는다(단계 S4).
가령, 목적지로 '서울대 입구'가 선택되고, 이동방향은 도 3에서 볼 때 좌측 하단의 화살표가 선택되며, 콜 비용은 대로변이므로 '예약 비용(무료)'이 선택된다.
승객이 예약 신청 버튼(60)을 누르면, 제어부(210)는 승객으로부터 입력된 예약정보를 운영서버(300)에 전송한다(단계 S5).
상기한 것처럼, 운영서버(300)로 전송되는 예약정보는, 탑승위치, 예약시간, 이동방향, 목적지, 예약비용, 및 승객 단말 전화번호와 같은 항목을 포함하며 각 항목의 예는 표 1과 같다.
항목
탑승위치 이즈타워 인접한 테헤란로 대로변
예약시간 2014. 1. 10. 오후 7:30
이동방향 서쪽
목적지 서울대 입구
예약비용 0원
승객 단말 전화번호 010-1234-5678
예약정보 중에서 '승객 단말 전화번호'는 콜택시 기사의 전화번호와 같이, 암호화된 롤링 코드(rolling code)로 전송되어 롤링된 전화번호가 표시되며, 전화를 걸 때에는 제어부(110)에서 롤링 코드를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콜 신호를 전송하게 됨으로써 승객의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최대한 보장한다.
운영서버(300)는 승객 단말(100)로부터 예약정보와 함께 예약 신청을 수신하면 예약정보를 저장하고, 등록된 콜택시 회원의 단말에 예약정보와 예약번호를 전송한다(단계 S6).
상기한 것처럼, 등록된 콜택시 회원은 개인택시 회원과 법인택시 회원이 있는데, 개인택시 회원의 경우 개인택시 회원의 단말로 예약정보가 전송되고 법인택시 회원의 경우 등록된 관리자, 가령 배차담당 관리자의 단말로 예약정보가 전송된다.
특히, 법인택시 회원의 경우, 배차담당 관리자의 단말이 휴대폰이 아니라 컴퓨터 단말일 수 있다. 즉, 배차담당 관리자는 실제 택시를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컴퓨터 단말을 통하여 예약정보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휴대폰이 아니라 컴퓨터 단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서버(300)는 기설정된 기준과 순서에 따라 해당되는 대상 회원의 단말로 예약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운영서버는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예약정보에 포함된 예약시간과 탑승위치를 참고하여 예약정보를 전송한 대상 회원을 선정하는데, 각 회원에게 예약을 받을 기회가 공평하게 주어지도록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대상 회원을 선정하되 개인택시 회원의 경우 해당 일자에 운행하는지와, 차고지가 탑승위치에서 가까운지 등을 고려하여 대상 회원을 최종 선정하며, 법인택시 회원의 경우 해당 법인의 배차담당 관리자의 판단에 맡겨 배차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1차로 선정된 콜택시의 단말에 예약정보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도 예약확인이 수신되지 않으면, 1차로 선정된 콜택시가 해당 예약을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2차로 대상 콜택시를 선정하여 해당 예약을 전송한다.
한편, 선택적으로, 콜택시 단말(200)은 내비게이터(400)에 연결되면서 사전에 운영서버(300)로부터 인증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먼저, 콜택시 기사가 자신의 콜택시 단말(200)을 내비게이터(400)에 연결하고, 설치된 앱을 구동하면, 제어부(210)는 콜택시 단말(200)의 GPS 모듈을 활성화하여 콜택시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연결된 내비게이터(400)로부터 식별자를 수신한다(단계 S11).
이어, 현재 위치와 내비게이터(400) 식별자 및 콜택시 단말(200)의 전화번호를 운영서버(300)에 전송한다(단계 S12).
운영서버(300)는 콜택시 단말(200)의 전화번호와 수신한 내비게이터(400) 식별자를 이용하여 콜택시 단말(200)에 연결된 내비게이터(400)가 등록된 정당한 내비게이터인지를 판정하여 등록된 콜택시 단말(200)이 등록된 내비게이터(400)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한다(단계 S13).
이러한 확인과정에 의해, 분실된 콜택시 단말(200)이 콜택시 예약서비스에 무단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콜택시 내부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6에서, 운영서버(300)가 송신한 예약정보를 콜택시 단말(200)이 수신하면, 예약 선택부(220)는 내비게이터(400)의 화면에 도 5와 같이 예약정보를 요약한 리스트(31)를 표시한다(단계 S7).
이때, 상기한 것처럼, 콜택시 기사가 특정 예약에 대한 '상세보기' 버튼(32)을 눌러 선택하면, 선택한 예약의 예약정보가 도 3과 같은 형태로 맵 위에 표시될 수 있다.
그 결과, 콜택시 기사는 택시 교대를 포함하는 택시 운행 계획, 차고지, 예약비용 그리고 목적지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비용 효율적인 예약을 선택할 수 있다.
콜택시 기사가 열거된 예약 중에서 원하는 예약을 선택하고, 이어 예약선택 버튼(30)을 누르면, 제어부(210)는 선택된 예약, 콜택시 단말(200)의 전화번호를 운영서버(300)로 전송한다(단계 S8). 필요에 따라, 콜택시의 도착시간을 콜택시 기사가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운영서버(300)는 예약 확인을 접수하고, 해당 예약을 신청한 승객의 승객 단말(100)로 콜택시 단말(200)의 전화번호와 예약번호 및 추출된 콜택시 번호를 전송한다(단계 S9). 선택적으로, 콜택시의 도착시간과 콜택시의 차량정보, 가령 차량의 색상이나 종류를 전송하여 승객이 쉽게 육안으로 예약된 콜택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300)는, 가령 예약시간 1시간 전에 예약 승객에게 예약정보를 다시 통보하여 예약 승객으로 하여금 예약을 상기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운영서버(300)는 승객 사정이나 콜택시 사정에 의해 예약이 예정대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먼저, 승객 사정에 의해 예약이 취소된 경우, 운영서버(300)는 예약된 콜택시를 콜택시 호출 서비스로 전환하여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운영서버(300)는 해당 콜택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승객 단말(100)로부터 호출신청을 수신하면, 해당 콜택시에게 우선적으로 호출정보를 전송한다. 그 결과, 예약 취소에 의한 손해를 호출 신호를 우선적으로 배정하여 만회할 수 있다.
또한, 콜택시 사정에 의해 예약이 취소된 경우, 운영서버(300)는 예약정보를 호출정보로 전환하여 탑승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의 콜택시에 호출정보를 전송하여 신속하게 해당 콜택시를 대체하도록 할 수 있다.
예약된 콜택시는 예약시간에 탑승위치에 도착하는데, 가령 "빈차"를 표시하는 패널에 예약번호가 표시되도록 하여 탑승위치에서 기다리는 승객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탑승위치에서 승객이 탑승하면 택시 기사는 승차 버튼(33)을 눌러 탑승이 완료됨을 저장하고, 목적지에서 승객이 하차하면 택시 기사는 하차 버튼(34)을 눌러 하차가 완료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동 중간에 주유를 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정차를 하는 경우, 휴식 버튼(35)을 눌러 휴식하고 있음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주행정보는 승객의 하차가 완료된 시점에서 운영서버(300)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안심하고 콜택시 예약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한 것처럼, 내비게이터(400)에 연결된 주행미터기(410)의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승객의 승차와 하차가 완료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터(400)의 제어모듈은 콜택시 단말(200)의 제어부(210)로부터 앱 화면을 수신하여 내비게이터(400)에 표시하는데, 주행미터기(410)로부터의 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앱 화면을 내비게이션 화면으로 전환하고 운영서버(300)에 콜 수신 거부를 통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 네트워크
100: 승객 단말
200: 콜택시 단말
300: 운영서버
400: 내비게이터
410: 주행미터기

Claims (3)

  1. 승객 단말에 설치된 앱이 구동되어 GPS 모듈로부터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이 승객으로부터 상기 화면에 탑승위치와 예약시간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이 승객으로부터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와 상기 탑승위치를 기준으로 승객이 이동할 방향 그리고 승객이 원하는 예약비용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이 상기 탑승위치, 상기 예약시간, 상기 이동방향, 상기 목적지, 상기 예약비용, 및 승객 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기설정된 기준과 순서에 기초하여 선정된 콜택시의 단말에 상기 수신한 예약정보와 예약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콜택시 단말에 설치된 앱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신한 예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예약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표시된 예약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예약과 해당 콜택시 단말의 전화번호가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가 수신된 예약 확인을 접수하고, 해당 예약을 신청한 승객의 단말로 상기 콜택시 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예약번호 및 콜택시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승객에 의해 상기 예약이 취소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예약된 콜택시를 콜택시 호출 서비스로 전환하여 콜택시 호출에 우선권을 부여하고, 콜택시 사정에 의해 상기 예약이 취소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예약정보를 호출정보로 전환하여 상기 탑승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의 콜택시에 상기 호출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콜택시의 단말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도 예약확인이 수신되지 않으면, 2차로 대상 콜택시를 선정하여 해당 예약을 다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3. 삭제
KR1020140003905A 2014-01-13 2014-01-13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KR101565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905A KR101565304B1 (ko) 2014-01-13 2014-01-13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905A KR101565304B1 (ko) 2014-01-13 2014-01-13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153A KR20150085153A (ko) 2015-07-23
KR101565304B1 true KR101565304B1 (ko) 2015-11-05

Family

ID=5387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905A KR101565304B1 (ko) 2014-01-13 2014-01-13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1947A (zh) * 2018-11-13 2020-02-04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对用户进行提示的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125B1 (ko) * 2017-07-12 2019-07-10 주식회사 나투스핀 반려동물 이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365783B2 (en) 2017-12-29 2019-07-30 Lyft, Inc. Optimizing transportation networks through dynamic user interfaces
KR102086122B1 (ko) 2018-04-19 2020-03-06 양한울 일정 기반 택시 예약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169148B1 (ko) 2020-03-16 2020-10-22 이성원 택시 콜 서버 시스템, 그 서버 시스템을 위한 처리방법, 그 서버 시스템 처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매체
CN112001516B (zh) * 2020-09-21 2024-05-03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254740A (zh) * 2020-10-22 2021-01-22 广东云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机动车变速箱输出轴转数的测量方法
KR102524949B1 (ko) * 2022-07-05 2023-04-25 포티투닷 주식회사 서비스 사용자용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1947A (zh) * 2018-11-13 2020-02-04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对用户进行提示的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153A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304B1 (ko)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EP2273468B1 (en) Method of calling a vehicle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US10108910B2 (en) Mobile parking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al-time parking guidance
CN103839435B (zh) 用于管理公共运输系统的方法和装置
WO2016023434A1 (zh) 在网络租车中实现接机打车服务的系统和方法
JP2018163578A (ja) アクティブ迎車システムにおける迎車制御サーバ、車載端末、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490363B1 (ko) 실시간 택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917316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차량 승차 지점 정보 제공 시스템
JP2011040012A (ja) 営業車用客情報提供システム
JP6235385B2 (ja) 移動体間情報交換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00005922A (ko) 콜택시 서비스 방법
JP201714680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248435A1 (en) Method for locating just in time mobile services
JP2005346634A (ja) 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及びタクシー配車プログラム
JP2004227262A (ja) 即応型車両乗降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52602B1 (ko)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좌석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083933A (ja) トータルイベント情報の提供による乗車効率を向上させるシステム
KR101600535B1 (ko) 택시 통합 콜 센터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5279953A (zh) 一种指定站点车辆匹配搭载的互联网方法和系统
JP2014112426A (ja) 営業車用客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6338465A (ja) 迎車予約システム、タクシーの迎車予約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2446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KR101452478B1 (ko) 콜택시의 안심 호출 서비스 방법
KR2011012973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7276191B2 (ja) サーバ、車両運行システム、車両運行方法及び車両運行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