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466A -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466A
KR20150124466A KR1020140050143A KR20140050143A KR20150124466A KR 20150124466 A KR20150124466 A KR 20150124466A KR 1020140050143 A KR1020140050143 A KR 1020140050143A KR 20140050143 A KR20140050143 A KR 20140050143A KR 20150124466 A KR20150124466 A KR 20150124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article
taxi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피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피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피온
Priority to KR1020140050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4466A/ko
Publication of KR20150124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택시에 설치되며 택시단말기의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가지며 고유 ID를 가지는 크래들과, 크래들과 인접시 상호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 간의 ID를 인식하고 크래들로부터 운행정보를 전달받고 운행승인정보 및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전달하는 기사단말기, 기사단말기로부터 택시운행정보를 수신하여 분석 저장 관리하고 승객단말기로 배차가능 택시정보를 제공하고 승객단말기로부터 배차요청정보를 수신하여 기사단말기로 전달하고 기사단말기로부터의 배차승인정보를 수신하여 승객단말기로 전달하는 운영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시운영방법이 게시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시운영방법{A CALL TEXI MANAGING SYSTEM USING SAMRTPHONE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TAXI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차량의 크래들간의 근거리통신 및 스마트폰과 센터 서버 간의 통신을 통해 택시운영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시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택시를 이용한 범죄가 나날이 증가하여 특히, 심야에 여성이나 만취한 승객이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불안할 정도로 택시범죄가 사회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승객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택시의 차량정보 및 승객의 탑승정보를 이용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택시 안심 서비스가 제공되었으나,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택시에 승차한 승객이 본인의 이동 통신단말기를 복잡한 과정을 거쳐 일일이 조작하거나 택시운전자에게 택시에 설치된 단말기의 조작을 요청해야 하기 때문에 만취한 승객이나 여성의 경우에는 종래의 택시 안심 서비스를 이용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택시의 불안감을 대체하기 위해 최근에는 콜택시의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콜택시의 운영의 경우에는, 승객이 콜센터로 전화를 걸어서 콜택시를 요청하고, 콜센터에서는 콜택시로 전화를 연결하거나 배차상황을 확인하여 택시기사에게 배차를 지령하고, 택시기사는 다시 승객에게 전화를 걸어서 탑승위치 등을 확인하여 찾아가는 시스템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택시 운영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승객은 콜센터로 전화를 걸어서 콜택시를 요청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전화 폭주시 연결이 지연되고, 지리에 익숙하지 않은 곳에서는 현 위치를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지역 방언을 사용하는 경우, 콜센터 직원 및 택시 기사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SMS 전송 지연 등으로 인하여 차량파악이 어렵고, 먼 거리의 차량을 배정받을 경우, 도착시간이 지연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콜센터의 입장에서는 바쁜 시간대에 걸려오는 많은 전화로 인하여 업무가 마비되거나, 미수신이 발생하며, 그로 인하여 승객의 민원처리가 애로사항이 발생하였다. 즉, 장시간 통화와 욕설 등으로 인한 직원의 스트레스로 인하여 업무능률이 저하되고, 서비스 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택시 기사 입장에서는, 정확하지 않은 승객 위치정보로 인하여 승객과 통화 후에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먼 거리 배차시 도착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고, 잦은 기계고장으로 인하여 콜배차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용 정산시에도 택시 미터기, 카드 결제기, 내비게이션 등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고, 이를 (W)CDMA 모뎀을 이용하여 센터서버와 통신을 통해 운행비용을 정산하고 산출관리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운영장치가 복잡하여 구축비용이 증가하고,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 인가된 택시기사가 택시를 운행하거나, 도난 차량을 운행할 경우에 일반 승객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센터에서도 차량의 도난을 확인하기 전에는 차량의 운행을 제한하기 어렵기 때문에 승객의 안전은 물론, 택시가 범죄에 이용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난된 택시로 인한 범죄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95331호(택시 운행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택시의 배차, 승객위치 탐색, 안내 및 비용정산 및 택시 운행기록 관리 등의 운영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및 택시운영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은, 택시에 설치되며, 택시단말기의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가지며, 고유 ID를 가지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과 인접시 상호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 간의 ID를 인식하고, 상기 크래들로부터 운행정보를 전달받고, 운행승인정보 및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전달하는 기사단말기; 상기 기사단말기로부터 택시운행정보를 수신하여 분석, 저장 관리하고, 승객단말기로 배차가능 택시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승객단말기로부터 배차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사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기사단말기로부터의 배차승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승객단말기로 전달하는 운영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기사단말기의 장착을 위한 단말기 장착부가 외측에 구비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사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과; 상기 택시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통신모듈과; 상기 택시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운행정보와 상기 기사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1 및 제2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택시단말기 및 기사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운행개시 승인시 상기 기사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운행 종료시 저장된 기사단말기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영센터는, 상기 승객단말기 및 기사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승객단말기로부터의 배차요청정보와 기사단말기로부터의 배차승인 및 빈차 정보 및 승차정보를 통해 택시배차를 관제하는 관제서버; 상기 승객단말기에 제공되는 승객앱 및 상기 기사단말기에 제공되는 기사앱의 실행시 상기 승객단말기와 기사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앱서버; 상기 기사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운행정보, 요금정보 및 카드승인요청정보를 처리하여 택시운행요금을 정산하는 정산서버; 상기 관제서버 상기 앱서버 및 상기 정산서버에서 처리 및 가공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기사단말기는 상기 기사앱의 활성화상태에서 상기 크래들과 근거리 접근시 상기 크래들의 ID를 수신하고, 수신된 크래들 ID와 상기 기사단말기의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앱서버로 택시운행 개시요청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앱서버로부터 택시운행 개시승인 정보 수신시, 상기 기사단말기의 ID와 개시승인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크래들로 전송하며, 상기 크래들은 상기 기사단말기의 ID와 상기 개시승인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기사단말기는 상기 기사앱을 통해 운행종료 요청정보 입력시, 상기 기사단말기의 ID 및 상기 크래들의 ID를 매칭하여 운행종료 요청정보를 상기 앱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크래들은 상기 기사단말기를 통해 운행종료 승인정보 수신시, 저장하고 있는 상기 기사단말기의 ID를 삭제하고, 기사단말기 ID 삭제완료정보를 상기 기사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기사단말기는 택시운행종료 완료정보를 상기 앱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앱서버는, 상기 기사앱의 실행시 택시 운영을 관리하는 차량관리메뉴와, 소득관리메뉴와, 비용관리메뉴 및 승인관리메뉴를 상기 기사단말기를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방법은, 택시마다 설치되며 고유 ID를 가지는 크래들과 기사단말기 사이의 인식과정을 근거로 원격의 운영센터로부터 택시운행 개시승인을 받는 운행 개시단계; 상기 운영센터의 앱서버를 통해 승객단말기와 상기 기사단말기 각각으로 배차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승객단말기를 통한 배차요청 및 상기 기사단말기를 통한 배차수락과정이 상기 앱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택시 운행단계; 상기 기사단말기와 상기 크래들의 인식과정을 통해 상기 운영센터로부터 택시운행 종료를 승인받는 운행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행 개시단계는,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을 활성화하여 운행개시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사단말기에서 상기 크래들의 ID를 획득하고, 상기 크래들 ID와 상기 기사단말기의 ID를 매칭하여 운행개시 승인요청 정보를 상기 운영센터의 앱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앱서버에서 전달된 운행개시 승인요청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운행개시승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행개시승인 정보를 상기 기사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사단말기에서 운행개시승인정보와 상기 기사단말기의 ID를 매칭하여 상기 크래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크래들에서 운행개시 확인정보를 상기 기사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행 종료단계는, 상기 크래들과의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을 통해 운행종료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운행종료 요청정보를 상기 크래들과 상기 기사단말기의 ID와 매칭하여 상기 운영센터의 앱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앱서버에서 상기 기사단말기로 운행종료 승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사단말기에서 운행종료 승인정보와 상기 기사단말기의 ID를 매칭하여 상기 크래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크래들에서 운행종료 승인정보 및 기사단말기 ID를 수신하면, 상기 크래들에 저장된 상기 기사단말기의 ID를 삭제하고, 상기 기사단말기로 ID 삭제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사단말기에서 상기 앱서버로 택시운행종료 정상완료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앱서버에서는 택시운행종료 완료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택시 운행단계는, 상기 승객단말기의 승객앱과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을 상기 앱서버를 통해 연동하여 배차요청 및 배차수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차 단계; 배차된 택시에 승객을 탑승시켜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동안 택시단말기의 조작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에 승차정보를 표출하고, 상기 앱서버에 택시영업상태를 전송하는 단계; 승객 탑승상태로 목적지 도착 후 택시단말기와 접속된 상기 크래들로부터 전달받은 빈차 정보를 상기 기사단말기 기사앱에 표출시키고, 상기 앱서버로 택시 빈차 정보를 전송하여 배차가능 택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택시 운행단계는, 상기 빈차 정보를 상기 앱서버로 전송 후, 상기 크래들로부터 전달받은 카드정보를 상기 운영센터의 정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산서버에서 상기 기사단말기로 전달되는 카드승인정보를 상기 크래들을 통해 상기 택시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택시 운행시 발생하는 운행정보와 요금정보 및 상기 기사앱을 통해 입력되는 비용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을 통해 차량관리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집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을 통해 비용관리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을 통해 소득관리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에 따르면, 승객이 승객단말기를 이용하여 콜센터와의 전화연결 없이 승객앱을 이용하여 배차가능 택시를 검색하여 직접 배차를 요청하고, 기사는 콜센터의 요청 없이 기사앱에 나타난 배차요청정보를 수락하여 배차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근거리의 배차를 확인하여 배차를 요청할 수 있으며, 배차수락시 택시정보를 즉시 확인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운영센터에서는 종래에 콜센터를 운영할 때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크래들과 기사단말기 간의 인증을 통해 택시운행이 허용되도록 함으로써 불법영업 및 비인가된 택시(도난차량)의 운행을 방지하고, 비 인가된 기사의 배차를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범죄예방을 할 수 있으며, 승객에게는 배차시 택시정보와 기사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안심 택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사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하므로 통신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객이 직접 배차를 요청하므로 콜센터를 통한 크레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모뎀, 내비게이션 등의 장비를 갖출 필요가 없으므로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기사앱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관리, 비용관리 및 소득관리를 보다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래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을 이용한 택시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기사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택시운영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차량관리 서비스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이 도면이다.
도 7은 택시운영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소득관리 서비스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이 도면이다.
도 8은 택시운영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비용관리 서비스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이 도면이다.
도 9는 기사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사앱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차량관리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소득관리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비용관리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승인관리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택시운행 개시승인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택시운행 종료승인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은, 스마트폰을 거치하도록 영업용 차량에 설치되는 크래들(100)과, 기사단말기(200), 운영 센터(300) 및 승객 단말기(400)를 구비한다.
상기 크래들(100)은 영업용 차량 즉, 택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크래들(100)에는 기사단말기(200) 즉, 택시기사의 스마트폰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크래들(100)은 기사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기사단말기(200)와 NFC 통신을 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크래들(100)은 부여받은 고유 ID를 가지며, 택시에 설치되는 택시 단말기 즉, 택시미터기(10)와, 카드결제기(20)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택시미터기(10)로부터는 택시 운행정보가 크래들(100)로 전달되고, 카드결제기(20)로부터는 승객의 택시 이용요금의 카드 결제정보가 수신된다. 그리고 크래들(100)은 기사단말기(200)를 통해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카드결제기(20)로 전송하여 카드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크래들(100)은 기사단말기(200)의 장착을 위한 단말기 장착부(111)가 외측에 구비된 장치 본체(110)와, 장치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사단말기(200)와의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120)과, 택시미터기(10)와 카드결제기(2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통신모듈(130)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40)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50)와, 전원공급부(160) 및 제어부(17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장치 본체(110)는 택시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별도의 결합부(흡착판 구조 등)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의 구성은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상기 제1통신모듈(120)은 기사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 가능한 NFC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통신모듈(130)은 택시미터기(10)와 카드결제기(20)와의 유선(시리얼통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에는 크래들(100)의 고유정보와, 택시미터기(10)로부터 전달된 택시 운행정보(운행시간, 운행거리, 빈차 정보, 운행요금 등)와, 상호 근거리 통신 가능하도록 상호 인증된 기사단말기(200)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크래들의 고유정보 즉, ID는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도 있고, 고유 ID를 가지는 별도의 RFID(180)를 크래들(100) 내부에 내장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출력부(150)는 오디오신호 출력부(151)와, 비디오신호 출력부(153)를 구비한다 오디오신호 출력부(151)를 통해서는, 에러 발생시 알람신호가 발생될 수 있고, 정상동작시 미리 설정된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비디오신호 출력부(153)는 장치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LED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LED를 통해서는 크래들(100)의 상태(정상, 에러, 통신 온/오프 상태 등)◎각각 점등신호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도 상태표시를 문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60)는 차량의 시거젝 등에 연결되거나, 또는 별도의 단말기(내비게이션 등)에 연결되어 전원을 외부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에 충전배터리가 별도로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크레들(100)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수신된 데이터와 송신할 데이터를 처리 및 관리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크래들(100)에 기사단말기(200)가 장착되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할 경우, 기사단말기(200)와 서로 고유 ID를 인식하여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고, 크래들(100)에서 생성 및 획득되는 정보(택시 운행개시 운행종료 등의 운행정보와, 카드 결제승인 요청정보 등)를 기사단말기(200)로 전송하고, 기사단말기(200)에서 수신되는 카드 승인정보를 카드결제기(20)로 전달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택시 영업시간 중에 크래들(100)에서 기사단말기(200)가 일정 시간 이상 이탈시 크래들(100)의 출력부(150)를 통해 알람신호가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물론 기사단말기(20)에서도 알람신호가 발생하도록 기사단말기(200)의 운전자 앱(이하 '기사앱'이라 함)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기사단말기(200)는 상기 '기사앱'이 미리 설치되어 실행되며, 크래들(100)에 장착시 크래들(100)과의 근거로 통신을 통해 서로를 인증하면, 상기 '기사앱'이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운전자에 의해 '기사앱'이 실행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택시를 운행하는 동안에는 '기사앱'은 실행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크래들(100)과의 상호 통신은 물론, 운영센터(300)로부터 수신된 배차지령(승객정보, 배차요청정보 등), 카드승인정보 등을 관리 및 처리한다. 또한, '기사앱'의 구동에 의해 기사단말기(200)는 운영센터(300)로 배차수락정보, 승객 승차정보, 빈차 정보, 카드정보, 주행정보, 택시정보, 운행정보 등을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기사단말기(200)는 택시미터기(10)의 주행버튼신호 또는 빈차버튼신호를 수신하여, 택시에 설치된 빈차 표시등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기사앱'을 통해 승차정보 또는 빈차 정보가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사단말기(200)는, 무선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출력부(240), 메모리(250), 인터페이스부(260), 제어부(270) 및 전원공급부(28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210)는 안테나(201)를 통해 기지국과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DMB와 같은 방송수신 기능, 블루투스 기능, 및 무선 인터넷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210)는 구체적으로 방송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3), 무선 인터넷 모듈(215), 근거리 통신 모듈(217), 및 GPS 모듈(219)을 구비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3)은, 이동 통신만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신호는 음성 통화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 모듈(2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레들(100)과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가 이용되는 것이 좋다.
GPS 모듈(219)은 복수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해 마이크(223)가 이용되고,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해 카메라(221)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4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출력부(240)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43), 및 디스플레이부(241)로 구성된다. 스피커(243)는 벨소리를 재생하거나, 음성을 재생하거나, 또는 오디오 파일에 대한 재생음을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241)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메모리(250)는 제어부(270)의 프로그램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구동중에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60)에는 단말기 사용자(운전기사)의 정보와, '기사앱'을 구동시 생성되는 정보 및 크래들(100)과 송수신한 정보, 운영센터(400)와 송수신한 정보 및 승객 단말기(300)와 송수신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60)는 기사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70)는 무선통신부(210), A/V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출력부(240), 메모리(250), 인터페이스부(26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음성통화, 데이터 통신, 및 카메라에서 촬상된 화상을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기사앱'을 구동하며, 구동된 기사앱이 요구하는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사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기사앱의 구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정보(터치신호)를 입력시, 기사앱이 구동되며, 기사앱의 구동시 제공되는 각종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앱이 요구하는 작업을 처리한다.
제어부(270)에 의해 구동되는 기사앱은 아래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 아래 -
1) 사용자 단말기(200)를 크래들(100)에 장착시, 근거리 통신을 통해 크래들(100)의 ID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의 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상호 인식을 할 수 있다.
2) 터치스크린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로그아웃 메뉴, 클릭/음성접수 메뉴, 호출접수 메뉴, 음성입력 메뉴, 운행정보 메뉴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클릭/음성접수 메뉴는 터치 동작 또는 음성입력을 통해 기사앱의 제공메뉴를 선택하여 실행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메뉴고, 상기 호출접수 메뉴는, 운영센터(300)로부터 전달되는 배차 호출 즉, 배차요구를 하는 승객정보에 대한 내용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차 호출에 대해 수락할지 거부할지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3) 한편, 상기 운행정보 메뉴의 선택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관리 메뉴, 소득관리 메뉴, 비용관리 메뉴 및 승인관리 메뉴가 제공된다.
상기 차량관리메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정보를 수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미션오일, 브레이크, 배터리교체 등의 내용을 수정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이때 부품 등의 교체날짜와 비용 등을 함께 입력하면, 차량관리의 기준정보(차량 회사가 제시한 교체주기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음)를 기준으로 교체주기정보를 알람 또는 팝업 창 등을 통해 정보제공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관리 정보수정 메뉴를 더 제공하여, 기사의 운전습관 및 차량의 상태를 판단하여 교체주기를 수정할 수도 있다.
상기 승인관리메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관리 메뉴를 통해 제공되는 교체알람 팝업창을 통해 제공되어 선택할 수 있으며, 부품 교체시 승인관리 메뉴를 선택하여 정보를 수정하고, 비용 등을 입력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승인관리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차량관리의 교체주기를 철저하게 관리하고 업데이트하여 정확하게 관리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득관리메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시미터기(1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통해 관리되고, 관리되는 소득 내역을 제공되는 메뉴선택시 제공하여 준다. 소득 내역은, 미터기의 운행실적에 따라서 표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날짜별, 시간별, 영업거리, 및 소득을 함께 표출하여 줄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GPS 위치정보 등 상세경로도 제공하여 표출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소득을 일별, 주간별, 월별, 년별로 조회할 수 있고, 사용자가 기간을 설정하여 조회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공된 소득별로 영업정보(운행날짜, 시간 거리, 출발지 및 목적지 등)를 연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비용관리메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시 운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비용을 관리하여 소득대비 실질적 가처분소득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차량관리 메뉴, 승인관리메뉴 및 소득관리메뉴를 통해 획득된 정보(소득 및 비용)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가처분소득을 확인할 수 있게 제공하며, 그 가처분소득을 기간별로, 날짜별로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게 제공한다.
상기 운영센터(300)는, 통신모듈(310)과, 배차서버(320)와, 정산서버(330)와, 데이터베이스(340) 및 앱서버(350)를 구비한다.
통신모듈(310)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기사단말기(200)와 승객단말기(400)간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배차서버(320)는 승객단말기(400)로 배차정보를 제공하고, 기사단말기(200)로는 승객의 배차요구정보를 제공하여 배차가 콜센터 직원의 연계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승객단말기(400)의 '승객앱'을 통해 차량정보를 제공하여 승객이 차량배차를 요청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기사단말기(200)의 '기사앱'을 통해서는 배차요청된 정보를 제공하여 기사가 배차요청을 승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관제서버이다. 이하 상기 배차서버를 관제서버(320)라 칭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관제서버(320)는 승객 단말기(400)의 '승객앱'의 실행을 통해 획득되는 승객의 위치, 배차요청 및 승객정보를 확보하며, 기사단말기(200)의 '기사앱'의 실행을 통해 획득되는 차량위치, 빈차정보를 이용하여 승객 단말기(400)와 기사 단말기(200) 간에 상호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배차요구에 대응하여 배차가 이루어지도록 관제한다. 즉, 관제서버(320)는 승객 단말기(400)로 차량위치정보, 차량정보, 배차확인정보를 전송하고, 기사단말기(200)로는 승객위치정보, 배차요청정보 및 승객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관제서버(320)는 승객 단말기(400)로 차량위치정보, 차량정보 및 배차확인정보를 전송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이, 관제서버(320)는 승객단말기(400)와 기사단말기(200) 간의 배차관련 정보들을 송수신하여 승객의 배차요청에 맞춰 차량의 배차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관제할 수 있게 되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콜센터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즉, 상담인원을 제외한 별도의 콜센터 배차인원이 불필요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통화지연 등에 의한 불편 없이, 승객은 승객단말기(400)의 '승객앱'을 통해 제공되는 배차관련 정보를 통해 배차를 요청하고, 기사는 기사단말기(200)의 '기사앱'을 통해 제공되는 배차요구정보를 통해 배차를 승낙하여 원활한 배차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산서버(330)는 기사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카드결제 요청정보와 전송되는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관리하고, 또한 기사단말기(200)에서 전송되는 택시 운행정보(택시 영업거리, 운행거리, 요금정보 등)를 통해 기사의 수입과, 기사의 수입 외 비용(법인회사의 경우 법인수익 및 카드수수료 등)을 정산하고, 정산된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따라서 기사단말기(200)의 '기사앱'을 통해서 정산서버(330)에서 관리되는 정산비용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게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40)는 승객정보와, 배차정보, 차량정보, 배차이력정보, 비용관련 정보 등, 승객단말기(400)와 기사단말기(200) 각각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사단말기(200)의 '기사앱'을 통해 제공되는 차량관리메뉴, 소득관리메뉴, 비용관리메뉴 및 승인관리메뉴를 통해 처리되고 관리되는 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340)에 기사별ID(기사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관리된다.
상기 앱서버(350)는 네트워크 통신망 내지 무선통신망을 통해 기사단말기(200)와 승객단말기(400)에서 '기사앱'과 '승객앱'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며, 기사앱과 승객앱을 통해 기사 및 승객의 정보는 물론, 앞서 설명한 배차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관제서버(320) 및 정산서버(330)에 제공한다.
상기 승객단말기(400)는 앞서 설명한 기사단말기(200)의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기사단말기(200)와는 달리 터치 가능한 인터페이스 창을 통해 '승객앱'을 제공하며, 제공된 '승객앱'의 실행을 통해 택시를 검색하고, 배차를 요청하고, 배차승인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따라서, 승객은 승객단말기(400)의 '승객앱'을 활용하여 주변의 배차 가능한 택시정보(택시종류, 차량번호, 도착장소, 도착시간) 등을 검색하고, 검색된 택시 중에서 배차를 요청하고자 하는 택시를 선택하여 차량배차를 요청할 수 있으며, 차량배차요청 정보는 상기 관제서버(320)로 전송된 뒤, 기사단말기(200)로 전달된다.
차량배차요청시, '승객앱'을 통해 승객 정보(위치정보, 목적지 정보 등)가 함께 매칭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승객정보는 '승객앱'을 승객단말기(400)에 설치하고, 회원가입하여 로그인하는 과정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비회원으로 이용시에는 배차요청시 승객정보의 입력창을 제공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택시에는 기사의 조작에 의해 조작 가능한 비상버튼(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비상버튼(30)을 조작시 발생되는 비상신호는 크래들(100)을 통해 기사단말기(200)로 전달되고, 기사단말기(200)에서는 비상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320)와 유관기관(관할경찰서, 순찰차량, 유관부서)으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긴급 출동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320)에서는 배차를 요청하여 택시를 이용한 승객정보에 매칭되어 저장관리되는 보호자의 연락처로 승객의 택시 이용상황(배차요청, 탑승, 하차 등의 정보)을 SMS 문제 등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승객의 안심귀가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택시운영시스템을 이용한 택시 운영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택시 기사는 택시를 운행하기 전에 크래들(100)에 기사단말기(200)를 장착하여 운행개시를 하게 된다. 이때, 크래들(100)과 기사단말기(200)가 근접되면 상호 간의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호 ID를 교환하여 확인하며, 기사단말기(200)에서는 기사앱이 실행된다. 기사단말기(200)는 크래들(100)의 ID와 단말기번호를 매칭하여 운영센터(300)로 운행개시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운영센터(300)에서는 크래들 ID와 단말기번호를 확인하고, 택시 운행허가신호를 전송한다.
운행이 허가되면, 기사는 택시미터기(10)의 빈차버튼을 클릭하여 빈차 등이 점등되도록 하고, 빈차 정보는 기사단말기(200)로 전달된다. 그리고 기사단말기(200)에서는 빈차정보를 운영센터(300)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빈차 정보에는 택시위치, 차량정보, 기사정보, 단말기번호 등의 정보과 함께 매칭되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승객은 승객단말기(400)를 조작하여 승객앱을 실행하여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한다. 운영센터(300)의 관제서버(320)는 앱서버(350)를 통해 배차 가능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승객이 승객앱을 통해 배차 가능한 차량을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승객이 승객단말기(400)를 통해 배차가능한 택시를 선택하여 배차요청(택시콜 요청)을 신청하면, 배차요청정보는 앱서버(350)로 전달된다. 그러면, 앱서버(350)에서는 기사 단말기(400)로 배차를 요청한 승객정보를 제공하고, 기사는 기사단말기(400)로 수신된 배차요청을 수락한다. 배차수락정보는 앱서버(350)로 전달되고, 앱서버(350)에서는 배차요청한 승객단말기(400)로 배차승인정보와 택시정보를 전송한다.
배차를 수락한 택시기사는 전달받은 승객위치 및 위치정보를 근거로 승객위치로 용이하게 즉시 찾아갈 수 있다. 택시가 승객위치로 이동하여 승객이 탑승하면, 기사가 택시미터기(10)의 주행버튼을 클릭하여 빈차 등을 오프시킨다. 미터기 주행 신호는 크래들(100)을 통해 기사 단말기(200)로 전달되고, 기사단말기(200)의 기사앱에는 승자정보로 표출된다. 그리고 기사앱의 승차정보는 앱서버(350)로 전달됨으로써 배차가능택시에서 제외되도록 한다.
승객을 태우고 운행하는 동안 택시미터기(10)로부터 운행정보가 크래들(100)을 통해 기사단말기(200)로 수집되고, 주행정보는 기사단말기(200)를 통해 앱서버(350)로 전달된다.
그리고 목적지 도착시 택시미터기(10)의 빈차버튼을 클릭하면, 빈차 등이 점등되고 빈차 정보는 기사단말기(200)를 통해 앱서버(350)로 전달되어 저장되고, 기사앱에도 빈차 정보로 표출되어 다시 배차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택시미터기(10)로부터 크래들(100)을 통해 요금정보와 택시 운행정보가 기사단말기(200)로 전달되어 앱서버(350)로 전송된다. 또한, 승객이 카드단말기(20)를 이용하여 요금을 지불할 경우, 카드정보가 크래들(100)을 통해 기사단말기(200)로 전달되고, 기사단말기(200)는 카드정보를 정산서버(330)로 전달한다. 정산서버(330)에서는 카드승인정보를 생성하여 기사단말기(200)로 전달하면, 기사단말기(200)에서 수신된 카드 승인정보는 역으로 크래들(100)을 통해 카드단말기(20)로 전달되어 카드 승인이 되어 결제완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택시 영업시간을 통해 획득된 운행정보와 요금정산정보 및 차량수리, 연료주입 등의 비용정보는 기사단말기(200)의 기사앱을 통해 입력되어 운영센터(300)로 전달된다. 그러면, 앞서 도 6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집된 정보들을 가공하여 기사앱을 통해 기사에게 차량관리 서비스, 소득관리 서비스 및 비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택시운행을 개시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면, 먼저 택시 시동을 켠 상태에서 운행 전 크래들(100)에 기사단말기(200)를 거치한다. 기사단말기(200)의 기사앱은 미리 활성화될 수 있고, 크래들(100)을 인식시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기사가 활성화된 기사앱에서 제공하는 '운행개시' 메뉴를 클릭하거나 음성입력을 하면, 크래들(100)로부터는 기사단말기(200)로 전달되는 크래들 ID를 수신한다. 그리고 기사앱을 통해서는 크래들 및 기사단말기 ID를 운영센터(300)로 전송하여 운행개시 승인을 요청한다. 운영센터(300)에서는 전달된 운행개시 승인요청정보를 데이터서버에 저장된 정보와 분석 비교하고, 분석결과 이상이 없을 경우 운행개시 승인요청정보를 저장하고, 운행개시 승인정보를 기사단말기(200)로 송신한다. 그러면, 기사단말기(200)는 승인정보와 기사단말기(200)의 ID를 매칭하여 크래들(100)로 전달하여 크래들(100)에 저장되도록 하고, 크래들(100)은 운행개시승인 확인정보를 기사단말기(200)로 전달하여 운행이 개시되도록 한다.
또한, 택시운행 종료를 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면, 크래들(100)에서 기사단말기(200)를 상호 통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기사단말기(200)의 기사앱에서 '운행종료' 메뉴를 선택하거나 음성 입력한다. 그러면, 기사단말기(200)는 크래들과 기사단말기(200)의 ID를 매칭하여 운영센터(300)로 운행종료 승인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운영센터(300)에서는 운행종료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다시 기사단말기(200)로 운행종료 승인정보를 송신하면, 기사단말기(200)는 운행종료 승인정보를 크래들(100)로 전달한다. 크래들(100)에서는 운행종료 승인정보가 수신되면, 기사단말기(200)의 ID 정보를 삭제하고, 기사단말기(200)로 단말기 ID 삭제 완료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기사단말기(200)에서는 운영센터(300)로 택시운행 종료 정상완료정보를 송신한다. 운영센터(300)에서는 정상완료정보를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한다.
한편, 승객을 기다리거나 급한 용무로 택시에서 시동을 끌 경우, 크래들(100)은 전원이 오프되나, 기사단말기(200)의 기사앱의 '운행종료' 조작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운행상태로 인지하여 운영센터(300)로 해당정보가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택시에서 기사가 잠시 이탈시에도 기사앱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배차정보를 계속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택시미터기(10)와 카드단말기(20)를 별도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택시미터기(10)와 카드단말기(20)가 일체화된 택시단말기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택시단말기와 상기 크래들(100)에 일체화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에 의하면, 단말기를 탑재하기 위한 크래들(100)과 기사단말기(200)간의 근거로 통신을 통해 상호 정보를 송수신하고, 기사단말기(200)의 기사앱, 승객단말기(400)의 승객앱을 앱서버(350)를 통해 연계하여 줌으로써 택시의 배차요청 및 배차승인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콜센터의 전화를 통해 이루어지던 택시 배차의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10..택시 미터기 20..카드단말기
30..비상버튼 100..크래들
200..기사단말기 300..운영센터
310..통신모듈 320..관제서버
330..정산서버 340..데이터베이스
350..앱서버

Claims (12)

  1. 택시에 설치되며, 택시단말기의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가지며, 고유 ID를 가지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과 인접시 상호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 간의 ID를 인식하고, 상기 크래들로부터 운행정보를 전달받고, 운행승인정보 및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전달하는 기사단말기;
    상기 기사단말기로부터 택시운행정보를 수신하여 분석, 저장 관리하고, 승객단말기로 배차가능 택시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승객단말기로부터 배차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사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기사단말기로부터의 배차승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승객단말기로 전달하는 운영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기사단말기의 장착을 위한 단말기 장착부가 외측에 구비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사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과;
    상기 택시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통신모듈과;
    상기 택시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운행정보와 상기 기사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1 및 제2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택시단말기 및 기사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운행개시 승인시 상기 기사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운행 종료시 저장된 기사단말기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센터는,
    상기 승객단말기 및 기사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승객단말기로부터의 배차요청정보와 기사단말기로부터의 배차승인 및 빈차 정보 및 승차정보를 통해 택시배차를 관제하는 관제서버;
    상기 승객단말기에 제공되는 승객앱 및 상기 기사단말기에 제공되는 기사앱의 실행시 상기 승객단말기와 기사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앱서버;
    상기 기사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운행정보, 요금정보 및 카드승인요청정보를 처리하여 택시운행요금을 정산하는 정산서버;
    상기 관제서버 상기 앱서버 및 상기 정산서버에서 처리 및 가공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사단말기는 상기 기사앱의 활성화상태에서 상기 크래들과 근거리 접근시 상기 크래들의 ID를 수신하고, 수신된 크래들 ID와 상기 기사단말기의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앱서버로 택시운행 개시요청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앱서버로부터 택시운행 개시승인 정보 수신시, 상기 기사단말기의 ID와 개시승인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크래들로 전송하며,
    상기 크래들은 상기 기사단말기의 ID와 상기 개시승인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사단말기는 상기 기사앱을 통해 운행종료 요청정보 입력시, 상기 기사단말기의 ID 및 상기 크래들의 ID를 매칭하여 운행종료 요청정보를 상기 앱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크래들은 상기 기사단말기를 통해 운행종료 승인정보 수신시, 저장하고 있는 상기 기사단말기의 ID를 삭제하고, 기사단말기 ID 삭제완료정보를 상기 기사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기사단말기는 택시운행종료 완료정보를 상기 앱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앱서버는,
    상기 기사앱의 실행시 택시 운영을 관리하는 차량관리메뉴와, 소득관리메뉴와, 비용관리메뉴 및 승인관리메뉴를 상기 기사단말기를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7. 택시마다 설치되며 고유 ID를 가지는 크래들과 기사단말기 사이의 인식과정을 근거로 원격의 운영센터로부터 택시운행 개시승인을 받는 운행 개시단계;
    상기 운영센터의 앱서버를 통해 승객단말기와 상기 기사단말기 각각으로 배차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승객단말기를 통한 배차요청 및 상기 기사단말기를 통한 배차수락과정이 상기 앱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택시 운행단계;
    상기 기사단말기와 상기 크래들의 인식과정을 통해 상기 운영센터로부터 택시운행 종료를 승인받는 운행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개시단계는,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을 활성화하여 운행개시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사단말기에서 상기 크래들의 ID를 획득하고, 상기 크래들 ID와 상기 기사단말기의 ID를 매칭하여 운행개시 승인요청 정보를 상기 운영센터의 앱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앱서버에서 전달된 운행개시 승인요청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운행개시승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행개시승인 정보를 상기 기사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사단말기에서 운행개시승인정보와 상기 기사단말기의 ID를 매칭하여 상기 크래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크래들에서 운행개시 확인정보를 상기 기사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종료단계는,
    상기 크래들과의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을 통해 운행종료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운행종료 요청정보를 상기 크래들과 상기 기사단말기의 ID와 매칭하여 상기 운영센터의 앱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앱서버에서 상기 기사단말기로 운행종료 승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사단말기에서 운행종료 승인정보와 상기 기사단말기의 ID를 매칭하여 상기 크래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크래들에서 운행종료 승인정보 및 기사단말기 ID를 수신하면, 상기 크래들에 저장된 상기 기사단말기의 ID를 삭제하고, 상기 기사단말기로 ID 삭제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사단말기에서 상기 앱서버로 택시운행종료 정상완료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앱서버에서는 택시운행종료 완료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택시 운행단계는,
    상기 승객단말기의 승객앱과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을 상기 앱서버를 통해 연동하여 배차요청 및 배차수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차 단계;
    배차된 택시에 승객을 탑승시켜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동안 택시단말기의 조작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에 승차정보를 표출하고, 상기 앱서버에 택시영업상태를 전송하는 단계;
    승객 탑승상태로 목적지 도착 후 택시단말기와 접속된 상기 크래들로부터 전달받은 빈차정보를 상기 기사단말기 기사앱에 표출시키고, 상기 앱서버로 택시 빈차정보를 전송하여 배차가능 택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택시 운행단계는,
    상기 빈차정보를 상기 앱서버로 전송 후, 상기 크래들로부터 전달받은 카드정보를 상기 운영센터의 정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산서버에서 상기 기사단말기로 전달되는 카드승인정보를 상기 크래들을 통해 상기 택시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택시 운행시 발생하는 운행정보와 요금정보 및 상기 기사앱을 통해 입력되는 비용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을 통해 차량관리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집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을 통해 비용관리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사단말기의 기사앱을 통해 소득관리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KR1020140050143A 2014-04-25 2014-04-25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KR20150124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43A KR20150124466A (ko) 2014-04-25 2014-04-25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43A KR20150124466A (ko) 2014-04-25 2014-04-25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466A true KR20150124466A (ko) 2015-11-06

Family

ID=5460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143A KR20150124466A (ko) 2014-04-25 2014-04-25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446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873B1 (ko) * 2016-06-15 2016-09-08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스마트폰/택시미터기 연동을 통한 차량 상태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택시 차량 운행 시스템
KR20180063783A (ko) * 2016-12-02 2018-06-12 이태성 택시 합승 시스템
KR20190135171A (ko) * 2018-05-28 2019-12-06 (주)디더블유아이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96491A (ko)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 케이에스티모빌리티 승객 운송 서비스와 연계된 운전자 단말 및 통합 관리 서버와 그를 이용한 운행 정보 제공 및 관리 방법
KR20210096492A (ko)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 케이에스티모빌리티 승객 운송 서비스와 연계된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873B1 (ko) * 2016-06-15 2016-09-08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스마트폰/택시미터기 연동을 통한 차량 상태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택시 차량 운행 시스템
KR20180063783A (ko) * 2016-12-02 2018-06-12 이태성 택시 합승 시스템
KR20190135171A (ko) * 2018-05-28 2019-12-06 (주)디더블유아이 이송 환자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96491A (ko)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 케이에스티모빌리티 승객 운송 서비스와 연계된 운전자 단말 및 통합 관리 서버와 그를 이용한 운행 정보 제공 및 관리 방법
KR20210096492A (ko)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 케이에스티모빌리티 승객 운송 서비스와 연계된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30136A1 (en) Data exchange platform for managing vehicles used for personal transportation
US20210282068A1 (en) Wireless beacon devices for use in managing transportation service terminals
CN101383089B (zh) 一种车辆匹配调度系统和方法
JP2011227550A (ja) 停留所装置、車載装置、運行管理装置、及び運行管理システム
JP5928588B2 (ja) オンデマンド車両運行管理装置、オンデマンド車両運行管理方法及びオンデマンド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CN102404297A (zh) 一种出租车用呼叫系统
US201200416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Transportation Service
CN103150698A (zh) 出租车自动派遣系统
KR2015012446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택시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시운영방법
KR101565304B1 (ko)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WO2017133692A1 (zh) 一种智能停车通信系统及预约停车方法(无网络)
JP2021534470A (ja) タクシー・ハイヤーを予約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3987606A (zh) 通过使用移动终端管理车辆的系统和方法
CN104361488A (zh) 一种基于微信的公交选乘支付方法及系统
JP2003050914A (ja) 保険契約システムおよび保険契約の制御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携帯型端末装置
KR20180136760A (ko) 복수의 배차 요청이 가능한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
KR20160107997A (ko) 스마트 택시 서비스 지원 시스템
KR101266526B1 (ko) 애플리케이션 기반 버스 운행정보 제공 방법
JP2006338465A (ja) 迎車予約システム、タクシーの迎車予約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00535B1 (ko) 택시 통합 콜 센터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40049728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제공방법
EP3254253A1 (en) Assistance on the go
CN203300037U (zh) 无线叫车系统
WO2023044721A1 (en) Infrastructure-based collaborative automated parking and location management
JP3529357B2 (ja) 最適車両配車方法および最適車両配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