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295A -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295A
KR20160058295A KR1020140158745A KR20140158745A KR20160058295A KR 20160058295 A KR20160058295 A KR 20160058295A KR 1020140158745 A KR1020140158745 A KR 1020140158745A KR 20140158745 A KR20140158745 A KR 20140158745A KR 20160058295 A KR20160058295 A KR 20160058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information
public transportation
terminal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기
권영민
김태훈
황준우
Original Assignee
이명의
황준우
김태훈
정문기
권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의, 황준우, 김태훈, 정문기, 권영민 filed Critical 이명의
Priority to KR102014015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8295A/ko
Publication of KR20160058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용방법은 정류장에 근접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는 선택단계, 선택된 대중교통수단의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승객정보로서 전송하는 전송단계 및 선택된 대중교통수단의 단말기에서 상기 승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Operation Apparatus of Public Transportation, Operation Method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은 일정한 운행 경로를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정류장에 일정한 배차 간격으로 정차함으로써 임의의 정류장에 있는 승객을 태워 다른 임의의 정류장까지 운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중교통수단, 예컨대 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해당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에 가서 기다렸다가 버스가 도착하면 승차하게 된다.
종래의 대중교통 운용방법에서는 대중교통수단의 기사가 승차대기 중인 승객을 시각적으로 확인해야 하고, 승차대기 중인 승객들로 대중교통수단의 도착을 시각적으로 확인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기사가 승차대기 중인 승객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승차대기 중인 승객이 대중교통수단의 도착을 인지하지 못함으로서, 승차대기 중인 승객이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고령자 등의 노약자나 장애인의 경우에는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반응이 일반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린 장애인의 경우, 대중교통수단의 기사가 해당 장애인의 탑승 의사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중교통수단의 정류장에서 승차대기 승객들이 효율적으로 버스를 탑승 할 수 있도록 통신 기술과 임베디드 기술을 융합한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용방법은 정류장에 근접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는 선택단계, 선택된 대중교통수단의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승객정보로서 전송하는 전송단계 및 선택된 대중교통수단의 단말기에서 상기 승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중교통수단은 버스(Bu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단계는 승객의 상기 정류장으로의 근접을 확인하는(Identify) 단계, 상기 정류장에 근접한 승객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중교통 어플(Application)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대중교통 어플을 통해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객정보는 장애인 정보, 노약자 정보, 성별 정보, 일반인 정보, 소아/유아 정보 또는 청소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단계에서는 선택된 대중교통수단의 단말기에서 상기 승객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단계에서는 이전 정류장과 이번 정류장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승객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정차 시에 상기 승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용장치는 정류장에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정보를 승객 정보로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승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승객 정보를 기사가 확인가능하도록 출력하는 대중교통수단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정류장으로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부, 승객의 입력에 따라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는 제어부 및 선택한 대중교통수단의 단말기로 승객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감지부는 상기 정류장의 위치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정류장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정류장에 근접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중교통수단의 기사에게 정류장에게 승차대기 중인 승객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기사로 하여금 승차대기 중인 승객의 정보를 미리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보다 효과적으로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용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대중교통 운용장치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대중교통 운용장치에 적용되는 대중교통수단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4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용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용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대중교통 운용장치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대중교통 운용장치에 적용되는 대중교통수단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대중교통수단은 버스, 노면전차, 지하철, 택시, 페리 등 다양한 수단을 의미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버스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중교통수단을 버스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살펴보면, 대중교통 운용장치(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대중교통수단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승객(11)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정류장에 미리 설정된 임계반경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에 사용자, 즉 승객(11)의 정보를 승객 정보로서 전송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승객 단말기라고 칭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대중교통수단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위해 LTE 또는 W-CDMA 통신 모듈을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대중교통수단 단말기(200)는 버스 등의 대중교통수단(12)을 운전하는 기사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승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승객 정보를 기사가 확인가능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대중교통수단 단말기(200)는 버스 등의 대중교통수단(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기사가 휴대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중교통수단 단말기(200)는 기사 단말기라고 칭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즉 승객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근접 감지부(120), 출력부(140), 사용자입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전원공급부(18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승객 단말기(10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10)는 승객 단말기(100)와 기사 단말기(200),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무선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11)은 선택한 대중교통수단의 단말기, 즉 기사 단말기(200)로 승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모듈(111), 무선 인터넷 모듈(112), 근거리 통신 모듈(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기사 단말기(200)),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LTE(Long Term Evolu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기사 단말기(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접 감지부(120)는 승객의 정류장으로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근접 감지부(120)는 정류장의 위치 정보와 승객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승객 단말기(100)와 정류장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반경 이내인 경우에 승객 단말기(100)가 정류장에 근접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근접 감지부(120)는 승객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근접 감지부(120)는 GPS부(12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22)을 포함할 수 있다.
GPS부(121)는 승객 단말기(100) 및/또는 기사 단말기(200)의 GPS(Global Position System)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22)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승객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122)은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통신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승객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근접 감지부(120)의 근거리 통신 모듈(122)은 통신부(110)의 근거리 통신 모듈(113)과 통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가 승객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및/또는 조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표시부(141), 음성 출력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1)는 승객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승객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표시부(141)는 대중교통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음성 출력부(142)는 승객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음성 출력부(142)는 대중교통과 관련된 정보,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혹은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출력부(14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음성 출력부(142)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은 예를 들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3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아울러, 메모리(170)는 대중교통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승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승객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승객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승객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승객 단말기(18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승객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승객의 입력에 따라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30)의 기능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승객 단말기(100)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분이 추가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객 단말기(1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마이크(122) 등의 A/V(Audio/Video)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기사 단말기(200)는 기본적으로 도 2의 승객 단말기(100)와 유사할 수 있다.
도 2의 승객 단말기(100)와 도 3의 기사 단말기(200)를 비교하면, 100번대 부호가 200번대 부호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의 기사 단말기(200)와 도 2의 승객 단말기(100)의 동일한 이름의 기능부분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을 살펴보면, 대중교통수단의 단말기(200), 즉 기사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근접 감지부(220), 출력부(240), 사용자입력부(250), 인터페이스부(260), 메모리(270), 전원공급부(28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기사 단말기(20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210)는 승객 단말기(100), 기지국, 통신 서버 등과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이동통신모듈(211), 무선 인터넷 모듈(212), 근거리 통신 모듈(2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감지부(220)는 대중교통수단의 정류장으로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근접 감지부(220)는 정류장의 위치 정보와 기사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사 단말기(200)와 정류장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반경 이내인 경우에 기사 단말기(200), 즉 대중교통수단이 정류장에 근접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근접 감지부(220)는 기사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근접 감지부(220)는 GPS부(221) 및 근거리 통신 모듈(222)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22)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기사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222)은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통신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기사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표시부(241), 음성 출력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41)는 기사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41)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승객 정보를 기사가 확인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242)는 기사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음성 출력부(242)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승객 정보를 기사가 청취가능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기사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승객 단말기(200)들로부터 수신한 승객 정보들을 분석/연산하여 정류장에서 승차대기 중인 승객의 수에 대한 정보, 승차대기 중에서 실재로 승차한 승객의 수에 대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30)는 표시부(241)를 제어하여 상기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승객 단말기(100)와 기사 단말기(200)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기사 단말기(200)와 승객 단말기(100)가 서로 다른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사 단말기(200)에서 이동통신모듈(211)이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용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노선과 정류장의 의미를 정의하면, 노선은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이 운행하는 구간으로서 출발지점과 종료지점 사이의 구간을 의미하고, 정류장은 노선에 포함되는 대중교통수단의 정차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정류장에 근접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즉 승객 단말기(100)에서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선택(S100)할 수 있다.
이후, 선택된 대중교통수단의 단말기, 즉 선택된 대중교통수단의 기사 단말기(200)로 사용자, 즉 승객의 정보를 승객정보로서 전송(S200)할 수 있다.
이후, 선택된 대중교통수단의 기사 단말기(200)에서 승객 정보를 출력(S300)할 수 있다.
승객이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는 선택단계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선택단계에서는 먼저 승객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S110)할 수 있다.
이후, 승객 단말기(100)가 정류장으로부터 임계반경 이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12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승객 단말기(100)가 정류장으로부터 임계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승객 단말기(100)가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확인(Identify)(S13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경우와 같이, 제 1 정류장(BT1)으로부터 임계반경(TD) 내의 제 1 지점(P1)에 위치하는 경우, 승객(사용자)이 제 1 정류장(BT1)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제 1 정류장(BT1)으로부터 임계반경(TD)을 벗어난 제 2 지점(P2)에 위치하는 경우, 승객이 제 1 정류장(BT1)에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승객이 제 1 정류장(BT1)과 제 2 정류장(BT2)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승객이 제 1 정류장(BT1)과 제 2 정류장(BT2)의 사이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 1 정류장(BT1)과 제 2 정류장(BT2)을 잇는 직선상에 위치하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만약, 승객(승객 단말기(100))과 제 1 정류장(BT1) 사이의 제 2 간격(D2)이 승객과 제 2 정류장(BT2) 사이의 제 3 간격(D3)보다 작은 경우에, 승객 단말기(100)의 근접 감지부(120)는 승객이 제 1 정류장(BT1)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간격(D2) 및 제 3 간격(D3)이 모두 임계반경보다 작거나 큰 것이 가능하고, 또는 제 2 간격(D2) 또는 제 3 간격(D3) 중 하나는 임계반경보다 작고 나머지 하나는 임계반경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즉, 승객과 정류장 간의 거리가 임계반경 이내인지의 여부와는 관계없이 승객과 정류장들 간의 상대적으로 거리에 따라 승객과 정류장의 근접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다르게 표현하면, 임계반경과는 관계없이 복수의 정류장 중 승객과의 거리가 가장 작은 정류장에 승객이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승객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GPS정보를 이용하거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과 같이, 노선에 포함된 각각의 정류장(BT1, BT2, BT3, BT4...)의 좌표 정보(위도, 경도)를 메모리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승객 단말기(100)의 근접 감지부(120)의 GPS부(121)가 승객 단말기(100)의 현재 좌표와 미리 저장된 정류장의 좌표를 비교하여, 승객 단말기(100)가 정류장에 얼마나 근접한지를 연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GPS부(121)는 승객 단말기(100)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가 위도 37°20′11″, 경도 127°1′10″라고 가정하면, 현재 승객 단말기(100)는 좌표가 위도 37°20′10″, 경도 127°1′10″인 제 1 정류장(BT1)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승객 단말기(100)와 정류장의 근접을 확인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9의 경우와 같이, 정류장(BT)에 정류장 통신기(CD)를 설치할 수 있다.
정류장 통신기(CD)는 승객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승객(11)이 정류장(BT)으로부터 임계반경(TD) 이내로 진입하면, 승객 단말기(100)의 근접 감지부(120)의 근거리 통신 모듈(122)이 정류장 통신기(CD)의 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승객 단말기(100)가 정류장(BT)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정류장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정류장에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과 같이, 각각의 정류장(BT1~BT4)에 ID를 부여할 수 있다.
아울러, 각 ID에 좌표정보를 매칭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임계반경은 지역, 노선, 대중교통수단의 종류 등의 요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대중교통수단이 운행하는 지역에 따라 임계반경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의 (A)와 같이,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예컨대 농촌지역)에 운행하는 버스의 경우, 임계반경을 상대적으로 큰 제 4 거리(D4)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1의 (B)와 같이,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예컨대 도시지역)에 운행하는 버스의 경우, 임계반경을 제 4 거리(D4)보다 작은 제 5 거리(D5)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노선에 포함된 정류장의 개수에 따라 임계반경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A), (B)와 같이, 제 1 노선(L1)에 포함된 정류장의 총 개수가 제 2 노선(L2)에 포함된 정류장의 총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 제 1 노선(L1)의 정류장에 설정되는 임계반경(D6)은 제 2 노선(L2)의 정류장에 설정되는 임계반경(D7)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노선의 길이에 따라 임계범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의 (A), (B), (B)와 같이, 제 4 노선(L4)의 길이가 제 3 노선(L3)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 제 4 노선(L4)에 포함된 정류장에 설정되는 임계반경은 제 3 노선(L3)에 포함된 정류장에 설정되는 임계반경보다 클 수 있다.
또는, 대중교통수단의 종류에 따라 임계반경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의 (A)와 같이 마을버스, 시내버스, 시외버스의 임계반경이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장거리를 운행하는 시외버스의 임계반경이 마을버스 및 시내버스의 임계반경보다 클 수 있다.
또는, 대중교통수단의 배차간격에 따라 임계반경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의 (B)와 같이, 배차간격이 클수록 임계반경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지역, 정류장 개수, 노선 길이, 버스 종류 및/또는 배차간격에 따라 임계반경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농촌지역의 경우에는 승객이 버스를 타기 위해서는 도시 지역에 비해 더 긴 거리를 이동해야 할 가능성이 크고, 원하는 버스를 놓치면 다음 버스를 타기까지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기다려야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도 5의 설명을 이어서 하면 아래와 같다.
승객 단말기(100)의 정류장으로의 근접을 확인한 단계(S130) 이후에 대중교통 어플(Application)을 활성화(S14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객 단말기(100)가 정류장에 근접하는 경우 자동으로 대중교통 어플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중교통 어플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객 단말기(100)가 정류장에 근접하면, 도 15의 (A)와 같이, 승객 단말기(100)의 표시부(141)에 대중교통 어플을 실행할 수 있는 메뉴(30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승객)가 메뉴(300)를 선택하는 경우에 대중교통 어플이 실행될 수 있다.
대중교통 어플이 활성화되고 실행된 이후에 승객은 자신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B)와 같이, 승객 단말기(100)의 표시부(141)에 승객 ID, Password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승객은 ID와 Password를 입력하여 로그인한 이후에 대중교통 어플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ID 및 Password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대중교통 어플에 로그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말기 식별정보, 칩 식별번호, 전화번호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어플 활성환 단계(S140) 이후에, 승객은 원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S150)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원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선택(S16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 경우와 같이, 대중교통 어플이 실행되면 승객 단말기(100)에 원하는 대중교통 수단을 검색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메뉴(M) 및 적어도 하나의 검색창이 표시될 수 있다.
승객은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입력하여 원하는 대중교통수단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객이 '수원역'방면으로 가는 버스를 타고자 하는 경우에, '목적지'란에 '수원역'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7의 경우와 같이, 현재 정류장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수원역'을 경유하는 모든 버스를 표시부(141)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버스 정보는 시내버스, 시외버스 등의 버스 종류에 대한 종류 정보, 버스 번호 정보, 도착 예정 시간 정보, 목적지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다음 버스 도착 예정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메뉴에서 목적지가 아닌 버스 종류 및/또는 버스 번호를 이용하여 원하는 버스를 검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스 종류에 '시내'를 입력하면, 현재 정류장에서 탑승할 수 있는 모든 시내버스를 검색하여 표시부(141)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버스 번호에 '7000'을 입력하면 현재 정류장에서 탑승할 수 있는 번호 7000의 버스를 검색하여 표시부(141)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고 현재 정류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버스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승객이 대중교통 어플을 실행하거나 혹은 검색메뉴를 실행하면, 도 18의 경우와 같이, 현재 정류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버스를 표시부(14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버스 정보에는 노선 정보(출발지 및 종착지 정보 포함)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과 같은 검색결과에서 승객은 원하는 버스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승객이 원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면, 선택한 대중교통수단의 노선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와 같이, 승객이 7000번 버스를 선택하면, 7000번 버스의 노선을 표시부(14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승객은 자신이 하자하고자 하는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승객은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승객이 원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면, 그에 대한 정보를 승객정보로서 기사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승객 단말기(100)에서 기사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승객정보의 일례를 보면 도 20과 같다.
도 20을 살펴보면, 승객정보는 버스번호 정보 또는 버스종류 정보 등을 포함하는 버스 정보, 정류장 ID 등을 포함하는 정류장 정보, 승객 타입 정보, 성별 정보, 닉네임 정보, 사용자 ID, 전화번호, 목적지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객 타입 정보는 승객이 장애인인지, 경로우대에 해당하는 노인인지, 청소년인지, 소아인지, 일반 성인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승객타입 정보는 장애인 등록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장애인인 승객은 자신의 장애인 등록번호를 미리 등록시켜 놓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대중교통 어플에 로그인 시에 장애인 등록번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기사 단말기(200)로 승객정보를 전송한 이후에 승객이 정류장으로부터 임계반경 밖으로 이탈한 경우에는 이탈에 대한 정보를 다시 기사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1을 살펴보면, 승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00) 이후에 승객 단말기(100)가 정류장으로부터 임계반경 이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40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승객정보의 전송 이후 출력 이전에 승객 단말기(100)가 여전히 정류장으로부터 임계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기사 단말기(200)에서 승객정보를 출력(S300)할 수 있다.
반면에, 승객정보의 전송 이후 출력 이전에 승객 단말기(100)가 정류장으로부터 임계반경 밖으로 이탈하는 경우에는 취소정보를 전송(S410)할 수 있다.
취소정보는 승차대기 중이던 승객이 승차대기에서 이탈함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만약, 기사 단말기(200)에서 승객정보를 수신한 이후 시간적인 기다림없이 승객정보를 출력한다면 제S400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승객정보의 출력 이후에, 승객 단말기(100)가 정류장으로부터 임계반경 이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42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승객 단말기(100)가 정류장으로부터 임계반경 밖으로 이탈한 경우에는 취소정보를 전송(S410)할 수 있다.
반면에, 승객 단말기(100)가 여전히 정류장으로부터 임계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이 승객이 대기하고 있는 정류장을 지났는지의 여부를 판단(S430)할 수 있다.
대중교통수단이 정류장을 지났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대중교통수단의 GPS좌표와 정류장의 GPS좌표를 비교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또는, 정류장 통신기와 대중교통수단의 통신을 통해 대중교통수단이 정류장을 지났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대중교통수단이 정류장을 지났을 경우에는 승객이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을 탑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S44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승객이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했을 경우에는 종료할 수 있다.
반면에, 대중교통수단이 정류장을 지나지 않았거나 승객이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또 다시 승객 단말기(100)가 정류장으로부터 임계반경 이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400)할 수 있다.
승객이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승객 단말기(100)가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로부터 제 1 임계거리 이내로 접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S500)할 수 있다. 여기서,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는 대중교통수단(12)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기사 단말기(200)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는 도 3의 기사 단말기(200)의 통신부(210)에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는 대중교통수단(12), 예컨대 버스(12)의 입구(410) 근방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와 버스(120)의 입구(410) 까지의 거리를 제 1 임계거리(D8)라고 하고,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와 버스(12)의 끝단까지의 거리를 제 2 임계거리(D9)라고 설정할 수 있다. 제 1 임계거리(D8) 및/또는 제 2 임계거리(D9)는 도 22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S50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승객 단말기(200)가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로부터 제 1 임계거리(D8)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승객 단말기(200)가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로부터 제 2 임계거리(D9) 이내에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510)할 수 있다. 임계시간은 교통상황, 지역, 대중교통수단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승객이 대중교통수단(12)에 탑승하여 임계시간 이상 대중교통수단(12) 내에 머무르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승객이 대중교통수단(12)에 탑승하여 기사에게 목적지 등을 문의한 이후에 바로 하차한 경우에는 승객 단말기(200)가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에 제 1 임계거리(D8) 이내로 접근할 수 있으나, 승객 단말기(200)가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로부터 제 2 임계거리(D9) 이내에 임계시간 이상 위치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승객이 대중교통수단(12)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S510단계에서 판단결과, 승객 단말기(100)가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로부터 제 2 임계거리(D9) 이내에 임계시간 이상 위치하는 경우에는 승객이 대중교통수단(12)에 탑승한 것으로 확인(S520)할 수 있다.
이후, 승객 단말기(100)가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로부터 제 2 임계거리(D9) 밖으로 이탈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53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승객 단말기(100)가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로부터 제 2 임계거리(D9) 밖으로 이탈하는 경우에는 승객이 대중교통수단(12)에서 하차한 것으로 확인(S540)할 수 있다.
한편, 승객 단말기(100)가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로부터 제 1 임계거리(D8) 이내로 근접하지 않거나, 승객 단말기(100)가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로부터 제 2 임계거리(D9) 이내에 임계시간 이상 머무르지 않는 경우에는 승객이 대중교통수단(12)에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S550)할 수 있다.
한편, 승객이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이 아닌 다른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하는 경우에는 승객에게 알람을 줄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4를 살펴보면, 승객이 대중교통수단(12)에 탑승하면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에 승객 단말기(100)가 접근(S600)할 수 있다.
그러면, 탑승 확인을 위해 탑승한 대중교통수단의 식별정보를 확인(S610)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와 승객 단말기(100)가 통신할 수 있다.
이후, 탑승한 대중교통수단의 식별정보가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의 식별정보와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620)할 수 있다.
탑승 확인을 위한 방법으로는 기사 단말기(200)에서 전송받은 승객정보와 현재 탑승하는 승객의 승객 단말기(100)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탑승하고 있는 승객이 승객정보를 전송한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또는, 각각의 대중교통수단(12)에 식별정보를 부여하고, 승객 단말기(100)에서 대중교통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승객이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12)에 탑승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7000번 시외버스에는 xxxxxxx1, 모든 700번 시내버스에는 xxxxxx1x를 식별정보로서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객이 자신의 승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7000번 시외버스를 선택하고, 7000번 시외버스에 승객정보를 전송하였다고 가정하자. 승객 단말기(100)에는 대중교통 어플을 통해 각각의 버스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승객 단말기(100)에서는 식별정보가 xxxxxxx1인 버스를 탑승해야 함을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승객이 자신의 승객 단말기(100)를 소지한 상태에서 7000번 시외버스를 탑승하면 7000번 시외버스의 대중교통수단 통신기와 승객 단말기(100)가 통신하여 서로의 식별정보가 매칭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승객정보를 수신한 기사 단말기(200) 측에서 승객 단말기(100)로 탑승 확인을 위한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승객이 대중교통수단에 탑승 시에 승객 단말기(100)가 기사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수단 통신기(400)를 통해 기사 단말기(200)와 통신함으로써,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S620단계에서 판단결과, 현재 탑승한 대중교통수단의 식별정보와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의 식별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는,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에 접근한 것을 확인(S630)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620단계에서 판단결과, 현재 탑승한 대중교통수단의 식별정보와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의 식별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오류가 있음을 확인(S640)할 수 있다.
이후, 승객 단말기(100)에서는 승객이 잘못된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것을 소리 및/또는 진동으로 알람(S650)할 수 있다.
한편, 승객이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해서 정류장에 대기하는 경우에는 승객정보다 다음 대중교통수단에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25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5를 살펴보면, 전송단계(S200)에서는 전송명령이 입력(S900)되면, 승객정보를 전송받을 대중교통수단을 검색하고 선택(S910)할 수 있다.
이후, 선택한 대중교통수단에 승객정보가 전송(S92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이 ID 00000001인 정류장에 근접하여 7000번 시외버스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승객정보는 00000001을 ID로 갖는 정류장을 경유하는 노선에 운행하는 7000번 시외버스 중 ID 00000001의 정류장에 도착 예정 시간이 가장 짧은 기사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26의 경우와 같이, 승객이 '연수원' 정류장에 접근하여 7000번 시외버스를 검색하여 선택하면, 승객정보는 '연수원' 정류장에 도착 예정인 7000번 시외버스 중에서 '연수원' 정류장에 가장 근접한 제 1 버스(12A)에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승객정보를 전송받은 기사 단말기(200)가 승객이 대기 중인 정류장을 지났는지의 여부를 판단(S930)할 수 있다.
판단결과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이 승객이 대기 중인 정류장을 지난 경우에는 그 다음 대중교통수단을 검색하고 선택(S940)할 수 있다.
이후, 새롭게 선택한 대중교통수단에 승객정보를 전송(S95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에서 승객이 '연수원' 정류장에 대기하던 중 승객정보를 전송받은 제 1 버스(12A)가 '연수원' 정류장을 지나가 버리면, 승객은 제 1 버스(12A)에 탑승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버스(12A)의 다음 차례인 제 2 버스(12B)에 승객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제 2 버스(12B)에 승차대기 승객으로 등록될 수 있다.
만약, 제 S930단계에서 판단결과,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이 승객이 대기 중인 정류장을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승객이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S96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승객이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하지 않은 경우에는 승차대기가 취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970)할 수 있다.
여기서, 승차대기 취소는 승객이 정류장으로부터 임계반경 밖으로 벗어나거나 승객이 승차대기 취소 메뉴를 실행했을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기사 단말기(200)에서 승객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7을 살펴보면, 기사 단말기(200)의 표시부(241)에 표시는 승객정보는 정류장 명칭, ID 등의 정류장 정보, 승차대기 중인 승객 수에 대한 정보, 승객이 장애인인지, 노약자인지, 청소년인지, 일반인인지를 나타내는 승객 타입 정보, 각각의 승객 타입에 따른 승객 수에 대한 정보, 도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기사 단말기(200)에는 장애인 등록번호, 휠체어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승차대기 중인 승객 수에 대한 정보는 기사 단말기(200)에서 수신한 승객정보들을 합산/연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승차대기 중인 승개 수에 대한 정보는 승객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것이 아니고, 기사 단말기(200) 혹은 도시하지 않은 서버(Server)에서 연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기사 단말기(200)에서 승객정보를 표시부(241)에 표시하는 시점은 대중교통수단의 속도 및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8과 같이, 버스(12)가 제 1 정류장(BT1)을 출발하여 제 2 정류장(BT2)을 도착하는 기간에서 기사 단말기(200)의 표시부(241)에 제 2 정류장(BT2)에 대응하여 승객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기사 단말기(200)에서는 대중교통수단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 이하인 경우에 표시부(241)에 승객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사의 집중력 저하에 따른 사고 유발을 억제할 수 있다.
또는, 기사 단말기(200)에서는 대중교통수단이 정차하였을 경우에 표시부(241)에 승객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중교통수단이 임의의 제 1 정류장에 정차한 경우에 제 1 정류장에 대응되는 승객정보를 표시부(241)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대중교통수단이 정류장에 임계거리 이내로 근접할 경우에 해당 정류장에 대응하는 승객정보를 표시부(241)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승객정보를 표시부(241)에 표시하는 것과 별개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차대기 승객의 수, 장애인 정보, 도움 요청 여부 등의 정보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승객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에는 대중교통수단의 속도와는 관계없이 출력이 가능하다.
도 29를 살펴보면, 기사 단말기(241)에 표시되는 승객정보는 대중교통수단이 이번에 정차할 정류장(이번 정류장)에 대응하는 승객정보 및 다음에 정차할 정류장(다음 정류장)에 대응하는 승객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30과 같이, 기사 단말기(241)에 표시되는 승객정보는 이전에 정차했던 정류장(이전 정류장)에 대응하는 승객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전 정류장에 대응하는 승객정보는 실제 승차한 승객의 수에 대한 정보, 실제 승차한 승객의 타입에 대한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사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승객정보는 승차 정보 뿐 아니라 하차 정보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1의 경우와 같이, 이번 정류장에서 하차대기 중인 승객의 수, 타입 등의 정보를 기사 단말기(200)의 표시부(241)에 표시할 수 있다.
승객이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기사 단말기(200)에서는 해당 승객이 어떤 정류장에서 하차할 예정인지에 대한 정보를 분석/저장하여, 각 정류장마다 몇 명 혹은 어떠한 승객이 하차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하차 정보를 승객들이 확인가능하도록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2의 경우와 같이, 대중교통수단 내에 또 다른 표시부(500)를 설치하고, 또 다른 표시부(500)에는 이번 정류장에 대한 정보 및 이번 정류장에서 내려야할 승객(하차 승객)들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하차 승객에 대하 정보는 하차 승객의 ID, 닉네임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기사 단말기(200)에서는 정류장에서의 승차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3을 살펴보면, 대중교통수단이 정차(S700)하여 승객들의 승차가 시작되면, 승차하는 승객의 수를 카운트(S710)할 수 있다.
이후, 카운트한 승차 승객의 수와 전송받은 승객정보들로 연산한 승차대기 중인 승객의 수를 비교(S720)할 수 있다.
비교결과, 카운트한 승차 승객의 수와 전송받은 승객정보들로 연산한 승차대기 중인 승객의 수가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730)할 수 있다.
판단결과, 매칭되는 경우에는 승차완료 정보를 출력(S740)할 수 있다.
반면에,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 대중교통수단이 출발했는지의 여부를 판단(S750)할 수 있다. 대중교통수단의 출발여부는 대중교통수단의 속도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대중교통수단이 정류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 이상 벗어나는 경우에 대중교통수단이 출발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판단결과, 대중교통수단이 출발하지 않은 경우에는 승차하는 승객을 계속해서 카운트할 수 있다.
한편, 기사 단말기(200)에서는 승차대기 중인 승객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4의 경우와 같이, 정류장(BT)에 승차대기 중인 승객들의 위치를 기사 단말기(200)의 표시부(241)에 표시할 수 있다. 승차대기 중인 승객들의 위치는 점으로 표시될 수 있다.
승객들의 위치는 GPS 좌표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기사는 정류장(BT)에서 다수의 승객들이 제 1 지점(P1)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제 1 지점(P1)에 인접하게 대중교통수단을 정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류장(BT)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도 35의 경우와 같이, 정류장을 복수의 구역(AR1~AR4)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역(AR1~AR4)에 통신기(CD1~CD4)를 설치할 수 있다.
각각의 통신기(CD1~CD4)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승객 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다.
각 통신기(CD1~CD4)가 통신하는 승객 단말기(100)의 개수에 따라 각 구역(AR1~AR4)에서 승차대기 중인 승객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차대기 중인 승객이 집중되어 있는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기사 단말기(200)에서는 승차대기 중인 승객 중에서 도움이 필요하거나 주의가 더 필요한 승객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일반 승객과는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6의 경우와 같이, 정류장(BT)에 승차대기 중인 승객들 중 일반 승객의 위치를 제 1 마크(MK1)로 기사 단말기(200)의 표시부(241)에 표시하고, 장애인 승객의 위치를 제 1 마크(MK1)와는 다른 제 2 마크(MK2)로 기사 단말기(200)의 표시부(241)에 표시할 수 있다.
기사 단말기(200)는 기사에게 승차대기 중인 승객의 수가 더 많은 위치 및/또는 장애인, 노약자 등의 도움이 필요한 승객이 대기하는 위치로 대중교통수단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7을 살펴보면, 대중교통수단이 정차(S100)하면, 정차한 위치가 최적의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단(S1010)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의 위치는 장애인, 노약자 등의 도움이 필요하거나 주의가 필요한 승객이 대기 중인 위치이거나 다수의 승객이 대기 중인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에서, 제 1 영역(AR1)에 10명의 승객이 승차대기 중이고, 제 2 영역(AR2)에는 2명의 승객이 승차대기 중이고, 제 3, 4 영역(AR3, AR4)에는 각각 3명의 승객이 승차대기 중이라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최적의 정차 위치는 제 2, 3, 4 영역(AR2, AR3, AR4)에 비해 승차대기 중인 승객의 수가 더 많은 제 1 영역(AR1)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또는, 도 36에서 최적의 위치는 장애인 승객이 대기 중인 제 2 지점(P2)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대중교통수단의 최적의 정차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중교통수단의 GPS정보를 이용하거나, 정류장에 설치된 통신기와 기사 단말기(200)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S101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대중교통수단이 정차한 위치가 최적의 위치인 경우에는 알람을 생략(S1020)할 수 있다.
반면에, 대중교통수단이 정차한 위치가 최적의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정차 오류에 대한 내용을 알람(S1030)할 수 있다. 즉, 알람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수단이 정차한 현재 위치가 최적의 위치가 아님을 기사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알람은 소리, 진동,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아울러, 대중교통수단이 정차해야할 최적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S104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8의 경우와 같이, 기사 단말기(200)의 표시부(241)에 최적의 정차 위치가 현재 정차 위치로부터 전방 혹은 후방으로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최적의 정차 위치에 대기 중인 승객의 정보, 예컨대 총 승차대기 중인 인원에 대한 정보, 승객의 타입에 대한 정보(노약자, 장애인 등) 등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대중교통수단이 정류장을 지났는지의 여부를 판단(S1050)할 수 있다.
판단결과, 대중교통수단이 정류장을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대중교통수단이 정차한 위치가 최적의 위치인지를 계속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대중교통수단이 정류장에 접근 시에 알람 기능을 생략하고 도 38에서와 같은 정보를 자동적으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음성으로 최적의 정차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중교통수단이 정류장에 접근 시에 "최적의 정차 위치는 전방 10m 지점입니다"와 같은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기사 단말기(200)에서는 승객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이에 대응하여 응답정보를 승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39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9를 살펴보면, 기사 단말기(200)에서 승객정보를 수신(S800)하면, 승객정보를 확인(S80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차대기 중인 승객에 대한 정보, 목적지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현재 위치에서 승객이 승차대기 중인 정류장까지의 소요시간을 연산하고, 연산한 정보를 응답정보로서 승차대기 중인 승객의 승객 단말기(100)로 전송(S800)할 수 있다.
그러면, 승객 단말기(100)에서는 기사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출력(S830)할 수 있다.
승객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응답정보는, 예를 들면 도 40의 경우와 같이, 도착예정인 버스 번호, 버스의 차량번호, 도착 예정 시간, 좌석 여부, 승차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응답정보는 승객이 현재 대기 중인 정류장에서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에 승차하고자 대기 중인 승객의 총 인원에 대한 정보, 승차대기 중인 승객의 타입에 대한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0에서 설명하는 응답정보는 정류장에서 대기 중인 승객에게 제공되는 정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승객 단말기(100)에서는 승객의 하차에 대한 정보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1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1을 살펴보면, 승객이 하차할 정류장을 지정(S1100)할 수 있다. 하차할 정류장을 지정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그 일례에 대해 앞서 설명하였다.
이후, 승객이 탑승한 대중교통수단이 하차하고자 지정한 정류장에 접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111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중교통수단이 하차하고자 하는 정류장에 미리 지정한 임계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에 하차 정류장에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혹은, 이전 정류장을 지난 경우에 하차 정류장에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하차 정류장에 접근함을 알릴 수 있다(S1120). 알람은 진동, 소리,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2의 경우와 같이, 승객 단말기(100)의 표시부(141)에는 이번 정류장이 하차할 정류장임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승객이 하차하고자 하는 정류장에 하차 대기 중인 승객의 총 인원에 대한 정보, 승객의 타입에 대한 정보 등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42에 표시된 정보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승 중인 승객에게 제공되는 응답정보의 일례라고 볼 수 있다.
응답정보는 정류장에 승차대기 중인 승객의 승객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정보와 대중교통수단에 탑승 중인 승객의 승객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용방법, 대중교통 운용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정류장에 근접한 승객의 정보를 기사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버스 등의 대중교통수단이 승차대기 중인 승객을 인지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승객이 자신이 원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인지하지 못하고 탑승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노약자 등의 탑승을 미리 기사에게 알림으로써 기사로 하여금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장애인, 노약자 등이 대중교통수단에 탑승 시에 의사소통 등의 문제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객정보들의 통계 분석을 통해 장애인 및/또는 노약자 들이 많이 승차하거나 하차하는 정류장을 파악할 수 있어서, 효과적인 운행계획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정류장에 근접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는 선택단계;
    선택된 대중교통수단의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승객정보로서 전송하는 전송단계; 및
    선택된 대중교통수단의 단말기에서 상기 승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운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수단은 버스(Bus)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운용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는
    승객의 상기 정류장으로의 근접을 확인하는(Identify) 단계;
    상기 정류장에 근접한 승객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중교통 어플(Application)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대중교통 어플을 통해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운용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정보는
    장애인 정보, 노약자 정보, 성별 정보, 일반인 정보, 소아/유아 정보 또는 청소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포함하는 대중교통 운용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에서는 선택된 대중교통수단의 단말기에서 상기 승객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대중교통 운용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에서는 이전 정류장과 이번 정류장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승객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정차 시에 상기 승객 정보를 출력하는 대중교통 운용방법.
  7. 정류장에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정보를 승객 정보로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승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승객 정보를 기사가 확인가능하도록 출력하는 대중교통수단 단말기;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운용장치.
  8. 정류장으로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부;
    승객의 입력에 따라 목적하는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는 제어부; 및
    선택한 대중교통수단의 단말기로 승객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감지부는 상기 정류장의 위치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정류장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정류장에 근접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40158745A 2014-11-14 2014-11-14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160058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745A KR20160058295A (ko) 2014-11-14 2014-11-14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745A KR20160058295A (ko) 2014-11-14 2014-11-14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295A true KR20160058295A (ko) 2016-05-25

Family

ID=5611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745A KR20160058295A (ko) 2014-11-14 2014-11-14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829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85A (ko) * 2016-06-30 2018-01-09 오선 버스 승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180099383A (ko) * 2017-02-28 2018-09-05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
KR102259526B1 (ko) * 2019-12-27 2021-06-0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버스 탑승정보 공유 시스템
EP3916669A1 (en) * 2020-05-26 2021-12-01 Carrosserie Hess AG Method for an exchange of data
KR20220014099A (ko) * 2020-07-28 2022-02-04 오딜 페이줄라에브 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361656B1 (ko) * 2021-06-25 2022-02-14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딥러닝을 이용한 대기 승객 안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승객 안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85A (ko) * 2016-06-30 2018-01-09 오선 버스 승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180099383A (ko) * 2017-02-28 2018-09-05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
KR102259526B1 (ko) * 2019-12-27 2021-06-0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버스 탑승정보 공유 시스템
EP3916669A1 (en) * 2020-05-26 2021-12-01 Carrosserie Hess AG Method for an exchange of data
KR20220014099A (ko) * 2020-07-28 2022-02-04 오딜 페이줄라에브 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361656B1 (ko) * 2021-06-25 2022-02-14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딥러닝을 이용한 대기 승객 안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승객 안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8295A (ko)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JP6408105B2 (ja) 中央サーバを有する車両要求管理システム
JP6273656B2 (ja) デマンド型運行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デマンド型運行管理システム
JP6523177B2 (ja) 車両管理システム
EP2273468B1 (en) Method of calling a vehicle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JP6731006B2 (ja) 車両呼び出しシステム
JP2016161479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WO2003027618A1 (ja) 案内システム、案内装置、案内装置と通信する無線装置
KR101868321B1 (ko) 대중교통 스마트 승하차 관리시스템
JP6972615B2 (ja) 移動支援システム、移動支援装置、移動支援方法および移動支援プログラム
US20110213551A1 (en) On-board device, route guidance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on-boar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JP2020173589A (ja) 乗車予約利用者支援装置及び乗車予約利用者支援方法
US20200231183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JP7067441B2 (ja) 運行支援装置、車載装置、運行支援システム、運行支援方法及び運行支援プログラム
JP200920445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161080A (ja) 降車補助サービスシステム、サーバ装置、降車補助サービ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57197B2 (en) Vehicle for conveying persons and orientation aid
JP2016222042A (ja) 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乗降案内システム
JPWO2019159605A1 (ja) 運行管理装置、運行管理方法および運行管理システム
JP2017134687A (ja) 移動体乗降支援システム及び移動体乗降支援用プログラム
KR101907293B1 (ko) 정류장 및 택시 정보 안내 시스템
KR10124367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22038897A (ja) 同乗支援装置、同乗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15885B1 (ko) 시각 장애인용 교통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US10024672B2 (en) Navig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