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383A -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383A
KR20180099383A KR1020170026785A KR20170026785A KR20180099383A KR 20180099383 A KR20180099383 A KR 20180099383A KR 1020170026785 A KR1020170026785 A KR 1020170026785A KR 20170026785 A KR20170026785 A KR 20170026785A KR 20180099383 A KR20180099383 A KR 20180099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derly
sensing means
present
movem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960B1 (ko
Inventor
한남경
이세희
조미림
권은진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9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6K9/0001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약자의 목적지 이동을 다기능으로 유도하는 장치에 있어서: 휴대 가능한 케이싱을 지닌 본체(10); 본체(10)에 노출된 조작용 버튼(22)을 구비하는 감지수단; 이동에 관련된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표출하도록 표시창(36)과 스피커(38)를 구비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과 표시수단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노약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외출하는 과정에서 좌석의 양보를 합리적으로 유도하고 목적지까지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조력하여 진정한 복지사회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Multi-functional guide apparatus for elderly and feeble person}
본 발명은 노약자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약자가 외출하는 과정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노약자들은 외출하는 과정에서 목적지 및 귀환 경로를 찾는 애로 외에 지하철,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불편도 크게 느낀다. 고령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노약자용 편의기구가 다소 증가될 여지는 있으나 활동인구의 증가를 초월하지 못하여 항상 부족한 상태일 것으로 예상된다. 각종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하면 IT, 신소재 등의 첨단기술을 융합시켜 노약자 케어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난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특허로서 하기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92062호는 식별기, 리더기, 관제기, 정보단말기 및 보조단말기로 구성되는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이고, 지정공간의 맵정보 및 이를 시각화하는 디스플레이와 조작부를 포함하며 개별 노약자가 휴대 가능하여 현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특정 이용자를 검색하며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를 받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특허의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85288호는 노약자 식별신호 수신단계, 운전자 알람작동단계, 여유좌석 확인단계, 경로석 확인단계, 경로석인지수단 작동단계, 경로석 인지수단 해제단계, 운전자 알람해제단계 등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버스의 주행중 노약자가 넘어지거나 부딪침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노약자의 길 안내와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에 기여하고 있으나 일상 활동의 안전성 향상이나 부족한 자원 공유의 최적화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크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92062호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 (공개일자 : 2011.04.21.)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85288호 "버스용 노약자 착석 안내방법" (공개일자 : 2009.02.23.)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약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외출하는 과정에서 좌석의 양보를 합리적으로 유도하고 목적지까지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약자의 목적지 이동을 다기능으로 유도하는 장치에 있어서: 휴대 가능한 케이싱을 지닌 본체; 본체에 노출된 조작용 버튼을 구비하는 감지수단; 이동에 관련된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표출하도록 표시창과 스피커를 구비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과 표시수단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감지수단은 카메라를 이용한 지문 인식, 마이크를 통한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착용자의 공인된 신원 정보를 저장하는 RFID태그, 근거리 통신으로 정보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부,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처리하는 결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노약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외출하는 과정에서 좌석의 양보를 합리적으로 유도하고 목적지까지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조력하여 진정한 복지사회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를 배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의 회로 연결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노약자의 목적지 이동을 다기능으로 유도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노약자의 안전한 외출을 유도하는 장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하는 스마트폰과 연계하는 것이 좋으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휴대 가능한 케이싱을 지닌 구조이다. 본체(10)는 후술하는 모든 구성품을 케이싱 상에 수용한다. 도 1에서 펜던트 형태를 지닌 본체(10)의 전면에 투명창(15)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2처럼 본체(10)의 휴대 용이성을 위해 목에 걸기 위한 와이어(11),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12)를 구비할 수 있다. 와이어(11)와 밴드(12)는 각각의 수납릴(13)을 이용하여 인출 및 권취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국적으로 대중교통(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등)이 존재하는 지역 내에서 사용 가능하며, 도ㆍ시ㆍ군청에서 주민등록상 일정 연령 이상의 노인들에게 각종 채널을 통해 장치(펜던트)를 일괄 지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수단이 본체(10)에 노출된 조작용 버튼(22)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버튼(22)은 노약자가 누르기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외주면에 크게 노출시킨다. 버튼(22)을 비롯한 본체(10)의 전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방수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물론 후술하는 표시창(36)을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여 버튼(22)의 입력 기능을 대체 또는 병용할 수 있다. 감지수단 중에서 비상 상황을 알리는 버튼(22)을 반드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용 버튼(22)은 주변을 지나는 사람에 대한 시청각적 경보에 더하여 후술하는 통신부(46)를 통한 관공서 연락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감지수단은 카메라(24)를 이용한 지문 인식, 마이크(28)를 통한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24)는 본체(10)의 내부에서 투명창(15)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지문 등을 촬영한다. 마이크(28)는 본체(10)를 목에 거는 경우에 대비하여 상단 부근에 음성을 입력하도록 설치된다. 감지수단은 기본적으로 펜던트를 착용한 사용자의 정확한 신원을 인증하는 기능을 지닌다. 이는 펜던트를 타인에게 대여하거나 도난ㆍ분실된 펜던트를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근절하여 상호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편의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손 장애로 인하여 지문 인식이 곤란한 경우 음성 인식을 사용할 수 있고, 지문 인식과 음성 인식을 동시에 요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감지수단의 작동은 대중교통의 요금 면제, 대중교통의 경로석 양보 등과 관련하여 활용성이 기대된다.
이외에 본체(10)의 내부에 작동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32), 길안내나 카메라(24)의 촬영을 위한 램프(34) 등을 구비한다. 램프(34)는 버튼(22)의 조작만으로 온오프시켜 조명등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수단이 이동에 관련된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표출하도록 표시창(36)과 스피커(38)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표시창(36)는 LED, LCD 등을 사용하며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스피커(38)는 여타의 구성품을 배치한 후에 여분의 영역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40)이 상기 감지수단과 표시수단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구조를 지닌다. 제어수단(4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탑재한 제어부(42)를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 알고리즘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갱신된다. 감지수단은 입력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표시수단은 출력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40)은 착용자의 공인된 신원 정보를 저장하는 RFID태그(44), 근거리 통신으로 정보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부(46),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처리하는 결제부(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FID태그(44)는 도ㆍ시ㆍ군청에서 사용자의 생년월일, 장애등급, 지문 등에 관한 신상 정보를 기록한다. 통신부(46)는 블루투스, 지그비, 비컨 방식 중에서 선택하여 구성되며, 지하철 역사나 버스 정류장에서 제공되는 정보 외에 펜던트 사용자간 정보도 교환한다. 결제부(48)는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의 요금 정산을 처리하는 것이지만 이외에 식당, 편의점 등의 결제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착용자의 자택이나 보호자 정보를 RFID태그(44)에 저장하면 길을 잃은 노약자의 신속한 귀가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감지수단으로 압전센서(26)를 본체(10)에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압전센서(26)는 소목에 착용된 펜던트를 통하여 사용자의 심박수 변동에 대한 신호를 검출하며, 외출시간은 물론 수면시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고독사 위험을 차단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압전센서(26)에 의한 기능은 전술한 비상용 버튼(22)의 기능에 준한다.
작동의 일예로서, 펜던트를 착용한 사용자가 버스나 지하철을 탑승하여 경로석 방향으로 이동하면, 경로석에 설치된 RFID리더 등의 독출기(도시 생략)가 이를 감지하고, 해당 사용자가 카메라(24)나 마이크(28)를 통하여 신원 인증을 거치면, 램프(34)나 스피커(38)를 통하여 착석이 가능한 상태임을 알린다. 만일 이미 경로석에 모두 인증을 거친 착석자가 있는 경우에는 연령, 장애등급 등을 고려하여 자리 양보 또는 현상 유지를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경합되는 사람 간에 정보를 비교하여 자리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되는 양자의 펜던트를 점멸하고, 자리 교체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착석한 사람의 펜던트를 일시적으로 점멸한다. 이에 따라 경로석 사용과 관련한 시비를 줄이고 상호 편리하게 외출ㆍ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와이어
12: 밴드 13: 수납릴
15: 투명창 22: 버튼
24: 카메라 26: 압전센서
28: 마이크 32: 배터리
34: 램프 36: 표시창
38: 스피커 40: 제어수단
42: 제어부 44: RFID태그
46: 통신부 48: 결제부

Claims (3)

  1. 노약자의 목적지 이동을 다기능으로 유도하는 장치에 있어서:
    휴대 가능한 케이싱을 지닌 본체(10);
    본체(10)에 노출된 조작용 버튼(22)을 구비하는 감지수단;
    이동에 관련된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표출하도록 표시창(36)과 스피커(38)를 구비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과 표시수단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카메라(24)를 이용한 지문 인식, 마이크(28)를 통한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40)은 착용자의 공인된 신원 정보를 저장하는 RFID태그(44), 근거리 통신으로 정보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부(46),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처리하는 결제부(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
KR1020170026785A 2017-02-28 2017-02-28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 KR101955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785A KR101955960B1 (ko) 2017-02-28 2017-02-28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785A KR101955960B1 (ko) 2017-02-28 2017-02-28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83A true KR20180099383A (ko) 2018-09-05
KR101955960B1 KR101955960B1 (ko) 2019-06-24

Family

ID=6359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785A KR101955960B1 (ko) 2017-02-28 2017-02-28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96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907A (ko) * 2005-10-13 2007-04-18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장착된 휴대폰을 이용한 원스톱 탑승방법
KR100885288B1 (ko) 2008-09-03 2009-02-2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용 노약자 착석 안내방법
KR20110026893A (ko) * 2009-09-09 2011-03-16 정승일 버스의 노약자 좌석 양보 시스템
KR101092062B1 (ko) 2009-10-15 2011-12-12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
KR20130019554A (ko) * 2011-08-17 2013-02-27 유비벨록스(주) 좌석 배치 시스템, 버스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좌석 배치 방법
KR20160058295A (ko) * 2014-11-14 2016-05-25 이명의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170021542A (ko) * 2015-08-18 2017-02-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장치,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907A (ko) * 2005-10-13 2007-04-18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장착된 휴대폰을 이용한 원스톱 탑승방법
KR100885288B1 (ko) 2008-09-03 2009-02-2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용 노약자 착석 안내방법
KR20110026893A (ko) * 2009-09-09 2011-03-16 정승일 버스의 노약자 좌석 양보 시스템
KR101092062B1 (ko) 2009-10-15 2011-12-12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
KR20130019554A (ko) * 2011-08-17 2013-02-27 유비벨록스(주) 좌석 배치 시스템, 버스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좌석 배치 방법
KR20160058295A (ko) * 2014-11-14 2016-05-25 이명의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170021542A (ko) * 2015-08-18 2017-02-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장치,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960B1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9129B2 (ja) 乗客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304017B (zh) 基于手腕穿戴式智能设备的呼梯操作
KR101868321B1 (ko) 대중교통 스마트 승하차 관리시스템
KR101315816B1 (ko)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KR20180053797A (ko) 장애인 탑승 사전 알림 기능을 갖춘 버스 안내 시스템
US201903756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096462B1 (ko) 전동휠체어 운용시스템
KR101713294B1 (ko)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60058295A (ko)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JP4468761B2 (ja) 身障者支援システム
KR101955960B1 (ko)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
KR102057005B1 (ko) 원격제어리모컨을 이용한 교통약자를 위한 버스안내시스템
KR20190030271A (ko)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JP5099912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KR20180044073A (ko) Rfid를 이용한 피보호자의 탑승정보에 따른 안전관리 시스템
JP2000244674A (ja) 施設利用者支援システム
JP7294538B2 (ja) 建物の交通管理システム
JP2005037786A (ja) 自動アナウンスシステム
KR102273972B1 (ko) 약자 승객 알림 시스템
JP2006271819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H1168653A (ja) 移動体通信機
KR20170040974A (ko)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JP2000200397A (ja) 緊急通報装置
JP2014196192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455796B2 (ja) 公衆浴場施設における利用者間連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