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816B1 -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816B1
KR101315816B1 KR1020130064683A KR20130064683A KR101315816B1 KR 101315816 B1 KR101315816 B1 KR 101315816B1 KR 1020130064683 A KR1020130064683 A KR 1020130064683A KR 20130064683 A KR20130064683 A KR 20130064683A KR 101315816 B1 KR101315816 B1 KR 101315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bled
elevator
unit
board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식
Original Assignee
(주)영진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진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영진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3006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1Single cal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61Call registering systems for priority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장애인정보관리수단을 구성하여 엘리베이터에 구성된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과 통신하여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며, 탑승 중인 승객들에게 장애인 탑승을 미리 알려 공간 확보를 유도하여 장애인이 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를 승강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호출이 가능하며, 탑승 중인 승객들에게 장애인 탑승을 미리 알려 공간 확보를 유도하여 장애인이 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들에게 엘리베이터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Elevator Priority Boarding System for disabled people.}
본 발명은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장애인정보관리수단을 구성하여 엘리베이터에 구성된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과 통신하여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며, 탑승 중인 승객들에게 장애인 탑승을 미리 알려 공간 확보를 유도하여 장애인이 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시설이 늘어나고 있으며, 고층 건물의 경우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으면 층간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엘리베이터 운영 장치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휠체어 사용자는 거동이 불편하므로 엘리베이터 내외부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입력버튼을 누르기가 어렵고, 장애인들이 탑승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공간 확보를 유도해야 하지만 막상 엘리베이터가 도착하여도 일반인들이 거리를 확보해야 탑승이 가능하므로 탑승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휠체어 탑승자가 엘리베이터를 승/하차하는 중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휠체어 탑승자가 휠체어 포함된 E/V호출버튼을 이용하여 거리가 다소 있는 곳에서도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일반인들이 장애인이 탑승할 것이라는 미리 알아 장애인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자연스럽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휠체어 이외에도 장애인이 항상 휴대할 수 있는 장애인카드 혹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 기술이 도입될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없음.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휠체어에 장애인정보관리수단을 구성하여 엘리베이터에 구성된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과 통신하여 엘리베이터를 승강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호출이 가능하며, 탑승 중인 승객들에게 장애인 탑승을 미리 알려 공간 확보를 유도하여 장애인이 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휠체어 이외에도 장애인이 항상 휴대할 수 있는 장애인카드 혹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시각 장애인을 위하여 엘리베이터 출입문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 안내 멘트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과 통신하여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애인정보관리수단이 설치 구성되는 휠체어(10);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E/V호출버튼(110),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저장하고 있는 장애인정보저장부(120), 상기 E/V호출버튼의 호출 신호 획득시, 장애인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장애인정보전송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정보관리수단(100);
장애인정보관리수단으로부터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받기 위한 장애인정보수신부(210), 상기 장애인정보수신부에 의해 전송되는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승강버튼에 구성되는 버튼램프에 점등 신호를 송출하는 승강버튼점등부(220),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230), 상기 장애인정보수신부에 의해 전송되는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상기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추출하여 엘리베이터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장애인탑승음성정보처리부(240),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E/V구동수단으로 송출하는 엘리베이터호출부(250),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휠체어에 장애인정보관리수단을 구성하여 엘리베이터에 구성된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과 통신하여 엘리베이터를 승강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호출이 가능하며, 탑승 중인 승객들에게 장애인 탑승을 미리 알려 공간 확보를 유도하여 장애인이 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들에게 엘리베이터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휠체어 이외에도 장애인이 항상 휴대할 수 있는 장애인카드 혹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엘리베이터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시각 장애인을 위하여 엘리베이터 출입문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 안내 멘트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엘리베이터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의 장애인정보관리수단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의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이하, 도면을 인용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발명으로서,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은,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과 통신하여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애인정보관리수단이 설치 구성되는 휠체어(10);
상기 휠체어에 탑재되어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장애인정보관리수단(100);
장애인정보관리수단과 무선 통신하여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받을 경우에 엘리베이터를 자동 호출하기 위한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의 장애인정보관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애인정보관리수단(100)은,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E/V호출버튼(110),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저장하고 있는 장애인정보저장부(120),
상기 E/V호출버튼의 호출 신호 획득시, 장애인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장애인정보전송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E/V호출버튼을 누르게 되면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장애인정보전송부(130)는 상기 E/V호출버튼의 호출 신호 획득시, 장애인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으로 송출하는 것이다.
상기 E/V호출버튼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가 위층인지 아래층인지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을 구성할 수 있으며, 해당 조작 신호를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으로 송출하게 되면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에서는 위층 엘리베이터 버튼 혹은 아래층 엘리베이터 버튼에 눌렸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램프 점등을 수행하게 된다.
장애인마다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장애인정보저장부(120)시키게 되면 해당 고유아이디값을 소유한 장애인의 신상 정보도 추가적으로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만약 외부모니터링수단과 연동이 가능하다면 현재 장애인이 위치한 장소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시각 장애인을 위하여 엘리베이터 출입문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 안내 멘트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엘리베이터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애인정보저장부는 거리 안내 멘트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E/V호출버튼을 누르게 되면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되고, 거리계산부(140)는 엘리베이터 출입문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음성거리안내부(150)는 거리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거리값을 획득하여 상기 거리 안내 멘트 정보에 매칭시켜 음성으로 거리를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출입문까지 1미터에 근접하였습니다.'라는 거리 안내 멘트 정보를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장애인정보관리수단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하여 스피커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의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200)은,
장애인정보관리수단으로부터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받기 위한 장애인정보수신부(210),
상기 장애인정보수신부에 의해 전송되는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승강버튼에 구성되는 버튼램프에 점등 신호를 송출하는 승강버튼점등부(220),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230),
상기 장애인정보수신부에 의해 전송되는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상기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추출하여 엘리베이터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장애인탑승음성정보처리부(240),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E/V구동수단으로 송출하는 엘리베이터호출부(250),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애인정보수신부(210)는 장애인정보관리수단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받게 된다.
상기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은 호출할 경우에 송출되는 것이므로 승강버튼점등부(220)는 장애인정보수신부에 의해 전송되는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승강버튼에 구성되는 버튼램프에 점등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버튼에는 버튼램프가 구성되어 승객이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점등되어 승객이 제대로 눌렀는지 확인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버튼램프에 점등 신호를 송출하여 점등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230)는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입니다. 장애인이 대기중입니다.' 라는 안내 멘트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애인탑승음성정보처리부(240)는 장애인정보수신부에 의해 전송되는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중앙제어부에서는 동작 명령을 제공하게 되고, 이를 수신받아 상기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추출하여 엘리베이터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이다.
또한, 중앙제어부에서 동작 명령을 제공하게 되며, 이를 수신받은 엘리베이터호출부(250)는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E/V구동수단으로 송출하는 것이다.
상기 E/V구동수단은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구성되는 수단으로 당업자들에게는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장애인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오픈 대기 시간을 종래처럼 유지하게 되면 탑승하기도 전에 클로즈되는 불편함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애인 탑승이 예상되면 해당 오픈 대기 시간을 늘려주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200)은,
장애인의 오픈 대기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오픈대기시간설정부(270),
엘리베이터 출입문이 오픈된 시점부터 오픈 대기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부(271),
카운팅부에 의해 설정된 오픈 대기시간의 카운팅이 완료되면, 승강도어개폐수단으로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클로즈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클로즈신호송출부(2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픈대기시간설정부(270)는 장애인의 오픈 대기 시간을 설정하여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시키게 된다.
상기 오픈 대기 시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단에는 이를 조작하기 위한 설정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운팅부(271)는 장애인 엘리베이터 호출시, 엘리베이터 출입문이 오픈된 시점부터 오픈 대기시간을 카운팅하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일반 오픈 대기 시간을 7초이고, 장애인 오픈 대기시간을 15초로 설정하게 된다면 15초를 카운팅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로즈신호송출부(272)는 카운팅부에 의해 설정된 오픈 대기시간의 카운팅이 완료되면, 승강도어개폐수단으로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클로즈 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도어개폐수단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설치 구성되는 수단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엘리베이터 내부에 정원초과시 장애인이 탑승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정원초과 되기 이전에 장애인의 탑승을 미리 알려 탑승 전에 승객들이 자발적으로 장애인 탑승시 양보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목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200)은,
장애인의 탑승을 대비하여 장애인 탑승 공간 확보 멘트 송출을 위한 중량값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중량값설정부(280),
엘리베이터 내의 중량값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값측정부(281),
상기 중량값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중량값이 설정된 중량값 범위일 경우에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공간 확보를 위한 안내 멘트를 추출하여 엘리베이터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장애인공간확보음성정보처리부(28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값설정부(280)는 장애인의 탑승을 대비하여 장애인 탑승 공간 확보 멘트 송출을 위한 중량값범위를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1,000kg이 정원 초과라면 전원 초과를 알리기 이전에 900kg으로 설정하게 되며, 장애인이 탑승 호출시, 미리 안내 멘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장애인공간확보음성정보처리부(282)는 중량값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중량값이 설정된 중량값 범위일 경우에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공간 확보를 위한 안내 멘트를 추출하여 엘리베이터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8층에 장애인 대기중입니다. 장애인이 탑승할 수 있도록 공간 확보를 부탁드리며, 정원 초과시 장애인에 대한 배려 부탁드립니다.'라는 안내 멘트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안내 멘트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시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애인카드 소지시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에 대한 구성은 하기와 같다.
즉,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장애인카드(500);
상기 장애인카드로부터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리딩하기 위한 장애인정보리딩부(290),
상기 장애인정보리딩부에 의해 리딩된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승강버튼에 구성되는 버튼램프에 점등 신호를 송출하는 승강버튼점등부(220),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230),
상기 장애인정보리딩부에 의해 전송되는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상기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추출하여 엘리베이터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장애인탑승음성정보처리부(240),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E/V구동수단으로 송출하는 엘리베이터호출부(250),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애인카드(500)는 장애인이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서, 카드에는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저장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버튼 주변에 구성된 장애인정보리딩부(290)에 접촉시키거나 근접시킬 경우에 장애인카드로부터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리딩하게 된다.
상기 통신은 근거리통신을 이용하게 되며, 예를 들어, NFC 통신, RFID 통신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게 되는 과정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동작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애인관리앱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장애인이 소지시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에 대한 구성은 하기와 같다.
즉, 장애인스마트폰(600)은,
장애인관리앱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기 위한 다운로드실행부(610),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장애인태그(620),
리딩시,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에 상기 장애인태그의 고유아이디값을 송출하기 위한 장애인태그정보송출부(630),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에서 송출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결과를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호출결과제공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다운로드실행부는 장애인관리앱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게 되며, 스마트폰 내부에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장애인태그(620)가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출입문에 구성된 장애인정보리딩부(290)에 리딩시키게 되면 장애인스마트폰으로부터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리딩하게 된다.
이후,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게 되는 과정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동작된다.
또한, 호출결과제공부(640)는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에서 송출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결과를 화면에 출력시키게 된다.
즉, 엘리베이터를 호출했다는 결과 정보를 화면에 출력시켜 장애인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에 의하면, 엘리베이터를 승강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호출이 가능하며, 탑승 중인 승객들에게 장애인 탑승을 미리 알려 공간 확보를 유도하여 장애인이 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들에게 엘리베이터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휠체어 이외에도 장애인이 항상 휴대할 수 있는 장애인카드 혹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엘리베이터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가진 여러 변형된 발명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장애인정보관리수단
200 :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
500 : 장애인카드
600 : 장애인스마트폰

Claims (8)

  1.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에 있어서,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과 통신하여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애인정보관리수단이 설치 구성되는 휠체어(10);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E/V호출버튼(110),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저장하고 있는 장애인정보저장부(120),
    상기 E/V호출버튼의 호출 신호 획득시, 장애인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장애인정보전송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정보관리수단(100);
    장애인정보관리수단으로부터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받기 위한 장애인정보수신부(210),
    상기 장애인정보수신부에 의해 전송되는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승강버튼에 구성되는 버튼램프에 점등 신호를 송출하는 승강버튼점등부(220),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230),
    상기 장애인정보수신부에 의해 전송되는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상기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추출하여 엘리베이터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장애인탑승음성정보처리부(240),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E/V구동수단으로 송출하는 엘리베이터호출부(250),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정보저장부는,
    거리 안내 멘트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되며,
    상기 장애인정보관리수단(100)은,
    엘리베이터 출입문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거리계산부(140),
    상기 거리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거리값을 획득하여 상기 거리 안내 멘트 정보에 매칭시켜 음성으로 거리를 알려주는 음성거리안내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200)은,
    장애인의 오픈 대기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오픈대기시간설정부(270),
    엘리베이터 출입문이 오픈된 시점부터 오픈 대기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부(271),
    카운팅부에 의해 설정된 오픈 대기시간의 카운팅이 완료되면, 승강도어개폐수단으로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클로즈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클로즈신호송출부(2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200)은,
    장애인의 탑승을 대비하여 장애인 탑승 공간 확보 멘트 송출을 위한 중량값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중량값설정부(280),
    엘리베이터 내의 중량값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값측정부(281),
    상기 중량값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중량값이 설정된 중량값 범위일 경우에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공간 확보를 위한 안내 멘트를 추출하여 엘리베이터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장애인공간확보음성정보처리부(28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5.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장애인카드(500);
    상기 장애인카드로부터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리딩하기 위한 장애인정보리딩부(290),
    상기 장애인정보리딩부에 의해 리딩된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승강버튼에 구성되는 버튼램프에 점등 신호를 송출하는 승강버튼점등부(220),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230),
    상기 장애인정보리딩부에 의해 전송되는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상기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추출하여 엘리베이터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장애인탑승음성정보처리부(240),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E/V구동수단으로 송출하는 엘리베이터호출부(250),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6.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에 있어서,
    장애인관리앱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기 위한 다운로드실행부(610),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장애인태그(620),
    리딩시,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에 상기 장애인태그의 고유아이디값을 송출하기 위한 장애인태그정보송출부(630),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에서 송출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결과를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호출결과제공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스마트폰(600);
    상기 장애인스마트폰으로부터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리딩하기 위한 장애인정보리딩부(290),
    상기 장애인정보리딩부에 의해 리딩된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승강버튼에 구성되는 버튼램프에 점등 신호를 송출하는 승강버튼점등부(220),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230),
    상기 장애인정보리딩부에 의해 전송되는 장애인 고유아이디값을 수신할 경우에 상기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탑승 안내 멘트 정보를 추출하여 엘리베이터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장애인탑승음성정보처리부(240),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E/V구동수단으로 송출하는 엘리베이터호출부(250),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200)은,
    장애인의 오픈 대기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오픈대기시간설정부(270),
    엘리베이터 출입문이 오픈된 시점부터 오픈 대기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부(271),
    카운팅부에 의해 설정된 오픈 대기시간의 카운팅이 완료되면, 승강도어개폐수단으로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클로즈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클로즈신호송출부(2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200)은,
    장애인의 탑승을 대비하여 장애인 탑승 공간 확보 멘트 송출을 위한 중량값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중량값설정부(280),
    엘리베이터 내의 중량값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값측정부(281),
    상기 중량값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중량값이 설정된 중량값 범위일 경우에 장애인탑승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장애인 공간 확보를 위한 안내 멘트를 추출하여 엘리베이터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장애인공간확보음성정보처리부(28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KR1020130064683A 2013-06-05 2013-06-05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KR10131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683A KR101315816B1 (ko) 2013-06-05 2013-06-05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683A KR101315816B1 (ko) 2013-06-05 2013-06-05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816B1 true KR101315816B1 (ko) 2013-10-08

Family

ID=4963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683A KR101315816B1 (ko) 2013-06-05 2013-06-05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81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314A (ko) 2014-07-23 2016-02-0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08943B1 (ko) * 2014-02-12 2016-04-04 주식회사 씨엠테크 천정크레인 탑승 감지장치
CN107505863A (zh) * 2017-10-10 2017-12-22 苏州诺乐智能科技有限公司 具有身份信息识别能力的电动轮椅控制系统
KR20210061178A (ko) 2019-11-19 2021-05-27 부산교통공사 영상인식을 통한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탑승 보조 시스템
KR20220091222A (ko) * 2020-12-23 2022-06-30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KR102416732B1 (ko) * 2022-01-03 2022-07-06 (주)서영티이씨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구축 시스템
KR102534316B1 (ko) * 2022-11-29 2023-05-26 주식회사 한림기업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승강기 탑승시 및 이용시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WO2024075207A1 (ja) * 2022-10-05 2024-04-11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利用者誘導システム、エレベーター利用者誘導用プログラム、情報端末、及びエレベーター利用者誘導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50A (ja) * 1993-07-12 1995-01-27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車椅子用エレベータ
JPH09188481A (ja) * 1996-01-09 1997-07-2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誘導システム
JP2003048671A (ja) * 2001-08-07 2003-02-2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エレベ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呼出タグ
KR20120069251A (ko) * 2010-12-20 2012-06-28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휠체어와 통신하는 자동 운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50A (ja) * 1993-07-12 1995-01-27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車椅子用エレベータ
JPH09188481A (ja) * 1996-01-09 1997-07-2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誘導システム
JP2003048671A (ja) * 2001-08-07 2003-02-2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エレベ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呼出タグ
KR20120069251A (ko) * 2010-12-20 2012-06-28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휠체어와 통신하는 자동 운전 장치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943B1 (ko) * 2014-02-12 2016-04-04 주식회사 씨엠테크 천정크레인 탑승 감지장치
KR20160012314A (ko) 2014-07-23 2016-02-0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505863A (zh) * 2017-10-10 2017-12-22 苏州诺乐智能科技有限公司 具有身份信息识别能力的电动轮椅控制系统
KR20210061178A (ko) 2019-11-19 2021-05-27 부산교통공사 영상인식을 통한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탑승 보조 시스템
KR20220091222A (ko) * 2020-12-23 2022-06-30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KR102458421B1 (ko) 2020-12-23 2022-10-26 대한민국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KR102416732B1 (ko) * 2022-01-03 2022-07-06 (주)서영티이씨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구축 시스템
WO2024075207A1 (ja) * 2022-10-05 2024-04-11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利用者誘導システム、エレベーター利用者誘導用プログラム、情報端末、及びエレベーター利用者誘導方法
KR102534316B1 (ko) * 2022-11-29 2023-05-26 주식회사 한림기업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승강기 탑승시 및 이용시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816B1 (ko)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CN102292277B (zh) 用于针对不利条件使用电梯设备的方法以及电梯设备
US11401134B2 (en) Elevator calling operation based on wrist wearable smart device
CN105849024B (zh) 使用个人终端设备向电梯系统提供控制命令
CA2732416C (en) Method of controlling a lift installation
KR101172000B1 (ko) 교통약자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JP6668520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
CN108016956A (zh) 移动设备访问的电梯活动级别管理
WO2012093985A1 (en) Elevator control for disabled persons
WO201817960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3151361A (ja) 昇降機器運転管理システム
CN107117503A (zh) 预期电梯搭乘时间的通信
CN106241524B (zh) 一种办公楼电梯调节系统
CN204917491U (zh) 一种基于移动互联网的电梯楼层智能控制装置
JP201701397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47570B1 (ko) 사용자 맞춤 동작을 수행하는 승강 시스템
KR101861090B1 (ko)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31212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cabin of an elevator system
JP2000244674A (ja) 施設利用者支援システム
CN104326336A (zh) 残疾人用电梯及其电梯控制方法
JP2010023934A (ja) エレベーター運転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4136624A (ja) エレベーター運転制御システム
CN207618812U (zh) 一种电梯告知系统
KR20210076789A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JP2012116575A (ja)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