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421B1 -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421B1
KR102458421B1 KR1020200182519A KR20200182519A KR102458421B1 KR 102458421 B1 KR102458421 B1 KR 102458421B1 KR 1020200182519 A KR1020200182519 A KR 1020200182519A KR 20200182519 A KR20200182519 A KR 20200182519A KR 102458421 B1 KR102458421 B1 KR 102458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 equipment
module
connection modul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1222A (ko
Inventor
이범석
권효순
심중한
노은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82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4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4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4Wireless link with a computer system 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장애 유형별로 마련된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다중이용장비에 부착되는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제어 명령을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에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통합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 유형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다중이용장비를 편리하게 제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중이용장비 이용 시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위험 상황 발생 시 안전 확보를 위한 외부와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Universal control system for Multiple-use equipment}
본 발명은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중이용시설에 사용자 편의 및 정보 안내 등을 위해 승강기, 키오스크 등의 다중이용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다중이용장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중이용장비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해야 한다.
그런데 현재까지 설치된 다중이용장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장애인의 입장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양한 장애인 유형까지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는 기대할 수 없었다.
한편 다중이용장비의 경우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점에서 감염 등에 상대적으로 장애인이 취약하다는 점에서, 다중이용장비 이용 시 접촉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아울러 위험 상황 발생 시 대처 능력이 상대적으로 장애인이 취약하다는 점에서 안전 확보를 위한 외부와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애 유형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다중이용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은 장애 유형별로 마련된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다중이용장비에 부착되는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제어 명령을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에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통합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은, 상기 다중이용장비에 상기 사용자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다중이용장비가 상기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외부 조작 장치에 연결된 외부조작장치 연결 모듈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조작장치 연결 모듈은 상기 외부 조작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제어 모듈은 상기 외부 조작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중이용장비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조작 장치는 휠체어 조이스틱일 수 있다.
상기 휠체어 조이스틱의 방향 조작 명령은 사용자 단말의 커서 조작에 대응하고, 상기 휠체어 조이스틱에 구비된 버튼 입력은 마우스 클릭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제어 모듈은,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로부터 다중이용장비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제어 모듈은,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에서 전달된 GPS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중이용장비에 대한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중이용장비에 대한 경로 안내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유형을 고려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통합 제어 모듈은, 비상 상황 시,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에서 전달된 다중이용장비 식별 정보, GPS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된 GPS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수신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은 상기 다중이용장비의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제어 모듈은 상기 다중이용장비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수신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 유형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다중이용장비를 편리하게 제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중이용장비 이용 시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위험 상황 발생 시 안전 확보를 위한 외부와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UI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조이스틱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 조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은 다중이용장비(100),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 사용자 단말(300), 외부 조작 장치(400) 및 외부조작장치 연결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이용장비(100)는 다중 이용 시설에 위치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승강기, 키오스크, 횡단보도 안내기, 승강장 안내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예시한 것 외에 다중이용장비(100)는 다중 이용 시설에 설치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다중이용장비(10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버튼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은 다중이용장비(100)에 부착되어 사용자 단말(300)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와 사용자 단말(300)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제어 명령을 다중이용장비(100)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하여, 다중이용장비(100)가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은 통신부(210), 제어부(230) 및 GPS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이 외부 장치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통신부(210)는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과 다중이용장비(100) 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이 부착된 다중이용장비(100)의 식별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다중이용장비(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다중이용장비(100)로부터 고장 등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GPS부(250)를 통해 획득된 GPS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다중이용장비(100)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다중이용장비(100)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는 사전에 사용자 단말(300)에 다운로드 되어 있거나,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는, 예컨대 승강기의 경우 해당 승강기가 운행하는 층 버튼, 문 열림 버튼, 문 닫힘 버튼, 승강기 오름 버튼, 승강기 내림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현재 층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GPS부(250)는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의 위치, 즉 다중이용장비(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GPS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이동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유니버셜 사용자 인터페이스(310), 무선 통신 모듈(330), 통합 제어 모듈(350) 및 GPS 모듈(37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니버셜 사용자 인터페이스(310) 및 통합 제어 모듈(350)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후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모듈(330)과 GPS 모듈(370)은 사용자 단말(300)에 기본 장착되어 있는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유니버셜 사용자 인터페이스(310)는 장애 유형별로 마련된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이용장비(100)가 1층부터 5층까지 운행하는 엘리베이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11)는 현재 층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고, 사용자로부터 목적층을 음성으로 입력 받도록 구현할 수 있다. 청각 장애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12)는 현재 층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1층부터 5층에 대응하는 층 버튼을 화면에 표시하여 목적층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 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언어 장애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13)는 언어 장애인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언어 장애인이 조작이 편하도록 시각적 UI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UI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첫 번째 이미지는 아래층으로 내려가는 엘리베이터 버튼, 두 번째 이미지는 위층으로 올라가는 엘리베이터 버튼, 세 번째 이미지는 1층 선택 버튼 등의 조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장애인이 직관적으로 엘리베이터 조작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4에서 예시한 것 외에 언어 장애인이 의미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는 이미지 UI, 음성 UI 및 외부조작장치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는 휠체어를 탑승한 지체 장애인에게 이미지 또는 음성으로 현재 층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외부조작장치 연결 인터페이스는 외부 조작 장치 연결 모듈(500)을 통해 전달된 휠체어 조이스틱 조작 정보에 따라 이미지 또는 음성으로 목적층을 1층부터 5층까지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면서 사용자로부터 목적층을 선택받는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장애 유형에 따라 음성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시각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조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예시한 것 외에 장애 유형별로 다중이용장비(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미리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30)은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이나 외부조작장치 연결 모듈(500) 등의 외부 장치와 사용자 단말(300)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외부조작장치 연결 모듈(500)은 외부 조작 장치(400)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조작 장치(400)는 휠체어 조이스틱 등과 같이 장애인이 해당 장치 조작을 위해 이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가령 휠체어 조이스틱이 전후좌우 또는 버튼 입력 등이 가능한 경우, 외부조작장치 연결 모듈(500)은 전후좌우 또는 버튼 입력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조이스틱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 조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휠체어 조이스틱(400')의 조이스틱 방향(→, ←, ↑, ↓)을 조작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휠체어 조이스틱(400')에 구비된 버튼(L, R)은 마우스 클릭 버튼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휠체어 조이스틱(400')에 외부조작장치 연결 모듈(500)이 연결되어 휠체어 조이스틱(400')에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통합 제어 모듈(350)은 사용자의 장애 유형에 맞추어 장애 유형별로 마련된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다중이용장비(100)에 대한 사용자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통합 제어 모듈(350)은 외부 조작 장치(400)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기초로 다중이용장비(10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한편 통합 제어 모듈(350)은 호출 신호(Wake-up signal)를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에 전송하여(또는 방송하여), 이를 수신한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로부터 다중이용장비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합 제어 모듈(350)은 호출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응답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다중이용장비(1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가령 다중이용장비의 식별 정보와 함께 승강기, 승강기 위치(또는 이름) 등을 포함하는 다중이용장비 정보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다중이용장비 정보는 사전에 다중이용장비의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사용자 단말(300)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서비스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다중이용장비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해당 다중이용장비 정보를 제공받아서 화면에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호출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응답 신호가 복수 개인 경우, 예컨대 사용자 단말(300)의 근거리에 위치하는 다중이용장비(100)가 복수 개이면, 통합 제어 모듈(350)은 이를 모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 대상을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근거리 순으로 미리 정해진 개수만 표시하고 제어 대상을 선택받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다중이용장비 유형 별로 미리 정해진 개수만 표시하고 제어 대상을 선택받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합 제어 모듈(350)은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에서 전달된 GPS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300)에서 획득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중이용장비에 대한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가령 통합 제어 모듈(350)에 다중이용장비가 설치된 장소 부근에 대한 맵(map)이 있고, 내비게이션 알고리즘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에서 다중이용장비(100) 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할 수 있다. 물론 양 GPS 위치 정보를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하고, 그에 따라 제공되는 경로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표출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통합 제어 모듈(350)에서 제공하는 경로 안내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을 고려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 계단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계단을 지나지 않는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통합 제어 모듈(350)은 비상 상황 시,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에서 전달된 다중이용장비 식별 정보, GPS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100)에서 획득된 GPS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수신처, 예컨대 보호자, 경찰서, 소방서 또는 다중이용시설 관리자 등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통합 제어 모듈(350)은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200)로부터 전송된 다중이용장비(100)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수신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장애 유형별로 마련된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다중이용장비에 부착되는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제어 명령을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에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통합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외부 조작 장치에 연결된 외부조작장치 연결 모듈과 무선 통신하며,
    상기 외부조작장치 연결 모듈은 상기 외부 조작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 제어 모듈은 상기 외부 조작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중이용장비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로 전송되게 하는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서,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은,
    상기 다중이용장비에 상기 사용자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다중이용장비가 상기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는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서,
    상기 외부 조작 장치는 휠체어 조이스틱인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서,
    상기 휠체어 조이스틱의 방향 조작 명령은 사용자 단말의 커서 조작에 대응하고, 상기 휠체어 조이스틱에 구비된 버튼 입력은 마우스 클릭에 대응하는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6.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서,
    상기 통합 제어 모듈은,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로부터 다중이용장비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7.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서,
    상기 통합 제어 모듈은,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에서 전달된 GPS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중이용장비에 대한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서,
    상기 다중이용장비에 대한 경로 안내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유형을 고려하여 제공되는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9.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서,
    상기 통합 제어 모듈은,
    비상 상황 시,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에서 전달된 다중이용장비 식별 정보, GPS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된 GPS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수신처로 전송하는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10.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서,
    상기 다중이용장비 연결 모듈은 상기 다중이용장비의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 제어 모듈은 상기 다중이용장비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수신처로 전송하는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KR1020200182519A 2020-12-23 2020-12-23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KR102458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519A KR102458421B1 (ko) 2020-12-23 2020-12-23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519A KR102458421B1 (ko) 2020-12-23 2020-12-23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222A KR20220091222A (ko) 2022-06-30
KR102458421B1 true KR102458421B1 (ko) 2022-10-26

Family

ID=8221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519A KR102458421B1 (ko) 2020-12-23 2020-12-23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4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816B1 (ko) 2013-06-05 2013-10-08 (주)영진엘리베이터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KR101606340B1 (ko) 2015-08-20 2016-03-24 윤진욱 비콘과 장애인용 도구를 활용한 주변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069300B1 (ko) * 2012-08-23 202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 장치 및 그의 ui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713A (ko) * 2017-01-13 2018-07-23 장재순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982525B1 (ko) * 2017-07-13 2019-05-29 주식회사 세한알에프시스템 비콘 기반의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300B1 (ko) * 2012-08-23 202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 장치 및 그의 ui 제공 방법
KR101315816B1 (ko) 2013-06-05 2013-10-08 (주)영진엘리베이터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KR101606340B1 (ko) 2015-08-20 2016-03-24 윤진욱 비콘과 장애인용 도구를 활용한 주변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222A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1156B (zh) 使用路线和轿厢选择方法进行电梯系统的目的地呼叫请求的多模式用户界面
CN103803360B (zh) 方法、呼叫给定设备、电梯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KR102178109B1 (ko) 재실자에게 피난경로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재실자에게 피난경로 안내정보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 및 그 제어방법
JP2019005819A (ja) 遠隔操作型移動ロボットおよび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
WO2012093985A1 (en) Elevator control for disabled persons
US11485606B2 (en) Smartwatch and elevator and guide system
JP2001304908A (ja) 車椅子利用者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車椅子利用者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6760750B2 (ja) 車椅子介助システム
JP2008303071A (ja) エレベータ設備への音響命令入力用の入力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7232309B1 (ja) 携帯機器の拡張現実を利用した在室者の避難経路案内方法及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
JP661092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23401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WO2020255220A1 (ja) 支援者選定装置、支援者選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56678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458421B1 (ko)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KR101947570B1 (ko) 사용자 맞춤 동작을 수행하는 승강 시스템
KR20210085031A (ko)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US10728258B2 (en) Method for providing an access device for a personal data source
JP2002128406A (ja)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たビル内案内システム
JP2017081746A (ja) 行先階登録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2023018418A (ja) 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情報生成システム、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用プログラム、及び情報端末
JP6806195B2 (ja) 情報取得部および行先階登録装置
KR20120069251A (ko) 휠체어와 통신하는 자동 운전 장치 및 방법
JP2002163760A (ja) 誘導案内システム、誘導案内装置、誘導案内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7372048B2 (ja) 誘導装置及び誘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