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525B1 - 비콘 기반의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콘 기반의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525B1
KR101982525B1 KR1020180009746A KR20180009746A KR101982525B1 KR 101982525 B1 KR101982525 B1 KR 101982525B1 KR 1020180009746 A KR1020180009746 A KR 1020180009746A KR 20180009746 A KR20180009746 A KR 20180009746A KR 101982525 B1 KR101982525 B1 KR 101982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bled
service
information
facility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068A (ko
Inventor
채정희
홍현진
우윤선
장연홍
신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한알에프시스템
채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한알에프시스템, 채정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한알에프시스템
Publication of KR2019000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장애인 등록 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한 장애인 서비스 대상 인증을 수행하여, 장애인 서비스 대상을 등록하는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비콘 기반의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 {DISABLED PERSON SERVICE SYSTEM BASED ON BEACON}
본 발명은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비콘 기반의 장애인 교통 시설, 편의 시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복지사회로 전환과 함께 장애인 인권 향상 등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장애인과 같은 교통 약자를 위한 교통 시설, 편의 시설들에 투자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교통 약자를 위한 투자 및 개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교통 약자가 교통 시설, 편의 시설들을 이용하기에는 여전히 불편함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버스, 지하철 등과 같은 교통 시설을 이용함에 있어, 교통 약자들은 여전히 교통 카드, 신용 카드를 리더기에 접촉하여 결제를 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리프트, 엘리베이터와 같은 편의 시설을 이용함에 있어 일반인과 동일하게 동작 버튼, 호출 버튼을 눌러서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교통 약자를 위한 교통 시설, 편의 시설을 확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 존재하는 교통 시설, 편의 시설을 교통 약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배경이되는 특허문헌 : 공개 특허 공보 제10-2015-0087471호(2015.07.30.)
본 발명의 목적은 교통 시설 이용을 위한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편의 시설 이용을 위한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을 위한 보호자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제공에 이용되는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장애인 등록 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한 장애인 서비스 대상 인증을 수행하여, 장애인 서비스 대상을 등록하는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장애인 등록 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하는 단계,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한 장애인 서비스 대상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인증된 경우 장애인 서비스 대상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교통 시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 교통 시설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이용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메모리에 장애인 교통 시설 이용을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되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을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교통 시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며, 교통 시설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전송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변 영역을 스캔하여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교통 시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교통 시설 및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생성되는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정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산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금융 서버에 전송하는 교통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편의 시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 편의 시설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편의 시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이용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메모리에 장애인 편의 시설 이용을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되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을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편의 시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며, 편의 시설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편의 시설에 송신 하게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시설 이용을 위한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편의 시설 이용을 위한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인을 위한 보호자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제공에 이용되는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시설 이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의 시설 이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장애인 편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100),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 보호자 단말(1400), 교통 관제 서버(1300), 교통 시설(1600), 편의 시설(1500) 및 금융 서버(17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0)은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사용자로부터 장애인 등록 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0)은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100)은 휴대폰, 핸드폰, 스마트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의 모바일 단말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한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0)은 지문, 홍채 등의 생체 인증 기술 또는 인증서, 아이핀(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i-PIN) 등의 전자 문서에 대한 인증 기술을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한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본인 인증된 경우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본인 인증을 수행하여 본인 인증을 통과한 경우에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송신하고, 본인 인증을 통과하지 못한 경우에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보호자 안심 서비스에 대한 동의 여부를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시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사용자로부터 보호자 안심 서비스에 대한 동의 여부를 입력 받고, 장애인 등록 번호 및 보호자 안심 서비스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자 안심 서비스란 장애인에 대한 법적 보호자(예, 후견인)의 단말, 미리 지정된 단말 등의 보호자 단말(1400)에 장애인 서비스 이용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장애인 서비스 이용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0)은 보호자 안심 서비스에 대한 동의 및 보호자 단말(1400)의 정보(예, 전화번호,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란 교통 시설 이용 정보 생성, 편의 시설 이용 정보 생성 등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1000)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100)에서 요구되는 알고리즘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0)은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 등 외부 기기를 통해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0)은 생성된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 신호는 교통 시설(1600)이 비콘 통신 모듈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반드시 비콘 신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0)은 대기 모드 상태에서 교통 시설(160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시키고, 활성화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에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장애인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장애인 서비스 리스트란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교통 시설(1600)의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장애인 서비스 리스트는 버스, 지하철 등의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비콘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에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경우, 해당 명령어에 따라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대기 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모드는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기 전의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대기 모드는 교통 시설(1600)이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100)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상태(예, 블루투스 모듈이 켜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0)은 생성된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편의 시설(15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편의 시설 이용 정보는 관리자 호출 신호, 편의 시설(1500)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의 시설(1500)이 엘리베이터인 경우, 편의 시설 이용 정보는 호출 또는 특정 층으로 운행하라는 편의 시설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0)은 생성된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0)은 대기 모드 상태에서 교통 시설(160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시키고, 활성화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에 편의 시설(15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편의 시설(1500)의 식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장애인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며,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장애인 서비스 리스트란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편의 시설의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장애인 서비스 리스트는 장애인 전용 리프트,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 등의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비콘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에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경우, 해당 명령어에 따라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대기 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모드는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기 전의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대기 모드는 편의 시설(1500)이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100)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상태(예, 블루투스 모듈이 켜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장애인 서비스 대상을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수신된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한 장애인 서비스 대상 인증을 할 수 있다.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장애인 서비스 대상으로 인증된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장애인 서비스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장애인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수신된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장애인 등록 번호를 기반으로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장애인 등록 정보를 조회하여, 장애인 서비스 등록 대상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장애인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외부 서버에 장애인 서비스 등록 대상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수신된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장애인 등록 번호를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장애인 등록 대상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보호자 안심 서비스를 포함하여 장애인 서비스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보호자 안심 서비스에 대한 동의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수신한 경우, 보호자 단말(1400)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로써, 장애인 서비스 등록 대상이 장애인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 이용 내역이 보호자 단말(1400)에 전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보호자 단말(1400)은 장애인의 보호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수신된 이용 내역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거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수신된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기반으로 거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생성된 거래 정보를 교통 관제 서버(1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래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0)의 식별 정보,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 승하차 시간, 위치, 이용 대금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교통 관제 서버(1300)는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시설 이용 대금 결제를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교통 관제 서버(1300)는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로부터 거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교통 관제 서버(1300)는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시설 이용 대금을 산정하여 금융 서버(1700)에 결제 요청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통 관제 서버(1300)는 교통 시설 이용 대금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관제 서버(1300)는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수신된 거래 정보에 포함된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 승하차 시간, 위치, 이용 대금 정보, 장애인 등록 번호 등을 기반으로 교통 시설 이용 대금을 산정할 수 있다.
교통 시설(1600)은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교통 시설(1600)은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 위치, 시간, 이용 대금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11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시설(1600)은 버스, 지하철 등 운송 수단에 한정되지 않으며, 결제가 요구되는 건물의 출입, 시설 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통 시설(1600)은 사용자 단말(1100)과 통신하기 위한 비콘, 블루투스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통 시설(1600)은 사용자 단말(1100)이 인식되면 신호를 사용자 단말(11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시설(1600)은 대기 모드 상태에 있는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0) 식별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1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통 시설(1600)이 송신하는 신호는 사용자 단말(1100)에 설치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통 시설(1600)은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통 시설(1600)은 비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비콘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편의 시설(1500)은 편의 시설(15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편의 시설(1500)은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편의 시설(1500)의 식별 정보, 위치, 시간, 이용 대금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1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의 시설(1500)은 사용자 단말(1100)이 인식되면 신호를 사용자 단말(11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의 시설(1500)은 대기 모드 상태에 있는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0) 식별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 편의 시설(15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11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편의 시설(1500)은 리프트, 엘리베이터 등의 한정되지 않으며, 이용 대금이 요구되지 않은 출입 게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의 시설(1500)은 사용자 단말(1100)과 통신하기 위한 비콘, 블루투스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의 시설(1500)이 송신하는 신호는 사용자 단말(1100)에 설치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의 시설(1500)은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의 시설(1500)은 비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편의 시설(15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비콘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의 시설(1500)은 편의 시설 이용 정보에 포함된 편의 시설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의 시설(1500)은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편의 시설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편의 시설(1500)은 수신된 편의 시설 이용 정보에 포함된 편의 시설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의 시설(1500)이 엘리베이터이고, 편의 시설 제어 정보가 특정 층으로 이동하는 명령인 경우를 가정하면, 편의 시설(1500)은 수신된 편의 시설 이용 정보에 포함된 편의 시설 제어 명령에 따라 특정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금융 서버(1700)는 교통 시설 이용 대금을 결제한다. 구체적으로, 금융 서버(1700)는 교통 관제 서버(1300)로부터 산정된 교통 시설 이용 대금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금용 서버는 수신된 결제 요청에 포함된 교통 시설 이용 대금을 결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1000)에 의해 상기 방법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010에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장애인 등록 번호, 이름, 나이, 주소, 전화 번호, 본인 인증에 이용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보호자 안심 서비스에 대한 동의 여부를 더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 S2020에서, 본인 인증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한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0)은 지문, 홍채 등의 생체 인증 기술 또는 인증서, 아이핀(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i-PIN) 등의 전자 문서에 대한 인증 기술을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한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030에서,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이 송신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보호자 안심 서비스에 대한 동의 여부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본인 인증된 경우에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2040에서, 장애인 서비스 등록 대상이 인증된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장애인 등록 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장애인 등록 번호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등록 대상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수신된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장애인 등록 번호를 기반으로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장애인 등록 정보를 조회하여, 장애인 서비스 등록 대상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장애인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외부 서버에 장애인 서비스 등록 대상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수신된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장애인 등록 번호를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장애인 등록 대상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050에서, 장애인 서비스가 등록된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수신된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한 장애인 서비스 등록 대상으로 인증이 된 경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장애인 서비스 대상으로 동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보호자 안심 서비스를 포함하여 장애인 서비스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보호자 안심 서비스에 대한 동의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수신한 경우, 보호자 단말(1400)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로써, 장애인 서비스 등록 대상이 장애인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 이용 내역이 보호자 단말(1400)에 전송될 수 있게 된다.
단계 S2060에서, 교통 시설(1600) 또는 편의 시설 이용 여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되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가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인 경우, 교통 시설 이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되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가 편의 시설(1500)의 식별 정보인 경우, 편의 시설 이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070에서, 교통 시설 이용 정보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교통 시설(16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된 비콘 신호에 포함된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 신호는 교통 시설(1600)이 비콘 통신 모듈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반드시 비콘 신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0)은 대기 모드 상태에서 교통 시설(160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시키고, 활성화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에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장애인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며,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장애인 서비스 리스트란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교통 시설(1600)의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장애인 서비스 리스트는 버스, 지하철 등의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비콘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에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경우, 해당 명령어에 따라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대기 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모드는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기 전의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대기 모드는 교통 시설(1600)이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100)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상태(예, 블루투스 모듈이 켜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생성된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080에서, 거래 정보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수신된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기반으로 거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생성된 거래 정보를 교통 관제 서버(1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래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0)의 식별 정보,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 승하차 시간, 위치, 이용 대금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90에서, 결제 요청이 송신된다. 구체적으로, 교통 관제 서버(1300)는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로부터 거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교통 관제 서버(1300)는 수신된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시설 이용 대금을 산정할 수 있다. 교통 관제 서버(1300)는 산정된 교통 시설 이용 대금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금융 서버(17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금융 서버(1700)는 교통 시설 이용 대금으로부터 수신된 결제 요청을 기반으로 교통 시설 이용 대금을 결제할 수 있다.
단계 S2100에서, 편의 시설 이용 정보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0)은 생성된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편의 시설(15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편의 시설 이용 정보는 관리자 호출 신호, 편의 시설(1500)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의 시설(1500)이 엘리베이터인 경우, 편의 시설 이용 정보는 특정 층으로 운행하라는 편의 시설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0)은 생성된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 신호는 편의 시설(1500)이 비콘 통신 모듈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반드시 비콘 신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0)은 대기 모드 상태에서 교통 시설(160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시키고, 활성화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에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장애인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며,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장애인 서비스 리스트란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편의 시설(1500)의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장애인 서비스 리스트는 장애인 전용 리프트,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 등의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비콘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를 기반으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에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경우, 해당 명령어에 따라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대기 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모드는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기 전의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대기 모드는 편의 시설(1500)이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100)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상태(예, 블루투스 모듈이 켜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단계 S2110에서, 보호자 안심 서비스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교통 시설 이용 정보 또는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수신된 교통 시설 이용 정보 또는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1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교통 시설 이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 승하차 시간, 위치 정보, 이용 대금 정보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1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편의 시설 이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편의 시설(1500)의 식별 정보, 승하차 시간, 위치, 이용 대금 정보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1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보호자 안심 서비스를 포함하여 장애인 서비스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는 보호자 안심 서비스에 대한 동의를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사용자 단말(1100)로부터 수신한 경우, 보호자 단말(1400)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로써, 장애인 서비스 등록 대상이 장애인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 이용 내역이 보호자 단말(1400)에 전송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시설 이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도 3를 참조하면, 단계 S3010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에서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 S3020에서, 비콘 신호가 수신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에서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 신호는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 위치, 이용 대금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신호는 편의 시설(1500)이 비콘 통신 모듈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반드시 비콘 신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일 실시예에서, 비콘 신호는 사용자 단말(1100)에 설치된 장애인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30에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에 장애인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0)에 설치된 장애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3040에서, 교통 시설 이용 정보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통 시설 이용 정보는 교통 시설(1600)의 식별 정보, 승하차 시간, 이용 위치 이용 대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50에서, 교통 시설 이용 정보가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교통 시설(16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한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의 시설 이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0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에서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 S4020에서, 비콘 신호가 수신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에서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 신호는 편의 시설(1500)의 식별 정보, 위치, 이용 대금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신호는 편의 시설(1500)이 비콘 통신 모듈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반드시 비콘 신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일 실시예에서, 비콘 신호는 사용자 단말(1100)에 설치된 장애인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30에서,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에 장애인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0)에 설치된 장애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4040에서, 편의 시설 이용 정보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의 시설 이용 정보는 편의 시설(1500)의 식별 정보, 이용 시간,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의 시설 이용 정보는 편의 시설(1500)을 동작 시키기 위한 편의 시설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편의 시설(1500)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의 시설(1500)이 엘리베이터인 경우를 전제로, 사용자 단말(1100)은 엘리베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명령을 편의 시설 제어 명령으로 생성하여 편의 시설 이용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계 S4050에서, 편의 시설 이용 정보가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0)은 편의 시설(150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한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해당 편의 시설(1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0)은 생성된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장애인 편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장애인 편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0),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1200), 교통 관제 서버(1300), 보호자 단말(1400), 편의 시설(1500), 교통 시설(1600) 및 금융 서버(1700) 등의 컴퓨터 시스템(50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010), 메모리(5020), 저장부(50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부(50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부(50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버스(506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5000)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7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0)는 메모리(5020) 및/또는 저장소(5030)에 저장된 처리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CPU 또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메모리(5020) 및 저장부(5030)는 다양한 유형의 휘발성/비휘발성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0 : 사용자 단말
1200 :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
1300 : 교통 관제 서버
1400 : 보호자 단말
1500 : 편의 시설
1600 : 교통 시설
1700 : 금융 서버

Claims (5)

  1.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 및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애인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 및
    상기 장애인 편의 시설 이용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편의 시설을 포함하는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한 본인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상기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편의 시설로부터 편의 시설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편의 시설의 식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장애인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상기 장애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편의 시설 이용 정보를 상기 편의시설로 전송하며,
    상기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는,
    상기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장애인 서비스 등록 대상을 등록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에 상기 메모리에 상기 장애인 서비스 등록을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되며,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한 장애인 서비스 대상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된 경우 장애인 서비스 대상을 등록하게 하는 상기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편의 시설은,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편의 시설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편의 시설 이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편의 시설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편의 시설은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리프트, 엘리베이터, 출입 게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편의 시설 이용 정보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엘리베이터, 출입게이트 중 하나 이상의 편의시설은 상기 편의 시설 제어 명령을 기초로 장애인의 의사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서비스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교통 시설 이용 대금 결제를 요청하는 교통 관제 서버;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교통 시설 및
    교통 시설 이용 대금을 결제하는 금융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교통 시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장애인 서비스 관리 서버는,
    상기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 대금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통 관제 서버는,
    상기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시설 이용 대금을 산정하여 상기 교통 시설 이용 대금 결제를 금융 서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서비스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시설 이용 정보는,
    상기 교통 시설의 식별 정보, 승하차 시간, 위치 및 이용 대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편의 시설 이용 정보는,
    편의 시설의 식별 정보, 이용 시간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서비스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장애인 서비스 등록 대상으로 등록된 경우, 등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서비스 관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시설 이용 정보 및 교통 시설 이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보호자 단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애인 서비스 등록 요청은,
    보호자 안심 서비스에 대한 동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편의 시설 이용 정보 및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장애인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편의 시설 이용 정보 및 교통 시설 이용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서비스 관리 시스템.

KR1020180009746A 2017-07-13 2018-01-26 비콘 기반의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 KR101982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9154 2017-07-13
KR1020170089176 2017-07-13
KR20170089176 2017-07-13
KR20170089092 2017-07-13
KR1020170089154 2017-07-13
KR1020170089092 2017-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68A KR20190008068A (ko) 2019-01-23
KR101982525B1 true KR101982525B1 (ko) 2019-05-29

Family

ID=6532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746A KR101982525B1 (ko) 2017-07-13 2018-01-26 비콘 기반의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208B1 (ko) 2022-07-07 2023-01-10 캥스터즈 주식회사 인공 지능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복지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 그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034B1 (ko) * 2019-06-26 2020-08-06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장애인을 고려한 인증 및 보안 시스템
KR102208323B1 (ko) * 2020-08-26 2021-01-27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키오스크 제어 리모컨 시스템
KR102458421B1 (ko) * 2020-12-23 2022-10-26 대한민국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241A (ko) * 2012-08-28 2014-03-10 주식회사 케이티 결제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140127948A (ko) * 2013-04-25 2014-11-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승하차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50087471A (ko) * 2014-01-21 2015-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중 교통 승·하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27345A (ko) * 2014-05-07 2015-11-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인증 모듈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208B1 (ko) 2022-07-07 2023-01-10 캥스터즈 주식회사 인공 지능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복지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 그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68A (ko)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525B1 (ko) 비콘 기반의 장애인 서비스 시스템
CN103145008B (zh) 电梯系统
US20030065626A1 (en) User verification for conducting health-related transactions
WO20130200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of data securely between electronic devices
EP3971847A1 (en) Building acces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21182432A (ja) 停車地点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10727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2007087334A (ja) 訪問者認証方法、訪問者認証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8022448A (ja) 鉄道利用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051799A (ja) 認証端末、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38689B1 (ja) 通行許可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29785A (ko) 교통 요금 결제 단말기
JP6783532B2 (ja) 改札管理装置、および自動改札機システム
WO2023281747A1 (ja) サービス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7485191B2 (ja) サーバ装置、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4084713A1 (ja) 端末、システム、端末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6851660B1 (ja) 障害者支援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KR20200009661A (ko) 보안성을 갖춘 nfc 통신 및 생체정보 기반의 운전자 인증 및 차량 제어 시스템
JP2006175125A (ja) 端末機付き車椅子及び車椅子利用者の個人認証システム
WO2024053038A1 (ja) 宿泊支援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WO2024122003A1 (ja) サーバ装置、システム、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20230120837A (ko) 공항 출입증의 발급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867888B1 (ko) 비콘 기반의 전자 티켓 관리 시스템
JP2024002281A (ja) 乗車管理サーバ、車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03184381A (ja) 入室管理方法及びその実施システム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