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314A -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314A
KR20160012314A KR1020140093386A KR20140093386A KR20160012314A KR 20160012314 A KR20160012314 A KR 20160012314A KR 1020140093386 A KR1020140093386 A KR 1020140093386A KR 20140093386 A KR20140093386 A KR 20140093386A KR 20160012314 A KR20160012314 A KR 20160012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ensor
rfid card
code
disabled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운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314A/ko
Publication of KR20160012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애인이 소지한 RFID 카드나 센서를 감지하는 인식장치를 해당 건물 및 엘리베이터 카 내에 설치하여, 장애인의 출입 시 출입문 개폐와 더불어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및 등록, 세대 내 자동알림 서비스 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건물의 출입구 외부에 설치된 코드인식부 측으로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 입력이 이루어졌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인식부 측으로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 입력이 이루어짐에 따라, 출입문이 개방되는 단계와; 상기 코드인식부 측으로 입력된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 정보가 제어부 측으로 전송된 후 분석되어, 장애인용 코드인가의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와; 상기 코드인식부 측으로 입력된 식별코드 정보가 장애인용 코드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로비층의 엘리베이터 콜버튼의 자동 등록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콜버튼 등록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도착 후, 카 내에 구비된 코드인식부를 매개로 장애인용 식별코드의 입력이 이루어졌는가의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와; 상기 카 내의 코드인식부에 입력된 식별코드가 장애인용 코드로 판단됨에 따라, 해당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층 입력버튼의 자동 등록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목적층 입력버튼의 자동 등록 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에 구비된 알림장치를 통해 장애인의 엘리베이터 카 탑승 및 하차 상태가 출력되는 단계;의 과정으로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UTOMATIC CONTROL SYSTEM OF ELEVATOR BASED ON HANDICAPPED PERSON IDENTIFICA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이 소지한 RFID 카드나 센서를 감지하는 인식장치를 해당 건물 및 엘리베이터 카 내에 설치하여, 장애인의 출입 시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및 등록, 세대 내 자동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건물 내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데 있어서는 시각장애인이나 휠체어 탑승 장애인을 비롯한 신체 장애인도 엘리베이터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특정 기능을 갖는 장애인용 엘리베이터가 적용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장애인 중, 타인의 도움이 없이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이나 조작이 불가능한 장애인의 경우,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건물 내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건물 내부의 보안을 목적으로 RFID 카드 등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RFID 카드를 이용한 건물의 출입 통제 시스템은 본래의 기능인 보안목적 이외에 장애인을 위한 별도의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음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인의 도움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장애인의 경우, 해당 건물의 출입 및 엘리베이터의 이용 등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31581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장애인이 소지한 RFID 카드나 센서를 감지하는 인식장치를 해당 건물 및 엘리베이터 카 내에 설치하여, 장애인의 출입 시 출입문 개폐와 더불어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및 등록, 세대 내 자동알림 서비스 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은, 각 장애인이 휴대하는 것으로서, 해당 장애인에 대한 목적층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가 포함된 식별코드가 저장된 RFID 카드 또는 센서와; 건물 내부 및 엘리베이터 카 내에 설치되어, 각 장애인이 휴대한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코드인식부와; 상기 코드인식부로부터 인식된 각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콜버튼 및 목적층 입력버튼의 자동등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및; 각 RFID 카드 또는 센서를 휴대하는 장애인의 목적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특정 장애인의 엘리베이터 이용 시 해당 장애인의 목적지에 설치된 기기를 통해 장애인의 탑승 및 하차정보를 출력시키는 알림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각 장애인이 휴대한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코드인식부는 건물 현관의 출입문 외부에 더 구비되며, 상기 출입문 외부의 코드인식부는 출입문 제어장치와 연계되어, 출입문의 자동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건물의 출입구 외부에 설치된 코드인식부 측으로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 입력이 이루어졌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인식부 측으로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 입력이 이루어짐에 따라, 출입문이 개방되는 단계와; 상기 코드인식부 측으로 입력된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 정보가 제어부 측으로 전송된 후 분석되어, 장애인용 코드인가의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와; 상기 코드인식부 측으로 입력된 식별코드 정보가 장애인용 코드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로비층의 엘리베이터 콜버튼의 자동 등록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콜버튼 등록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도착 후, 카 내에 구비된 코드인식부를 매개로 장애인용 식별코드의 입력이 이루어졌는가의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와; 상기 카 내의 코드인식부에 입력된 식별코드가 장애인용 코드로 판단됨에 따라, 해당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층 입력버튼의 자동 등록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목적층 입력버튼의 자동 등록 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에 구비된 알림장치를 통해 장애인의 엘리베이터 카 탑승 및 하차 상태가 출력되는 단계의 과정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이 소지한 RFID 카드나 센서를 감지하는 인식장치를 해당 건물 내.외부 및 엘리베이터 카 내에 설치하여, 장애인의 출입 시 출입문의 개폐와 더불어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및 등록, 세대 내 자동알림 서비스 등이 제공되도록 하므로서, 장애인들이 보다 편리하게 사무실이나 세대 내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장애인을 위한 기반시설이 충분치 않은 현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기능을 다양한 분야에 접목시킴에 따라, 장애인들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은, 식별코드가 내장된 상태로 장애인이 휴대하는 RFID 카드 또는 센서(10)를 감지하기 위한 코드인식부(20)를 해당 건물 및 엘리베이터 카 내에 설치하여, 장애인의 출입 시 출입문 개폐와 더불어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및 등록, 세대 내 자동알림 서비스 등이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은, 장애인이 휴대하는 RFID 카드 또는 센서(10)와, 건물 내.외부 및 엘리베이터 카 내에 설치되는 코드인식부(20)와, 상기 RFID 카드 또는 센서(10)의 인식에 따른 정보를 분석하여 시스템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30) 및, 각 장애인이 거주하는 세대 내 또는 사무실 등에 구비되는 알림장치(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ID 카드 또는 센서(10)는 각 장애인이 거주하는 목적층 및 거주지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가 포함된 식별코드가 내장되어 구성된 상태에서,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각각의 장애인들이 휴대하게 된다.
상기 코드인식부(20)는 건물의 출입구 주변 및 로비층, 엘리베이터 승강장, 엘리베이터 카 내부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각각의 장애인이 휴대하는 상기 RFID 카드 또는 센서(10)의 식별코드 정보를 인식하고, 그 정보를 상기 제어부(30) 측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코드인식부(20)는 해당 건물 현관의 출입문 외부에도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출입구 외부에 설치된 코드인식부(20)의 정보인식에 따른 출입문 제어장치(40)의 구동을 통해, 현관 출입문의 자동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코드인식부(20)로부터 인식된 각 RFID 카드 또는 센서(10)의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반(60) 측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콜버튼(62) 및 목적층 입력버튼(64)의 자동등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를 행하는 한편, 엘리베이터 카 내에 구비된 코드인식부(20)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코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장애인의 엘리베이터 탑승 및 하차에 따른 신호를 상기 알림장치(50) 측으로 전송하는 등 시스템의 운용을 위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알림장치(50)는 해당 장애인이 거주하는 세대 내 또는 근무하는 사무실 등과 같은 각 장애인의 목적지에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특정 장애인의 엘리베이터 이용 시 해당 장애인의 목적지에 설치된 알림장치(50)를 통해 장애인의 탑승 및 하차정보를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알림장치(50)는 소정 문자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부저나 알람음을 출력시키는 음성출력장치로 구성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음성출력장치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해당 건물에서, 현관 출입구 외부에 설치된 코드인식부(20) 측으로 임의의 장애인이 휴대한 RFID 카드 또는 센서(10)로부터 식별코드 입력이 이루어졌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이 진행되게 되며(S 2), 그 판단결과 임의의 RFID 카드 또는 센서(10)로부터 식별코드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 제어장치(40)가 구동되면서 출입문의 자동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S 2).
그 후, 상기 코드인식부(20)에 입력되어 제어부(30) 측으로 전송된 해당 RFID 카드 또는 센서(10)의 식별코드는 제어부(30)의 분석을 통해 장애인용 코드인가의 여부가 판단되게 되며(S 3), 그 판단결과 해당 RFID 카드 또는 센서(10)의 식별코드가 제어부(30)의 분석을 통해 장애인용 코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는 엘리베이터 제어반(60)을 통해 로비층에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위한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S 4).
즉,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반(60) 측으로 해당 RFID 카드 또는 센서(10)의 식별코드 분석에 따른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60)은 로비층 승강장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콜버튼(62)이 자동 등록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엘리베이터 콜버튼(62)의 등록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가 로비층 승강장에 도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30)는 카 내에 구비된 코드인식부(20) 측으로 일정 시간 내에 RFID 카드 또는 센서(10)에 내장된 장애인 해당하는 식별코드의 입력이 이루어졌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이 진행되게 되며(S 4), 그 판단결과 상기 RFID 카드 또는 센서(10)로부터의 식별코드가 특정 장애인에 대한 정보인 경우, 상기 제어부(30)는 엘리베이터 제어반(60)을 통해 해당 장애인의 목적지에 대응하는 목적층 입력버튼(64)이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S 7).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해당 RFID 카드 또는 센서(10)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장애인의 목적지인 세대 내 또는 사무실 등에 구비된 알림장치(50)를 통해 해당 장애인이 현재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게 되며(S 8), 그 후 엘리베이터 카가 등록된 목적층에 도착하게 되면(S 9), 상기 제어부(30)는 해당 장애인의 목적지인 세대 내 또는 사무실 등에 구비된 알림장치(50)를 통해 현재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S 10).
이에, 소정 식별코드가 내장된 RFID 카드 또는 센서(10)를 소지한 장애인은 자동으로 개폐되는 출입구 및, 자동으로 호출/등록되는 엘리베이터를 통해 목적층까지 편리하게 이동할 수가 있게 되는 한편, 장애인의 목적지에 해당하는 세대 내 또는 사무실 등에서는 장애인의 도착여부를 알림장치(5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적절하게 대응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RFID 카드 또는 센서, 20: 코드인식부,
30: 제어부, 40: 출입문 제어장치,
50: 알림장치, 60: 엘리베이터 제어반,
62: 엘리베이터 콜버튼, 64: 목적층 입력버튼.

Claims (3)

  1. 각 장애인이 휴대하는 것으로서, 해당 장애인에 대한 목적층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가 포함된 식별코드가 저장된 RFID 카드 또는 센서와;
    건물 내부 및 엘리베이터 카 내에 설치되어, 각 장애인이 휴대한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코드인식부와;
    상기 코드인식부로부터 인식된 각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콜버튼 및 목적층 입력버튼의 자동등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및;
    각 RFID 카드 또는 센서를 휴대하는 장애인의 목적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특정 장애인의 엘리베이터 이용 시 해당 장애인의 목적지에 설치된 기기를 통해 장애인의 탑승 및 하차정보를 출력시키는 알림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각 장애인이 휴대한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코드인식부는 건물 현관의 출입문 외부에 더 구비되며,
    상기 출입문 외부의 코드인식부는 출입문 제어장치와 연계되어, 출입문의 자동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3. 건물의 출입구 외부에 설치된 코드인식부 측으로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 입력이 이루어졌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인식부 측으로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 입력이 이루어짐에 따라, 출입문이 개방되는 단계와;
    상기 코드인식부 측으로 입력된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식별코드 정보가 제어부 측으로 전송된 후 분석되어, 장애인용 코드인가의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와;
    상기 코드인식부 측으로 입력된 식별코드 정보가 장애인용 코드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로비층의 엘리베이터 콜버튼의 자동 등록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콜버튼 등록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도착 후, 카 내에 구비된 코드인식부를 매개로 장애인용 식별코드의 입력이 이루어졌는가의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와;
    상기 카 내의 코드인식부에 입력된 식별코드가 장애인용 코드로 판단됨에 따라, 해당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층 입력버튼의 자동 등록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목적층 입력버튼의 자동 등록 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RFID 카드 또는 센서의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에 구비된 알림장치를 통해 장애인의 엘리베이터 카 탑승 및 하차 상태가 출력되는 단계의 과정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40093386A 2014-07-23 2014-07-23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2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386A KR20160012314A (ko) 2014-07-23 2014-07-23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386A KR20160012314A (ko) 2014-07-23 2014-07-23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314A true KR20160012314A (ko) 2016-02-03

Family

ID=5535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386A KR20160012314A (ko) 2014-07-23 2014-07-23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3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293B1 (ko) * 2022-02-18 2022-05-03 주식회사 한림기업 장애인을 위한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534316B1 (ko) 2022-11-29 2023-05-26 주식회사 한림기업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승강기 탑승시 및 이용시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816B1 (ko) 2013-06-05 2013-10-08 (주)영진엘리베이터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816B1 (ko) 2013-06-05 2013-10-08 (주)영진엘리베이터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293B1 (ko) * 2022-02-18 2022-05-03 주식회사 한림기업 장애인을 위한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534316B1 (ko) 2022-11-29 2023-05-26 주식회사 한림기업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승강기 탑승시 및 이용시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00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vely interacting with elevators
US9878874B2 (en) Elevator-landing device with destination floor establishment
EP2517996B1 (en) Elevator system
US9272877B2 (en) Operation device for an elevator that includes an elevator access restriction device
CN102753465B (zh) 电梯的引导装置
CN106629292B (zh) 电梯的报警方法、装置和电梯
JP201701397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119029B (zh) 电梯控制装置
KR101947570B1 (ko) 사용자 맞춤 동작을 수행하는 승강 시스템
KR20160012314A (ko)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2019A (ko) 안면인식 정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행선 층 등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층별 등록방법
JP2003048671A (ja) エレベ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呼出タグ
KR100554918B1 (ko) 엘리베이터용 목적층 예약장치 및 그 방법
WO2019106756A1 (ja) エレベータの利用者検知装置
JP2008056402A (ja) エレベータ運転システム
CN204173713U (zh) 残疾人用电梯
JP201505184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012197126A (ja)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
JP595551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方法
JP6787498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行先階入力装置、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KR102242270B1 (ko) 탑승자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155614A (ja) エレベータの音声呼び登録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音声呼び登録方法
JP6420210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方法
JP7249524B2 (ja) エレベータの音案内装置
JP2023132409A (ja) 入場管理システム及び入場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