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974A -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974A
KR20170040974A KR1020150140335A KR20150140335A KR20170040974A KR 20170040974 A KR20170040974 A KR 20170040974A KR 1020150140335 A KR1020150140335 A KR 1020150140335A KR 20150140335 A KR20150140335 A KR 20150140335A KR 20170040974 A KR20170040974 A KR 20170040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pper body
walking
uni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테크
Priority to KR1020150140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0974A/ko
Publication of KR2017004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5B37/028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vig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각장애인의 상체에 착용되는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된 보행 보조장치를 통해 물체를 감지하고, 물체 감지여부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를 통합관제서버에 제공하며, 통합관제서버를 통해 기 설정된 이미지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상체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급 또는 긴급 상황 발생시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SYSTEM FOR PROTECTING BLIND PERSON USING JACKET FOR PROTECTING UPPER BODY}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의 시각장애인 수는 대략 30 만명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들 또한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직장 활동, 종교 활동, 여가 활동 및 쇼핑 활동 등의 정상적인 활동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은 시각장애인이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 및 시설에 불편없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시각장애인이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 및 시설에 불편없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 보호장치로는 점자블록, 음성 안내 장치 및 지팡이(stick)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 보드블럭에 설치된 점자블럭이나 횡단보도 등에 설치된 음성 안내 장치는 시각장애인에게 단순한 보행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점차 복잡해지는 도시의 보행 환경에서 시각장애인이 불편없이 안전하고 자유롭게 보행할 수 있도록 보호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지팡이는 시각장애인들이 보행중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시각장애인 보호장치로서, 지상의 부유 장애물에 대한 감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행중인 시각장애인에게 현재 위치 정보와 위급 또는 긴급 상황 발생시 효율적인 보호조치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의 시각장애인 보호장치는 시각장애인의 보행만을 유도할 뿐 시각장애인의 신체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지팡이는 시각장애인의 하체를 보호하는 기능이 다소 있을 뿐, 시각장애인의 상체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통계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이 보행중 하체를 다치는 경우보다 상체를 다치는 경우가(대략 75% 정도) 월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각장애인의 상체를 보호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 상체 보호용 보호장치는 거의 개발이 되어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의 상체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급 또는 긴급 상황 발생시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의 상체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급 또는 긴급 상황 발생시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상체 보호용 재킷;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복수개의 근접 센서를 통한 물체 감지여부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보행 보조장치; 상기 보행 보조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무선 중계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하는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근접 센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무선 통신모듈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통합관제서버와 연결된 무선 중계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근접 센서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 전방의 어깨 부분과 허리 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 후방의 어깨 부분과 허리 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GPS 모듈을 통해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으로 떨림을 전달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진동부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근접되는지 판단된 경우, 판단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이 되도록 상기 진동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형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야간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이 발광되도록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은, 스트립(strip) 형태로 선을 이루며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위급 또는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아 작동되는 비상벨 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벨 버튼 작동시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상벨 경보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모듈 및 무선 중계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통합관제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비상벨 경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모듈 및 무선 중계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통합관제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주변 영상 정보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변 음성을 감지하여 주변 음성 정보를 획득하는 음성 획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음성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변 음성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모듈 및 무선 중계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통합관제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가 표시됨과 아울러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주변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음성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변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주변 영상 정보 또는 주변 음성 정보가 저장되도록 상기 메모리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영상 획득부, 음성 획득부, 메모리부 및 녹화/녹취 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녹화/녹취 버튼 작동시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변 음성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와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음성 통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음성통화 연결을 위한 호(call) 신호가 생성되도록 상기 음성 통화부를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호 신호를 무선 통신모듈 및 무선 중계장치를 경유하여 별도로 구비된 교환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와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음성 통화부; 및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음성통화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아 작동되는 음성통화 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음성통화 버튼 동작시 음성통화 연결을 위한 호(call) 신호가 생성되도록 상기 음성 통화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호 신호를 무선 통신모듈 및 무선 중계장치를 경유하여 별도로 구비된 IP 교환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음성통화 버튼 동작시 실시간으로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영상 획득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실시간으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모듈 및 무선 중계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통합관제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주변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행 보조장치에서 생성된 음성통화 연결을 위한 호 신호를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전달받아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와 음성통화가 연결되도록 IP 주소를 바꾸어 주는 IP 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IP 교환기는 각 관리자 단말기로 호(call)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며, 상기 전송된 호 신호에 가장 먼저 응답하는 관리자 단말기와 상기 보행 보조장치 간에 음성통화가 연결되도록 호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기기 식별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기기별 사용자 고유 정보와 매칭하고, 상기 매칭된 사용자 고유 정보에 해당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관리자 단말기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특정 웹사이트의 인터넷 지도와 연동하여 상기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인터넷 지도 상에 맵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의 상체에 착용되는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된 보행 보조장치를 통해 물체를 감지하고, 물체 감지여부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를 통합관제서버에 제공하며, 통합관제서버를 통해 기 설정된 이미지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상체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급 또는 긴급 상황 발생시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체 보호용 재킷 전방 또는 후방 각각에 2개의 근접 센서를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총 4개의 근접 센서 배치)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근접하는 물체의 근접여부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상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체의 근접 여부 및 물체의 근접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진동부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근접하는 물체로부터 시각장애인의 상체 위험을 미리 알려줄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상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된 발광다이오드들을 통해 발광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존재여부를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줄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 보조장치에서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통합관제서버로 전송하고, 통합관제서버에서 주변 영상 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주변 영상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상태 및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 보조장치에서 주변 음성 정보를 획득하여 통합관제서버로 전송하고, 통합관제서버에서 주변 음성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주변 음성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상태 및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 보조장치에서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호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 관리자가 음성통화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상태 및 주변 상황을 알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 보조장치에서 비상벨 버튼 작동시, 시각장애인의 현재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주변 영상 정보 및 주변 음성 정보를 통합관제서버에 제공하고, 통합관제서버는 보행 보조장치로부터 전송된 상술한 정보들이 표출되도록 모니터링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상태 및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녹화/녹취 버튼 작동시, 시각장애인의 주변 영상 및 주변 음성을 메모리부에 저장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대한 범죄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된 정보들은 법적 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증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 보조장치에서 음성통화 버튼 동작시, 호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실시간으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 및 주변 음성 정보를 통합관리서버에 제공하여 표출시킴으로써, 시각장애인 관리자가 음성통화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상태 및 주변 상황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의 주변 영상 및 주변 음성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상태 및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충전부가 일반 휴대폰 충전기로부터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킴으로써, 보행 보조장치의 전원 회로가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배터리를 간편하게 충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상체 보호용 재킷 및 이에 장착된 보행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통합관제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은, 크게 상체 보호용 재킷(100), 보행 보조장치(200), 무선 중계장치(300) 및 통합관제서버(4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체 보호용 재킷(100)은 사용자의 상체를 가리거나 보호하도록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체 보호용 재킷(100)은 시각장애인의 상체를 가리거나 보호하도록 시각장애인의 상체에 착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인의 상체를 가리거나 보호하도록 일반인의 상체에 착용될 수 있다. 즉, 상체 보호용 재킷(100)의 사용자는 시각장애인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체 보호용 재킷(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체 보호용 재킷(100)은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한 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행 보조장치(200)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상체 보호용 재킷(100)이 복수개인 경우, 보행 보조장치(200)는 각각의 상체 보호용 재킷(100)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보행 보조장치(200)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의류 및/또는 신체에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류 또는 신체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보행 보조장치(200)는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 즉,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가 장착된 상체 보호용 재킷(100)을 착용한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는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행 보조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어떠한 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는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보행 보조장치(200)가 장착된 상체 보호용 재킷(100)을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라면,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는 보행 보조장치(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는 보행 보조장치(200)를 통해 주기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상기 기기 식별 정보는 다른 기기들과 구별하기 위한 해당 기기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기기 식별 정보는 보행 보조장치(200)의 생산자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보행 보조장치(200) 내의 메모리부(250)에 미리 저장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기 식별 정보는 보행 보조장치(200)에 대한 식별 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상체 보호용 재킷(100)에 대한 식별 정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기 식별 정보는 예컨대, 기기의 이름 정보, 기기의 비밀 번호 정보, 기기의 일련 번호 정보, 기기의 종류 정보, 기기의 제조 회사 정보, 기기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정보, 기기의 모델 정보, 기기의 버전 정보, 기기의 라벨링 책임자 정보, 기기의 생산일자 정보 및 기기의 배치 장소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기기 식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는 사용자 고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어떠한 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고유 정보는 다른 사용자들과 구별하기 위한 해당 사용자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고유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보행 보조장치(200) 내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고유 정보는 보행 보조장치(200)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 즉, 해당 보조 장치가 장착된 상체 보호용 재킷(100)을 착용한 시각장애인에 대한 고유 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행 보조장치(200)를 사용하는 일반인 즉, 해당 보조 장치가 장착된 상체 보호용 재킷(100)을 착용한 일반인에 대한 고유 정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의 이름 정보,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 사용자의 비밀 번호 정보, 사용자의 주소 정보,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정보, 사용자의 나이 정보, 사용자의 생년월일 정보, 사용자의 생일 정보, 사용자의 공인 인증서 정보, 사용자 가족 정보 및 사용자 담당 관리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행 보조장치(200)는 획득된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 중계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보행 보조장치(200)는 복수개의 근접 센서(205a)를 이용하여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여부에 따라 해당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보행 보조장치(200)는 해당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들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보행 보조장치(200)는 생성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 중계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중계장치(300)는 보행 보조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무선 중계장치(300)는 각 보행 보조장치(2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방식으로 보행 보조장치(200)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중계장치(300)는 통합관제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무선 중계장치(300)는 통합관제서버(4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합관제서버(400)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중계장치(300)는 보행 보조장치(200)로부터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제공받아 통합관제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중계장치(300)는 보행 보조장치(200)로부터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제공받아 통합관제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행 보조장치(200)와 무선 중계장치(300), 및 무선 중계장치(300)와 통합관제서버(40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선 통신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무선 통신 방식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통합관제서버(400)는 무선 중계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통합관제서버(400)는 무선 중계장치(300)로부터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통합관제서버(400)는 무선 중계장치(300)로부터 제공받은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통합관제서버(400)는 무선 중계장치(300)로부터 제공받은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사용자별 또는 기기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화된 기기별 사용자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제서버(400)는 무선 중계장치(300)로부터 보행 보조장치(200)에서 생성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통합관제서버(400)는 무선 중계장치(300)로부터 제공받은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포함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관제서버(400)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서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예컨대, 2D 또는 3D 이미지 등)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통합관제서버(40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맵핑(mapping)하여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통합관제서버(40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특정 웹사이트의 인터넷 지도와 연동하여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인터넷 지도 상에 맵핑하여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통합관제서버(40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기기 식별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기기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맵핑하여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통합관제서버(400)는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통합관제서버(400)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서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통합관제서버(40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관제서버(400)는 생성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통합관제서버(40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관제서버(40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기기 식별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기기별 사용자 고유 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된 사용자 고유 정보에 해당하는 관리자 단말기(600)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관제서버(400)는 검색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보행 보조장치(200)에서 생성된 음성통화 연결을 위한 호(call) 신호를 무선 중계장치(300)로부터 전달받아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600)와 음성통화가 연결되도록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바꾸어 주는 IP 교환기(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만약, 관리자 단말기(600)가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IP 교환기(500)는 각 관리자 단말기(600)로 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며, 상기 전송된 호 신호에 가장 먼저 응답하는 관리자 단말기(600)와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 간에 음성통화가 연결되도록 호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단말기(600)는 예컨대, 일반 유선 전화기, 휴대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화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IP 교환기(500)는 일반적으로 IP-PBX(Internet Protocol-Private Branch Exchange)로 칭해지며, 일반 유선 전화기, 휴대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를 인터넷망에 연결된 다른 발신 단말 즉, 보행 보조장치(200)와 연결할 수 있도록 IP 주소를 바꾸어 주는 교환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IP 교환기(500))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교환기로서, 무선 사설 교환기, 인터넷 기반 사설 교환기, 인터넷 기반 교환기, IP 사설 교환기 등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때, 관리자 단말기(600)는 IP 교환기(500)를 통하여 각 보행 보조장치(200)와 호가 연결되며, 상기 호를 통하여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등을 사용하여 통화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각 보행 보조장치(200)와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IP 교환기(500)는 IP PBX, IP-Centrex, 소프트 스위치, SIP 프록시 서버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 등의 세션 설정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을 지원하는 교환 시스템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의 상체에 착용되는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된 보행 보조장치를 통해 물체를 감지하고, 물체 감지여부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를 통합관제서버에 제공하며, 통합관제서버를 통해 기 설정된 이미지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상체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급 또는 긴급 상황 발생시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상체 보호용 재킷 및 이에 장착된 보행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상체 보호용 재킷 및 이에 장착된 보행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200)는, 크게 센서부(205), 무선 통신모듈(210) 및 제어부(2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205)는 복수의 센서를 통해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보행 보조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 즉, 보행 보조장치(200)가 장착된 상체 보호용 재킷(100)을 착용한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05)는 획득된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제어부(26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05)는 후술할 제어부(2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센서부(205)는 실시간으로 복수의 센서를 통해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획득하여 제어부(26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센서부(205)는 주기적으로 복수의 센서를 통해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획득하여 제어부(26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05)는, 크게 근접 센서(205a) 및 위치정보 획득부(205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205a)는 보행 보조장치(200)와 물체 간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서, 접근 센서라 지칭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보행 보조장치(200)가 장착된 상체 보호용 재킷(100)을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라면, 근접 센서(205a)는 사용자와 물체 간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205a)는 감지된 물체의 근접 여부를 제어부(26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근접 센서(205a)는 실시간으로 보행 보조장치(200)와 물체 간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26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근접 센서(205a)는 주기적으로 보행 보조장치(200)와 물체 간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26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205a)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서, 복수개의 근접 센서(205a)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되어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의 의미는 사용자의 앞쪽 즉, 사용자의 가슴쪽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후방의 의미는 사용자의 뒤쪽, 즉 사용자의 등쪽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개의 근접 센서(205a)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 전방의 어깨 부분과 허리 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장착됨과 아울러 상체 보호용 재킷(100) 후방의 어깨 부분과 허리 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장착되어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는 상체 보호용 재킷 전방 또는 후방 각각에 2개의 근접 센서를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총 4개의 근접 센서 배치)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근접하는 물체의 근접여부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상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개의 근접 센서(205a)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개수 및 위치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면, 근접 센서(205a)의 개수 및 위치는 변형실시 가능하다.
또한, 근접 센서(205a)는 예컨대, 자기 근접 센서, 초음파 근접 센서, 유동성 근접 센서, 용량성 근접 센서, 와전류 근접 센서 및 광시야각 근접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근접 센서(205a)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근접 센서(205a)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는 물체의 근접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행 보조장치 즉, 사용자와 물체 간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센서, 장치 및/또는 방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획득부(205b)는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획득부(205b)는 획득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어부(26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획득부(205b)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260)로 전송할 수 있다면, 위치정보 획득부(205b)의 위치는 변형실시 가능하다.
또한, 위치정보 획득부(205b)는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GPS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어떠한 센서, 장치 및/또는 방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미도시)은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D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26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후술할 메모리부(250)에 저장되고, 제어부(2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60)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60)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술한 근접 센서(205a) 및 위치정보 획득부(205b)와, 후술할 무선 통신모듈(210)에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60)는 각각의 근접 센서(205a)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각각의 근접 센서(205a)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각의 근접 센서(205a)로부터 감지된 물체의 근접 여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260)는 감지된 물체의 근접 여부를 처리(processing)하여 감지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위치정보 획득부(205b)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위치정보 획득부(205b)의 동작을 제어하여, 위치정보 회득부로부터 보행 보조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60)는, 각각의 근접 센서(205a)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GPS 모듈(미도시)을 통해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각각의 근접 센서(205a)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치정보 획득부(205b)로부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기 식별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이들이 포함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생성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후술할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달하여 무선 중계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210)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각 보행 보조장치(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통신 기술이 이용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무선통신 표준기술인 IEEE802.11n, IEEE802.11ac, IEEE802.11ad, IEEE802.11af, IEEE802.11ah, IEEE802.11ai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IEEE802.11ad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기그(WiGig), Wibro(Wireless broadband), WLAN(Wireless LAN)(Wi-Fi),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200)는, 무선 통신모듈(210)과 함께 이동 통신을 위한 이동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무선 통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모듈(210)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 중계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모듈(210)은 제어부(260)와 연결되어, 제어부(2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210)은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 중계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중계장치(300)로 전송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통합관제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통합관제서버(400)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포함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200)는 진동부(2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부(215)는 제어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진동부(215)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여 상체 보호용 재킷(100)으로 떨림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소자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 전방의 가슴 부분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진동을 발생하여 상체 보호용 재킷(100)으로 떨림을 전달할 수 있다면, 진동소자의 종류, 개수 및 위치는 변형실시 가능하다.
또한, 진동부(215)는 제어부(2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60)는, 각각의 근접 센서(205a)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진동부(215)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각각의 근접 센서(205a)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상체 보호용 재킷(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근접되는지 판단된 경우, 판단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이 되도록 진동부(21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은 물체의 근접 방향을 구별할 수 있는 진동 패턴이라면, 어떠한 진동 패턴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어부(260)에 의해 상기 물체가 상체 보호용 재킷(100)의 전방으로 근접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60)는 메모리부(250)에 미리 저장된 제 1 진동 패턴으로 진동부(215)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부(260)에 의해 상기 물체가 상체 보호용 재킷(100)의 후방으로 근접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60)는 메모리부(250)에 미리 저장된 제 2 진동 패턴으로 진동부(215)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는, 물체의 근접 여부 및 물체의 근접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진동부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근접하는 물체로부터 시각장애인의 상체 위험을 미리 알려줄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상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200)는 발광부(2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부(220)는 제어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22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LE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LED)은 개별적으로 상체 보호용 재킷(100)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트립(strip) 형태로 선을 이루며 상체 보호용 재킷(100)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LED)의 종류, 개수 및 위치는 변형실시 가능하다.
또한, 발광부(220)는 제어부(2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60)는, 미리 설정된 야간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LED)이 발광되도록 발광부(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야간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메모리부(250)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질 수 있다.
상술한 봐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는,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된 발광다이오드들을 통해 발광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존재여부를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줄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200)는 영상 획득부(2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영상 획득부(225)는 제어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부(225)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촬영개시를 실행하고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영상 획득부(225)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영상 획득부(225)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으로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영상 획득부(225)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영상 획득부(225)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비상벨 버튼(245a), 녹화/녹취 버튼(245b) 및/또는 음성통화 버튼(245c) 작동시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는 광시야각(120도)을 갖는 조명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 전방의 명치 부분 즉, 상체 보호용 재킷(100) 전방의 정중앙 부분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면, 카메라의 종류, 개수 및 위치는 변형실시 가능하다.
또한, 영상 획득부(225)는 제어부(2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60)는, 각각의 근접 센서(205a)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영상 획득부(225)로부터 주변 영상 정보를 제공받고, 영상 획득부(225)로부터 제공받은 주변 영상 정보와 함께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무선 통신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송된 주변 영상 정보와 함께 이벤트 발생 메시지는 제어부(260)가 무선 통신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 중계장치(300)를 경유하여 통합관제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통합관제서버(400)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포함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하고, 아울러 주변 영상 정보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와 함께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은, 보행 보조장치에서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통합관제서버로 전송하고, 통합관제서버에서 주변 영상 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주변 영상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상태 및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200)는 음성 획득부(2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음성 획득부(230)는 제어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음성 획득부(23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주변 음성을 감지하여 주변 음성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음성 정보는 사용자의 음성뿐만 아리라 사용자 이외의 주변 음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음성 획득부(23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주변 음성을 감지하여 주변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음성 획득부(23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으로 주변 음성을 감지하여 주변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음성 획득부(23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주변 음성을 감지하여 주변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음성 획득부(23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비상벨 버튼(245a), 녹화/녹취 버튼(245b) 및/또는 음성통화 버튼(245c) 작동시 주변 음성을 감지하여 주변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 전방의 명치 윗부분 즉, 상체 보호용 재킷(100) 전방의 정중앙 윗부분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변 음성을 감지하여 주변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면, 마이크의 종류, 개수 및 위치는 변형실시 가능하다.
또한, 음성 획득부(230)는 제어부(2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60)는, 각각의 근접 센서(205a)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음성 획득부(230)로부터 주변 음성 정보를 제공받고, 음성 획득부(230)로부터 제공받은 주변 음성 정보와 함께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무선 통신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송된 주변 음성 정보와 함께 이벤트 발생 메시지는 제어부(260)가 무선 통신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 중계장치(300)를 경유하여 통합관제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통합관제서버(400)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포함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하고, 아울러 주변 음성 정보를 출력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주변 영상 정보와 주변 음성 정보는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보행 보조장치(200)에서 통합관제서버(400)로 각각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두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주변 영상 정보와 주변 음성 정보 각각은 보행 보조장치(200)에서 통합관제서버(400)로 이벤트 발생 메시지와 함께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벤트 발생 메시지와 따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은, 보행 보조장치에서 주변 음성 정보를 획득하여 통합관제서버로 전송하고, 통합관제서버에서 주변 음성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주변 음성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상태 및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200)는 음성 출력부(23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음성 출력부(235)는 제어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출력부(235)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 전방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면, 스피커의 종류, 개수 및 위치는 변형실시 가능하다.
또한, 음성 출력부(235)는, 보행 보조장치(200)와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600) 사이에 음성통화가 연결된 경우, 관리자 단말기(600)에서 전송된 관리자의 음성을 제어부(260)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200)는 음성 통화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통화부(240)는 상기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600)와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음성 통화부(240)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 전방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600)와 음성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음성 통화부(240)의 위치는 변형실시 가능하다.
또한, 음성 통화부(240)는 제어부(2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60)는, 각각의 근접 센서(205a)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음성통화 연결을 위한 호(call) 신호가 생성되도록 음성 통화부(240)를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호 신호를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송된 호 신호는 제어부(260)가 무선 통신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 중계장치(300) 및 별도로 구비된 교환기(일 예로, IP 교환기(500))를 공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되어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연결할 수 있다.
특히, 관리자 단말기(600)가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별도로 구비된 교환기(일 예로, IP 교환기(500))는 각 관리자 단말기(600)로 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며, 상기 전송된 호 신호에 가장 먼저 응답하는 관리자 단말기(600)와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 간에 음성통화가 연결되도록 호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IP 교환기(500) 및 관리자 단말기(600)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IP 교환기(500) 및 관리자 단말기(600)와 각각 대응되어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생략한다.
한편, 호 신호가 보행 보조장치(200)에서 무선 중계장치(300)로 전송될 때, 이와 더불어 보행 보조장치(200)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 주변 영상 정보 및 주변 음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무선 중계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보행 보조장치(200)에서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호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600)로 제공되어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이벤트 발생 메시지, 주변 영상 정보 및 주변 음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는 통합관제서버(400)로 제공되어 표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은, 보행 보조장치에서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호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 관리자가 음성통화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상태 및 주변 상황을 알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200)는 버튼부(24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버튼부(245)는 제어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245)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아 제어부(260)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버튼들은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체 보호용 재킷(100)의 허리 부분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아 제어부(260)로 전송할 수 있다면, 버튼의 종류, 개수 및 위치는 변형실시 가능하다.
또한, 버튼부(245)는 비상벨 버튼(245a), 녹화/녹취 버튼(245b) 및 음성통화 버튼(245c)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벨 버튼(245a)은 상체 보호용 재킷(100)에 장착되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위급 또는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아 작동될 수 있다. 비상벨 버튼(245a) 작동시,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위급 또는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은 제어부(260)로 전송되어 처리(processing)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60)는, 비상벨 버튼(245a) 작동시, 위치정보 획득부(205b)로부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상벨 경보 신호를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송된 비상벨 경보 신호는 제어부(260)가 무선 통신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 중계장치(300)를 경유하여 통합관제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관제서버(400)는 무선 중계장치(300)로부터 보행 보조장치(200)에서 생성된 비상벨 경보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통합관제서버(400)는 무선 중계장치(300)로부터 제공받은 비상벨 경보 신호에 포함된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관제서버(400)는 비상벨 경보 신호에서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예컨대, 2D 또는 3D 이미지 등)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통합관제서버(40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맵핑(mapping)하여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통합관제서버(40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특정 웹사이트의 인터넷 지도와 연동하여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인터넷 지도 상에 맵핑하여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통합관제서버(40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기기 식별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기기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맵핑하여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제서버(400)는, 비상벨 경보 신호에서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통합관제서버(40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관제서버(400)는 생성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통합관제서버(40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관제서버(40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기기 식별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기기별 사용자 고유 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된 사용자 고유 정보에 해당하는 관리자 단말기(600)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관제서버(400)는 검색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비상벨 경보 신호는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보행 보조장치(200)에서 통합관제서버(400)로 개별적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 획득부(225)에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 및 음성 획득부(230)에서 획득된 주변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은, 보행 보조장치에서 비상벨 버튼 작동시, 시각장애인의 현재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주변 영상 정보 및 주변 음성 정보를 통합관제서버에 제공하고, 통합관제서버는 보행 보조장치로부터 전송된 상술한 정보들이 표출되도록 모니터링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상태 및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녹화/녹취 버튼(245b)은 상체 보호용 재킷(100)에 장착되며, 사용자로부터 녹화 및/또는 녹취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아 작동될 수 있다. 녹화/녹취 버튼(245b) 작동시,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녹화 및/또는 녹취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은 제어부(260)로 전송되어 처리(processing)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60)는, 녹화/녹취 버튼(245b) 작동시, 영상 획득부(225)에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 및 음성 획득부(230)에서 획득된 주변 음성 정보를 메모리부(250)에 저장되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녹화/녹취 버튼(245b)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녹화 버튼 또는 녹취 버튼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는 녹화/녹취 버튼 작동시, 시각장애인의 주변 영상 및 주변 음성을 메모리부에 저장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대한 범죄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된 정보들은 법적 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증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음성통화 버튼(245c)은 상체 보호용 재킷(100)에 장착되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음성통화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아 작동될 수 있다. 음성통화 버튼(245c) 작동시,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음성 통화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은 제어부(260)로 전송되어 처리(processing)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60)는, 음성통화 버튼(245c) 동작시, 음성통화 연결을 위한 호(call) 신호가 생성되도록 음성 통화부(240)를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호 신호를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송된 호 신호는 제어부(260)가 무선 통신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 중계장치(300) 및 별도로 구비된 교환기일 예로, IP 교환기(500)를 공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되어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연결할 수 있다.
특히, 관리자 단말기(600)가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별도로 구비된 교환기(일 예로, IP 교환기(500))는 각 관리자 단말기(600)로 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며, 상기 전송된 호 신호에 가장 먼저 응답하는 관리자 단말기(600)와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 간에 음성통화가 연결되도록 호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IP 교환기(500)) 및 관리자 단말기(600)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IP 교환기(500) 및 관리자 단말기(600)와 각각 대응되어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생략한다.
한편, 호 신호가 보행 보조장치(200)에서 무선 중계장치(300)로 전송될 때, 이와 더불어 보행 보조장치(200)는 주변 영상 정보 및 주변 음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무선 중계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음성통화 버튼(245c) 동작시, 제어부(260)는 호 신호가 생성되도록 음성통화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와 더불어 실시간으로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도록 영상 획득부(225)의 동작을 제어하며, 주변 음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음성 획득부(2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생성된 호 신호와, 실시간으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 및/또는 주변 음성 정보를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송된 호 신호는 제어부(260)가 무선 통신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 중계장치(300) 및 별도로 구비된 교환기(일 예로, IP 교환기(500))를 공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되어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송된 실시간으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 및/또는 주변 음성 정보는 제어부(260)가 무선 통신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 중계장치(300)를 경유하여 통합관제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통합관제서버(400)는, 무선 중계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주변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무선 중계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주변 음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은, 보행 보조장치에서 음성통화 버튼 동작시, 호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실시간으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 및 주변 음성 정보를 통합관리서버에 제공하여 표출시킴으로써, 시각장애인 관리자가 음성통화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상태 및 주변 상황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의 주변 영상 및 주변 음성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상태 및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200)는 메모리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250)는 제어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25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260)에서 출력되는 모든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메모리부(25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제어부(260)에서 출력되는 모든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메모리부(25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으로 제어부(260)에서 출력되는 모든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메모리부(250)는 녹화/녹취 버튼(245b) 동작시,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260)에서 출력되는 모든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매체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260)에서 출력되는 모든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면, 저장매체의 종류, 개수 및 위치는 변형실시 가능하다.
이러한 메모리부(250)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200)는 전원공급부(25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공급부(255)는 제어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55)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55)는 상체 보호용 재킷(100)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면, 전원공급부(255)의 종류 및 위치는 변형실시 가능하다.
또한, 전원공급부(255)는, 크게 배터리 충전부(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 충전부(미도시)는 외부로부터 외부 전원을 제공받고, 제공된 외부 전원을 변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배터리(미도시)를 충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충전부(미도시)는 일반 휴대폰 충전기로부터 외부 전원을 제공받고, 제공된 외부 전원을 변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배터리(미도시)를 충전시킬 수 있다.
배터리(미도시)는 배터리 충전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아 충전되고, 충전 에너지를 생성하여 각 구성 요소들로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미도시)는 배터리 충전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2시간 내지 3시간 제공받아 충전되고, 충전 에너지를 생성하여 약 12시간 동안 각 구성 요소들로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행 보조장치는 배터리 충전부가 일반 휴대폰 충전기로부터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킴으로써, 보행 보조장치의 전원 회로가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배터리를 간편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통합관제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통합관제서버(400)는, 크게 무선통신장치(410), 저장장치(440), 디스플레이 장치(420), 메시지 전송장치(430), 저장장치(440) 및 중앙제어장치(4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통합관제서버(4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통신장치(410)는 무선 중계장치(300)와 통합관제서버(400) 사이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장치(410)에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통합관제서버(4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410)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이외에 이동 통신을 위한 이동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 및 근거리 통신 기술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한 무선 인터넷 기술 및 근거리 통신 기술과 각각 대응되어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생략한다.
또한, 무선통신장치(410)는 중앙제어장치(450)와 연결되어, 중앙제어장치(4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410)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 중계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방식은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통신 기술이 이용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무선통신장치(410)는 무선 중계장치(300)로부터 보행 보조장치(200)와 관련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 즉,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 주변 영상 정보, 주변 음성 정보,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 신호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410)는 무선 중계장치(300)로부터 제공받은 보행 보조장치(200)와 관련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중앙제어장치(4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D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중앙제어장치(45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후술할 저장장치(440)에 저장되고, 중앙제어장치(4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제어장치(450)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보행 보조장치(200)와 관련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받아 처리(processing)할 수 있다.
예컨대,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제공받은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제공받은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사용자별 또는 기기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화된 기기별 사용자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제공받은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포함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장치(450)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서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예컨대, 2D 또는 3D 이미지 등)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4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중앙제어장치(45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맵핑(mapping)하여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4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앙제어장치(45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된 특정 웹사이트의 인터넷 지도와 연동하여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인터넷 지도 상에 맵핑하여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4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앙제어장치(45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기기 식별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기기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맵핑하여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4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장치(450)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서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전송장치(43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장치(430)로 전송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는, 중앙제어장치(450)가 메시지 전송장치(43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중앙제어장치(45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전송장치(43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장치(430)로 전송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는, 중앙제어장치(450)가 메시지 전송장치(43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앙제어장치(45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장치(45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기기 식별 정보를 저장장치(440)의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기기별 사용자 고유 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된 사용자 고유 정보에 해당하는 관리자 단말기(600)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장치(450)는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와 함께 검색된 관리자 단말기(600) 정보를 메시지 전송장치(4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전송장치(430)로 전송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는, 중앙제어장치(450)가 메시지 전송장치(43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검색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보행 보조장치(200)에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제공받은 주변 영상 정보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4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제공받은 주변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4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보행 보조장치(200)에서 획득된 주변 음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제공받은 주변 음성 정보를 출력되도록 스피커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제공받은 주변 음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스피커 장치(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장치(450)는 무선통신장치(410)로부터 제공받은 비상벨 경보 신호에 포함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장치(450)는 비상벨 경보 신호에서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예컨대, 2D 또는 3D 이미지 등)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중앙제어장치(45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맵핑(mapping)하여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앙제어장치(45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된 특정 웹사이트의 인터넷 지도와 연동하여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인터넷 지도 상에 맵핑하여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앙제어장치(45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기기 식별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기기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맵핑하여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장치(450)는 비상벨 경보 신호에서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전송장치(43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장치(430)로 전송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는, 중앙제어장치(450)가 메시지 전송장치(43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중앙제어장치(45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전송장치(43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장치(430)로 전송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는, 중앙제어장치(450)가 메시지 전송장치(43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앙제어장치(45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장치(450)는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기기 식별 정보를 저장장치(440)의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기기별 사용자 고유 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된 사용자 고유 정보에 해당하는 관리자 단말기(600)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장치(450)는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와 함께 검색된 관리자 단말기(600) 정보를 메시지 전송장치(4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전송장치(430)로 전송된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는, 중앙제어장치(450)가 메시지 전송장치(43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검색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중앙제어장치(45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중앙제어장치(450)의 제어에 따라, 중앙제어장치(45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중앙제어장치(45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면, 어떠한 패널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중앙제어장치(45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예컨대, 2D 또는 3D 이미지 등)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200)의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중앙제어장치(450)의 제어에 따라 주변 영상 정보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장치(430)는 중앙제어장치(45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장치(430)는 중앙제어장치(450)로부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의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 및/또는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와, 검색된 관리자 단말기(600)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전송장치(430)는, 중앙제어장치(450)의 제어에 따라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 및/또는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메시지 전송장치(430)는, 중앙제어장치(450)의 제어에 따라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 및/또는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를 검색된 관리자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장치(440)는 중앙제어장치(4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저장장치(440)는 중앙제어장치(450)의 제어에 따라, 중앙제어장치(450)에서 출력되는 모든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한 저장매체와 각각 대응되어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간명성을 위해 생략한다.
예컨대, 저장장치(440)는 중앙제어장치(450)의 제어에 따라, 중앙제어장치(450)로부터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 보행 보조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등을 사용자별 또는 기기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기기 식별 정보,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이벤트 발생 신호,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 비상벨 경보 신호, 비상벨 경보 알림메시지, 관리자 단말기(600)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상체 보호용 재킷 200: 보행 보조장치
205: 센서부 205a: 근접 센서
205b: 위치정보 획득부 210: 무선 통신모듈
215: 진동부 220: 발광부
225: 영상 획득부 230: 음성 획득부
235: 음성 출력부 240: 음성 통화부
245: 버튼부 245a: 비상벨 버튼
245b: 녹화/녹취 버튼 245c: 음성통화 버튼
250: 메모리부 255: 전원공급부
260: 제어부 300: 무선 중계장치
400: 통합관제서버 410: 무선통신장치
420: 디스플레이 장치 430: 메시지 전송장치
440: 저장장치 450: 중앙제어장치
500: IP 교환기 6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22)

  1.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상체 보호용 재킷;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복수개의 근접 센서를 통한 물체 감지여부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보행 보조장치;
    상기 보행 보조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무선 중계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하는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근접 센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무선 통신모듈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통합관제서버와 연결된 무선 중계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근접 센서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 전방의 어깨 부분과 허리 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 후방의 어깨 부분과 허리 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GPS 모듈을 통해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의류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으로 떨림을 전달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진동부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근접되는지 판단된 경우, 판단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이 되도록 상기 진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형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야간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이 발광되도록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은,
    스트립(strip) 형태로 선을 이루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위급 또는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아 작동되는 비상벨 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벨 버튼 작동시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비상벨 경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상벨 경보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모듈 및 무선 중계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통합관제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비상벨 경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모듈 및 무선 중계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통합관제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주변 영상 정보를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변 음성을 감지하여 주변 음성 정보를 획득하는 음성 획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음성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변 음성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모듈 및 무선 중계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통합관제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기 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해당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가 표시됨과 아울러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주변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12. 제 10 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음성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변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주변 영상 정보 또는 주변 음성 정보가 저장되도록 상기 메모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영상 획득부, 음성 획득부, 메모리부 및 녹화/녹취 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녹화/녹취 버튼 작동시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변 음성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와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음성 통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근접 센서를 통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음성통화 연결을 위한 호(call) 신호가 생성되도록 상기 음성 통화부를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호 신호를 무선 통신모듈 및 무선 중계장치를 경유하여 별도로 구비된 교환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와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음성 통화부; 및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음성통화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아 작동되는 음성통화 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음성통화 버튼 동작시 음성통화 연결을 위한 호(call) 신호가 생성되도록 상기 음성 통화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호 신호를 무선 통신모듈 및 무선 중계장치를 경유하여 별도로 구비된 IP 교환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는, 상기 상체 보호용 재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음성통화 버튼 동작시 실시간으로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영상 획득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실시간으로 획득된 주변 영상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모듈 및 무선 중계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통합관제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주변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에서 생성된 음성통화 연결을 위한 호 신호를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전달받아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와 음성통화가 연결되도록 IP 주소를 바꾸어 주는 IP 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IP 교환기는 각 관리자 단말기로 호(call)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며, 상기 전송된 호 신호에 가장 먼저 응답하는 관리자 단말기와 상기 보행 보조장치 간에 음성통화가 연결되도록 호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무선 중계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기기 식별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기기별 사용자 고유 정보와 매칭하고, 상기 매칭된 사용자 고유 정보에 해당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관리자 단말기로 이벤트 발생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특정 웹사이트의 인터넷 지도와 연동하여 상기 추출된 보행 보조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인터넷 지도 상에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KR1020150140335A 2015-10-06 2015-10-06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KR20170040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335A KR20170040974A (ko) 2015-10-06 2015-10-06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335A KR20170040974A (ko) 2015-10-06 2015-10-06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974A true KR20170040974A (ko) 2017-04-14

Family

ID=5857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335A KR20170040974A (ko) 2015-10-06 2015-10-06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09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6899A (zh) * 2017-08-02 2018-08-03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系统以及智能导盲装置
KR20190133887A (ko) * 2018-05-24 2019-12-04 배대호 시각 장애인 웨어러블 보조 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6899A (zh) * 2017-08-02 2018-08-03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系统以及智能导盲装置
KR20190133887A (ko) * 2018-05-24 2019-12-04 배대호 시각 장애인 웨어러블 보조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076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독거 노인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81772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 예방 감시 시스템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489863B1 (ko) 비콘 단말기 및 그를 활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N105814616A (zh) 用于操作紧急呼救系统的方法、紧急呼救系统
ITVR20100008A1 (it) Capo d'abbigliamento per la sorveglianza e il pattugliamento e sistema di sorveglianza territoriale
KR101654181B1 (ko) 스마트폰 앱과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범용 cctv 비상벨 호출 시스템
KR20170040974A (ko)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JP2015118667A (ja) 接近報知装置
KR20080076270A (ko) 시각 장애인 길 안내 시스템
KR101453248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시스템
KR20130031423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움직임센서 및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촉각신호로 변환되는 시스템
CN206574215U (zh) 一种通过手机进行主被动监测安全警报系统及卡扣
KR20130131511A (ko) 시각 장애인용 안내장치
JP201812495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10009724B2 (en) Intelligent personal safety device
KR101878309B1 (ko)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KR101967551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구조요청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신 시스템
KR101707906B1 (ko) 비상호출장치 및 비상호출시스템
KR101613022B1 (ko) 착용형 햅틱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보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KR101598466B1 (ko) 청각장애인용 안전보조시스템
KR20180123765A (ko) 신변 보호를 위한 안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8743B1 (ko) 압전하베스팅 에너지를 이용한 사회약자 안전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8368A (ko) 웨어러블 통신 장치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KR101394168B1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얼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얼굴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