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943B1 -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943B1
KR101628943B1 KR1020150016588A KR20150016588A KR101628943B1 KR 101628943 B1 KR101628943 B1 KR 101628943B1 KR 1020150016588 A KR1020150016588 A KR 1020150016588A KR 20150016588 A KR20150016588 A KR 20150016588A KR 101628943 B1 KR101628943 B1 KR 101628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astener
protruding
inner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항철
유재인
이재원
조성익
안회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50016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회전식 체결구조의 패스너와 걸림방식의 돌기부를 적용하여 도어의 이너패널과 트림패널 사이의 플랜지부위를 더욱 긴밀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이너패널에 대한 트림패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를 개시한다.
전술한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는 트림패널(10)의 제1관통공(12)과 이너패널(20)의 제2관통공(22)에 삽입되는 패스너(30)를 포함하고, 이너패널(20)은 제2관통공(22)의 양측에 트림패널(10)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4)를 더 포함하며, 패스너(30)는 회전 조작을 위한 헤드부(32), 헤드부(32)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중심 몸체부(34), 및 중심 몸체부(34)로부터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날개부(36)를 구비하고, 날개부(36)는 제1관통공(12)과 제2관통공(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다음, 패스너(30)의 회전에 의해 돌기부(24)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ASSEMBLING STRUCTURE FOR TRIM PORTION OF DOOR MODULE}
본 발명은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이너패널에 트림패널을 조립시 두 부재의 플랜지부위 사이를 더욱 긴밀하게 밀착시켜 이너패널에 대한 트림패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는 한 쌍의 금속성 패널부재를 상호 용접에 의한 결합 구조로 제작된다. 이 경우 도어는 차실내를 향한 이너패널에 대해 유연성 소재의 내장재에 해당하는 트림패널을 별도로 조립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키게 된다.
근래에 들어, 트림패널은 도어의 개폐를 비롯하여 윈도우와 사이드미러의 작동과 관계되는 각종 전장 부속품을 먼저 조립한 상태의 모듈 형태로 제작된 다음 도어의 조립공정에 제공됨으로써 조립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도어의 이너패널과 트림패널 사이의 조립부위는 다수의 체결용 패스너(Fastener)를 사용하여 결속력을 유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데, 이러한 조립구조는 공개특허 제10-2010-0047425호, 공개특허 제10-2014-0092592호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어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47425호에 개시된 도어트림용 패스너는 도어패널(10)의 체결공(11)에 끼워져 체결되는 헤드부(110), 및 도어트림(20)의 브라켓(21)에 끼워져 체결되는 장착부(120)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헤드부(110)는 내부에 도어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관성력을 매개로 도어패널(10)에 대한 패스너의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관성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4-0092592호에 개시된 패스너 조립구조는 도어트림에 형성되는 패스너 브라켓(410), 패스너 브라켓(410)에 삽입되는 패스너(420)를 갖춘 구성으로, 패스너 브라켓(410)에 패스너(420)의 삽입을 통해 상하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를 개시하고 있다. 이때, 패스너 브라켓(410)은 일측에 패스너(420)의 안착을 위한 삽입홈(412)을 형성하고, 삽입홈(412)은 양단 사이에 유동방지 홈(413)을 형성하며, 패스너(420)는 삽입홈(412)에 안착되는 안착부(421)에 대해 유동방지 홈(413)과 대향하는 유동방지 돌기(422)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의 도어트림 조립 구조는 도어의 이너패널과 트림패널 사이를 패스너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밀착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패스너에 의한 체결력 부족으로 인해 이너패널과 트림패널 사이의 플랜지부위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하여 차실내의 외관미를 저해시킬 뿐만 아니라 이상 소음(Buzz Squeak Rattle Noise)을 유발하게 되고, 무엇보다도 도어의 정비시 트림패널을 분해할 때 패스너에 의한 구속력을 해지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정비후 이너패널에 대해 트림패널을 재조립할 때 패스너의 체결부위에 대한 파손에 따른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0-0047425호 특허문헌 2; 공개특허 제10-2014-009259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회전식 체결구조의 패스너와 걸림방식의 돌기부를 적용하여 도어의 이너패널과 트림패널 사이의 플랜지부위를 더욱 긴밀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이너패널에 대한 트림패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방형의 제1관통공이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트림패널과, 상기 트림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관통공이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이너패널, 및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트림패널의 플랜지부와 상기 이너패널의 플랜지부를 밀착 결합시키는 패스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너패널은 상기 제2관통공의 양측에 상기 트림패널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스너는 회전 조작을 위한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중심 몸체부, 및 상기 중심 몸체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다음, 상기 패스너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기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관통공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관통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패스너의 회전궤적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돌기부는 상기 날개부의 이탈 방지를 위한 제1걸림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걸림턱부는 상기 날개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를 증가시키는 제1상향 경사면, 상기 제1상향 경사면을 지나 돌출 높이를 감소시키는 제1하향 경사면, 및 상기 제1하향 경사면을 지나 돌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안착저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하향 경사면은 상기 제1상향 경사면 보다 경사각을 크게 설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걸림턱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2걸림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턱부는 상기 안착저부를 지나 돌출 높이를 증가시키는 제2상향 경사면, 상기 제2상향 경사면을 지나 돌출 높이를 감소시키는 제2하향 경사면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2하향 경사면은 상기 제2상향 경사면 보다 경사각을 크게 설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날개부는 상기 헤드부의 저면부위를 향한 위치에 상기 돌기부와의 접촉을 위한 가압면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면은 상기 패스너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단부위에 상기 돌기부와의 접촉을 돕기 위한 챔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날개부는 상기 헤드부의 저면부위를 향한 위치에 상기 돌기부와의 접촉을 위한 탄성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날개부로부터 일측이 개구된 절개공간을 매개로 분할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는 이너패널과 트림패널의 플랜지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지나 이너패널의 배면에 형성된 돌기부에 대해 걸림 방식으로 고정되는 패스너를 적용하여 이너패널의 플랜지부위에 대한 트림패널의 플랜지부위가 들뜨지 않게 함으로써 이상 소음(Buzz Squeak Rattle Noise)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들뜸 현상에 의한 차실내의 외관미 저하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는 이너패널의 돌기부에 대해 패스너의 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걸림턱부의 적용을 통해 조립후 패스너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원치 않는 패스너의 이탈을 더욱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패스너의 헤드부에 공구의 삽입을 위한 홈의 형성을 통해 패스너의 체결 및 분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트림패널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으로, 도어모듈의 트림부에 대한 조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패스너만을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너패널의 관통공과 돌기부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돌기부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너패널의 배면에서 패스너가 체결된 부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다른 실시예의 패스너를 적용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으로, 도어모듈의 트림부에 대한 조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자동차의 도어는 내장재에 해당하는 트림패널(10)이 금속재의 이너패널(20)의 전면부위에 대해 덮여지는 구조로 결합된다. 트림패널(10)의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한 플랜지부와 이너패널(20)의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한 플랜지부는 다수의 패스너(30)를 매개로 견고하게 밀착된다.
트림패널(10)의 플랜지부에는 패스너(30)의 삽입을 위한 제1관통공(12)이 형성되고, 이너패널(20)의 플랜지부에도 패스너(30)의 삽입을 위한 제2관통공(22)이 형성된다. 이때, 제1관통공(12)과 제2관통공(22)은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패널(20)은 제2관통공(22)의 양측에 패스너(3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돌기부(24)를 형성하는 바, 돌기부(24)의 돌출방향은 이너패널(20)의 표면에서 트림패널(10)의 배치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정된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패스너만을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패스너(30)는 작업자에 의한 회전 조작을 위해 트림패널(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32), 헤드부(32)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중심 몸체부(34), 및 중심 몸체부(34)의 자유단부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날개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부(32)는 상부에 직경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어 작업자에 의해 직접적인 파지가 이루어지는 손잡이(32a), 및 손잡이(32a)를 중심으로 양측부위에 회전용 공구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32b)을 형성한다. 또한, 헤드부(32)는 손잡이(32a)의 외부 노출을 위해 손잡이(32a)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파인 형태의 오목면(32c)을 형성한다.
중심 몸체부(34)는 트림패널(10)의 제1관통공(12)과 트림패널(10)의 제2관통공(22) 내부로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날개부(36)는 헤드부(32)의 저면부위를 향한 위치에서 이너패널(20)의 돌기부(24)와의 접촉을 위한 가압면(38)을 형성한다. 가압면(38)은 패스너(3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단부위에 이너패널(20)의 돌기부(24)와의 부드러운 접촉을 돕기 위해 경사진 형태의 챔퍼부(38a)를 형성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너패널(20)의 제2관통공(22)과 돌기부(24)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제2관통공(22)은 패스너(30)의 체결을 유도하기 위해 중앙에 회전지점을 설정하도록 원호 형태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라운드부(22a), 및 라운드부(22a)를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절개부 형태의 트임부(22b)를 일체로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관통공(22)의 라운드부(22a)는 패스너(30)의 중심 몸체부(34)를 삽입하기 위한 부위에 해당하고, 제2관통공(22)의 트임부(22b)는 패스너(30)의 날개부(36)를 삽입하기 위한 부위에 해당한다. 또한, 트림패널(10)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12)도 이너패널(20)의 제2관통공(22)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돌기부(24)는 제2관통공(22)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서 이너패널(20)로부터 패스너(30)의 날개부(36)를 향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돌기부(24)는 제2관통공(22)의 중심을 기준으로 패스너(30)의 회전궤적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돌기부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너패널의 배면에서 패스너가 체결된 부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돌기부(24)는 패스너(30)의 조립시 날개부(3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걸림턱부(24a)를 구비하는 바, 제1걸림턱부(24a)는 이너패널(20)의 표면으로부터 날개부(36)의 회전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제1상향 경사면(24b), 제1상향 경사면(24b)을 지나 이너패널(20)의 표면을 향해 돌출 높이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1하향 경사면(24c), 및 날개부(36)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제1하향 경사면(24c)을 지나 돌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평평한 형태의 안착저부(24d)를 포함한다. 이때, 제1하향 경사면(24c)의 경사각은 제1상향 경사면(24b)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 패스너(30)의 조립후 돌기부(24)의 제1걸림턱부(24a)로부터 날개부(36)의 가압면(38)에 대한 반대방향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기부(24)는 패스너(30)의 분해를 돕기 위해 제1걸림턱부(24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2걸림턱부(24a')를 더 포함하는 바, 제2걸림턱부(24a')는 안착저부(24d)로부터 날개부(36)의 회전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제2상향 경사면(24b'), 및 제2상향 경사면(24b')을 지나 이너패널(20)의 표면을 향해 돌출 높이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2하향 경사면(24c')을 포함한다. 이때, 제2하향 경사면(24c')의 경사각은 제2상향 경사면(24b')의 경사각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 패스너(30)의 분해시 날개부(36)가 돌기부(24)의 안착저부(24d)로부터 제2걸림턱부(24a')를 지나 보다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기부(24)에 있어, 제1걸림턱부(24a)와 제2걸림턱부(24a') 사이의 거리는 패스너(30)의 날개부(36)가 가지는 폭 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너(30)의 날개부(36)는 트림패널(10)의 제1관통공(12)과 이너패널(20)의 제2관통공(22)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이너패널(20)의 배면에서 대략 90도 정도의 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돌기부(24)의 제1걸림턱부(24a)와 제2걸림턱부(24a') 사이의 위치에서 안착저부(24d)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고, 이를 통해 트림패널(10)과 이너패널(20) 사이의 접촉부위는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다른 실시예의 패스너를 적용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로 하면, 패스너(30)는 작업자에 의한 회전 조작을 위해 트림패널(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32), 헤드부(32)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중심 몸체부(34), 및 중심 몸체부(34)의 자유단부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날개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부(32)는 상부에 직경방향으로 가장자리의 끝단부위에 회전용 공구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39)을 형성한다. 중심 몸체부(34)는 트림패널(10)의 제1관통공(12)과 트림패널(10)의 제2관통공(22) 내부로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날개부(36)는 헤드부(32)의 저면부위를 향한 위치에서 이너패널(20)의 돌기부(24)와의 접촉을 위한 가압면(38)을 형성한다. 가압면(38)은 패스너(3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단부위에 이너패널(20)의 돌기부(24)와의 부드러운 접촉을 돕기 위해 경사진 형태의 챔퍼부(38a)를 형성한다.
도 9는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로 하면, 패스너(30)는 작업자에 의한 회전 조작을 위해 트림패널(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32), 헤드부(32)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중심 몸체부(34), 및 중심 몸체부(34)의 자유단부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날개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부(32)는 상부에 직경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어 작업자에 의해 직접적인 파지가 이루어지는 손잡이(32a), 및 손잡이(32a)를 중심으로 양측부위에 회전용 공구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32b)을 형성한다. 또한, 헤드부(32)는 손잡이(32a)의 외부 노출을 위해 손잡이(32a)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파인 형태의 오목면(32c)을 형성한다. 중심 몸체부(34)는 트림패널(10)의 제1관통공(12)과 트림패널(10)의 제2관통공(22) 내부로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날개부(36)는 헤드부(32)의 저면부위를 향한 위치에서 이너패널(20)의 돌기부(24)와의 탄력적인 접촉을 위해 상부에 가압면(38)을 갖춘 탄성 지지부(40)를 형성하고, 탄성 지지부(40)는 날개부(36)로부터 일측이 개구된 절개공간(42)을 매개로 분할되게 형성된다. 가압면(38)은 패스너(3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단부위에 이너패널(20)의 돌기부(24)와의 부드러운 접촉을 돕기 위해 경사진 형태의 챔퍼부(38a)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어의 이너패널(20)에 대해 트림패널(10)을 조립할 때에는 트림패널(10)의 제1관통공(12)과 이너패널(20)의 제2관통공(22)을 통해 패스너(30)의 중심 몸체부(34)와 날개부(36)를 삽입시킨 다음, 이너패널(20)의 배면에서 패스너(30)의 헤드부(32)를 대략 90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때, 패스너(30)의 날개부(36)는 이너패널(20)의 배면에서 제2관통공(22)의 둘레부위에 형성된 돌기부(24)와의 걸림 방식의 결합을 통해 그 위치가 규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트림패널(10)과 이너패널(20) 사이의 플랜지부위에서 보다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패스너(30)의 회전에 따라 날개부(36)는 돌기부(24)의 제1상향 경사면(24b)과 제1걸림턱부(24a) 및 제1하향 경사면(24c)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안착저부(24d)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날개부(36)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단부위에 형성된 챔퍼부(38a)는 돌기부(24)를 향한 날개부(36)의 이동을 보다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게 하고, 가압면(38)은 돌기부(24)의 안착저부(24d)와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 이너패널(20)과 트림패널(10)사이의 보다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돌기부(24)의 제1걸림턱부(24a)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위치한 제2걸림턱부(24a')는 날개부(36)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특히 패스너(30)를 분해할 때 제2걸림턱부(24a')의 제2상향 경사면(24b')은 날개부(36)의 회전을 자유롭게 유도할 수 있으므로 패스너(30)의 분해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특히, 날개부(36)에 절개공간(42)을 사이에 두고 분할되게 형성되는 탄성 지지부(40)는 돌기부(24)와의 접촉시 가압면(38)의 탄력적인 변형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패스너(30)의 체결 및 분해 작업은 한층 더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 결과, 본 발명은 트림패널(10)과 이너패널(20)의 플랜지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제1관통공(12)과 제2관통공(22)을 지나 이너패널(20)의 배면에 형성된 돌기부(24)에 대해 패스너(30)를 걸림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트림패널(10)과 이너패널(20) 사이의 플랜지부위에서 결속력의 부족에 따라 국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들뜸 현상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이상 소음(Buzz Squeak Rattle Noise)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차실내의 외관미 저하를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너패널(20)의 배면에 형성된 돌기부(24)에 대해 패스너(30)의 날개부(36)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으므로 조립후 패스너(30)가 헛도는 현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원치 않는 패스너(30)의 이탈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트림패널 12-제1관통공
20-이너패널 22-제2관통공
24-돌기부
30-패스너 32-헤드부
34-중심 몸체부 36-날개부
38-가압면
40-탄성 지지부 42-절개공간

Claims (14)

  1. 장방형의 제1관통공이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트림패널과, 상기 트림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관통공이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이너패널, 및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트림패널의 플랜지부와 상기 이너패널의 플랜지부를 밀착 결합시키는 패스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너패널은 상기 제2관통공의 양측에 상기 트림패널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스너는 회전 조작을 위한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중심 몸체부, 및 상기 중심 몸체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헤드부의 저면부위를 향한 위치에 상기 돌기부와의 접촉을 위한 탄성 지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날개부로부터 일측이 개구된 절개공간을 매개로 분할되게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다음, 상기 패스너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기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관통공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관통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패스너의 회전궤적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날개부의 이탈 방지를 위한 제1걸림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걸림턱부는 상기 날개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를 증가시키는 제1상향 경사면, 상기 제1상향 경사면을 지나 돌출 높이를 감소시키는 제1하향 경사면, 및 상기 제1하향 경사면을 지나 돌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안착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하향 경사면은 상기 제1상향 경사면 보다 경사각을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걸림턱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2걸림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턱부는 상기 안착저부를 지나 돌출 높이를 증가시키는 제2상향 경사면, 상기 제2상향 경사면을 지나 돌출 높이를 감소시키는 제2하향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하향 경사면은 상기 제2상향 경사면 보다 경사각을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턱부와 상기 제2걸림턱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날개부의 폭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 몸체부와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의 단면구조와 동일한 장방형의 단면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헤드부의 저면부위를 향한 위치에 상기 돌기부와의 접촉을 위한 가압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은 상기 패스너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단부위에 상기 돌기부와의 접촉을 돕기 위한 챔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부에 직경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측부위에 공구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부에 직경방향으로 가장자리의 끝단부위로 공구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KR1020150016588A 2015-02-03 2015-02-03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KR101628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588A KR101628943B1 (ko) 2015-02-03 2015-02-03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588A KR101628943B1 (ko) 2015-02-03 2015-02-03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943B1 true KR101628943B1 (ko) 2016-06-09

Family

ID=5613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588A KR101628943B1 (ko) 2015-02-03 2015-02-03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9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9221A (ja) * 1993-02-26 1994-09-06 Yoshiyuki Fujii ボルトおよびナットのゆるみ止め装置
KR19990002897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카울 고정용 클립
KR200297187Y1 (ko) * 2002-09-18 2002-12-11 황인수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
KR20100047425A (ko) 2008-10-29 2010-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트림용 파스너
KR20140092592A (ko)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서연 패스너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9221A (ja) * 1993-02-26 1994-09-06 Yoshiyuki Fujii ボルトおよびナットのゆるみ止め装置
KR19990002897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카울 고정용 클립
KR200297187Y1 (ko) * 2002-09-18 2002-12-11 황인수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
KR20100047425A (ko) 2008-10-29 2010-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트림용 파스너
KR20140092592A (ko)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서연 패스너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84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JP5659674B2 (ja) 内装トリム
EP2910456A1 (en) Opening/closing body structure for vehicle
JP2007331601A (ja) ミラーベース
KR101628943B1 (ko)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US20070099452A1 (en) Apparatus of attaching part
JP4222135B2 (ja) モール
JP6536154B2 (ja) ガラスランの固定構造
JP2017065447A (ja) ワイパアーム
JP7014090B2 (ja) フェンダパネル固定構造
KR200424038Y1 (ko) 차량용 커버링 셀프패널 조립체
KR102105893B1 (ko)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KR101947046B1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장착구조
KR20050115486A (ko)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
JP6884463B2 (ja) バックドア
JP6597152B2 (ja) 車両のドア開口部構造
JP6784938B2 (ja) 車両用内装品の固定構造
JP4587888B2 (ja) 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
JP6819345B2 (ja) 乗物用内装材
JP7333018B2 (ja) ウエストシール取付構造
JP6826575B2 (ja) 車両用トリム構造
US20210131171A1 (en)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JP2008121250A (ja) サイドハンドル組付構造
JP6883200B2 (ja) 車両用デフレクタ装置
JP4545507B2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