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893B1 -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893B1
KR102105893B1 KR1020190012393A KR20190012393A KR102105893B1 KR 102105893 B1 KR102105893 B1 KR 102105893B1 KR 1020190012393 A KR1020190012393 A KR 1020190012393A KR 20190012393 A KR20190012393 A KR 20190012393A KR 102105893 B1 KR102105893 B1 KR 102105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loor mat
msd
edge surfac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김대용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1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61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covering undersurfaces of vehicles, e.g. wheel 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SD가 외부에 노출하도록 플로어 매트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커버를 장착하므로, 플로어 매트 전체를 탈거하지 않고도 전원을 차단할 수 있어 쉽고 편리하게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압입과 같이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MSD 커버를 구성하므로,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쉽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인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판 위에 플로어 매트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소음 덮개를 갖춰서 조립하므로, 전기 자동차에 장착한 플로어 매트와 일체감을 느끼게 하면서도 플로어 매트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 신속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전원을 차단하여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MSD COVER FOR FLOOR MAT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로어 매트에 MSD 커버를 구성하므로, 차량 정비나 배터리 교환과 같은 작업을 할 때, 차량 바닥에서 플로어 매트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전기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MSD(Manual Service Disconnect)를 쉽게 차단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는 전기를 주동력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배터리를 수리하거나 교환할 때나 전기 자동차를 수리할 때는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전기 자동차에는 이처럼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MSD(Manual Service Disconnect)를 갖춘다.
하지만, 이러한 MSD는 실제로 배터리 교환이나 차량 정비와 같이 전기 자동차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해야 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통상적으로 전기 자동차 실내 바닥에는 일반 자동차와 같이,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은 플로어 매트를 장착한다. 이때, MSD 위에는 전기 자동차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게 하고, 또한 정비 등을 목적으로 하는 작업자가 아닌 사람이 쉽게 MSD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플로어 매트로 씌워서 장착한다.
(3) 이에, 배터리 교환이나 정비 작업 등을 하려면, 차체 바닥에서 플로어 매트 전체를 걷어내어 MSD가 외부에 노출하게 해야 한다. 이에, 플로어 매트를 걷어내는 작업과 작업 후에는 다시 플로어 매트를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4) 또한, 이처럼 플로어 매트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플로어 매트가 손상을 입을 수 있고 이러한 손상으로 산업폐기물량이 늘어나게 되어 폐기물 처리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한다.
(5) 한편, 플로어 매트는 전기 자동차의 바닥 전체에 깔려 있으므로, 플로어 매트를 탈거하고 다시 장착하는 시간이 오래 걸려 배터리 교환이나 정비이 길어진다. 특히, 또한, 전기 자동차 실내에는 시트나 콘솔 등 여러 가지 구성을 장착하게 되므로, 한정된 좁은 공간 안에서 이러한 구성과 간섭을 없애면서 플로어 매트를 탈거하거나 장착해야 해서 작업 시간이 더욱 길어진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0833호 (공개일 : 2014.05.21) 한국등록특허 제1499063호 (등록일 : 2015.02.27)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35500호 (공개일 : 2018.12.2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MSD(Manual Service Disconnect)가 외부에 노출하도록 플로어 매트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커버를 장착하므로, 플로어 매트 전체를 탈거하지 않고도 전원을 차단할 수 있어 쉽고 편리하게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압입과 같이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MSD 커버를 구성하므로,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쉽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인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판 위에 플로어 매트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소음 덮개를 갖춰서 조립하므로, 전기 자동차에 장착한 플로어 매트와 일체감을 느끼게 하면서도 플로어 매트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 신속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전원을 차단하여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 한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는, 중앙이 빈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플로어 매트(M)에 MSD(Manual Service Disconnect)를 위해 절개한 개구부(O)의 한쪽 가장자리 면에 폭 일부가 걸쳐지게 장착하는 하부 브래킷(100); 상기 하부 브래킷(100)의 안쪽 가장자리 면에 가장자리 면이 걸쳐지게 하여 개구부(O)를 마감하는 지지판(200); 상기 지지판(200)과 중첩하게 설치하는 소음 덮개(300); 중앙이 빈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개구부(O)의 다른 한쪽 가장자리 면을 덮으면서 상기 하부 브래킷(100)의 바깥쪽 가장자리 면과 마주하여 결합하되, 상기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 일부를 관통한 하부 브래킷(100)에 장착한 상부 브래킷(400); 및 상기 하부 브래킷(100)과 상부 브래킷(400) 사이에 형성한 공간에 끼울 수 있게 중앙이 빈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소음 덮개(300)의 가장자리 면에 밀착하게 장착하되 일부가 상기 지지판(200)에 고정하여 일체로 장착하고,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탄성 변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돌기(530)가 밖으로 돌출하게 형성한 테두리 브래킷(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하부 브래킷(100)은, 폭 중앙 부분에 격벽(110)을 형성하되, 상기 격벽(110)을 중심으로 안쪽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판(200)이 걸쳐지게 턱(120)을 형성하고, 바깥쪽 가장자리 면에는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을 관통하여 끼워지게 여러 개의 제1압입 구멍(130)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200)은, 상기 하부 브래킷(100) 위에 걸쳐지는 가장자리 면에 상기 소음 덮개(300)를 관통하여 끼우도록 여러 개의 제2압입 구멍(210)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음 덮개(300)는, 플로어 매트(M)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브래킷(400)은, 개구부(O)의 두께와 가장자리 면을 감쌀 수 있게 폭 단면을 "ㄴ"자 형태로 형성하되,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을 누르는 부분의 가장자리가 이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을 누를 수 있게 제1가압 부분(410)을 꺾인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하부 브래킷(100)에 돌출 형성한 제1압입 구멍(130)에 강제로 끼움 설치하는 제1탄성 돌기(420)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 브래킷(400)은, 개구부(O)의 두께 부분을 덮는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하부 브래킷(100)의 격벽(110) 위에 걸쳐져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브래킷(500)은, 상기 지지판(200)과 소음 덮개(300)의 두께 부분과 상기 소음 덮개(300)의 가장자리 면을 덮을 수 있도록 폭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소음 덮개(300)에 밀착하는 면의 가장자리에는 제2가압 부분(510)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소음 덮개(300)를 누르는 면에는 상기 하부 브래킷(100)에 돌출 형성한 제2압입 구멍(210)에 끼움 설치하는 제2탄성 돌기(520)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판(200)은, 상기 하부 브래킷(100)과 마주하는 면에 바깥을 향해 적어도 하나의 보강 돌기(220)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보강 돌기(220)에는 마감판(23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200)은,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하부 브래킷(100)과 마주하여 접하도록 구배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플로어 매트에 MSD 커버를 장착하므로, 배터리 교환이나 차량 정비 등을 목적으로 MSD로 전원을 차단하려고 할 때 플로어 매트 전체를 탈거하지 않아도 된다.
(2) 이는, 플로어 매트 전체를 탈거했다가 배터리 교환이나 차량 정비 후에 다시 플로어 매트를 장착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이때, 플로어 매트는 시트나 콘솔 박스와 같이 차량 내부에 장착한 구성 사이에도 설치하게 되므로, 복잡하면서도 한정된 넓이의 차량 실내에서 플로어 매트를 탈거하거나 장착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3) 플로어 매트를 직접 탈거하거나 조립하지 않으므로, 이처럼 탈거와 조립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산업폐기물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다.
(4) 이처럼 플로어 매트의 조립과 탈거로 인한 시간 단축으로 배터리 교환이나 차량 정비와 같은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5) 이미 차량에 적용한 플로어 매트나 플로어 매트를 교환할 때 본 발명에 따른 MSD 커버를 장착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를 장착한 플로어 매트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를 장착한 플로어 매트의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SD 커버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려고, [도 2]에서의 "A-A"를 자른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SD 커버의 구성이 플로어 패널에 장착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는 본 발명에 따른 MSD 커버의 장착 순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SD 커버를 장착하는 플로어 매트의 개구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브래킷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덮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브래킷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브래킷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1]과 같이, 전기 자동차에서 배터리 교환이나 차량 정비를 하려고 할 때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전에 전원을 차단할 때 사용하는 MSD에 커버를 구성하므로, 전기 자동차 바닥에서 플로어 매트 전체를 탈거하지 않고도 쉽게 전원을 차단할 수 있고, 배터리 교환이나 차량 정비가 끝난 다음에도 바로 쉽고 편리하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는, 하부 브래킷(100), 지지판(200), 소음 덮개(300), 상부 브래킷(400), 그리고 테두리 브래킷(50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MSD 커버를 구성하는 구성이 압입 방식을 통해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고 편리하게 플로어 매트에 장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소음 덮개(300)는 플로어 매트(M)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므로, 동질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면서도 전기 자동차의 실내 미감을 해치지 않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M"은 전기 자동차의 바닥에 장착하는 플로어 매트를, "O"는 MSD(Manual Service Disconnect) 부분과 겹치는 플로어 매트(M) 부분을 관통하여 절개한 개구부를, MSD는 전기 자동차에서 차량 정비 등을 할 때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전원을 차단하는 통상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하부 브래킷]
하부 브래킷(100)은, [도 3] 내지 [도 5] 및 [도 7]과 같이, 중앙이 빈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의 폐곡선은 MSD(Manual Service Disconnect)를 통해 전원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면 어떠한 형태로든지 제작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대략 정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모따기 한 형태로 제작한 예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하부 브래킷(100)에는, [도 3] 및 [도 7]과 같이,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폭 일부가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에 밀착하게 하고 나머지가 후술할 테두리 브라켓(500)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하부 브래킷(100)은, [도 3] 및 [도 7]과 같이, 폭 중간 부분에 격벽(110)을 돌출 형성하여 후술할 상부 브래킷(400)과 테두리 브래킷(500)이 이 격벽(11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구획할 수 있게 구성한다.
특히, 상기 하부 브래킷(100)은, [도 3] 및 [도 7]과 같이, 안쪽 가장자리 면에 턱(120)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지지판(200)을 지지할 때 지지판(200)이 턱(120)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정확하게 안착하게 하여 쉽게 장착하고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브래킷(100)은, [도 3]·[도 6] 및 [도 7]과 같이, 바깥쪽 가장자리 면에는 둘레를 따라 여러 개의 제1압입 구멍(130)을 돌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압입 구멍(130)은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에 형성한 장착 구멍(H)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상부 브래킷(400)의 제1탄성 돌기(420)가 이 제1압입 구멍(130)에 강제로 끼워지면서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을 중심으로 양쪽에서 하부 브래킷(100)과 상부 브래킷(400)이 하나로 결합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하부 브래킷(100)은 양쪽 가장자리 면이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는, 플로어 매트(M)의 형상 즉 실내 바닥의 형상에 맞게 플로어 매트(M)가 휘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지지판]
지지판(200)은, [도 3] 내지 [도 5] 및 [도 8]과 같이, 가장자리 부분이 상술한 하부 브래킷(100)에 걸쳐지게 설치한다. 이때, 지지판(200)은 개구부(O)가 가려지게 구성하므로, 지지판(200) 위에 장착할 소음 덮개(300)를 통해 전기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이나 전기 자동차 하부에서 전해지는 소음 등을 차단하거나 흡음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지지판(200)은, [도 3] 및 [도 8]과 같이, 가장자리 면 부분이 중앙 부분보다 아래로 처진 형태가 되게 제작한다. 이는, 지지판(200) 위에 소음 덮개(300)를 올려놓고 테두리 브래킷(500)을 하부 브래킷(100)에 조립했을 때, 하나의 평면이 되게 하여 플로어 매트(M)와 본 발명에 따른 MSD 커버가 마치 하나인 것처럼 보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처럼 지지판(200)의 가장자리 면이 처지고 중앙 부분이 위로 튀어오름에 따라 지지판(200)을 통한 구조적 강성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00)에는, [도 3] 및 [도 8]과 같이, 가장자리 면에 여러 개의 제2압입 구멍(210)을 돌출 형성한다. 이때, 제2압입 구멍(210)은 후술할 소음 덮개(300)를 관통하여 테두리 브래킷(500)에 맞닿을 수 있는 높이로 돌출 형성한다. 이는, 제2압입 구멍(210)이 소음 덮개(300)가 정해진 위치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하면서 지지판(200)을 테두리 브래킷(500)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끼워서 일체로 조립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지판(200)에는, [도 3]과 같이, 하부 브래킷(100)과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 돌기(220)를 돌출 형성한다. 보강 돌기(220)는 지지판(20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여 이 지지판(20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변형하거나 깨지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보강 돌기(220)는 다른 구성과 간섭이 생기지 않는 한, 하부 브래킷(100)을 관통하게 형성하거나 하부 브래킷(100)을 관통하여 차체 바닥 안으로 더 돌출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돌기(220)에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돌출한 끝에 마감판(230)을 추가하여 구성한다. 마감판(230)은 본 발명에 따른 MSD 커버를 여닫을 때 다른 구성에 걸려 깨지거나 파괴되지 않게 보호하고, 지지판(20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한다.
[소음 덮개]
소음 덮개(300)는, [도 1] 내지 [도 5] 및 [도 9]와 같이, 상술한 지지판(200) 위에 중첩하게 장착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MSD 커버를 형성함에 따라 개구부(O)를 통해 차체나 전기 자동차의 하부에서 전해지는 소음 등을 없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소음 덮개(300)는 흡음과 차음성능과 같은 소음을 개선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플로어 매트(M)와 같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는, 소음 덮개(300)가 플로어 매트(M)와 같은 소음 성능을 얻으면서 이 플로어 매트(M)와 동질감을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소음 덮개(300)에는, [도 9]와 같이, 가장자리 면에 여러 개의 관통 구멍(310)을 형성한다. 관통 구멍(310)은 상술한 제2압입 구멍(210)의 돌출 부분이 끼워져서 테두리 브래킷(500)에 결합하게 하고, 또한 소음 덮개(300)가 정해진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게 지지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상부 브래킷]
상부 브래킷(400)은, [도 1] 내지 [도 5] 및 [도 10]과 같이, 중앙이 빈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개구부(O)의 다른 한쪽 가장자리 면, 즉 이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을 중심으로 상술한 하부 브래킷(100)과 서로 마주하게 장착하는 브래킷이다.
이때, 상기 상부 브래킷(400)은, [도 3]과 같이, 상술한 하부 브래킷(100) 일부가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을 관통하여 돌출한 부분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장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브래킷(400)에는, [도 3] 및 [도 10]과 같이, 개구부(O)와 마주하는 면에는 제1탄성 돌기(420)를 돌출 형성한다. 이때, 제1탄성 돌기(420)는,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에 형성한 여러 개의 장착 구멍(H)에 하나씩 대응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브래킷(400)은, [도 3] 및 [도 10]과 같이, 폭 단면을 "ㄴ"자 형태로 제작하여 한쪽 면이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을 감싸고 다른 한쪽 면이 이 개구부(O)의 두께 면을 감싸도록 구성한다.
또한,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을 감싸는 면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도 3] 및 [도 10]과 같이, 플로어 매트(M)를 눌러줄 수 있도록 제1가압 부분(410)을 꺾인 형태가 되게 형성한다. 이때, 제1가압 부분(410)은 상부 브래킷(400)을 후술할 제1탄성 돌기(420)로 하부 브래킷(100)에 강제로 끼움 결합함에 따라 플로어 매트(M)에 형성한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을 눌러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브래킷(400)은, [도 3] 및 [도 10]과 같이, 개구부(O)의 두께 부분을 덮는 가장자리 부분이 상술한 격벽(110) 위에 걸쳐지도록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부 브래킷(400)을 하부 브래킷(100)에 결합했을 때, 이 가장자리 부분과 격벽(110)이 하나의 측면을 형성하게 하고 이 측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후술할 테두리 브래킷(500)을 장착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부 브래킷(4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플로어 매트(M)에서 개구부(O)의 테두리 역할을 하게 하고, 그 안에서 상술한 지지판(200)과 소음 덮개(300)를 개폐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테두리 브래킷]
테두리 브래킷(500)은, [도 1] 내지 [도 5] 및 [도 11]과 같이, 중앙이 빈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테두리 브래킷(500)은 상술한 하부 브래킷(100)과 상부 브래킷(400)이 결합에 따라 생긴 그 내부 공간에 끼울 수 있는 폐곡선 형태로 제작한다.
특히, 상기 테두리 브래킷(500)은, [도 3] 및 [도 11]과 같이, 폭 단면을 "ㄴ"자 형태로 제작하되, 한쪽이 상술한 소음 덮개(300)의 가장자리 면에 밀착하고, 다른 한쪽이 지지판(200)과 소음 덮개(300)의 두께 부분을 덮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판(200)과 소음 덮개(300)의 접촉하는 면이나 가장자리 등이 외부에 노출하지 않게 테두리 브래킷(500)으로 마감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테두리 브래킷(500)은, [도 3] 및 [도 11]과 같이, 소음 덮개(300)의 가장자리 면에 밀착하는 위치에는 그 가장자리에 제2가압 부분(510)을 돌출 형성한다. 제2가압 부분(510)은 테두리 브래킷(500)을 지지판(200)에 장착할 때 소음 덮개(300)의 가장자리 면을 압착하여 견고하게 밀착 고정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브래킷(500)에는, [도 3] 및 [도 11]과 같이, 소음 덮개(300)에 밀착하는 면에 여러 개의 제2탄성 돌기(520)를 돌출 형성한다. 제2탄성 돌기(520)는 테두리 브래킷(500)을 지지판(200)에 결합할 때 이 지지판(200)에 형성한 제2압입 구멍(210)에 강제로 끼움 결합하여 이들 지지판(200)과 테두리 브래킷(500)을 일체로 결합하게 한다. 이에, 상기 제2탄성 돌기(520)는 상술한 제2압입 구멍(210)과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테두리 브래킷(500)에는, [도 5] 및 [도 11]과 같이, 탄성 변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돌기(530)를 형성한다. 이때, 분리 돌기(530)는 테두리 브래킷(500)의 바깥으로 돌출하게 형성하고, 이 테두리 브래킷(500)을 하부 브래킷(100)과 상부 브래킷(400)이 결합하여 생긴 공간에 장착할 때 상기 분리 돌기(530)가 상부 브래킷(400)과 테두리 브래킷(500)에서 눌리면서 테두리 브래킷(500)이 상부 브래킷(4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손으로 이 분리 돌기(530)를 테두리 브래킷(500) 쪽으로 누름에 따라 상부 브래킷(400)에서 테두리 브래킷(500)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브래킷(400)에는 이러한 분리 돌기(530)가 이탈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게 [도 10]과 같이 고정 홈(4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플로어 매트에 MSD 커버를 형성하므로, 배터리 교환이나 차량 정비 등으로 전기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전원을 차단할 필요가 있을 때 바닥 패널에서 플로어 매트 전체를 분리하고 조립하는 과정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나 교환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MSD 커버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므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소음 덮개를 플로어 매트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므로, 플로어 매트와 MSD 커버 사이에 일체감을 느끼게 하여 미감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 하부 브래킷
110 : 격벽
120 : 턱
130 : 제1압입 구멍
140 : 사면
200 : 지지판
210 : 제2압입 구멍
220 : 보강 돌기
230 : 마감판
300 : 소음 덮개
310 : 관통 구멍
400 : 상부 브래킷
410 : 제1가압 부분
420 : 제1탄성 돌기
500 : 테두리 브래킷
510 : 제2가압 부분
520 : 제2탄성 돌기

Claims (9)

  1. 중앙이 빈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플로어 매트(M)에 MSD(Manual Service Disconnect)를 위해 절개한 개구부(O)의 한쪽 가장자리 면에 폭 일부가 걸쳐지게 장착하는 하부 브래킷(100);
    상기 하부 브래킷(100)의 안쪽 가장자리 면에 가장자리 면이 걸쳐지게 하여 개구부(O)를 마감하는 지지판(200);
    상기 지지판(200)과 중첩하게 설치하는 소음 덮개(300);
    중앙이 빈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개구부(O)의 다른 한쪽 가장자리 면을 덮으면서 상기 하부 브래킷(100)의 바깥쪽 가장자리 면과 마주하여 결합하되, 상기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 일부를 관통한 하부 브래킷(100)에 장착한 상부 브래킷(400); 및
    상기 하부 브래킷(100)과 상부 브래킷(400) 사이에 형성한 공간에 끼울 수 있게 중앙이 빈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소음 덮개(300)의 가장자리 면에 밀착하게 장착하되 일부가 상기 지지판(200)에 고정하여 일체로 장착하고,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탄성 변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돌기(530)가 밖으로 돌출하게 형성한 테두리 브래킷(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2. 제1항에서,
    상기 하부 브래킷(100)은,
    폭 중앙 부분에 격벽(110)을 형성하되, 상기 격벽(110)을 중심으로 안쪽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판(200)이 걸쳐지게 턱(120)을 형성하고, 바깥쪽 가장자리 면에는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을 관통하여 끼워지게 여러 개의 제1압입 구멍(130)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3. 제1항에서,
    상기 지지판(200)은,
    상기 하부 브래킷(100) 위에 걸쳐지는 가장자리 면에 상기 소음 덮개(300)를 관통하여 끼우도록 여러 개의 제2압입 구멍(210)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4. 제1항에서,
    상기 소음 덮개(300)는,
    플로어 매트(M)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5. 제1항에서,
    상기 상부 브래킷(400)은,
    개구부(O)의 두께와 가장자리 면을 감쌀 수 있게 폭 단면을 "ㄴ"자 형태로 형성하되,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을 누르는 부분의 가장자리가 이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을 누를 수 있게 제1가압 부분(410)을 꺾인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하부 브래킷(100)에 돌출 형성한 제1압입 구멍(130)에 강제로 끼움 설치하는 제1탄성 돌기(420)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6. 제5항에서,
    상기 상부 브래킷(400)은,
    개구부(O)의 두께 부분을 덮는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하부 브래킷(100)의 격벽(110) 위에 걸쳐져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7. 제1항에서,
    상기 테두리 브래킷(500)은,
    상기 지지판(200)과 소음 덮개(300)의 두께 부분과 상기 소음 덮개(300)의 가장자리 면을 덮을 수 있도록 폭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소음 덮개(300)에 밀착하는 면의 가장자리에는 제2가압 부분(510)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소음 덮개(300)를 누르는 면에는 상기 하부 브래킷(100)에 돌출 형성한 제2압입 구멍(210)에 끼움 설치하는 제2탄성 돌기(520)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지지판(200)은,
    상기 하부 브래킷(100)과 마주하는 면에 바깥을 향해 적어도 하나의 보강 돌기(220)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보강 돌기(220)에는 마감판(23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9. 제8항에서,
    상기 지지판(200)은,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하부 브래킷(100)과 마주하여 접하도록 구배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KR1020190012393A 2019-01-31 2019-01-31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KR102105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393A KR102105893B1 (ko) 2019-01-31 2019-01-31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393A KR102105893B1 (ko) 2019-01-31 2019-01-31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893B1 true KR102105893B1 (ko) 2020-05-04

Family

ID=7073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393A KR102105893B1 (ko) 2019-01-31 2019-01-31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972A (ko) * 2020-06-19 2021-12-28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차량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295A (ko) * 2003-10-09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대각자 확인용 커버구조
US8727411B2 (en) * 2011-12-15 2014-05-20 Honda Motor Co., Ltd. Cover for floor-located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KR20140060833A (ko) 2012-11-12 2014-05-21 가야미 주식회사 자동차 플로어 매트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플로어 매트 성형방법
KR101481735B1 (ko) * 2013-12-27 2015-01-13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대번호 커버
KR101499063B1 (ko) 2013-09-30 2015-03-09 동양화성(주) 자동차 바닥용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6055823A (ja) * 2014-09-11 2016-04-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のフロア構造
KR20180135500A (ko) 2017-06-12 2018-12-2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295A (ko) * 2003-10-09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대각자 확인용 커버구조
US8727411B2 (en) * 2011-12-15 2014-05-20 Honda Motor Co., Ltd. Cover for floor-located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KR20140060833A (ko) 2012-11-12 2014-05-21 가야미 주식회사 자동차 플로어 매트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플로어 매트 성형방법
KR101499063B1 (ko) 2013-09-30 2015-03-09 동양화성(주) 자동차 바닥용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81735B1 (ko) * 2013-12-27 2015-01-13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대번호 커버
JP2016055823A (ja) * 2014-09-11 2016-04-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のフロア構造
KR20180135500A (ko) 2017-06-12 2018-12-2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972A (ko) * 2020-06-19 2021-12-28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차량
KR102494117B1 (ko) * 2020-06-19 2023-01-31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2360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6893082B2 (ja) 自動車セットに備え付けるための自動車用機器及びそのような自動車用機器を備えた自動車セット
JP2001121967A (ja) 一体式サンルーフユニットを持つ車両ルーフモジュール
JP5130800B2 (ja) エレベータのカゴ室
JP5831752B2 (ja) プルハンドルボックスの支持構造
US8480156B2 (en) Vehicle interior trim assembly and corresponding vehicle door
KR102105893B1 (ko) 전기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JP4816486B2 (ja) 車両用外装部品
KR102111377B1 (ko) 전기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JP2019031184A (ja) 車両用ドアトリム構造
KR102204373B1 (ko) 전기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KR102204374B1 (ko) 전기차용 플로어 매트의 msd 커버
US5938269A (en) Floor covering assembly and method
JP3794571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KR102130293B1 (ko) 자동차용 ohc 브래킷
EP3927598B1 (en) Multi-piece rear trunk lid
WO2023074227A1 (ja) 車両用サンバイザ
KR102247758B1 (ko) 자동차용 대쉬 아우터의 조립 구조
JP3092895B2 (ja) 内装材取付構造
KR0133222B1 (ko) 차량용도어
JPH0524585Y2 (ko)
KR100960235B1 (ko) 자동차용 풋레스트
KR100534855B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기밀구조
KR200160388Y1 (ko) 자동차용 까울 조립구조
JP2001173612A (ja) 自動車のトリム設置用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