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187Y1 -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187Y1
KR200297187Y1 KR2020020028064U KR20020028064U KR200297187Y1 KR 200297187 Y1 KR200297187 Y1 KR 200297187Y1 KR 2020020028064 U KR2020020028064 U KR 2020020028064U KR 20020028064 U KR20020028064 U KR 20020028064U KR 200297187 Y1 KR200297187 Y1 KR 200297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plate
horizontal bar
support plate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수
Original Assignee
황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수 filed Critical 황인수
Priority to KR2020020028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1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187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양호한 등의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판상의 지지판(12) 윗면으로 노브(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 중심으로 수직봉(14)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봉의 하단에는 상면 양단부에 원호형 돌기(18)가 돌출되어 있는 수평봉(16)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수평봉(16)을 구멍(5) 안에 삽입시키고 직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강판(2)과 쿠션물(4), 마감재(6)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CARS FINISH MATERIAL FIXING}
본 고안은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양호한 등의 특징을 가진다.
자동차는 수만 가지 이상의 부품으로 조합된 최상의 발명품 중에 하나인 바, 각 부품들을 차대 및 외판 등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많은 숫자의 볼트와 너트가 사용되고 있는데, 외판 내부에 위치하는 보강판(2)과 쿠션물(4) 그리고 최종적으로 부착되는 레자나 가죽, 천 등의 마감재(6)를 고정시키는데에도 볼트와 너트가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보강판(2)에 너트를 인서트로 고정시키고 쿠션물(4)과 마감재(6)에 구멍을 뚫은 후 상기 구멍으로 볼트를 삽입시켜 보강판의 너트에 결합시키고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불량함은 당연하고 제조단가가 상승되며 볼트와 너트는 진동이 가해지면 이완되고 결국 서로 이탈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어서 내구성 또한 양호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 때문에 완성 차량의 품질 문제가 거론될 정도로 볼트와 너트의 사용은 단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식으로 볼트와 너트의 기능을 안전하면서 견고하게 대체할 수 있고 작업성 및 내구성 또한 탁월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을 제공코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판상의 지지판(12) 윗면으로 노브(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 중심으로 수직봉(14)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봉의 하단에는 상면 양단부에 원호형 돌기(18)가 돌출되어 있는 수평봉(16)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수평봉(16)을 구멍(5) 안에 삽입시키고 직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강판(2)과 쿠션물(4), 마감재(6)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참고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을 구멍에 끼운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4는 도3의 상태에서 본 고안을 직각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판 12: 노브
14: 수직봉 16: 수평봉
18: 원호형 돌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참고사시도로서, 원판 형태를 가지는 지지판(10)의 상면으로는 손으로 잡고 돌리기에 편하도록 노브(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 중심으로는 수직봉(14)이 지지판과 거리를 유지한 채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봉의 하단에는 수평봉(16)이 역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봉의 양단에는 원호형 돌기(18)가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이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을 사용하여 다이캐스팅으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코자 할 경우 먼저 도면과 같이 마감재(6)와 쿠션물(4), 보강판(2)을 연결하듯이 직사각형의 구멍(5)을 프레스 작업으로 미리 형성시키는데, 그 사이즈는 수평봉(16)이 스치듯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이면 족하다 할 것이다. 이어서 상기 구멍(5) 안으로 수평봉(16)을 도3과 같이 삽입시키는데, 이때 수직봉(14) 또한 수평봉과 같이 삽입되어 마감재(6)와 지지판(10)의 저면은 접촉이 된다. 이 상태에서 도4와 같이 노브(12)를 잡고 수평봉(16)을 직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수평봉과 함께 수평봉 상의 원호형 돌기(18)가 구멍(5)을 이탈하여 보강판(2)의 저면에 다소 강한 힘을 가하면서 고정력을 작용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4와 같이 본 고안의 원터치 작용으로 인하여 마감재와 쿠션물, 보강판이 본 고안을 통해 전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고안은,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재료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안으로 본 고안의 수평봉을 삽입시킨 후 노브를 잡고 직각으로 회전만 시켜주면 볼트와 너트의 기능을 훌륭하게 대체함과 아울러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며 진동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므로 부가가치 상승에 일조를 하는 등의 다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판상의 지지판(12) 윗면으로 노브(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 중심으로 수직봉(14)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봉의 하단에는 상면 양단부에 원호형 돌기(18)가 돌출되어 있는 수평봉(16)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수평봉(16)을 구멍(5) 안에 삽입시키고 직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강판(2)과 쿠션물(4), 마감재(6)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
KR2020020028064U 2002-09-18 2002-09-18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 KR200297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064U KR200297187Y1 (ko) 2002-09-18 2002-09-18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064U KR200297187Y1 (ko) 2002-09-18 2002-09-18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187Y1 true KR200297187Y1 (ko) 2002-12-11

Family

ID=7312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064U KR200297187Y1 (ko) 2002-09-18 2002-09-18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1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943B1 (ko) * 2015-02-03 2016-06-09 주식회사 서연이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943B1 (ko) * 2015-02-03 2016-06-09 주식회사 서연이화 도어모듈의 트림부 조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1705A (en) Plastic holding element
KR20030017724A (ko) 자동차용 파스너구조
KR200297187Y1 (ko) 자동차용 마감재 고정물
US20070163089A1 (en) Vehicle molding clip mounting structure
JP2021041835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0179321B1 (ko) 드로우판넬 작업용지그
CN219562175U (zh) 一种车梁夹持装置
CN216185711U (zh) 一种电动车塑件连接头式装配结构
KR100207215B1 (ko) 차량의 트림 고정용 클립
CN111336466A (zh) 灯罩安装结构及车辆
JP3595168B2 (ja) シリンダ錠の自動車パネルへの固定構造
KR100645139B1 (ko) 차량용 번호판 장착구조
KR100569230B1 (ko) 후방 빔 스테이부의 너트 체결구조
KR200453637Y1 (ko) 씽크대용 볼 고정장치
JP2011084124A (ja) 車両のラゲージフロア構造
KR970048023A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 진동시험용 지그
JP2000240015A (ja) 防音パネルにおける補強材の取付構造
JP3291610B2 (ja) プッシュナット
KR100334272B1 (ko) 자동차용 후방범퍼의 상단고정대
KR19990035658A (ko) 자동차 도어 트림 체결용 클립
JP2002250324A (ja) ナット
RU2370399C1 (ru) Задний бампер автомобиля
JP2583778Y2 (ja) スペアタイヤの固定装置
JPH0683577U (ja) 予備タイヤ保持用ボルト
KR100878952B1 (ko) 자동차용 플라스틱 패스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