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496B1 - 직물 - Google Patents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496B1
KR101628496B1 KR1020140137734A KR20140137734A KR101628496B1 KR 101628496 B1 KR101628496 B1 KR 101628496B1 KR 1020140137734 A KR1020140137734 A KR 1020140137734A KR 20140137734 A KR20140137734 A KR 20140137734A KR 101628496 B1 KR101628496 B1 KR 10162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
heat
warp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987A (ko
Inventor
도루 이토이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이토이세이카쓰분카켄규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이토이세이카쓰분카켄규죠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이토이세이카쓰분카켄규죠
Publication of KR2015004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wood, cork, card-board, paper or like fibrous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03D15/46Flat yarns, e.g. tapes or film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25Composite materials, e.g. material with a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gluing or thermo bond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characterised by weave density or surface weigh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92Conjugate, i.e. bi- or multicomponent,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1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twis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8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dhesive; fusibl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5Pape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0Packaging, e.g. bag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62Textile, fabric, cloth, or pile containing [e.g., web, net, woven, knitted, mesh, nonwoven, matte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3154Sheath-core multicomponent stran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Woven Fabric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Paper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흡습성과 내구성과 양호한 촉감을 병립시킨, 화지를 소재로 하는 용품에 이용하는 직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주실과 부실이 혼직되어서 이루어지는 직물로서, 상기 주실이 세폭(細幅)으로 슬릿된 화지를 적어도 50 중량% 포함한 실이며, 상기 부실의 단위 길이당 중량이 상기 주실의 단위 길이당 중량의 1/7 ~ 2/3이며, 상기 직물은, 상기 주실로 이루어지는 날실 A와, 상기 주실로 이루어지는 씨실 A와, 상기 부실로 이루어지는 날실 B와, 상기 부실로 이루어지는 씨실 B로 이루어지는 직조직 구조를 가지고, 상기 직조직 구조에 있어서, 날실 열이 2개의 날실 A의 사이에 복수개의 날실 B가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고, 씨실 열이 2개의 씨실 A의 사이에 복수개의 씨실 B가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고, 날실 A와 씨실 A가 평직 조직 구조로 교착하고, 상기 직물의 직밀도 계수가 8.5 ~ 14인 직물이다.

Description

직물{TEXTILE}
본 발명은, 흡습성과 내구성과 양호한 촉감을 병립시킨, 화지(和紙)를 소재로 하는 용품에 이용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발에 데미지가 적은 런닝 슈즈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런닝 슈즈의 내구성 향상에 대해서는 신발창의 개선에 주안점이 주어져서, 아웃솔(outsole)의 바닥부에 형성된 홈 내에, 미드솔(midsole)의 바닥 단면(端面)에 마련된 립(rib)형상 돌기를 감합 고착하는 것에 의해서, 일체 구조의 구두창을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경기용, 특히 장거리 달리기용의 런닝 슈즈에 대해서는, 경량화가 극한까지 추구된 결과로서, 어퍼(upper) 부분의 손상도 중요시된다. 또한, 내구성을 추구한 나머지 발에 데미지를 주는 일도 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면, 경기 중에 신발 안이 습하게 되어 피부가 연화되고, 물집이 생겨서 터지는 등의 트러블을 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신발 안이 습하게 되는 일을 줄이는 어퍼의 소재로서는 흡습성과 속건성(速乾性)이 우수한 섬유로 이루어지는 천이 생각되지만, 코튼이나 레이온 등의 흡습성이 비교적 높은 섬유를 이용한다고 해도, 신발 안이 습하게 되어 피부가 연화되고, 물집이 생겨서 터지는 등의 트러블을, 가혹한 사용 조건하에서는 피할 수 없다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등의 합성 섬유는 강도라는 점에서는 만족하는 성능을 얻을 가능성이 있지만, 흡습성이 떨어지므로, 경기 중에 신발 안이 습하게 되어 피부가 연화되고, 물집이 생겨서 터지는 등의 트러블을 피할 수 없다.
흡습성과 고강도를 양립시키는 실의 소재로서는 화지(和紙)로 이루어지는 실이 생각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단순히 화지로 이루어지는 실을 특허 문헌 2 등에서 볼 수 있는 평직 조직의 직물로 하거나, 날실로 보강용의 합성 섬유사 등을 이용하여 화지로 이루어지는 실을 씨실로서 넣은 것 등을 어퍼의 소재로 이용한 경우는, 가혹한 경기하에서의 내구성이나 발의 피부의 손상에 대하여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이 염려된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08-182504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5-192724호
본 발명은, 흡습성과 내구성과 양호한 촉감을 병립시킨, 화지(和紙)를 소재로 하는 용품에 이용하는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발에 데미지가 적은 런닝 슈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주실과 부실이 혼직되어서 이루어지는 직물로서,
상기 주실이 테이프 형상으로 슬릿된 화지(和紙)를 50 중량% 이상 포함한 실이며,
상기 부실이 방직용 천연 섬유 또는 인조 섬유로 이루어지는 실로서, 단위 길이당 중량이 상기 주실의 단위 길이당 중량의 1/7 ~ 2/3이며,
상기 직물은, 상기 주실로 이루어지는 날실 A와, 상기 주실로 이루어지는 씨실 A와, 상기 부실로 이루어지는 날실 B와, 상기 부실로 이루어지는 씨실 B로 이루어지는 직조직 구조를 가지고,
상기 직조직 구조에 있어서,
날실 열이 2개의 날실 A의 사이에 1 또는 2개의 날실 B가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고,
씨실 열이 2개의 씨실 A의 사이에 1 또는 2개의 씨실 B가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며,
날실 A와 씨실 A가 상기 직물 중에서 평직 조직 구조 또는 능직 조직 구조로 교착하고,
상기 직물의 직밀도 계수가 8.5 ~ 14이며,
상기 직물의 단위 구역 중에 존재하는 날실의 개수와 씨실의 개수의 곱을 P로 하고, 해당 단위 구역의 하나의 면측에 존재하는, 상기 주실의 비월사 개수가 3 ~ 4인 띄움의 개수를 t로 했을 때의 t/P의 값이 1/15 ~ 1/4인 직물인 것에 있다.
상기 직물의 날실 밀도를 W1, 씨실 밀도를 W2로 했을 때, 2×|W1-W2|/(W1+W2)의 값이 0 ~ 0.15일 수 있다.
상기 직물에 있어서는, 상기 부실이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열융착성 섬유는 열용융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열용융성 폴리머의 용융에 의해 해당 열융착성 섬유의 열융착성이 발휘될 수 있다.
상기 직물에 있어서는, 상기 주실이 상기 화지와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한 복합사(複合絲)일 수 있고, 해당 열융착성 섬유는 열용융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열용융성 폴리머의 용융에 의해 해당 열융착성 섬유의 열융착성이 발휘될 수 있다.
상기 직물에 있어서는, 상기 열융착성 섬유가 상기 열용융성 폴리머와 해당 열용융성 폴리머보다 융점이 높은 고융점 폴리머와의 복합 섬유일 수 있고, 해당 고융점 폴리머와 상기 열용융성 폴리머가 심초 구조 혹은 바이메탈 구조로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직물을 상기 열용융성 폴리머가 용융하는 온도로 가열 처리하여 얻어진 직물인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직물을 이용한 신발용의 천 부재인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직물을 어퍼로 이용한 슈즈인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직물을 천 부재로 이용한 샌들인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직물을 주머니부로 이용한 백인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직물을 수납부로 이용한 수납용품인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직물을 천으로 이용한 의복인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직물을 천으로 이용한 이동체의 내장용재인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직물을 천으로 이용한 인솔인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직물을 천으로 이용한 인테리어용의 용품재인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흡습성과 내구성과 양호한 촉감을 병립시킨, 화지(和紙)를 소재로 하는 용품에 이용하는 직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발에 데미지가 적은 런닝 슈즈가 제공된다.
도 1은 런닝 슈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물 조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직물 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직물 조직에 관한 용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직물의 도 2와는 다른 조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직물의 도 5와는 다른 조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직물은, 화지(和紙)를 주성분으로 하는 실을 이용한 직물이다. 본 발명의 직물은, 도 1에 나타내는 런닝 슈즈(2)의 어퍼(4) 등으로 이용된다.
화지(和紙)는 닥나무, 삼지닥나무, 마(麻)류, 침엽수, 조릿대나무(笹) 등의 화지에 적합한 원료 식물을 두들겨서 얻을 수 있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화지 원료를 걸러서 만들어지는 종이이다. 화지의 단위 면적당 무게는 대략 10 ~ 20 g/㎡ 정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화지에는 10 중량% 이하라면 상기의 화지 원료 이외의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 화지 원료 이외의 섬유의 함유율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화지 특유의 흡습성, 강도가 떨어져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런닝 슈즈 등의 제품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화지에 있어서는, 상기의 화지 원료의 함유율이 95 중량%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화지(和紙)를 주성분으로 하는 실(이하 화지실이라고 칭한다)은, 화지를 세폭(細幅)(예를 들면 1 ~ 5 ㎜ 폭)의 테이프 형상으로 슬릿한 화지 테이프를 가연(加撚, twisting)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지실은 화지 테이프와 다른 실과의 합연사(合撚絲)라도 좋지만, 화지실에는 50 중량% 이상의 화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70 중량% 이상의 화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화지실은, 화지 테이프에 다른 실을 커버링한 것이라도 좋고, 혹은 다른 실에 화지 테이프를 커버링한 것이라도 좋다. 화지실에 있어서의 화지 이외의 실(다른 실)의 비율이 50 중량%를 초과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런닝 슈즈 등의 제품의 양호한 흡습성이나 습해지는 감이 없어지는 것에 영향을 준다. 화지실은 화지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지실은 단사(單絲)라도 좋지만, 쌍사(雙絲)라도 좋다. 화지실의 선 밀도(단위 길이당의 중량)는 1/60(g/m) ~ 1/10(g/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사의 경우는 10 ~ 60번수(미터 번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지실은 가연되어 있는 것이, 강도와 직물 표면의 균일한 외관을 얻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화지실의 꼬임수(撚數, number of twist) T(회/m)를 T = KW×√N(N는 화지실의 미터 번수)로 할 때, 꼬임계수(撚係數) KW가 50 ~ 1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서는, 화지실 외에, 직물의 인장 강도를 향상하기 위한 보강실이 이용된다. 보강실은 화지실과 혼직(混織)하여 이용한다. 보강실로서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레이온 등의 인조 섬유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사 혹은 스판사인 것이 강도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면, 마, 견 등의 방직용 천연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판사 혹은 필라멘트사라도 좋다.
이 보강실을 날실로서 이용하고, 화지실을 씨실로서 넣는 것이 제직성을 위해서는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직물은, 전단 강성이나, 굽힘 강성이 직물의 종횡(縱橫)에서 크게 다르므로, 어퍼(4)로 이용된 경우에 치수 안정성이 나빠지고, 또한, 변형의 밸런스가 나쁘며, 어퍼(4)에 적합한 곡면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강실도 직물의 표면에 상당한 비율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슈즈를 신었을 때에 발에 직접 접촉되는 보강실의 비율이 많고, 습해지는 감의 해소라는 목적에 대해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술의 화지실을 이용한, 본 발명의 직물의 조직 차트의 일례를 도 2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직물은 주실과 부실이 혼직되어서 이루어지는 직물로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직 차트(10)에 있어서, 주실(12)과 부실(14)이 직조직 되어서 이루어진다. 주실(12)은 화지실이며, 부실(14)은 단위 길이당 중량이 주실(12)의 단위 길이당 중량의 1/7 ~ 2/3이다. 부실(14) 등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실은 상술의 보강실로서 이용되는 실이다. 부실(14)은 필라멘트사인 것이, 제품의 보풀이 적고 또한 실의 부피가 작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풀이 적은 것으로, 제품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발과의 마찰에 의한 발의 손상이 경감되고, 또한, 실의 부피가 작은 것에 의해, 부실(14)은 직물의 표면에 노출되기 어려워지고, 제품의 사용시에 부실이 발에 접하는 면적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제품의 사용시에 주실(12)이 발에 접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조직 차트(10)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직물은, 주실(12)로 이루어지는 날실(TA)과 주실(12)로 이루어지는 씨실(WA), 부실(14)로 이루어지는 날실(TB), 부실(14)로 이루어지는 씨실(WB)이 직조직 되어서 이루어지는 직조직 구조를 가지고, 이 직조직 구조에 있어서 날실(TA)과 씨실(WA)의 양자에만 주목하면, 양자가 직물 중에서 평직 조직 구조에 의해 교착하고 있다. 또한, 날실 열이 2개의 날실(TA)(날실(TB)을 무시한 경우의 서로 이웃하는 날실(TA))의 사이에 2개의 날실(TB)이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고, 씨실 열이 2개의 씨실(WA)(씨실(WB)을 무시한 경우의 서로 이웃하는 씨실(WA))의 사이에 2개의 씨실(WB)이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직물에서는, 이 직조직을 가지고 또한 직밀도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실(12)이 부실(14)보다도 직물의 표면의 큰 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되는 구조의 직물(16)이 얻어진다.
화지실은 면사(綿絲) 등의 방직용 천연 섬유로 이루어지는 실에 비하여,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서의 직조직 구조에 의해 짜 넣었을 때에 편평(扁平)하게 되기 쉽기 때문에, 주실(12)이 부실(14)보다도 직물의 표면의 큰 부분을 차지하도록 효과적으로 배치되는 구조의 직물(16)이 얻어진다.
장거리 런너(runner)가 본 발명의 이 직물을 어퍼로 이용한 런닝 슈즈를 착용하면, 발한에 의한 수분이, 화지의 높은 흡습성과 어우러져서 직물의 발에 접하는 측의 표면으로부터 신속하게 흡수되고, 또한, 흡수된 수분이 직물의 발에 접하는 측과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신속하게 바깥 공기로 방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직물을 어퍼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습해지는 감이 없는 슈즈를 얻을 수 있다.
종래의 런닝 슈즈에서는, 어퍼로 이용하는 직물의 틈(gap)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발한에 의한 수분을 외부에 방출하기 쉽게 하는 방책이 취해지고 있지만, 이 경우는 우천시에 빗물이 침입하기 쉬워져서 신발의 내부가 이 물로 질척질척해지는 역효과를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의 직물은 직밀도가 비교적 높기에 빗물이 침입하기 어렵고 또한 발한에 의한 수분이 직물의 발에 접하는 측의 표면으로부터 신속하게 흡수되고, 또한, 흡수된 수분이 직물의 발에 접하는 측과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신속하게 바깥 공기로 방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직물을 어퍼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우천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도 습해지는 감이 없는 슈즈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에 이용되는 화지가 조릿대나무의 섬유를 혼초(混抄, mix)한 것인 경우는, 이 직물을 어퍼로 이용한 런닝 슈즈는 항균성을 가지고, 발의 발진을 경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2 종류의 실의 사용에서 한 쪽의 실을 우선하여 표면에 노출시키는 직물로서는 2중 직조직의 것을 들 수 있지만, 단위 면적당 무게가 커져서, 경량화가 요구되는 런닝 슈즈용의 소재로서는 부적합하다. 또한 한 쪽의 실을 주자직(朱子織)의 조직에 의해 띄우는 것에 의해 표면에 노출시키는 일도 생각할 수 있지만, 날실과 씨실의 교착 개소가 적고, 직물(16)의 면방향의 전단력에 대한 저항(전단 탄성률)이 저하하므로, 어퍼(4)로 이용된 경우에 치수 안정성이 나빠지고, 또한, 직물(16)의 굽힘 탄성율이 굽힘 방향에 따라 다르므로 변형의 밸런스가 나쁘고, 어퍼(4)에 적합한 곡면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사용시에 형태 무너짐이 되기 쉽다.
직물(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실(12)인 날실(TA)과 씨실(WA)에만 주목하면, 양자가 평직 조직 구조로 교착하고 있고, 또한, 부실(14)도 날실과 씨실의 교착이 평직 조직 구조에 가까워서 날실과 씨실의 교착점이 많고, 또한, 교착의 밸런스가 좋으며, 이 때문에, 직물(16)은 종횡의 인장 탄성이 거의 동일해져서 밸런스가 좋다. 또한, 직물(16)의 단위 구역(예를 들면 1 ㎝×1 ㎝) 중에 존재하는 날실(날실(TA)과 날실(TB))과 씨실(씨실(WA)과 씨실(WB))이 교차하는 개소의 개수(단위 구역 중의 날실의 개수와 씨실의 개수의 곱)를 P로 하고, 그 구역 중에서 직물(16)의 하나의 면(주실의 노출 면적이 부실의 노출 면적보다 많은 면, 혹은 양자가 동일한 면. 도 2, 도 5, 도 6에서는 도면에서 보아 상면측의 면)측에 존재하는 주실의, 비월사(飛越絲) 개수가 4인 띄움의 개수를 t로 하면, t/P가 1/9로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비월사 개수는 도 4의 단면 모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물 조직중의 한 실(20)에 대해서, 실(20)의 하나의 교착점(22)과, 교착점(22)에 이웃하는 다른 교착점(24)의 사이에 존재하는, 실(20)과 교차하는 실(26)의 개수 F를 칭하는 것으로 한다. F가 2 이상일 때, 실(20)의, 하나의 교착점(22)과 다른 교착점(24)의 사이에 존재하는 부분을 띄움(28)으로 칭하는 것으로 한다. 교착점이란, 직물 조직중의, 서로 인접의 평행한 2개의 실(예를 들면 실(25)과 실(27))의 사이를, 그 실과 교차하는 실(예를 들면 실(20))이 통과하는 통과점을 칭하는 것으로 한다. 즉, 교착점이란, 서로 인접의 2개의 날실의 사이를 씨실이 통과하는 통과점, 또는 서로 인접의 2개의 씨실의 사이를 날실이 통과하는 통과점을 칭하는 것으로 한다. 교착점(22)은 실(25)과 실(27)의 사이를 실(20)이 통과하는 통과점이며, 교착점(24)은 실(29)과 실(31)의 사이를 실(20))이 통과하는 통과점이다. 도 4에는 비월사 개수 F가 4인 띄움(28)이 예시되어 있다.
직물(16)은, t/P가 1/9로 되어 있는 것과, 부실(14)의 단위 길이당 중량이 주실(12)의 단위 길이당 중량의 1/7 ~ 2/3인 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물(16)은 부실(14)에 비하여 주실(12)이 보다 많은 면적 비율로 노출하는 구조가 얻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직물(16)은, 주실을 표면에 노출시키는 것과, 어퍼(4)에 적합한 곡면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변형 특성, 즉, 높은 굽힘 탄성과, 특히 면방향의 높은 전단 탄성과, 상술의 종횡의 인장 탄성의 밸런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다. 부실(14)의 단위 길이당 중량이 주실(12)의 단위 길이당 중량의 1/7 ~ 1/2인 것이, 부실(14)에 비하여 주실(12)이 보다 많은 면적 비율로 노출시키기 위해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직물(16)에 있어서는, 주실(12)의 띄움의 비월사 개수가 4 이하이며, 이것도 면방향의 높은 전단 탄성과, 종횡의 인장 탄성의 밸런스를 얻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직물(16)에 있어서는, 부실(14)의 띄움의 비월사 개수가 2 이하이며, 이것도, 직물(16)에 있어서의 종횡의 인장 탄성이 거의 동일해져서 밸런스가 좋은 것이나, 면방향의 높은 전단 탄성이나 치수 안정성이나, 상술의 종횡의 인장 탄성의 밸런스를 얻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직물(16)의 양호한 형태 안정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직물(16)은, 이것에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주실(12)이 직물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흡습성이 우수한 주실(12)이 런너의 발에 면하는 형태로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 경기 중에 신발 안이 습하게 되어 피부가 연화되고, 물집이 생겨서 터지는 등의 트러블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화지는 일반적으로 건조시보다 습윤시 쪽이 외부 작용에 견디어 내는 힘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런닝 슈즈(2)는, 레이온사, 합성 섬유사 등을 어퍼의 소재로 하는 런닝 슈즈에 비하여 극히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반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합성 섬유사만으로 이루어지는 천을 어퍼로서 사용한 런닝 슈즈는 사용시의 온도 상승에 의해 크리프(creep) 변형이나 외부 작용에 견디어 내는 힘의 저하를 초래하여 변형이나 파손을 일으키는 일이 있지만, 습윤시의 화지는 사용시의 온도 상승에 의한 외부 작용에 견디어 내는 힘의 저하나 변형이 극히 적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직물의 조직 차트(10a)를 도 5에 나타낸다. 이 형태에 있어서도, 주실(12)로 이루어지는 날실(TA)과 주실(12)로 이루어지는 씨실(WA), 부실(14)로 이루어지는 날실(TB), 부실(14)로 이루어지는 씨실(WB)이 직조직 되어서 이루어지는 직조직 구조를 가지고, 이 직조직 구조에 있어서 날실(TA)과 씨실(WA)의 양자에만 주목하면, 양자가 직물 중에서 평직 조직 구조로 교착하고 있다. 또한, 날실 열이 2개의 날실(TA)의 사이에 2개의 날실(TB)이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고, 씨실 열이 2개의 씨실(WA)의 사이에 2개의 씨실(WB)이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t/P의 값이 1/9로 되어 있다.
또한, 조직 차트(10a)에 의한 직물은, 하나의 면측의 부실(14)의 띄움의 비월사 개수가 2 이하이다. 이것도, 직물에 있어서의 종횡의 인장 탄성이 거의 동일해져서 밸런스가 좋은 것이나, 면방향의 높은 전단 탄성이나, 치수 안정성이나, 상술의 종횡의 인장 탄성의 밸런스를 얻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직물의 양호한 형태 안정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조직 차트(10a)에 있어서도, 직밀도를 높게 하는 것에 의해, 주실(12)이 직물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부실(14)은 직물의 두께 방향에 관하여 중앙부에 배치되는 구조가 실현되어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직물(16)과 동일하게, 어퍼(4)에 적합한 곡면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변형 특성, 즉, 높은 굽힘 탄성과, 특히 면방향의 높은 전단 탄성과, 상술의 종횡의 인장 탄성의 밸런스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주실(12)이 직물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흡습성이 우수한 주실(12)이 런너의 발에 직접 접하는 형태로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 경기 중에 신발 안이 습하게 되어 피부가 연화되고, 물집이 생겨서 터지는 등의 트러블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바람직한 변형 특성은, 슈즈의 사용에 의한 어퍼(4)의 형태 무너짐이 적은 것이나 슈즈의 내구성이 양호한 것에도 기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직물의 조직 차트(10b)를 도 6에 나타낸다. 이 형태에 있어서도, 주실(12)로 이루어지는 날실(TA)과 주실(12)로 이루어지는 씨실(WA), 부실(14)로 이루어지는 날실(TB), 부실(14)로 이루어지는 씨실(WB)이 직조직 되어서 이루어지는 직조직 구조를 가지고, 이 직조직 구조에 있어서 날실(TA)과 씨실(WA)의 양자에만 주목하면, 양자가 능직(綾織) 조직 구조로 교착하고 있다. 또한, 날실 열이 2개의 날실(TA)의 사이에 1개의 날실(TB)이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고, 씨실 열이 2개의 씨실(WA)의 사이에 1개의 씨실(WB)이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t/P의 값이 1/8로 되어 있다.
또한, 조직 차트(10b)에 의한 직물에는 비월사 개수가 3 이상인 부실(14)의 띄움은 없고, 이것도, 직물의 종횡의 인장 탄성이 거의 동일해져서 밸런스가 좋은 것이나, 면방향의 높은 전단 탄성이나, 치수 안정성이나, 상술의 종횡의 인장 탄성의 밸런스를 얻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직물의 양호한 형태 안정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조직 차트(10a), 조직 차트(10b)에 있어서도, 직밀도를 높게 하는 것에 의해, 주실(12)이 직물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부실(14)은 직물의 두께 방향에 관하여 중앙부에 배치되는 구조가 실현되어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직물(16)과 동일하게, 어퍼(4)에 적합한 곡면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변형 특성, 즉, 높은 굽힘 탄성과, 특히 면방향의 높은 전단 탄성과, 상술의 종횡의 인장 탄성의 밸런스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주실(12)이 직물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흡습성이 우수한 주실(12)이 런너의 발에 직접 접하는 형태로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 경기 중에 신발 안이 습하게 되어 피부가 연화되고, 물집이 생겨서 터지는 등의 트러블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5, 도 6은 직조직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직조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실의 굵기와 실 사이의 간격의 관계 등은, 실제의 직물과는 다르게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직물은, 이와 같이 날실로서 배치된 주실(날실 A)과 씨실로서 배치된 주실(씨실 A)이 평직 조직 구조 또는 능직 조직 구조를 이루고(주실에 대해서만 생각하면 날실 A와 씨실 A로 평직 조직 구조 또는 능직 조직 구조를 이룸), 날실 열이 주실로 이루어지는 2개의 날실의 사이에 부실로 이루어지는 m개(m=1 또는 2)의 날실 B가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고, 씨실 열이 주실로 이루어지는 2개의 씨실의 사이에 부실로 이루어지는 n개(n=1 또는 2)의 씨실 B가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m = n인 것이 종횡의 인장 탄성 및 굽힘 탄성의 밸런스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m, n의 양쪽 모두 또는 어느 한 쪽이 3 이상이면, 직물 표면에 주실이 노출하는 비율이 작아지고, 부실이 런너의 발에 직접 접할 기회가 많아지므로, 습해지는 감의 원인이 된다. 또한, 발에 데미지를 주는 원인으로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은 t/P가 1/15 ~ 1/4인 것이, 직물의 평활성과, 상술의 바람직한 변형 특성의 양자를 만족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t/P가 1/15 미만이면, 표면에 노출된 주실의 비율이 낮아지고, 평활한 표면이 얻어지지 않는다. t/P가 1/4를 초과하여 크면, 내구성과 치수 안정성이 나빠진다. t/P가 1/10 ~ 1/6인 것이, 직물의 평활성과, 상술의 바람직한 변형 특성의 양자를 만족하기 위해서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은 단위 구역 중에, 하나의 면측의 부실의, 비월사 개수가 3 이상인 띄움이 없는 것이, 직물의 종횡의 인장 탄성이 거의 동일해져서 밸런스가 좋은 것이나, 치수 안정성이나, 면방향의 높은 전단 탄성과, 상술의 종횡의 인장 탄성의 밸런스를 얻기 위해서 더 바람직하다. 단위 구역 중에, 비월사 개수가 3 이상인 부실의 띄움이 없는 것이 이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조직 차트(10), 조직 차트(10a), 조직 차트(10b)에 나타나는 직조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직물의 실 밀도(직밀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직물보다 비교적 높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실인 화지실이 직물 표면에 노출하는 비율을 높게 하기 위해서, 직물의 직밀도 계수 K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밀도 계수 K가 14를 초과하여 크면 제직성(製織性)이 곤란해지는 한계에 가까워지므로, 직밀도 계수 K는 8.5 ~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실(12)이 직물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되기 위해서, 직밀도 계수 K는 9.5 ~ 14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직물의 직밀도 계수 K는 K = W×√G로 정의된다. 여기서, W는 날실 밀도를 W1(개/25.4 ㎜), 씨실 밀도를 W2(개/25.4 ㎜)로 했을 때, W = (W1+W2)/2로 정의되는 값이며, G는 주실(화지실)의 선 밀도를 G1(g/m), 부실의 선 밀도를 G2(g/m)로 했을 때, (4×G1+G2×(m+n))/(4+m+n)로 정의되는 값(산술 평균)이다. m = n = 2 일 때, G=(G1+G2)/2이다. 날실 밀도는 직물의 씨실 방향 단위폭 당의 날실(날실 A+날실 B)의 개수를 나타내는 값이다. 씨실 밀도는 직물의 날실 방향 단위폭 당의 씨실(씨실 A+씨실 B)의 개수를 나타내는 값이다.
G의 산출에 있어서, 선 밀도의 평균치로서 날실과 씨실의 산술 평균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기하 평균이나 조화 평균(번수의 산술 평균)에 비하여 평균치에 주실의 선 밀도가 보다 많이 반영되어, 실상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실이 다른 번수의 화지실을 혼용하고 있는 경우는, G1는 직밀도를 주실 전체에 대해 산술 평균한 것이며, 부실의 G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직물의 종횡의 인장 탄성이나 굽힘 탄성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날실과 씨실의 실 밀도의 편차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인, 2×|W1-W2|/(W1+W2)의 값이 0 ~ 0.1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직물 조직 구조는, 주실(12)과, 주실(12)보다 선 밀도가 작은 부실(14)를 이용한 혼직 직물의 조직 구조로서 우수하고, 이 직물 조직 구조에 의해, 흡습성이나 치수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양호한 본 발명의 직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직물을 이용하여 발에의 데미지가 적은 런닝 슈즈를 얻을 수 있다.
이 직물 조직 구조에 대해서는, 직물 전체가 이 직물 조직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직물 전체 중 일부분이 이 직물 조직 구조와 다른 직물 조직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그 직물 조직 구조와 다른 직물 조직 구조를 가지는 부분의 면적이 직물 전체의 면적의 20% 이하이면, 상술의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직물 조직 구조와 다른 직물 조직 구조라는 것은, 예를 들면, 주실이나 부실과 다른 종류의 실이, 본 발명의 직물의 직물 구조를 가지는 직물 중에, 예를 들면 5 ㎜ 이상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우물 정자 형상 혹은 줄무늬 형상으로 배치된 직물 조직 구조나, 이 직물 조직 구조와 다른 직물 조직 구조를 가지는 폭이 5 ㎜ 이하의 띠 형상의 조직 구조의 부분이, 본 발명의 직물의 직물 구조를 가지는 직물 중에, 예를 들면 5 ㎜ 이상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우물 정자 형상 혹은 줄무늬 형상으로 배치된 직물 조직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직물도,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직물의 범주에 들어간다.
본 발명의 직물은 경기용의 런닝 슈즈에 한정되지 않고, 트래킹 슈즈, 운동화, 비즈니스 슈즈, 뉴 부츠, 샌들식 슈즈, 덧버선식 작업 슈즈, 캐쥬얼한 슈즈와 같은 일반의 슈즈의 어퍼로 해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흡습성이나 치수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양호하고 또한 발에 데미지가 적은 슈즈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어퍼에 적합한 곡면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변형 특성, 즉, 높은 굽힘 탄성과, 특히 면방향의 높은 전단 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어퍼에 적합한 곡면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 더 바람직한 변형 특성인 종횡의 인장 탄성이나 굽힘 탄성의 밸런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어퍼는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이 런닝 슈즈 등의 슈즈의 어퍼로서 이용되는 경우, 이 직물은, 보강이나 장식이나 보호 등의 부가적인 기능 부여를 목적으로 하여, 천이나 막 형상물과 같은 시트재(sheet cloth)가 붙여진 것이라도 좋다. 이 시트재로서는, 편직물(knitted fabric), 직물(fabric), 피혁, 인조 피혁 등이 이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직물에 이용하는 화지가 조릿대나무의 섬유를 혼초한 것인 경우는, 슈즈에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고, 발의 발진을 경감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은, 흡습성이나 치수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양호하며 또한 발에 데미지가 적다고 하는 특징을 활용하여, 슈즈의 어퍼에 한정하지 않고, 샌들, 슬리퍼 등을 포함한 신발 용품의 천 부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은, 핸드백, 파우치 등의 백류의 주머니부에 주머니재나 표면재로서 이용하는 소재로서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지갑이나 카드 케이스 등의 수납용품류의 수납부의 용재나 표면재 등의 소재로서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직물은, 천으로서 의류에 이용할 수 있다. 이것들은, 흡습성이나 치수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하고,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포백(布帛)이나 면포(綿布)에서는 얻을 수 없는 내츄럴하고 평활하고 부드러운 양호한 촉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은, 커튼재(curtain cloth), 벽지, 가구나 자동차 등의 이동체의 내장 기구의 붙임재 등의 인테리어용의 용품재나 이동체의 내장용재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흡습성이나 치수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하고,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포백이나 면포에서는 얻을 수 없는 내츄럴하고 평활하고 부드러운 양호한 촉감을 가지는 용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용재는 탈취성을 가지고, 실내나 창고내의 악취를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직물에 이용하는 화지가 조릿대나무의 섬유를 혼초한 것인 경우는, 이 용재에 의해, 실내의 악취를 경감하는 효과가 더 현저해진다.
본 발명의 직물이 이러한 인테리어용의 용품재로서 이용되는 경우, 이 직물은, 보강이나 장식이나 보호 등의 부가적인 기능 부여를 목적으로 하여, 천이나 막 형상물과 같은 시트재가 붙여진 것이라도 좋다. 이 시트재로서는, 편직물, 직물(fabric), 피혁, 인조 피혁, 필름 등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은, 부실로서 열융착성을 가지는 섬유를 포함하는 실을 이용할 수 있다. 열융착성 섬유는 가열에 의해 용융하는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섬유, 혹은, 가열에 의해 용융하는 폴리머가 섬유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노출하도록 배치된 섬유이다. 즉, 부실이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해당 열융착성 섬유가 열용융성 폴리머를 포함하며, 해당 열용융성 폴리머의 용융에 의해 해당 열융착성 섬유의 열융착성이 발휘되는 형태라도 좋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주실과 이 부실로 제직하여 직물을 얻은 후, 이 직물을 가열하여, 열융착성을 가지는 섬유(열융착성 섬유)를 구성하는 이 폴리머의 적어도 일부분을 용융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인접의 열융착성 섬유끼리 혹은, 열융착성 섬유에 인접의 섬유 혹은 실끼리가 이 열융착성 섬유를 통하여 융착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직물은 구성실의 풀어짐이 극히 적은 직물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은, 주실로서 화지 테이프와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실과의 복합실을 이용해도 좋다. 즉, 주실이 화지 테이프와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실이며, 해당 열융착성 섬유가 열용융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해당 열용융성 폴리머의 용융에 의해 해당 열융착성 섬유의 열융착성이 발휘되는 형태라도 좋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주실과 부실로 제직하여 직물을 얻은 후, 이 직물을 가열하여, 이 열융착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분을 용융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인접한 이 열융착성 섬유끼리 혹은, 이 열융착성 섬유에 인접의 섬유 혹은 실끼리가 융착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직물은 구성실의 풀어짐이 극히 적은 직물이 된다. 이 복합실의 복합의 형태로서는, 합사(合絲), 커버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열융착성 섬유가 함유되어 있는 본 발명의 직물은, 재단에 의한 절단단(切斷端)이 극히 풀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 가공하여 이용하는 경우, 절단단에 풀어짐 멈춤의 봉제 등을 실시할 필요가 없고, 절단 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 가공 공정을 간략화하여 합리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형태의 본 발명의 직물은, 슈즈의 인솔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주실과, 열융착성을 가지는 섬유를 포함하는 부실로 제직하여 직물을 얻은 후, 이 직물을 가열하여, 이 열융착성을 가지는 섬유(열융착성 섬유)를 용융시키는 것에 의해, 슈즈의 인솔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직물이 얻어진다. 이 경우, 가열 수단으로서 소정의 금형에 의한 열프레스를 이용하면, 재단(트리밍)과 함께, 인솔로서 적합한 곡면 형상이나 표면 형상을 부형(賦型, shaping)에 의해 얻을 수 있고, 효율적으로 따내기(die cutting)를 실시할 수 있다.
가열 수단으로서는 열 롤을 이용해도 좋다. 이 열 롤에 의해 표면에 엠보스(emboss)에 의한 요철의 부형을 행해도 좋다.
인솔은 신발 안에서 발바닥에 접하는 부분이며, 신발의 바닥에 탈락 가능하게 깔아서 이용되는 것, 혹은, 신발 바닥부에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열융착성을 가지는 섬유(열융착성 섬유)를 상술의 가열로 용융시키는 것에 의해, 이 열융착성 섬유를 통하여, 직물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실끼리, 혹은 실을 구성하는 섬유끼리가 융착하고, 혹은 앵커(anchor) 효과로 서로 구속된다. 이것에 의해, 재단에 의한 절단단이 극히 풀어지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 본 발명의 직물이 얻어진다.
열융착성 섬유를 구성하는 열용융성 폴리머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부실로서 융점이 다른 2 종류의 섬유를 포함하는 실(line of thread)이 이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양자의 융점의 사이의 온도로 직물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 융점이 낮은 섬유를 열융착성 섬유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융점이 높은 섬유는 이 가열에 의해 용융되지 않고 강력(强力)이 거의 유지되므로, 직물의 강력(强力)이 이 가열에 의해 크게 손상되는 일이 없다.
열융착성 섬유가 융점이 T℃의 1 종류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직물의 가열 온도 H가, T ≤ H ≤ T+3℃인 것이 직물의 강력(强力)이 이 가열에 의해 크게 손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열융착성 섬유로서는, 융점이 다른 2 종류의 수지가 심초(core-sheath) 형상, 혹은 바이메탈 형상으로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섬유라도 좋다. 이 형태에 있어서도, 양자의 융점의 사이의 온도로 직물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 융점이 높은 수지가 이 가열에 의해 용융하지 않고, 강력(强力)이 거의 유지되므로, 직물의 강력이 이 가열에 의해 크게 손상되는 일이 없다.
열융착성 섬유는, 필라멘트라도 좋다. 스테이플(staple)이라도 좋다. 필라멘트인 경우는, 다른 필라멘트와 혼섬(混纖, mixed)하여 이용되어도 좋다. 혹은, 다른 실(line of thread)과 합사나 교연(交撚)하여 이용되어도 좋다. 스테이플인 경우는 다른 섬유와 혼방되어서 이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직물이 인솔로서 이용되는 경우, 이 직물은, 보강이나 장식이나 보호 등의 부가적인 기능 부여를 목적으로 하여, 천이나 막 형상물과 같은 시트재가 붙여진 것이라도 좋다. 이 시트재로서는, 편직물, 직물(fabric), 피혁, 인조 피혁, 열가소성 필름 등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본 발명의 직물은, 고주파 미싱과 같은 가열 접합 장치를 이용하여 천끼리를 봉합에 의하지 않고 간단하게 가장자리(緣)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본 발명의 직물은, 상술의 풀어짐 없음이나, 열에 의한 가장자리 접합을 할 수 있는 등의 양호한 가공성을 활용하여, 인솔에 한정하지 않고, 샌들, 슬리퍼 등을 포함한 신발의 신발용재, 커튼재, 벽지, 가구나 자동차 등의 이동체의 내장 기구의 붙임재 등의 인테리어용의 용품재나 이동체의 내장용재, 핸드백, 파우치 등의 백류의 주머니부에 주머니재나 표면재로서 이용하는 소재, 지갑이나 카드 케이스 등의 수납용품류의 수납부의 용재나 표면재 등의 소재, 또한, 의류의 천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흡습성이 우수하고, 치수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극히 우수하고, 피혁류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포백이나 면포에서는 얻을 수 없는 내츄럴하고 평활하고 부드러운 양호한 촉감을 가진다. 또한, 이들은 탈취성을 가지고, 실내, 차내나 창고내의 악취를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들은,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극히 평활한 표면, 혹은 특수한 요철이 부여 된 표면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의 직물이 이러한 용도에 이용되는 경우, 이 직물은, 보강이나 장식이나 보호 등의 부가적인 기능 부여를 목적으로 하여, 천이나 막 형상물과 같은 시트재가 붙여진 것이라도 좋다. 이 시트재로서는, 편직물, 직물(fabric), 피혁, 인조 피혁, 필름 등이 이용되어도 좋다.
열융착성 섬유가 함유되어 있는 본 발명의 직물은, 열융착성 섬유가 직물 중의 화지의 중량에 대해서 5 ~ 60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융착성 섬유의 함유율이 이 범위 미만이면, 절단단의 풀어짐 방지 효과가 불충분하게 된다. 열융착성 섬유의 함유율이 이 범위를 초과하여 크면, 이 열융착성 섬유가 모두 융착 효과를 발휘했을 경우에 직물의 강성이 과대해진다. 이러한 점에 관하여, 열융착성 섬유가 직물 중의 화지의 중량에 대해서 20 ~ 40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직물로부터 이하의 제품을 제작했다.
(1) 어퍼로서 런닝 슈즈(실시예 1 ~ 4, 비교예 1 ~ 4)
(2) 지갑(실시예 5)
(3) 숙녀화(실시예 6)
(4) 핸드백(실시예 7)
(5) 수트(실시예 8)
(6) 자동차용 시트 붙임재(실시예 9)
(7) 인솔(실시예 10)
(8) 샌들(실시예 11)
[화지실의 종류]
화지실 1: 화지(和紙) 원료를 걸러서 만들어진 화지를 테이프 형상으로 슬릿하여 가연한 화지실(31 번수(미터 번수): 꼬임수 Z470T/m)
화지실 2: 화지(和紙) 원료를 걸러서 만들어진 화지를 테이프 형상으로 슬릿하여 가연한 화지실(32번수(미터 번수): 꼬임수 Z500T/m)
화지실 3: 화지(和紙) 원료를 걸러서 만들어진 화지를 슬릿한 가연하지 않은 테이프 형상 화지(35번수(미터 번수))와, 30 데니어(denier)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합연(合撚)(꼬임수 Z470T/m)으로 가연한 화지실
화지실 4: 화지(和紙) 원료를 걸러서 만들어진 화지를 테이프 형상으로 슬릿하여 가연한 화지실(40번수(미터 번수): 꼬임수 Z750T/m)
화지실 5: 화지(和紙) 원료를 걸러서 만들어진 화지를 테이프 형상으로 슬릿하여 가연한 화지실(30번수(미터 번수): 꼬임수 Z650T/m)
[실시예 1]
주실로서 화지실 1
부실로서 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꼬임수 110 T/m
날실 밀도: 324개/10 ㎝, 씨실 밀도 307개/10 ㎝
직조직: 도 2
직밀도 계수: 11.4
[실시예 2]
주실로서 화지실 2
부실로서 10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꼬임수 130 T/m
날실 밀도: 290개/10 ㎝, 씨실 밀도 284개/10 ㎝
직조직: 도 5
직밀도 계수: 10.6
[실시예 3]
주실로서 화지실 3
부실로서 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꼬임수 110 T/m
날실 밀도: 296개/10 ㎝, 씨실 밀도 290개/10 ㎝
직조직: 도 2
직밀도 계수: 10.6
[실시예 4]
주실로서 화지실 2
부실로서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꼬임수 110 T/m
날실 밀도: 296개/10 ㎝, 씨실 밀도 290개/10 ㎝
직조직: 도 6
직밀도 계수: 11.5
[비교예 1]
날실, 씨실로서 실시예 1에 이용한 주실
날실 밀도: 288개/10 ㎝
씨실 밀도: 284개/10 ㎝
직조직: 평직
직밀도 계수: 10.3
[비교예 2]
날실로서 실시예 1에 이용한 주실
씨실로서 실시예 1에 이용한 부실
날실 밀도: 220개/10 ㎝, 씨실 밀도 300개/10 ㎝
표면의 요철이 현저히 거친 감촉이었다.
직조직: 평직
[비교예 3]
날실, 씨실로서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꼬임수 130 T/m)를 이용했다.
날실 밀도: 292개/10 ㎝
씨실 밀도: 288개/10 ㎝
직조직: 평직
직밀도 계수: 9.5
[비교예 4]
날실, 씨실로서 20/2s 면사
날실 밀도: 156개/10 ㎝
씨실 밀도: 152개/10 ㎝
직조직: 평직
직밀도 계수: 9.5
[실시예 1 ~ 4, 비교예 1 ~ 4의 평가 시험]
현역의 마라톤 선수를 모니터로 하여 3명×8조로 나누고, 각 조에 실시예 혹은 비교예의 직물을 어퍼로서 이용한 런닝 슈즈를 할당하여 트레이닝시에 착용하게 했다. 총 주행거리 100 km 후의 습해지는 감, 발의 손상, 어퍼의 손상을 조 내에서 정리하여 평가했다. 단, 발의 손상이나 어퍼의 손상의 평가 시험에서는, 주행에 문제를 일으킨 시점에서 런닝 슈즈의 사용을 중지했다.
[실시예 1 ~ 4, 비교예 1 ~ 4의 평가 항목]
습해지는 감:
○ … 사용시에 느끼지 않았다.
△ … 습해지는 감을 느꼈다.
× … 사용시에 슈즈 안에서 수분이 달라붙는 느낌이 들었다.
발의 손상:
○ … 총 주행거리 100 km를 달린 시점에서 발의 손상은 없었다.
△ … 50 km 이상을 달린 시점에서 물집이 생겼다.
× … 50 km 이상을 달린 시점에서 발의 피부가 까졌다.
어퍼의 손상:
○ … 사용시에 손상은 없었다.
△ … 어퍼가 형태 무너짐이 있었다.
× … 어퍼가 파손되었다.
표면의 거친 느낌: 있음, 없음으로 평가
[실시예 1 ~ 4, 비교예 1 ~ 4의 평가 결과]
Figure 112014097261295-pat00001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런닝 슈즈는, 습해지는 감, 발의 손상, 어퍼의 손상(내구성)의 어느 항목에서도 만족되는 성능을 가지고, 또한 표면이 평활하고 신었을 때의 감촉도 좋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직물을 수납부의 표면재로서 이용하여 지갑을 제작했다. 촉감이 내츄럴하고 피혁 제품에서는 얻을 수 없는 부드러운 감촉을 가지고, 1년 이상의 사용 후도 형상의 무너짐은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직물을 어퍼재로서 이용하여 숙녀화(pumps)를 제작했다. 촉감이 내츄럴하고 피혁 제품에서는 얻을 수 없는 부드러운 감촉을 가지고, 착용시의 습해지는 감도 없고, 1년 이상의 통상의 형태에서의 사용 후도 형상의 무너짐은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직물을 주머니 부재로서 이용하여 핸드백을 제작했다. 촉감이 내츄럴하고 피혁 제품에서는 얻을 수 없는 부드러운 감촉을 가지고, 1년 이상의 사용 후도 형상의 무너짐은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8]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직물을 봄과 여름용 수트로 제작했다. 촉감이 내츄럴하고 종래의 수트용 천에서는 얻을 수 없는 부드러운 감촉을 가지고, 한 시즌의 사용 후도 형상의 무너짐은 인정되지 않았다. 내세탁성(耐洗濯性)도 양호했다.
[실시예 9]
주실로서 화지실 4
부실로서 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가공사: 꼬임수 Z1000 T/m
날실 밀도: 463개/10 ㎝, 씨실 밀도 425개/10 ㎝
직조직: 도 6
실시예 9에서 얻어진 직물을 자동차의 시트의 붙임재로서 이용했다. 이 붙임재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트는,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포백이나 면포에서는 얻을 수 없는 내츄럴하고 평활하고 부드러운 양호한 촉감을 가졌다. 또한, 이 시트를 이용한 자동차는, 종래와 비교하여 차내의 악취가 경감되어 있었다.
[실시예 10]
주실로서 화지실 5
부실로서 54dtex24fil 폴리에스테르 특수 필라멘트사(유니치카트레이딩사(UNITIKATRADING社)제: 상품명 메르셋): 꼬임수 Z800 T/m
날실 밀도: 429개/10 ㎝, 씨실 밀도 393개/10 ㎝
직조직: 도 2
주: 메르셋은, 심재(芯材)로서 레귤러 폴리에스테르, 초재(sheath材)로서 저융점(180℃)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심초(core-sheath) 구조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멀티 필라멘트사이다.
이 구성으로 얻어진 직물을 190℃, 2분에 텐터(tenter)를 이용하여 정장(定長) 가열 세트하여 포백을 얻었다. 이 포백을 따내기(die cutting) 기기에 의해, 인솔의 형상으로 펀칭했다. 펀칭 후에 가장자리부의 풀어짐이 없고, 그대로 인솔로서 사용할 수 있었다. 이 인솔은,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포백이나 면포에서는 얻을 수 없는 내츄럴하고 평활하고 부드러운 양호한 촉감을 가졌다. 또한, 종래의 가죽제의 인솔을 사용했을 경우에 비하여, 사용 후의 구두 안의 악취가 경감되어 있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포백을 샌들용재로서 소정의 형상으로 커터로 절단했다. 절단단에 풀어짐이 없고, 그대로 소정의 샌들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었다. 이 샌들은,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포백이나 면포에서는 얻을 수 없는 내츄럴하고 평활하고 부드러운 양호한 촉감을 가졌다.
본 발명의 직물은, 내구성과 피혁이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포백이나 면포에서는 얻을 수 없는 내츄럴하고 평활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활용하여, 일용 잡화류, 가구류, 인테리어용재, 자동차용 내장용재, 의류의 분야에 널리 적용된다.
2 : 런닝 슈즈 4 : 어퍼
12 : 주실 14 : 부실
16 : 직물

Claims (15)

  1. 주실과 부실이 혼직(混織)되어서 이루어지는 직물로서,
    상기 주실이 테이프 형상으로 슬릿된 화지(和紙)를 50 중량% 이상 포함한 실이며,
    상기 부실이 방직용 천연 섬유 또는 인조 섬유로 이루어지는 실로서, 단위 길이당 중량이 상기 주실의 단위 길이당 중량의 1/7 ~ 2/3이며,
    상기 직물은, 상기 주실로 이루어지는 날실 A와, 상기 주실로 이루어지는 씨실 A와, 상기 부실로 이루어지는 날실 B와, 상기 부실로 이루어지는 씨실 B로 이루어지는 직조직 구조를 가지고,
    상기 직조직 구조에 있어서,
    날실 열이 2개의 날실 A의 사이에 1 또는 2개의 날실 B가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고,
    씨실 열이 2개의 씨실 A의 사이에 1 또는 2개의 씨실 B가 배치되는 반복의 열 구조를 가지고,
    날실 A와 씨실 A가 상기 직물 중에서 평직(平織) 조직 구조 또는 능직(綾織) 조직 구조로 교착(交錯)하고,
    상기 직물의 직밀도 계수가 8.5 ~ 14이며,
    상기 직물의 가로 1 ㎝×세로 1 ㎝의 단위 구역 중에 존재하는 날실의 개수와 씨실의 개수의 곱을 P로 하고, 상기 단위 구역의 하나의 면측에 존재하는, 상기 주실의 비월사(飛越絲) 개수가 3 ~ 4인 띄움의 개수를 t로 했을 때의 t/P의 값이 1/15 ~ 1/4인 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날실 밀도를 W1, 씨실 밀도를 W2로 했을 때, 2×|W1-W2|/(W1+W2)의 값이 0 ~ 0.15인 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실이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열융착성 섬유는 열용융성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열용융성 폴리머의 용융에 의해 상기 열융착성 섬유의 열융착성이 발휘되는 직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실이 상기 화지(和紙)와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사(複合絲)이며, 상기 열융착성 섬유는 열용융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열용융성 폴리머의 용융에 의해 상기 열융착성 섬유의 열융착성이 발휘되는 직물.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성 섬유가 상기 열용융성 폴리머와 상기 열용융성 폴리머보다 융점이 높은 고융점 폴리머와의 복합 섬유이며, 상기 고융점 폴리머와 상기 열용융성 폴리머가 심초(core-sheath) 구조 혹은 바이메탈 구조로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인 직물.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직물을 상기 열용융성 폴리머가 용융하는 온도로 가열 처리하여 얻어진 직물.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이용한 신발용의 천 부재.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어퍼로 이용한 슈즈.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천 부재로 이용한 샌들.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주머니부로 이용한 백.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수납부로 이용한 수납용품.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천으로 이용한 의복.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천으로 이용한 이동체의 내장용재(內裝用材).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천으로 이용한 인솔(insole).
  1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천으로 이용한 인테리어용의 용품재.
KR1020140137734A 2013-10-15 2014-10-13 직물 KR101628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14917 2013-10-15
JP2013214917 2013-10-15
JP2014078579A JP5597784B1 (ja) 2013-10-15 2014-04-07 織物
JPJP-P-2014-078579 2014-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987A KR20150043987A (ko) 2015-04-23
KR101628496B1 true KR101628496B1 (ko) 2016-06-08

Family

ID=5184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734A KR101628496B1 (ko) 2013-10-15 2014-10-13 직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717299B2 (ko)
EP (1) EP2862969B1 (ko)
JP (1) JP5597784B1 (ko)
KR (1) KR101628496B1 (ko)
CN (1) CN104562373B (ko)
AU (1) AU2014335403B2 (ko)
BR (1) BR112015030169B1 (ko)
CA (1) CA2914157C (ko)
RU (1) RU2630764C1 (ko)
WO (1) WO2015056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50068B1 (en) 2015-01-26 2018-10-31 Nike Innovate C.V. Woven footwear upper with integrated tensile strands
USD777455S1 (en) * 2015-05-15 2017-01-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per product with surface pattern
US10555581B2 (en) * 2015-05-26 2020-02-11 Nike, Inc. Braided upper with multiple materials
JP6865176B2 (ja) 2015-12-28 2021-04-28 株式会社アシックス
CN112971272B (zh) * 2016-06-02 2022-06-24 阿迪达斯股份公司 具有部分熔合的织物部分的鞋和服饰制品及其制造方法
CN106222828B (zh) * 2016-07-19 2019-08-13 赵福兴 一种针叶木纤维纸纱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8021290A (ja) * 2016-07-25 2018-02-08 株式会社Itoi生活文化研究所 和紙糸を用いた生地、これを用いたシュー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レザーシューズ
JP2018038711A (ja) * 2016-09-09 2018-03-15 株式会社Shindo 清掃機器用ブラシ体
US11680343B2 (en) * 2016-11-09 2023-06-20 Nike, Inc. Textiles and article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US20180135213A1 (en) * 2016-11-11 2018-05-17 Nike, Inc. Woven footwear upper
US10694817B2 (en) * 2017-03-07 2020-06-30 Adidas Ag Article of footwear with upper having stitched polymer thread pattern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194714B2 (en) 2017-03-07 2019-02-05 Adidas Ag Article of footwear with upper having stitched polymer thread pattern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581056B1 (en) * 2017-03-20 2021-09-15 ASICS Corporation Shoe upper
US11457685B2 (en) 2017-05-30 2022-10-04 Nike, Inc. Double layer, single tube braid for footwear upper
US10905189B2 (en) * 2017-05-31 2021-02-02 Nike, Inc. Braided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flat yarn
CN107400959A (zh) * 2017-06-23 2017-11-28 太仓大唐化纤厂 一种竖孔发泡纤维布
US20210324551A1 (en) * 2017-09-02 2021-10-21 Yamanaka Industry Co., Ltd. Mesh sheet for curved surface formation and storage bag formed by mesh sheet
KR101987766B1 (ko) * 2017-11-28 2019-06-12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앵커링 특성이 향상된 대나무 섬유 함유 고무 패드
CN208807681U (zh) * 2018-05-08 2019-05-03 张家港极速户外服饰制造有限公司 一种针织无缝透气一片式帽顶棒球帽
FR3082103B1 (fr) 2018-06-08 2020-08-28 Decathlon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haussure, et chaussure susceptible d'etre obtenue par ledit procede
CN113544320A (zh) * 2019-03-07 2021-10-22 安道拓工程技术知识产权有限公司 用于生产行李厢盖的方法和用于车辆的行李厢盖
CN109972259B (zh) * 2019-04-29 2021-02-23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梭织织物织造选纱方法及梭织织物编织方法
RU2711712C1 (ru) * 2019-06-13 2020-01-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ладтекс-экспорт" (ООО "Владтекс-экспорт") Мебельная ткань
JP7292994B2 (ja) * 2019-06-20 2023-06-19 セーレン株式会社 車両用複合材
CN112831881A (zh) * 2020-12-31 2021-05-25 上海菲纵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特殊纸张做的纱线及其制备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244A (ja) 2000-03-07 2001-09-21 Teijin Ltd 清涼感に優れた布帛
JP2005192724A (ja) 2004-01-06 2005-07-21 Oshimo:Kk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5837A (ja) * 1984-04-05 1985-10-29 安岡 八郎 箔糸織物
JPH08182504A (ja) 1994-12-28 1996-07-16 Sumitomo Rubber Ind Ltd 運動靴
JP3059918U (ja) * 1998-12-16 1999-07-13 啓 中野 和紙製被覆資材
US6506697B1 (en) * 1999-08-05 2003-01-14 Merida Meridian, Inc. Tightly woven paper textile products
RU2153542C1 (ru) * 1999-08-11 2000-07-27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комплексной автоматизации лег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Обувная ткань
JP2002194642A (ja) * 2000-12-25 2002-07-10 Toray Ind Inc 紙糸織編物
JP2003073956A (ja) * 2001-09-04 2003-03-12 Teijin Ltd 清涼性及び柔軟性に優れた和紙織物の製織方法
JP4036720B2 (ja) * 2002-10-03 2008-01-23 ユニチカファイバー株式会社 抄繊糸複合織物
CN200974887Y (zh) * 2006-02-20 2007-11-14 金一平 一种纸线和纱线混纺交织的织物
EP2014807A4 (en) * 2006-02-27 2013-01-23 Mimcord S A CARP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986925A (zh) * 2006-12-25 2007-06-27 金承华 纸绞捻纱及其织成的布料
CN201012951Y (zh) * 2007-08-29 2008-01-30 宁波华业纤维科技有限公司 一种低密度纸线提花织物
CN201012950Y (zh) * 2007-08-29 2008-01-30 宁波华业纤维科技有限公司 一种纬线中包含有纸线的提花面料
JP5632215B2 (ja) * 2010-06-28 2014-11-26 株式会社ディスコ 研削加工ツール
KR101261916B1 (ko) * 2011-03-17 2013-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지복합사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한지복합사, 이를 이용한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한 자동차 내장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244A (ja) 2000-03-07 2001-09-21 Teijin Ltd 清涼感に優れた布帛
JP2005192724A (ja) 2004-01-06 2005-07-21 Oshimo:K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2969B1 (en) 2016-08-17
RU2630764C1 (ru) 2017-09-12
WO2015056676A1 (ja) 2015-04-23
WO2015056676A8 (ja) 2015-06-18
KR20150043987A (ko) 2015-04-23
EP2862969A1 (en) 2015-04-22
CN104562373A (zh) 2015-04-29
AU2014335403A1 (en) 2015-12-17
US9717299B2 (en) 2017-08-01
JP2015098668A (ja) 2015-05-28
JP5597784B1 (ja) 2014-10-01
BR112015030169A2 (pt) 2017-07-25
BR112015030169B1 (pt) 2019-08-27
US20150104592A1 (en) 2015-04-16
CA2914157C (en) 2021-02-23
AU2014335403B2 (en) 2016-10-20
CA2914157A1 (en) 2015-04-23
CN104562373B (zh)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496B1 (ko) 직물
US20230255305A1 (en) Shoe
US20230157404A1 (en) Layered shoe upper
US11666113B2 (en) Shoe with knitted outer sole
US20200196700A1 (en) Shoe
HU217891B (hu) Talp lábbelikhez
CN114340433A (zh) 具有弹性区域的编织鞋子
WO2019147966A1 (en) Shoe components having varying modulus zones
JP7430192B2 (ja)
US20210401106A1 (en) Woven shoe upper with pockets and fillings
WO2022264912A1 (ja) 編地
EP1467008A2 (en) Textile fabric, in particular single-layer fabric and a textile product with such fabric
KR100348018B1 (ko) 신발창
JP2018021290A (ja) 和紙糸を用いた生地、これを用いたシュー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レザーシューズ
JPH09188938A (ja) 芯地用基布及び芯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